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13126B1 - 실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실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126B1
KR101213126B1 KR1020080032641A KR20080032641A KR101213126B1 KR 101213126 B1 KR101213126 B1 KR 101213126B1 KR 1020080032641 A KR1020080032641 A KR 1020080032641A KR 20080032641 A KR20080032641 A KR 20080032641A KR 101213126 B1 KR101213126 B1 KR 101213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bobbin
guide
winding
ya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4490A (ko
Inventor
킨죠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4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1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34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for laying subsidiary winding, e.g. transfer tails
    • B65H54/343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for laying subsidiary winding, e.g. transfer tails when starting winding on an empty bobbin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보빈 스위칭시에 있어서의 공(空)보빈으로의 실 권취 불량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공보빈에 권취된 후에 형성되는 번치 권취(bunch winding)의 양을 정확히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실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실 권취 장치는 보빈 스위칭시에 실(Y)이 공보빈(20b)을 경유해서 만(滿)권취 패키지(21)에 이르는 상태가 되었을 때 이 실(Y)을 트래버싱 범위보다 보빈(20)의 축방향 외측의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시키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공보빈(20b)으로부터의 실(Y)이 만권취 패키지(21)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와,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의해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된 실(Y)을 파지하는 실 파지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 파지 기구(40)의 고정 가이드(41)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실 파지 기구(40)의 가동부(42)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실 권취 장치

Description

실 권취 장치{YARN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실을 보빈에 권취해서 패키지를 형성함과 아울러 만권취상태의 패키지가 형성된 보빈과 공(空)보빈을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된 실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방사기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실을 보빈에 권취하는 실 권취 장치(테이크업 와인더)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1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이 실 권취 장치는 복수의 보빈이 장착된 보빈 홀더를 회전시키면서, 공급된 복수의 실을 트래버싱 장치에 의해 각각 보빈의 축방향으로 트래버싱하면서, 복수의 보빈에 각각 실을 권취해서 복수의 권취 패키지를 동시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 권취 장치는 회전 가능한 터렛에 각각 지지된 2개의 보빈 홀더를 갖는다. 그리고, 한쪽의 보빈 홀더에 장착되어 있는 보빈에 형성된 패키지가 만권취상태로 되면 터렛을 회전시킴으로써 만권취 패키지가 형성된 보빈을 다른쪽의 보빈 홀더에 장착되어 있는 공보빈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보빈 스위칭 동작(보빈 체인지)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쪽의 보빈 홀더에 장착된 보빈에 만권취상태의 패키지가 형성되면, 터렛을 회전시켜 서 만권취 패키지를 그 외주면이 콘택트 롤러와 접촉하는 실 권취 위치로부터 이동시킴과 아울러, 다른쪽 보빈 홀더에 장착된 공보빈에 만권취 패키지를 향해서 주행하는 실을 접촉시킨다. 다음에 공보빈으로부터 만권취 패키지에 이르는 사도(絲道)에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thread handler guide)를 진출시킨 후, 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를 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실을 공보빈의 단부에 근접시킨다. 이 실 처리 동작은, 다음 공정에 있어서 패키지의 실의 단부를 인출해서 다른 패키지의 실의 단부와 실 연결을 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보빈의 축방향 중앙부의 본 권취부분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에 실의 단부를 튀어나오게 해 두는 소위 번치 권취를 행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방사기로부터 실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하류측의 만권취 패키지가 장착된 보빈 홀더의 회전을 감속시키면, 공보빈과 만권취 패키지 사이의 실의 장력이 저하되어 느슨해진 실이 공보빈의 번치 권취 위치에 감긴다. 이 상태에서 공보빈이 장착된 보빈 홀더가 회전함으로써 공보빈의 번치 권취 위치에 있어서 번치 권취의 형성이 개시된다. 또한, 번치 권취가 개시되어서 공보빈에 실이 권취되어 가면, 공보빈과 만권취 패키지 사이에 있어서의 실의 장력이 커져서 실이 잡아 뜯겨져 실이 완전히 공보빈에 이송된 상태가 된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2-114443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1의 실 권취 장치에 있어서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에 의해 실을 공보빈 단부의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시킨 후, 하류측의 만권취 패키지의 회전을 감속시킴으로써, 실을 공보빈의 번치 권취 위치에 감기게 해서 번치 권취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만권취 패키지는 관성 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그 회전을 급감속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실의 장력을 급격히 저하시킬 수 없어 장력이 높은 상태가 잠시 계속됨으로써, 공보빈으로의 실 권취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실이 정상적으로 공보빈에 감긴 경우에도, 그 권취 타이밍(번치 권취가 개시되는 타이밍)은 만권취 패키지의 감속 개시부터의 실 장력의 시간적 변화에 의존한다. 그러나, 실 장력의 시간적 변화는 정밀도 좋게 예측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관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공보빈으로의 실 권취 타이밍(번치 권취 개시 타이밍)을 바르게 파악할 수 없고, 그 결과, 번치 권취의 양(권취수)을 정확히 관리할 수도 없으므로, 패키지 사이에서 번치 권취량이 불균일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빈 스위칭시에 있어서의 공보빈으로의 실 권취 불량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공보빈에 권취된 후에 형성되는 번치 권취의 양을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실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의 실 권취 장치는, 보빈이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보빈 홀더와,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실을 트래버싱하는 트래버싱 장치와, 실 권취 위치에 있는 보빈 홀더에 장착된 보빈에 실이 권취되어 만권취 패키지가 형성된 후에, 실이 권취 되는 보빈을 상기 만권취 패키지가 형성된 보빈으로부터 다른 보빈 홀더에 장착된 공보빈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공보빈에 대해서 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의한 보빈 스위칭시에 실이 상기 공보빈을 경유해서 상기 만권취 패키지에 도달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공보빈과 상기 만권취 패키지 사이의 실을 상기 트래버싱 장치에 의한 트래버싱 범위보다 상기 축방향 외측의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시키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와, 상기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에 의해 상기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된 실을 파지하는 실 파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권취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보빈 홀더 중 실 권취 위치에 있는 보빈 홀더에 장착된 보빈에 트래버싱 장치에 의해 트래버싱된 실이 권취됨으로써 이 보빈에 트래버싱 장치의 트래버싱 범위(트래버싱 폭)에 따른 소정 폭의 패키지가 형성되어 간다.
그 후에 보빈에 만권취상태의 패키지가 형성되었을 때에는, 스위칭 수단에 의해 실이 권취되는 보빈은 만권취 패키지가 형성된 보빈으로부터 다른 보빈 홀더에 장착된 공보빈으로 스위칭된다. 다음에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가 공보빈과 만권취 패키지 사이의 사도로 진출하여, 공보빈과 만권취 패키지 사이의 실을 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이 트래버싱 범위보다 축방향 외측의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된다.
또한,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된 실은 실 파지 수단에 의해 파지된다. 이렇게, 공보빈과 만권취 패키지 사이에서 실이 파지되면, 이 실의 장력은 급감소해서 상류측에서 느슨함이 생기므로 실은 빠르게 공보빈에 권취됨으로써 실 권취 불량도 생기기 어렵다. 또한, 실 파지 수단에 의한 실의 파지가 행해지면 곧바로 실장력이 저하되어 실이 권취되므로, 실 파지 타이밍과 실의 권취 타이밍이 거의 같아져서 번치 권취 개시의 타이밍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번치 권취량을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패키지 사이에서 번치 권취량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발명의 실 권취 장치는,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는 상기 실 파지 수단에 의해 실이 파지된 후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동안 실 처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실 파지 수단에 의한 실의 파지가 행해지면, 실의 장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곧바로 공보빈에 실이 권취된다. 그 때문에 실이 파지된 후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의 실 처리 상태를 정해진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만으로 번치 권취량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어 패키지 사이에서 번치 권취량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3 발명의 실 권취 장치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 파지 수단은, 상기 공보빈에 대해서 그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공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공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가 협동해서 실을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에 의해 실이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된 후, 가동부가 고정부에 대해서 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된 실이 고정부와 가동부에 의해 파지된다.
제 4 발명의 실 권취 장치는,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의한 보빈 스위칭시에 상기 공보빈으로부터의 실이 상기 만권취 패키지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실 낙하 방지 가이드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부가 상기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가 상기 실 낙하 방지 가이드에 대해서 상기 공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실을 상기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시킬 때 동시에 상기 가동부도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공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가 실을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 파지 수단의 고정부가 실 낙하 방지 가이드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실 파지 수단의 가동부가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만권취 패키지로부터의 실 낙하가 실 낙하 방지 가이드에 의해 방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가 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에 의해 실이 번치 권취 위치로 근접됨과 아울러, 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에 설치된 가동부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에 설치된 고정부에 의하여 실이 파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실 파지 수단의 가동부를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와 일체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번치 권취 위치로의 실 처리와 실의 파지를 동시에 행할 수 있으므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실 권취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실 권취 장치(1)에는 방사기(도시생략)로부터 고데트 롤러(godet roller)(2,3)를 통해 복수의 실(예를 들면 탄성사)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실 권취 장치(1)는 방사기로부터 공급된 복수의 실(Y)을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복수의 보빈(20)에 각각 권취함으로써 복수의 권취 패키지(21)를 형성한다.
실 권취 장치(1)는 기체 프레임(10)과, 기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판상의 터렛(12)과, 터렛(12)에 지지됨과 아울러 복수의 보빈(20)이 장착되는 2개의 보빈 홀더{13(13a,13b)}와, 보빈(20)에 권취되는 실(Y)을 트래버싱하는 트래버싱 장치(14)와, 권취 위치(P1)에 있는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보빈(20)(또는, 보빈(20)의 외주에 형성되는 패키지(21))에 접촉하는 콘택트 롤러(15)와, 2개의 보빈 홀더(13) 사이에서 실(Y)을 이송하는 실 이송 장치(1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원판상의 터렛(12)은 기체 프레임(10)의 연직면(5)에 평행한 자세로 기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터렛(12)의 회전중심에 대해서 서로 대칭인 2개의 위치에는 터렛(12)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보빈 홀더{13(13a,13b)}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들 2개의 보빈 홀더(13)는 터렛(12)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듯이, 각 보빈 홀더(13)에는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보빈(20)이 보빈 홀더(13)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장착된다.
터렛(12)은 도시가 생략된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 터렛(12)이 회전됨으로써, 2개의 보빈 홀더(13)가 콘택트 롤러(15)에 접촉해서 보빈(20)에 실(Y)이 권취되는 상방의 실 권취 위치(P1)와, 실 권취 위치(P1)와 터렛(12)의 회전중심에 관해서 점대칭인 위치인 하방의 대기 위치(P2)에 걸쳐 이동 가능하다.
실 권취 위치(P1)에 있는 보빈 홀더(13)(도 1에서는 보빈 홀더(13a))에 장착된 보빈(20)에 만권취상태의 패키지(21)가 형성되면, 터렛(12)이 도 1의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실 권취 위치(P1)에 위치하는 보빈 홀더(13a)와, 대기 위치(P2)에 위치하는 보빈 홀더(13b)가 스위칭된다. 즉 실(Y)이 권취되는 보빈(20)은 한쪽의 보빈 홀더(13a)의 만권취 패키지(21)가 형성된 보빈(20a)으로부터 대기 위치(P2)에 있는 한쪽의 보빈 홀더(13b)에 장착되어 있는 공보빈(20b)으로 스위칭된다. 이 보빈 스위칭을 행하는 터렛(12)이 본원 발명의 스위칭 수단에 해당된다.
또, 이 터렛(12)에 의한 보빈 스위칭시에는 대기 위치(P2)에 있는 보빈 홀더(13)는 도 7(c)에 나타내듯이, 일단, 실 권취 위치(P1)보다 화살표 방향으로 90°더 회전한(즉, 대기 위치(P2)로부터는 270° 회전한) 실 이송 위치(P3)로 이동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실 이송 장치(16)에 의해 만권취 패키지(21)로부터 실 이송 위치(P3)의 공보빈(20b)으로 실(Y)이 이송된 후에 공보빈(20b)이 장착된 보빈 홀 더(13b)는 실 권취 위치(P1)로 이동해서 공보빈(20b)으로의 실 권취가 개시되게 되어 있다.
터렛(12)에 지지된 2개의 보빈 홀더(13)는 도시가 생략된 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실 권취 위치(P1)에 있는 보빈 홀더(13)가 회전함으로써, 이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복수의 보빈(20)에 복수의 실(Y)이 각각 권취된다.
기체 프레임(10)의 터렛(12)보다 상측 부분에는 보빈 홀더(13)의 축방향으로 긴 승강 박스(17)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 박스(17)에는 트래버싱 장치(14)와 콘택트 롤러(15)가 지지되어 있다.
트래버싱 장치(14)는 실 권취 위치(P1)에 있는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복수의 보빈(20)에 대응하는 복수의 트래버싱 가이드(14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트래버싱 장치(14)는 복수의 트래버싱 가이드(14a)에 복수의 실(Y)이 각각 걸려진 상태로 보빈 홀더(13)의 축방향(도 1의 지면 수직 방향)에 관해서 복수의 트래버싱 가이드(14a)를 소정의 트래버싱 범위에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실(Y)을 각각 트래버싱하면서 대응하는 복수의 보빈(20)에 권취시켜서 복수의 패키지(21)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콘택트 롤러(15)는 보빈 홀더(13)와 평행한 상태에서 승강 박스(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콘택트 롤러(15)는 보빈(20)으로의 실 권취시에 패키지(21)에 소정의 접압을 부여하면서 회전함으로써 패키지(21)의 형상을 조정한다.
다음에 실 이송 장치(16)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콘택트 롤러(15), 2개의 보빈 홀더(13) 및 실 이송 장치(16)의 사시도, 도 4는 콘택트 롤 러(15), 2개의 보빈 홀더(13) 및 실 이송 장치(16)를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본 정면도이다.
도 1~도 4에 나타내듯이, 실 이송 장치(16)는 터렛(12)에 의한 보빈 스위칭시에 공보빈(20b)에 번치 권취(22)를 형성하기 위해서 실(Y)을 공보빈(20b)의 축방향 단부의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시키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공보빈(20b)으로부터의 실(Y)이 만권취 패키지(21)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를 구비하고 있다.
도 5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6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2~도 6에 나타내듯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는 모두 보빈(20)(보빈 홀더(1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판형상부재이며,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 위에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가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듯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는 기체 프레임(10)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요동 암(32)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도 7은 만권취 패키지(21)와 공보빈(20b)의 스위칭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와 같이, 실 권취 위치(P1)에 있는 한쪽의 보빈 홀더(13a)의 보빈(20a)에 만권취 패키지(21)가 형성되면, 도 7(b)에 나타내듯이, 터렛(12)이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대기 위치(P2)에서 대기하고 있던 공보빈(20b)이 장착된 보빈 홀더(13b)가 실 권취 위치(P1)에 도달하고, 그 공보빈(20b)에 실(Y)이 접촉한다. 그 후에 터렛(12)이 화살표 방향으로 90° 더 회전해서 도 7(c)에 나타내듯이 보빈 홀더(13b)가 실 권취 위치(P1)로부터 실 이송 위치(P3)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도 7(c)에 나타내듯이, 실(Y)이 공보빈(20b)을 경유해서 만권취 패키지(21)에 이르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 실 이송 장치(16)의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는 요동 암(32)과 일체적으로 요동한다.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는 공보빈(20b)으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도 7(c)의 2점 쇄선의 위치)와, 이 퇴피 위치로부터 공보빈(20b)과 만권취 패키지(21) 사이의 사도(Y2)까지 진출한 진출 위치(도7(c)의 실선 위치)에 걸쳐 이동 가능하다. 또한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에는 공보빈(20b)과 만권취 패키지(21) 사이의 사도(Y2')는 공보빈(20b)과 만권취 패키지(21)의 공통 접선 상에 있지만,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가 진출 위치까지 진출함으로써, 사도(Y2')가 콘택트 롤러(15)와 공보빈(20b) 사이의 사도(Y1) 부근까지 밀어 올려져 도 7(c)의 사도(Y2)로 변화된다.
또, 도 7(c)에 나타내듯이, 실 권취 위치(P1)가 아니라, 실 권취 위치(P1)보다 화살표 방향으로 90° 더 회전한 실 이송 위치(P3)까지 보빈 홀더(13)를 이동시키는 것은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를 진출 위치까지 진출시켰을 때에 공보빈(20b)으로의 실(Y)의 접촉 길이(권취각)를 크게 해서 실(Y)이 공보빈(20b)에 권취하기 쉽기 때문이다.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에 대해서 그 길이 방 향, 즉 보빈(20)(보빈 홀더(13))의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요동 암(32)에 연결되어 있다. 즉,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는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보빈(20)에 대해서 그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듯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의 상면에 고정된 유체압 실린더(33)의 로드(33a)와, 연결부재(3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유체압 실린더(33)의 로드(33a)가 진퇴함으로써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에 대해서 보빈(20)의 축방향(도 2의 좌우 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를 보빈(20)의 축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수단으로서는 유체압 실린더(33) 외에 스테핑 모터 등의 공지의 구동 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도 5에 나타내듯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선단부(공보빈(20)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복수의 보빈(20)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V자 노치형상의 맞물림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7(c)에 나타내듯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맞물림부(30a)는 공보빈(20b)으로부터 만권취 패키지(21)에 이르는 사도(Y2) 뿐만 아니라 콘택트 롤러(15)로부터 공보빈(20b)에 이르는 사도(Y1)까지 진출한다. 즉 맞물림부(30a)에는 사도(Y2)의 실부분이 그 안쪽부에 맞물림과 아울러 사도(Y1)의 실부분도 수용된다.
그리고, 유체압 실린더(33)에 의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에 대해서 보빈(20)의 축방향으로 구동됨으로써 복수의 실(Y) 각각에 대해서 사도(Y1)의 실부분과 사도(Y2)의 실부분이 트래버싱 장치(14)(트래버싱 가 이드(14a))의 트래버싱 범위(T)(도 4 참조)보다 축방향 외측의 번치 권취 위치까지 근접된다. 이 상태에서 공보빈(20b)이 장착되어 있는 보빈 홀더(13)가 회전됨으로써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복수의 공보빈(20b)의 단부에 각각 막대권취상의 번치 권취(22)가 형성된다.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는 요동 암(32)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술의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는 달리 보빈(20)의 축방향에 관해서 이동 불가능하다. 도 2~도 4 및 도 6에 나타내듯이,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의 선단부(공보빈(20)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보빈 홀더(13)에 장착된 복수의 보빈(20)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노치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노치부(31a)는 가이드의 길이 방향 일방측(도 6의 우측)에 있어서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의 선단부 외측 가장자리에 대해서 직각적으로 노치된 형상인 한편, 다른 쪽은 선단부 외측 가장자리에 대해서 완만하게 경사진 노치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 도 7(c)에 나타내듯이, 보빈 스위칭시에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가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함께 공보빈(20b)으로부터 만권취 패키지(21)에 이르는 사도(Y2)까지 진출했을 때에는 이 사도(Y2)의 실부분은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맞물림부(30a)에 맞물림과 아울러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의 노치부(31a)에도 맞물림된다. 이것에 의해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가 퇴피 위치로 되돌아올 때 까지 동안 공보빈(20b)으로부터 만권취 패키지(21)로 주행하는 실(Y)이 만권취 패키지(21)의 끝면으로 부터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실 이송 장치(16)에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의해 실(Y)이 공보빈(20b)의 번치 권취 위치까지 근접된 후에 실(Y)을 공보빈(20b)에 권취시키기 위해서 실(Y)을 파지해서 실장력을 저하시키는 실 파지 기구(40)(실 파지 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도 8(a)는 실 처리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실 이송 장치(16)의 일부 확대 평면도, (b)는 (a)의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를 지면 상측으로부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9(a)는 실 처리 상태에 있어서의 실 이송 장치(16)의 일부 확대 평면도, (b)는 (a)의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를 지면 상측으로부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8, 도 9에 있어서, 화살표 A는 실(Y)의 주행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6~도 9에 나타내듯이, 실 파지 기구(40)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공보빈(20b)에 대해서 그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고정 가이드(41)(고정부)와,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함께 공보빈(20b) 및 고정 가이드(41)에 대해서 공보빈(20b)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부(42)를 갖는다. 고정 가이드(41)와 가동부(42)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의 복수의 노치부(31a)나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복수의 맞물림부(30a)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보빈(20)에 대응해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고정 가이드(41)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를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부(41a)와, 이 베이스부(41a)의 일단으로부터 두갈래로 나뉘어짐과 아울러 베이스부(41a)에 대해서 하방으로 경사져서 연장되는 가이드부(41b)를 갖는다. 그리고, 고정 가 이드(41)는 두갈래의 가이드부(41)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에 형성된 노치부(31a)쪽을 향한 상태에서 베이스부(41a)가 판상의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의 선단부의 이면(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의 대향면)에 2개의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42)는 U자형상으로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U자상의 개방측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맞물림부(30a)쪽을 향한 상태에서 판 스프링의 일단부가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표면(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와의 대향면)에 2개의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도 8(a), (b)에 나타내듯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가 공보빈(20b)과 만권취 패키지(21) 사이의 사도(Y2)까지 진출한 직후의 상태(실 처리 전의 상태)에서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맞물림부(30a)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의 노치부(31a)가 보빈(20)의 축방향에 관해서 대략 같은 위치에 있고, 맞물림부(30a)와 노치부(31a)에 맞물리는 실(Y)은 보빈(20)의 축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설치된 가동부(42)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에 설치된 고정 가이드(41)는 맞물림부(30a)와 노치부(31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 9에 나타내듯이, 유체압 실린더(33)(도 2 참조)에 의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가 보빈(20)의 축방향(도 9의 화살표B의 방향)으로 구동되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맞물림부(30a)에 맞물림되어 있는 실(Y)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의 노치부(31a)에 맞물림된 상태 그대로 스레드 핸들러 가이 드(30)에 의해 보빈 단부의 번치 권취 위치까지 근접된다. 이 때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가동부(42)도 고정 가이드(41)에 대해서 보빈(20)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부(42)는 맞물림부(30a)와 노치부(31a) 사이의 실(Y)을 고정 가이드(41)의 두갈래의 가이드부(41b)로 밀어넣어면서 그 스프링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실(Y)을 밀착하면서 가이드부(41b)와 협동해서 실(T)을 파지(클램프)한다.
여기에서, 실(Y)은 방사기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가동부(42)와 고정 가이드(41)의 가이드부(41b) 사이에서 실(Y)이 파지되면, 파지 위치보다 상류측의 실(Y)의 장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순식간에 실(Y)이 느슨해진다. 그 때문에 실(Y)이 공보빈(20b)에 권취됨과 아울러 보빈 홀더(13b)의 회전에 의해 공보빈(20b)에 있어서의 번치 권취(22)의 형성이 개시된다. 이렇게, 실(Y)이 파지되면 곧바로 실(Y)이 공보빈(20b)에 권취되므로 실(Y)을 파지하는 타이밍과 번치 권취 개시의 타이밍이 거의 같게 된다. 따라서, 실을 파지하고나서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의한 실 처리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만으로 번치 권취량을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실 권취 장치(1)의 전기적인 구성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 둔다. 도 1에 나타내듯이 기체 프레임(10)내에는 실 권취 장치(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50)는 연산 처리 장치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ROM(Read-0nly Memory)과, 프로그램 실행시에 데이터를 일 시 기억하기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어 장치(50)는 기체 프레임(10)에 설치된 조작 박스(51)로부터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지령에 기초해서 터렛(12)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 보빈 홀더(13)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 트래버싱 장치(14), 콘택트 롤러(15) 및 실 이송 장치(16)의 유체압 실린더(33) 등 실 권취 장치(1)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음에 실 권취 장치(1)의 보빈 스위칭시에 있어서의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a)에 나타내듯이 실 권취 위치(P1)에 있는 보빈 홀더(13a)의 보빈(20a)에 만권취 패키지(21)가 형성되면, 도 7(b)에 나타내듯이 화살표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터렛(12)을 180° 회전시켜, 대기 위치(P2)에 있던 보빈 홀더(13b)를 실 권취 위치(P1)까지 이동시키고, 이 보빈 홀더(13b)에 장착되어 있는 공보빈(20b)에 실(Y)을 접촉시킨다.
또한, 터렛(12)을 화살표 방향으로 90° 회전시켜서,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보빈(20b)이 장착된 보빈 홀더(13)를 실 이송 위치(P3)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실 이송 장치(16)의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퇴피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진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양 가이드(30,31)의 선단부를 공보빈(20b)을 경유해서 만권취 패키지(21)에 이르는 사도(Y2)에 진출시킨다. 그러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맞물림부(30a)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의 노치부(31a)에 사도(Y2)의 실부분이 맞물림된 상태에서 이 실부분이 밀어올려지고, 사도(Y2)의 실부분이 콘택트 롤러(15)로부터 공보 빈(20b)에 이르는 사도(Y1) 부근까지 근접한다. 이에 따라 공보빈(20b)의 외주면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실이 접촉된다. 또한 이 때 도 3에 나타내듯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맞물림부(30a)에는 사도(Y2)의 실부분이 그 안쪽부에 맞물림과 아울러 사도(Y1)의 실부분도 수용된다.
이 실 처리전의 상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맞물림부(30a)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의 노치부(31a)가 보빈(20)의 축방향에 관해서 거의 같은 위치에 있고, 맞물림부(30a) 및 노치부(31a)와 맞물림되는 실(Y)은 보빈(20)의 축방향과는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유체압 실린더(33)에 의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를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에 대해서 보빈(20)의 축방향(도 9의 화살표B 방향)으로 구동한다. 그러면, 도 9(a),(b)에 나타내듯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의해 맞물림부(30a)에 맞물림되어 있는 사도(Y2)의 실부분 및 맞물림부(30a)내에 수용되어 있는 사도(Y1)의 실부분이 트래버싱 장치(14)(트래버싱 가이드(14a)의 트래버싱 범위(T)보다 더 외측의 보빈(20)의 축방향 단부의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된다.
이 때 동시에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설치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동부(42)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에 설치된 고정 가이드(41)에 대해서 보빈(20)의 축방향(도 9의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부(42)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맞물림부(30a)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의 노치부(31a) 사이의 실(Y)을 고정 가이드(41)의 두갈래의 가이드부(41b)에 밀어넣어 가이드부(41b)와 협동해서 실(Y)을 파지한다.
이와 같이 가동부(42)와 고정 가이드(41)에 의해 실(Y)이 파지되면, 실장력이 급격하게 감소되어, 실(Y)이 빠르게 공보빈(20b)의 번치 권취 위치에 권취되고, 또한, 보빈 홀더(13)의 회전에 의해 공보빈(20b)으로의 번치 권취(22)의 형성이 개시된다. 또 실(Y)의 파지와 거의 동시에 실(Y)이 공보빈(20b)에 권취되므로 번치 권취(22)의 양(권취수)은 실(Y)이 파지된 후의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실 처리 상태의 유지 시간에 거의 의존하게 된다. 그래서, 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실 처리 상태를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유지함으로써, 번치 권취(22)의 양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실 처리 상태의 유지 시간은 제어 장치(50)의 기억부에 미리 기억되어 있고, 이 기억되어 있는 시간에 따라 제어 장치(50)가 유체압 실린더(33)를 제어함으로써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실 처리 상태를 정해진 시간 만큼 유지시킨다.
또, 공보빈(20b)으로의 번치 권취(22)의 형성이 개시되면, 공보빈(20b)과 만권취 패키지(21) 사이의 사도(Y2)의 실부분에 큰 장력이 작용하고, 그 장력에 의해 실(Y)이 뜯어지듯이 절단된다. 그 결과, 만권취 패키지(21)로부터 공보빈(20b)으로 실이 이송된다.
또, 실 파지 기구(40)에 의해 실(Y)이 파지되면 빠르게 실(Y)은 공보빈(20b)에 권취되고, 번치 권취(22)의 형성이 개시되면 곧바로 공보빈(20b)과 만권취 패키지(21) 사이의 실(Y)이 절단되므로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의한 실 처리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 실(Y)이 실 파지 기구(40)에 의해 파지된 상태이어도 특별히 지장은 생기지 않는다.
실 파지 기구(40)(가동부(42) 및 고정 가이드(41))가 실(Y)을 파지한 후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해서 공보빈(20b)에 원하는 양의 번치 권취(22)가 형성되면 유체압 실린더(33)에 의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를 보빈(20)의 축방향 반대측(도 9의 화살표B와 반대측)으로 구동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내듯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때 실 파지 기구(40)(가동부(42) 및 고정 가이드(41))에 의한 실(Y)의 파지상태도 해제된다. 또한,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를 도 7(c)의 2점쇄선의 퇴피 위치까지 퇴피시킨다. 그러면,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맞물림부(30a)에 의한 실(Y)의 보빈(20)의 축방향에 관한 이동 규제가 해제되므로 실(Y)은 트래버싱 장치(14)의 트래버싱 가이드(14a)에 의해 트래버싱 범위(T)내에서 축방향으로 트래버싱된다.
또한, 터렛(12)을 도 7의 화살표 방향과는 반대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공보빈(20b)이 장착된 보빈 홀더(13)를 실 이송 위치(P3)로부터 실 권취 위치(P1)로 이동시키고, 공보빈(20b)의 외주면을 콘택트 롤러(15)에 접촉시킨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 롤러(15)에 의해 실층에 접압이 부여된 상태에서 트래버싱 가이드(14a)에 의해 트래버싱 범위(T)내에서 트래버싱되면서 실(Y)이 권취되어 보빈(20)에 패키지(21)가 형성되어 간다.
이상 설명한 실 권취 장치에 있어서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의해 공보빈(20b)으로부터 만권취 패키지(21)를 향하는 실(Y)이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된 후, 이 실(Y)은 실 파지 기구(40)에 의해 파지되므로 실 장력이 급감소되어 실(Y)이 빠르게 공보빈(20b)에 권취되게 되며, 실 권취 불량이 발생되기 어렵다. 또한, 실 파지 기구(40)에 의한 실(Y)의 파지가 행해지면 실(Y)은 곧바로 공보빈(20b)에 권취되므로 번치 권취 개시의 타이밍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실 파지 기구(40)에 의해 실(Y)이 파지된 후에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의한 실 처리상태를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 유지하는 것만으로 번치 권취(22)의 양을 정확히 관리할 수 있어, 패키지(21) 사이에서 번치 권취량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실 파지 기구(40)는 고정 가이드(41)와 이 고정 가이드(41)에 대해서 보빈(20)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부(42)의 협동에 의해 실(Y)을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가이드(41)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한편, 가동부(42)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만권취 패키지(21)로부터의 실 낙하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에 의해 방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가 보빈(20)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의해 실(Y)이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됨과 아울러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설치된 가동부(42)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에 설치된 고정 가이드(41)에 의해 실(Y)이 파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실 파지 기구(40)의 가동부(42)를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 일체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번치 권취 위치로의 실 처리와 그 후의 실(Y)의 파지를 동시에 행할 수 있으므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이하와 같은 여러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 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적절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 파지 기구(40)의 고정 가이드(41)와 가동부(42)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와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에 각각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고정 가이드(41)와 가동부(42)가 실 낙하 방지 가이드(31)나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와는 별도로 설치되고, 가동부(42)가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30)의 슬라이드 이동과는 독립적으로 보빈(20)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공보빈(20b)으로의 실(Y)의 권취각을 크게 하기 위해서 실 권취 위치(P1)로부터 90° 더 회전한 실 이송 위치(P3)에 공보빈(20b)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만권취 패키지(21)로부터 공보빈(20b)으로의 실 이송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권취되는 실(Y)의 종류나 실 장력 등의 여러가지 조건으로부터 공보빈(20b)으로의 실 권취 실패가 비교적 발생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실 권취 위치(P1)에 공보빈(20b)이 위치함과 아울러 대기 위치(P2)에 만권취 패키지(21)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실 이송이 행해져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실 권취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콘택트 롤러, 보빈 홀더 및 실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콘택트 롤러, 보빈 홀더 및 실 이송 장치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5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실 낙하 방지 가이드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만권취 패키지와 공보빈의 스위칭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스위칭 직전, (b)는 스위칭 도중, (c)는 실 이송중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8(a)는 실 처리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실 이송 장치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며, (b)는 (a)의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를 지면 상측으로부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9(a)는 실 처리 상태에 있어서의 실 이송 장치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며, (b)는 (a)의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와 실 낙하 방지 가이드를 지면 상측으로부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Claims (4)

  1. 보빈이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보빈 홀더;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실을 트래버싱하는 트래버싱 장치;
    실 권취 위치에 있는 보빈 홀더에 장착된 보빈에 실이 권취되어 만권취 패키지가 형성된 후에 실이 권취되는 보빈을 상기 만권취 패키지가 형성된 보빈으로부터 다른 보빈 홀더에 장착된 공보빈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
    상기 공보빈에 대해서 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의한 보빈 스위칭시에 실이 상기 공보빈을 경유해서 상기 만권취 패키지에 도달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공보빈과 상기 만권취 패키지 사이의 실을 상기 트래버싱 장치에 의한 트래버싱 범위보다 상기 축방향 외측의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시키는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 및
    상기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에 의해 상기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된 실을 파지하는 실 파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는 상기 실 파지 수단에 의해 실이 파지된 후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동안 실 처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 파지 수단은,
    상기 공보빈에 대해서 그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공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공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가 협동해서 실을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의한 보빈 스위칭시에 상기 공보빈으로부터의 실이 상기 만권취 패키지로부터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 낙하 방지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실 낙하 방지 가이드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부가 상기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레드 핸들러 가이드가 상기 실 낙하 방지 가이드에 대해서 상기 공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실을 상기 번치 권취 위치에 근접시킬 때 동시에 상기 가동부도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공보빈의 축방향으로 이동해서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가 실을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 장치.
KR1020080032641A 2007-06-27 2008-04-08 실 권취 장치 Active KR101213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69536 2007-06-27
JP2007169536A JP2009007110A (ja) 2007-06-27 2007-06-27 糸巻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490A KR20080114490A (ko) 2008-12-31
KR101213126B1 true KR101213126B1 (ko) 2012-12-17

Family

ID=4019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641A Active KR101213126B1 (ko) 2007-06-27 2008-04-08 실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007110A (ko)
KR (1) KR101213126B1 (ko)
CN (1) CN1013329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800B1 (ko) 2020-12-07 2021-04-01 강진주 페브릭얀 와인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7840B (zh) * 2013-08-29 2016-01-06 无锡宏源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弹力丝机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7035211B2 (ja) * 2018-10-09 2022-03-14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巻取機
JP7401333B2 (ja) * 2020-02-05 2023-12-19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巻取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443A (ja) * 2000-10-03 2002-04-16 Murata Mach Ltd 糸巻取装置及び糸巻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0106A1 (de) * 2000-08-17 2002-02-28 Schlafhorst & Co W Spulvorrichtung für eine Kreuzspulen herstellende Textilmas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443A (ja) * 2000-10-03 2002-04-16 Murata Mach Ltd 糸巻取装置及び糸巻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800B1 (ko) 2020-12-07 2021-04-01 강진주 페브릭얀 와인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2950B (zh) 2012-10-24
JP2009007110A (ja) 2009-01-15
CN101332950A (zh) 2008-12-31
KR20080114490A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1048B (zh) 用于操作生产交叉卷绕筒子的纺织机的工作站的方法和装置
EP2345611A2 (en) Yarn winding machine and yarn guiding method
KR101213126B1 (ko) 실 권취 장치
US3184174A (en) Yarn-spool winding machine with automatic spool-exchanging device
JPH0221485Y2 (ko)
JP2008290835A (ja) 糸条巻取機
US5566904A (en) Method for sequentially winding elastic yarn on a plurality of bobbin holders
US6053450A (en) Machine and method of forming yarn package
EP2105400A2 (en) Yarn winding machine and yarn winding method
JP2024122851A (ja) 糸巻取機
DE102014215599B4 (de) Garnwickelmaschine und garnwickelverfahren
KR100430991B1 (ko) 사조의 절환방법 및 장치
US3059867A (en) Device for readying of yarn ends, particularly in yarn-winding machines
CZ302137B6 (cs) Zpusob navíjení rotacne pohánených krížem vinutých cívek a zarízení k jeho provádení
JP3211766B2 (ja) 紡糸巻取機
JPH0717313B2 (ja) 巻き取り機
EP4424623A1 (en) Yarn winding machine
JP3610366B2 (ja) ターレット式巻取機
JPS59223666A (ja) 糸条巻取装置
JP2024038600A (ja) 糸巻取機
CN116654719A (zh) 丝线卷取机
CN118561090A (zh) 纱线卷取机
RU2078734C1 (ru) Способ намотки химической нити
JPH03186571A (ja) 糸条巻取装置
JP2017019570A (ja) 糸巻取装置のサービスユニット、及び、糸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5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4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