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27422B1 -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422B1
KR101227422B1 KR1020120014172A KR20120014172A KR101227422B1 KR 101227422 B1 KR101227422 B1 KR 101227422B1 KR 1020120014172 A KR1020120014172 A KR 1020120014172A KR 20120014172 A KR20120014172 A KR 20120014172A KR 101227422 B1 KR101227422 B1 KR 101227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sulation
window
foam insul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범
Original Assignee
한국단열스크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열스크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열스크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4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4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69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열스크린을 열 차단 효과가 뛰어난 발포성단열재로 제작함으로써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실내의 난방 및 냉방 성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window screen with increased heat insulation using thermal insulating foamedmaterial}
본 발명은 종래 윈도우 스크린의 재질이 직물이나 합성수지필름의 형태이어서 단열성능이 부족하였던 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포성단열재로 제작된 단열스크린을 통해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에 설치되는 커튼, 롤스크린, 버티컬 스크린 등은 햇빛을 차단하거나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실내가 보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창문을 통해서 빼앗기는 열손실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열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창문에는 방풍지를 부착하거나 별도로 단열재를 삽입하여 열손실을 줄이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그러나 방풍지를 붙이거나 별도의 단열재를 설치하는 방식은 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창문을 열고 닫을 시 단열재가 방해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단열재 설치를 통해 열손실을 줄이려는 방식은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윈도우를 가리기 위한 스크린을 발포성단열재로 제작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창문을 여닫는 과정에서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도 스크린효과와 단열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는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는, 윈도우 주변 실내에 고정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어 펼쳐짐으로써 상기 윈도우를 가릴 수 있는 스크린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부는 발포성단열재로 제작되는 단열스크린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부의 단열스크린에서 상기 발포성단열재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광반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스크린부는 복수의 단열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열스크린은 상기 본체부의 레일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단열스크린을 상기 윈도우의 일측으로 접혀지도록 하거나 상기 윈도우의 전면에 펼쳐지도록 상기 연결부를 이동시키는 스크린이동조절수단; 및 상기 복수의 단열스크린을 회전시켜 상기 단열스크린에 의해 상기 윈도우가 가려지거나 개방되도록 하는 스크린회전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봉; 및 상기 상단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린펼침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의 단열스크린은 상기 상단봉에 상단이 고정되어 상기 스크린펼침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상단봉이 회전하면 상기 상단봉에 말려 올라감으로써 접혀지거나 상기 상단봉으로부터 풀어져 상기 윈도우를 가릴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부에는 복수의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스크린부는 복수의 단열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열스크린은 상기 본체부의 각각의 레일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각각의 단열스크린에는 기밀성을 향상시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발포성단열재 패드 또는 기밀유지수단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부의 단열스크린에서 상기 발포성단열재 양측에 단면이 'ㄷ'자 형태인 가이드레일이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는, 윈도우를 가리기 위한 스크린을 발포성단열재로 제작함으로써 열전달을 차단하여 겨울의 실내 난방과 여름의 실내 냉방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가 있다.
더군다나 단열스크린의 일면에 광반사부를 마련함으로써 빛이 투과하는 것을 막아주어 단열 성능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윈도우 스크린 장치에서 스크린부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윈도우 스크린 장치의 단열스크린 부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a)는 단열스크린에 가이드레일이 있는 경우의 열손실 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단열스크린에 가이드레일이 없는 경우의 열손실 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버티컬 스크린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이하 '윈도우 스크린 장치'라 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윈도우 스크린 장치의 스크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는 본체부(110), 연결부(120), 스크린부(130), 스크린이동조절수단(140) 및 스크린회전조절수단(150)을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윈도우의 상단 실내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으로 레일이 마련되어 있다.
스크린부(130)는 복수의 단열스크린(131)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열스크린(131) 상단에는 연결부(120)의 하단이 고정되고, 연결부(120)의 상단은 본체부(110)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각각의 연결부(120)는 와이어로 연결되어 스크린이동조절수단(140)의 조작으로 이동됨으로써 윈도우의 일측으로 접혀지거나 윈도우의 전면에 펼쳐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연결부(120)는 스크린회전조절수단(150)의 조작으로 회전함으로써 윈도우를 가리거나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크린회전조절수단(150)을 조작하여 단열스크린(131)들이 창문과 직각이 되도록 하여 개방시키거나, 창문과 수평이 되도록 하여 가릴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단열스크린(131)들은 각각 별개로 연결부(120)에 고정되어 이동된다. 따라서 단열스크린(131)들이 함께 이동할 시 흐트러지거나 꼬일 우려도 있다. 이를 위해 단열스크린(131)들의 하단부는 스크린연결수단(160)(예컨대 와이어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이동시 흐트러지거나 꼬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부(130)를 이루고 있는 단열스크린(131)들은 열 차단 효과가 뛰어난 발포성단열재(132)로 제작되고, 발포성단열재(132)의 양면 또는 어느 일면에는 광반사부(133)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스크린(131)들이 펼쳐진 상태에서 스크린회전조절수단(150)을 조작하여 단열스크린(131)들을 창문과 대략 수평이되도록 회전시켜 놓으면, 단열스크린(131)들이 윈도우를 가리게 되어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으며, 발포성단열재(132)에 의한 열전달도 차단된다. 즉 겨울에는 실내의 열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차단되고, 여름에는 실외의 더운 열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냉난방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단열스크린(131)의 재료인 발포성단열재(132)는 발포폴리에틸렌, 발포폴리우레탄, 발포폴리스티렌, 발포염화비닐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단열스크린(131)의 하단에는 단열스크린(131)의 직진도를 향상시키도록 무게추 역할을 하는 하단중량편(170)이 결합된다.
특히 발포성단열재(132)의 양면 중 실외측으로 광반사부(133)가 부착되어 있어서, 여름의 강렬한 태양빛이 실내로 투과되는 것이 차단되어 열전달 차단 효과는 극에 달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열스크린(131)을 이루고 있는 발포성단열재(132)는 딱딱하고 무거운 재질이 아닌, 유연성 있고 가벼운 재질이기 때문에, 스크린이동조절수단(140)의 조작에 의해 이동할 시 흐느적거릴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단열스크린(131)의 이동성을 높이기 위해 발포성단열재(132)의 양측면에는 단면이 'ㄷ'자 형태인 알루미늄 재질의 가이드레일(134)이 끼움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열스크린(131)이 이동할 시 흐느적거리지 않고 직진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열거나 닫을 수가 있다.
단열스크린(131)을 이루고 있는 발포성단열재(132)는 딱딱하고 무거운 재질이 아닌, 유연성 있고 가벼운 재질이기 때문에 외력을 가해주지 않고서는 직진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즉 단열스크린(131)이 길게 연장된 형태인 경우 전체 길이중에서 일부분에 휘어짐이 발생하거나 외력에 의해 접혀져버릴 수 있게 되어 직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만일 단열스크린(131)이 휘어지거나 굽어지게 되면 복수의 단열스크린(131)들을 닫았을 때에 단열스크린(131)들이 나란히 정렬되어 상호간에 밀착하지 못하고 예를 들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스크린(131)들의 사이가 들뜨게되어 열이 빠져나가는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ㄷ'자 형태인 알루미늄 재질의 가이드레일(134)을 단열스크린(131)의 양측에 설치하여 단열스크린(131)의 직진성을 확보함으로써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스크린(131)들의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함으로써 단열스크린(131)들을 통해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였다. 후술하는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6의 (a)와 같은 틈새발생방지에 따른 작용효과는 동일하게 발생한다.
<롤스크린 형태>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는 본체부(210), 상단봉(220), 스크린부(230) 및 스크린펼침조절수단(240)을 포함한다.
본체부(210)는 윈도우의 상단 실내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으로 상단봉(2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단봉(220)의 일측에는 상단봉(2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린펼침조절수단(240)이 연결되어 있다.
스크린부(230)는 발포성단열재로 제작되는 단열스크린(231)과 단열스크린(231)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봉(232)을 포함하며, 단열스크린(231)의 상단은 상단봉(220)에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스크린펼침조절수단(240)을 통해 상단봉(220)을 회전시키면, 단열스크린(231)이 상단봉(220)에 말려 올라감으로써 접혀지거나, 반대 방향 회전에 의해 상단봉(220)으로부터 풀어져 윈도우를 가릴 수 있게 된다.
이때 단열스크린(231)의 하단에는 하단봉(232)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하단봉(232)은 일종의 무게추 역할을 하여 단열스크린(231)이 상단봉(220)으로부터 풀어졌을 시 바람에 날리지 않고 하방을 향해 곧바로 풀어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하단봉(232)은 단열스크린(231)이 상단봉(220)에 말려 올라갈 시, 완전히 상단봉(220)에 말린 이후에는 하단봉(232)이 본체부(210)에 걸리도록 하여 더 이상의 회전을 차단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롤스크린 형태의 윈도우 스크린 장치를 사용하면 단열스크린(231)이 상단봉(220)으로부터 풀어져 윈도우를 가렸을 시 발포성단열재로 제작된 단열스크린(231)에 의해 실내외간 열전달을 차단하여 단열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형태의 윈도우 스크린 장치에서도 단열스크린(231)의 일면, 즉 윈도우측으로 광반사부가 부착되어 광 투과를 차단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 형태>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윈도우 스크린 장치의 단열스크린 부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는 본체부(310), 연결부(320), 스크린부(330)를 포함한다.
본체부(310)는 윈도우의 상단 실내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으로 나란히 복수의 레일이 마련되어 있다.
스크린부(330)는 복수의 단열스크린(331)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열스크린(331) 상단에는 연결부(320)의 하단이 고정되고, 연결부(320)의 상단은 본체부(310)에 마련된 각각의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각각의 연결부(320)들은 이웃하는 연결부(320)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양단에 상호간 걸림이 가능한 걸림턱(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장 끝의 단열스크린(331)을 잡고 펼치면 이웃하는 단열스크린(331)이 함께 잡아당겨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스크린부(330)를 이루고 있는 단열스크린(331)들은 열 차단 효과가 뛰어난 발포성단열재로 제작되고, 발포성단열재의 일면(윈도우측)에는 광반사부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 형태의 윈도우 스크린 장치에서 가장 끝에 설치된 단열스크린(331)을 잡아 당겨 전체의 단열스크린(331)에 의해 윈도우가 가려지면, 실내외가 차단되고, 발포성단열재에 의한 열전달도 차단된다. 또한 광반사부에 의해 빛을 반사시켜 광 투과성도 매우 낮출 수가 있다. 단열스크린(331)의 하단에는 단열스크린(331)의 직진도를 향상시키도록 무게추 역할을 하는 하단중량편(370)이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스크린(331)의 가장자리에는 상하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발포성단열재 패드(333)가 부착되어 있다. 본체부(310)에 형성된 레일들의 사이에 간격이 있기 때문에 단열스크린(331)들의 사이는 그 레일의 간격때문에 서로 떨어져서 틈새가 발생하는데, 이 틈새로 공기이동의 대류현상이 발생하여 열손실이 발생하므로 이 틈새를 막아서 기밀을 유지하여 공기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스크린(331)에 발포성단열재 패드(333)가 부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밀유지수단으로 발포성단열재 패드(333)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포성단열재 패드(333)를 대신하여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된 바(bar) 형태의 기밀유지수단이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열스크린(331)을 이루고 있는 발포성단열재는 딱딱하고 무거운 재질이 아닌, 유연성 있고 가벼운 재질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질 시 흐느적거릴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단열스크린(331)의 이동성을 높이기 위해 발포성단열재의 양측면에는 단면이 'ㄷ'자 형태인 알루미늄 재질의 가이드레일(332)이 끼움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열스크린(331)이 이동할 시 흐느적거리지 않고 직진성을 확보하여 펼쳐지거나 접힐 수가 있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단열스크린(331)의 양측면에 단면이 'ㄷ'자 형태인 알루미늄 재질의 가이드레일(332)을 끼움 고정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단열스크린(331)의 직진성을 확보하여 단열스크린(331)의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단열스크린(331)들의 사이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포성단열재의 양면 또는 한면에 은박필름과 같은 광반사부가 부착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발포성단열재에 광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버티컬 스크린 형태, 롤스크린 형태 및 슬라이딩 도어 형태로 제작되는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발포성단열재로 제작되는 단열스크린을 통해 윈도우를 가려줌으로써, 실내 사생활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발포성단열재에 의한 열전달을 차단하고 광반사부를 통해 햇빛의 투과도 차단하여 냉난방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특히 방풍지 등의 별도의 단열재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기존의 커텐이나 블라인드 등을 대신하여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윈도우의 열고 닫음에 불편을 주거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버티컬 스크린 형태>
110 : 본체부
120 : 연결부
130 : 스크린부
131 : 단열스크린
132 : 발포성단열재
133 : 광반사부
134 : 가이드레일
140 : 스크린이동조절수단
150 : 스크린회전조절수단
160 : 스크린연결수단
<롤스크린 형태>
210 : 본체부
220 : 상단봉
230 : 스크린부
231 : 단열스크린
232 : 하단봉
240 : 스크린펼침조절수단
<슬라이딩 도어 형태>
310 : 본체부
320 : 연결부
330 : 스크린부
331 : 단열스크린
332 : 가이드레일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윈도우 주변 실내에 고정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지지되어 펼쳐짐으로써 상기 윈도우를 가릴 수 있는 스크린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부는 발포성단열재로 제작되는 단열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스크린부는 복수의 단열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열스크린은 상기 본체부의 각각의 레일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연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단열스크린에는 기밀성을 향상시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발포성단열재 패드 또는 기밀유지수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의 단열스크린에서 상기 발포성단열재 양측에 단면이 'ㄷ'자 형태인 가이드레일이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
KR1020120014172A 2012-02-13 2012-02-13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 Active KR101227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172A KR101227422B1 (ko) 2012-02-13 2012-02-13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172A KR101227422B1 (ko) 2012-02-13 2012-02-13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422B1 true KR101227422B1 (ko) 2013-01-29

Family

ID=4784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172A Active KR101227422B1 (ko) 2012-02-13 2012-02-13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094A (ko) *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중앙이앤알 물류센터에 적용가능한 냉난방 단열 커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844Y1 (ko) * 2005-12-30 2006-03-08 주식회사 상보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
KR20060109180A (ko) * 2005-04-15 2006-10-19 김지경 브라인드 조립체를 채용한 단열창문
KR100711769B1 (ko) * 2005-11-16 2007-04-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블라인드
KR20110111617A (ko) * 2010-04-05 2011-10-12 김동선 비금속내화단열재로 이루어진 비상도어를 구비한 철재방화셔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180A (ko) * 2005-04-15 2006-10-19 김지경 브라인드 조립체를 채용한 단열창문
KR100711769B1 (ko) * 2005-11-16 2007-04-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블라인드
KR200410844Y1 (ko) * 2005-12-30 2006-03-08 주식회사 상보 블라인드부재 및 이를 구비한 롤스크린
KR20110111617A (ko) * 2010-04-05 2011-10-12 김동선 비금속내화단열재로 이루어진 비상도어를 구비한 철재방화셔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094A (ko) *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중앙이앤알 물류센터에 적용가능한 냉난방 단열 커튼장치
KR102555389B1 (ko) * 2021-09-10 2023-07-17 주식회사중앙이앤알 물류센터에 적용가능한 냉난방 단열 커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067B1 (ko)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창호.
KR101226306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WO2015111590A1 (ja) 窓の日射遮蔽装置
KR20100010743U (ko) 롤 블라인드
KR101495694B1 (ko) 블라인드
KR101227422B1 (ko) 발포성단열재를 사용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킨 윈도우 스크린 장치
KR20150125512A (ko) 가이드 구조를 갖는 블라인드 장치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GB2466780A (en) Mechanism for sealing edges of a roller blind
CN203655110U (zh) 一种水平卷帘窗
KR101760027B1 (ko) 기밀 블라인드 시스템
KR101880119B1 (ko) 방범용 블라인드
JP2010024731A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1863809B1 (ko) 햇빛 차단부재의 단열커튼 고정장치
KR20190098450A (ko) 수평방향 개폐형 허니컴 블라인드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CN205191732U (zh) 空调器
CN108252462A (zh) 一种节能伸缩式雨棚
KR20190017308A (ko) 병풍 가구
JP4618576B2 (ja) 日射遮蔽装置
KR102773121B1 (ko) 차단막 텐션 조절장치
CN221682633U (zh) 一种带保温结构的装配式帐篷房
KR102806455B1 (ko) 개폐가 용이한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KR102699030B1 (ko) 창호 차폐 장치
JP3098375U (ja) ベランダの遮蔽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