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38010B1 -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010B1
KR101238010B1 KR1020080089235A KR20080089235A KR101238010B1 KR 101238010 B1 KR101238010 B1 KR 101238010B1 KR 1020080089235 A KR1020080089235 A KR 1020080089235A KR 20080089235 A KR20080089235 A KR 20080089235A KR 101238010 B1 KR101238010 B1 KR 101238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334A (ko
Inventor
이용곤
김기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010B1/ko
Priority to DE102008060553A priority patent/DE102008060553B4/de
Priority to CN200810185783XA priority patent/CN101672442B/zh
Priority to GB0822831A priority patent/GB2463513B/en
Priority to JP2008325043A priority patent/JP5028399B2/ja
Priority to US12/318,278 priority patent/US8459820B2/en
Publication of KR2010003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0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버 버텀; 커버 버텀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커버 버텀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회기판 상에 위치하는 광학필름층; 및 광학필름층을 지지하도록 발광소자와 구분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액정표시장치, 가이드, 백라이트 유닛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고 소형화뿐만 아니라 대형화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액정표시장치는 수광형 표시장치로 분류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빛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커버 버텀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광학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발광소자가 위 치할 수 있고 발광소자로부터 출사된 빛은 광학필름층을 통해 액정패널에 전달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광학필름층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가이드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가이드를 설치하기 위해 커버 버텀에 홀을 뚫고 가이드를 설치하여 광학필름층을 지지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수량이 많이 질수록 설치 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 사용한 가이드의 경우 설치 제약에 따른 요인이나 기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가이드가 실질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확산판이 휘게 되어 라티스 무라(Lattice Mura)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학필름층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유지하여 라티스 무라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함은 물론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광학필름층에 포함된 확산판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버 버텀; 커버 버텀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커버 버텀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회기판 상에 위치하는 광학필름층; 및 광학필름층을 지지하도록 발광소자와 구분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가이드는, 표면실장소자(Surface Mount Device)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기저부와, 기저부로부터 돌출된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기저부와, 기저부로부터 돌출된 제1몸체부와, 제1몸체부를 덮는 제2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기저부와, 기저부로부터 돌출되며 유기재료로 형성된 제1몸체부와, 제1몸체부를 덮도록 무기재료로 형성된 제2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발광소자가 실장되도록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패턴된 제1패드와, 가이드가 실장되도록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패턴된 제2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버 버텀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와, 커버 버텀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회기판 상에 위치하는 광학필름층과, 광학필름층을 지지하도록 발광소자와 구분되어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가이드는, 표면실장소자(Surface Mount Device)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기저부와, 기저부로부터 돌출된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기저부와, 기저부로부터 돌출된 제1몸체부와, 제1몸체부를 덮는 제2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학필름층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유지하여 라티스 무 라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함은 물론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학필름층에 포함된 확산판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커버 버텀(1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버텀(180)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20)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버텀(180)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회기판(120) 상에 위치하는 광학필름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필름층(150)을 지지하도록 발광소자(130)와 구분되어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실장된 가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버텀(180)은 내구 내열성 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버텀(180)은 백라이트 유닛에 포함되는 구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각 구성에 맞게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20)은 커버 버텀(180)의 바닥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러 한 인쇄회로기판(120)에는 소자가 실장되는 패드와 패드에 연결된 배선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발광소자(130)는 인쇄회로기판(120) 상에 위치하는 패드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배선을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출사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130)는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발광소자(130)가 LED인 경우 이는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실장소자(Surface Mount Device)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실장소자의 경우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에 의해 자동 삽입 및 자동 솔더링이 가능하여 공정시간 단축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광학필름층(150)은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층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필름층(150)에는 확산판(151), 확산시트(143), 광학시트(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시트(155)의 경우, 프리즘 형상, 렌티큘러 렌즈 형상 또는 마이크로 렌즈 형상 등과 같은 시트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학시트(155)에는 광학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비드 등과 같은 부재료가 포함될 수도 있다.
가이드(140)는 광학필름층(150)을 지지하도록 발광소자(130)와 구분되어 인쇄회기판(120)의 표면에 실장될 수 있다. 통상 발광소자(130)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광학필름층(150)을 통해 출사되는데, 광학적 효과 향상을 위해서는 발광소자(130)와 광학필름층(150) 간의 공간(Optical gap)이 필요하다.
여기서, 가이드(140)는 발광소자(130)와 광학필름층(150) 간의 공간을 유지할 때,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광학필름층(150)이 처지거나 기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140)는 발광소자(130)와 함께 표면실장기술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표면실장소자로 형성된다.
가이드(140)는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발광소자(130)와 구분되도록 실장하되, 백라이트 유닛의 크기에 따라 개수와 배치 등을 달리할 수 있다.
이하, 가이드(14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가이드의 예시도 이고, 도 3 내지 도 5는 가이드의 내부 구조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실장된 가이드(140)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기저부(141)와, 기저부(141)로부터 돌출된 몸체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130)와 가이드(140)가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실장소자로 형성된 경우,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는 발광소자(130)가 실장되도록 패턴된 제1패드(미도시)와, 가이드(140)가 실장되도록 패턴된 제2패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소자(130)와 가이드(140)가 표면실장소자로 형성된 경우 발광소자(130)와 가이드(140)는 표면실장기술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자동 삽입 및 자동 솔더링 되므로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백라이트의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가이드(140)가 납(125)에 의해 솔더링 된 것을 나타냄.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14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140)는 기저부(141)에 형성된 홈에 의해 부착되도록 돌출 성형 된 몸체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140)에 포함된 몸체부(143)의 형상은 상부가 둥근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가이드(140)에 포함된 기저부(141)는 금속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43)는 유기 또는 무기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140)는 기저부(141)에 형성된 홈에 의해 부착되도록 돌출 성형 된 제1몸체부(143)와, 제1몸체부(143)를 덮는 제2몸체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140)에 포함된 제1 및 제2몸체부(143, 145)의 형상은 상부가 둥근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가이드(140)에 포함된 기저부(141)는 금속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제1몸체부(143)와 제2몸체부(145)는 유기 또는 무기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140)는 기저부(141)에 형성된 홀에 의해 부착되도록 돌출 성형 된 제1몸체부(143)와, 제1몸체부(143)를 덮는 제2몸체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140)에 포함된 제1 및 제2몸체부(143, 145)의 형상은 상부가 둥근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가이드(140)에 포함된 기저부(141)는 금속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제1몸체부(143)와 제2몸체부(145)는 유기 또는 무기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몸체부(143)의 경우 PPA(Poly Phthal Amide)와 같은 유기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몸체부(145)의 경우 실리콘(Silicone)과 같은 무기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의 가이드(14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저부(141)의 하부에서 제1몸체부(143)를 삽입하고, 제2몸체부(145)를 제1몸체부(143)에 결합하는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가이드(140)는 상부가 둥근 원뿔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가이드의 외형 예시도 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40)는 하광상협하고 상부 끝이 평평한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40)는 하광상협하되 상부 끝이 다각형인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40)는 하광상협하되 상부 끝이 비교적 뾰족한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1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뿔이 아닌 둥근 원통 모양, 사각 기둥 모양, 다각 기둥 모양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140)는 외부 충격에 강한 저항력뿐만 아니라 가이드(140)와 직접적으로 맞닿고 있는 층의 표면이 손상(스크래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커버 버텀(180)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120)과, 인쇄회로기판(120)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130)와, 커버 버텀(180)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회기판(120) 상에 위치하는 광학필름층(150)과, 광학필름층(150)을 지지하도록 발광소자(130)와 구분되어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실장된 가이드(140)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70) 상에 위치하며 백라이트 유닛(17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160)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70)에 포함된 광학필름층(150)은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층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필름층(150)에는 확산판(151), 확산시트(143), 광학시트(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시트(155)의 경우, 프리즘 형상, 렌티큘러 렌즈 형상 또는 마이크로 렌즈 형상 등과 같은 시트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학시트(155)에는 광학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비드 등과 같은 부재료가 포함될 수도 있다.
가이드(140)는 광학필름층(150)을 지지하도록 발광소자(130)와 구분되어 인쇄회기판(120)의 표면에 실장될 수 있다.
통상 발광소자(130)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광학필름층(150)을 통해 출사되는데, 광학적 효과 향상을 위해서는 발광소자(130)와 광학필름층(150) 간의 공간(Optical gap)이 필요하다.
여기서, 가이드(140)는 발광소자(130)와 광학필름층(150) 간의 공간을 유지할 때,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 광학필름층(150)이 처지거나 기타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140)는 발광소자(130)와 함께 표면실장기술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표면실장소자로 형성된다.
발광소자(130)와 가이드(140)가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실장소자로 형성된 경우, 발광소자(130)와 가이드(140)는 표면실장기술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자동 삽입 및 자동 솔더링 되므로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14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실장된 가이드(140)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기저부(141)와, 기저부(141)로부터 돌출된 몸체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소자(130)와 가이드(140)가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실장소자로 형성된 경우,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는 발광소자(130)가 실장되도록 패턴된 제1패드(미도시)와, 가이드(140)가 실장되도록 패턴된 제2패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소자(130)와 가이드(140)가 표면실장소자로 형성된 경우 발광소자(130)와 가이드(140)는 표면실장기술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20)의 표면에 자동 삽입 및 자동 솔더링 되므로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백라이트의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가이드(140)가 납(125)에 의해 솔더링 된 것을 나타냄.
또한, 가이드(1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140)는 기저부(141)에 형성된 홈에 의해 부착되도록 돌출 성형 된 몸체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140)에 포함된 몸체부(143)의 형상은 상부가 둥근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가이드(140)에 포함된 기저부(141)는 금속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43)는 유기 또는 무기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40)는 기저부(141)에 형성된 홈에 의해 부착되도록 돌출 성형 된 제1몸체부(143)와, 제1몸체부(143)를 덮는 제2몸체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140)에 포함된 제1 및 제2몸체부(143, 145)의 형상은 상부가 둥근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가이드(140)에 포함된 기저부(141)는 금속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제1몸체부(143)와 제2몸체부(145)는 유기 또는 무기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40)는 기저부(141)에 형성된 홀에 의해 부착되도록 돌출 성형 된 제1몸체부(143)와, 제1몸체부(143)를 덮는 제2몸체 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140)에 포함된 제1 및 제2몸체부(143, 145)의 형상은 상부가 둥근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가이드(140)에 포함된 기저부(141)는 금속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제1몸체부(143)와 제2몸체부(145)는 유기 또는 무기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몸체부(143)의 경우 PPA(Poly Phthal Amide)와 같은 유기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몸체부(145)의 경우 실리콘(Silicone)과 같은 무기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의 가이드(14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저부(141)의 하부에서 제1몸체부(143)를 삽입하고, 제2몸체부(145)를 제1몸체부(143)에 결합하는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140)의 형상은 상부가 둥근 원뿔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40)는 하광상협하고 상부 끝이 평평한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40)는 하광상협하되 상부 끝이 다각형인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40)는 하광상협하되 상부 끝이 비교적 뾰족한 원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1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뿔이 아닌 둥근 원통 모양, 사각 기둥 모양, 다각 기둥 모양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140)는 외부 충격에 강한 저항력뿐만 아니라 가이드(140)와 직접적으로 맞닿고 있는 층의 표면이 손상(스크래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액정패널의 단면 예시도 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은 제1기판(161)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1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101) 상에 위치하는 제1절연막(1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절연막(103) 상에 위치하는 액티브층(10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층(104) 상에 위치하는 오믹콘택층(10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믹콘택층(105) 상에 위치하는 소오스(106a) 및 드레인(106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오스(106a) 및 드레인(106b) 상에 위치하는 제2절연막(10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절연막(107) 상에 위치하며 소오스(106a) 또는 드레인(106b)에 연결된 화소전극(109)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전극(109)의 재료로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기판(161)과 대향하는 제2기판(162) 상에는 블랙매트릭스(111)가 위치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111)는 검은색 안료가 첨가된 감광성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검은색 안료로는 카본블랙이나 티타늄 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블랙매트릭스(111) 사이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112)가 위치할 수 있다. 컬러필터(112)는 적색, 녹색 및 청색뿐만 아니라 다른 색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블랙매트릭스(111) 및 컬러필터(112)를 덮도록 오버코팅층(113)이 위치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오버코팅층(113)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오버코팅층(113) 상에는 공통전압 배선과 연결되도록 공통전극(114)이 위치할 수 있다.
제1기판(161)과 제2기판(162)은 실란트(116)에 의해 접착될 수 있으며, 제1기판(161)과 제2기판(162) 사이에는 액정층(115)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 제2기판(162) 상에 위치하는 오버코팅층(113) 상에 공통전극(114)이 위치하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공통전극(114)은 제1기판(161), 제2절연막(107) 및 제2기판(162)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제1기판(161)과 제2기판(162) 사이에는 셀갭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제1기판(161) 상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제1기판(161) 상에는 스캔 배선, 데이터 배선 및 공통전압 배선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캔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교차하는 영역에는 각각 하나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서브 픽셀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액정패널(160)은 스캔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에 공급된 스캔 신호와 데이터 신호 등에 의해 트랜지스터가 구동하면 백라이트 유닛(17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액정층(115)으로 제어하고 컬러필터(112)를 통해 출사된 빛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학필름층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유지하여 라티스 무라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함은 물론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학필름층에 포함된 확산판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를 자동 삽입 및 실장 가능하므로 가이드 설치시 가이드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가이드의 예시도.
도 3 내지 도 5는 가이드의 내부 구조도.
도 6은 가이드의 외형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액정패널의 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20: 인쇄회로기판 130: 발광소자
140: 가이드 150: 광학필름층
180: 커버 버텀

Claims (10)

  1. 커버 버텀;
    상기 커버 버텀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상기 커버 버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인쇄회기판 상에 위치하는 광학필름층; 및
    상기 광학필름층을 지지하도록 상기 발광소자와 구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돌출된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를 덮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표면실장소자(Surface Mount Device)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는 유기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부는 무기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발광소자가 실장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패턴된 제1패드와, 상기 가이드가 실장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패턴된 제2패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커버 버텀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커버 버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인쇄회기판 상에 위치하는 광학필름층과, 상기 광학필름층을 지지하도록 상기 발광소자와 구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돌출된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를 덮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표면실장소자(Surface Mount Device)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080089235A 2008-09-10 2008-09-10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Active KR10123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235A KR101238010B1 (ko) 2008-09-10 2008-09-10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DE102008060553A DE102008060553B4 (de) 2008-09-10 2008-12-04 Hinterleuchtungseinheit und Flüssigkristalldisplay unter Verwendung derselben
CN200810185783XA CN101672442B (zh) 2008-09-10 2008-12-10 背光单元及使用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件
GB0822831A GB2463513B (en) 2008-09-10 2008-12-15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2008325043A JP5028399B2 (ja) 2008-09-10 2008-12-22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とこれ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
US12/318,278 US8459820B2 (en) 2008-09-10 2008-12-23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235A KR101238010B1 (ko) 2008-09-10 2008-09-10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334A KR20100030334A (ko) 2010-03-18
KR101238010B1 true KR101238010B1 (ko) 2013-03-04

Family

ID=4032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235A Active KR101238010B1 (ko) 2008-09-10 2008-09-10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59820B2 (ko)
JP (1) JP5028399B2 (ko)
KR (1) KR101238010B1 (ko)
CN (1) CN101672442B (ko)
DE (1) DE102008060553B4 (ko)
GB (1) GB246351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535B1 (ko) * 2022-06-22 2023-07-06 지엔이텍(주) 금속 서포터 및 그 제조방법
US12085808B2 (en) 2022-07-19 2024-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2998A1 (ja) * 2010-09-06 2012-03-15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CN102182967B (zh) * 2011-05-10 2013-09-0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KR101948139B1 (ko) * 2011-12-20 2019-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544608B1 (ko) 2012-05-25 2015-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034067B1 (ko) * 2012-08-10 2019-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유닛
KR101398675B1 (ko) * 2012-12-28 2014-05-28 (주)정신전자 방폭조명장치
JP2015191099A (ja) * 2014-03-28 2015-11-02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133188B1 (ko) * 2014-04-17 2020-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기기
JP2016004102A (ja) * 2014-06-16 2016-01-12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4714335B (zh) * 2015-03-20 2018-09-1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光学膜片、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9759416B2 (en) * 2015-07-14 2017-09-12 Lsi Industries, Inc. Luminaires and thermal management apparatuses
KR102417795B1 (ko) * 2015-08-26 2022-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용 서포트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과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539444B1 (ko) 2018-05-16 202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US10534143B1 (en) * 2018-09-20 2020-01-14 Waymo Llc Methods for optical system manufacturing
KR20200117264A (ko) * 2019-04-03 2020-10-14 조인셋 주식회사 광학 부재 지지용 서포트
WO2021189305A1 (zh) 2020-03-25 2021-09-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CN114503272B (zh) 2020-03-25 2023-12-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EP4131401A4 (en) 2020-03-25 2023-05-03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WO2021190414A1 (zh) * 2020-03-25 2021-09-30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WO2021189325A1 (zh) 2020-03-25 2021-09-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2213886A (zh) * 2020-10-27 2021-01-12 惠州视维新技术有限公司 支撑件及制备方法、灯板组件、背光模组及组装方法
CN213240760U (zh) * 2020-11-11 2021-05-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扩散板支撑架、直下式背光模组和显示装置
KR102458824B1 (ko) * 2020-11-19 2022-10-25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용 서포트
US11978838B2 (en) * 2020-12-11 2024-05-07 DOMINANT Opto Technologies Sdn Bhd. Surface mountable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with inclined light emitting surface
TWI757069B (zh) * 2021-01-27 2022-03-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TWI783562B (zh) * 2021-07-07 2022-11-11 香港商冠捷投資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組
CN114355674B (zh) * 2022-01-13 2023-06-0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KR102640478B1 (ko) * 2023-07-04 2024-02-27 주식회사 바이더엠 퀀텀닷 활성화 구조로 광효율 및 연색성이 향상된 파장변환 led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6517A (ja) * 1997-05-23 1998-12-08 Tama Electric Co Ltd 背面照光装置
KR20080021370A (ko) * 2006-09-04 2008-03-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68304B (en) 1992-06-26 1994-11-16 Motorola As A display
JPH09246685A (ja) * 1996-03-07 1997-09-19 Fujitsu I Network Syst Ltd プリント基板の連結システム
KR100640987B1 (ko) * 2000-10-14 2006-1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586970B1 (ko) * 2004-05-28 200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TWI255896B (en) * 2005-01-19 2006-06-0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DE102005013804A1 (de) * 2005-03-24 2006-09-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leuchtetes Anzeigefenster für LED- und/oder LC-Anzeigen
JP4648070B2 (ja) * 2005-04-27 2011-03-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DE102005049047A1 (de) * 2005-10-13 2007-04-19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Modulsystem
US7442564B2 (en) * 2006-01-19 2008-10-28 Cree, Inc. Dispensed electrical interconnections
JP2009087537A (ja) * 2006-01-20 2009-04-23 Sharp Corp 光源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7777166B2 (en) * 2006-04-21 2010-08-17 Cree, Inc. Solid state luminaires for general illumination including closed loop feedback control
JP4772818B2 (ja) 2007-03-30 2011-09-14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酸化タングステン光触媒体
KR20080093220A (ko) * 2007-04-16 2008-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장치 및 표시 장치, 광원 제어 장치 및 방법
TWI368792B (en) * 2007-11-09 2012-07-21 Au Optronics Corp Lcd device, backlight module, thereof, with partition wa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6517A (ja) * 1997-05-23 1998-12-08 Tama Electric Co Ltd 背面照光装置
KR20080021370A (ko) * 2006-09-04 2008-03-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535B1 (ko) * 2022-06-22 2023-07-06 지엔이텍(주) 금속 서포터 및 그 제조방법
US12085808B2 (en) 2022-07-19 2024-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822831D0 (en) 2009-01-21
GB2463513B (en) 2010-09-15
DE102008060553B4 (de) 2010-09-30
KR20100030334A (ko) 2010-03-18
CN101672442B (zh) 2012-11-28
US8459820B2 (en) 2013-06-11
CN101672442A (zh) 2010-03-17
GB2463513A (en) 2010-03-17
JP2010067586A (ja) 2010-03-25
US20100061084A1 (en) 2010-03-11
DE102008060553A1 (de) 2010-03-11
JP5028399B2 (ja)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010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10141386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421626B1 (ko) 광원 유닛,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US20150221712A1 (en) Tiled oled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70273807A1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flat panel display,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2015014582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678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36892B1 (ko) 스크류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2237712B1 (ko) 표시장치
KR102247937B1 (ko) 패널 합착장치
KR10153741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192957B1 (ko) 발광소자 어레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KR101457687B1 (ko) 백라이트 유닛
KR102583560B1 (ko) 액정표시장치
US8305187B2 (en) Variable resistor device for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ariable resistance using the same
KR20070102160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90119635A (ko) 백라이트 유닛
KR20100056196A (ko)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표시장치
KR20080010108A (ko) 평판 표시 장치
KR20250084775A (ko) 반도체 발광소자의 전사를 위한 조립 기판, 반도체 발광소자가 전사된 패널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77127B1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090065738A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178887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45379A (ko) 발광 다이오드 블록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67932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9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