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30170B1 - 신발끈 조임구 - Google Patents

신발끈 조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170B1
KR101230170B1 KR1020100139665A KR20100139665A KR101230170B1 KR 101230170 B1 KR101230170 B1 KR 101230170B1 KR 1020100139665 A KR1020100139665 A KR 1020100139665A KR 20100139665 A KR20100139665 A KR 20100139665A KR 101230170 B1 KR101230170 B1 KR 101230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main body
pair
shoelaces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633A (ko
Inventor
김신
Original Assignee
김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 filed Critical 김신
Priority to KR1020100139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1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2Fastening devices with elastic tightening parts between pairs of eyelets, e.g. clamps, springs, ban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끈의 매듭을 묶거나 풀지 않고도 신발끈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동시에 결속된 잔여 신발끈에 대해서도 거치 및 고정이 가능한 신발끈 관리가 이루어지는 신발끈 조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110) 및 후면(120)이 이격된 공간을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측벽(130)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는 신발끈(20)이 본체(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관통된 형태의 인입부(140)가 형성되며, 상부는 본체(100) 내부로 인입된 신발끈(20)이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관통된 형태의 인출부(150)가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외주연 방향으로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일면 중앙으로부터 일 방향으로는 돌출봉(210)이 형성된 이동톱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벽(130)이 서로 마주보는 간격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이동톱니부(200)가 하향시 측벽(130) 하부와 상호 인접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100)의 전면(110)에는 상하로 길게 관통된 가이드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통공(111)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한 쌍의 탄성바(112)가 상호간 이격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탄성바(112)는 가이드통공(111)이 형성된 본체(100)의 전면(110)으로부터 어느 한 단부가 일체로 연결 지지되는 것이며 상부를 향해 상호 이격된 간격이 좁아지는 '∧'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향된 이동톱니부(200) 및 돌출봉(210)을 하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외부 양 측면에는 잔여 신발끈(20)이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신발끈 고정부(16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끈 조임구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끈의 매듭을 묶거나 풀지 않고도 신발끈을 간편하게 결속 고정시킬 수 있고, 별도의 스프링 구성 없이도 이동톱니부를 일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구조의 신발끈 조임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신발끈의 결속 후에도 잔여 신발끈에 대한 거치 및 고정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에는 사용자의 발에 맞추어 조여주거나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신발끈이 적용된다.
이러한 신발끈은 신발의 발등 및 발목 부분에 나열된 다수의 끼움통공을 서로 꿰어 결속하게 되고, 남은 신발끈은 그 양단을 서로 묶어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결속을 마무리하게 된다.
이처럼, 종래에는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마다 항상 신발끈을 조인 후 신발끈의 양 단부를 묶어 매듭을 형성하는 마무리 작업이 요구되었으며, 신발을 벗을 때에는 묶인 매듭을 풀어 신발끈을 느슨하게 한 후에야 신발을 벗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마다 신발끈의 매듭을 형성하거나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또한, 통상의 신발용 끈은 대부분 합성수지사로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서로 미끄러지는 성질을 갖게 되어 신발끈을 묶은 상태에서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장시간 신발을 착용하고 다니면 그 끈이 풀어지거나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렇듯, 풀리거나 느슨해진 신발끈은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흘러내린 신발끈이 바닥과 접촉되어 끈이 오염되는 사례가 발생하며, 풀려진 신발끈을 밟게되면 자칫 넘어질 우려도 있으므로 활동 중 신발끈이 풀린 상태에서는 신발끈을 바로 조여 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신발을 벗어 놓았다가 신속하게 착용하여야 하는 작업 현장(예를 들어, 소방서 또는 군부대 등의 비상시)에서는 배치인원들이 안전화 또는 군화 등을 매우 신속하게 착용하여야 하나 그 신발의 끈을 묶고 이를 다시 정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비상시 신속한 처리 및 대처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으로도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440027호에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본체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톱니부와, 상기 이동톱니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이 포함된 구성으로, 이동톱니부는 탄성수단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착되는 구성을 갖되, 본체 내부로 인입된 신발끈이 상기 이동톱니부에 밀착되어 그 이탈이 방지되는 원리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에서는 이동톱니부를 일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탄성수단의 구성이 요구되었으며, 별도의 탄성수단이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는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탄성수단은 스프링 등의 금속재가 주로 적용되는데 이는 장시간 사용시 금속이 부식될 우려가 있었으며, 이는 신발끈 조임장치의 오작동 원인으로 작용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신발끈 조임장치는 신발끈을 조여 고정시킨 이후에 잔여 신발끈에 대한 정리 및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잔여 신발끈이 늘어진 상태로 활동해야만 했으며, 이는 신발끈 조임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처럼 신발끈이 바닥에 끌리는 현상도 발생하기에, 신발끈 조임장치를 사용하면서도 신발끈 길이 조절을 위해 신발끈의 매듭을 묶어야만 하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발끈의 매듭을 묶거나 풀지 않고도 신발끈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신발끈 조임구를 제공하되, 스프링의 구성 없이도 이동톱니부를 일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구조의 신발끈 조임구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여 신발끈을 결속 고정한 이후 잔여 신발끈에 대해서 거치 및 고정할 수 있는 신발끈 조임구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발끈을 거치 및 고정한 이후에 잔여 신발끈에 대한 길이 조절도 가능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전면 및 후면, 그리고 양 측면이 각각 대향하면서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양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톱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동톱니부의 하향시에 측벽과 톱니 사이에 신발끈이 눌려 움직임이 불가하도록 구성되는 신발끈 조임구를 제공하고, 신발끈 조임구의 외부 양측에는 신발끈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어 신발끈을 거치 및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재 탄성수단을 적용하지 않고, 본체 전면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바에 의해 이동톱니부를 일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 의하면, 신발끈의 매듭을 묶거나 풀지 않고도 신발끈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신속하게 신발을 신거나 벗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끈이 풀릴 우려가 없으므로 단정된 외관을 제공하며, 늘어진 신발끈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한 효과도 있다.
또한, 스프링과 같은 금속 탄성체가 없어도 하우징과 일체의 구성을 갖는 플라스틱 탄성바에 의해 이동톱니부를 일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함으로, 생산단가를 줄이고, 간단하게 생산할 수 있어 생산력을 향상시킨 효과도 있다.
또한, 신발끈의 결속 후에도 잔여 신발끈에 대한 거치 및 고정이 가능하여 잔여 신발끈을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외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서 조작부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서 이동톱니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서 탄성바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서 잔여 신발끈의 고정 동작을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서 잔여 신발끈의 고정 동작을 도시한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외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서 조작부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측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서 이동톱니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서 탄성바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서 잔여 신발끈의 고정 동작을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서 잔여 신발끈의 고정 동작을 도시한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는 외형 하우징에 해당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톱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이동톱니부(200) 및 신발끈(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전면(110)과 후면(120)이 이격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측벽(130)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체(100) 하부에는 신발끈(20)이 본체(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관통된 형태의 인입부(140)를 형성하며, 상부는 본체(100) 내부로 인입된 신발끈(20)이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관통된 형태의 인출부(150)가 형성되는 것이며, 본체(100)의 외부 양 측면에는 잔여 신발끈(20)이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신발끈 고정부(160)가 더 형성된다.
이동톱니부(200)는 외주연 방향으로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톱니부(200)의 일측면 중앙으로부터 일 방향으로는 돌출봉(210)이 일체로 연장되거나 연결된 조립 구성을 갖으며, 상기 돌출봉(210)은 본체(100)의 전면(110)에 형성된 가이드통공(111)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돌출봉(210)의 선단에는 사용이 편리하도록 특정 형상의 조작부(2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본체(100)의 전면(110)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통공(111)이 형성되어 이동톱니부(200)의 돌출봉(210)이 결합된 후 상하 양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통공(111)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탄성바(112)가 상호 이격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이동톱니부(200)의 돌출봉(210)이 상향 이동시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이동톱니부(200)를 하향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톱니부(200)는 상하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사용자로부터 인위적인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이동톱니부(200)가 항상 하측 방향으로 향하여 신발끈(20)이 이동톱니부(200)와 내부 측벽(130) 사이에 끼임 상태를 이루며 고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톱니부(200)를 일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해서는 본체(100)의 전면(110)에 한 쌍의 탄성바(112)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탄성바(112)는 가이드통공(111)이 형성된 본체(100)의 전면(110)으로부터 어느 한 단부가 일체로 연결 지지되는 것이며, 한 쌍의 탄성바(112)는 상부를 향해 상호 이격된 간격이 좁아지는 '∧'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즉, '∧'자 형상으로 배치된 한 쌍의 탄성바(112) 사이에는 이동톱니부(200)의 돌출봉(210)이 배치되는 것이며, 이는 이동톱니부(200) 및 돌출봉(210)이 상향으로 이동할때 탄성바(112)는 일시적으로 양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이나, 벌어진 탄성바(112)에는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탄성력이 작용하고 이는 돌출봉(210)을 다시 하향으로 밀어내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탄성바(112)를 포함하는 본체(10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재료의 원가 대비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됨이 더욱 바람직하며, 재료의 원가 및 탄성력을 고려한 생산성 측면에서는 합성수지 중에서도 나일론계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이 더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측벽(130)은 본체(100) 양 측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한 쌍의 측벽(130)이 서로 마주보는 간격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은 측벽(130)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기울어진 경사 형태를 취하거나, 측벽(130)의 두께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한 쌍의 측벽(130)에 대한 하부측 상호 간격은 이동톱니부(200)가 갖는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이동톱니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신발끈(20)이 이동톱니부(200)와 측벽(130) 사이에 눌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신발끈 고정부(160)는 본체(100) 외부의 양 측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는 본체(100)의 인출부(150)를 통과한 잔여 신발끈이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0)의 양 옆에서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발끈 고정부(160)는 본체(10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에는 끼움통공(161)이 형성되어 신발끈(20)을 끼워 결속시킬 수 있는 형태가 적용되는 것이다. 이때, 끼움통공(161)의 내경 또는 내측 폭 간격은 신발끈(20)의 직경에 상응하거나 조금 좁게 형성되어 신발끈(20)이 흘러내리지 않고 내벽에 눌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신발끈 고정부(160)의 끼움통공(161) 내벽에는 요철부(162)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끼움통공(161)에 끼움 결합된 신발끈(20)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켜 견고한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본체(100)의 후면(120) 상부에는 최소 한 개의 신발끈 안내 통공(121)이 더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인출부(150)를 통과한 신발끈(20)이 신발끈 안내 통공(121)을 관통한 후 신발끈 고정부(160)에 유입되도록 한 구성이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신발끈(20)이 신발끈 안내 통공(121)의 내벽과 본체(100)의 측면을 감싸면서 상호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또한, 신발끈(20)이 여러차례 꺾이면서 신발끈 고정부(160)에 인입되므로 잔여 신발끈(20)에 대한 고정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고정부(160)는 신발끈(20)이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완전한 고정이 아닌 사용자가 신발끈(20)을 당겼을때 신발끈(20)이 이동되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정도의 고정 상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톱니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의 (a)는 신발끈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b)는 신발끈의 길이조절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신발끈(20)은 본체(100)의 하부측 인입부(140)로 삽입되어 이동톱니부(200)와 측벽(130) 사이를 지나 상부측 개방부를 통해 인출되는 것으로, 이동톱니부(200)의 위치에 따라 신발끈(20)의 고정 여부가 결정된다.
즉, 도 5의 (b)와 같이 이동톱니부(20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신발끈(20)은 고정상태가 풀리므로 상측 및 하측 양방향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이며, 도 5의 (a)와 같이 이동톱니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신발끈(20)이 이동톱니부(200)와 측벽(130) 사이에 끼임 상태를 이루며 움직일 수 없는 고정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바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의 (a)는 이동톱니부의 하향에 따른 탄성바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b)는 이동톱니부의 상향에 따른 탄성바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6의 (a)와 같이, 이동톱니부(200)가 하향될 경우에는 탄성바(112)에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아 이동톱니부(200)의 하향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때 신발끈(20)은 고정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반면, 도 6의 (b)와 같이, 이동톱니부(200)가 상향될 경우에는 신발끈(20)은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나 돌출봉(210)에 의해 한 쌍의 탄성바(112)가 벌어지게 되고 이에 탄성바(112)는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발생하면서 돌출봉(210)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이동톱니부(200)를 하향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에서 잔여 신발끈의 고정 동작을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8은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0)의 인출부(150)를 통과한 잔여 신발끈(20)이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거치 및 고정시키는 것으로, 우선, 신발끈 안내 통공(121)에 잔여 신발끈이 끼움 관통한 다음 본체(100)의 후면과 측면부를 감싸며 신발끈 고정부(160)로 유입되고, 신발끈 고정부(160)에 형성된 끼움통공(161)에 신발끈(20)이 끼움 결합되어 잔여 신발끈(20)은 거치 및 고정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신발끈(20)은 마찰력 증대 및 다수의 꺽임 현상이 발생하여 고정 지지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조임구는, 제 1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과 동일하지만, 신발끈 고정부(160)에 의한 신발끈 거치 방식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고정부(160)는 본체(100) 외부의 양 측면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는 본체(100)의 인출부(150)를 통과한 잔여 신발끈이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0)의 양 옆에서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고정부(160)는 내측에 끼움통공(161)을 형성한 수평바(163) 및 수직바(164)가 상호 직각으로 교차하여 "ㄴ"자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본체(100)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수평바(163) 및 수직바(164) 내측에 각각 형성된 끼움통공(161)에는 신발끈(20)이 끼움 삽입되는 것으로, 이때, 신발끈(20)은 수평바(163) 및 수직바(164)의 끼움통공(161)을 각각 통과하면서 "ㄱ"자 형상으로 결속 고정된다.
이때, 끼움통공(161)의 내경은 신발끈(20)의 직경에 상응하거나 조금 좁게 형성되어 신발끈(20)이 흘러내리지 않고 내벽에 눌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끼움통공(161) 내벽에는 요철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끼움통공(161)에 끼움 결합된 신발끈(20)에 대한 마찰력을 증대시켜 견고한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0 : 본체 110 : 전면
111 : 가이드통공 112 : 탄성바
120 : 후면 121 : 신발끈 안내 통공
130 : 측벽 140 : 인입부
150 : 인출부 160 : 신발끈 고정부
161 : 끼움통공 162 : 요철부
163 : 수평바 164 : 수직바
200 : 이동톱니부 210 : 돌출봉
220 : 조작부 20 : 신발끈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면(110) 및 후면(120)이 이격된 공간을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측벽(130)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는 신발끈(20)이 본체(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관통된 형태의 인입부(140)가 형성되며, 상부는 본체(100) 내부로 인입된 신발끈(20)이 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거나 관통된 형태의 인출부(150)가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외주연 방향으로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고, 일면 중앙으로부터 일 방향으로는 돌출봉(210)이 형성된 이동톱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벽(130)이 서로 마주보는 간격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이동톱니부(200)가 하향시 측벽(130) 하부와 상호 인접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100)의 전면(110)에는 상하로 길게 관통된 가이드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통공(111)을 중심으로 양측에는 한 쌍의 탄성바(112)가 상호간 이격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탄성바(112)는 가이드통공(111)이 형성된 본체(100)의 전면(110)으로부터 어느 한 단부가 일체로 연결 지지되는 것으로, 상부를 향해 상호 이격된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향된 이동톱니부(200) 및 돌출봉(210)을 하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외부 양 측면에는 잔여 신발끈(20)이 바닥에 끌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신발끈 고정부(160)를 더 형성하되, 상기 신발끈 고정부(160)는 본체(100)의 양측에서 "ㄴ"자 형상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ㄴ"자 형상을 구성하는 수평바(163) 및 수직바(164)에는 끼움통공(161)이 각각 형성되어 신발끈(20)을 끼워 결속시킬 수 있으며, 상기 끼움통공(161) 내벽에는 요철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구.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139665A 2010-12-30 2010-12-30 신발끈 조임구 KR101230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665A KR101230170B1 (ko) 2010-12-30 2010-12-30 신발끈 조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665A KR101230170B1 (ko) 2010-12-30 2010-12-30 신발끈 조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633A KR20120077633A (ko) 2012-07-10
KR101230170B1 true KR101230170B1 (ko) 2013-02-05

Family

ID=4671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665A KR101230170B1 (ko) 2010-12-30 2010-12-30 신발끈 조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66Y1 (ko) * 2013-02-19 2013-04-11 김영채 끈 조임구
US10405608B2 (en) * 2016-10-26 2019-09-10 Nike, Inc. Lacing system with loops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KR102494349B1 (ko) * 2022-11-09 2023-01-31 이동훈 신발끈 풀림 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855U (ko) * 1998-09-18 1998-12-05 이해곤 신발끈 결속 장치
KR100904132B1 (ko) 2009-01-20 2009-06-24 김신 신발끈 조임장치
KR20100100759A (ko) * 2007-09-17 2010-09-15 피트니스 애니웨어 인코포레이티드 제한된 범위를 가지는 비탄성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855U (ko) * 1998-09-18 1998-12-05 이해곤 신발끈 결속 장치
KR20100100759A (ko) * 2007-09-17 2010-09-15 피트니스 애니웨어 인코포레이티드 제한된 범위를 가지는 비탄성 운동 기구
KR100904132B1 (ko) 2009-01-20 2009-06-24 김신 신발끈 조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633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132B1 (ko) 신발끈 조임장치
US9936767B2 (en) Device for connecting up laces
KR101230170B1 (ko) 신발끈 조임구
US20130091674A1 (en) Fastening device for footwear
KR200440027Y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102133475B1 (ko) 끈걸이구 및 끈걸이구 세트
KR101229165B1 (ko) 신발끈 조임구
KR20120139220A (ko) 신발끈 조임장치
KR20140015415A (ko) 신발
KR101713915B1 (ko) 경사면이 구비된 신발끈용 조임구
AU2018360622B2 (en) Tourniquet clip
US6612003B1 (en) Double-bow shoe lace device
KR101971881B1 (ko) 신발끈 조임 장치
KR200482330Y1 (ko) 신발끈 조임구
KR101161392B1 (ko) 신발끈 체결장치
KR20240109399A (ko) 신발끈용 텐션가이드
KR20240109711A (ko) 신발끈용 텐션가이드
JP3174077U (ja) 緩み防止手段を有する快速結着具
KR101368815B1 (ko)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KR20160135598A (ko) 신발끈 조임구
JP2005118430A (ja) 靴紐用コードロック
JP2014217709A (ja) カーテン用アジャスターフックおよびカーテン用アジャスターフックを備えたカーテンセット
KR101227642B1 (ko) 신발끈 풀림방지 및 조절장치
KR101358956B1 (ko) 시트 커버링 고정장치
CN103156332B (zh) 一种方便松紧的鞋带扣及应用有该鞋带扣的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