KR101247015B1 - Stack roller assembly and financial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ack roller assembly and financial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7015B1 KR101247015B1 KR1020110090315A KR20110090315A KR101247015B1 KR 101247015 B1 KR101247015 B1 KR 101247015B1 KR 1020110090315 A KR1020110090315 A KR 1020110090315A KR 20110090315 A KR20110090315 A KR 20110090315A KR 101247015 B1 KR101247015 B1 KR 1012470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ck roller
- medium
- roller
- stack
- rotating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8—Apparatus for vibrating or knocking the pile during piling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택롤러 어셈블리 및 상기 스택롤러 어셈블리를 이용한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 입금시 스택롤러의 타격부에 의해 타격되지 않은 매체가 정렬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매체 출금시 상기 타격부에 의해 매체의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 roller assembly and a financial device using the stack roll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dia that is not hit by the striking portion of the stack roller from being misaligned when depositing the media, and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media by the striking portion when the media is withdrawn.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택롤러 어셈블리 및 상기 스택롤러를 이용한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 roller assembly and a financial device using the stack roller.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예를 들면, 지폐, 수표, 유가증권, 상품권 등)를 입금 또는 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In general, a financial device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handles the financial business desired by the customer. The financial device may deposit or withdraw a medium (eg, a bill, a check, a security, a gift certificate, or the like), or automatically transfer the medium.
상기 금융기기는, 일반적으로 매체를 입출금하기 위한 매체출입장치 및 매체보관부를 포함한다. 매체는 상기 매체출입장치를 통해 상기 매체보관부에 인입되어 보관될 수 있고, 상기 매체보관부에 보관된 매체가 상기 매체출입장치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The financial device generally includes a media access device and a media storage unit for depositing and depositing media. The medium may be inserted into and stored in the medium storage unit through the medium access device, and the medium stored in the medium storage unit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medium access device.
상기 매체출입장치는 다수의 가이더, 이송 롤러, 가이드 롤러, 스택 롤러 등을 포함한다. 상기 스택 롤러는, 상기 이송 롤러에 의해 매체보관부로 인입된 매체의 후단을 타격하여 상기 매체가 상기 매체보관부에 정렬되도록 한다. 상기 스택 롤러는 중심축의 일부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타격부를 구비한다. 상기 매체보관모듈로에 보관된 매체가 인출될 때에는 상기 타격부가 상기 매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스택 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타격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매체의 이동 통로 측을 향하도록 위치된다.The media entry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rs, a transfer roller, a guide roller, a stack roller, and the like. The stack roller strikes the rear end of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medium storage portion by the transfer roller so that the medium is aligned with the medium storage portion. The stack roller has a striker formed radially on a portion of the central axis. When the media stored in the media storage module is withdrawn, the stack roller is rotated so that the striking por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media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striking portion is not formed faces the movement passage side of the medium.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가 매체보관부로 인입될 때에는, 스택롤러의 타격부가 중심축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택롤러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인입되는 상기 매체를 타격하여 매체의 정렬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매체의 인출시에는, 상기 타격부가 중심축 일부에만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매체의 인출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정지함으로써 상기 타격부가 매체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택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medium is drawn into the medium storage portion, the striking portion of the stack roller is radially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so that the stack roller strikes the drawn medium by rotating about the central axis, thereby preventing misalignment of the medium. The stacking roller prevents the occurrence of the hitting part from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medium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hitting part, and stopping the moving part of the medium by forming the hitting part so as to be located only on a portion of the central axis. An assembly and a financial devic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일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보관부; 상기 매체보관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롤러; 및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축에는 상기 매체보관부로 인입되는 매체의 후단을 타격하는 복수 개의 타격부들이 구비된 스택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택롤러는, 매체가 상기 매체보관부로 인입될 때에는 상기 타격부들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고, 매체가 상기 매체보관부로부터 출금될 때에는 상기 타격부들이 상기 회전축의 일부 외주면에 겹쳐서 배치되고, 상기 스택롤러는, 제1스택롤러 및 제2스택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택롤러는 클러치를 통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매체가 매체보관부로 인입될 때에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제1스택롤러와 제2스택롤러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매체가 매체보관부에서 인출될 때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제1스택롤러는 클러치에 의해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스택롤러가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the medi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dium; A conveying roller for conveying a medium drawn into or taken out of the medium storage unit; And a stack roller which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the shaft having a plurality of striking portions striking a rear end of the medium drawn into the media storage portion, wherein the stack roller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media into the media storage portion. When the striking portions are provided radially about the rotation axis, when the medium is withdrawn from the media storage portion, the striking portions are disposed overlapping with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the stack roller, the first stack roller and the first And a second stack roller, wherein the first stack roller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through a clutch, and when the medium is drawn into the medium storage portion, the first stack roller and the second stack roller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When the medium is withdrawn from the medium storage unit, the first stack roller is stopped by a clutch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And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tack roller which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일 측면에 따른 스택 롤러 어셈블리는, 매체보관부로 인입되는 매체의 후단을 타격하여 상기 매체가 상기 매체보관부 내에 정렬되도록 하는 스택롤러는, 제1스택롤러 및 제2스택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택롤러 및 상기 제2스택롤러는, 회전축이 관통하는 롤러 플레이트 및 상기 롤러 플레이트의 일부 외주에 구비되고, 매체보관부로 인입되는 매체의 후단을 타격하는 복수 개의 타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보관부로 매체 인입시, 상기 제1스택롤러 및 제2스택롤러에 구비된 복수개의 타격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의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매체보관부로부터 매체 인출시, 상기 제2스택롤러에 구비된 타격부는 상기 제1스택롤러의 타격부와 동일한 위치에 놓여 상기 매체의 이송 경로를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제1스택롤러는 클러치를 통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매체가 매체보관부로 인입될 때에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제1스택롤러와 제2스택롤러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매체가 매체보관부에서 인출될 때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제1스택롤러는 클러치에 의해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스택롤러가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ck roller assembly includes a first stack roller and a second stack roller to strike a rear end of a medium introduced into a media storage part to align the media in the media storage part. The first stack roller and the second stack roller may include a roller plate through which a rotating shaft penetrates and a plurality of impact portions provided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plate, and strike a rear end of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media storage portion. When the medium is drawn in, the plurality of striking parts provided in the first stack roller and the second stack roller are arranged to form a radial sha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ut the rotation axis, and when the medium is taken out from the medium storage part, the second stack roller is disposed on the second stack roller. The provided striking portion is plac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striking portion of the first stack roller and does not obstruct the conveying path of the medium, and the first stack roller The first stack roller and the second stack roller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when the medium is drawn into the medium storage unit through a clutch, and when the medium is withdrawn from the medium storage unit, The first stack roller is stopped by the clutch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and the second stack roller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매체 입금시 스택롤러의 타격부에 의해 타격되지 않은 매체가 정렬 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매체 출금시 상기 타격부에 의해 매체의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dia that is not hit by the striking portion of the stack roller from being misaligned when depositing the media, and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media by the striking portion when the media is withdrawn.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출입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택롤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매체 인입시 스택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매체 인출시 스택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매체 입금시 스택롤러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8은 매체 출금지 스택롤러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dia acc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ck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ck roll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ck roller when the medium is drawn i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ck roller when the medium is taken out.
7 is a schematic view of the stack roller viewed from the front when depositing media.
8 is a schematic view of the media withdrawal stack roller viewed from the fro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der, etc.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례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처리, 지로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처리, 지로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방출기(CD: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The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obtains various media such as banknotes, securities, giro, coins, gift certificates, etc., and processes such as deposit processing, giro storage, gift certificate exchange, and / or withdrawal processing, release of giro, gift certificates. It is a device for performing financial affairs to perform media processing, such as processing such as release. An example of such a financial device may be an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such as a Cash Dispenser (CD) and a Cash Recycling Device. However, the financial instru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be a device for automating financial business such as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inancial instrument is a financial automatic instrument. However, this assumption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tack roller assembly and a financial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anci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금융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11), 수표를 입출금하기 위한 수표출입부(12), 지폐를 입출금하기 위한 지폐출입부(13), 통장을 출입하기 위한 통장 출입부(14), 카드를 출입하기 위한 카드 출입부(15)를 포함한다. 상기 금융기기(1)의 구조는 공지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표출입부(12) 및 지폐출입부(13)를 통칭하여 매체출입부라고 이름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a
본 실시예에서 매체(medium)는, 지폐, 수표, 상품권 등과 같은 유가 증권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dium includes securities such as banknotes, checks, gift certificates, and the like.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상기 수표출입부(12) 또는 지폐출입부(13)를 통해 입금된 매체를 이송하거나, 매체를 출금하기 위한 매체출입장치(후술함)가 구비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매체출입장치는 모든 매체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출입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dia acc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체출입장치(20)는, 매체(M)가 이송되는 통로(30), 매체(M)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롤러(21) 및 가이드롤러(22), 상기 이송롤러(21) 및 가이드롤러(22)에 의해 이송된 매체(M)의 후단을 타격할 수 있는 스택롤러 어셈블리(stack roller assembly:23), 프런트 가이더(front guider : 24), 매체(M)를 상기 프런트 가이더(24)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25), 하나 이상의 매체(M)를 하나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롤러(26)를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 가이더(24)와 가압부(25) 사이의 공간을 매체보관부라고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스택롤러 어셈블리(23)는 스택롤러(23)를 포함한다. 매체 입금시, 상기 통로(30)를 통해 이송된 매체(M)는 상기 이송롤러(21) 및 상기 가이드롤러(22) 사이를 통과하여 매체보관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매체(M)가 이송롤러(21) 및 가이드롤러(22)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스택롤러(230)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이송롤러(21) 및 상기 가이드 롤러(22)를 통과한 매체(M)의 후단부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매체(M)가 가압부(25) 상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스택롤러(230)는 상기 가이드 롤러(22)와 동일한 축 상에 설치될 수 있다.The
매체 출금시, 상기 매체보관부에 보관된 매체(M)는 상기 분리롤러(26)에 의해 한 장씩 분리되어 이송롤러(21) 및 가이드 롤러(23) 사이를 통과하여 통로(3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택롤러(230)는 상기 매체(M)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회전하지 않는다.At the time of withdrawal of the medium, the medium M stored in the medium storage part is separated by one by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택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택롤러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ck 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ck roll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택롤러(23)는 제1스택롤러(230) 및 제2스택롤러(235)를 포함한다.3 and 4, the
상기 제1스택롤러(230)는, 회전축(28)이 관통할 수 있는 롤러 플레이트(roller plate: 231) 및 상기 롤러 플레이트(231)의 외주의 일부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타격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타격부(232)는 상기 회전축(28)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스택롤러(235)에는, 상기 제1스택롤러(230)의 형태에 대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상기 제2스택롤러(235)의 롤러 플레이트(236)에는 후술할 위치감지센서(27)가 발생시킨 신호를 통과시키는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홀(238)은 제2스택롤러(235)의 타격부가 형성된 롤러 플레이트(236) 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shape of the
상기 홀(238, 239)의 개수 및 위치는 상기와 상이해도 무방하나, 이하, 상기와 같은 롤러 플레이트(236)의 위치에 홀(238)이 형성된 것으로 보고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스택롤러(230)와 상기 제2스택롤러(235) 사이에는 부싱이 배치될 수 있다.Although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상기 제1스택롤러(230)와 상기 회전축(28) 사이에는 클러치(clutch : 2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29)는 한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클러치(2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8)과 제1롤러(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8)이 A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롤러(230) 및 제2롤러(235)가 상기 회전축(28)과 함께 A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상기 회전축(28)이 B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롤러(235)만 B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롤러(230)는 상기 클러치(29)로 인해 회전하지 않는다. 이로써, 상기 제1롤러(230)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롤러(235)만이 회전하여 상기 제2롤러(235)에 구비된 타격부(237)가 상기 제1롤러(230)에 구비된 타격부(232)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A clutch 29 may be provided between the
도 5는 매체 인입시 스택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매체 인출시 스택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ck roller when taking out media,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ck roller when taking out media.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스택롤러(235) 측에는 위치감지센서(27)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1스택롤러(230)의 타격부(232) 및 제2스택롤러(235)의 타격부(237)를 상기 회전축(28)이 뻗은 방향으로 바라보면, 상기 타격부(232, 237)들은 상기 회전축(28)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될 때, 상기 위치감지센서(27)는 상기 제2스택롤러(235)의 홀(238)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5 and 6, the
일례로 상기 위치감지센서(27)가 상기 홀(238,239)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2스택롤러(235)의 타격부(237)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28)이 B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스택롤러(230)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2스택롤러(235)만이 B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스택롤러(235)가 B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홀(239)이 상기 위치감지센서(27)가 발생시킨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제2홀(239)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27)에 의해 상기 제2홀(239)이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2스택롤러(235)는 회전을 멈춘다. 상기 제1스택롤러(230)의 타격부(232) 및 제2스택롤러(235)의 타격부(237)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타격부(232,237)를 회전축(28)이 뻗은 방향으로 바라볼 때, 상기 제1스택롤러(230)의 타격부(232) 및 상기 제2스택롤러(@35)의 타격부(237)는 겹쳐 보이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매체 출금시 상기 타격부(237)가 상기 매체의 이송 경로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도 7은 매체 입금시 스택롤러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고, 도 8은 매체 출금지 스택롤러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Figure 7 is a schematic view of the stack roller from the front when depositing the media, Figure 8 is a schematic view of the stack of paper withdrawal from the front.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매체가 입금될 때에는 상기 타격부(232, 237)가 상기 회전축(28)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위치되고, 매체가 출금될 때에는 상기 타격부(232,237)는 매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28) 둘레의 일부분에만 방사형으로 위치된다.7 and 8, when the medium is deposited, the
상세히, 매체(M) 입금시, 상기 회전축(28)과 제1스택롤러(230), 제2스택롤러(235)는 A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스택롤러(230)의 타격부(232) 및 제2스택롤러(235)의 타격부(237)는 상기 회전축(28)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입금되는 매체(M)의 후단을 타격한다. 상기 타격부(232, 237)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매체(M)를 일정하게 연속적으로 타격할 수 있다.In detail, when depositing the medium M, the rotating
상기 매체(M) 출금시, 상기 회전축(28) 및 제2스택롤러(235)는 B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스택롤러(235) 및 상기 회전축(28)은 위치감지센서(27)에 의해 제2홀(239)이 감지되면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스택롤러(235)의 타격부(237)는 상기 매체(M)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1스택롤러(230)의 타격부(235)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At the withdrawal of the medium M, the
상기 매체(M)의 출금이 완료되고, 상기 매체(M)의 입금이 개시되면, 상기 회전축(28) 및 상기 제2스택롤러(235)는 B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스택롤러(230)는 상기 회전축(28)과 상기 클러치(29)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B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해 있다. 상기 제2스택롤러(235)가 회전하면서 상기 위치감지 센서(27)에 의해 홀(238)이 감지되면 상기 제2스택롤러(235)의 타격부(237)와 상기 제1스택롤러(230)의 타격부(23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된 것으로 보고, 상기 회전축(28), 제1스택롤러(230) 및 제2스택롤러(235)가 함께 A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스택롤러는 제1스택롤러 및 제2스택롤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택롤러의 개수는 상기 기재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When the withdrawal of the medium M is completed and the deposit of the medium M is started,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구성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escribed that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in 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stea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상기 매체보관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롤러; 및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축에는 상기 매체보관부로 인입되는 매체의 후단을 타격하는 복수 개의 타격부들이 구비된 스택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택롤러는, 매체가 상기 매체보관부로 인입될 때에는 상기 타격부들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고, 매체가 상기 매체보관부로부터 출금될 때에는 상기 타격부들이 상기 회전축의 일부 외주면에 겹쳐서 배치되고,
상기 스택롤러는, 제1스택롤러 및 제2스택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택롤러는 클러치를 통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매체가 매체보관부로 인입될 때에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제1스택롤러와 제2스택롤러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매체가 매체보관부에서 인출될 때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제1스택롤러는 클러치에 의해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스택롤러가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금융기기. A medium storage unit for storing a medium;
A conveying roller for conveying a medium drawn into or taken out of the medium storage unit; And
And a stack roller which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the shaft having a plurality of hitting parts hitting the rear end of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medium storage part.
The stack roller is provided with the striking portions radially around the rotation axis when the medium is drawn into the media storage portion, and the striking portions are overlapped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when the medium is withdrawn from the media storage portion. Become,
The stack roller includes a first stack roller and a second stack roller,
The first stack roller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through a clutch,
When the medium is drawn into the medium storage portion, the first stack roller and the second stack roller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And when the medium is withdrawn from the medium storage unit, the first stack roller is stopped by a clutch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and the second stack roller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상기 제1스택롤러 및 상기 제2스택롤러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롤러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외주 일부를 따라 복수 개의 타격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tack roller and the second stack roller,
And a roller plate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penetrates and a plurality of hitting parts along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ate.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제2스택롤러는, 상기 매체보관부로부터 매체가 인출될 때에 매체가 상기 매체보관부에 인입될 경우의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스택롤러의 타격부와 상기 제1스택롤러의 타격부가 동일한 위치에 놓이는 금융기기.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ng shaft and the second stack roller ar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when the medium is drawn into the medium storage unit when the medium is withdrawn from the medium storage unit, so that the striking unit of the second stack roller is rotated. And the striking portion of the first stack roller is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상기 제2스택롤러의 롤러 플레이트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금융기기.The method of claim 2,
The hole is formed in the roller plate of the second stack roller, the financial device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hole.
상기 홀은 상기 타격부가 구비된 롤러 플레이트 측에 형성되고, 매체의 인입시,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제2스택롤러가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홀이 감지될 때까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홀이 감지되면, 상기 회전축, 상기 제1스택롤러 및 제2스택롤러가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스택롤러 및 제2스택롤러에 구비된 타격부가 상기 매체보관부로 인입되는 매체의 후단을 타격하는 금융기기.The method of claim 5,
The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oller plate provided with the striking part, and when the medium is drawn in, the rotating shaft and the second stack roller rotate in one direction until the hole is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ing sensor, and the position sensing When the hole is detected by a sensor, the rotating shaft, the first stack roller, and the second stack roller are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striking part provided in the first stack roller and the second stack roller is introduced into the medium storage part. A financial device that hits the back end of the media.
상기 타격부가 구비되지 않은 롤러 플레이트 측에 제2홀이 더 형성되고, 매체 인출시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제2스택롤러가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제2홀이 감지되면 상기 제2스택롤러의 타격부가 상기 제1스택롤러의 타격부와 동일한 위치에 놓인 것으로 보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제2스택롤러가 회전을 멈추는 금융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hole is further formed on the side of the roller plate that is not provided with the hitting part, and when the second hole is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wh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second stack roller rotate in the one direction when the medium is taken out, the second hole is formed. 2. The financial device of which the rotating shaft and the second stack roller stops rotating because the hitting portion of the second stack roller is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hitting portion of the first stack roller.
상기 제1스택롤러 및 상기 제2스택롤러는, 회전축이 관통하는 롤러 플레이트 및 상기 롤러 플레이트의 일부 외주에 구비되고, 매체보관부로 인입되는 매체의 후단을 타격하는 복수 개의 타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보관부로 매체 인입시, 상기 제1스택롤러 및 제2스택롤러에 구비된 복수개의 타격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의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매체보관부로부터 매체 인출시, 상기 제2스택롤러에 구비된 타격부는 상기 제1스택롤러의 타격부와 동일한 위치에 놓여 상기 매체의 이송 경로를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제1스택롤러는 클러치를 통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매체가 매체보관부로 인입될 때에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제1스택롤러와 제2스택롤러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매체가 매체보관부에서 인출될 때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제1스택롤러는 클러치에 의해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스택롤러가 회전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스택롤러 어셈블리.The stack roller which strikes a rear end of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medium storage unit to align the medium in the medium storage unit includes a first stack roller and a second stack roller,
The first stack roller and the second stack roller, the roller plate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penetrates, and a plurality of striking portions provided on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plate and striking the rear end of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media storage portion,
When the medium is drawn into the medium storage part, the plurality of striking parts provided in the first stack roller and the second stack roller are arranged to form a radial shap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ut the rotation axis, and when the medium is withdrawn from the medium storage part, The striking portion provided in the second stack roller is plac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striking portion of the first stack roller and does not obstruct the conveying path of the medium.
The first stack roller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through a clutch,
When the medium is drawn into the medium storage portion, the first stack roller and the second stack roller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When the medium is withdrawn from the medium storage unit, the first stack roller is stopped by a clutch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the second stack roller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0315A KR101247015B1 (en) | 2011-09-06 | 2011-09-06 | Stack roller assembly and financial device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0315A KR101247015B1 (en) | 2011-09-06 | 2011-09-06 | Stack roller assembly and financial device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6876A KR20130026876A (en) | 2013-03-14 |
KR101247015B1 true KR101247015B1 (en) | 2013-03-25 |
Family
ID=4817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03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47015B1 (en) | 2011-09-06 | 2011-09-06 | Stack roller assembly and financial device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701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85218B1 (en) * | 2020-12-31 | 2023-01-06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Automated teller machi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32519A (en) | 2007-11-30 | 2009-06-18 | Oki Electric Ind Co Ltd | Impeller mechanism |
JP2011006250A (en) * | 2009-06-29 | 2011-01-13 |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 Medium stacking device |
JP2011065347A (en) | 2009-09-16 | 2011-03-31 |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 Impeller mechanism and accumulation device using the impeller mechanism |
-
2011
- 2011-09-06 KR KR1020110090315A patent/KR1012470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32519A (en) | 2007-11-30 | 2009-06-18 | Oki Electric Ind Co Ltd | Impeller mechanism |
JP2011006250A (en) * | 2009-06-29 | 2011-01-13 |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 Medium stacking device |
JP2011065347A (en) | 2009-09-16 | 2011-03-31 |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 Impeller mechanism and accumulation device using the impeller mechanis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6876A (en) | 2013-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3806B1 (en) | Apparatus for changing of the bill transferring direction and apparatus for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having thereof | |
KR101599131B1 (en) | A diverter, a medium handling device and a financial device | |
CN106251473B (en) | Finance device and medium piling apparatus | |
KR101761483B1 (en) | Medium stack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JP6710353B2 (en) | Banknote handling device | |
KR101258809B1 (en) |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ethod to Align Media Thereof | |
KR101636129B1 (en) |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apparatus, Medium storage box and Financial device | |
KR101247015B1 (en) | Stack roller assembly and financial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456367B1 (en) | Medium processing apparatus | |
KR20170031365A (en) | Storing bill apparatus in cash transaction machine | |
KR101762509B1 (en) |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apparatus, Medium storage box and Financial device | |
US11989994B2 (en) | Bundle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 |
CN104821049B (en) | Media processing device and finance device | |
KR20180059279A (en) | A drum-type banknote cassette and the bill-recycling ATM for teller equipped with the same | |
KR101210767B1 (en) | Cassette and financial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793333B1 (en) | Medium sen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JP5852052B2 (en) | Withdrawal device | |
KR101652182B1 (en) | Medium storage box and financial device | |
KR101892478B1 (en) | Financial device,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apparatus | |
AU2017261452B2 (en) | Paper sheet storage cassette and paper sheet handling machine | |
KR101559250B1 (en) | Skew correction apparatus of medium and financial device | |
KR101850837B1 (en) | A drum-type banknote cassette, bill-recycling ATM for teller equipped with the same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drum-type banknote cassette for banknote withdrawal | |
KR101295512B1 (en) | Apparatus to store paper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having the same | |
KR101145052B1 (en) | Automatic Teller Machine | |
KR20140084752A (en) | Automatic teller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