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981B1 - 매체 출입 장치 및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매체 출입 장치 및 금융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6981B1 KR101246981B1 KR1020110091183A KR20110091183A KR101246981B1 KR 101246981 B1 KR101246981 B1 KR 101246981B1 KR 1020110091183 A KR1020110091183 A KR 1020110091183A KR 20110091183 A KR20110091183 A KR 20110091183A KR 101246981 B1 KR101246981 B1 KR 1012469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 gear
- clutch
- clutch shaft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riction wheel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4—Friction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pur g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Toy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출입 장치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출입 장치는, 구동 모터; 매체가 출입하는 공간을 개폐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는 셔터 기어; 상기 셔터 기어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클러치 샤프트; 및 상기 클러치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며, 일측면에 복수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접촉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1 클러치 기어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출입 장치는, 구동 모터; 매체가 출입하는 공간을 개폐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는 셔터 기어; 상기 셔터 기어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클러치 샤프트; 및 상기 클러치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며, 일측면에 복수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접촉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1 클러치 기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체 출입 장치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예를 들면, 지폐, 수표, 유가증권, 상품권 등)를 인입 또는 인출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는 일반적으로 매체를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매체 출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체 출입부를 통해 유입된 매체는 매체 보관부에 보관된다. 이때 매체 보관부는 사용자가 수납한 매체가 임시로 저장되는 임시 집적부,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 이상 매체가 저장되는 회수부 등을 포함한다.
종래에 사용되는 매체 출입부에는, 셔터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가 구비될 수 있고, 구동 모터와 셔터 사이에는 클러치가 연결된다. 이때 클러치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셔터에 전달하여 셔터를 작동시킨다. 반면 셔터가 고객에 의해 외력을 전달받아 움직이는 경우 구동 모터에 맞닿은 클러치는 구동 모터의 기어 비가 크기 때문에 헛돌게 되는데, 이때 클러치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가 외력에 의해 회전될 경우 셔터의 회전력이 구동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매체 출입 장치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출입 장치는, 구동 모터; 매체가 출입하는 공간을 개폐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는 셔터 기어; 상기 셔터 기어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클러치 샤프트; 및 상기 클러치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며, 일측면에 복수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접촉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제1 클러치 기어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매체를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매체 출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출입 장치는, 매체가 출입하는 공간을 개폐하는 셔터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클러치 샤프트와, 상기 클러치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면에 복수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접촉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클러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접촉부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 중 어느 한 접촉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클러치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셔터에 외력이 가해져서 셔터가 회전될 경우 클러치 샤프트가 헛돌게 하여 클러치 샤프트로부터 구동 모터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클러치 샤프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출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확대도.
도 4 내지 도 6은 구동 모터에 의해 외부 셔터가 개폐될 때의 매체 출입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외부 셔터가 개폐될 때의 매체 출입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출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확대도.
도 4 내지 도 6은 구동 모터에 의해 외부 셔터가 개폐될 때의 매체 출입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외부 셔터가 개폐될 때의 매체 출입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례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처리, 지로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처리, 지로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방출기(CD: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 출입 장치 및 금융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출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편의상 기어 치(Gear Teeth)는 생략하였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11)와, 수표를 출입금하기 위한 수표 출입부(12)와, 지폐를 출입금하기 위한 지폐 출입부(13)와, 통장을 출입하기 위한 통장 출입부(14)와, 금융처리를 위한 IC 카드(Integrated Circuit Card)를 출입하기 위한 카드 출입부(15)와,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 보관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매체 보관부(16)는, 사용자가 수납한 매체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 집적부(도시하지 않음), 인입되는 매체를 보관하는 리싸이클 박스(도시하지 않음: recycle box), 이상매체가 보관되는 회수부(도시하지 않음),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도시하지 않음: cassette) 등과 같이 금융기기(1) 내에 구비되고 매체가 유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모든 모듈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수표 출입부(12), 지폐 출입부(13), 통장 출입부(14), 카드 출입부(15) 중 하나 이상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표 출입부(12) 및 지폐 출입부(13)를 통칭하여 매체 출입 장치(20)라 이름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출입 장치(20)는, 구동 모터(21: motor), 구동 기어(22: gear), 셔터(23: shutter), 셔터 기어(24: shutter gear), 전달 기어(25: gear), 클러치 샤프트(26: clutch shaft), 제1 클러치 기어(27: clutch gear), 제2 클러치 기어(28)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모터(21)는, 셔터(23)에 공급될 회전력을 생성한다. 상기 구동 모터(21)는 회전모터일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22)는, 상기 구동 모터(21)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 기어(22)는 구동 모터(21)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되며, 후술할 제1 클러치 기어(27)에 맞물려 상기 클러치 샤프트(2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셔터(23)는, 매체가 출입하는 공간을 개폐한다. 상기 셔터(23)는 외부 셔터(231)와 내부 셔터(232)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 셔터(232)는 회전형 셔터 또는 직진형 셔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셔터(232)는 매체가 출입하는 공간을 직접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외부 셔터(231)는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셔터(232)의 상단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셔터(231)는 구동 모터(21)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매체가 출입하는 공간을 간접적으로 개폐한다. 즉 외부 셔터(231)가 개방된 뒤 내부 셔터(232)가 개방되어 매체가 출입하는 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가 셔터(23)의 형태를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셔터 기어(24)는, 상기 외부 셔터(23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셔터(231)를 회전시킨다. 상기 셔터 기어(24)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셔터(23)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달 기어(25)는, 상기 셔터 기어(24)에 맞물린다. 구동 모터(21)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 기어(22)에 맞물리는 제1 클러치 기어(27)가 회전하고 클러치 샤프트(26)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후술할 제2 클러치 기어(28)가 상기 전달 기어(25)에 맞물려서, 상기 전달 기어(25)는 구동 모터(21)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상기 셔터 기어(24)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외부 셔터(2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반면 외부 셔터(231)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할 경우, 셔터 기어(24)는 외력에 의하여 회전되며, 셔터 기어(24)에 맞물린 전달 기어(25) 또한 회전한다. 이때 전달 기어(25)에 맞물려 있는 제2 클러치 기어(28)가 상기 클러치 샤프트(26)를 회전시키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외부 셔터(231)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외부 셔터(231)를 회전시키더라도, 클러치 샤프트(26)는 헛돌게 되기 때문에 제1 클러치 기어(27)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1 클러치 기어(27)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강제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제1 클러치 기어(27)의 파손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샤프트(26)는, 상기 셔터 기어(24)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261: pin)이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클러치 샤프트(26)는 후술할 제2 클러치 기어(28) 및 상기 전달 기어(25)를 통해 상기 셔터 기어(2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핀(261)은 돌출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에는 제1 클러치 기어(27)와 제2 클러치 기어(28)가 결합되며, 구동 모터(21)가 회전할 경우 제1 클러치 기어(27)에서 클러치 샤프트(26)를 거쳐 제2 클러치 기어(28)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반면 구동 모터(21)가 정지한 상태이고 외부 셔터(231)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면 외부 셔터(231)의 회전력은 제2 클러치 기어(28)에서 클러치 샤프트(26)로만 전달될 뿐 제1 클러치 기어(27)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핀(261)이 제1 클러치 기어(27)의 리브(271: rib) 사이의 공간에서 헛돌기 때문이다.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 모터(21)에 연결되며, 일측면에 복수 개의 리브(271)가 형성되어 상기 리브(271) 사이의 공간에 상기 핀(261)이 수용되도록 한다. 이때 리브(271)는 접촉부라 이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접촉부는, 제1 클러치 기어(27)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핀 수용부와, 상기 핀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촉부는 복수 개의 리브(271)가 구비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제1 클러치 기어(27)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홈 또는 홀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촉부가 리브(271)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클러치 기어(27)는 상기 구동 기어(22)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 모터(21)가 회전할 때 상기 구동 기어(2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클러치 기어(27)에 형성된 리브(271)가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에 형성된 핀(261)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클러치 샤프트(26) 또한 회전한다.
그러나 상기 구동 모터(21)는 정지한 상태이고 상기 외부 셔터(231)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26)가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를 회전시키지 못하고 헛돌게 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의 외측면에 형성된 핀(261)은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의 리브(271)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한다.
즉 상기 핀(261)은, 사용자가 상기 외부 셔터(231)를 가압할 경우 상기 클러치 샤프트(2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리브(271)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하며, 상기 구동 모터(21)에 의해 상기 외부 셔터(231)가 회전될 경우 상기 리브(271)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클러치 샤프트(26)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의 내경은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와 맞닿는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의 내경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찰 감소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마찰 감소 부재로는 거칠기가 매우 낮아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브(271)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원형 리브(273)와, 상기 원형 리브(273)에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 리브(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형 리브(273)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에서 상기 핀(261)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이 단절된 원 형태일 수 있다. 이는 상기 핀(261)이 상기 원형 리브(273)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지 않고 상기 방사 리브(272)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클러치 샤프트(26)가 헛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핀(261)은 상기 방사 리브(272)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 모터(21)가 작동할 시 상기 방사 리브(272)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상기 클러치 샤프트(26)를 회전시킨다. 반면 상기 외부 셔터(231)가 외력을 받아 회전할 시 상기 핀(261)은 상기 방사 리브(272) 사이의 일정 공간에서 움직일 뿐 상기 방사 리브(272)를 가압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클러치 샤프트(26)가 일정 각도만큼 헛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클러치 기어(28)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에 결합되어 상기 전달 기어(25)에 맞물린다. 이때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와 상기 제2 클러치 기어(28)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와 상기 제2 클러치 기어(28)는 외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러치 기어(27, 28)의 외경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은 회전 비율을 변화시키기 위함이므로, 제1 클러치 기어(27)와 제2 클러치 기어(28)의 외경은 외부 셔터(231)와 구동 모터(21)의 설계 수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26)가 경우에 따라 헛돌 수 있도록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와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제2 클러치 기어(28)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구동 모터에 의해 외부 셔터가 개폐될 때의 매체 출입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외부 셔터가 개폐될 때의 매체 출입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에서 편의상 기어 치(Gear Teeth)는 생략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외부 셔터가 닫혀있는 모습이고, 도 5는 구동 모터가 작동하여 상기 외부 셔터가 개방된 모습이며, 도 6은 구동 모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 셔터가 닫힌 모습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외부 셔터를 가압하여 상기 외부 셔터가 개방된 모습이고, 도 8은 구동 모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셔터가 닫힌 모습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 셔터(231)는 본체(10)의 외부를 밀폐하고, 상기 내부 셔터(232)는 본체(10)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내부 셔터(232)의 하단으로 출입될 수 있다. 물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셔터(23)의 형태를 이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 모터(2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구동 모터(21)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 기어(22)가 회전하여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1 클러치 기어(27)의 방사 리브(272)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의 핀(261)이 가압됨으로써 상기 클러치 샤프트(26)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샤프트(26)가 회전되면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가 함께 회전되며, 제1 클러치 기어(27)에 맞물린 전달 기어(25)가 회전한다. 이후 전달 기어(25)에 맞물린 셔터 기어(24)가 회전하여 결국 상기 외부 셔터(231)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내부 셔터(232)의 경우 별도의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직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매체가 출입하는 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내부 셔터(232)는, 상기 구동 모터(21) 또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셔터(231)와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셔터(232)를 움직이는 제1 벨트 풀리(도시하지 않음: belt pulley)와, 상기 제1 벨트 풀리의 일측과 상기 클러치 샤프트(26)를 연결하는 제2 벨트 풀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면, 상기 내부 셔터(232)가 상기 외부 셔터(231)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모터(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구동 기어(22)가 회전함에 따라 제1 클러치 기어(27)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방사 리브(272)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에 형성된 핀(261)을 가압하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클러치 샤프트(26)는 상기 구동 모터(21)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하여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샤프트(26)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에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외부 셔터(231)가 닫힐 수 있도록 상기 클러치 샤프트(26) 또는 외부 셔터(23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때 탄성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외부 셔터(231)의 외부 케이스(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 샤프트(26)는 상기 구동 모터(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일정 각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셔터(232)는 상기 구동 모터(21)와 별도로 설치된 구동원 또는 상기 제1 벨트 풀리 및 제2 벨트 풀리에 의하여 매체 출입 공간을 닫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 및 도 6과는 달리 사용자가 직접 상기 외부 셔터(231)를 밀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셔터(231)에 연결된 셔터 기어(2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전달 기어(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전달 기어(25)에 맞물린 제2 클러치 기어(2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클러치 샤프트(2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에 형성된 핀(261)은, 상기 방사 리브(272) 사이의 공간에서 움직일 뿐 상기 방사 리브(272)를 가압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는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클러치 샤프트(26)는 헛돌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상기 외부 셔터(231)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구동 기어(22)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각 구성이 무리한 회전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셔터(232)는 상기 외부 셔터(231)와는 별개로 움직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 벨트 풀리와 제2 벨트 풀리를 통해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셔터(23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클러치 샤프트(26)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력은 제2 클러치 기어(28), 전달 기어(25), 셔터 기어(24)를 따라 외부 셔터(231)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외부 셔터(231)가 닫히게 된다. 이때 클러치 샤프트(26)의 핀(261)은 상기 방사 리브(272) 사이의 공간에서 움직일 뿐이어서, 상기 방사 리브(272)를 가압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클러치 기어(27)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즉 제1 클러치 기어(27)는 상기 구동 모터(21)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 셔터(231)를 개폐할 때 회전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클러치 기어(27)와 구동 기어(22)가 불필요하게 강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구성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각 구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셔터(232)는 상기 구동 모터(21)와 별도로 설치된 구동원 또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26)와 연결된 제1 벨트 풀리 및 제2 벨트 풀리에 의하여 매체 출입 공간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구성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금융기기 10: 본체
20: 매체 출입 장치 21: 구동 모터
22: 구동 기어 23: 셔터
24: 셔터 기어 25: 전달 기어
26: 클러치 샤프트 27: 제1 클러치 기어
28: 제2 클러치 기어
20: 매체 출입 장치 21: 구동 모터
22: 구동 기어 23: 셔터
24: 셔터 기어 25: 전달 기어
26: 클러치 샤프트 27: 제1 클러치 기어
28: 제2 클러치 기어
Claims (9)
- 구동 모터;
매체가 출입하는 공간을 개폐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는 셔터 기어;
상기 셔터 기어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클러치 샤프트; 및
상기 클러치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며, 일측면에 복수 개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접촉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돌출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제1 클러치 기어를 포함하는 매체 출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접촉부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 중 어느 한 접촉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클러치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하는 매체 출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러치 기어는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매체 출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기어에 맞물리는 전달 기어; 및
상기 클러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전달 기어에 맞물리는 제2 클러치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러치 기어와 상기 제2 클러치 기어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클러치 샤프트에 결합되는 매체 출입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러치 기어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매체 출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상기 클러치 샤프트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원형 리브; 및
상기 원형 리브에 연결되며 상기 클러치 샤프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 리브를 포함하는 매체 출입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리브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이 단절된 원 형태인 매체 출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샤프트 또는 상기 셔터에 회전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매체 출입 장치. -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매체를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매체 출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출입 장치는,
매체가 출입하는 공간을 개폐하는 셔터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외측면에 형성되는 클러치 샤프트와, 상기 클러치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면에 복수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접촉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돌출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클러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클러치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접촉부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 중 어느 한 접촉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클러치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하는 금융기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1183A KR101246981B1 (ko) | 2011-09-08 | 2011-09-08 | 매체 출입 장치 및 금융기기 |
CN201210330221.6A CN102999971B (zh) | 2011-09-08 | 2012-09-07 | 目标物处理设备及金融设备 |
US13/607,035 US8919524B2 (en) | 2011-09-08 | 2012-09-07 | Object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1183A KR101246981B1 (ko) | 2011-09-08 | 2011-09-08 | 매체 출입 장치 및 금융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7760A KR20130027760A (ko) | 2013-03-18 |
KR101246981B1 true KR101246981B1 (ko) | 2013-03-25 |
Family
ID=4782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1183A KR101246981B1 (ko) | 2011-09-08 | 2011-09-08 | 매체 출입 장치 및 금융기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919524B2 (ko) |
KR (1) | KR101246981B1 (ko) |
CN (1) | CN10299997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67589A (zh) * | 2017-11-03 | 2018-03-06 |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 一种密码键盘防护罩 |
JP7214510B2 (ja) * | 2019-03-07 | 2023-01-30 |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 コイン保留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イン処理装置 |
CN111739214B (zh) * | 2020-07-20 | 2020-11-17 |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纸币传输通道动力切换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3936B1 (ko) | 2005-04-15 | 2006-07-24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셔터 장치 및 동작 방법 |
KR100610806B1 (ko) | 2004-06-29 | 2006-08-0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개폐장치 |
KR20060129614A (ko) * | 2005-06-13 | 2006-12-1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46070A (en) * | 1991-02-11 | 1992-09-08 | Olympus Optical Co., Ltd. | Drive device for use with the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
KR20020055269A (ko) | 2000-12-28 | 2002-07-08 | 구자홍 |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취납부용 도어개폐장치 |
AT500304B1 (de) | 2004-05-14 | 2006-11-15 | Keba Ag | Aufbewahrungsautomat für gegenstände |
KR101236193B1 (ko) | 2007-10-15 | 2013-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제 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
KR101061552B1 (ko) | 2010-02-05 | 2011-09-01 | (주)이모트 | 디자인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디자인 소재 |
US9478091B2 (en) * | 2011-07-29 | 2016-10-25 | Ncr Corporation | Digital media rental and return kiosk having a three-position lockable gate mechanism and methods of operating a digital media rental and return kiosk |
-
2011
- 2011-09-08 KR KR1020110091183A patent/KR10124698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9-07 US US13/607,035 patent/US8919524B2/en active Active
- 2012-09-07 CN CN201210330221.6A patent/CN10299997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0806B1 (ko) | 2004-06-29 | 2006-08-0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셔터 개폐장치 |
KR100603936B1 (ko) | 2005-04-15 | 2006-07-24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셔터 장치 및 동작 방법 |
KR20060129614A (ko) * | 2005-06-13 | 2006-12-1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999971A (zh) | 2013-03-27 |
CN102999971B (zh) | 2014-12-24 |
US20130061699A1 (en) | 2013-03-14 |
KR20130027760A (ko) | 2013-03-18 |
US8919524B2 (en) | 2014-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83005B2 (ja) | 媒体処理装置 | |
RU2613862C2 (ru) | Устройство с заслонкой и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ия транзакций с носителями | |
US8844805B2 (en) | Medium processing apparatus | |
US20130140756A1 (en) | Medium Storage Box,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 |
KR101246981B1 (ko) | 매체 출입 장치 및 금융기기 | |
KR20120072831A (ko) | 셔터 개폐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 |
CN107016777A (zh) | 媒介物保管箱及金融设备 | |
US10127757B2 (en) | Path switching structure and medium storage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362607B1 (ko) | 매체 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 기기 | |
KR101283306B1 (ko) | 개폐 장치 및 금융기기 | |
US8517378B2 (en) | Medium transfer apparatus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 |
EP2541516B1 (en) | Cassette for automated teller machine | |
KR101617529B1 (ko) | 매체경로전환장치 및 금융기기 | |
KR101258345B1 (ko) | 매체분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 |
KR101280691B1 (ko) |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금융기기 및 매체보관함에서의 매체 인출 방법 | |
KR101268257B1 (ko) | 도어개폐장치, 도어개폐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 |
KR101253450B1 (ko) | 금융기기 | |
JP6070476B2 (ja) | 回動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
KR20140122352A (ko) |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 |
KR101776394B1 (ko) | 매체 처리 장치 및 방법, 금융 기기 | |
KR101557580B1 (ko) | 안전셔터장치 및 금융기기 | |
KR101385411B1 (ko) |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 |
KR20050071235A (ko) | 지폐류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용 플레이트 잠금장치 | |
KR101426589B1 (ko) |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 |
KR20120104735A (ko) | 셔터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