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108B1 -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1108B1 KR101201108B1 KR20110056632A KR20110056632A KR101201108B1 KR 101201108 B1 KR101201108 B1 KR 101201108B1 KR 20110056632 A KR20110056632 A KR 20110056632A KR 20110056632 A KR20110056632 A KR 20110056632A KR 101201108 B1 KR101201108 B1 KR 1012011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ondary battery
- lithium secondary
- washer
- upper cap
- cap
- Prior art date
Links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상기 캔의 상단 개구부에 조립되고 최상부에 위치하며, 가스배출홀이 형성된 상부 캡을 포함하는 캡 조립체; 및 상기 상부 캡과 결합하는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평판 형태이며, 중앙에 결합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결합홀의 중앙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스배출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상기 캔의 상단 개구부에 조립되고 최상부에 위치하며, 가스배출홀이 형성된 상부 캡을 포함하는 캡 조립체; 및 상기 상부 캡과 결합하는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평판 형태이며, 중앙에 결합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결합홀의 중앙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스배출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 전극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음극 전극판 및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 사이에 위치되어 세퍼레이터가 권취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캔과, 캔의 상부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캡 조립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와셔를 포함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 탭과 캡 조립체가 용접할 경우 불꽃이 발생되어 캔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캔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될 경우에 내부 쇼트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캔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쇼트(short)를 방지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상기 캔의 상단 개구부에 조립되고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캡을 포함하는 캡 조립체; 및 상기 상부 캡과 결합하는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평판 형태이며, 중앙에 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중앙 홀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결합홀의 중앙으로 연장되고, 가스배출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캡은 중앙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스배출홀이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장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와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스배출홀의 장측 내경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깔대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상부 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셔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을 따라 캔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캔의 상부 측면을 감싸는 덮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직경이 상기 상부 캡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의 외측으로는 열수축튜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수축튜브는 상기 와셔와 상기 상부 캡이 결합 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상부 캡에 와셔를 결합함으로서 캔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셔와 상부 캡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병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7b-7b'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도 8a에 대응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셔와 상부 캡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병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7b-7b'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도 8a에 대응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셔와 상부 캡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100)는 도 1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200), 원통형 캔(300), 캡 조립체(400), 가스켓(500), 와셔(600) 및 열수축튜브(7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200)와 전해액이 원통형 캔(300)에 삽입된다. 상기 캡 조립체(400)는 원통형 캔(300) 상부에 조립되어 원통형 캔(300)을 밀봉하며, 전극조립체(200)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외부 장치로 흐르게 한다. 상기 가스켓(500)은 원통형 캔(300)과 캡 조립체(400)의 개구부 내측벽에 개재되어 원통형 캔(300)의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전극조립체(200)는 양극집전체의 표면에 양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양극판(210)과 음극집전체의 표면에 음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음극판(220)과 상기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200)는 양극판(210)과 음극판(22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230)가 젤리-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00)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캡 조립체(400) 또는 원통형 캔(300)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 플레이트(241, 245)가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210)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호일(foil)로 이루어진 양극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양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극판(210)의 양말단에는 양극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집전체 영역, 즉, 양극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무지부의 일단에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조립체(200)의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양극 탭(215)이 접합되어 있다.
상기 음극판(220)은 전도성 금속 박판, 예를 들면, 구리(Cu) 또는 니켈(Ni) 호일로 이루어진 음극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음극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음극판(220)의 양 말단은 음극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집전체 영역, 즉 음극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음극무지부의 일단에는 일반적으로 니켈(Ni)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조립체(200)의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음극 탭(225)이 접합되어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230)는 양극판(210)과 음극판(22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조립체(2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230)는 양극판(210)과 음극판(22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며 리튬 이온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막 고분자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세퍼레이터(230)는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간의 절연을 위하여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230)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복합필름으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세퍼레이터(230)는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보다 폭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다 유리하다.
상기 원통형 캔(300)은 원통형 전극조립체(200)가 수용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 측면판(310)과 원통형 측면판(310)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면판(3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측면판(310)의 상부는 전극조립체(200)를 삽입하기 위하여 개구(開口)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캔 (300)의 하면판(320) 중앙에 전극조립체(200)의 음극 탭(225)이 접합됨으로써, 원통형 캔(300) 자체는 음극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캔(300)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철(Fe)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원통형 캔(300)은 상부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400)의 상부를 압박하도록 상단에서 내부로 휘어진 크림핑 (crimping)부(3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캔(300)은 크림핑부(330)로부터 하방으로 캡 조립체(400)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캡 조립체(400)의 하부를 압박하도록 안쪽으로 움푹 파인 비딩(beading)부(34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 조립체(400)는 상부 캡(410), 안전밴트(420), 절연체(430), 하부 캡(440) 및 전류차단부(450)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캡(410)은 돌출부(410a), 연결부(410b), 테두리부(410c) 및 가스배출홀(410d)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 캡(410)은 원형의 판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캡(410)은 캡 조립체(400)의 최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리튬 이차전지(100)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410a)는 상부 캡(410)의 중앙에서 돌출되며, 볼록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410a)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원통형 캔(3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경로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410b)는 돌출부(410a)의 외주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410b)는 복수개의 가스배출홀(410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부(410c)는 연결부(410b)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410c)는 돌출부(410a)의 직경 크기보다 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부(410c)는 와셔(600)의 본체부(610)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와셔(6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배출홀(410d)은 연결부(410b)에 복수개의 홀로 형성된다. 상기 가스배출홀(410d)은 장축과 단축으로 이루어진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홀(410d)은 원통형 캔(3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방출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전밴트(42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원판의 형상으로 제조된다. 상기 안전밴트(420)는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니켈로 형성된다. 상기 안전밴트(420)는 중앙에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420a)가 형성되어 캡 조립체(4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안전밴트(420)는 리튬 이차전지(100)의 내부에서 발생한 압력에 의하여 돌출부(420a)가 상부 방향으로 변형하게 된다. 상기 안전밴트(420)의 하면 소정위치에는 전극조립체(200)의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중에서 한 전극판 예를 들어, 양극판(210)에서 인출한 양극탭(215)이 용접되어 안전밴트(420)와 전극조립체(200)의 양극판(2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양극판(210) 및 음극판(220) 중 나머지 전극판 예를 들어 음극판은 도시하지 않은 탭 혹은 직접 접촉 방식에 의해 원통형 캔(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안전 밴트(410)는 원통형 캔(300) 내부의 압력 상승시 변형되거나 파열되어 상기 전류차단부(450)를 파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체(430)는 안전밴트(420)와 하부 캡(440) 사이에 개재되어 안전밴트(420)와 하부 캡(440)을 절연시킨다.
상기 하부 캡(440)은 원판 형상으로 제조된다. 상기 하부 캡(440)은 중앙에 관통공(440a)이 형성되어 상부 캡(410)의 돌출부(420a)가 관통공(440a)을 통해 하부로 돌출된다.
상기 전류차단부(45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하부 캡(440)의 하면에 부착된다. 상기 전류차단부(450)는 상면에 안전밴트(420)의 돌출부(420a)가 부착되고, 하면에는 양극탭(21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안전밴트(420)의 돌출부(420a)는 하부 캡(440)의 관통공(440a)을 통해 전류차단부(450)의 상면에 부착된다.
상기 가스켓(500)은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소정 높이를 갖는 원형 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스켓(500)은 원통형 캔(300)의 상부를 통하여 삽입되며, 비딩부(340)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캡 조립체(400)는 가스켓(5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500)은 캡 조립체(400)와 원통형 캔(300) 사이에 위치하며, 캡 조립체(400)와 원통형 캔(300)의 내측벽 사이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가스켓(500)은 상부(500a), 중간부(500b) 및 하부(500c)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스켓(500)은 원통형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400)와 원통형 캔(300)의 형상 및 결합 관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500a)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캡 조립체(400)의 측면과 원통형 캔(300)의 내측벽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500a)는 상단부가 원통형 캔(300)의 상단부와 함께 크림핑되면서 캡 조립체(40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500a)는 캡 조립체(400)의 측면과 상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다. 상기 중간부(500b)는 상부(500a)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중간부(500b)는 상면에 캡 조립체(400)의 하면 외곽부가 접촉되면서 안착된다. 또한, 상기 중간부(500b)는 하면이 원통형 캔(300)의 비딩부(340)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부(500b)는 캡 조립체(400)의 하면 외곽부와 원통형 캔(300)의 비딩부(340) 사이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하부(500c)는 중간부(500b)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원통형 캔(300)의 비딩부(340)가 캡 조립체(400)의 하부 및 양극탭(215)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와셔(600)는 본체부(610), 결합홀(620) 및 삽입부(6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와셔(600)는 원형의 평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와셔(600)는 종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와셔(600)는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며, 고무 등의 절연체로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600)는 상부 캡(410)과 결합하여 원통형 캔(3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본체부(610)는 대략 원형의 평판으로 중앙에 결합홀(6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610)는 상부 캡(410)의 테두리부(410c)와 일정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610)는 상부 캡(410)과 와셔(600)가 결합하였을 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홀(620)은 대략 원형의 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620)은 상부 캡(410)과 결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630)는 연장부(630a)와 걸림부(630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630)는 본체부(6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630)는 가스배출홀(410d)에 삽입되어 상부 캡(410)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630)는 가스배출홀(410d)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630a)는 본체부(6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630a)는 가스배출홀(410d)의 장측 내경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가스배출홀(410d)에 삽입된다. 상기 연장부(630a)는 상부 캡(410)과 결합 할 경우 틈이 형성되어, 원통형 캔(3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방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630b)는 연장부(630a)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30b)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630b)는 연장부(630a)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630b)는 일정 간격의 각도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30b)는 가스배출홀(410d)에 결합되어 상부 캡(4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630b)는 크기가 가스배출홀(410d) 장측 내경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630)는 가스배출홀(410d)과 결합함으로써, 상부 캡(410)과 니켈 탭(미도시)이 용접할 경우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열수축튜브(700)는 상부 캡(410)과 와셔(600)가 결합 후에 원통형 캔(300)의 외측으로 형성 된다. 상기 열수축튜브(700)는 높은 충격 흡수성의 연질 페트(PET) 수지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열수축튜브(700)는 고분자 합성 수지 제품으로서, 일정 온도(90~130℃)의 열을 가할 경우 대략 25~75%로 일정 비율 수축된다. 따라서, 상기 열수축튜브(700)는 원통형 캔(300)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열수축 튜브(700)는 절연성이 우수하므로, 이차전지(100)의 전기적 단락 방지 및 외관 보호 기능을 향상시킨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700)는,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610), 결합홀(620), 삽입부(730) 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730)는 연장부(730a) 및 걸림부(730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는 도3에 따른 와셔(600)와 걸림부(730b)의 형태만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는 걸림부(730b)의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와셔(700)는 도 3에 따른 와셔(6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걸림부(730b)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730b)는 제1면(730c), 제2면(730d) 및 제3면(730e)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제1면(730c)은 연장부(730a)에서 양측으로 대략 90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면(730d)은 제1면(730c)에서 90도 방향으로 와셔(70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복수개의 걸림부(730b)가 서로 접하지 않을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면(730e)은 양측으로 형성된 제2면(730d)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며, 제1면(730c)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800)는,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610), 결합홀(620), 삽입부(8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830)는 연장부(830a) 및 걸림부(830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는 도3에 따른 와셔(600)와 걸림부(830b)의 형태만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는 걸림부(830b)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와셔(800)는 도 3에 따른 와셔(6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걸림부(830b)는 깔대기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830b)는 제1면(830c)과 제2면(830d)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제1면(830c)은 연장부(830a)에서 대략 V형태로 와셔(800)의 내측으로 갈수록 양측의 제1면(830c)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면(830d)은 양측으로 형성된 제1면(830c)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9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병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900)는,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610), 결합홀(620), 삽입부(9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930)는 연장부(930a) 및 걸림부(930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는 도3에 따른 와셔(600)와 걸림부(930b)의 형태만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는 걸림부(930b)의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와셔(900)는 도 3에 따른 와셔(6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걸림부(930b)는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930b)는 제1면(930c) 및 제2면(930d)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제1면(930c)은 연장부(930a)에서 양측으로 대략 90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면(930d)은 양측 제1면(930c)에서 와셔(900)의 내측 중앙으로 점점 좁혀지며 서로 접하여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1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7b-7b'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1000)는,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610), 결합홀(620), 삽입부(10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030)는 연장부(1030a) 및 걸림부(1030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는 도3에 따른 와셔(600)와 걸림부(1030b)의 형태만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는 걸림부(1030b)의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와셔(1000)는 도 3에 따른 와셔(6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걸림부(1030b)는 높이가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030b)는 본체부(610)보다 돌출부(410a)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030b)는 높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배출홀(410d)에 끼워졌을 때 더욱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1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의 도 8a에 대응되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1100)는, 도 8a및 도 8b을 참조하면, 본체부(610), 결합홀(620), 삽입부(630) 및 덮개부(11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1100)는 도3에 따른 와셔(600)에 덮개부(114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셔는 덮개부(114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와셔(1100)는 도 3에 따른 와셔(6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1140)는 직경이 상부 캡(410)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부 캡(410) 및 원통형 캔(300)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1140)는 본체부(610)의 외주연을 따라 원통형 캔(300)의 측면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1140)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원통형 캔(300)이 손상될 경우 덮개부(1140)가 원통형 캔(300)의 상부 측면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쇼트(short)를 방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리튬 이차 전지
200 : 전극조립체 210 : 양극판
220 : 음극판 230 : 세퍼레이터
300 : 캔 310 : 측면판
320 : 하면판 330 : 그리핑부
340 : 비딩부
400 : 캡 조립체 410 : 상부 캡
420 : 안전밴트 430 : 절연체
440 : 하부캡 450 : 전류차단부
500 : 가스켓
600, 700, 800, 900, 1000, 1100 : 와셔
200 : 전극조립체 210 : 양극판
220 : 음극판 230 : 세퍼레이터
300 : 캔 310 : 측면판
320 : 하면판 330 : 그리핑부
340 : 비딩부
400 : 캡 조립체 410 : 상부 캡
420 : 안전밴트 430 : 절연체
440 : 하부캡 450 : 전류차단부
500 : 가스켓
600, 700, 800, 900, 1000, 1100 : 와셔
Claims (15)
-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상기 캔의 상단 개구부에 조립되고 최상부에 위치하며, 가스배출홀이 형성된 상부 캡을 포함하는 캡 조립체; 및
상기 상부 캡과 결합하는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평판 형태이며, 중앙에 결합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결합홀의 중앙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스배출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은
중앙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가스배출홀이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장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스배출홀의 장측 내경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깔대기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상부 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캔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캔의 상부 측면을 감싸는 덮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내부 직경이 상기 상부 캡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은 외측으로 열수축튜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튜브는 상기 와셔와 상기 상부 캡이 결합 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56632A KR101201108B1 (ko) | 2011-06-13 | 2011-06-13 | 리튬 이차 전지 |
US13/348,664 US9147908B2 (en) | 2011-06-13 | 2012-01-12 | Lithium secondary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56632A KR101201108B1 (ko) | 2011-06-13 | 2011-06-13 | 리튬 이차 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1108B1 true KR101201108B1 (ko) | 2012-11-13 |
Family
ID=4729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10056632A KR101201108B1 (ko) | 2011-06-13 | 2011-06-13 | 리튬 이차 전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147908B2 (ko) |
KR (1) | KR10120110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8128A (ko) * | 2014-03-17 | 2015-09-2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85259B (zh) * | 2012-12-19 | 2017-09-15 | 三洋电机株式会社 | 圆筒形二次电池以及其制造方法 |
JP6698279B2 (ja) * | 2015-03-31 | 2020-05-27 | Fdk株式会社 | 筒型電池 |
WO2017017930A1 (ja) * | 2015-07-24 | 2017-02-02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捲回型電池 |
KR102558819B1 (ko) * | 2018-08-29 | 2023-07-2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원통형 삼전극 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통형 삼전극 셀 |
KR20220009203A (ko) * | 2020-07-15 | 2022-01-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23651B2 (ja) | 1993-06-25 | 2001-10-29 | ウシオ電機株式会社 | 誘電体バリヤ放電ランプ |
JP4250833B2 (ja) * | 1999-10-27 | 2009-04-08 | ソニー株式会社 | 電池 |
JP2002184391A (ja) | 2000-12-18 | 2002-06-28 | Sony Corp | 円筒型電池の絶縁ワッシャー組立方法及び装置と円筒型電池 |
JP4747859B2 (ja) * | 2006-01-27 | 2011-08-17 | ソニー株式会社 | 電池 |
KR101006883B1 (ko) | 2006-12-23 | 2011-01-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해액 흡입성 와셔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 |
JP2009021223A (ja) * | 2007-06-11 | 2009-01-29 | Panasonic Corp |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搭載機器 |
KR101242135B1 (ko) | 2007-12-13 | 2013-03-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원통형 이차 전지 |
-
2011
- 2011-06-13 KR KR20110056632A patent/KR10120110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
- 2012-01-12 US US13/348,664 patent/US914790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8128A (ko) * | 2014-03-17 | 2015-09-2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102108277B1 (ko) * | 2014-03-17 | 2020-05-0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147908B2 (en) | 2015-09-29 |
US20120315513A1 (en) | 2012-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1108B1 (ko) | 리튬 이차 전지 | |
KR100890329B1 (ko) | 리튬 이차전지 | |
CN107667443B (zh) | 用于二次电池的盖组件 | |
CN109997244B (zh) | 二次电池 | |
US20130216870A1 (en) |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KR100959613B1 (ko) |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US9356263B2 (en) |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gasket having an adhesive layer | |
EP2963703A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093957B1 (ko) | 이차전지 | |
KR101093401B1 (ko) | 캡 업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 |
US20210273288A1 (en) | Battery safety vent assembly | |
KR101174956B1 (ko) | 이차전지 | |
US10741821B2 (en) | Secondary battery | |
KR100778980B1 (ko) | 리튬 이차전지 | |
KR20160022137A (ko) | 안정성이 향상된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 |
KR101106403B1 (ko) | 이차 전지 | |
KR101243529B1 (ko) | 리튬 이차전지 | |
KR20050019359A (ko) | 리튬 이온 2차 전지 | |
KR101175008B1 (ko) | 원통형 이차전지 | |
KR20070078493A (ko) | 리튬 이차전지의 캔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 |
KR102578159B1 (ko) | 원통형 이차전지 | |
EP4191782A1 (en) |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 |
KR20110048774A (ko) |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 |
KR20130019976A (ko) | 이차 전지 제조 방법 | |
KR20080037197A (ko) |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