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960B1 - The driving mechanism, which make door close automatically by using cam gear on firing - Google Patents
The driving mechanism, which make door close automatically by using cam gear on fi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5960B1 KR101225960B1 KR1020120134198A KR20120134198A KR101225960B1 KR 101225960 B1 KR101225960 B1 KR 101225960B1 KR 1020120134198 A KR1020120134198 A KR 1020120134198A KR 20120134198 A KR20120134198 A KR 20120134198A KR 101225960 B1 KR101225960 B1 KR 1012259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shaft
- door
- cam
- interlo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2—Spindles; W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4—Worm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평상시에는 손으로 매우 수월하게 문을 열고 닫을 수 있으면서도 화재시에는 자동으로 문을 폐쇄시 킬 수 있도록 하는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폐쇄되게 하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우징(10) 일측에 구비되는 감속모터(20)와, 상기 감속모터(20)의 모터축(21)과 직결되는 워엄축(31)에 구비되어 하우징(10)에 지지되어 회동되게 구비되는 워엄(30)과, 상기 워엄(30)과 연동되게 일측에 구비되는 워엄휠기어(40)와, 상기 워엄휠기어(40)와 연동되고 워엄축(3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립되게 구비되는 캠기어축(51) 상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오목형태의 캠홈부(52)를 갖는 캠기어(50)와, 상기 캠기어축(51)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도어연동축(61) 상단부에 구비되는 간헐연동기어(60)를 구비하여, 상기 간헐연동기어(60)가 평상시에는 캠홈부(52)와 대향 되는 위치에 있고 캠기어(50) 회동시에는 캠기어(50)의 기어치(齒)(53)에 맞물려 회동 되어 도어연동축(61)의 회동에 의해 공지된 문개폐수단(90,90')이 연동되도록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감속모터(20)의 구동에 의해 동력전달되어 회전되는 캠기어축(51)에 터치구(71)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구(71)의 1회전시 때마다 리미트스위치(72)의 스위치편(73)을 가압하여 제어부(70)로 신호가 인가되어 제어부(70)에서 감속모터(20)의 구동이 정지되게 제어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closes a door in case of fire, which allows the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very easily by hand, but in the event of a fir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reduction gear motor 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worm shaft 31 direct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21 of the reduction motor 20 is supported by the housing 10. The worm 30 is provided to be rotated, the worm wheel gear 40 is provided on one side to be interlocked with the worm 30, and the worm wheel gear 40 is interlocked with the worm shaft 3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orm shaft 31. It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cam gear shaft 51 is provided to stand up, the cam gear 50 having a concave cam groove portion 52 on one side, and the door interlocking shaft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cam gear shaft 51 ( 61) provided with an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60 provided at the upper end portion,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60 is usually at a position facing the cam groove 52, and the cam gear 50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cam gear 50;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90, 90 ') by the rotation of the door interlocking shaft (61) is engaged to engage the gear teeth (53) of the (53), the The touch hole 71 is provided on the cam gear shaft 51 which is transmitted and rotated by the drive of the speed motor 20, and the switch piece of the limit switch 72 is made every time the touch hole 71 is rotated. A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70 by pressing the 73 so that the driving of the reduction motor 20 is stopped by the controller 70.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문이나 방화문과 같은 문이 화재가 발생 되면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문을 매우 수월하고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게 하면서도 화재시에만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캠기어를 이용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closing a door such as a window or a fire door in the event of a fire, and more particularly, a fire that automatically closes the door only in case of fire, while being ab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very easily and normally. It relates to a drive device using a cam gear that automatically closes the door.
일반적으로 화재시에 창문을 강제적으로 개폐시키는 선행기술이 대한민국 공특허공보 공고번호 제10-1997-0011808호 및 동 등록실용신안 제20-0215954호, 동 등록특허 제10-0814745호 및 동 등록특허 제10-1125848호 등과 같이 배연창의 자동개폐장치들이 개시되었다.In general, the prior art for forcibly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in case of fire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97-0011808 and Utility Model No. 20-0215954, Patent No. 10-0814745 and Patent An automatic switchgear of a flue window has been disclosed, such as No. 10-1125848.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평상시 문을 손으로 열고 닫을 때 부하가 발생하여 힘이 드는 단점이 있고 고장 우려성이 높아서 장치를 설치한 후에 수년이 지나서 화재 발생이 실제 발생 되었을 때 동작이 되지 않아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초래되고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load is generated when the door is normally opened and closed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fire occurs after many year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device due to the high risk of failu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7938호의 경우에는 구동을 위한 동력원인 감속모터의 감속비가 1:30인 것을 전제로 한 장치이다.In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87938, the reduction ratio of the reduction motor, which is the power source for driving, is assumed to be 1:30.
그러나 창문은 수월하게 개폐하도록 설계되어 건물에 설치되지만 제작 공차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부하가 발생 되어 뻑뻑하게 열고 닫히게 되는 경우가 많다.However, the windows are designed to open and close easily, but they are installed in the building, but the load is genera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manufacturing tolerances, so that they are opened and closed in many cases.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감소비가 1:30인 감속모터의 힘으로는 약하므로 여러 개의 연동기어들이 연동 되게 하는 구조로는 부하가 크게 작용하여 화재가 발생 되어도 자동으로 창문이 닫히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됨으로써 실제적으로 실용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above case, the reduction ratio is weak with the power of the reduction motor with 1:30, so the structure that allows the interlocking gears to work together causes a problem that the window does not automatically close even if a fire occurs due to the large load. By doing so, there is a problem in practical use.
그리고 여러 개의 연동기어들이 손으로 모터축을 회전시키기 어려운 감속모터까지 연동 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하가 크게 작용하여 손으로 창문을 열고 닫는데 많은 힘이 들어가야 하므로 창문을 수조작으로 개폐하는데 매우 힘들게 닫거나 열어야 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terlocking gears are linked to the reduction motor, which is difficult to rotate the motor shaft by hand, it is very difficult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by hand because the load is large and a lot of force is required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by hand. It involves the problem of closing or opening.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손으로 매우 수월하게 문을 열고 닫을 수 있으면서도 화재시에만 자동으로 문이 닫혀 지도록 하는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폐쇄되게 하는 캠기어를 이용한 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e device using a cam gear that automatically closes the door in the event of fire, which allows the door to be closed automatically only in the event of fire, while being ab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very easily in normal tim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을 장기간 손으로 개폐되게 하여도 화재시 자동으로 문이 개폐되게 하는 구동장치의 고장이 전혀 없도록 함으로써 설치 후 장기간이 경과되어 화재가 발생 되어도 정상적으로 문을 폐쇄 가능하도록 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door to be normally closed even after a long time elapses after installation by ensuring that there is no failure of the driving device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oor in case of fire even if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hand for a long time.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속비가 매우 높은 감속모터를 이용하더라도 손으로 문을 열고 닫는데 있어서 힘들지 않고 매우 수월하게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고장 우려성이 거의 없으며 제품 신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very easily and effortlessly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hand, even when using a deceleration motor having a very high reduction ratio. The goal is to improve product reliability.
본 발명은,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는 감속모터와, 상기 감속모터의 모터축과 직결되는 워엄축에 구비되어 하우징에 지지되어 회동되게 구비되는 워엄과, 상기 워엄과 연동되게 일측에 구비되는 워엄휠기어와, 상기 워엄휠기어와 연동되고 워엄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립되게 구비되는 캠기어축 상단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오목형태의 캠홈부를 갖는 캠기어 및 상기 캠기어축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도어연동축 상단부에 구비되는 간헐연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모터 정지시에는 간헐연동기어가 캠기어의 캠홈부와 대향 되는 위치에 있게 되어 간헐연동기어가 공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감속모터 가동으로 캠기어가 회동 되면 캠기어의 기어치에 간헐연동기어가 맞물리게 회동 되어 도어연동축의 회동에 의해 공지의 문개폐수단이 연동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duction mo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 worm provided on the worm shaft direct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reduction motor, and supported on the housing to be rotated, and a worm wheel gear provided on one side in cooperation with the worm. And a cam gear shaft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worm wheel gear and provided to st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orm shaft, and has a cam gear having a concave cam groove portion at one side and a door interlock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cam gear shaft. And an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haft, and when the deceleration motor is stopped,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am groove of the cam gear so that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can be idle and the cam gear is operated by the decelerating motor. Is rotated,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is engaged with the gear value of the cam gear,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interlocked by the rotation of the door interlocking shaft. It is characterized by what is achieved.
상기 워엄축과 캠기어축 중간에 다른 하나의 휠기어축을 더 구비하여 상기 휠기어축에 워엄휠기어가 고정되게 하고, 상기 워엄휠기어의 회동력이 캠기어축 하단부에 구비되는 감속연동기어에 동력 전달되게 하여 캠기어가 회동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Another wheel gear shaft is provided between the worm shaft and the cam gear shaft so that the worm wheel gear is fixed to the wheel gear shaft,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orm wheel gear is provided at the lower gear of the cam gear shaft. Another feature is that the cam gear is rotated by allowing power to be transmitted.
그리고 본 발명은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는 감속모터와, 상기 감속모터의 모터축과 직결되는 워엄축에 구비되어 하우징에 지지되어 회동되게 구비되는 워엄과, 상기 워엄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립되게 구비되는 캠기어축 상단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일측에 오목형태의 캠홈부를 갖는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축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도어연동축 상단에서 캠기어와 연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구비되는 간헐연동기어와, 상기 도어연동축과 상호 간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도어연동축에 설치되고 워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공전워엄휠기어와, 상기 캠기어축에 고정되어 공전워엄휠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연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모터 정지시에는 간헐연동기어가 캠기어의 캠홈부와 대향 되는 위치에 있게 되어 간헐연동기어가 공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감속모터 가동으로 캠기어가 회동 되면 캠기어의 기어치에 간헐연동기어가 맞물리게 회동 되어 도어연동축의 회동에 의해 공지의 문개폐수단이 연동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duction mot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he worm shaft is provided on the worm shaft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reduction motor is supported on the housing and rotated, and is provided to sta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orm shaft A cam gea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am gear shaft and having a concave cam groove portion at one side thereof, and an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fix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cam gear at an upper end of the door interlocking shaft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cam gear shaft; And an idle worm wheel gear installed on the door interlocking shaft so as to be idle with the door interlocking shaft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worm, and an interlocking gear fixed to the cam gear shaft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dle worm wheel gear. When the deceleration motor is stopped,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cam groove of the cam gear, and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is idling. Neunghage is, the cam gear when the motor rotates in the deceleration operation to be made to intermittently mesh with the interlocking gear is rotated interlocked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known by a door interlock pivot shaft to the gear teeth of the cam gear to the other features.
상기 도어연동축에는, 공전워엄휠기어가 워엄과 맞물려서 정지된 상태에서 도어연동축의 회전 속도를 가감되게 하는 공전력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door interlocking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dle worm wheel gear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power control means for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oor interlocking shaft in the state in which the idle worm wheel gear is engaged with the worm.
상기 공전력조절수단은, 도어연동축의 길이방향으로 외부로 개방되는 나사부를 가진 축공과, 상기 축공에서 공전워엄휠기어의 기어내주면이 위치하는 지점에 구비되는 유동구멍에 삽입되어 기어내주면과 접촉되는 곡면부를 갖는 가압구와,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나사머리부를 구비하고 축공으로 삽입되는 조절축과, 상기 조절축의 하단부에 축중심선과 편심 되는 봉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편심축봉을 구비하여, 축중심선을 중심으로 편심 되게 회전되는 편심축봉에 의해 가압구가 가압되어 공전워엄휠기어의 기어내주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air power adjusting means is inserted into a shaft hole having a screw opening to the out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interlocking shaft, and a flow hole provided at a point where the gea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dle worm wheel gear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gea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haft having a curved surface portion, an adjusting shaft having a screw head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and an eccentric shaft rod centered on a rod center line eccentric with the shaft center line at the lower end of the adjusting shaft, The pressure port is pressurized by the eccentric shaft rod to be eccentrically rotated by another feature that is made to pres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dle worm wheel gear.
상기 감속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되어 회전되는 캠기어축에 터치구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구가 1회전시 때마다 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치편을 가압하여 제어부로 신호가 인가되어 제어부에서 감속모터의 구동이 정지되게 제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The touch gear is provided on the cam gear shaft which is transmitted and rotated by the drive of the reduction motor. When the touch sphere is rotated once, a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by pressing the switch piece of the limit switch so that the control unit of the reduction motor Another feature is that the driving is controlled to be stopped.
본 발명은 창문이나 방화문과 같은 문을 평상시에 손으로 문을 개폐시킬 때 간헐연동기어만 공회전하여 인접된 캠기어나 다른 기어 및 감속모터까지 연동 되지 않게 되어 부하가 전혀 걸리지 않게 되므로 손으로 문을 열고 닫는데 전혀 힘들지 않고 매우 수월하게 문을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pening and closing a door such as a window or a fire door by hand, only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is idling so that the adjacent cam gear or other gears and the reduction motor are not interlocked so that the load is not applied at all. It's easy to open and close, and it's very easy to open and close the door.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감속비가 높은 감속모터를 채용 가능하게 되므로 뻑뻑하게 동작 되어 잘 닫히지 않게 되는 문이더라도 힘이 좋은 감속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양호하게 문을 닫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mploy a deceleration motor having a high reduction ratio, so that the door can be closed well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eceleration motor having a good power even if the door is operated stiffly and does not close well.
또한, 본 발명은 손으로 문을 열고 닫을 때 급작스럽게 열리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문이 닫힐 때 발생 되는 소음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so as not to open suddenly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hand ha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noise and safety accidents generated when the door is closed in advance.
그리고 평상시 문을 손으로 수없이 장기간 열고 닫더라도 간헐연동기어만 공회전하여 다른 기어들에는 연동 되지 않으므로 구동장치의 고장이 거의 발생 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이 거의 없으므로 구동장치 설치 후 장기간이 경과 되어 화재가 발생 되어도 정상적인 문 폐쇄 동작이 도모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게 되므로 제품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And even if the door is normally opened and closed for a long time by hand, only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is idling and it does not interlock with other gears. Even after the fire has elapsed, since the normal door closing operation is promoted and the proper function is achieved, product reliability is grea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동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구동장치의 종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구동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요부 작용을 설명하는 평면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창문용 문개폐수단을 보인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동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구동장치의 종단면 구성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낸 구동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창문용 문개폐수단에 실시되는 설치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방화문의 문개폐수단에 실시되는 설치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이 방화문의 문개폐수단에 실시되는 상태의 동작 설명을 나타낸 평면 작용도,
도 12는 도 10의 "Y"부분 확대 일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동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구동장치의 종단면 구성도,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구동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전력조절수단의 분리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전력조절수단의 결한 단면도,
도 18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전력조절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 17의 Z-Z'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 driv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e device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rive device shown in FIG. 1;
(A), (b) is a planar action figure explaining the main effect of this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the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driving apparatus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e device shown in FIG. 6;
8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rive device shown in FIG. 6;
9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rried out 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the window,
10 is a front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in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fire door,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fire door,
12 is an enlarged one side view of the portion “Y” of FIG. 10;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driv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e device shown in FIG. 13;
FIG. 15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rive unit shown in FIG. 13;
1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power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power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a) and 18 (b)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Z-Z 'of FIG. 17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air power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우징(10) 일측에 고정되는 감속모터(20)를 구비한다.1 to 3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상기 감속모터(20)의 모터축(21)과 직결되는 워엄축(31)에 구비되어 하우징(10)에 지지되어 회동되게 구비되는 워엄(30)을 구비하여, 상기 감속모터(20)가 구동되면 워엄(30)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11은 베어링을 나타낸 것으로서, 일부 베어링(11)들은 부호 도시를 생략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워엄(30)과 연동되게 일측에 구비되는 워엄휠기어(40)를 구비하고 상기 워엄휠기어(40)는 워엄축(3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립되게 구비되는 캠기어축(51) 하단부에 고정되어 워엄휠기어(40)의 회동력을 캠기어축(51)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또한, 상기 캠기어축(51) 상단부에는 일측에 오목형태의 캠홈부(52)를 갖는 캠기어(50)가 고정되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캠기어축(51)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도어연동축(61) 상단부에는 간헐연동기어(60)가 고정되게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캠기어(50)와 간헐연동기어(60)는 아이들기어로 형성되고, 기어치각(齒角)이 4-5°를 갖도록 하는 것이 양호한 연동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기어치각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The
따라서, 상기 간헐연동기어(60)는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캠홈부(52)와 대향 되는 위치에 있게 되고, 화재가 발생 되어 캠기어(50)가 회동할 시에는 캠기어(50)의 기어치(齒)(53)에 맞물려 회동 되어 도어연동축(61)의 회동에 의해 도 5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지의 문개폐수단(90,90')이 연동 되도록 이루어지게 구성된다.Therefore, the
그리고 본 발명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속모터(20)의 구동에 의해 동력전달되어 회전되는 캠기어축(51)에 터치구(71)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구(71)의 1회전시 때마다 리미트스위치(72)의 스위치편(73)을 가압하여 제어부(70)로 신호가 인가되어 제어부(70)에서 감속모터(20)의 구동이 정지되게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한편,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서 캠기어(50) 및 간헐연동기어(60) 상부에 케이스(미도시됨)가 씌워지게 하여 은폐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하우징(10) 하부에는 체인실이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cover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도어연동축(61) 하단이 도 5에 나타낸 창문(WD)에 구비되는 문개폐수단(90)이나, 또는 도 10에 나타낸 방화문(PD)에 구비되는 문개폐수단(90')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문개폐수단(90,90')들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서 설명이 필요로 되는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9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어연동축(61) 하단이 도 5에 나타낸 창문(WD)에 구비되는 문개폐수단(90)과 연동되게 설치되게 하여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창문에 구비되는 문개폐수단(90)에 연결되게 하여 사용하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연동축(61) 하단에 체인스프로켓(91)이 고정되고, 하우징(10) 하부에 구비되는 체인실(12)에 있는 체인(92)이 체인스프로켓(91)에 안내되어 창문(WD)과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창문(WD)의 문개폐수단(90)은 이미 알려져 있는 공지된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5,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창문(WD)을 손으로 수 조작하여 열고 닫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ormally opens and closes the window WD by hand.
이때, 창문(WD)이 열리고 닫힐 때마다 체인(92)이 당겨지거나 또는 밀려 들어가게 됨으로써 체인스프로켓(91)이 시계방향이나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그로 인해 도어연동축(61)이 연동 되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whenever the window WD is opened and closed, the
그러므로 도어연동축(61)의 회전에 따라 간헐연동기어(60)가 회전되는 상태가 되는데,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캠홈부(52)와 대향 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자리에서 공회전만 될 뿐이다.Therefore, the
즉, 평상시 손으로 창문(WD)을 열고 닫게 되면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캠홈부(52)와 대향 되는 위치에 있어서 그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기어치(53)와 맞물리지 않게 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자리에서 공회전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window WD is normally opened and closed by hand, the
그러므로 손으로 창문(WD)을 열고 닫을 때 아무런 부하가 거리지 않게 되므로 전혀 힘들지 않고 매우 수월하게 창문(WD)을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WD) by hand, there is no load, so it is easy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WD) without any difficulty.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전에는 기어들이 맞물려서 감속모터까지 연동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창문(WD)을 열고 닫을 때 부하가 걸려서 무척 힘들게 창문(WD)을 열고 닫아야 하였으나, 본 발명은 평상시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기어치(53)와 맞물리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자리에서 공회전만 되므로 아무런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어 전혀 힘들지 않고 매우 편리하게 창문(WD)을 손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st, the gears are engaged to the reduction gear motor, so that the load is applied when the window WD is opened and closed, which is very difficult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WD. Since the 60 is not engaged with the
즉,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캠홈부(52)와 대향 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게 되고,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는 리미트스위치(72)의 스위치편(73)이 터치구(71)에 의해 가압 된 상태에 있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fire does not occur normally, as shown in FIG. 4A, the
따라서, 실내에 화재가 발생 되면 실내 천장에 설치된 소화용 스프링쿨러겸용 화재감지기(80)에서 화재 발생 신호를 제어부(70)에 인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어부(70)의 명령에 의해서 감속모터(20)를 구동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a fire occurs in the room, the fire sprinkler combined
그리고 감속모터(20)가 구동되면 워엄(30)이 회전됨에 따라 워엄휠기어(40)가 회전됨으로써 캠기어축(51)에 고정되어 있는 캠기어(50)가 회전되게 된다.When the
그러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기어(50)의 기어치(53)에 간헐연동기어(60)가 맞물려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어연동축(61)이 회전되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B, the interlocking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연동축(61)에 고정된 체인스프로켓(9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체인(92)이 체인실(12) 방향으로 당겨져서 체인실(12) 내부로 들어오는 상태가 되면서 창문(WD)이 당겨지게 되므로 자동으로 창문(WD)이 닫혀 지게 되어 폐쇄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as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창문(WD)이 닫혀 지게 되는 것은 캠기어(50)가 1회전을 회전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터치구(71)도 1회전을 회전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1회전을 회전하는 것이 완료되면 이때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구(71)가 다시 리미트스위치(72)의 스위치편(73)을 가압하는 상태가 되어 제어부(70)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In addition, the window (WD) is closed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따라서, 리미트스위치(72)의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70)는 감속모터(2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캠기어(50)의 회전이 정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캠기어(50)가 1회전 한 후 정지하게 되면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홈부(52) 부분이 간헐연동기어(60)와 대향 되는 위치에서 정지되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그러므로 화재 발생시 창문(WD)이 자동으로 닫힌 상태에서도 도 4의 (a)와 같이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캠홈부(52) 부분에 대향 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화재 발행 후에도 필요에 의해서 창문(WD)을 손으로 다시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when the window WD is automatically closed when a fire occurs, the
본 발명에서 제어부(70)에 신호를 보내기 위한 터치구(71)와 리미트스위치(72) 만을 반드시 채용되게 하는 것은 아니고 캠기어(50)가 1회전 한 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70)에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것이라면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스위치나 다른 수단이 채용되게 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실(12)에 체인(92)이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81)를 설치하고 제어부(70)로 신호를 보내게 하여 화재시 창문(WD)이 열려 있을 때만 제어부(70)가 감속모터(20)를 구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지센서(81)가 반드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창문이나 창틀에 설치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며, 또한 경우에 있어서는 다른 수단이나 구조물이 설치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a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6 to 9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실시예는, 감속모터(20)의 회동력이 워엄(30)과 워웜휠기어(40)를 통해 전달되고, 상기 워웜휠기어(40)의 회동력이 감속연동기어(54)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 회전수가 감속 되도록 하여 동력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따라서, 하우징(10) 일측에 구비되는 감속모터(20) 및 상기 감속모터(20)의 모터축(21)과 직결되는 워엄축(31)에 구비되어 하우징(10)에 지지되어 회동되게 구비되는 워엄(30)이 있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Therefore, the
또한, 제1실시예와 같이 워엄축(3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립되게 구비되는 캠기어축(51) 상단부에 일측에 오목형태의 캠홈부(52)를 갖는 캠기어(50)를 구비하고, 상기 캠기어축(51)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도어연동축(61) 상단부에 간헐연동기어(60)를 구비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a
그리고 상기 워엄축(31)과 캠기어축(51) 중간에 다른 하나의 휠기어축(41)을 더 구비하여 상기 휠기어축(41)에 워엄휠기어(40)가 고정되게 하고, 상기 워엄휠기어(40)의 회동력이 캠기어축(51) 하단부에 구비되는 감속연동기어(54)에 동력 전달되게 하여 캠기어(50)가 회동 되도록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이다.And another
상기 제2실시예는 워웜휠기어(40)의 회동력이 감속연동기어(54)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 회전수가 감속 되도록 하여 동력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만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을 뿐이며 구동원리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embodiment is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riving force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ar
따라서, 상기 제2실시예의 구동장치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연동축(61) 하단부에 체인스프로켓(91)을 구비하여 도 5와 같이 창문(WD)에 설치되는 문개폐수단(90)에 연동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driving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그러나 상기한 제2실시예의 구동장치는, 캠기어(50)의 회전수가 제1실시예 보다는 감속되어 회전되는 것이므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을 열고 닫는 행정거리가 짧은 방화문(PD)에 구비되는 공지의 문개폐수단(90)에 연결시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창문(WD)에 구비되는 문개폐수단(90')에 연결시켜 사용되도록 하여도 된다.However, sin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이 방화문(PD)에 설치되게 하여 사용되는 것을 보인 것으로서, 본 발명 장치의 도어연동축(61)은 방화문(PD) 상부에 구비된 문암대장치(93)의 상,하부암대(94,95) 중에 상부암대(94)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문암대장치(93)는 문이 세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이미 알려진 장치이므로 상세한 내부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0 and 11 sh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be installed in the fire door (PD), the
따라서,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 4의 (a)와 같이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캠홈부(52)와 대향 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도 11의 도시와 같이 손으로 방화문(PD)을 열고 닫게 되면 상,하부암대(94,95)가 회동하면서 이동하는 상태가 되면서 도어연동축(61)이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간헐연동기어(60)가 공회전하게 되므로 아무런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기 때문에 힘들지 않고 매우 수월하게 방화문(PD)을 손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no fire occurs, the
그리고 도 11의 가상선 상태와 같이 방화문(PD)이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천장에 설치된 소화용 스프링쿨러겸용 화재감지기(80)에서 화재 발생 신호를 제어부(70)에 인가하게 됨에 따라 제어부(70)는 감속모터(20)를 구동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감속모터(20)의 구동에 의해서 워엄(30)이 회전됨에 따라 워엄휠기어(40)가 회전됨으로써 캠기어축(51)에 고정되어 있는 캠기어(50)가 회전되게 된다.And when a fire occurs in the state that the fire door (PD) is open as shown in the virtual line of Figure 11 as shown in Figure 4 (b) the fire occurs in the fire sprinkler combined
그러므로 캠기어(50)의 기어치(53)에 간헐연동기어(60)가 맞물려서 회전되게 됨으로써 도어연동축(61)이 회전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도 11의 실선 도시와 같이 상부암대(9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하부암대(95)가 당겨져서 방화문(PD)이 자동으로 닫혀 지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interlocking
그리고 이때 터치구(71)도 1회전을 회전하는 상태가 되어 도 4의 (a)와 같이 터치구(71)가 다시 리미트스위치(72)의 스위치편(73)을 가압하는 상태가 됨으로써 제어부(70)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그로 인해 리미트스위치(72)의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70)는 감속모터(2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됨으로써 캠기어(50)의 회전이 정지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캠기어(50)가 1회전 한 후 정지되는 것은 캠홈부(52) 부분이 간헐연동기어(60)에 대향 되는 위치에 있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그러므로 화재 발생시 방화문(PD)이 자동으로 닫힌 상태에서도 도 4의 (a)와 같이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캠홈부(52) 부분에 대향 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화재 발행 후에도 필요에 의해서 방화문(PD)을 손으로 다시 수월하게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when the fire door PD is automatically closed in the event of a fire, the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암대장치(93)에 하부암대(95)의 위치를 감지하여 방화문(PD)이 열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81)를 설치하고 제어부(70)로 신호를 보내게 하여 화재시 방화문(PD)이 열려 있을 때만 제어부(70)가 감속모터(20)를 구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감지센서(81)가 반드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부분에도 설치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며, 경우에 있어서는 다른 수단이나 구조물이 설치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And as shown in Figure 11 installs a
한편, 도 10 및 도 12와 같이 방화문(PW)에 말굽다리(96)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고 그러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말굽다리(96)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도 12와 같이 말굽다리(96)가 일면에 직선면(98)을 가진 롤러(97)를 갖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시에 방화문(PD)이 강제적으로 당겨 지는 힘에 의해서 롤러(97)가 구름 운동하여 방화문(PD)이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말굽다리(96)는 반드시 상기한 구조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구조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0 and 12, the fire door PW may or may not include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손으로 창문(WD)이나 방화문(PD)과 같은 문을 열고 닫을 때에는 간헐연동기어(60)만 공회전하여 다른 기어들이나 감속모터(20)로 연동되지 않게 되므로 비교적 큰 감속비를 갖는 감속비를 갖는 감속모터(20)를 채용하여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1:100의 감속비를 갖는 감속모터(20)가 채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실험되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opening and closing a door such as a window (WD) or a fire door (PD) by hand, only the
따라서, 감속비가 높은 감속모터(20)를 채용하게 되면 뻑뻑하게 동작 되어 잘 닫히지 않게 되는 창문(WD)이나 또는 중량이 무거운 방화문(PD)이더라도 힘이 좋은 감속모터(20)의 구동력에 의해서 문을 닫게 되므로 양호하게 문을 닫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전에는 문을 손으로 열고 닫을 때 기어들과 감속모터가 연동 되게 되어 있어서 손으로 열고 닫는 힘이 감속모터의 모터축까지 전달되었기 때문에 손 힘으로도 모터축이 회전될 수 있는 1;30의 감속비를 갖는 비교적 적은 감속비를 갖는 감속모터를 채용하여야 하였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st, when the door was opened and closed by hand, the gears and the reduction motor were interlocked so that the motor shaft was rotated by hand force because the hand opening and closing force was transmitted to the motor shaft of the reduction motor. A reduction motor having a relatively small reduction ratio with a reduction ratio of 1; 30 should be employed.
그러므로 창문을 강제적으로 여는 감속모터의 힘이 작아서 뻑뻑하게 동작 되어 잘 닫히지 않게 되는 창문의 경우 자동으로 닫을 수 없었던 문제가 초래되었다.Therefore, the force of the deceleration motor for forcibly opening the window is small,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window could not be closed automatically because of the stiff operation.
그러나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100의 큰 감속비를 갖는 감속모터(20)를 채용하여도 손 힘으로 문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되므로 화재시 자동으로 문을 닫는데 있어서 감속모터(20)의 힘이 크기 때문에 뻑뻑하게 개폐되는 창문(WD)나 중량이 무거운 방화문(PD)이라도 양호하게 닫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and close the door by hand force even when employing the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13 to 15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3실시예는, 하우징(10) 일측에 구비되는 감속모터(20)와, 상기 감속모터(20)의 모터축(21)과 직결되는 워엄축(31)에 구비되어 하우징(10)에 지지되어 회동되게 구비되는 워엄(30)을 구비하는 것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The third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또한, 상기 워엄축(3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립되게 구비되는 캠기어축(51) 상단부에 일측으로 오목형태의 캠홈부(52)를 갖는 캠기어(50)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것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캠기어축(51)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도어연동축(61) 상단에서 캠기어(50)와 연동 가능하도록 간헐연동기어(60)를 구비하는 것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그러나, 제3실시예는 도어연동축(61)과 상호 간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도어연동축(61)에 공전워엄휠기어(400)가 설치되고, 상기 공전워엄휠기어(400)는 워엄(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되어 있다.However, in the third embodiment, the idle
상기 공전워엄휠기어(400)는 자기 스스로 공전되는 것은 아니나 도어연동축(61)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워엄((30)의 동력을 전달받아 도어연동축(61)을 중심으로 공전되는 것처럼 회전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공전워엄휠기어(400)라고 명칭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The idle
따라서, 상기 공전워엄휠기어(400)는 도어연동축(61)과 일체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부(62)와 베어링(11) 사이에 게재되게 설치됨으로써 도어연동축(61)의 길이방향으로 유동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the idle
그러나 공전워웜휠기어(400)가 도어연동축(61)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설치되게 하는 것은 반드시 상기와 같은 구조로만 실시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공전워웜휠기어(400)가 도어연동축(61)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다른 구조나 수단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베어링(11)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는 생략하였다.However, the idle war
따라서, 본 발명은 공전워엄휠기어(400)의 회전력이 캠기어축(51)에 고정되어 있는 연동기어(540)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dle
그리고 감속모터(2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캠홈부(52)와 대향 되는 위치에 있게 되어 간헐연동기어(60)가 공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감속모터(20) 가동에 의해서 캠기어(50)가 회동 되면 캠기어(50)의 기어치(53)에 간헐연동기어(60)가 맞물리게 회동 되어 도어연동축(61)의 회동에 의해서 공지의 문개폐수단(90,90')이 연동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상기 제3실시예의 구동장치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연동축(61) 하단부에 체인스프로켓(91)을 구비하여 도 5와 같이 창문(WD)에 설치되는 문개폐수단(90)에 연동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driving device of the thir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또한, 공전워엄휠기어(400)와 연동기어(540)의 직경이나 기어잇수를 가감시켜서 감속될 수 있도록 하여 캠기어축(51)이 회전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을 열고 닫는 행정거리가 짧은 방화문(PD)에 구비되는 공지의 문개폐수단(90')에 연결시켜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어연동축(61) 하단부에 체인스프로켓(91)을 구비하여 창문(WD)에 설치되는 문개폐수단(90)에 연동되게 하여 사용하는 실시예 및 도어연동축(61)을 방화문(PD)에 구비되는 공지의 문개폐수단(90')에 연결시켜 사용되도록 하는 실시예는 이미 앞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캠홈부(52)와 대향 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도어연동축(61)의 하단부에 연동 되게 연결된 문개폐수단(90,90')의 체인스프로켓(91)이나 또는 상부암대(94)가 회동되는 상태가 되면 도어연동축(61)이 회동되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이때, 공전워웜휠기어(400)는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탈방지돌기부(62)와 베어링(11) 사이에 게재되게 설치되는 상태에서 워웜(30)과 맞물려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idle war
그러므로 공전워웜휠기어(400)가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어연동축(61) 및 그 상단부에 고정된 간헐연동기어(60)만 공회전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간헐연동기어(60)가 공회전하게 되므로 아무런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기 때문에 힘들지 않고 매우 수월하게 창문(WD)이나 또는 방화문(PD)을 손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idle war
그러나 도어연동축(61)이 아무런 부하가 걸리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너무 빨리 회전되기 때문에 창문(WD)이나 또는 방화문(PD)을 손으로 열고 닫을 때 너무 급작스럽게 열리고 닫힐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어회동축(61)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공전력조절수단(63)을 도어연동축(61)에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the air power control means 63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도 14 및 도 16과 도 17를 참조하면, 상기 공전력조절수단(63)은, 도어연동축(61)의 길이방향으로 외부로 개방되는 나사부(64a)를 가진 축공(64)을 구비한다.14, 16 and 17, the air power control means 63 is provided with a
또한, 상기 축공(64)에서 공전워엄휠기어(400)의 기어내주면(410)이 위치하는 지점에 유동구멍(65)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유동구멍(65)에는 기어내주면(410)과 접촉되는 곡면부(66a)를 갖는 가압구(66)가 끼워지도록 삽입된다.The
또한, 나사부(64a)에 체결되는 나사머리부(67a)를 구비하여 축공(64)으로 삽입되는 조절축(67)을 구비하게 되고, 상기 조절축(67)의 하단부에는 축중심선(K)과 편심 되는 봉중심선(S)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편심축봉(68)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따라서, 조절축(67)의 원주면방향으로 회전되면 축중심선(K)을 중심으로 편심축봉(68)이 편심 되게 회전됨에 따라 가압구(66)가 가압됨으로써 공전워엄휠기어(400)의 기어내주면(41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조절축(67)을 원주면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것은 나사부(64a)에 체결된 상태의 나사머리부(67a)를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게 된다.And to rotate the
따라서, 나사머리부(67a)를 인위적으로 강제로 좌측방향이나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축(67)이 회전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편심축봉(68)이 길이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조절축(67)이 회전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도 편심축봉(68)이 가압구(66)를 가압하거나 해제되게 하는 작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상기 조절축(67)을 좌측방향이나 또는 우측방향으로 도구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공전워엄휠기어(400)가 워엄(30)과 맞물려 있고 정지된 상태에서 실시하게 된다.Artificially rotating the adjusting
따라서, 도 18를 참조하여 공전력조절수단(63)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18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공전워엄휠기어(400)의 기어내주면(410)과 도어연동축(61)의 외주면의 간격이 크게 도시되었으나 실제는 공차 범위의 간격을 갖는 것이다.Therefore, referring to Figure 18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air power control means 63 as follows. Meanwhile, in FIG. 18,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따라서,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조절축(67)을 시계반대방향으로(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편심축봉(68)이 편심되게 회전하므로 가압구(66)가 위치하는 부분의 축공(64) 부분이 여유공간이 생기게 되는 상태가 되면서 가압구(65)에 아무런 강제적인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가압구(65)는 공전워엄휠기어(400)의 기어내주면(410)을 가압하지 않게 되는 가압력 해제 상태가 된다.Therefore, referring to FIG. 18A, when the adjusting
그러므로 도어연동축(61)은 문을 열고 닫을 때 아무런 구속력을 받지 않게 되므로 원활하게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그러나 도 18의 (b)를 참조하면, 조절축(67)을 시계방향으로(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편심축봉(68)이 편심되게 회전하여 가압구(66)를 가압하는 되고, 그로인해 가압구(66)는 공전워엄휠기어(400)의 기어내주면(410)을 가압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However, referring to FIG. 18B, when the
그러므로 공전워엄휠기어(400)가 워엄(30)과 맞물려 있는 정지된 상태에서 창문(WD)이나 또는 방화문(PD)을 손으로 열고 닫게 되면 가압구(66)가 공전워엄휠기어(400)의 기어내주면(410)을 가압하는 상태로서 도어연동축(61)이 회전하게 되므로 가압구(66)와 기어내주면(410)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도어연동축(61)의 회전이 급작스럽게 빨리 회전되지 않고 느리게 회전될 수 있게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idle
그리고 도 18의 (b)와 같이 조절축(67)을 시계방향으로(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조절축(67)의 회전량(회전각도)을 적절히 가감되게 조절하면 편심축봉(68)이 편심 되게 회전하는 범위가 조절되어 가압구(66)를 가압하는 힘이 ㅈ되조절됨으로써 가압구(66)가 공전워엄휠기어(400)의 기어내주면(410)을 가압하게 되는 가압력이 조절되는 상태가 된다.18, the
그러므로 도어연동축(61)이 회전하게 될 때 가압구(66)와 기어내주면(410)과의 마찰력이 조절됨에 따라 도어연동축(61)이 느리게 회전되게 하는 속도를 적절히 가감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도어연동축(61)의 회전이 급작스럽게 빨리 회전되어 발생 될 수 있는 문 닫힘 소음이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한편, 화재가 발생 되면 이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내 천장에 설치된 소화용 스프링쿨러겸용 화재감지기(80)에서 화재 발생 신호를 제어부(70)에 인가하게 됨에 따라 제어부(70)의 명령에 의해서 감속모터(20)가 구동되게 되고, 그로 인해 감속모터(20)의 구동에 의해서 워엄(30)이 회전됨에 따라 공전워엄휠기어(400)가 회전 되는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if a fire occurs, as described above, the fire sprinkler combined
이때는, 도어연동축(61)의 하단부에 연동 되게 연결된 문개폐수단(90,90')의 체인스프로켓(91)이나 또는 상부암대(94)가 회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어연동축(61)은 회동되지 않게 되고 공전워엄휠기어(400)만 도어연동축(61)을 중심축으로 하여 공전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그러므로 공전워웜휠기어(400)와 맞물려 있는 연동기어(540)가 회전됨으로써 캠기어축(51)과 이에 고정되어 있는 캠기어(50)가 회전되게 된다.Therefore, the interlocking
따라서, 캠기어(50)의 기어치(53)에 간헐연동기어(60)가 맞물려서 회전되게 됨으로써 도어연동축(61)이 회전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문개폐수단(90,90')의 체인스프로켓(91)이나 또는 상부암대(94)가 회동되어 창문(WD)이나 방화문(PD)이 자동으로 닫혀 지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창문(WD)이나 방화문(PD)이 자동으로 닫혀 지게 되는 것은 이미 앞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또한, 이때 터치구(71)도 1회전을 회전하는 상태가 되어 다시 리미트스위치(72)의 스위치편(73)을 가압하여 제어부(70)로 신호를 보내게 됨으로써 리미트스위치(72)의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70)가 명령에 의해서 감속모터(2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됨에 따라 캠기어(50)가 1회전 한 후 정지되는 것이 캠홈부(52) 부분이 간헐연동기어(60)에 대향 되는 위치에서 정지되는 것도 이미 앞서 설명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게 동작 된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그러므로 창문(WD)이나 방화문(PD)이 자동으로 닫힌 상태에서도 도 4의 (a)와 같이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캠홈부(52) 부분에 대향 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화재 발행 후에도 필요에 의해서 창문(WD)이나 또는 방화문(PD)을 손으로 다시 수월하게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when the window WD or the fire door PD is automatically closed,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창문(WD)이나 방화문(PD)과 같은 문을 평상시에는 손으로 매우 수월하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면서도 화재가 발생 되면 자동으로 문을 폐쇄시 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공급이 차단되거나 또는 화재 발생 후에 필요에 의해서 문을 열 수도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and close a door such as a window (WD) or a fire door (PD) in a very easy way, usually by hand, but also closes the door automatically when a fire occurs, the electricity supply is cut off or After a fire, you can open the door as needed.
또한, 평상시 문을 손으로 수없이 장기간 열고 닫더라도 간헐연동기어만 공회전하여 다른 기어들에는 연동 되지 않으므로 구동장치의 고장이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구동장치 설치 후 장기간이 경과되어 화재가 발생 되어도 정상적인 문 폐쇄 동작이 도모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게 되므로 제품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if the door is normally opened and closed for a long time by hand, only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idles and does not interlock with other gears, so that the failure of the driving device is hardly generated. Closed operation is promoted to function properly, so product reliability is greatly improved.
그러므로 본 발명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 우려성이 거의 없는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폐쇄되게 하는 구동장치를 보다 저렴하게 보급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more inexpensively supply a driving device that allows a door to be automatically closed in case of fire, which is relatively simple in structure and has little risk of failure.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실시예는 이동거리가 긴 체인(92)을 구비하는 창문(WD)의 문개폐수단(90)에 연동되게 설치되게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실시예는 개폐되는 회동거리가 짧은 방화문(PD)의 문개폐수단(90')에 연동되게 설치하여 사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mbodiment is preferably us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90 of the window (WD) having a
그리고 제3실시예는 이동거리가 긴 체인(92)을 구비하는 창문(WD)의 문개폐수단(90) 및 개폐되는 회동거리가 짧은 방화문(PD)의 문개폐수단(90') 모두에게 선택적으로 연동 되게 설치하여 사용 되도록 할 수 있다.And the third embodiment is selective to bot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90 of the window (WD) having a long chain of
그리고 본 발명은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구동장치로 설명되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문을 자동으로 닫는 구동장치로도 이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driv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closes the door in case of fire, and in some cases, may be used as a driv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closes the door.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실시예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 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described,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that must be protected.
10:하우징 20:감속모터
30:워엄 31:워엄축
40:워엄휠기어 41:휠기어축
50:캠기어 51:캠기어축
52:캠홈부 53:기어치
54:감속연동기어 60:간헐연동기어
61:도어연동축 63:공전력조절수단
64:축공 65:유동구멍
66:가압구 67:조절축
68:편심축봉 400:공전워엄기어
410:기어내주면 540:연동기어
70:제어부 71:터치구
72:리미트스위치 73:스위치편
80:소화용스프링쿨러겸용화재감지기 81:감지센서
90,90':문개폐수단 91:체인스프로켓
92:체인 93:문암대장치
94,95:상,하부암대 K:축중심선
S:봉중심선 WD:창문
PD:방화문10: housing 20: reduction motor
30: Worm 31: Worm celebration
40: worm wheel gear 41: wheel gear shaft
50: cam gear 51: cam gear shaft
52: Cam Home 53: Gear
54: deceleration interlocking gear 60: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61: door interlocking shaft 63: air power control means
64: axis 65: flow hole
66: Pressure port 67: Adjustment shaft
68: eccentric shaft 400: idle war gear
410: When gears are extended 540: Interlocking gear
70: control unit 71: touch hole
72: limit switch 73: switch
80: fire-fighting spring-cooled fire detector 81: detection sensor
90,90 ':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91: Chain sprocket
92: chain 93: door arm stand device
94,95: Upper and lower arm bands K: Axis of center line
S: Rod center WD: Window
PD: Fire door
Claims (6)
상기 감속모터(20)의 모터축(21)과 직결되는 워엄축(31)에 구비되어 하우징(10)에 지지되어 회동되게 구비되는 워엄(30)과;
상기 워엄(30)과 연동되게 일측에 구비되는 워엄휠기어(40)와;
상기 워엄휠기어(40)와 연동되고 워엄축(3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립되게 구비되는 캠기어축(51) 상단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일측에 오목형태의 캠홈부(52)를 갖는 캠기어(50)와;
상기 캠기어축(51)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도어연동축(61) 상단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간헐연동기어(60)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모터(20) 정지시에는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캠홈부(52)와 대향 되는 위치에 있게 되어 간헐연동기어(60)가 공회전 가능하게 되고, 감속모터(20) 가동으로 캠기어(50)가 회동 되면 캠기어(50)의 기어치(53)에 간헐연동기어(60)가 맞물리게 회동 되어 도어연동축(61)의 회동에 의해 문개폐수단(90,90')이 연동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캠기어를 이용한 구동장치.
Reduced motor 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and:
A worm (30) provided on the worm shaft (31) direct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21) of the reduction motor (20) and supported by the housing (10) to be rotated;
A worm wheel gear 40 provided at one side in association with the worm 30;
The cam is interlocked with the worm wheel gear 40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am gear shaft 51 provided to sta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orm shaft 31. The cam has a concave cam groove part 52 at one side. A gear 50;
An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60) fixedly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door interlocking shaft (61)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cam gear shaft (51);
When the deceleration motor 20 stops,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6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cam groove 52 of the cam gear 50, so that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60 is idling, and the deceleration motor 20 is reduced. When the cam gear 5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60 is engaged with the gear tooth 53 of the cam gear 50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90, 90 by the rotation of the door interlocking shaft 61. ') Is a drive device using a cam gear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in the event of fi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interlock.
The worm wheel gear 40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other wheel gear shaft 41 between the worm shaft 31 and the cam gear shaft 51 to fix the worm wheel gear 40 to the wheel gear shaft 41. In case of f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 gear 50 is rotated by allow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orm wheel gear 40 to be transmitted to the deceleration interlocking gear 54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m gear shaft 51. Drive device using cam gear to close the door automatically.
상기 감속모터(20)의 모터축(21)과 직결되는 워엄축(31)에 구비되어 하우징(10)에 지지되어 회동되게 구비되는 워엄(30)과;
상기 워엄축(3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립되게 구비되는 캠기어축(51) 상단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며, 일측에 오목형태의 캠홈부(52)를 갖는 캠기어(50)와;
상기 캠기어축(51)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도어연동축(61) 상단에서 캠기어(50)와 연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구비되는 간헐연동기어(60)와;
상기 도어연동축(61)과 상호 간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도어연동축(61)에 설치되고 워엄(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공전워엄휠기어(400)와;
상기 캠기어축(51)에 고정되어 공전워엄휠기어(40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연동기어(540)를 포함하고;
상기 감속모터(20) 정지시에는 간헐연동기어(60)가 캠기어(50)의 캠홈부(52)와 대향 되는 위치에 있게 되어 간헐연동기어(60)가 공회전 가능하게 되고, 감속모터(20) 가동으로 캠기어(50)가 회동 되면 캠기어(50)의 기어치(53)에 간헐연동기어(60)가 맞물리게 회동 되어 도어연동축(61)의 회동에 의해 문개폐수단(90,90')이 연동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문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캠기어를 이용한 구동장치.
Reduced motor 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and:
A worm (30) provided on the worm shaft (31) directly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21) of the reduction motor (20) and supported by the housing (10) to be rotated;
A cam gear 50 provided fixedly at an upper end of the cam gear shaft 51 provided to sta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orm shaft 31, and having a concave cam groove portion 52 at one side thereof;
An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60 which is fix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cam gear 50 at an upper end of the door interlocking shaft 61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cam gear shaft 51;
An idle worm wheel gear 400 installed on the door interlocking shaft 61 so as to be idle with the door interlocking shaft 61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worm 30;
It is fixed to the cam gear shaft (51) includes an interlocking gear (540) for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dle worm wheel gear (400);
When the deceleration motor 20 stops,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6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cam groove 52 of the cam gear 50, so that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60 is idling, and the deceleration motor 20 is reduced. When the cam gear 5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the intermittent interlocking gear 60 is engaged with the gear tooth 53 of the cam gear 50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90, 90 by the rotation of the door interlocking shaft 61. ') Is a drive device using a cam gear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in the event of fi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interlock.
According to claim 3, The door interlocking shaft 61, the idle worm wheel gear 400 is engaged with the worm 30, the idle power adjusting means for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oor interlocking shaft 61 in a stopped state Drive device using a cam gear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in the event of fi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63).
5. The idle power adjusting means (63)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idle power adjusting means (63) comprises a shaft hole (64) having a threaded portion (64a) opened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interlocking shaft (61), and a revolution at the shaft hole (64). Pressing port 66 having a curved portion 66a inserted into the flow hole 65 provided at the point where the gea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10 of the Um wheel gear 400 is positioned and in contact with the gea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10, and the screw portion. A control shaft 67 having a screw head portion 67a fastened to 64a and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64, and a rod center line eccentric with the shaft center line K at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shaft 67. Equipped with an eccentric shaft rod (68) around the center, the pressure port 66 is pressed by the eccentric shaft rod 68 is rotated eccentrically about the axial center line (K), the gear of the idle worm wheel gear 400 Driving device using a cam gear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in the event of fire,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pres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41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am gear shaft 51 which is transmitted and rotated by the drive of the reduction motor 20 is provided with a touch mechanism 71, the touch mechanism 71 Each time one revolution of)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70 by pressing the switch piece 73 of the limit switch 7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70 is controlled to stop the drive of the reduction motor 20 Drive device using cam gear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in case of fi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4198A KR101225960B1 (en) | 2012-11-26 | 2012-11-26 | The driving mechanism, which make door close automatically by using cam gear on fi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4198A KR101225960B1 (en) | 2012-11-26 | 2012-11-26 | The driving mechanism, which make door close automatically by using cam gear on fir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5960B1 true KR101225960B1 (en) | 2013-01-24 |
Family
ID=4784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41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5960B1 (en) | 2012-11-26 | 2012-11-26 | The driving mechanism, which make door close automatically by using cam gear on fir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596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2087B1 (en) | 2013-04-17 | 2015-08-06 | (주)에이스앤아이 | Unlocking device for door release |
CN108338560A (en) * | 2018-01-11 | 2018-07-31 |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 Door opener execution device, door opener and disinfection cabinet |
CN111558185A (en) * | 2020-05-15 | 2020-08-21 | 安徽新盾消防设备有限公司 | Fire-proof door |
CN118327430A (en) * | 2024-06-12 | 2024-07-12 | 长沙永昌车辆零部件有限公司 | Door frame sealing strip structure and processing equip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31611A (en) | 1996-11-05 | 1998-05-19 | Ryobi Ltd | Window opening/closing operating device |
KR200194351Y1 (en) | 2000-02-25 | 2000-09-01 | 김학겸 | Window frame mov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window system by remote control |
EP1813757A1 (en) | 2006-01-25 | 2007-08-01 | VKR Holding A/S | Push-pull chain window actuator |
EP2186984A1 (en) | 2008-11-18 | 2010-05-19 | Antoniolli Mario & C. Sas | Drive member for a door or main door |
-
2012
- 2012-11-26 KR KR1020120134198A patent/KR10122596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31611A (en) | 1996-11-05 | 1998-05-19 | Ryobi Ltd | Window opening/closing operating device |
KR200194351Y1 (en) | 2000-02-25 | 2000-09-01 | 김학겸 | Window frame mov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window system by remote control |
EP1813757A1 (en) | 2006-01-25 | 2007-08-01 | VKR Holding A/S | Push-pull chain window actuator |
EP2186984A1 (en) | 2008-11-18 | 2010-05-19 | Antoniolli Mario & C. Sas | Drive member for a door or main door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2087B1 (en) | 2013-04-17 | 2015-08-06 | (주)에이스앤아이 | Unlocking device for door release |
CN108338560A (en) * | 2018-01-11 | 2018-07-31 |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 Door opener execution device, door opener and disinfection cabinet |
CN111558185A (en) * | 2020-05-15 | 2020-08-21 | 安徽新盾消防设备有限公司 | Fire-proof door |
CN111558185B (en) * | 2020-05-15 | 2021-05-11 | 安徽新盾消防设备有限公司 | Fire-proof door |
CN118327430A (en) * | 2024-06-12 | 2024-07-12 | 长沙永昌车辆零部件有限公司 | Door frame sealing strip structure and processing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5960B1 (en) | The driving mechanism, which make door close automatically by using cam gear on firing | |
KR101524344B1 (en) |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window | |
KR102058079B1 (en) | Smoke extraction system with ventilation and fire suppression damper | |
US20090025296A1 (en) | Sliding door and window operating system | |
KR102321041B1 (en) | elevator car door opener | |
KR101486167B1 (en) | Automatic closer for a fire door | |
WO2012016108A2 (en) | Automatic door opener | |
KR101377300B1 (en) | Automatic window open and close device with switch to easily sense opening and closing status | |
KR101493000B1 (en) | Automatic fire door having anti-panic function | |
KR101326363B1 (en) |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window | |
KR20150056883A (en) |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window | |
JP2020514578A (en) | Gate with emergency opening device | |
KR101021339B1 (en) | Automatic closing device for fire door | |
KR101195317B1 (en) | Automatic closing device for a fire door | |
KR101798987B1 (en) | Door driving system for automatic door | |
JP3142139U (en) | Position limit type horizontal curtain | |
KR102040917B1 (en) | Devices that open and close sliding window | |
KR101442922B1 (en) | door closer closure device | |
KR101728297B1 (en) |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KR20060023366A (en) | Smoke detection automatic switchgear of fire door | |
JP2007291818A (en) | Gate opening/closing device | |
JP2003104670A (en) | Door device for home elevator | |
KR101469409B1 (en) | Automatic Window Open and close Device with switch to easily sense opening and closing status | |
KR101983607B1 (en) |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evacuation gates | |
JP4861786B2 (en) | shut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1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