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606B1 - Electric cable device of auto-transmission - Google Patents
Electric cable device of auto-transmis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4606B1 KR101214606B1 KR1020110014254A KR20110014254A KR101214606B1 KR 101214606 B1 KR101214606 B1 KR 101214606B1 KR 1020110014254 A KR1020110014254 A KR 1020110014254A KR 20110014254 A KR20110014254 A KR 20110014254A KR 101214606 B1 KR101214606 B1 KR 1012146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connector
- automatic transmission
- connector
- electrical wiring
- wir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99—Fasteners with means for avoiding incorrect assembly or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는: 입력커넥터와 출력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회로연결부와, 출력커넥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안착부에 안착된 출력커넥터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구가 구비되고, 출력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n 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The disclosed electrical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includes: a circuit connection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input connector and an output connector to transmit a signal,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output connector is seated, and an exposure port on which a part of the output connector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is exposed. It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cover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output connec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전기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커넥터와 와이어하네스에 의해 연결되는 출력커넥터가 별도의 고정물에 일체화되어 자동변속기에 결합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wiring apparatu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an output connector connected by an input connector and a wire harness is integrated into a separate fixture and coupled to an automatic transmission, thereby preventing noise and disconnection due to vib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현재, 자동차에서 사용하고 있는 변속기는 변속방식에 따라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 및 무단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엔진의 회전력을 변환시켜 구동바퀴로 전달하는 기능 이외에도, 정차시 엔진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구동바퀴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후진을 가능케 한다.Currently, transmissions used in automobiles can be classified into manual transmissions, automatic transmissions, an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ethod. It is possible to reverse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drive wheels.
유성기어세트를 이용한 자동변속기에는 토크컨버터를 개재하여 엔진의 크랭크축으로부터 토크를 전달받는 입력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입력축에는 복수조의 유성기어세트를 비롯하여 유성기어세트의 요소들을 작동시켜 동력 전달경로를 전환하는 클러치와 브레이크로 구성된 마찰계합요소가 장치되어 있다.The automatic transmission using the planetary gear set is provided with an input shaft that receives torque from the crankshaft of the engine via a torque converter, and the input shaft operates a plurality of planetary gear sets and elements of the planetary gear set to provide a power transmission path. It is equipped with a frictional engagement element consisting of a switching clutch and a brake.
이들 마찰계합요소는 차량의 운전조건과 엔진의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ON,OFF)되어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계합됨으로써 엔진의 토크가 변화된다.These frictional engagement elements are automatically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and the load of the engine to supply the working fluid. The frictional engagement elements are selectively engaged by a hydraulic control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olenoid valves. The torque is changed.
변화된 토크는 출력축을 통해 구동바퀴로 전달된다.The changed torque is transmitted to the drive wheels through the output shaft.
유압제어장치는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변속지점을 결정하고 다판 클러치나 다판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The hydraulic controller determines the shift point by the pressure of the hydraulic oil and activates the multi-plate clutch or multi-plate brake.
클러치 및 변속레버의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 없으며, 기관의 출력에 알맞는 변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의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 사이에서 점차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There is no need for cumbersome operation of the clutch and the shift lever, and since the shift can be adapted to the output of the engine, the popularity is gradually being expanded among modern people seeking convenience.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축의 일단에는 플라이휠(2)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플라이휠(2)을 통해 전달되는 엔진의 구동력은 클러치(4)를 통해 구동축으로 전달된다.As shown in FIG. 1, the
클러치(4)는 다이어프램(6)을 개재하여 구동축(10)에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선택적으로 엔진의 동력을 무단변속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구동축(10)에는 각종 마찰계합요소를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펌프(8)가 구동된다.The
그리고, 클러치(4)를 통해 구동축(10)으로 입력된 엔진의 구동력은 캐리어(32)를 통해 유성기어세트(30)로 전달된다.Then,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input to the
유성기어세트(30)는 변속기 입력축(40)과 연결되어 있는 선기어(34)와, 이 선기어(34)와 외접하는 더블피니언(36,36') 및 이 더블피니언(36,36')과 내접하는 링기어(38)로 이루어져 있다.The
캐리어(32)는 전진 클러치(42)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링기어(38)는 후진클러치(44)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전진시에는 개합되어 유성기어세트(30)의 캐리어(32)를 통해 전달된 엔진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전진 클러치(42)의 한쪽은 커넥터부재(46)를 개재하여 변속기 입력축(4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At the time of the forward movement, one side of the
후진시에 계합되어 후진을 가능케 하는 후진 클러치(44)의 한쪽은 변속기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있다.One of the reversing
선기어(34)가 고정되어 있는 입력축(40)의 타단에는 구동풀리(50)가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The
구동풀리(50)는 유성기어세트(30)와 입력축(40)을 통해 캐리어(32)로부터 입력된 구동력을 벨트를 통해 종동풀리(52)로 전달한다.The
종동풀리(52)로 전달된 동력은 종동축(58)과 중간 피니언(60) 및 아이들러 기어(62)를 통해 아이들러 샤프트(64)로 전달되며, 아이들러 샤프트(64)로 전달된 구동력은 종감속 피니언(36,36')과 종감속 기어(68)를 거쳐 자동기어(70)로 전달된 다음, 좌우측 구동바퀴로 보내짐으로써, 차량의 발진을 가능케 한다.The power transmitted to the driven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재(46)은 변속기 하우징(20)에 접속되며, 외부전원을 인가받도록 형성된 외부전원커넥터(82)와, 외부전원커넥터에서 여러 가닥의 전선으로 연장 형성된 와이어하네스(84)와 , 여러 가닥의 전선 중 일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다섯 개의 압력조절 솔레노이드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 PCSV, 도시하지 않음)와 각각 접속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연결된 압력조절부 커넥터(86)와, 일부 전선의 끝단에 접속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가변제어 솔레노이드 밸브(Various Force Solenoid valve, VFS, 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는 가변제어 커넥터(88)와, 나머지 전선의 끝단에 구비되어 변속기 하우징(20)내부 작동유의 온도를 감지하는 유온센서(Oil Temperature, OTS, 89)로 이루어져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The technical structure described above is a background technique for assis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종래의 자동변속기의 전기배선은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그 형상이 일정치 않은 구조물 위로 각 커넥터들을 개별적으로 체결하고 있어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며 작업시간 또한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electric wiring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transmission has a problem in that workability is very low and work time is also increased because each connector is individually fastened onto a structure whose shape is not constant like a solenoid valve.
또한, 와이어 하네스는 다수 가닥의 전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전선은 상술한 커넥터들과 접점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점작업이 번거로우며, 외부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가 흔들리게 되어 단선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닌다.In addition, since the wire harnes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res and each wire must be in contact with the above-described connectors, contact work is cumbersome, and the wire harness is shaken by external shock or vibration, which may cause disconnection. Have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입력커넥터와 와이어하네스에 의해 연결되는 출력커넥터가 안착부와 고정커버에 일체화 되어 자동변속기에 결합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합이 용이하여 작업성 개선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reated by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connector connected by the input connector and the wire harness is integrated into the seating portion and the fixed cover is coupled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and disconnection caused by vibr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al transmission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that can be easily combined to improve workability and shorten working time.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는: 입력커넥터와 출력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회로연결부와, 출력커넥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안착부에 안착된 출력커넥터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구가 구비되고, 출력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al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it connection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input connector and an output connector to transmit a signal,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output connector is seated, and a part of an output connector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is exposed. Exposed port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cover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output connector.
또한, 출력커넥터는 회로연결부와 연결되는 결속부 및 고정커버의 노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rminal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ed portion of the binding portion and the fixing cover connected to the circuit connection portion.
또한, 출력커넥터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ent in a '-' shape.
또한, 출력커넥터의 절곡부위에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nding portion of the output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is formed.
또한, 안착부는 자동변속기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ortion for coupling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또한, 고정커버는 출력커넥터가 각각 구획되어 수용되고,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ed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connector is partitioned and accommodated, respectively, containing a receiving groove to prevent flow.
또한, 노출구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출력커넥터는 위치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connector exposed to the outside is inserted into the exposure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the position fixing.
또한, 위치고정부는 출력커넥터에 돌출 형성되는 로킹돌기 및 로킹돌기에 대응되도록 노출구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projection formed in the exposure port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output connector.
또한, 고정커버의 전면에는 자동변속기와 결합 시 출력커넥터의 접점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fixing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contact point of the output connector when combined with the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는 입력커넥터와 와이어하네스에 의해 연결되는 출력커넥터가 안착부와 고정커버에 일체화 되어 자동변속기에 결합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The 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output connector connected by the input connector and the wire harness is integrated into the seating portion and the fixing cover and coupled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thereby preventing noise and disconnection caused by vibration. Have
더욱이, 고정커버에는 출력커넥터를 각각 구획하고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부가 형성되며, 출력커넥터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므로, 컴팩트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소음과 단선을 방지하는 효과를 배가시킨다.Furthermore, the fixed cover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partitioning the output connector and preventing the flow, and the output connector is bent in a '-' shape, made of a compact size, and doubles the effect of preventing noise and disconnection .
또한, 본 발명은 진동에 의한 소음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합이 용이하여 작업성 개선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noise and disconnection due to vibration, and can be easily combined to improve workability and shorten working time.
도 1은 종래의 자동변속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와이어 하네스와 커넥터로 이루어진 전기배선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요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utomatic transmission devic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lectric wiring device consisting of a conventional wire harness and a connecto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electrical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요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transmission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lectrical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and FIG. 7 is a state diagram of the 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100)는 회로연결부(120), 안착부(140) 및 고정커버(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o 7, the
회로연결부(120)는 복수개의 전선으로 이루어지며, 입력커넥터(110)와 출력커넥터(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그리고, 출력커넥터(130)는 압력조절 솔레노이드밸브와 가변제어 솔레노이드밸브에 각각 접속되는 것으로서, 안착부(140)와 고정커버(150)에 의해 일체화 되어 자동변속기에 장착된다.The
또한, 출력커넥터(130)는 압력조절 솔레노이드밸브 각각에 접속되는 압력조절 커넥터와 가변제어 솔레노이드밸브에 접속되는 가변제어 커넥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커넥터(130) 중 압력조절 커넥터는 안착부(140)와 고정커버(150)에 의해 일체화되어 접속되고, 가변제어 커넥터는 안착부(140)와 고정커버(150)와 무관하게 별도로 접속된다.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 regulating connector of the
안착부(14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출력커넥터(130)가 안착되도록 내면에 복수개의 안착홈(142)이 형성되며, 출력커넥터(130)와 연결되는 회로연결부(120)가 진입될 수 있는 진입홀(144)이 형성된다.The
그리고, 안착부(140)의 가장자리에는 자동변속기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146)가 형성된다.And, at the edge of the
고정부(146)는 자동변속기의 고정홀에 연통되는 체결홀을 갖는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고정커버(150)는 안착부(140)에 안착된 출력커넥터(130)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구(152)가 구비되고, 출력커넥터(1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착부(140)에 고정된다.The fixing
고정커버(150)와 안착부(140)의 결합은 안착부(1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결속홈(미도시)과 결속홈에 체결되도록 고정커버(15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결속후크(156)에 의해 결합된다.The coupling of the fixing
출력커넥터(130)는 회로연결부(120)와 연결되는 결속부(132) 및 고정커버(150)의 노출구(15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결속부(132)는 양측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며, 회로연결부(120)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결속부(132)에 의해 감싸져 압착되므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그리고, 출력커넥터(13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절곡부위에는 보강부(136)가 형성된다.The
이는 출력커넥터(130)가 절곡 형성됨에 따라 출력커넥터(130)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으며, 보강부(136)에 의해 'ㄱ'자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lower the height of the
고정커버(150)는 출력커넥터(130)가 각각 구획되어 수용되고,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부(154)를 포함한다.The fixed
수용홈부(154)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커버(150)의 내면에 형성되며, 각각의 출력커넥터(130)를 수용하도록 출력커넥터(130)의 폭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Receiving
즉, 수용홈부(154)는 노출구(152)와 연결되고, 출력커넥터(130)의 단자부(134)는 노출구(152)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결속부(132)는 수용홈부(154)에 수용되는 것이다.That is, the receiving
이처럼 출력커넥터(130)가 수용홈부(154)에 의해 구획되어 수용됨에 따라 서로의 간섭 뿐만 아니라 진동에 의한 출력커넥터(1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As the
그리고, 노출구(152)에 삽입되는 출력커넥터(130)의 단자부(134)는 위치고정부(160)에 의해 고정된다.The
위치고정부(160)는 출력커넥터(130)의 단자부(134)에 돌출 형성되는 로킹돌기(162) 및 로킹돌기(162)에 대응되도록 노출구(152)에 형성되는 걸림턱(164)을 포함한다.The
로킹돌기(162)는 단자부(134)에서 절개되어 후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노출구(152)를 통해 단자부(134)가 삽입되면, 로킹돌기(162)가 걸림턱(164)에 접하여 진입되다가 걸림턱(164)을 넘어서면 탄동되어 고정됨으로, 단자부(134)의 접점 시 후퇴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locking
그리고, 고정커버(150)의 전면에는 자동변속기와 결합 시 출력커넥터(130)의 접점을 안내하는 안내부(158)가 구비된다.And, the front of the fixed
안내부(158)는 고정커버(150)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로 이루어져, 단자부(134)의 접점 시 접속불량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automatic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입력커넥터(110)에 연결되는 회로연결부(120)를 복수개로 분기한 후 각각 안착부(140)의 진입홀(144)을 통해 진입시킨다.First, after branching a plurality of
이처럼 진입된 회로연결부(120)는 각각의 출력커넥터(130)에 연결된다.The
출력커넥터(130)의 일측에는 결속부(132)가 형성되어 결속부(132)내로 안착된 회로연결부(120)의 각 끝단은 압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회로연결부(120)가 연결된 출력커넥터(130)는 고정커버(150)의 수용홈부(154)에 삽입된다.The
이때, 출력커넥터(13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여 소형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출력커넥터(130)의 절곡 부위에는 보강부(136)가 형성되어 출력커넥터(130)의 직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용홈부(154)와 노출구(152)가 이루는 직각형상에 정확하게 대응될 수 있어 안착이 용이하고, 안착시 유동이 방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출력커넥터(130)가 수용홈부(154)에 안착됨에 따라 각각 구획되어 상호 간섭되지 않는다. 더욱이, 수용홈부(154)는 출력커넥터(130)의 폭과 유사한 폭을 지니므로 출력커넥터(1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As the
출력커넥터(130)의 단자부(134)는 고정커버(150)의 노출구(152)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데, 단자부(134)에는 절개되어 돌출 형성되는 로킹돌기(162)가 형성되어 노출구(152) 내면의 걸림턱(164)이 결속됨으로 위치가 고정된다.The
상기한 상태에서 안착부(140)에 고정커버(150)를 결합한다.The fixing
안착부(140)와 고정커버(150)의 결합은 고정커버(150)의 둘레면에 형성된 결속후크(156)가 안착부(140)의 결속홈(미도시)에 장착되어 이루어진다.The coupling of the
이처럼, 안착부(140)와 고정커버(150)에 의해 일체화된 출력커넥터(130)는 안착부(140)의 고정부(146)에 의해 자동변속기에 결합될 수 있다.As such, the
이때, 고정커버(150)의 전면에는 안내부(158)가 형성되어 출력커넥터(130)와 각 압력조절 솔레노이드 밸브의 접점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커넥터가 안착부와 고정커버로 이루어진 하드한 구조물에 의해 많은 체결커넥터를 한번에 체결 가능함으로써, 작업성 개선 및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한 소음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connector is capable of fastening many fastening connectors at once by a hard structure composed of a seating portion and a fixing cover,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reducing work time, and reducing noise and disconnection due to vibration. I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전기배선장치 110 : 입력커넥터
120 : 회로연결부 130 : 출력커넥터
132 : 결속부 134 : 단자부
136 : 보강부 140 : 안착부
142 : 안착홈 144 : 진입홀
146 : 고정부 150 : 고정커버
152 : 노출구 154 : 수용홈부
156 : 결속후크 158 : 안내부
160 : 위치고정부 162 : 로킹돌기
164 : 걸림턱100: electrical wiring device 110: input connector
120: circuit connection 130: output connector
132: binding unit 134: terminal
136: reinforcement portion 140: seating portion
142: seating groove 144: entry hole
146: fixing part 150: fixing cover
152: exposure port 154: receiving groove
156: Binding Hook 158: Guide
160: position fixing part 162: locking projection
164: jamming jaw
Claims (9)
상기 출력커넥터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출력커넥터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커넥터의 절곡부위에는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A circuit connec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an input connector and an output connector to transmit a signal;
A seating part on which the output connector is seated; And
An exposure port provided with a portion of the output connector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is exposed, and includes a fixing cov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output connector;
The electrical wiring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is formed in the bent portion of the output connector.
상기 출력커넥터는 상기 회로연결부와 연결되는 결속부; 및
상기 고정커버의 노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put connector may include a coupling unit connected to the circuit connection unit; And
Electrical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comprising a terminal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port of the fixing cover.
상기 출력커넥터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utput connector is an electrical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b' shape bent.
상기 안착부는 자동변속기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부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ating portion is an electrical wiring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art for coupling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출력커넥터가 각각 구획되어 수용되고, 유동을 방지하는 수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cover is an electrical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connector is partitioned and accommodated, respectively, containing a receiving groove to prevent flow.
상기 노출구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출력커넥터는 위치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put connector inserted into the exposure port is exposed to the outside is fixed by the position fixing the electric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출력커넥터에 돌출 형성되는 로킹돌기; 및
상기 로킹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노출구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sition fixing portion is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output connector; And
And an engaging jaw formed in the exposed opening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rotrusion.
상기 고정커버의 전면에는 자동변속기와 결합 시 상기 출력커넥터의 접점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전기배선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of the fixing cover is an electrical wir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contact of the output connector when combined with the automatic transmiss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254A KR101214606B1 (en) | 2011-02-17 | 2011-02-17 | Electric cable device of auto-transmis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254A KR101214606B1 (en) | 2011-02-17 | 2011-02-17 | Electric cable device of auto-transmiss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4781A KR20120094781A (en) | 2012-08-27 |
KR101214606B1 true KR101214606B1 (en) | 2012-12-27 |
Family
ID=4688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4254A Active KR101214606B1 (en) | 2011-02-17 | 2011-02-17 | Electric cable device of auto-transmis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460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0132B1 (en) * | 2013-06-26 | 2014-08-13 | 주식회사 경신 | Fpc type wiring system of transmission for vehicle |
KR101430131B1 (en) * | 2013-06-26 | 2014-08-13 | 주식회사 경신 | Wiring system of transmission for vehicle |
KR101996460B1 (en) | 2017-12-22 | 2019-07-04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Connector module |
KR101964821B1 (en) | 2017-12-26 | 2019-04-02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Connector module |
KR101964820B1 (en) | 2017-12-26 | 2019-04-02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Connector module |
KR101964822B1 (en) | 2017-12-28 | 2019-04-02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Connector modu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83983A (en) * | 2000-03-28 | 2001-10-12 | Eiryo Ko | Cable conn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2011
- 2011-02-17 KR KR1020110014254A patent/KR10121460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83983A (en) * | 2000-03-28 | 2001-10-12 | Eiryo Ko | Cable conn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4781A (en) | 2012-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4606B1 (en) | Electric cable device of auto-transmission | |
US8651239B2 (en) | Oil passage structure for transmission | |
JP2009503379A (en) | Output branching type transmiss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peed ratio ranges having a continuously variable speed ratio | |
CN101255917B (en) | Hydraulic supply device | |
US8523147B2 (en) | Electric capstan | |
US9975553B2 (en) | Automatic transmission | |
US8506454B2 (en) |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 |
US20090057062A1 (en) | Arrangement of an electrically operated oil pump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 |
US9845869B2 (en) | Vehicle drive apparatus | |
KR100967689B1 (en) | Electric wiring structure of automatic transmission | |
KR100767823B1 (en) | Branch cable | |
RU166103U1 (en) |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WITH FORCED EXTERNAL CONTROL DEVICE | |
KR100498037B1 (en) | electric cable structure of auto-transmission | |
KR101430131B1 (en) | Wiring system of transmission for vehicle | |
KR101430132B1 (en) | Fpc type wiring system of transmission for vehicle | |
US20120316022A1 (en) | Transmission system for a vehicle | |
JP6615029B2 (en) | Hydraulic control device | |
KR102563728B1 (en) | Connector having sensing module for vehicle | |
KR102507228B1 (en) | Transmission for hybrid vehicles | |
KR100510972B1 (en) | connector structure of auto-transmission | |
KR20210047136A (en) | 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 |
KR200333362Y1 (en) | Fixed clip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 |
JP4955598B2 (en) |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 |
KR100851240B1 (en) | Control Cable Control Device of Automotive Transmission | |
JP5071649B2 (en) |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