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31807B1 - 유량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유량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807B1
KR101231807B1 KR1020077011222A KR20077011222A KR101231807B1 KR 101231807 B1 KR101231807 B1 KR 101231807B1 KR 1020077011222 A KR1020077011222 A KR 1020077011222A KR 20077011222 A KR20077011222 A KR 20077011222A KR 101231807 B1 KR101231807 B1 KR 10123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le
housing
knob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316A (ko
Inventor
마사히로 하스누마
Original Assignee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4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48Attaching valve members to screw-spindles
    • F16K1/482Attaching valve members to screw-spindles with a collar on the spindle or a groove in the spindle, by which a fixing element is supported, the spindle reaching into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구멍(13)이 형성된 하우징(11)과, 이 하우징 안의 밸브시트(16)에 대하여 이동하는 니들밸브(60)와, 하우징으로부터 뻗은 니들밸브의 기단에 설치된 유량조절 손잡이(40)를 구비하고, 유량조절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니들밸브를 밸브시트에 대하여 이동시켜, 이에 의해 밸브구멍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유량조절 손잡이가 회전하는 것을 고정하는 손잡이 고정수단(35)을 구비하는 유량조절밸브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 등의 부주의에 의해 유량이 변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과 니들밸브 사이의 밀봉상태를 조절하는 밀봉조절수단(20)을 구비하고, 밀봉조절수단이 하우징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어, 고정핀(15)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유량조절, 밸브

Description

유량조절밸브{FLOW CONTROL VALVE}
본 발명은 밸브시트에 대하여 니들밸브(needle valve)를 이동시킴으로써 유량을 조절하도록 한 유량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여러 분야에서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11-230407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량조절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량조절밸브는, 밸브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 안의 밸브시트에 대하여 이동하는 니들밸브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뻗은 상기 니들밸브의 기단(基端)에 설치된 유량조절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니들밸브 사이의 밀봉상태를 조절하는 밀봉 너트와, 상기 하우징을 패널에 고정하는 패널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니들밸브를 상기 밸브시트에 대하여 이동시켜, 이에 의해 상기 밸브구멍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량조절밸브가 반도체 제조장치의 구성부품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경우, 유량조절밸브는 반도체 제조장치의 조작패널, 또는 반도체 제조장치의 하우징 등에 설치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일반적인 유량조절밸브를 패널에 설치하는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절밸브(100)를 패널(700)에 설치할 때에는, 유량조절 손잡이(400), 밀봉너트(900), 패 널너트(300)를 차례로 떼어내고(도 4a), 패널(700)에 미리 형성된 구멍(750)에 니들밸브(600)의 기단으로부터 하우징(110)의 연장부(210)를 삽입한다(도 4b). 이어서, 패널너트(300)를 연장부(210)에 설치하고, 유량조절밸브(100)를 고정한다. 그 후, 밀봉너트(900), 유량조절 손잡이(400)를 다시 설치하고, 유량조절밸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도 4c).
하지만, 유량조절밸브(100)가 패널(700)에 설치된 후에는 유량조절 손잡이(400)가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부주의 등에 의해 유량조절밸브(100)의 손잡이(400)에 접촉하여, 이에 의해 일단 설정된 유량조절밸브(100)의 유량이 변동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유량조절밸브(100)의 손잡이(400)가 부주의 등에 의해 회전될 때에는, 유량이 변동될 뿐만 아니라, 손잡이(400)와 함께 니들밸브(600)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 니들밸브(600)와 하우징(110) 사이의 마모에 의해 먼지(particle) 등이 발생하여 유체에 혼입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니들밸브(600)가 밸브시트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니들밸브(600)와 밸브시트 사이의 마모에 의해 발생된 먼지도 유체에 혼입된다.
더구나,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유량제어밸브를 패널(700)에 설치할 때에는, 사용자는 밀봉너트(900)를 일단 떼어낸다. 밀봉너트(900)는 유량조절밸브의 밀봉상태를 설정하는 부품이기 때문에, 밀봉너트(900)를 떼어내 버리면, 유량조절밸브의 출하시에 밀봉상태가 유지되지 않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 등의 부주의에 의해 유량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번째 태양에 따르면, 밸브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안의 밸브시트에 대하여 이동하는 니들밸브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뻗은 상기 니들밸브의 기단에 설치된 유량조절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니들밸브를 상기 밸브시트에 대하여 이동시켜, 그에 의해 상기 밸브구멍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가 회전하는 것을 고정시키는 손잡이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유량조절밸브가 제공된다.
즉, 첫번째 태양에서는, 유량조절 손잡이를 조작할 때, 손잡이 고정수단에 의해 유량조절 손잡이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 등이 부주의에 의해 유량조절 손잡이에 접촉했을 때, 유량조절밸브의 유량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 고정수단으로서 잠금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번째 태양에 따르면, 첫번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 고정수단의 치수는 적어도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의 치수보다 크게 하였다.
즉, 두번째 태양에서는, 사용자가 한 쪽 손으로 유량조절 손잡이 및 손잡이 고정수단 모두를 잡고, 사용자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손잡이 고정수단을 느슨하게 한 후에 유량조절 손잡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유량조절밸브의 유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세번째 태양에 따르면, 첫번째 또는 두번째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니들밸브 사이의 밀봉상태를 조절하는 밀봉조절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밀봉조절수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어, 고정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즉, 세번째 태양에서는, 밀봉조절수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밀봉상태의 초기값이 사용시에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핀은 예를 들어, 스프링롤 핀이다.
네번째 태양에 따르면, 밸브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안의 밸브시트에 대하여 이동하는 니들밸브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뻗은 상기 니들밸브의 기단에 설치된 유량조절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니들밸브를 상기 밸브시트에 대하여 이동시켜, 이에 의해 상기 밸브구멍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상기 니들밸브가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에 연결되는 제1 부분과 상기 밸브시트에 걸어맞추어지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 부분의 회전이 상기 제2 부분에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연결되어 있는 유량조절밸브가 제공된다.
즉, 네번째 태양에서는, 유량조절 손잡이를 회전시켜 유량을 조절할 때, 니들밸브의 제2 부분이 하우징의 내벽과 접촉하여 마모에 의해 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유량조절밸브가 닫힘밸브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니들밸브의 선단과 밸브구멍 사이에서 먼지가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다섯번째 태양에 따르면, 네번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니들밸브의 상기 제1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나사산부와 상기 밸브구멍 사이에서 상기 니들밸브 주위에 설치된 밀봉부재를 구비한다.
즉, 다섯번째 태양에서는 니들밸브의 나사산부가 마모하여 먼지가 발생하였다고 해도, 밀봉부재가 존재하기 때문에 나사산부에서 발생한 먼지가 유체에 혼입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여섯번째 태양에 따르면, 밸브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안의 밸브시트에 대하여 이동하는 니들밸브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뻗은 상기 니들밸브의 기단에 설치된 유량조절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니들밸브를 상기 밸브시트에 대하여 이동시켜, 이에 의해 상기 밸브구멍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의 둘레면으로부터 뻗은 슬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슬리브가 상기 밀봉조절수단 둘레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유량조절밸브가 제공된다.
즉, 여섯번째 태양에 있어서는, 슬리브에 의해 밀봉조절수단이 피복되기 때문에, 사용자 등이 부주의에 의해 밀봉조절수단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첫번째부터 다섯번째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등의 부주의에 의해 유량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공통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두번째 태양에 따르면, 유량조절밸브의 유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세번째 태양에 따르면, 제조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밀봉상태의 초기값이 패널 설치시에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네번째 태양에 따르면, 니들밸브의 제2 부분이 하우징의 내벽과 접촉하여 마모에 의해 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다섯번째 태양에 따르면, 나사산부에서 발생한 먼지가 유체에 혼입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여섯번째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등이 부주의에 의해 밀봉조절수단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첨부하는 도면에 나타내어진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및 이점,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근거한 유량조절밸브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근거한 유량조절밸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내어진 니들밸브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첫번째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에 나타내어진 니들밸브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두번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근거한 유량조절밸브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근거한 유량조절밸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4a는 일반적인 유량조절밸브를 패널에 설치하는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첫번째 도면이다.
도 4b는 일반적인 유량조절밸브를 패널에 설치하는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두번째 도면이다.
도 4c는 일반적인 유량조절밸브를 패널에 설치하는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세번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10': 유량조절밸브 11: 하우징의 아래쪽 부분
12: 아래쪽 슬리브 13: 밸브구멍
14: 축구멍 14a: 경사부
15: 스프링롤 핀 16: 밸브시트
18: 유입구 19: 유출구
20: 하우징의 위쪽 부분 21: 연장부
22: 위쪽 슬리브 30: 패널너트
35: 잠금너트 40: 유량조절 손잡이
41: 고정나사 43: 슬리브
45: 조정너트 46: 나사산부
60: 니들밸브 62: 폭확장부
64: 제1 부분 65: 제2 부분
66: 밸브 앞부분 67: 밸브체
71,72: 패킹 73,74: 구멍
75: 돌출부 83: 단차부
84: 연장부 85: 오목부
90: 밀봉너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의 도면에서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이 도면들은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였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근거한 유량조절밸브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근거한 유량조절밸브의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량조절밸브(10)의 하우징은, 아래쪽 부분(11)과 위쪽 부분(2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의 아래쪽 부분(11)에는 유입구(18)와 유출구(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입구(18) 및 유출구(19)는 후술하는 밸브구멍(13) 및 축구멍(14)을 통하여 아래쪽 부분(11) 안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1b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하우징의 아래쪽 부분(11)에는 상기 아래쪽 부분(11)보다 폭이 좁은 아래쪽 슬리브(1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의 위쪽 부분(20)에는 아래쪽 슬리브(12)에 걸어맞추어지는 위쪽 슬리브(2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 슬리브(12)의 바깥면과 위쪽 슬리브(22)의 안쪽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부에 의해, 하우징의 위쪽 부분(20)은 아래쪽 부분(1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위쪽 부분(20)은 고정 핀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프링롤 핀(15)에 의해, 아래쪽 부분(11)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롤 핀(15)은 위쪽 부분(20)의 위쪽 슬리브(22)와 아랫쪽 부분(11)의 아래쪽 슬리브(12)를 연결하고 있으며, 통상 스프링롤 핀(15)은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아래쪽 부분(11)과 위쪽 부분(20)이 일단 조립되면, 니들밸브(60)의 대부분이 삽입되는 공통된 축구멍(14)이 하우징 안에 형성되게 된다. 한편, 스프링롤 핀(15) 이외의 수단에 의해 위쪽 부분(20)과 아래쪽 부분(11)을 고정하여도 된다.
한편,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어지는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위쪽 부분(20)은, 위쪽 부분(20)와 니들밸브(60) 사이의 밀봉상태를 조절하는 밀봉조절부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상은 스프링롤 핀(15)에 의해 위쪽 부분(20)이 아래쪽 부분(11)에 고정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조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밀봉상태의 초기값이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자 등이 하우징의 위쪽 부분(20)에 접촉하였더라도, 위쪽 부분(20)와 니들밸브(60) 사이의 밀봉상태가 변하지 않는다. 특히,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유량조절밸브(100)를 패널에 설치할 때에는, 밀봉너트를 떼어내기 때문에 밀봉상태의 초기값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패널설치시에도 밀봉조절부재로서의 위쪽 부분(20)을 떼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밀봉상태가 변동되지 않는다.
위쪽 부분(20)보다 폭이 좁은 통형상 연장부(21)가 하우징의 위쪽 부분(20)으로부터 뻗어 있다. 더구나,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니들밸브(60)가 연장부(21)의 위쪽으로부터 뻗어 있다. 연장부(21)의 바깥면에는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패널너트(30)가 연장부(21)의 나사산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패널너트(30)는 유량조절밸브(10)를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통상 연장부(21)의 길이는, 패널 두께와 패널 너트(30) 두께의 합계보다 크다.
또한,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들밸브(60)의 기단에는 유량조절 손잡이(40)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조절 손잡이(40)에 형성된 구멍에 니들밸브의 기단을 삽입하고, 고정핀(41)에 의해 유량조절 손잡이(40)를 니들밸브(60)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조절 손잡이(40)와 패널너트(30) 사이에는 후술하는 잠금너트(35)가 나사산부(6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잠금너트(35)의 치수는 유량조절 손잡이(40) 및 패널너트(30)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더구나, 사용자가 유량조절 손잡이(40), 잠금너트(35), 패널너트(30) 각각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유량조절 손잡이(40), 잠금너트(35), 패널너트(30)의 각 둘레면에는 널링(knurlin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들밸브(60)는 유량조절 손잡이(40)에 고정되는 제1 부분(64)과, 밸브체(67)를 포함하는 제2 부분(6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부분(64)은 제2 부분(65)과 연결되는 폭확장부(62)를 포함하고 있으며, 폭확장부(62)의 둘레면에는 나사산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나사산부(63)는 위쪽 부분(20)의 연장부(21) 안쪽면에 형성된 나사산부에 나사결합 되어 있다. 이 나사산부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유량조절 손잡이(40)를 회전시킴으로써 니들밸브(60)가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하우징의 아래쪽 부분(11)에는, 유입구(18)에 연결되는 폭이 좁은 밸브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밸브구멍(13)은 축구멍(14)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으며, 축구멍(14)과 밸브구멍(13) 사이에는 밸브시트(1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밸브 앞부분(66)이 제2 부분(65)의 밸브체(67)로부터 뻗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유량조절밸브(10)는 닫힘밸브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2 부분(65)의 밸브체(67)가 밸브시트(16)에 맞닿고, 제2 부분(65)의 밸브 앞부분(66)이 밸브구멍(13) 안에 삽입된 상태에 있다. 한편, 유량조절 손잡이(40)를 회전시킴으로써, 유량조절 손잡이(40)가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지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유량조절밸브(10)가 열림밸브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확장부(62)의 아래쪽에서는, 대략 원추대 형상의 제1 패킹(71)이 제2 부분(65) 둘레에서 축구멍(14)의 경사부(14a)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한, 아래쪽 부분(11)과 위쪽 부분(20) 사이에 뻗은 플랜지를 가지는 제2 패킹(72)이 제1 패킹(71)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패킹(71) 및 제2 패킹(72)들은 단일 부재이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나사(35)는 니들밸브(60)의 제1 부분(64)의 나사산부(6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잠금나사(35)는 유량조절 손잡이(40)가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잠금나사(35)는 하우징의 위쪽 부분(20)의 연장부(21)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유량조절 손잡이(4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이 때에는 사용자 등이 유량조절 손잡이(40)에 접촉하였더라도 유량조절 손잡이(40)가 회전하지 않으며, 따라서 유량조절밸브(10)의 유량이 변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잠금너트(35)를 느슨하게 하여 잠금너트(35)와 연장부(21) 사이에 소정 양 이상의 간격이 형성되면, 유량조절 손잡이(40)의 회전이 허가되어, 이에 의해 유량조절밸브(10)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유량조절밸브(10)를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설치할 때에는, 도 4와 대체로 같은 순서로, 유량조절 손잡이(40), 잠금너트(35) 및 패널너트(30)를 차례로 떼어낸다. 이어서, 하우징의 연장부(21)를 도시하지 않은 패널의 구멍에 삽입한다. 패널의 구멍은 연장부(21)의 치수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패널은 위쪽 부분(20)의 바로 앞에서 정지한다. 이어서, 패널너트(30)를 연장부(21)에 나사결합하여, 유량조절밸브(10)를 패널에 고정한다. 그 후, 잠금너트(35) 및 유량조절 손잡이(40)를 다시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의 위쪽 부분(20)이 밀봉조절부재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게다가 유량조절밸브(10)의 설치시에는 위쪽 부분(20)을 떼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니들밸브(60)와 하우징 사이의 밀봉상태를 출하시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근거한 유량조절밸브(10)의 사용시에는, 잠금너트(35)를 느슨하게 하여 잠금너트(35)와 위쪽 부분(20) 연장부(21)의 사이에 소정 양의 간격을 형성한 후, 유량조절 손잡이(4)를 회전시켜 니들밸브(60)를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유입구(18)로부터 유입한 유체가, 밸브구멍(13) 및 축구멍(14)을 통과하여 유출구(19)로부터 유출하게 된다.
유량조절밸브(10)의 유출구(19)로부터 원하는 양의 유체가 유출되고 있을 때, 잠금너트(35)를 위쪽 부분(20)의 연장부(21)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유량조절 손잡이(40)가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 등이 부주의에 의해 유량조절 손잡이(40)에 접촉하였더라도, 유량조절밸브(10)의 유량이 변동하지 않는다.
한편, 유량조절밸브(10)의 유량을 더욱 늘리고 싶은 경우에는, 잠금너트(35)를 연장부(21)로부터 이간하도록 다시 이동시키고, 이어서 니들밸브(60)가 열림밸브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량조절 손잡이(40)를 더욱 회전시킨다. 유량조절밸브(10)의 유량을 줄이고 싶은 경우에는, 잠금너트(35)를 연장부(21)로부터 이간하도록 다시 이동시키고, 이어서 니들밸브(60)가 닫힘밸브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량조절 손잡이(40)를 회전시키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너트(35)의 치수는 유량조절 손잡이(40)의 치수보다 크고, 또한 유량조절 손잡이(40)는 잠금너트(35)보다 사용자가 보아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유량조절밸브(10)의 유량을 조절할 때에는, 사용자가 한 쪽 손으로 유량조절 손잡이(40) 및 잠금너트(35) 모두를 잡고, 사용자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잠금너트(35)를 느슨하게 한 후에 유량조절 손잡이(40)를 조절한다. 잠금너트(35)와 유량조절 손잡이(40)가 이와 같은 치수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유량조절밸브(10)의 유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조작은 잠금너트(35)의 치수가 유량조절 손잡이(40)의 치수보다 작은 경우보다 유리하다. 더구나, 잠금너트(35)의 치수를 패널너트(30)의 치수보다 크게 함으로써, 유량조절밸 브(10)의 설치(패널 마운트) 후에 잠금너트(35) 및 손잡이(40)를 조정할 때, 패널너트(30)에 다시 접근할 수 없게 되어, 유량조절밸브(10)의 설치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결국, 잠금너트(35)의 치수를 가장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패널너트(30)에 접근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고, 또한 그 후의 손잡이 조정시에도 사용자가 쉽게 조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밀봉조절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위쪽 부분(20)이 하우징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데, 밀봉조절부재가 독립된 부품으로서 유량조절밸브(1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잠금너트(35)의 치수가 밀봉조절부재의 치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의해 사용자가 밀봉조절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어진 니들밸브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첫번째 및 두번째 도면이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들밸브(60)의 제1 부분(64)의 폭확장부(62)에는, 축방향으로 뻗은 제1 구멍(73)과, 이 제1 구멍(73)보다 폭이 좁고 제1 구멍(73)과 동심(同心)에 위치하는 제2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구멍(73)의 내벽에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링형상의 돌출부(7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2a의 아래쪽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부분(65)의 밸브 앞부분(66) 반대측의 끝부분에는 단차부(83)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차부(83)보다 폭이 좁은 연장부(84)가 단차부(83)로부터 뻗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단차부(83) 및 단차부(84)들은 니들밸브(60)의 제2 부분(65)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어, 제1 부 분(64)의 제1 구멍(73) 및 제2 구멍(74)의 각각에 대체로 대응한 형상이다. 하지만, 단차부(83) 및 연장부(84)의 외경은, 제1 구멍(73) 및 제2 구멍(74)의 내경보다 어느 정도 작게 되어 있다. 더구나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부(83)의 둘레면에는 고리형상의 오목부(85)가 상기 둘레면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부분(64)과 제2 부분(65)을 연결할 때에는, 제2 부분(65)의 연장부(84) 및 단차부(83) 각각이 제1 부분(64)의 제1 구멍(73) 및 제2 구멍(74)에 삽입되고, 그에 의해 제2 부분(65)이 제1 부분(64)에 스냅 걸어맞춤되게 된다. 이 때, 제1 부분(64)의 돌출부(75)는 제2 부분(65)의 고리형상 오목부(85)에 걸어맞추어지게 된다.
제1 부분(64)과 제2 부분(65)이 연결되면, 제1 구멍(73)과 단차부(83) 사이 및 제2 구멍(74)과 연장부(84) 사이에는 작지만 간격이 형성되게 된다. 하지만, 돌출부(75)가 오목부(85)에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제2 부분(65)은 제1 부분(64)으로부터 매달린 상태가 된다. 제1 부분(64)과 제2 부분(65)이 일단 연결되면, 제2 부분(65)이 제1 부분(64)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니들밸브(60)는, 도 1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산부(63)가 위쪽 부분(20) 내측에 나사결합되도록 유량조절밸브(10)에 조립되게 된다. 제1 부분(64)의 끝부분에 고정된 유량조절 손잡이(40)를 회전시키면, 나사산부(63)에 의해 니들밸브(60)가 열림밸브 방향 또는 닫힘밸브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돌출부(75)에 의해 제2 부분(65)이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량조절 손잡이(40)에 의해 제1 부분(64)이 회전한 경우에도 제2 부분(65)이 축방향으로는 이동하지만, 제2 부분(65) 자체는 단순히 공회전할 뿐 회전하지 않는다.
도 1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 부분(65)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2 부분(65)이 축구멍(14)의 내벽에 의해 마모되어 먼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 제2 부분(65)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먼지가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유량조절밸브(10)가 닫힘밸브 상태에 있을 때 유량조절 손잡이(40)를 회전시키면, 밸브 앞부분(66) 및 밸브체(67)가 밸브구멍(13) 및 밸브시트(16)에 의해 각각 마모될 가능성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2 부분(65)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밸브 앞부분(66) 및 밸브체(67)도 회전하지 않고, 따라서 특히 닫힘밸브 상태에서의 먼지 발생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니들밸브(60)의 폭확장부(62)가 하우징의 위쪽 부분(20)의 내벽에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유량조절밸브(10)의 조절시에 이 나사부분이 마모하여 먼지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나사부분의 아래쪽, 즉 나사결합부분과 밸브구멍(13) 사이에 제1 패킹(71) 및 제2 패킹(7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나사결합 부분에서 발생한 먼지가 이 제1 패킹(71), 제2 패킹(72)에 의해 포획되기 때문에, 먼지가 유체에 혼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근거한 유량조절밸브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근거한 유량조절밸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참조부호가 사용된 부재에 대해서는 상술한 것과 거의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고, 설명이 필요한 부 재에 대해서만 다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근거한 유량조절밸브(10')의 하우징(11)은 위쪽을 향하여 뻗은 연장부(21)를 포함한 단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부(21)의 안쪽에는 슬리브 형상의 조정너트(45)가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니들밸브(60)의 폭확장부(62)에서의 나사산부(63)가 조정너트(45)의 안쪽면에 설치된 나사산부(46)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더구나, 도 3b로부터 알 수 있듯이, 밀봉너트(90)가 조정너트(45)와 연장부(21)를 포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너트(90)의 내벽에 설치된 나사산부(91)는 연장부(21) 둘레면의 나사산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밀봉너트(90)를 회전시키면 밀봉너트(90)가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밀봉너트(90)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조정너트(45)도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조정너트(45)가 제1 패킹(71) 및 제2 패킹(72)을 아래쪽으로 누르기 때문에, 니들밸브(60)의 제2 부분(65)과 이 패킹(71,72)들 사이의 밀봉상태가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밀봉너트(90)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조정너트(45)가 제1 패킹(71) 및 제2 패킹(72)을 누르는 힘이 떨어지고, 이에 의해 제2 부분(65)과 패킹(71,72) 사이의 밀봉상태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패널너트(30)는 밀봉너트(90)의 아래쪽에서 연장부(21)의 둘레면의 나사산부에 마찬가지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밀봉너트(90)가 하우징(11)과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등이 특 히 패널(도시하지 않음)로의 설치시에 밀봉 너트(90)에 접촉하여 밀봉상태가 변할 가능성이 있는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유량조절 손잡이(40)의 아래끝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슬리브(43)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리브(43)는 유량조절 손잡이(40)와 일체의 부재로 되어 있지만, 유량조절 손잡이(40)와는 별도 부재의 슬리브(43)가 유량조절 손잡이(40)의 측면에 설치된 구성이어도 된다.
도 3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슬리브(43)의 내경은 밀봉너트(90)의 외경보다 크다. 그리고, 슬리브(43)는 밀봉너트(90) 둘레면을 감싸는데 충분한 길이까지 뻗어 있다. 즉, 슬리브(43)는 방호벽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통상은 사용자 등이 외부로부터 밀봉너트(90)에 접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등이 부주의에 의해 밀봉너트(90)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밀봉상태가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유량조절 손잡이(40)를 고정하기 위하여 잠금너트(35)를 사용하고 있는데, 유량조절 손잡이(40)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채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나타내어진 구성요소 중의 몇가지를 적절히 재편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전형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변경 및 여러가지 다른 변경, 생략, 추가를 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6)

  1. 밸브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안의 밸브시트에 대하여 이동하는 니들밸브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뻗은 상기 니들밸브의 길이방향 일단에 설치된 유량조절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니들밸브를 상기 밸브시트에 대하여 이동시켜, 이에 의해 상기 밸브구멍을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가 회전하는 것을 고정시키는 손잡이 고정수단과,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의 둘레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뻗은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는 밀봉조절수단 둘레를 피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니들밸브는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에 연결되는 제1 부분과 상기 밸브시트에 걸어맞추어지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부분의 하부에는 축방향으로 뻗은 제1 구멍, 상기 제1 구멍 상측에서 축방향으로 뻗으며 상기 제1 구멍보다 폭이 좁은 제2 구멍이 형성되고, 제1 구멍은 내벽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링형상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부분의 상부에는 상기 제1 구멍에 대응하는 단차부, 상기 제2 구멍에 대응하는 연장부 및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부분의 하부가 상기 제2 부분의 상부와 연결될 때,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단차부 사이 및 상기 제2 구멍과 상기 연장부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서,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 부분의 회전이 상기 제2 부분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절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 고정수단의 폭을, 적어도 상기 유량조절 손잡이의 폭보다 크게 한 유량조절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위쪽 부분 및 상기 위쪽 부분에 나사결합되는 아래쪽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위쪽 부분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니들밸브 사이의 밀봉상태를 조절하는 밀봉조절수단에 해당하며,
    상기 밀봉조절수단은 스프링롤 핀에 의해 상기 아래쪽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유량조절밸브.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밸브의 상기 제1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나사산부와 상기 밸브구멍 사이에서 상기 니들밸브 주위에 설치된 밀봉부재를 구비하는 유량조절밸브.
  6. 삭제
KR1020077011222A 2004-11-25 2005-10-03 유량조절밸브 KR101231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40538A JP2006153042A (ja) 2004-11-25 2004-11-25 流量調節弁
JPJP-P-2004-00340538 2004-11-25
PCT/JP2005/018597 WO2006057108A1 (ja) 2004-11-25 2005-10-03 流量調節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316A KR20070084316A (ko) 2007-08-24
KR101231807B1 true KR101231807B1 (ko) 2013-02-08

Family

ID=3649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222A KR101231807B1 (ko) 2004-11-25 2005-10-03 유량조절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77530B2 (ko)
JP (1) JP2006153042A (ko)
KR (1) KR101231807B1 (ko)
DE (1) DE112005002909B4 (ko)
WO (1) WO2006057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7216B2 (en) * 2008-04-02 2013-08-27 Kenneth L. MacDougall Angled spout dispensing device
FR2930311B1 (fr) * 2008-04-16 2013-08-09 Dior Christian Parfums Corps de vanne, vanne ayant un tel corps, dispositif de melange de constituants d'une composition et utilisation d'un tel melange.
CN102116391A (zh) * 2010-11-26 2011-07-06 宁波富华阀门有限公司 一种防拆卸装置
CN103379771B (zh) * 2012-04-26 2016-09-07 头领科技(昆山)有限公司 播放器音量电位器旋转锁紧机构
DE102012109756B4 (de) * 2012-10-12 2015-01-08 Sed Flow Control Gmbh Steigendes Handventil mit Hubbegrenzung
CN103498942B (zh) * 2013-09-02 2016-06-01 河南航天液压气动技术有限公司 一种阀门
DE102014004669B3 (de) * 2014-03-31 2015-09-24 Festo Ag & Co. Kg Ventil
WO2015168304A1 (en) * 2014-04-30 2015-11-05 Joseph Company International, Inc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using liquid carbon dioxide
JP6613035B2 (ja) * 2015-02-24 2019-11-27 株式会社キッツエスシーティー 高圧用ニードルバルブとこれを用いた水素ステーション
CN106032843B (zh) * 2015-03-20 2018-06-19 潘景轩 液体管道机械节流盖
EP3354946B1 (en) * 2015-08-05 2020-11-25 Kabushiki Kaisha Fujikin Valve
WO2017039823A1 (en) * 2015-08-28 2017-03-09 Precision High Pressure, LLC Needle valve and associated methods
US10365050B1 (en) * 2016-06-03 2019-07-30 Carl Hare Cooling tower flow control inlet valve
CN106838353B (zh) * 2017-01-20 2023-08-15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气体流量排气阀
JP7152008B2 (ja) 2018-10-04 2022-10-12 イーシーテクノ株式会社 ニードル及びニードルバルブ
US12085175B2 (en) * 2020-10-15 2024-09-10 North Atlantic Imports, Llc Valve structure for propane tank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9472A (ja) * 1983-12-15 1985-07-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ゲ−ジ弁
JPH1151217A (ja) * 1997-08-05 1999-02-26 Advance Denki Kogyo Kk 流量調節弁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8745A (en) 1921-05-28 1922-09-12 Ingersoll Rand Co Valve-spindle-retaining device
FR1370689A (fr) * 1963-07-02 1964-08-28 Air Liquide Robinet pour récipient à gaz sous pression
DE1939593U (de) 1966-02-16 1966-05-26 Losenhausenwerk Duesseldorfer Arbeitsgeraet mit schwingendem werkzeug, insbesondere stampfer zur bodenverdichtung.
JPS4718932Y1 (ko) 1969-04-23 1972-06-29
US3601362A (en) * 1969-09-10 1971-08-24 Duriron Co Stop for valve shank
JPS49142807U (ko) * 1973-04-04 1974-12-10
US3985331A (en) 1975-01-06 1976-10-12 Circle Seal Corporation High resolution micro-metering valve
DE7537052U (de) 1975-11-21 1976-03-18 Fa. F. U. G. Linden, 5277 Marienheide Pneumatisches drosselventil
JPH0140383Y2 (ko) * 1985-04-26 1989-12-04
US4687181A (en) 1985-05-01 1987-08-18 Nupro Company Metering valve
JPH06100847B2 (ja) 1986-02-21 1994-12-12 株式会社リコー 両面複写装置
JPS62266271A (ja) * 1986-05-09 1987-11-19 Shimomiya Kinzoku Kogyo Kk ニ−ドルバルブの弁棒
JP2541613Y2 (ja) * 1991-01-11 1997-07-16 清原 まさ子 制御器
JP3106366B2 (ja) * 1991-02-26 2000-11-06 清原 まさ子 流体制御器
DE19611805C2 (de) 1996-03-26 1999-12-30 Iossef Ladyshenski Bolzenverbindung
JP3807797B2 (ja) * 1996-10-15 2006-08-09 大野ベロー工業株式会社 流体制御弁
JPH10169834A (ja) * 1996-12-06 1998-06-26 Nobuo Watanabe スピンドルバルブのシール構造
JPH11230407A (ja) 1998-02-19 1999-08-27 Ckd Corp 流量調節弁
JP2000065240A (ja) * 1998-08-21 2000-03-03 Neriki:Kk 止め弁
JP3482180B2 (ja) * 2000-07-31 2003-12-22 日本原子力研究所 微小流量調整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9472A (ja) * 1983-12-15 1985-07-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ゲ−ジ弁
JPH1151217A (ja) * 1997-08-05 1999-02-26 Advance Denki Kogyo Kk 流量調節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57108A1 (ja) 2006-06-01
US20080006792A1 (en) 2008-01-10
JP2006153042A (ja) 2006-06-15
KR20070084316A (ko) 2007-08-24
DE112005002909T5 (de) 2007-11-22
DE112005002909B4 (de) 2024-03-14
US7677530B2 (en) 201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807B1 (ko) 유량조절밸브
KR101017283B1 (ko) 유량 제어 밸브
KR100980237B1 (ko) 유량조정밸브
KR101284749B1 (ko) 유량조절밸브
US9353884B2 (en) Flow regulating apparatus
JPWO2008096646A1 (ja) 流体制御器
EP1731808A1 (en) Fluid controller
US9453587B2 (en) Flow rate adjusting device
JPS6231778A (ja) 流量調節弁
JP5369065B2 (ja) 三方弁
CA2495679C (en) Retainer lock nut for the stem packing of a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RU24702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хода текучей среды
JP2011102643A (ja) 流量調節弁
US10018282B2 (en) Flow rate adjusting device
JP4908294B2 (ja) 流量制御弁
US6899113B2 (en) Pressure relief valve
EP0708285A1 (en) Water-sanitary control valve
KR20140122660A (ko) 유량 조정 장치
EP1178250A2 (en) Self-closing valve
JP2009097622A (ja) 電磁弁構造
US10920908B2 (en) Valve stem for choke valve
KR20240013881A (ko) 밸브 장치
EP0209965B1 (en) Metering valve
JP2005127445A (ja) 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84945A (ja) 液圧レギュ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