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302B1 - Lamp for a Motor vehicle - Google Patents
Lamp for a Mot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2302B1 KR101232302B1 KR1020100128820A KR20100128820A KR101232302B1 KR 101232302 B1 KR101232302 B1 KR 101232302B1 KR 1020100128820 A KR1020100128820 A KR 1020100128820A KR 20100128820 A KR20100128820 A KR 20100128820A KR 101232302 B1 KR101232302 B1 KR 1012323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source
- source assembly
- light
- housing
- vehicle lam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5—Strips of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광원 조립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광원 조립체를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덮는 이너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렌즈부는 상기 광원 조립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투과부 및 상기 투과부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 반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투과부는 일정 투과율에 따라 발광된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다시 반사시키는 영역이고, 상기 투과부는 발광된 광의 전부를 투과시키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배광법규를 만족할 수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휘도를 구현하고, 이와 동시에, 깊이감 있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one side of the housing; A light source assembly received in the housing; An inner lens part accommodating the light source assembly and covering the opening of the housing together with the housing, the inner lens part including a transmissive part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 assembly and a transflective part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the transmissive part; The transflective part is a region for transmitting part of the light emit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ransmittance and partially reflecting the light, and the transmissive part is an area for transmitting all of the emitted ligh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le lamp that can implement a luminan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nd at the same time, a sense of depth im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amp for inform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를 구비한다.In general, a vehicle includes a vehicle lamp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identifying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at night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s or road user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 등 등은 조명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For example, headlights, fog lights, and the like are intended for illumination, and turn signals, taillights, brake lights, side markers, and the like are signal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발광 다이오드 등과 같은 광원(11), 광원(11)에서 발생된 빛을 광원(11)의 전방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반사경(12), 반사경(12)에서 반사되거나 광원(11)에서 발생된 빛을 집광시키고 확산시키기 위한 집광 렌즈(13) 및 확산 렌즈(14) 등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또한, 반사경(12)의 반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반사경(12)의 반사면에는 알루미늄이나 은분과 같이 반사 계수가 높은 물질을 증착시킨 코팅층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reflection efficiency of the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램프(10)는 광원(11) 이외에도 반사경(12)과 다수의 렌즈(13, 14)를 별도로 구성하였으며, 반사경(12) 및 렌즈(13, 14)의 구성은 빛의 반사 및 확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별도의 패턴화 및 코팅 작업 등이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또한, 광원(11)과 다수의 렌즈(13, 14) 사이에는 상당한 이격 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차량용 램프(10)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반사 및 확산 등의 과정 등을 거치면서 빛의 손실이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a considerable separation distance is required between the
또한, 차량용 램프(10)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렌즈 컷으로 인해 오히려 렌즈의 투시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lens cut for expressing various images in th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차량용 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면서도 깊이감 있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vehicle lamp, to provide a vehicle lamp that can express a sense of depth while reducing the occupied spac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광원 조립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광원 조립체를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덮는 이너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렌즈부는 상기 광원 조립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투과부 및 상기 투과부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 반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투과부는 일정 투과율에 따라 발광된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다시 반사시키는 영역이고, 상기 투과부는 발광된 광의 전부를 투과시키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having one surface opened; A light source assembly received in the housing; An inner lens part accommodating the light source assembly and covering the opening of the housing together with the housing, the inner lens part including a transmissive part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 assembly and a transflective part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the transmissive part; The transflective part is a region for transmitting part of the light emit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ransmittance and partially reflecting the light, and the transmissive part is an area for transmitting all of the emitted ligh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측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amp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ide of the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groove for supporting the light source assemb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너 렌즈부의 측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amp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ide of the inner lens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groove for supporting the light source assemb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원 조립체는, 상기 이너 렌즈부의 투과부와 마주보는 제1출사면;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는 제1비출사면; 상기 제1출사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출사면; 및 상기 제1출사면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비출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assembly, the first exit surface facing the transmission portion of the inner lens portion; A first non-projection surface facing the housing; A second exit surfac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first exit surface; And a second non-emission surface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mission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과부의 형상은 상기 광원 조립체의 제1출사면 또는 상기 광원 조립체의 제1비출사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transmission portion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first exit surface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or the first non-emitting surface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비출사면은 옵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비출사면의 상부에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non-emitting surface includes an optical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reflective layer on the second non-emitting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원 조립체는 상면부와 하면부, 전면부와 배면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 조립체의 전면부는 상기 투과부와 마주보고, 상기 광원 조립체의 배면부는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The light source assembly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portion and a lower surface portion, a front surface portion and a rear surface portion, a left surface portion and a right surface portion, the front surface portion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faces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faces the housing. It provides a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look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면부는 옵틱(Optic)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면부의 상부에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amp including an optical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reflective layer on an upper portion of the right surfac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제1반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조립체로부터 발광된 광은 상기 배면부를 향해 직진하고, 상기 제1반사층에 의해 빛이 반사되고, 상기 옵틱(Optic)부에 의해 빛이 산란 또는 굴절되어, 투과부를 통해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reflection lay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ssembly is directed toward the rear portion,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on layer, the optical Provided is a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is scattered or refracted by the part, and is extracted through the transmiss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제1반사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조립체로부터 발광된 광은 상기 제1반사층에 반사되어 상기 반투과부로 직진하고, 상기 반투과부는 반사되는 빛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다시 제1반사층에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reflection lay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ssembly is reflected on the first reflection layer to go straight to the transflective portion, the transflective portion a portion of the reflected light Is transmitted, and part is reflected back to the first reflective lay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원 조립체는 제1광원 조립체 및 제2광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렌즈부는 상기 제1광원 조립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제1투과부 및 상기 제2광원 조립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제2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assembly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assembly and a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wherein the inner lens portion i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nsmission porti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ght source assembly. It provides a vehicle lamp comprising a second transmission portion formed in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면서도 깊이감 있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vehicle lamp that can express a sense of depth while reducing the occupying space.
또한, 본 발명은 이너 렌즈부를 투과부와 반투과부로 구분하여, 투과부에서는 반사되는 빛의 전부를 취출시켜 차량 램프의 배광법규를 만족할 수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휘도를 구현하고, 반투과부에서는 일부 투과와 일부 반사를 계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깊이감 있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inner lens portion into a transmissive portion and a semi-transmissive portion, and implements a luminan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o satisfy the light distribution law of the vehicle lamp by extracting all of the reflected light in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partially transmissive and some in the semi-transmissive portion By repeating the reflection continuous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le lamp capable of realizing a sense of depth imag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d는 도 3c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구현한 실사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장착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s 2b to 2d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invention.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A.
3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C.
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4A, and FIG. 4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4A.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implement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Quot;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 RTI ID = 0.0 >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And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n element and other elem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ing the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at the time of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Also, as used herein, the term 'unit' or 'module' refers to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n FPGA or an ASIC, and the term 'unit' or 'module' plays certain roles. However, '~' or 'module'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unit' o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a 'unit' or 'module'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the like.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parts' or 'modul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parts' or 'modules' or additional components and '~ parts' or 'modules' Can be further separated into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결합 사시도이다. 단,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과 제2광원 조립체를 결합한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렌즈부와 제2광원 조립체를 결합한 사시도이다.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s 2b to 2d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invention. 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lens unit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되는 제1광원 조립체(120) 및 제2광원 조립체(130)와, 상기 하우징(110)과 함께 상기 제1광원 조립체(120) 및 제2광원 조립체(130)를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덮는 이너 렌즈부(140)을 포함하고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2A,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상기 이너 렌즈부(140)로부터 방출된 광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151)를 구비한 베즐(Bez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즐의 형상을 통해 차량용 램프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베즐의 유무 및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계속해서 도 2a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10)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구성품, 예를 들면, 제1광원 조립체 및 제2광원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다.2A, first, the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저면은 코팅 또는 증착에 의한 반사층(1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은 리플렉터(reflector)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층(111)은 광이 도달하는 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일정한 곡률은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하우징 측면의 일정 영역에는 제1광원 조립체(120) 및 제2광원 조립체(130)를 수용시, 이들을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체결홈을 포함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원 조립체(120)를 지지하기 위한 제1체결홈(112a, 112b) 및 제2광원 조립체(130)를 지지하기 위한 제2체결홈(113a, 113b)을 포함하고 있다. 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first
이때, 상기 제1체결홈 및 제2체결홈의 위치는 제1광원 조립체(120) 및 제2광원 조립체(130)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1체결홈 및 제2체결홈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can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구조(114a, 114b, 114c)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지지구조가 3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지지구조의 개수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과 제2광원 조립체를 결합한 사시도이다.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comb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내부의 수용공간에 제2광원 조립체(130)을 수용하며, 이때, 제2광원 조립체(130)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하우징의 제2체결홈(113a, 113b)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B, the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광원 조립체(120)도 그 일단 및 타탄이 각각 하우징의 제1체결홈(112a, 112b)에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로 하우징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manner, the first
계속해서,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너 렌즈부(140)는 상기 하우징(110)과 함께 상기 제1광원 조립체(120) 및 제2광원 조립체(130)를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덮어, 광원 조립체들을 보호할 수 있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2A, the
또한, 상기 이너 렌즈부(140)는 제1광원 조립체(120) 및 제2광원 조립체(130)로부터 발광된 광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반투과부(143) 및 투과부(144)로 구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반투과부(143)는 일정 투과율에 따라 광원 조립체로부터 발광된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다시 반사시키는 영역으로, 예를 들면, 광의 1/2은 투과시키고, 1/2은 다시 반사시키는 반반사 거울(Half Mirror)을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투과부(144)는 상기 반투과부와는 달리 광원 조립체로부터 발광된 광의 전부를 투과시키는 영역으로, 다만,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의 전부를 투과시키는 물질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므로, 광의 전부를 투과시킨다함은 이론상의 의미로써, 투과부는 반투과부와의 구분을 위한 용어로 이해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unlike the transflective portion, the
또한, 상기 이너 렌즈부(140)의 측면의 일정 영역에는 제1광원 조립체(120) 및 제2광원 조립체(130)를 수용시, 이들을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체결홈을 포함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광원 조립체(120)를 지지하기 위한 제1체결홈(141a, 141b) 및 제2광원 조립체(130)를 지지하기 위한 제2체결홈(142a, 142b)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ide of the
이때, 상기 제1체결홈 및 제2체결홈의 위치는 제1광원 조립체(120) 및 제2광원 조립체(130)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1체결홈 및 제2체결홈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can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다만, 이너 렌즈부(140)는 상기 하우징(110)과 함께 상기 제1광원 조립체(120) 및 제2광원 조립체(130)를 수용하므로, 상기 이너 렌즈부의 제1체결홈 및 제2체결홈은 각각 상기 하우징의 제1하우징의 제1체결홈 및 제2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the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즉, 하우징과 이너 렌즈부가 각각 제1광원 조립체 및 제2광원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과는 달리, 하우징 측에만 체결홈이 형성되거나, 이너 렌즈부 측에만 체결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unlike shown in Figure 2a, that is, unlike the housing and the inner lens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groove for supporting the first light source assembly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respectively, the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ly on the housing side, or the inn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astening groove only on the lens portion side.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 렌즈부와 제2광원 조립체를 결합한 사시도이다.2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n inner lens unit and a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렌즈부(140)은 내부의 수용공간에 제2광원 조립체(130)을 수용하며, 이때, 제2광원 조립체(130)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이너 렌즈부의 제2체결홈(142a, 142b)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C, the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광원 조립체(120)도 그 일단 및 타탄이 각각 이너 렌즈부의 제1체결홈(141a, 141b)에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로 이너 렌즈부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manner, the first
계속해서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너 렌즈부의 투과부(144)는 제1투과부(144a) 및 제2투과부(144b)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투과부(144a)는 제1광원 조립체(120)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투과부(144b)는 제2광원 조립체(130)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2A, the
구체적으로, 후술할 바와 같이, 운전자 또는 보행자 등이 차량용 램프를 바라보는 면을 전면으로 기준시, 이너 렌즈부의 투과부의 형상은 광원 조립체의 전면 또는 배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driver or a pedestrian or the like faces the front face of the vehicle lamp as the front side, the shape of the transmissive part of the inner lens un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or rear shape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예를 들어, 도 2c에서는 제2광원 조립체(130)의 전면이 제2투과부(144b)와 마주보고 있는데, 이때, 제2투과부(144b)의 형상은 제2광원 조립체(130)의 전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2C,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이때, 광원 조립체의 전면과 배면의 형상은 대부분의 경우,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투과부의 형상이 광원 조립체의 전면 또는 배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것이나, 이와는 달리, 광원 조립체의 전면과 배면의 형상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투과부의 형상을 광원 조립체의 전면과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hape of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can be configured in most cases, the same shape, the shape of the transmission portion will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ront or back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otherwise, the front and rear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When the shapes of the rear surfa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hape of the transmission par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한편, 반투과부(143)은 제1반투과부(143a), 제2반투과부(143b), 제3반투과부(143c)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이너 렌즈부는 상술한 투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반투과부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때, 도면에서는 광원 조립체가 제1광원 조립체 및 제2광원 조립체로 구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고, 따라서, 투과부도 제1투과부 및 제2투과부로 구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광원 조립체는 1 또는 다수개일 수 있으며, 투과부는 상기 광원 조립체의 개수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assembly is shown as being divided into a first light source assembly and a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and therefore, the transmission part is also shown as being divided into a first transmission part and a second transmission part. Or may be a plurality, the transmission unit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다음으로, 도 2d를 참조하면,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결합 사시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하우징(110)과 이너 렌즈부(140)가 체결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제1광원 조립체(120) 및 제2광원 조립체(130)가 수용되고, 또한, 상기 이너렌즈부(140)로부터 방출된 광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151)를 구비한 베즐(Bezel)을 덮어 씌움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즐의 형상을 통해 차량용 램프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ure 2d, Figure 2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한편, 도면에서는 제2광원 조립체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광원 조립체에도 공통될 수 있다.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A. Meanwhile, although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drawing, this may be common to the first light sourc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 조립체(130)는 완만한 곡선형의 형태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띠고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광원 조립체를 완만한 곡선형으로 도시한 것은 미적인 효과를 부각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원 조립체는 직선형이어도 무방하다.Referring to FIG. 3A, the second
구체적으로,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 조립체(130)는 아크릴 또는 PC 계열의 투명한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대략, 상면부와 하면부, 전면부와 배면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띠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광원 조립체의 형상은 직육면체의 형상이 아닌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 조립체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first, the second
이때, 상기 제2광원 조립체의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각각 광원(131a, 131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광원(131a, 131b)은 백열 전구에 비하여 빠른 응답성을 가지며 소형화에 유리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 조립체(130)는 전면부(132a)와 배면부(133a), 좌측면부(132b)와 우측면부(133b)를 포함하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 등이 차량용 램프를 바라보는 면을 전면부로 정의하기로 하며, 상기 전면부를 기준으로,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가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한편, 도 2c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광원 조립체(130)의 전면이 제2투과부(144b)와 마주보고 있는데, 이너 렌즈부의 투과부와 마주보는 면을 광원 조립체의 전면부로 정의할 수 있고, 또한, 제2광원 조립체의 배면이 하우징과 마주보고 있는데, 하우징과 마주보는 면을 광원 조립체의 배면부로 정의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C,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계속해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2광원 조립체(130)는 우측면부(133b)의 상부에 반사층(134)을 포함하고 있다.상기 반사층(134)은 상기 광원(131a, 131b)으로부터 발광된 광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원발명의 제2광원 조립체는 전면부(132a) 및 좌측면부(132b)를 통해 광이 취출되고, 배면부(133a) 및 우측면부(133b) 방향으로는 광이 취출되지 않는데, 이때, 우측면부(133b)에서는 상기 반사층(134)에 의해 광이 차단되고, 배면부(133a)에서는 하우징(110)의 저면에 형성된 반사층(111)에 의해 광이 차단되어, 배면부(133a) 및 우측면부(133b) 방향으로는 광이 취출되지 않는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3B, the second
또한, 상기 제2광원 조립체(130)는 배면부에 옵틱(Optic)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틱(Optic)부는 상기 제2광원 조립체의 전면부(132a)로 취출되는 광의 양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제2광원 조립체의 후면부에 요철형상을 갖도록 대략 반구형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옵틱부의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econd
이때, 상기 옵틱부(135)는 용제성 잉크를 인쇄하여 광원 조립체의 수지 표면을 녹이거나, 자외선 경화 수지를 인쇄하여 경화시키거나, 직접 표면을 기계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금형 표면에 옵틱부 패턴을 가공한 후 프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도 3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d는 도 3c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 조립체는 후술할 바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 조립체와 동일할 수 있다. 3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C. Meanwhile,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same as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 조립체(160)는 완만한 곡선형의 형태를 갖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띠고 있다. Referring to FIG. 3C, the second
즉,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광원 조립체의 형상은 직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으며, 또한, 이와는 달리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 조립체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at is,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may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n addition, may be a cylindrical shape, and thus, the shape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ing.
이때, 상기 제2광원 조립체의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각각 광원(161a, 161b)을 포함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광원 조립체(160)는 전면부(162a)와 배면부(163a), 좌측면부(162b)와 우측면부(163b)를 포함하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 등이 차량용 램프를 바라보는 면을 전면부로 정의하기로 하며, 상기 전면부를 기준으로,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가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계속해서,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제2광원 조립체(160)는 우측면부(163b)의 상부에 반사층(164)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제2광원 조립체(160)는 배면부에 옵틱(Optic)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3D, the seco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조립체는 전면부,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용어는 광원 조립체의 형상을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들 용어의 의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 sourc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a back portion, a left side portion and a right side portion. However,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efine the shape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and are not limited to the meaning of these terms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원 조립체에서는 전면부 및 좌측면부를 통해 광이 취출되고, 배면부 및 우측면부 방향으로는 광이 취출되지 않으며, 또한, 이너 렌즈부의 투과부와 마주보는 면을 광원 조립체의 전면부로, 하우징과 마주보는 면을 광원 조립체의 배면부로 정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light sourc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light is taken out through the front part and the left side part, and no light is taken out in the rear part and the right side part direction, and the light source faces the transmissive part of the inner lens part. With the front part of the assembly, the side facing the housing can be defined as the back part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따라서, 본 발명의 광원 조립체는 제1출사면 및 제2출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1비출사면 및 제2비출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light sourc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mission surface and a second emission surface, and may include a first non-emission surface and a second non-emission surface.
이때, 상기 제1출사면을 이너 렌즈부의 투과부와 마주보는 면인 전면부라 정의하고, 제1비출사면을 하우징과 마주보는 면인 배면부라 정의한다면, 상기 제1출사면의 일측에 위치하는 면을 제2출사면, 상기 제1출사면의 타측에 위치하는 면을 제2비출사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first exit surface is defined as a front part that faces the transmissive part of the inner lens part, and the first non-outgoing surface is defined as the rear part that is a face that faces the housing, the surfac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exit surface is a second part. An exit surface and a surface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xit surface may be defined as a second non-emission surface.
따라서, 광원 조립체의 형상에 무관하게,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조립체는 이너 렌즈부의 투과부와 마주보는 제1출사면, 하우징과 마주보는 제1비출사면, 상기 제1출사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출사면 및 상기 제1출사면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비출사면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비출사면은 옵틱부를 포함하고, 제2비출사면의 상부에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irrespective of the shape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the light sourc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exit surface facing the transmissive portion of the inner lens portion, a first non-emission surface facing the housing, and a second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exit surface. An emission surface and a second non-emission surface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mission surface, wherein the first non-emission surface may include an optical portion, and may include a reflective layer on the second non-emission surface.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한편, 도 4a는 도 2d와는 달리, 베즐을 제외하였다.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4A, and FIG. 4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4A. Meanwhile, unlike FIG. 2D, FIG. 4A excludes the bezel.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하우징(110)과 이너 렌즈부(140)가 체결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제1광원 조립체(120) 및 제2광원 조립체(130)가 수용되어 있다.4A to 4C, the
다음으로, 도 4b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이너 렌즈부의 투과부를 통해 광이 취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ure 4b,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light through the transmission portion of the inner lens portion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 렌즈부(140)의 투과부는 광원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이때, 도 4b는 제2광원 조립체(130)가 형성된 위치를 따른 단면이므로, 도 4b에 도시된 이너 렌즈부(140)는 대부분 제2투과부(144b)에 해당하고, 일부만이 제3반투과부(143c)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ve part of the
도 4b를 참조하면, 제2광원 조립체(130)의 광원(131b)으로부터 광이 발광하면, 광은 제2광원 조립체의 전면부 및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등 향해 직진성을 띠며 조사된다.Referring to FIG. 4B, when light is emitted from the
이 중, 일부는 이너 렌즈부(140)를 향해 직접 직진하여 제2투과부(144b)를 통해 취출될 수 있고, 일부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광원 조립체의 배면부를 향해 직진할 수 있다.Among these, some may go straight toward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광원 조립체의 배면부에는 옵틱(Optic)부(135)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배면부는 이너 렌즈부(110)와 마주보고 있어, 상기 이너 렌즈부의 반사층(도 2a의 111)에 의해 빛이 반사되고, 상기 옵틱(Optic)부(135)에 의해 빛이 산란 또는 굴절되어, 이너 렌즈부를 향해 직진하여 제2투과부(144b)를 통해 취출(a, b, c)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includes an
다만, 도면에는 제2광원 조립체(130)와 마주보는 제2투과부(144b)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광이 취출하는 과정은 제1광원 조립체(120)와 마주보는 제1투과부(144a)에서도 동일하다.However, in the drawings, the
다음으로, 도 4c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이너 렌즈부의 반투과부를 통해 광이 취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process of extracting light through the transflective portion of the inner lens portion of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Figure 4c as follows.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광원 조립체(130)의 배면부에는 옵틱(Optic)부(135)를 포함하고 있어, 이너 렌즈부의 반사층에 의해 빛이 반사되고, 상기 옵틱(Optic)부(135)에 의해 빛이 산란 또는 굴절되어, 이너 렌즈부를 향해 직진하여 제2투과부(144b)를 통해 취출(a, b, c)됨은 설명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또한, 제1광원 조립체(120)의 배면부에도 옵틱(Optic)부(125)를 포함하고 있어, 이너 렌즈부의 반사층에 의해 빛이 반사되고, 상기 옵틱(Optic)부(125)에 의해 빛이 산란 또는 굴절되어, 이너 렌즈부를 향해 직진하여 제1투과부(144a)를 통해 취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ck of the first
계속해서, 도 4c를 참조하면, 도면상 Z축 방향으로 제2광원 조립체(130)로부터 광이 발광하면, 광은 제2광원 조립체의 전면부 및 배면부,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등 향해 직진성을 띠며 조사된다.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4C, when light is emitted from the second
이 중, 일부는 제2광원 조립체(130)의 좌측면부를 통해 취출될 수 있고, 일부는 도 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광원 조립체의 우측면부의 반사층(134)에서 반사되어 다시 좌측면부를 통해 취출(d)될 수 있다. Among these, some may be extracted through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second
상기 좌측면부를 통해 취출된 광은 하우징(110)의 반사층(111)을 통해 제2반투과부(143b)를 향해 직진(e)한다.The light extracted through the left surface portion is straight (e) toward the
이때, 상기 제2반투과부(143b)는 반사되는 빛(e)을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다시 반사시키므로, 결국, 하우징의 반사층을 통해 제2반투과부(143b)로 반사된 빛(e)은 일부는 제2반투과부(143b)를 통해 투과(e1)되고, 일부는 다시 하우징의 반사층을 향해 반사(e2)된다. 이때, 제2반투과부를 반반사 거울(Half Mirror)로 구성하는 경우, 광의 1/2은 투과시키고, 1/2은 반사시키게 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또한, 하우징의 반사층을 향해 반사된 빛(e2)은 다시 제2반투과부(143b)를 향해 직진(f)하며, 이는 일부는 제2반투과부(143b)를 통해 투과(f1)되고, 일부는 다시 하우징의 반사층을 향해 반사(f2)된다. In addition, the light e2 reflected toward the reflective layer of the housing again goes straight toward the second
또한, 하우징의 반사층을 향해 반사된 빛(f2)은 다시 제2반투과부(143b)를 향해 직진(g)하며, 이는 일부는 제2반투과부(143b)를 통해 투과(g1)되고, 일부는 다시 하우징의 반사층을 향해 반사(g2)된다. In addition, the light f2 reflected toward the reflective layer of the housing again goes straight toward the second
즉, 반투과부에서는 일부 투과와 일부 반사를 계속적으로 반복, 즉, 반투과부로 반사된 빛은 일부는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며, 이때, 일부 투과된 빛은 이미지로 나타나며, 일부 반사된 빛은 다음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다시 하우징의 반사층을 통해 반투과부로 반사하여, 다시 일부 투과와 일부 반사를 계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That is, in the transflective portion, some transmissions and some reflections are continuously repeated, i.e., the light reflected by the transflective portion is partially transmitted and partially reflected, where some transmitted light is represented as an image, and some reflected light is The reflection is reflected back through the reflective layer of the housing to the transflective portion to form the next image, again repeating some transmission and some reflection.
결국, 이러한 일부 투과와 일부 반사의 계속적인 반복으로, 일부 투과된 빛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는 점점 작아짐으로써, 이미지로 인한 깊이감을 형성하게 된다.As a result, with this continuous transmission of some transmissions and some reflections, the image formed by the partially transmitted light becomes smaller, thereby forming a sense of depth due to the image.
한편, 도면에서는 제2광원 조립체(130)와 제2반투과부(143b)에 의한 일부 투과와 일부 반사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제1광원 조립체(120)와 제1반투과부(143a)에서도 마찬가지이다.Meanwhile, in the drawing, some transmission and partial reflection by the secon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이너 렌즈부를 투과부와 반투과부로 구분하여, 투과부에서는 반사되는 빛의 전부를 취출시켜 차량 램프의 배광법규를 만족할 수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휘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반투과부에서는 일부 투과와 일부 반사를 계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깊이감 있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ivide the inner lens portion into a transmissive portion and a semi-transmissive portion, and may implement a luminan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o satisfy the light distribution law of the vehicle lamp by extracting all of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transmissive portion. By repeating some transmissions and some reflections continuously,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ense of depth imag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구현한 실사진이다.5 is a photograph showing an implement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반투과부에서의 일부 투과와 일부 반사를 반복함으로써, 상술한 제1광원 조립체 및 제2광원 조립체의 형상과 같은 이미지가 점점 작아지면서 반복적으로 구현되어, 이미지로 인한 깊이감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by repeating some transmissions and some reflections in the transflective portion, an image, such as the shape of the first light source assembly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is repeatedly made smaller and smaller, resulting in a sense of depth due to the image. It can be seen that formed.
또한, 투과부에서는 반사되는 빛의 전부를 취출시킴으로써, 차량 램프의 배광법규를 만족할 수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휘도를 구현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by transmitting all of the reflected light in the transmission unit, the luminan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hat can satisfy the light distribution law of the vehicle lamp.
즉, 본 발명에서의 이너 렌즈부는 투과부와 반투과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투과부에서는 반사되는 빛의 전부를 투과시켜 배광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고, 상기 반투과부에서는 일부 투과와 일부 반사를 반복하여 이미지로 인한 깊이감을 형성함으로써, 배광법규를 만족함과 동시에 깊이감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inner lens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ve part and a semi-transmissive part, and the transmissive part can satisfy the light distribution law by transmitting all of the reflected light, and the semi-transmissive part repeatedly transmits and partially reflects the image. By forming a sense of depth due t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le lamp that can satisfy the light distribution law and at the same time implement a sense of depth.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장착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이다.6A and 6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300)은 후방에 위치한 차량에게 차량(300)의 주행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차량의 후방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310)가 설치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6A, the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300)은 후방에 위치한 차량에게 차량(300)의 주행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차량의 후방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310)가 설치되는 것 이외에도, 차량의 측면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320)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b, th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형성되는 이미지가 제1광원 조립체 및 제2광원 조립체의 형상과 같은 이미지로 가로로 길게 형성되므로, 이를 차량의 측면에 적용시, 미적인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long horizontally as the image is formed in the same image as the shape of the first light source assembly and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when applied to the side of the vehicle, it can further maximize the aesthetic effect. .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용도 및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 개수 및 크기 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However, the vehicle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in position, number, size, etc. installed according to the use and need.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차량용 램프 110 : 하우징
120 : 제1광원 조립체 130 : 제2광원 조립체
140 : 이너 렌즈부 114a, 114b, 114c : 지지구조
112a, 112b : 제1체결홈 113a, 113b : 제2체결홈
143 : 반투과부 144 : 투과부100: vehicle lamp 110: housing
120: first light source assembly 130: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140:
112a, 112b:
143: transflective part 144: transmissive part
Claims (16)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광원 조립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광원 조립체를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덮는 이너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렌즈부는 상기 광원 조립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투과부 및 상기 투과부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 반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반사층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 조립체로부터 발광된 광은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반투과부로 진행하며,
상기 반투과부로 진행하는 광의 일부는 투과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반사층으로 다시 반사되는 차량용 램프.A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having one side opened;
A light source assembly received in the housing;
An inner lens part accommodating the light source assembly together with the housing and covering the opening of the housing;
The inner lens part includes a transmissive part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 assembly and a transflective part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the transmissive part,
A refl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ssembly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layer and proceeds to the transflective portion,
Part of the light traveling to the transflective part is transmitted and the other part is reflected back to the reflective layer.
상기 하우징 측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1,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housing side, the vehicle lamp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groove for supporting the light source assembly.
상기 이너 렌즈부의 측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1,
Vehicle lamps loc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ide of the inner lens unit, the fastening groove for supporting the light source assembly.
상기 광원 조립체는,
상기 이너 렌즈부의 투과부와 마주보는 제1출사면;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는 제1비출사면;
상기 제1출사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출사면; 및
상기 제1출사면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비출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source assembly includes:
A first exit surface facing the transmission part of the inner lens part;
A first non-projection surface facing the housing;
A second exit surfac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first exit surface; And
Vehicle ramp comprising a second non-emitting surface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xit surface.
상기 투과부의 형상은 상기 광원 조립체의 제1출사면 또는 상기 광원 조립체의 제1비출사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hape of the transmission portion is a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exit surface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or the first non-emitting surface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상기 제1비출사면은 옵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비출사면의 상부에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non-emission surface includes an optica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further comprises a reflective layer on top of the second emission surface.
상기 광원 조립체는 곡선형태를 갖는 직육면체의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source assembly is a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shape or cylindrical shape having a curved shape.
상기 광원 조립체는 상면부와 하면부, 전면부와 배면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 조립체의 전면부는 상기 투과부와 마주보고, 상기 광원 조립체의 배면부는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source assembly includes an upper surface portion and a lower surface portion,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a left side portion and a right side portion, wherein the front portion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faces the transmissive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light source assembly faces the housing. Car lamps.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에 각각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9,
Vehicle lamp including a light source i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상기 배면부는 옵틱(Optic)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면부의 상부에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9,
The rear part includes an optical part, and the vehicle lamp further comprises a reflective layer on the upper right side part.
상기 광원 조립체로부터 발광된 광은 상기 배면부를 향해 직진하고, 상기 반사층에 의해 빛이 반사되고, 상기 옵틱(Optic)부에 의해 빛이 산란 또는 굴절되어, 투과부를 통해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11,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ssembly is directed toward the rear portion,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layer, the light is scattered or refracted by the optical (Optic), the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extracte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
상기 이너 렌즈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구비한 베즐(Bezel)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1,
And a bezel having an opening to emit light emitted from the inner lens unit to the outside.
상기 광원 조립체는 제1광원 조립체 및 제2광원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렌즈부는 상기 제1광원 조립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제1투과부 및 상기 제2광원 조립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제2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source assembly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assembly and a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wherein the inner lens part includes a first transmission part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ght source assembly and a second transmission part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ght source assembly. Vehicle lamp comprising a.
상기 반투과부는 반반사 거울(Half Mirr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lective part is a vehicl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f reflection (Half Mirr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8820A KR101232302B1 (en) | 2010-12-16 | 2010-12-16 | Lamp for a Mot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8820A KR101232302B1 (en) | 2010-12-16 | 2010-12-16 | Lamp for a Mot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7435A KR20120067435A (en) | 2012-06-26 |
KR101232302B1 true KR101232302B1 (en) | 2013-02-13 |
Family
ID=4668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8820A KR101232302B1 (en) | 2010-12-16 | 2010-12-16 | Lamp for a Mot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230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1861B1 (en) | 2014-03-14 | 2014-10-16 | 에스엘 주식회사 | Lamp for vehicle |
KR20150107332A (en) * | 2014-03-14 | 2015-09-23 | 에스엘 주식회사 | Lamp for vehicle |
KR102076543B1 (en) | 2018-08-07 | 2020-02-12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otive headlamps with adjustable light distribu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58979B2 (en) * | 2012-12-14 | 2016-10-04 | Sl Corporation | Signal lamp for vehicle having a light guide and mirror housing and lamp housing with reflection unit and support unit |
KR101876096B1 (en) * | 2016-12-16 | 2018-07-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ens integral type side repeater |
JP6829390B2 (en) * | 2017-03-30 | 2021-02-10 |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 Vehicle lighting |
KR102376090B1 (en) * | 2017-04-21 | 2022-03-1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Light apparatus |
EP3845801A4 (en) * | 2018-08-28 | 2022-03-23 | ZKW Group GmbH | Vehicular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
CN111473299A (en) * | 2019-01-23 | 2020-07-31 | 嘉兴海拉灯具有限公司 | Optical system for car lamp and car lamp |
CN110006004A (en) * | 2019-04-15 | 2019-07-12 |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 Vehicle lamp assembly, car light and automobi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8620Y1 (en) * | 2002-12-06 | 2003-03-26 | 사종엽 | Lamp for vehicle |
KR200314346Y1 (en) * | 2003-02-20 | 2003-05-23 | 김선곤 | A Decorative Room lamp |
JP2009093877A (en) * | 2007-10-05 | 2009-04-30 | Honda Motor Co Ltd | Lamp arrangement structure of vehicle |
-
2010
- 2010-12-16 KR KR1020100128820A patent/KR10123230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8620Y1 (en) * | 2002-12-06 | 2003-03-26 | 사종엽 | Lamp for vehicle |
KR200314346Y1 (en) * | 2003-02-20 | 2003-05-23 | 김선곤 | A Decorative Room lamp |
JP2009093877A (en) * | 2007-10-05 | 2009-04-30 | Honda Motor Co Ltd | Lamp arrangement structure of vehicl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1861B1 (en) | 2014-03-14 | 2014-10-16 | 에스엘 주식회사 | Lamp for vehicle |
KR20150107332A (en) * | 2014-03-14 | 2015-09-23 | 에스엘 주식회사 | Lamp for vehicle |
US9428104B2 (en) | 2014-03-14 | 2016-08-30 | Sl Corporation | Lamp for vehicle |
DE102015204348B4 (en) | 2014-03-14 | 2019-05-09 | Sl Corp. | Lamp for a vehicle |
KR102145189B1 (en) * | 2014-03-14 | 2020-08-19 | 에스엘 주식회사 | Lamp for vehicle |
KR102076543B1 (en) | 2018-08-07 | 2020-02-12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otive headlamps with adjustable light distribu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7435A (en) | 2012-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2302B1 (en) | Lamp for a Motor vehicle | |
US11054105B2 (en) | Lamp and vehicle having same | |
EP2990720B1 (en) | Vehicle lighting unit | |
US8820990B2 (en) | Vehicle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element for a vehicle lamp | |
KR102565730B1 (en) | Motor vehicle lighting device | |
US20100254152A1 (en) | Dual-direction light pipe for automotive lighting | |
CN104903642A (en) | Multifunction lightguide tailight article | |
JP7081977B2 (en) | Vehicle lighting | |
CN108291705B (en) | Lamp assembly and vehicle design element comprising such a lamp assembly | |
CN102889535A (en) | Lamp assembly | |
CN111332191B (en) | Vehicle winglet with sequential flashing signal lamp | |
JP4735852B2 (en) | Vehicle headlamp | |
CN106066020A (en) | Auto lamp | |
JP2021002449A (en) | Vehicular lighting fixture | |
CN105473383B (en) | The lighting system containing the light-emitting component biased with light source of motor vehicles illuminating member | |
JP2011044394A (en) | Light guide body used for lighting fixture for vehicle | |
CN105473935A (en) | Lighting system,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lighting member, comprising integrated LEDs | |
JP2006164909A (en) | Daytime running lamp | |
US20170211773A1 (en) | Ligh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 |
JP2015008111A (en) | Composite lamp unit using linear light guide body, and vehicular lighting device | |
US10422502B2 (en) | Motor vehicle lamp and motor vehicle | |
CN108302495A (en) | Lamps apparatus for vehicle and the outer rear-view mirror device of car body | |
KR101791127B1 (en) | Lamp for vehicle | |
KR200483959Y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546800B1 (en) | Lamp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