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294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2294B1 KR101212294B1 KR1020080006054A KR20080006054A KR101212294B1 KR 101212294 B1 KR101212294 B1 KR 101212294B1 KR 1020080006054 A KR1020080006054 A KR 1020080006054A KR 20080006054 A KR20080006054 A KR 20080006054A KR 101212294 B1 KR101212294 B1 KR 1012122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photosensitive member
- donor
- donor roller
- gap 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developing zone and before the supply, e.g. developer recovering roll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감광체와 도너롤러 사이의 간격 또는 도너롤러와 자기롤러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감광체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자기롤러와, 감광체와 자기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도너롤러를 구비하되, 도너롤러의 직경이 감광체와 자기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도너롤러의 직경이 감광체와 자기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마련된 상태에서 도너롤러를 가압하여 용이하게 감광체와 도너롤러 사이의 간격 또는 도너롤러와 자기롤러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너롤러와 자기롤러 사이의 간격과 도너롤러와 감광체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원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디지털화상신호를 받아 레이저스캐닝유닛(LSU)과 같은 광주사유닛에 의하여 감광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을 현상제를 이용하여 가시화상으로 현상하고, 이 가시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시키고 가시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에 융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유닛이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를 현상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200)은 감광체(220)와, 이 감광체(220)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자기롤러(240)와, 이 자기롤러(240)와 감광체(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도너롤러(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너롤러(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롤러(240)와 감광체(220)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절연성 현상제나 도전성 현상제를 사용하는 1성분현상방식의 경우 고화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자성캐리어와 토너를 사용하는 2성분현상방식의 경우 자기롤러(240)의 캐리어가 감광체(220)로 넘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현상유닛(200)에서 원하는 화상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너롤러(230)와 감광체(220) 사이의 간격 즉, 현상갭과, 도너롤러(230)와 자기롤러(240) 사이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롤러의 회전축(231)과 자기롤러의 회전축(241)이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관통홀(282,283)이 형성된 홀딩부재(281)가 마련되어 도너롤러(230)와 자기롤러(240)의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또, 홀딩부재(281)의 일측에는 이 홀딩부재(281)를 탄성 지지하여 홀딩부재(281)를 감광체(220) 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285)가 마련된다. 여기서, 탄성부재(285)는 홀딩부재(281)를 감광체(220) 측으로 밀어줌으로써, 도너롤러(230)와 감광체(2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자기롤러와 도너롤러 사이의 간격을 자기롤러의 회전축과 도너롤러의 회전축이 각각 끼워지는 홀딩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홀에 의해 결정되는데, 홀딩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홀의 정밀도와 자기롤러와 도너롤러의 회전축의 정밀도에 따라 자기롤러와 도너롤러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감광체와 도너롤러 사이의 간격 즉, 현상갭을 홀딩부재와 이 홀딩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역시 도너롤러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홀딩부재에 형성된 홀의 정밀도에 따라 감광체와 도너롤러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롤러와 도너롤러 사이의 간격 및 감광체와 도너롤러 사이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롤러와 도너롤러 사이의 간격 및 감광체와 도너롤러 사이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의 화상을 인쇄매체에 형성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자기롤러와, 상기 감광체와 상기 자기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도너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도너롤러의 직경은 상기 감광체와 상기 자기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너롤러와 상기 감광체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도너롤러와 상기 자기롤러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가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너롤러에는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간격 유지 시 상기 자기롤러에 접촉되는 제1갭링과, 상기 감광체에 접촉되는 제2갭링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감광체와 상기 자기롤러와 상기 도너롤러가 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 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기롤러와 상기 도너롤러에는 상기 현상유닛 몸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회전축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갭링과 상기 제2갭링은 상기 도너롤러의 회전축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갭링과 상기 제2갭링은 상기 도너롤러의 회전축에서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롤러의 회전축에는 제3갭링이 끼워지며,
상기 제3갭링은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상기 제1갭링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갭링과 상기 제3갭링은 상기 가압유닛에 의한 간격 유지 시 접촉되 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도너롤러를 홀딩하는 홀딩부재와, 상기 홀딩부재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홀딩부재에 홀딩된 상기 도너롤러를 상기 감광체 및 상기 자기롤러 측으로 밀어 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부재에는 상기 도너롤러를 홀딩하도록 상기 도너롤러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딩부재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상유닛의 몸체에는 결합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홀딩부재에는 상기 홀딩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 시 상기 결합리브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도너롤러의 직경이 감광체와 자기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가압유닛이 자기롤러의 회전축에 끼워진 제3갭링에 도너롤러의 회전축에 끼워진 제1갭링을 접촉되게 함으로써 자기롤러와 도너롤러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도너롤러의 직경이 감광체와 자기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가압유닛이 감광체에 도너롤러의 회전축에 끼워진 제2갭링을 접촉되게 함으로써 도너롤러와 감광체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 로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자기롤러 및 도너롤러의 회전축에 끼워진 각 갭링과 가압유닛에 의해 자기롤러와 도너롤러 사이의 간격 또는 도너롤러와 감광체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의 화상을 인쇄매체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급지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100), 전사유닛(40), 정착유닛(50), 배지유닛(60)가 설치된다.
본체(10)에는 이 본체(10)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커버(11)가 힌지 결합된다. 사용자는 커버(11)를 통해 본체(10)의 전면부를 개방한 후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를 점검하거나 현상유닛(100)과 같은 소모품을 교환할 수 있다.
급지유닛(20)은 인쇄매체인 용지(S)를 현상유닛(100) 쪽으로 공급한다. 급지유닛(20)은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21)와,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용지를 현상유닛(10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상유닛(100)은 감광체(1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 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 카트리지 형태로 마련되어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현상유닛(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전사유닛(40)은 감광체(110) 상의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킨다. 전사유닛(40)은 감광체(120)와 마주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되는 전사롤러(41)로 구성될 수 있다. 전사롤러(41)는 감광체(120) 표면의 가시화상이 용지에 전사되도록 용지를 감광체(120) 쪽으로 가압한다.
정착유닛(50)은 용지로 전사된 가시화상을 용지에 고정시킨다. 정착유닛(50)은 내부에 열원이 설치되는 가열롤러(51)와, 가열롤러(51)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되는 가압롤러(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지가 가열롤러(51)와 가압롤러(5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5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51)와 가압롤러(5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용지에 고정된다.
배지유닛(60)은 배지롤러들(61,62)을 구비하여 정착유닛(50)을 통과한 용지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현상유닛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상유닛(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현상유닛 몸체(110)를 구비하는데, 현상유닛 몸체(110)는 후술할 감광체(120), 도너롤러(130), 자기롤러(140), 대전롤러(150) 등이 설치되는 부품 설치부(111)와,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 저장부(112)로 나누어진다.
먼저, 현상제 저장부(11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가 저장되며, 이 현 상제 저장부(112)에 저장된 현상제를 자기롤러(14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160)와, 현상제 내부에서 토너가 굳지 않도록 교반시키는 교반기(170)가 설치된다. 공급롤러(160)는 상술한 각 롤러와 마찬가지로 현상유닛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부품 설치부(111)에 설치되는 감광체(120)는 그 외주면의 일부가 현상유닛의 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현상유닛 몸체 즉, 부품 설치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체(120)의 외주면에는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성 물질층의 코팅되어 있다. 또, 감광체(120)는 그 표면이 대전롤러(150)에 의해 일정 전위로 대전되고, 이렇게 대전된 감광체(120)의 표면에 광주사유닛(30)에서 주사되는 빔이 입사되면 전위차가 발생되면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자기롤러(14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20)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자기롤러(140)는 현상제 저장부(112)에 저장된 현상제를 공급받아 도너롤러(130)로 전달하며, 현상유닛 몸체 즉, 부품 설치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자기롤러(140)에는 현상유닛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회전축(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141)은 현상유닛 몸체(110)에 형성되는 축공(114)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자기롤러의 회전축(141)에는 자기롤러(140)와 도너롤러(130)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제3갭링(143)이 끼워진다.
도너롤러(130)는 자기롤러(140)로부터 전달된 현상제를 감광체(12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현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너롤러(13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20)와 자기롤러(140)의 사이에 배치되며, 자기롤러(140)와 마찬가지로 현상유닛 몸체 즉, 부품 설치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너롤러(130)에는 현상유닛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회전축(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131)은 현상유닛 몸체(110)에 형성되는 축공(113)에 끼워지게 된다. 도너롤러의 회전축(131)에는 도너롤러(130)와 자기롤러(140) 사이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제3갭링(143)과 접촉되는 제1갭링(133)이 끼워지고, 도너롤러(130)와 감광체(120) 사이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감광체(120)와 접촉되는 제2갭링(135)이 끼워진다. 여기서, 제1갭링(133)과 제2갭링(13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롤러의 회전축(131) 상에서 순차적으로 끼워지며, 감광체(120)와 접촉되는 제2갭링(135)에 의해 제1갭링(133)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 제1갭링(133)은 제3갭링(143)과 접촉되기 위하여 제3갭링(143)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대전롤러(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20)의 외주로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며, 현상유닛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자기롤러(140)에는 현상유닛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회전축(1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너롤러(130)와 감광체(120) 사이의 간격 또는 도너롤러(130)와 자기롤러(140) 사이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갭링(133)을 제3갭링(143)에 접촉시키고, 제2갭링(135)을 감광체(120)에 접촉시키는 가압유닛(180)이 더 마련된다.
가압유닛(180)은 도너롤러(130)를 홀딩하는 홀딩부재(181)와, 이 홀딩부재(181)를 탄성 지지하여 홀딩부재(181)에 홀딩된 도너롤러(130)를 감광체(120) 및 자기롤러(140) 측으로 밀어 주는 탄성부재(185)를 포함한다.
홀딩부재(18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너롤러(130)를 홀딩하도록 도너롤러의 회전축(131)이 관통되는 관통홀(1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딩부재(181)의 일단에는 탄성부재(185)의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돌기(183)가 형성되어 있다.
또, 홀딩부재(181)에는 이 홀딩부재(181)가 탄성부재(185)에 의해 탄성 지지될 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홈(184)이 형성되어 있으며, 현상유닛의 몸체(110)에는 결합홈(184)이 끼워지는 결합리브(11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홀딩부재(18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 몸체(110)의 외면에 장착되어 탄성부재(185)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유닛 몸체(110)의 내면에 장착되어 탄성부재(185)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너롤러의 회전축(131)이 끼워지는 축공(1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홀딩부재(181)가 탄성부재(185)에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홀딩부재(181)에 관통되는 도너롤러의 회전축(131) 역시 탄성부재(185)의 인장력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딩부재(181)의 결합홈(184)은 이 홀딩부재(18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85)의 인장력이 형성되는 방향에 따라 홀딩부재(181)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홈(184)에 끼워지는 결합리브(115) 역시 탄성부재(185)의 인장력이 형 성되는 방향에 따라 현상유닛의 몸체(1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딩부재(181)에 결합홈(184)이 형성되어 있고 현상유닛의 몸체(110)에 결합리브(115)가 형성되어 있으나, 홀딩부재(181)에 결합리브(115)가 형성되고 현상유닛의 몸체(110)에 결합홈(184)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너롤러(130)와 감광체(120) 사이의 간격 또는 도너롤러(130)와 자기롤러(140) 사이의 간격을 가압유닛(180)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20)와 자기롤러(140)의 사이에 배치되는 도너롤러(130)의 직경(D)이 감광체(120)와 자기롤러(140) 사이의 거리(L)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너롤러의 회전축(131)에 끼워지는 제1갭링(133)과 제2갭링(135)은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제3갭링(143)과 감광체(120)에 접촉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게 되는데, 도너롤러(130)는 도너롤러(130)의 직경(D)이 감광체(120)와 자기롤러(140) 사이의 거리(L)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도너롤러(130)의 중심축이 감광체(120)와 자기롤러(140)의 사이에서 감광체(120) 및 자기롤러(140)의 중심축 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가압유닛의 홀딩부재(181)가 탄성부재(185)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과정에서 도너롤러(130)의 직경(D)이 감광체(120)와 자기롤러(140) 사이의 거리(L)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가압유닛(180)에 의해 용이하게 제1갭링(133)이 제3갭링(143)에 접촉되고 제2갭링(135)이 감광체(120)에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너롤러(130)의 직경(D)이 감광체(120)와 자기롤러(140) 사이의 간격(L)보다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가압유닛(180)에 의해 도너롤러(130)를 감광체(120)와 자기롤러(140) 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용이하게 도너롤러(130)와 감광체(120) 사이의 간격과 도너롤러(130)와 자기롤러(140)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자기롤러(140)와 도너롤러(130) 사이의 간격을 자기롤러의 회전축(241)과 도너롤러의 회전축(231)이 각각 끼워지는 홀딩부재(281)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홀(282,283)에 의해 결정되는 종래와는 달리 도너롤러(130)의 직경(D)이 감광체(120)와 자기롤러(140) 사이의 간격(L)보다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도너롤러의 회전축(131)만 끼워지는 홀딩부재(181)와 이 홀딩부재(18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85)로 이루어진 가압유닛(180)에 의해 도너롤러의 회전축(131)에 끼워지는 제1갭링(133)이 자기롤러의 회전축(141)에 끼워지는 제3갭링(143)에 접촉되어 자기롤러(140)와 도너롤러(130)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도너롤러(130)와 감광체(120) 사이의 간격을 자기롤러의 회전축(241)과 도너롤러의 회전축(231)이 끼워지는 홀딩부재(281)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홀(282,283)의 정밀도에 따라 결정되는 종래와는 달리 도너롤러(130)의 직경(D)이 감광체(120)와 자기롤러(140) 사이의 간격(L)보다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도너롤러의 회전축(131)만 끼워지는 홀딩부재(181)와 이 홀딩부재(18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85)로 이루어진 가압유닛(180)에 의해 도너롤러의 회전축(131)에 끼워지는 제2갭링(135)이 감광체(120)에 접촉되어 도너롤러(130)와 감광체(120)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 갭링(133,135,143)과 가압유닛(180)에 의해 자기롤러(140)와 도너롤러(130) 사이의 간격 또는 도너롤러(130)와 감광체(120)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의 화상을 인쇄매체에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현상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현상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현상유닛이 현상유닛 몸체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도 7에 도시된 Ⅰ-Ⅰ선을 따라 절개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현상유닛 110 : 현상유닛 몸체
111 : 부품 설치부 112 : 현상제 저장부
113 : 도너롤러의 축공 114 : 자기롤러의 축공
115 : 결합리브 120 : 감광체
130 : 도너롤러 131 : 도너롤러의 회전축
133 : 제1갭링 135 : 제2갭링
140 : 자기롤러 141 : 자기롤러의 회전축
143 : 제3갭링 180 : 가압유닛
181 : 홀딩부재 182 : 관통홀
183 : 지지돌기 184 : 결합홈
185 : 탄성부재
Claims (12)
- 감광체와,상기 감광체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자기롤러와,상기 감광체와 상기 자기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도너롤러를 포함하며,상기 도너롤러의 직경은 상기 감광체와 상기 자기롤러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도너롤러와 상기 감광체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도너롤러와 상기 자기롤러 사이의 간격을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가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도너롤러에는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간격 유지 시 상기 자기롤러에 접촉되는 제1갭링과, 상기 감광체에 접촉되는 제2갭링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감광체와 상기 자기롤러와 상기 도너롤러가 그 내 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 몸체를 더 포함하며,상기 자기롤러와 상기 도너롤러에는 상기 현상유닛 몸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회전축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제1갭링과 상기 제2갭링은 상기 도너롤러의 회전축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제1갭링과 상기 제2갭링은 상기 도너롤러의 회전축에서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자기롤러의 회전축에는 제3갭링이 끼워지며,상기 제3갭링은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상기 제1갭링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제1갭링과 상기 제3갭링은 상기 가압유닛에 의한 간격 유지 시 접촉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도너롤러를 홀딩하는 홀딩부재와, 상기 홀딩부재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홀딩부재에 홀딩된 상기 도너롤러를 상기 감광체 및 상기 자기롤러 측으로 밀어 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홀딩부재에는 상기 도너롤러를 홀딩하도록 상기 도너롤러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홀딩부재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현상유닛의 몸체에는 결합리브가 형성되며,상기 홀딩부재에는 상기 홀딩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 시 상기 결합리브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6054A KR101212294B1 (ko) | 2008-01-21 | 2008-01-21 | 화상형성장치 |
US12/211,428 US8055167B2 (en) | 2008-01-21 | 2008-09-16 |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essing unit to maintain gap between rollers |
JP2008284547A JP2009175694A (ja) | 2008-01-21 | 2008-11-05 | 画像形成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6054A KR101212294B1 (ko) | 2008-01-21 | 2008-01-21 |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0202A KR20090080202A (ko) | 2009-07-24 |
KR101212294B1 true KR101212294B1 (ko) | 2012-12-12 |
Family
ID=4087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6054A KR101212294B1 (ko) | 2008-01-21 | 2008-01-21 |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055167B2 (ko) |
JP (1) | JP2009175694A (ko) |
KR (1) | KR10121229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0617B1 (ko) | 2011-12-30 | 2013-12-11 |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 도너 필름 트레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327078A1 (de) | 2003-06-13 | 2004-12-30 | Klingenburg Gmbh | Rotationswärmeaustauscher und Verfahren zur Abdichtung eines solchen |
EP2738143B1 (en) | 2012-11-29 | 2015-07-08 | Corning Incorporated | Precision forming of sheet glass and sheet rolling apparatus |
US11073670B2 (en) | 2016-08-12 | 2021-07-27 |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 Device and method for sealing multiport splitters |
US11668890B2 (en) | 2017-06-28 | 2023-06-06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Multiports and other devices having optical connection ports with securing fea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CA3068236A1 (en) | 2017-06-28 | 2019-01-03 |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 Multiports having connection ports formed in the shell and associated securing features |
US11300746B2 (en) | 2017-06-28 | 2022-04-12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Fiber optic port module inserts,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US11187859B2 (en) | 2017-06-28 | 2021-11-30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Fiber optic connecto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US10359577B2 (en) | 2017-06-28 | 2019-07-23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Multiports and optical connectors with rotationally discrete locking and keying features |
US10641967B1 (en) | 2018-11-16 | 2020-05-05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Multiport assemblies including a modular adapter support array |
US10768382B2 (en) | 2018-11-29 | 2020-09-08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Multiport assemblies including access apertures and a release tool |
EP3903136B1 (en) | 2018-12-28 | 2024-11-06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Multiport assemblies including mounting features or dust plugs |
MX2021014427A (es) | 2019-05-31 | 2022-03-04 | Corning Res & Dev Corp | Multipuertos y otros dispositivos que tienen puertos de conexion optica con accionadores deslizantes y metodos para elaborar los mismos. |
US11294133B2 (en) | 2019-07-31 | 2022-04-05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Fiber optic networks using multiports and cable assemblies with cable-to-connector orientation |
US11487073B2 (en) | 2019-09-30 | 2022-11-01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Cable input devices having an integrated locking feature and assemblies using the cable input devices |
EP3805827A1 (en) | 2019-10-07 | 2021-04-14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Fiber optic terminals and fiber optic networks having variable ratio couplers |
US11650388B2 (en) | 2019-11-14 | 2023-05-16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Fiber optic networks having a self-supporting optical terminal and methods of installing the optical terminal |
US11536921B2 (en) | 2020-02-11 | 2022-12-27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Fiber optic terminals having one or more loopback assemblies |
US11604320B2 (en) | 2020-09-30 | 2023-03-14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Connector assemblies for telecommunication enclosures |
US11927810B2 (en) | 2020-11-30 | 2024-03-12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 conversion housing and a release member |
US11994722B2 (en) | 2020-11-30 | 2024-05-28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n adapter housing and a locking housing |
US11880076B2 (en) | 2020-11-30 | 2024-01-23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 conversion housing and a release housing |
US11686913B2 (en) | 2020-11-30 | 2023-06-27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Fiber optic cable assemblies and connector assemblies having a crimp ring and crimp body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
US11947167B2 (en) | 2021-05-26 | 2024-04-02 |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 Fiber optic terminals and tool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split ratio of a fiber optic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34963B2 (ja) * | 1993-02-01 | 2002-10-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円筒部材と係合部材とを再結合する結合方法 |
JP2001290364A (ja) * | 2000-04-05 | 2001-10-19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4053487B2 (ja) | 2003-09-30 | 2008-02-27 | 株式会社東芝 | 画像形成装置 |
JP2007163766A (ja) * | 2005-12-13 | 2007-06-28 | Kyocera Mita Corp |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2008
- 2008-01-21 KR KR1020080006054A patent/KR10121229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9-16 US US12/211,428 patent/US805516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11-05 JP JP2008284547A patent/JP2009175694A/ja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0617B1 (ko) | 2011-12-30 | 2013-12-11 |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 도너 필름 트레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055167B2 (en) | 2011-11-08 |
JP2009175694A (ja) | 2009-08-06 |
US20090185835A1 (en) | 2009-07-23 |
KR20090080202A (ko) | 2009-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2294B1 (ko) | 화상형성장치 | |
JP4164293B2 (ja) |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0075753A (ja) | クリーニング部材の取り付け調整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8120077A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 |
JP2020144191A (ja) | 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 | |
KR20170086409A (ko) | 카트리지 | |
US6654583B2 (en) | Developing apparatus | |
JP2921913B2 (ja) | 電子写真法に於る現像装置のドクターギャップ調整方法及びその調整構造 | |
JP5518125B2 (ja)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
JP2005076734A (ja) | 駆動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5888598B2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US20080056782A1 (en) | Fix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conveying device | |
US8712293B2 (en) |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2018173508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4112266A (ja)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
JP2012078380A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17161614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6611073B2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KR100461343B1 (ko) | 현상기의 현상갭 유지장치 | |
JP5344300B2 (ja) |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H11184353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
JP2005156655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17223770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H08234563A (ja) |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 |
JP3212888B2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