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24685B1 -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685B1
KR101224685B1 KR1020100116614A KR20100116614A KR101224685B1 KR 101224685 B1 KR101224685 B1 KR 101224685B1 KR 1020100116614 A KR1020100116614 A KR 1020100116614A KR 20100116614 A KR20100116614 A KR 20100116614A KR 101224685 B1 KR101224685 B1 KR 101224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imp
powder
hyperlipidemia
cholestero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095A (ko
Inventor
조순영
문은희
권준구
이승주
하왕현
최혜진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68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2Crustaceans, e.g. crabs, lobsters, shrimps, krill or crayfish; Barna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the powdered salted shrimp, the polar solvent soluble extract or insoluble extract thereof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and atherosclerotic-vascular diseases}
본 발명은 새우젓 분말, 새우젓 유기용매 가용추출물 또는 불용성 잔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Bae SW, Choi SY, Jin HS, Kim CW, Lee KE, Kang ES, Park JY, Hong SP, Choi HY, Jung JH, Kim YS and Hong CS. 2003. Changes of allergenecity of salted and fermented shrimp.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3, p44-52.
[문헌 2] Chen PS, Toribara TY and Warnerm H. 1956. Microdetermination of phosphorus, Anal . Chem 28, p1756-1760.
[문헌 3] Folch J, Less M and Sloane 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 p23
[문헌 4] Friedewald WT, Levy RF and Frede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 Chem 18, p499-602.
[문헌 5] Hayashi H, Shitara M and Yamasaki F. 1982. The origin of lipid accumulated in the liver lysosomes after administration of triton WR-1339. J. Biochem. 92, p1585-1590.
[문헌 6] Hsu HC, Lee YT and Chen MF. 2000. Effect of n-3 fatty acids on the composition and binding properties of lipoproteins in hypertriglyceridemic patients. Am. J. Clin. Nutr., 71, p28-35.
[문헌 7] Hur SH. 1996. Critical review o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ization of salt-fermented fish produ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p885-891
[문헌 8] Kobatake Y, Saito M, Kuroda K, Kobayashi S, Innami S. 1987. Influence of fish consumption on serum lipid and lipid peroxide concentrations in middle aged subjects. J Japan Soc Nutr & Food Sci 40, p103-110.
[문헌 9] Kusama H, Nishiyama M and Ikeda S. 1988.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 of bezafibrate a hypolipidemic agent(1). Effects of bezafibrate on normal and experimental hyperlipidemia in rats. Nippon yakurigaku Zasshi. 92, p175-180.
[문헌 10] Lind L, Vessby B and Sundstrom J. 2006. The apolipoprotcin B/AI ratio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dependently predict risk for myocardial infarction in middle-aged men.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6, p406-410.
[문헌 11]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and Rardall RJ. 1951 : J. Biol. Chem, p193- 265.
[문헌 12] Mc Growan MW, Artiss JD and Stramdbergh DR. 1983. Aperoxid ase-coupled method for th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serum triglycerides. Clin. Chem 29, p538.
[문헌 13] Mirsa HP, Fridovich I. 1972. The generation of superoxide radical during the autoxidation of hemoglobin. J Biol Chem 247, p6960-6962.
[문헌 14] Noma A, Matsushita S and Komori T. 1986.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of very old people in the diagnosis of dementia. Oxford Journals 15, p267-270.
[문헌 15] Richmond W. 1976.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by continuous flow analysis. Clin. Chem., 22, p1579.
[문헌 16] Wout ZG, Pec EA, Maggiore JA, Willams RH, Palichara P and Johnston TP. 1992. Poloxamer 407-mediated changes in plasma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following intraperitoneal injection to rats. Paenter Sci. Technol. 46, p192-200.
[문헌 17] Yagi K. 1987. Lipid peroxides and human diseases. Chemistry and Physics of Lipids 45, p337-342.
[문헌 18] 이기완 외 4, 한국인의 식생활 100년 평가(Ⅰ), 신광출판사, 1998
[문헌 19] 김은경 외 4, 생활주기영양학. 신광출판사, 2005
[문헌 20] 조성희, 지질과 동맥경화증,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1), pp.170-179, 1994
[문헌 21] 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연구소, 영양과 특수질병과의 상관관계 연구, 1988
[문헌 22] Eddy, N. B. et al,,, Synthetic analgesics. II. Dithienylbutenyl- and dithienylbutylamines. J Pharmacol Exp Ther. 107(3), pp.385-393, 1953
[문헌 23] D,Amour, F.E., et al,,, A method for determining loss of pain sensation. J. Pharmacol. Exp. Ther. 72, p.74, 1941
[문헌 24] Imad Damaj, M. et al,,, Tolerance to the antinoceptive effect of epibatine after acute and chronic administration in mice. Euorpian J Pharmacol. 300, pp.51-57, 1996
[문헌 25] 김송전, 김만수. ω-3지방산이 콜레스테롤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화학회지, 1991
[문헌 26] 백인경 외, 인슐린비의존형당뇨병 환자에서 어유 투여량이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6(6), pp.672-679, 1993
[문헌 27] Schoen FJ et al.,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 th ed ., pp.473-484, 1994
[문헌 28] 국승래 외, 가정의학회지, 18(3), pp.317-327, 1997
[문헌 29] Ham IH et al., Kor. J, Herbology, 20, pp.45-52, 2005
[문헌 30] Lee HH et al., Kor. J. Anesthesiol, 40, pp.515-521, 2001
[문헌 31] Choi JY et al., J. Kor. Pharm. Sci., 18, pp.240-241, 1988
[문헌 32] Kim KK et al., J. Kor. Pharm. Sci., 28, pp.15-23, 1998
[문헌 33] Nash VJ et al., Pharmacotherapy, 16, pp.10-15, 1996
[문헌 34] Stellato C. et al., Br. J. Anaesth., 67, pp.751-758, 1991
[문헌 35] Rhee, S.K., et al,,, Lipid Content of Different Sec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pp.82-88, 2001
[문헌 36] 김소미 외, 누구나 알아두면 좋을 우리생선 이야기, 효일, 2002
[문헌 37] Oh, S.H., Kim, D.J, .The Change in Content of Constitutive Lipid and Fatty Acid of Pacific Saury during Natural Freezing Dry(Kwa Mae Kee), Korean J. Food & Nutrition, pp.239-252, 1995
질병은 인간생활의 한 부분으로 시대의 변천에 따라 그 양상도 변해왔다. 지난 100년간 우리 사회가 겪어온 경제적인 발전 및 고도의 산업화, 급격한 인구 증가 및 밀집화, 환경과 보건위생의 개선, 그리고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 등은 다른 어느 시기보다도 우리 국민의 질병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우리나라 질병구조는 감염성 질환에서 성인병 시대로 이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질병 이환수준과 사망수준도 달라지고 있다(이기완 외 4, 한국인의 식생활 100년 평가(Ⅰ), 신광출판사, 1998). 한국인의 사인(死因)구조를 보면 1950년대 이전에는 결핵, 기관지염, 위장염, 등이 상위를 차지하였으나 1997년 사인 구성비를 보면 제1순위는 순환기계 질환(고혈압성질환, 뇌혈관 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동맥경화 등)으로 전체 사망의 23.4%를 차지하고 있다(김은경 외 4, 생활주기영양학. 신광출판사, 2005). 심장혈관계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장년층 조기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전 및 여러 환경 요소들에 의하여 발생되는 다요인적 질병으로 지질 영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조성희, 지질과 동맥경화증,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1), pp.170-179, 1994; 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연구소, 영양과 특수질병과의 상관관계 연구, 1988).
혈청 지질의 농도가 정상보다 많은 경우를 고지혈증이라고 말하며(Illingworth, D. R. et al,,, Atherosclerosis, 4, p.270, 1984), 이러한 증상은 소장에서의 중성지방의 합성 증가, 간에서의 중성지방의 합성 증가, HDL-cholesterol의 합성 감소, VDL-cholesterol 합성 및 분비 증가(Eddy, N. B. et al,,, Synthetic analgesics. II. Dithienylbutenyl- and dithienylbutylamines. J Pharmacol Exp Ther. 107(3), pp.385-393, 1953; D,Amour, F.E., et al,,, A method for determining loss of pain sensation. J. Pharmacol. Exp. Ther. 72, p.74, 1941; Imad Damaj, M. et al,,, Tolerance to the antinoceptive effect of epibatine after acute and chronic administration in mice. Euorpian J Pharmacol. 300, pp.51-57, 1996) 또는 지질과산화에 따른 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발병된다(김송전, 김만수. ω-3지방산이 콜레스테롤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화학회지, 1991; 백인경 외, 인슐린비의존형당뇨병 환자에서 어유 투여량이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6(6), pp.672-679, 1993).
고지혈증(hyperlipidemia)에 있어 증가된 혈청 지질성분의 주요 성분은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및 유리지방산 등의 지용성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지질 물질 중 어느 것이 주로 증가하느냐에 따라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inemia), 고중성지질혈증(hypertriglyceridemia) 등으로 불려진다. 혈청 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증가가 고지혈증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 취급되고 있는데, 과다한 지방질의 축적으로 혈액순환장애 및 미세순환부전을 일으키고, 이로 인하여 죽상동맥경화증, 허혈성 심질환, 뇌경색, 고혈압, 비만, 당뇨병 등을 초래할 수 있다(Schoen FJ et al.,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 th ed ., pp.473-484, 1994).
콜레스테롤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며, 지단백(lipoprotein)이라는 작고 둥근 입자형태로 혈액 중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 지단백이 콜레스테롤을 우리 몸 곳곳으로 운반한다. 지단백에는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 및 고밀도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HDL) 두 종류가 있으며, 고밀도지단백은 다른 조직에서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기 때문에 고밀도지단백이 많으면 혈관 등에서 콜레스테롤이 제거되며, 반면 저밀도지단백은 간에서 주로 생성되어 인체의 다른 조직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므로 저밀도지단백이 많으면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많이 쌓여서 동맥경화가 촉진되며, 혈중 콜레스테롤의 약 70%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으로 존재한다.
실제적으로 콜레스테롤은 인체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필수적인 구성 성분이며, 세포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영양소이고, 부신피질 호르몬, 남성 호르몬, 여성 호르몬 등 여러 가지 호르몬의 재료가 되는 성분이며, 담즙을 만드는 재료가 된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동시에 호르몬 합성의 출발물질로 쓰이는 등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과다 섭취 시 혈관 내에 축적되어 심장계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까지는 저콜레스테롤 식이요법 외에는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콜레스테롤 저하제 등의 약품 복용이 효과는 있으나, 콜레스테롤 합성효소의 작용억제에 따른 간 기능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인체 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는 키토산(chitosan), 피토스테롤(phytosterol), 이노시톨(inositol), 펙틴(pectin) 등이 있으나, 피토스테롤을 제외한 경우는 그 효과나 대사 기작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식물성 스테롤인 피토스테롤은 콜레스테롤과의 구조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해로운 저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과의 경쟁을 통하여 인체 내 콜레스테롤 흡수 대사를 저해하는 작용 기작이 이미 밝혀져 있고, 식품첨가물로서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이 되어 있다.
고지혈증 치료제는 지나친 혈중 지질, 특히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수치를 낮추기 위해 사용된다. 지질 대사에 사용되는 주요 약들은 스타틴, 담즙산 차단제, 피브르산 유도체 등이 있으며, 이 약들은 각각 다른 기전으로 작용한다. 고지혈증 치료제의 선택은 증가된 지단백의 종류에 따라서 이들 약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이들은 매일 경구로 장기간 복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약들은 콜레스테롤과 혈중 지질 농도를 효과적으로 떨어뜨리지만,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스타틴의 경우 구역, 두통, 복통과 설사나 변비가 나타날 수 있어 근육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고 담즙산 차단제는 비타민 A, D, K의 장 흡수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들 비타민 보충이 필요하다. 그리고 피브르산 유도체는 신장 질환, 간질환 또는 담낭 질환에는 부적합한 약이다. 따라서 이들 제제를 대신할 의약품 및 천연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국승래 외, 가정의학회지, 18(3), pp.317-327, 1997).
동맥경화는 뇌졸중과 관상동맥질환 같은 혈관질환의 원인이 된다. 특히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협심증 및 급성 심근경색증은 지난 20-30년 동안 급격한 사회적, 경제적 발전과 서구화된 생활방식 등으로 인해 현저히 증가하여 왔다. 동맥경화는 현재 순환기 질환 중 고혈압 다음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며 암과 함께 사망원인으로 큰 비중을 차지함으로서 국민보건 상 가장 중요한 질환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동맥경화의 병인 기전 및 치료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동맥경화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혈장 지질, 특히 혈장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중성지질의 상승이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고지혈증은 동맥경화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허혈성심질환과 뇌혈관장애 등 주요한 사망원인이 되는 병태로서 임상상으로도 중요하다. 동맥경화 예방에는 지질 개선과 고지혈증의 개선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실험적 고지혈증의 병태 모델은 크게 외인성 모델과 내인성 모델로 나누어진다. 외인성 고지혈증 병태 모델로는 고콜레스테롤식이 부하에 의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모델, 즉 비타민D, 콜레스테롤, 올리브유, 옥수수유 등의 투여에 의한 고지혈증 모델이 있고, 내인성 고지혈증 모델로는 과당(fructose)투여 및 WR-1339(Tripton WR-1339) 투여에 의한 모델 등이 있다(Ham IH et al., Kor. J, Herbology, 20, pp.45-52, 2005). 그 중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은 마취제의 유화제(Lee HH et al., Kor. J. Anesthesiol, 40, pp.515-521, 2001), 난용성 약물 용해제(Choi JY et al., J. Kor. Pharm. Sci., 18, pp.240-241, 1988), 피부연고제(Kim KK et al., J. Kor. Pharm. Sci., 28, pp.15-23, 1998)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인체 내 투여 시 지질이 증가하며 특히 중성지질이 증가됨으로써 고지혈증을 유발한다. 폴록사머 주입 후 최소 24시간 동안 지질세포(adipocyte)에서 유리지방산이 생성되며(Nash VJ et al., Pharmacotherapy, 16, pp.10-15, 1996), 지단백 분해효소(lipoprotein lipase, LPL)의 작용을 방해하는 중성지질의 분해속도를 감소시키고(Stellato C. et al., Br. J. Anaesth., 67, pp.751-758, 1991),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이 증가되는데 이는 간에서의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 보조효소 A(HMG-CoA; 3-hydroxy-3-methylglutaryl CoA)의 활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Wout G. M. et al., J. Paren. Sci. Technol., 46, pp.192-200, 1992).
혈중 지질과산화는 세포독성을 초래하여 노화현상이나 이에 따른 각종 질환의 병리 현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해독기구의 작용으로 무독화된다고 한다(Rhee, S.K., et al,,, Lipid Content of Different Sec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pp.82-88, 2001; 김소미 외, 누구나 알아두면 좋을 우리생선 이야기, 효일, 2002; Oh, S.H., Kim,D.J, .The Change in Content of Constitutive Lipid and Fatty Acid of Pacific Saury during Natural Freezing Dry(Kwa Mae Kee), Korean J. Food & Nutrition, pp.239-252, 1995).
예로부터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일본 및 동남아 제국에서 젓갈 발효식품을 널리 이용해 왔다. 우리나라에서의 젓갈에 대한 문헌상의 기원은 신라 신문왕 3년(683년)에 왕비를 맞이할 때 폐백품에 解(젓갈 해)가 들어 있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처음이었고, 조선시대 어업의 발달과 함께 김치의 제조에 젓갈을 사용하였으며, 이후에는 어패류와 소금만으로 담근 지염해(현재의 젓갈)와 소금과 맥아 그리고 익힌 곡류를 침장원으로 한 식해류(생선식혜)로 대별되면서 그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젓갈은 어패류에 식염을 가하여 염장함으로서 부패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자가소화효소 또는 미생물의 효소작용에 의해 육질을 분해시킨 우리나라 전통의 수산 발효식품으로,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특별한 제조장치도 필요하지 않으며, 숙성 후의 제품은 독특한 감칠맛을 가지고있어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밑반찬이나 김치의 조미 소재로 많이 보급되어왔다. 그러나 젓갈은 전통적으로 고농도의 식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식염의 주성분이 성인병을 가져오는 원인의 하나라는 사실이 밝혀진 이래로 소비자들이 기피하고 있어, 저염 젓갈의 제품과가 절실한 실정이다.
타 지역의 멸치젓, 새우젓, 까나리액젓, 멸치액젓 등의 젓갈은 적어도 20% 이상의 고염식품인데 반하여, 속초에서 지역특산품으로 만들어 내고 있는 새우젓, 가자미식해, 명태식해, 오징어젓, 새우젓 등의 양념 젓갈은 1.9~4.9% 정도의 매우 낮은 염농도를 나타내고 있어, 식염에 의한 고혈압 등 성인병의 염려 없이, 오히려 발효 중에 생성되는 기능성 유리 아미노산이나 GABA, 공역지방산 등 기능성 성분이 다량 생성되어 수산물 자체의 기능성에 더해져 그 기능성이 더 증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에 의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개선 및 동맥경화성 심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Poloxamer-407 또는 Triton WR-1339 투여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혈중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으며,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간조직 및 분변 중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청 중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인지질, 과산화지질 및 Hydroxyl radical 함량을 감소시키며, 혈청 중 SOD 활성을 증진시킴을 확인하였으며, 항비만, 항암, 항산화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공역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새우젓 분말은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제품형태 또는 이의 건조분말,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분말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새우젓 분말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새우젓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은 새우젓 분말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불용성 잔사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은 구체적으로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경색증, 협심증, 뇌졸중 또는 말초혈관질환, 바람직하게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를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새우를 채취하여 수세한 뒤 선별 및 정선의 과정을 걸친 새우를 조미액에 1시간 내지 60시간, 바람직하게는 10시간 내지 50시간 침지하는 제 1단계; 상기 조미된 새우에 고춧가루, 설탕, 마늘, 물엿 등을 첨가하여 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에서 1시간 내지 60시간, 바람직하게는 10시간 내지 50시간 저온 숙성하여 새우젓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조된 새우젓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제 3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새우젓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 1단계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미액은 소금 11.4%, 조미분말 4.5%, 솔비톨 2%, 주정 2%의 상대적 배합 중량비(w/w)가 5∼20 : 3∼10 : 1∼3 : 1∼3, 바람직하게는 5∼15 : 3∼8 : 1∼3 : 1∼3의 배합비로 섞은 조미액으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단계에서, 조미된 새우에 고춧가루, 설탕, 마늘, 물엿 등, 바람직하게는 고춧가루: 설탕: 마늘: 물엿의 상대적 배합 중량비(w/w)가 1∼15 : 1∼10 : 1 : 1∼3, 바람직하게는 1∼10 : 1∼5 : 1 :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 1∼4 : 1 : 1∼1.5로 조성된 추가성분을 배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은 예를 들어,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새우젓 분말에 상기 분말 중량의 약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배 부피(w/v)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에서 10분 내지 1시간, 바람직하게는 15분 내지 1시간 동안 냉침 추출법, 열수추출, 환류 순환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압력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법을 수행하여 추출한 후에, 감압여과를 통하여 각각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제외한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가용 추출물 및 새우젓 에탄올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수득하고 이를 각각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상기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새우젓 및 새우는 1일 0.5 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3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우젓 및 새우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은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새우젓 및 새우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새우젓 및 새우를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은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간조직 및 분변 중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청 중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인지질, 과산화지질 및 Hydroxyl radical 함량을 감소시키며, 혈청 중 SOD 활성을 증진시킴을 확인하였으며, 항비만, 항암, 항산화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공역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한 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새우젓 분말,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불용성 잔여물의 제조
1-1. 동결건조물의 제조
속초에서 어획한 새우를 채취하여 수세, 선별 및 정선의 과정을 걸친 새우를 소금 11.4%, 조미분말 4.5%, 솔비톨 2%, 주정 2%을 섞은 조미액에 48시간 침지한 조미된 새우에 고춧가루(1~10%), 설탕(1~10%), 마늘(1~10%), 물엿(1~10%) 등을 첨가하여 0~10℃에서 48시간 저온 숙성하여 새우젓을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제조된 새우젓을 초저온냉동기(DFS520, 한국 일신랩)를 이용하여 -70℃에서 동결시킨 뒤, 진공동결건조기(PVIFD30A, 한국 일신랩)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여 새우젓 분말(이하 “SR-D”이라 함)을 수득하여 -40℃에서 그대로 보관하고 하기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1-2. 에탄올 추출물 및 불용성 잔여물의 제조
진공동결건조된 시료(200g 건조중량)를 1,000mL Erlenmeyer flask에 넣은 후 95% ethanol을 시료량의 4배(w/v) 첨가한 후에 30℃에서 30분 동안 초음파추출기로(sonication; power SONIC 520 HWASHIN) 초음파 추출한 후 감압여과하여 추출물(이하,“SRE”이라 함)과 잔사(이하,“SRER”이라 함)로 분리하였다.
잔사는 실온에서 에탄올을 제거한 후 -20℃이하에서 보관하였고, 에탄올 추출물은 감압농축기(BUCHI Rotavator; R-200)로 40℃에서 에탄올을 제거한 후 -40℃이하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되었다.
참고예 1. 실험준비
1-1. 실험동물, 사육환경, 실험군의 구성
본 시험에 사용한 SPF 25±3g의 ICR계 웅성 생쥐 및 140±10g의 Sprague Dawley(SD)계 흰쥐[(주) 효창사이언스(대구)]로부터 4주령의 수컷을 구입한 후 1주일 간 검역과 순화,사육을 거쳐 건강한 동물만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본시험의 사육환경은 온도 22±3℃, 상대습도 50±10%, 조명시간 12시간(07:00~19:00)로 설정된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실험동물 사육실(Glowth chamber SS-2000, 정도산업)에서 실시되었다. 사료는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중앙실험동물, 서울)를 음수는 상수도를 자유 섭취시켰다. 실험 시간 전 24시간 동안 물만 주고 절식하였다. 이때 효소 활성의 일중 변동을 고려하여 실험동물을 일정시간(오전 10:00~12:00) 내에서 처치하였다.
1-2. 검액의 제조
새우젓 분말,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잔사물을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4% tween 80을 사용하여 시료를 100, 200mg/kg 용량으로 4주간 각각의 실험군에 경구용 needle zonde을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1-3. 통계학적 분석
세 번의 실험결과에 대한 평균±표준편차의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분산의 동질성을 검정하기 위해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유의차가 5% 미만 (p<0.05)일 때,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데이터의 위첨자 알파벳이 서로 다른 것끼리는 통계적 유의차가 있음을 의미함).
실험예 1. 고지혈증 및 지질함량 측정 실험
1-1. Poloxamer -407 투여로 고지혈증 유발
Wout(Wout G. M. et al., 1992)등의 방법에 따라 시료의 마지막 투여일에 poloxamer-407(300mg/kg)을 ice bath에서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생쥐의 복강 내에 투여하고 24시간 후에 치사하였다.
1-2. Triton WR - 1339투여로 고지혈증 유발
Kusama(Kusama, H et al., 1988)등의 방법에 준하여 Triton WR-1339 투여 16시간 전부터 절식시킨 후 Triton WR-1339 200㎎/㎏를 꼬리정맥에 주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18시간 후에 CO2 gas로 마취하여 채혈하였다.
1-3. Cholesterol 유도 고지혈증의 유발
실험동물의 식이성 cholesterol 고지혈증의 유발은 sodium cholate 및 cholesterol을 첨가한 조제 시료를 6주간 사육하여 유발시켰다(표 1 참조).
Ingredient Basal Diet
(%)
Hyperlipidemic Diet
(%)
Casein 20.0 20.0
DL-Methionine 0.3 0.3
Corn Starch 15.0 15.0
Sucrose 50.0 34.5
Corn oil 5.0 -
AIN-mineral Mixture1) 3.5 3.5
AIN-vitamin Mixture2) 1.0 1.0
Fiber3) 5.0 5.0
Choline bitartate 0.2 0.2
Beef tallow - 20.5
1) Mineral mixture contain the following (g/kg diet): calcium phosphate dibasic 500.0, sodium chloride 74.0, potassium citrate monohydrate 220.0, potassium sulfate 52.0, magnesium oxide 24.0, magnesium carbonate 3.5, ferric citrate 6.0, zinc carbonate 1.6, cupuric carbonate 0.3, potassium iodate 0.01, chromium potassium sulfate 0.55, sucrose, finely powered make 1,000
2) Vitamin mixture(g/kg diet): thiamine HCl 0.6, biotin 0.02, riboflavin 0.6, cyanocobalamine 0.001, pyridoxine HCl 0.7, retinyl acetate 0.8, nicotinic acid 3.0, DL-tocopherol 3.8, Ca-pantothenate 1.6, 7-dehydrocholesterol 0.0025, folic acid 0.2, methionine 0.005, sucrose, finely powered make 1,000
3) Cellulose : Sigma Co. LTD., USA
1-4. 혈청 및 효소원의 조제
시료의 투입이 끝난 실험동물을 CO2로 가볍게 마취시켜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고, 채취한 혈액은 30분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여 지질, lipid peroxide, hydroxyl radical 함량 및 superoxide dismutase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1-5. 체중 및 지방 조직의 무게 측정
체중 변화는 실험 개시일로부터 1주일마다 측정하였으며, 지방 조직의 무게는 복강 및 고환주위의 지방을 채취하여 산출하였다.
1-6. 간조직 분변 중 지질 함량측정
간조직은 중량을 측정한 뒤 -70℃에 냉동 보관하였으며, 분변은 마지막 4일 동안의 것을 수거하였다.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측정은 Folch등의 방법에 따라 추출하였다. 즉 변은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 시켰으며, 간조직은 세절한 다음 teflon homogenizer로 마쇄하였다. 시료에 10배량의 용매(chloroform:methanol=2:1)를 첨가하여 지질을 반복 추출한 후 여과액을 수기에 넣고 감압농축하여 지질을 얻었다. 이에 메탄올을 가하여 잘 용해시킨 후 효소법을 이용한 kit(AM 202-K, Asan)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1-7. Total cholesterol 함량 측정
Richmond(Richmond W et al., 1976)등의 효소법에 의하여 조제된 kit(AM 202-K, Asan)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빙냉상에서 효소시약(cholesterol esterase 20.5U/ℓ, cholesterol oxidase 10.7U/ℓ, sodium hydroxide 1.81g/ℓ함유)을 효소시약 용해액(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13.6g/ℓ, phenol 1.88g/ℓ 함유)에 용해한 용액에 시료 20㎕에 조제한 효소 시액 3.0㎖을 첨가한 후 37℃에서 5분간 배양하여 시약 blank를 대조로 파장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혈중 함량은 ㎎/㎗로 표시하였다.
1-8. Triglyceride 함량 측정
McGowan(McGrowan M.w et al., 1983)등의 방법에 준하여 조제된 kit(AM 157S-K, Asan)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빙냉상에서 효소시약(lipoprotein lipase 10800U, glycerol kinase 5.4U, peroxidase 135000U, L-α-glycero phosphooxidase 160U 함유)을 효소시약 용해액[N,N-bis(2-hydroxyethyl)-2-aminomethane sulfonic acid 0.427g/㎗ 함유]에 용해한 용액에 시료 20㎕에 조제한 효소 시액 3.0㎖을 첨가한 후 37℃에서 10분간 incubation하여 시약 blank를 대조로 파장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혈중 함량은 ㎎/㎗로 표시하였다.
1-9. Phospholipid 함량 측정
Chen(Chen PS et al., 1956)등의 효소법에 의하여 조제된 kit(Iatron Chem. Co.)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빙냉상에서 효소시약(phospholipase 3.9U, choline oxidase 5.6U, peroxidase 3.6U, 4-aminoantipyrine 0.3252㎎ 함유)을 효소시약 용해액[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6.057㎎ 함유]에 용해한 용액에 시료 20㎕에 조제한 효소시액 3.0㎖을 첨가한 후 37℃에서 20분간 배양하여 파장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그 함량을 ㎎/㎗로 표시하였다.
1-10. High density lipoprotein - cholesterol ( HDL -C) 함량 측정
Noma(Noma A et al., 1986)등의 효소법에 의하여 조제된 kit(AM 203-K, Asan)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혈청 20㎕에 침강시약(dextran sulfate 0.1%, magnesium chloride 0.1M 함유) 0.2㎖를 가하고 잘 혼합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고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그 상징액을 0.1㎖ 취하여 효소시액 3.0㎖와 잘 혼합하여 37℃에서 5분간 배양하여 시약 blank를 대조로 파장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그 함량을 ㎎/㎗로 표시하였다.
1-11. LDL - 및 VLDL - chlesterol 함량 측정
LDL-C(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함량은 Fridewald(Friedwald, W.T et al., 1972)등의 방법에 따라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Figure 112010076324355-pat00001
VLDL(Very low density lipoprotein)의 함량측정은 혈청 총 콜레스테롤 - (HDL-C+LDL-C)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동맥경화지수(atherogenic index,AI)는 (혈청콜레스테롤-HDL-C)/HDL-C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1-12. 혈중 Lipid peroxide 함량 측정
Yagi(Yagi K. 1987)등의 방법에 따라 혈청 20㎕에 1/12N H2SO4 4.0㎖를 가하여 혼합하고 10% phosphotungstic acid 0.5㎖를 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인 혈청단백질만 취해서 다시 1/12N H2SO4 2.0㎖와 10% phosphotungstic acid 0.3㎖를 가하여 원심분리하였다. 침전물만을 취하여 증류수 4.0㎖와 0.67% thiobarbituric acid와 acetic acid를 1:1로 혼합한 용액을 1.0㎖를 가하고 95℃에서 60분간 반응시켜 실온에서 냉각 후 n-BuOH을 5.0㎖를 첨가하여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생성된 홍색의 n-BuOH을 취해 spectrofluorometer를 사용하여(Ex : 515nm, Em : 553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용액으로 tetraethoxypropane 0.5nmole을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혈청 lipid peroxide 함량을 산출하였다.
Figure 112010076324355-pat00002
1-13. 혈중 Hydroxyl radical 함량 측정
Kobatake(Kobatake Y et al., 1987)등의 방법에 따라 혈청 34.8㎕에 0.54M NaCl,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4), 10mM NaN3, 7mM deoxyribose, 5mM ferrous ammonium sulfate 및 증류수로서 333.3㎕가 되도록 첨가하여 vortex에서 잘 혼합하여 37℃에서 15분간 정치하였다. 혈청 67㎕를 취하고 여기에 8.1% sodium dodecyl sulfate 75㎕, 20% acetic acid 500㎕ 및 재증류수 25㎕를 넣어 혼합하였다. 여기에 다시 1.2% thiobarbituric acid 333㎕를 가하여 수욕조(10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실온에서 냉각한 다음 7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파장 532㎚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 검량선에 의하여 hydroxyl radical(nmole/mg protein)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1-14. 혈중 Superoxide dismutase ( SOD ) 활성 측정
Mirsa와 Fridovich(Mirsa, H.P. and Fridovich, I., 1972)의 방법에 따라 정량하였다. 혈청을 일정량 반응액[1mmol/L adrenalin(pH 2), 50mmol/L glycin(pH 10.2)]에 첨가하고 30℃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480nm에서 생성되는 adrenochrome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효소의 활성도는 superoxide dismutase의 U/g protein으로 표시하였다. SOD의 1 Unit는 50% 억제되는 adrenochrome의 생성율로서 산출하였다.
1-15.단백질 정량 및 통계처리
단백질의 함량은 Lowry(Lowry OH., 1951)등의 방법에 준하여 bovine serum albumin(Sigma, Fr. V)을 표준 품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평균치±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2. 실험 결과
2-1. Poloxamer -407 및 Triton WR -1339로 유발된 고지혈증 흰쥐에 대한 효
Poloxamer-407 및 Triton WR-1339는 세포의 lipase 활성을 억제하여 혈액내 triglyceride와 LDL을 증가시키고, high molecular weight Apo B, free 및 ester-bound cholesterol, phospholipid, fatty acid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ayashi et al., 1982).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새우젓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triglyceride 농도와 total cholesterol 농도를 관찰하였다.
Poloxamer-407을 투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한 경우에는 새우젓을 고농도(200mg/kg)로 처리한 군에서 triglyceride 및 total cholesterol 농도는 고지혈증 유도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확인되었다.
Triton WR-1339를 투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한 경우에는 새우젓 고농도(200mg/kg)로 처리한 군에서 triglyceride 및 total cholesterol 농도는 고지혈증 유도군에 비해 새우젓 투여군이 약 33%, 27%의 감소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확인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새우젓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백질 성분 보다는 미량성분인 지방성분이 Poloxamer-407 및 Triton WR-1339로 유도한 흰쥐에서 key compound임을 알 수 있었다.(표 2 및 3 참조)
Treatment Dose
(mg/kg)
Triglyceride T-Cholesterol
mg / dl
Normal 98.7 ± 20.6c 65.8 ± 16.4d
Poloxamer-407 1347.6 ± 213.5a 859.4 ± 101.6a
SR-D 100 1247.8 ± 189.2a 814.2 ± 96.8ab
200 893.5 ± 121.8b 625.4 ± 73.1c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fermented shrimp (SR-D) daily for consecutive four weeks before poloxamer-407 induced hyperlipidemic state. Mice were sacrificed 24 hrs later for poloxamer-407 treated. Values are represent mean ± S.D.(n=6).
Values sharing the same superscript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other(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reatment Dose
(mg/kg)
Triglyceride T-Cholesterol
mg / dl
Normal 94.7 ± 19.4c 68.7 ± 10.3f
Poloxamer-407 810.2 ± 89.6a 230.5 ± 21.8a
SR-D 100 721.4 ± 81.8ab 171.3 ± 21.5cd
200 694.3 ± 74.5b 139.6 ± 20.9e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fermented shrimp (SR-D) daily for consecutive four weeks before triton WR-1339(TWR) induced hyperlipidemic state. Mice were sacrificed 18 hrs later for triton TWR treated. Values are represent mean ± S.D.(n=6). Values sharing the same superscript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other(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2-2. 체중 변화
체중은 실험 개시일로부터 1주일마다 측정하였으며, 지방조직의 무게는 실험 마지막 날 복강 및 고환주위의 지방을 채취한 후, 측정하여 표 4, 5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6주간의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고지혈증이 유발된 실험동물의 6주째의 체중은 321.6±2.9g으로 일반 식이를 한 정상군(6주째, 279.2±1.8g)에 비하여 15% 정도의 무게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지혈증 실험동물에 새우젓 분말,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 새우젓 에탄올 추출잔사물을 투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혈증 실험동물에 새우젓 분말,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 새우젓 에탄올 추출잔사물을 투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 모두에서 복강 및 고환주의 지방조직 모두에게 무게 감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표 4 및 5 참조).
Treatment Dose
(mg/kg)
0 1 2 3 4 5 6
Weeks(g)
Normal 135.7±2.1c 158.6±1.5c 179.6±1.3d 196.3±2.6g 231.9±1.9h 261.6±3.7g 279.2±1.8f
Control 138.6±1.7ab 161.2±2.8abc 200.7±1.5b 241.8±3.3b 261.2±3.2c 301.7±2.1a 321.6±2.9b
SR-D 200 139.5±1.6a 160.4±1.4abc 209.5±2.4a 235.6±2.1d 256.7±1.6d 279.4±1.8e 304.3±3.1e
SRE 200 137.3±2.0abc 159.9±1.5abc 198.6±1.8b 230.3±1.9e 247.6±1.7f 265.3±2.4g 282.2±1.6f
SRER 200 136.8±1.9abc 161.3±2.4ab 210.7±3.4a 242.2±1.8b 268.5±1.7a 297.8±3.8ab 329.7±3.5a
Rats were rendered obese by high fat diet for 6 weeks including a orally administered fermented shrimp daily for consecutive 4 weeks, and killed 24hr after the last treatment of fermented squid. The assay procedure was described in the experimental methods. Values are mean±S.D. for five experiments. Values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Treatment Dose
(㎎/㎏)
Retroperitoneal Epididymal
㎎/g body weight
Normal 6.37 ± 1.16e 7.84 ± 0.36d
Control 13.4 ± 1.07a 11.8 ± 0.95a
SR-D 200 9.32 ± 0.92d 9.17 ± 0.39c
SRE 200 8.73 ± 0.99d 8.97 ± 0.40c
SRER 200 10.8 ± 0.72c 11.3 ± 0.47ab
The assay procedure was described in the experimental methods. Values are mean±S.D. for five experiments. Values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2-3. 혈청 지질 성분의 변화혈청 cholesterol 함량 변화 및 동맥경화 지
새우젓 추출물이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고지방 식이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에 새우젓 분말,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 새우젓 에탄올 추출잔사물을 투여하여 혈청 중 total lipid, phospholipi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VLDL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고 고지혈증이 동맥경화에 비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AI(Atherosclerosis Index)도 함께 관찰하였다.
새우젓 분말,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혈중 total lipid, Phospholipid, Triglyceride, LDL cholesterol, VLDL cholesterol의 수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HDL-cholesterol의 비율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혈증 유도군에서 14% 정도가 감소한 반면 새우젓 분말과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 투여 후 회복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지혈증은 동맥경화증의 지수로서 소장에서 중성지질의 합성과 chylomicron의 분비증가, 간장에서 중성지방의 합성증가, VLDL 및 LDL cholesterol의 분비증가, HDL cholesterol의 합성 감소 및 lipase의 활성 감소로 인한 말초 조직에서의 중성지방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새우젓 분말뿐만 아니라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 비만 흰쥐의 동맥경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6 및 7 참조).
Treatment Dose
(㎎/㎏)
Total lipid Phospholipid Triglyceride
㎎/㎗
Normal 231.4±50.6e 116.4±21.7bcd 57.2±8.54c
Control 331.7±49.3abc 146.7±20.3a 84.9±7.16a
SR 200 286.5±40.6cde 119.7±12.5bcd 69.2±3.47b
SRE 200 267.4±37.8de 115.2±13.8cd 63.2±4.11bc
SRER 200 352.4±41.5ab 139.6±14.4abc 80.6±7.21a
The assay procedure was described in the experimental methods. Values are mean±S.D. for five experiments. Values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Treatment Dose
(㎎/㎏)
Cholesterol (㎎/㎗) AI
Total HDL LDL VLDL
Normal 61.4±1.97d 41.6±1.43a 9.49±0.98c 11.8±0.87c 0.48±0.13c
Control 147.8±11.5a 35.6±1.51c 90.6±8.25a 16.7±1.46a 3.15±0.76a
SR 200 95.6±5.13bc 39.5±1.17b 41.2±6.08b 14.1±0.62b 1.42±0.51b
SRE 200 91.1±4.89c 40.2±1.01ab 38.3±7.11b 13.3±0.57b 1.27±0.39b
SRER 200 139.5±6.20a 36.0±1.33c 85.2±5.13a 16.1±1.25a 2.88±0.46a
The assay procedure was described in the experimental methods. Values are mean±S.D. for five experiments. Values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2-4. 간장조직 및 분변중 중성지질 및 cholesterol 함량 변화
식이성 고지혈증을 유도한 흰쥐에 새우젓 분말,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 새우젓 에탄올 추출잔사물을 경구 투여했을 때의 간장 조직중의 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실험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식이성 고지혈증이 유도하여 새우젓 분말,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 새우젓 에탄올 추출잔사물을 경구 투여한 흰쥐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간장 조직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함량이 낮았지만 새우젓 에탄올 추출잔사물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성지질의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투여군 모두 함량이 낮았는데, 새우젓 에탄올 추출잔사물 투여군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투여군은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새우젓 분말 뿐만 아니라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이 간장 조직의 지질 대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고지혈증 등의 질환에도 효과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증명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분변중 지질 함량은 투여군 모두 감소하였고 분변량 또한 감소하였는데 특히,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표 9). 이는 새우젓뿐만 아니라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의 투여에 따라 간장 및 근육에서 지방의 분해와 관련된 adiponectin의 농도가 증가되고, 지방산의 β-oxidation을 활성화시켜 지방산 합성을 억제한 결과라 하겠다.
Treatment Dose
(㎎/㎏)
Triglyceride Cholesterol
㎎/g of tissue
Normal 11.6 ± 0.89d 3.52 ± 1.11e
Control 27.8 ± 4.13ab 16.5 ± 2.18a
SR 200 17.3 ± 2.81c 10.9 ± 1.34c
SRE 200 15.4 ± 2.77c 8.4 ± 0.72d
SRER 200 23.9 ± 2.16b 15.3 ± 0.96a
The assay procedure was described in the experimental methods. Values are mean±S.D. for five experiments. Values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Treatment Dose
(㎎/㎏)
Fecal weight Cholesterol Triglyceride
g/day ㎎/day
Normal 3.83±1.16a   1.49±0.27c 7.92±0.97f
Control 4.47±1.25a   4.92±0.93a 13.6±1.04a
SR 200 4.40±1.12a   4.01±0.61ab 9.32±0.78de
SRE 200 4.45±0.81a   3.62±0.74b 8.97±0.92ef
SRER 200 4.35±0.92a   4.77±0.77a 11.2±1.12b
The assay procedure was described in the experimental methods. Values are mean±S.D. for five experiments. Values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2-5. 혈중 과산화지질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식이성 고지혈증을 유도한 뒤 새우젓 분말,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 새우젓 에탄올 추출잔사물을 투여하였을 때 혈중 과산화지질의 함량과 과산화지질생성계 및 제거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표 10-11). 과산화지질 함량은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실험군이 48.9±2.49nmole/ml로 정상군의 26.4±2.13nmole/ml 보다 2배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혈중 hydroxy radical의 함량도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새우젓 분말,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 새우젓 에탄올 추출잔사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실험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superoxide dismutase(SOD)활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고지혈증 유도 실험군의 경우는 정상군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SOD 효소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새우젓 분말뿐만 아니라 새우젓 에탄올 추출물 투여가 SOD 활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비만으로 인한 지질대사 이상과 과산화물의 축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reatment Dose
(㎎/㎏)
Content
MDA nmole/ml of serum
Normal 26.4±2.13g
Control 48.9±2.49a
SR 200 34.2±1.18f
SRE 200 32.5±1.09f
SRER 200 41.8±1.25d
The assay procedure was described in the experimental methods. Values are mean±S.D. for five experiments. Values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Treatment Dose
(㎎/㎏)
Hydroxyl radical SOD Activity
nmole/mg protein U/g protein
Normal 2.63±0.42c   3.49±0.73a
Control 5.42±0.56a   1.98±0.19c
SR 200 3.77±0.35b   2.77±0.14b
SRE 200 3.46±0.47b   2.92±0.18b
SRER 200 4.98±0.38a   2.07±0.13c
The assay procedure was described in the experimental methods. Values are mean±S.D. for five experiments. Values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SOD 1 Unit : Defined as the amount of enzyme that inhibits the rate of adrenochrome formation to 50%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SRE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SRER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SRE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SRE 10 mL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SRER 20 mL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SR-D 1000 mL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SRE 1000 mL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새우를 채취하여 수세한 뒤 선별 및 정선의 과정을 걸친 새우를 조미액에 1시간 내지 60시간 침지하는 제 1단계; 상기 조미된 새우에 고춧가루, 설탕, 마늘, 및 물엿을 첨가하여 0℃ 내지 50℃에서 1시간 내지 60시간 저온 숙성하여 새우젓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조된 새우젓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제 3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수득되는 새우젓 건조 분말 또는 새우젓 분말에 상기 분말 중량의 1 내지 100배 부피(w/v)의 50-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로 0℃ 내지 100℃에서 10분 내지 1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법을 수행하여 추출한 후에, 감압여과를 통하여 수득한 새우젓의 50-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새우를 채취하여 수세한 뒤 선별 및 정선의 과정을 걸친 새우를 조미액에 1시간 내지 60시간 침지하는 제 1단계; 상기 조미된 새우에 고춧가루, 설탕, 마늘, 및 물엿을 첨가하여 0℃ 내지 50℃에서 1시간 내지 60시간 저온 숙성하여 새우젓을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제조된 새우젓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제 3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수득되는 새우젓 건조 분말: 또는 새우젓 분말에 상기 분말 중량의 1 내지 100배 부피(w/v)의 50-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로 0℃ 내지 100℃에서 10분 내지 1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법을 수행하여 추출한 후에, 감압여과를 통하여 수득한 새우젓의 50-99%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삭제
KR1020100116614A 2010-11-23 2010-11-23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4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614A KR101224685B1 (ko) 2010-11-23 2010-11-23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614A KR101224685B1 (ko) 2010-11-23 2010-11-23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095A KR20120055095A (ko) 2012-05-31
KR101224685B1 true KR101224685B1 (ko) 2013-01-21

Family

ID=4627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614A KR101224685B1 (ko) 2010-11-23 2010-11-23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74A (ko) 2020-08-06 2022-02-15 김희정 마이크로웨이브 저온진공건조를 이용한 마른 새우젓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032B1 (ko) * 2015-07-24 2016-12-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새우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0910B1 (ko) * 2019-03-28 2020-08-04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Chp(사이클로-히스프로)를 포함하는 섬유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2053467B2 (en) 2020-12-18 2024-08-06 NovMeta Pharma Co., Ltd. Method of treating fibrosi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618A (ko) * 2001-06-29 2001-08-04 강원대 새우 발효액 추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물질
KR20060023503A (ko) * 2004-09-09 2006-03-14 유승화 심장 및 혈관질환, 혈액의 산성화의 예방 또는 치료를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618A (ko) * 2001-06-29 2001-08-04 강원대 새우 발효액 추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물질
KR20060023503A (ko) * 2004-09-09 2006-03-14 유승화 심장 및 혈관질환, 혈액의 산성화의 예방 또는 치료를위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74A (ko) 2020-08-06 2022-02-15 김희정 마이크로웨이브 저온진공건조를 이용한 마른 새우젓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095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163B1 (ko) 오징어젓 분말, 오징어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4685B1 (ko)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35530A (ko) 감귤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저해 억제용 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EP2027783A1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that is rich in phenolic compounds and use of said composition
KR101820096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979889B1 (ko) 우렁쉥이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9865B1 (ko) 명란젓 또는 명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105263A (ko) 항산화 및 항동맥경화 활성을 갖는 다시마 분말 또는알긴산이 제거된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182046B1 (ko)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24786A (ko) 오메가-3 지방산 함유 들기름, 토마토 추출물 및 파프리카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24730B1 (ko) 창란젓 분말, 창란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24615B1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00026600A (ko) 흑마늘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 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6960A (ko)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27586B1 (ko) 명란젓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1239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3493B1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20279A (ko) 3,4,5-트리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고지혈증 및 mmp 과다활성으로 인한 혈관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203752B1 (ko) 홍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79887B1 (ko)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32927A (ko) 청국장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 지질대사 개선용 조성물
KR20120016961A (ko) 미역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01151A (ko) 알칼리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39457B1 (ko) 괴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137931A (ko) 항비만 및 항혈전 효과를 갖는 오징어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