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019B1 -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2019B1 KR101212019B1 KR1020100129129A KR20100129129A KR101212019B1 KR 101212019 B1 KR101212019 B1 KR 101212019B1 KR 1020100129129 A KR1020100129129 A KR 1020100129129A KR 20100129129 A KR20100129129 A KR 20100129129A KR 101212019 B1 KR101212019 B1 KR 1012120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ion
- music signal
- signal
- wireless electronic
- mus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527 percu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077262 Cong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82634 Tragelaphus euryc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8—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95—Acceleration sensing or accelerometer use, e.g. 3D movement computation by integration of accelerometer data, angle sensing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i.e. gravity sen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노래방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사용자에게 친근한 새로운 형태의 노래방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무선 전자 퍼커션의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노래 반주 장치의 블록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선 전자 퍼커션에서 사용되는 악기별 맵핑 테이블의 구성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무선 전자 퍼커션와 연동하여 노래 반주 장치에서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채점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120 : 악기 선택부 130 : 동작 센서
140 : 움직임-음악 신호 변환부 150 : 무선 신호 송수신부
160 : 선택 악기 표시부 170 : 선곡 번호 인식부
180 : 선곡 번호 표시부 200 : 노래 반주 장치
210 : 무선 신호 송수신부 220 : 음악 신호 생성부
230 : 동작 채점부 240 : 음악 합성부
250 : 채점 결과 표시부 260 : 음악 신호 출력부
300 : 통신 네트워크 400 :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500 : 오디오 생성 장치
Claims (8)
-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으로서,
지정된 악기에 대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자 퍼커션; 및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송출된 상기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곡 되어 재생중인 음악 신호에 합성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노래 반주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전자 퍼커션은,
복수의 악기 중 하나의 악기를 지정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무선 전자 퍼커션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동작 센서,
상기 동작 센서에서 인식된 움직임에 따라 지정된 악기에 대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 및
상기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에서 생성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는, 상기 동작 센서로부터 수신된 동작 신호를 주기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저장된 복수의 동작 신호에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생성할 이벤트(event) 지점을 결정하여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하며,
상기 이벤트 지점의 결정은, 주기적으로 저장된 복수의 동작 신호에 대한, 복수의 악기 중 지정된 악기별로 상이한 움직임 파라미터(parameter)의 변화량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 장치는, 상기 재생 중인 음악 신호와 수신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합성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악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센서는 자이로센서, 자이로스코프, 가속도센서, 및 적외선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는, 주기적으로 저장된 복수의 동작 신호로부터, 움직임 파라미터인 움직임의 크기, 감지된 움직임의 속도, 감지된 움직임의 방향 및 감지된 움직임의 위치 중 지정된 악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 지정된 악기의 음의 높낮이 또는 세기를 포함하는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송출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신호 송수신부,
수신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의 수신 시점, 지정된 악기의 음의 높낮이 또는 음의 세기를, 미리 결정된 수신 시점, 음의 높낮이 또는 음의 세기와 비교하여 채점 결과를 산출하는 동작 채점부, 및
상기 동작 채점부로부터 산출된 채점 결과를 표시하는 채점 결과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자 퍼커션 각각은 서로 다른 지정된 악기에 대한 미디 포맷의 음악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동작 채점부는 무선 전자 퍼커션 각각에 대하여 채점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음악신호 변환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파라미터로부터 지정된 악기의 음의 높낮이 또는 음의 세기를 결정하기 위한 맵핑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맵핑 테이블은 상기 노래 반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 송수신부는 움직임 파라미터인 움직임의 크기, 감지된 움직임의 속도, 및 감지된 움직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상기 노래 반주 장치로 더 송출하며,
상기 동작 채점부는 수신된 상기 움직임 정보를 더 반영하여 채점 결과를 산출하며,
상기 채점 결과 표시부는 상기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미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자 퍼커션은, 상기 동작 센서에서 인식된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노래 반주 장치에서 사용될 선곡 번호를 추출하는 선곡 번호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신호 송수신부는 상기 선곡 번호를 더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9129A KR101212019B1 (ko) | 2010-12-16 | 2010-12-16 |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9129A KR101212019B1 (ko) | 2010-12-16 | 2010-12-16 |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7622A KR20120067622A (ko) | 2012-06-26 |
KR101212019B1 true KR101212019B1 (ko) | 2012-12-12 |
Family
ID=4668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9129A Active KR101212019B1 (ko) | 2010-12-16 | 2010-12-16 |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20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4585B1 (ko) * | 2019-12-12 | 2021-07-07 | 주식회사 투애니시스템 |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탬버린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
KR102274584B1 (ko) * | 2019-12-12 | 2021-07-07 | 주식회사 투애니시스템 | 노래반주를 이용한 전자 탬버린 연주 방법 및 시스템 |
-
2010
- 2010-12-16 KR KR1020100129129A patent/KR101212019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7622A (ko) | 2012-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48986A1 (en) | Stick Controller | |
US8858330B2 (en) | Music video game with virtual drums | |
US6388183B1 (en) | Virtual musical instruments with user selectable and controllable mapping of position input to sound output | |
TWI470473B (zh) | 電子娛樂系統中之相關姿勢反饋 | |
JP4307193B2 (ja) |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システム | |
JP6344578B2 (ja) | 電子楽器を演奏する方法 | |
US7842875B2 (en) | Scheme for providing audio effects for a musical instrument and for controlling images with same | |
JP3915257B2 (ja) | カラオケ装置 | |
JP4247626B2 (ja) |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 |
JP2012088378A (ja) | 情報処理端末および発音システム | |
JP6708537B2 (ja) | カラオケシステム | |
KR101212019B1 (ko) | 무선 전자 퍼커션의 동작으로부터 음악 신호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노래방 시스템 | |
JP6501344B2 (ja) | 聴取者評価を考慮したカラオケ採点システム | |
JP6070652B2 (ja) | リファレンス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JP5842383B2 (ja) | 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カラオケ装置 | |
JP5486941B2 (ja) | 聴衆に唱和をうながす気分を楽しむカラオケ装置 | |
JP4585473B2 (ja) | 電子早見本装置 | |
WO2016017623A1 (ja) | リファレンス表示装置、リファレンス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5537246B2 (ja) | 歌唱位置表示システム | |
JP6651729B2 (ja) |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KR101842282B1 (ko) | 기타 연주시스템과 이를 위한 연주용 기타 및 기타 연주정보 표시방법 | |
KR102274584B1 (ko) | 노래반주를 이용한 전자 탬버린 연주 방법 및 시스템 | |
KR20110104183A (ko) | 노래반주 시스템을 이용한 노래간 분위기 상승게임 제공방법 | |
Lehrman | The wii remote as a musical instrument: Technology and case studies | |
Angell | Combining Acoustic Percussion Performance with Gesture Control Electronic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