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93517B1 - 코일 스프링 - Google Patents

코일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517B1
KR101193517B1 KR1020097016097A KR20097016097A KR101193517B1 KR 101193517 B1 KR101193517 B1 KR 101193517B1 KR 1020097016097 A KR1020097016097 A KR 1020097016097A KR 20097016097 A KR20097016097 A KR 20097016097A KR 101193517 B1 KR101193517 B1 KR 10119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hape
spring
diameter sid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644A (ko
Inventor
다니엘 훼뉴
노부하루 카토
다케시 야부시타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090096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042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밀착 상태로 부하를 안정되게 받게 함과 동시에 편평률을 작게 하여 밀착 길이를 짧게 하고, 또한 단면 형상의 원주 방향에서의 응력 분산의 연속성에 의해 응력 분포의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코일 형상으로 감겨지는 스프링 소선(3)의 단면 외주 형상에 대하여, 코일 외경측 부분(7) 또는 코일 내경측 부분(5)을 x2 + y2 = b2으로 표현되는 반원 형상으로 하고, 코일 내경측 부분(5) 또는 코일 외경측 부분(7)을 (x/a)α + (y/b)α = 1로 표현되는 긴 직경 = a, 짧은 직경 = b의 비원형 형상으로 하고, 상기 α의 값을 α = 1.85 ~ 2.45의 범위로 한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 소선에 있어서의 단면 외주 형상의 코일 내외경측 부분(5, 7) 사이에, 코일 축선(4) 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당접 가능한 편평면(9, 1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프링 소선, 편평면, 응력 분산, 반원 형상, 비원형, 코일 내경측 부분, 코일 외경측 부분, 응력 분포, 단면 외주 형상, 성형 당접면, 편평면, 스프링 정수, 편평률, 밀착 높이

Description

코일 스프링{COIL SPRING}
본 발명은 비틀림 진동 감쇠기의 토션 스프링 등에 제공되는 코일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종래, 클러치 디스크에 사용되고 있는 토션 스프링 등에 있어서, 코일 형상으로 감겨지는 스프링 소선의 원형 단면의 외주 형상에 성형 당접면으로서 편명면을 설치한 것이 있다.
이 코일 스프링은 코일 형상이 밀착 상태 혹은 록크 상태가 될 때까지 스프링에 부하가 걸리면, 편평면이 인접하는 코일 부분에 당접하여 부하를 안정되게 받아서, 코일 직경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코일 스프링은 스프링 소선의 코일 형상에 대하여 내경측이 되는 부분(코일 내경측 부분)의 응력이 동 외경측으로 되는 부분(코일 외경측 부분)보다도 높게 된다. 더우기, 상기 편평면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응력의 편향과 합쳐져서, 스프링 소선의 단면 원주 방향의 응력의 분산 상태가 한층 더 영향을 받는다.
한편, 스프링 소선에 편평면을 설치한 경우, 그 단면 형상의 편평률이 작아 지면, 편평면이 당접할 때의 코일 축선 방향의 밀착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서, 스 트로크가 긴 낮은 강성의 스프링을 설치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기도 하다.
도 13은 편평률(T/W)의 상위에 따른 스프링 지수(D/W)와 응력비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4는 편평률(T/W)의 상위에 따른 스프링 지수(D/W)와 밀착 높이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5의 스프링 소선(101)의 부호를 참조하면, T는 코일 축선 방향의 최대 치수, W는 코일 직경 방향의 최대 치수, D는 코일의 중심 직경이다.
도 13에서는, 원형 단면의 스프링 소선에 편평면을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스프링 정수 및 밀착 높이를 일정하게 하여, 응력비를 확인했다. 도 14에서는, 원형 단면의 스프링 소선에 편평면을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스프링 정수 및 응력을 일정하게 하여, 밀착 높이를 확인했다. 도 13, 도 14의 어느 쪽에도, 편평률(T/W) = 0.92의 스프링 지수(D/W)에 대한 응력의 변화를 1로 하여, 이 편평률(T/W) = 0.92에 대한 편평률(T/W) = 0.76의 코일 스프링에 대하여 응력비 및 밀착 높이비를 확인했다.
도 13, 도 14와 같이, 편평률(T/W) = 0.92에 대하여 편평률(T/W) = 0.76이 되면, 응력 및 밀착 높이의 어느 것도 작게 되었다.
도 15, 도 16은 종래의 코일 스프링에서의 스프링 소선의 단면에서, 유한요소법에 따른 응력 분포 상태의 해석 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스프링 소선(101)은 베이스로 되는 원형의 단면에 편평면(103)을 신선 등에 의해 형성하여, 편평률(T/W) = 0.92로 한 것이다. 스프링 소선(105)은 베이스가 되는 원형의 단면에 편평면(107)을 신선 등에 의해 형성하여, 편평률(T/W) = 0.76으로 한 것이다.
도 15, 도 16의 비교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베이스가 원형 단면의 스프링 소선(101, 105)에서는, 편평면(103, 107)의 형성에 의해 코일 내경측 부분(108)의 응력을 편평면(103, 107)에까지 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원형 단면의 경우에는 편평률(T/W)이 작아지면 원주 방향에서의 응력 분산은 되어 있지만, 응력 분산의 연속성이 저하하는 결과가 되어, 편평면(103, 107)의 형성에 의해 편평률(T/W)을 작게 하여 응력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도 17은 도 15, 도 16과 마찬가지로, 유한요소법에 따른 응력 분포 상태의 해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스프링 소선(109)은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스프링 소선(109)의 경우도, 코일 내경측 부분(108)의 응력을 분산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밀착 상태에서 안정되게 부하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도 15, 도 16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도 17의 스프링 소선의 경우도, 응력 분산의 연속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편평률(T/W) = 0.76인 도 16의 예와 비교하여도 저하되고 있다.
즉, 종래의 원형 단면이나 사각형 단면의 스프링 소선에 편평면을 설치한 코일 스프링에서는 밀착 상태에서 부하를 안정되게 받게 함과 동시에 편평률을 작게 하여 밀착 길이를 짧게 하고, 또한 단면 형상의 원주 방향에서의 응력 분산의 연속성에 의해 응력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 6-300065 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평 10-82440 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종래의 스프링 소선에 성형 당접면을 설치한 코일 스프링에서는, 밀착 상태에서 부하를 안정되게 받게 함과 동시에 편평률을 작게 하여 밀착 길이를 짧게 하고, 또한 단면 형상의 원주 방향에서의 응력 분산의 연속성에 의해 응력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었던 점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밀착 상태에서 부하를 안정되게 받게 함과 동시에 편평률을 작게 하여 밀착 길이를 짧게 하고, 또한 단면 형상의 원주 방향에서의 응력 분산의 연속성에 의해 응력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코일 형상으로 감겨지는 스프링 소선의 단면 외주 형상에 대하여, 코일 외경측 부분 또는 코일 내경측 부분을 x2 + y2 = b2으로 표현되는 반원 형상으로 하고, 코일 내경측 부분 또는 코일 외경측 부분을 (x/a)α + (y/b)α = 1로 표현되는 긴 직경 = a, 짧은 직경 = b의 비원형 형상으로 하여, 상기 α의 값을 α = 1.85 ~ 2.45의 범위로 한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 소선에 있어서의 단면 외주 형상의 코일 내외경측 부분 사이에, 코일 축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당접 가능한 성형 당접면을 설치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코일 형상으로 감겨지는 스프링 소선의 단면 외주 형상에 대하여, 코일 외경측 부분 또는 코일 내경측 부분을 x2 + y2 = b2으로 표현되는 반원 형상으로 하고, 코일 내경측 부분 또는 코일 외경측 부분을 (x/a)α + (y/b)α = 1로 표현되는 긴 직경 = a, 짧은 직경 = b의 비원형 형상으로 하고, 상기 α의 값을 α = 1.85 ~ 2.45의 범위로 한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 소선에 있어서의 단면 외주 형상의 코일 내경측 부분 사이에, 코일 축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당접가능한 성형 당접면을 설치했기 때문에, 성형 당접면에 의해 밀착 상태에서 부하를 안정되게 받게 함과 동시에 편평률을 작게 하여 밀착 길이를 짧게 하고, 또한 단면 외주 형상의 원주 방향에서의 응력 분산의 연속성에 의해 응력 분포의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코일 스프링의 정면도이다 (실시예 1).
도 2는 코일 형상 내경측의 요부 확대도이다 (실시예 1).
도 3은 스프링 소선의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예 1).
도 4는 스프링 소선의 단면에 이용되는 외주 기초 형상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5는 유한요소법에 따른 응력 분포 상태의 해석 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6은 유한요소법에 따른 응력 분포 상태의 해석 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실시예 1).
도 7은 베이스의 상위에 따른 스프링 지수(D/W)와 응력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
도 8은 베이스의 상위에 따른 스프링 지수(D/W)와 밀착 높이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
도 9는 베이스의 상위에 따른 스프링 지수(D/W)와 중량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
도 10은 스프링 지수(D/W)의 상위에 따른 편평률(T/W)과 응력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
도 11은 스프링 지수(D/W)의 상위에 따른 편평률(T/W)과 밀착 높이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
도 12는 베이스가 반원부 외경측의 스프링 소선의 경우에 대해서, α의 값을 변화시켰을 때의 응력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
도 13은 편평률(T/W)의 상위에 따른 스프링 지수(D/W)와 응력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종래예).
도 14는 편평률(T/W)의 상위에 따른 스프링 지수(D/W)와 밀착 높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종래예).
도 15는 유한요소법에 따른 응력 분포 상태의 해석 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종래예).
도 16은 유한요소법에 따른 응력 분포 상태의 해석 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종래예).
도 17은 유한요소법에 따른 응력 분포 상태의 해석 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종래예).
(부호의 설명)
1 코일 스프링
3 스프링 소선
4 코일 축선
5 코일 내경측 부분
7 코일 외경측 부분
9, 11 편평면 (성형 당접면)
밀착 상태에서 부하를 안정되게 받게 함과 동시에 편평률을 작게 하여 밀착 길이를 짧게 하고, 또한 단면 형상의 원주 방향에서의 응력 분산의 연속성에 의해 응력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동시에 달성한다는 목적을 x2 + y2 = b2으로 표현되는 반원 형상과, 코일 내경측 부분 또는 코일 외경측 부분을 (x/a)α + (y/b)α = 1로 표현되는 긴 직경 = a, 짧은 직경 = b의 비원형 형상으로 형성한 단면 외주 형상에 성형 당접면을 설치하는 것으로 실현했다.
(실시예 1)
[코일 스프링]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코일 스프링의 정면도, 도 2는 코일 형상 내경측의 요부확대도, 도 3은 스프링 소선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스프링 소선의 단면에 이용되는 외주 기초 형상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의 코일 스프링(1)은, 예를 들면, 듀얼 매스 플라이휠(dual mass flywheel) 또는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용 록크 업(lock-up) 또는 습식 혹은 건식의 클러치 기구용(으로서 설계된) 마찰 디스크의 토셔널 댐퍼(비틀림 진동 감쇠기) 내에 조립되어 있는 것으로, 스프링 소선(3)이 코일 형상으로 감겨진 것이다. 이 코일 스프링(1)은 자유 상태에서 코일 축선(4)이 원호 형상이며, 이 원호 형상은 조립 상태에서의 곡률반경(R)을 가지고 있다.
도 2 ~ 도 4와 같이, 코일 스프링(1)의 스프링 소선(3)은 x2 + y2 = b2으로 표현되는 반원 형상의 코일 내경측 부분(5)과 (x/a)α + (y/b)α = 1로 표현되는 긴 직경 = a, 짧은 직경 = b의 비원형 형상의 코일 외경측 부분(7)으로 이루어지는 외주 기초 형상(도 4)에 대하여, 성형 당접면으로서의 편평면(9, 11)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α의 값은α = 1.85 ~ 2.45의 범위로 했다.
편평면(9, 11)은 스프링 소선(3)에서의 단면 형상의 코일 축선 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도 2, 도 3과 같이, 스프링 소선(3)의 단면 형상이 쐐기 형상으로 되도록 상호 경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편평면(9, 11)의 경사는 코일 스프링(1)의 원호 형상의 곡률 반경 방향을 따라서 있다. 편평면(9, 11)의 폭(H)은 편평률(T/W)에 의존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T/W = 0.76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편평면(9, 11)은, 편평률(T/W) 및 경사 설정에 의해, 상호 각도(θ) 및 반원 형상의 코일 내경측 부분(5)의 최대 치수(T)를 가진다. 상호 각도(θ)는 코일 스프링(1)의 곡률 중심을 중심으로 한다.
[응력 분산]
도 5는 유한요소법에 따른 응력 분포 상태의 해석 결과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와 같이, 스프링 소선(3)에서는 편평면(9, 11)의 형성에 의해 코일 내경측 부분(5)의 응력을 편평면(9, 11)에까지 연속하여 분산되어 있다. 같은 편평률(T/W) = 0.76의 도 15의 예와 비교하면 명백한 바와 같이, 도 5의 본 실시예에서는 편평률을 작게 하면서 응력이 연속된 균일한 분산을 확실히 달성할 수 있었다.
상기 코일 내외경측 부분(5, 7)의 형상을 역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코일 외경측 부분(7)을 반원형으로 하고, 코일 내경측 부분(5)을 비원형 형상으로 했을 경우에, 유한요소법에 따른 응력 분포 상태의 해석 결과를 표시한 설명도이다. 즉, 도 6의 스프링 소선(3A)은 코일 외경측 부분(7)을 x2 + y2 = b2으로 표현되는 반원 형상으로 하고, 동 코일 내경측 부분(5)을 (x/a)α + (y/b)α = 1로 표현되는 긴 직경 = a, 짧은 직경 = b의 비원형 형상으로 한 외주 기초 형상으로 하고, 이 외주 기초 형상에 대하여 성형 당접면으로서의 편평면(9, 11)을 외주면에 설치하고 있다. 도 6과 같이, 이 스프링 소선(3A)에서도, 편평률을 작게 하면서 응력이 연속된 균일한 분산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었다. 게다가, 도 5의 예보다도, 한층 더 연속된 균일한 분산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외주 기초 형상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 이 이미 제안한 바 있다 (특허 공개 평 6 - 23583호 공보).
[응력비, 밀착 높이비, 중량비]
도 7은 외주 기초 형상(베이스)의 상위에 따른 스프링 지수(D/W)와 응력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베이스의 상위에 따른 스프링 지수(D/W)와 밀착 높이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9는 베이스의 상위에 따른 스프링 지수(D/W)와 중량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0은 스프링 지수(D/W)의 상위에 따른 편평률(T/W)과 응력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은 스프링 지수(D/W)의 상위에 따른 편평률(T/W)과 밀착 높이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 ~ 도 9에서는, 외주 기초 형상(베이스)이 원, 사각형, 반원부 내경측(도 5의 단면 형상), 반원부 외경측(도 6의 단면 형상)의 각 스프링 소선에 편평면을 설치한 경우에, 도 7에서는, 스프링 정수 및 밀착 높이를 일정하게 하여, 편평률(T/W) = 0.76에 대해서 응력비를 확인했다. 도 8에서는 동 스프링 정수 및 응력을 일정하게 하여, 편평률(T/W) = 0.76에 대해서 밀착 높이를 확인했다. 도 9에서는 같은 스프링 정수 및 응력을 일정하게 하여, 편평률(T/W) = 0.76에 대해서 중량비를 확인했다. 도 7 ~ 도 9의 어느 쪽도, 편평률(T/W) = 0.76에서 베이스가 원일 때를 1로 하고, 베이스가 사각형, 반원형 내경측(도 5의 단면 형상), 반원부 외경측(도 6의 단면 형상)의 각 스프링 소선에 대해서, 각각의 스프링 지수(D/W)에 대하여 응력비, 밀착 높이비, 중량비를 확인했다.
도 7 ~ 도 9와 같이, 베이스가 사각형인 결과는 응력비, 밀착 높이, 중량비의 어느 쪽도 베이스가 원인 결과를 대폭으로 상회한 것에 대해, 베이스가 반원부 내경측(도 5의 단면 형상), 반원부 외경측(도 6의 단면 형상)인 어느 쪽의 스프링 소선의 결과도 베이스가 원일 때의 응력, 밀착 높이, 중량을 하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0에서는 베이스가 반원부 외경측(도 6의 단면 형상)인 스프링 소선에 대해서, 스프링 정수 및 밀착 높이를 일정하게 하여 응력비을 확인하고, 도 11에서는 베이스가 반원부 외경측(도 6의 단면 형상)인 스프링 소선에 대해서, 스프링 정수 및 응력을 일정하게 하여, 밀착 높이비를 확인했다. 도 10, 도 11의 어느 쪽에서도, 편평률(T/W) = 0.76일 때의 응력 및 밀착 높이를 1로 하여, 편평률(T/W)을 변화시켜 확인했다.
도 10, 도 11과 같이, 어느 쪽의 스프링 지수(D/W)에서도 편평률이 작아짐에 따라서 응력, 밀착 높이의 동일한 변화 경향을 얻을 수 있었다.
[α와 응력비]
도 12는 α의 값을 변화시킬 때의 응력비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베이스가 반원부 외경측(도 6의 단면 형상), 편평률(T/W) = 0.76의 스프링 소선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 정수, 코일 외경, 밀착 높이를 일정하게 했다. 도 12에는 비교례로서, 베이스가 원형이고 편평률(T/W) = 0.76, 0.92의 2 예와 베이스가 사각형이며, 편평률(T/W) = 0.76과의 응력비도 아울러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베이스가 원형이고 편평률(T/W) = 0.92의 응력비를 1로 하여 비교하고, 응력비가 1을 하회하는 범위를 특정하면, 도 12로부터 α = 1.85 ~ 2.45로 된다. 이 α = 1.85 ~ 2.45의 범위라면, 베이스가 원형이고, 편평률(T/W) = 0.92의 비교례에 대해서 설계적으로 유리하다.
[실시예 1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코일 형상으로 감겨지는 스프링 소선(3)의 단면 외주 형상에 대하여, 코일 외경측 부분(7) 또는 코일 내경측 부분(5)를 x2 + y2 = b2으로 표현되는 반원 형상으로 하고, 코일 내경측 부분(5) 또는 코일 외경측 부분(7)을 (x/a)α + (y/b)α = 1로 표현되는 긴 직경 = a, 짧은 직경 = b의 비원형 형상으로 하고, 상기 α의 값을 α = 1.85 ~ 2.45의 범위로 한 코일 스프링(1)이며, 상기 스프링 소선(3)에 있어서의 단면 외주 형상의 코일 내외경측 부분(5, 7) 사이에, 코일 축선(4) 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당접 가능한 편평면(9, 11)을 설치했기 때문에, 편평면(9, 11)에 의해 밀착 상태에서 부하를 안정되게 받게 함과 동시에 편평률(T/W)을 작게 하여 밀착 길이를 짧게 하고, 또한 단면 형상의 원주 방향에서의 응력 분산의 연속성에 의해 응력 분포의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토셔널 댐퍼(torsional damper)용 코일 스프링 등에 필요한 스트로크가 긴 낮은 강성의 스프링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충분한 품질을 얻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동적 상태에서의 노이즈나 진동의 발생을 저감하는 필터 기능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기능은 엔진 계통에 조립되는 토셔널 댐퍼(비틀림 진동 댐퍼)에 요구된다.
편평면(9, 11)을 스프링 소선(3)에서의 단면 형상의 코일 축선(4) 방향 양측에 설치했기 때문에, 코일 밀착 상태에서의 코일 축선(4) 방향의 부하를 확실히 받 을 수 있어서, 코일 직경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편평면(9, 11)은 스프링 소선의 단면 형상이 쐐기 형상으로 되도록 상호 경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축선(4)이 원호 형상인 경우에서도, 코일 축선(4) 방향의 부하를 확실히 받게 할 수 있어서, 코일 직경 방향의 어긋남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코일 외경측 부분(7)이 상기 비원형 형상이어도, 코일 스프링(1)의 원호 형상의 내주측에 있어서, 도 2와 같이 스프링 소선(3)의 단면 형상에 주는 영향을 극히 작게 하여 편평면(9, 11)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 소선(3)의 코일 형상은 자유 상태에서 코일 축선이 원호 형상이기 때문에, 코일 축선(4)을 원호 형상으로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편평면(9, 11) 코일 축선(4)의 원호 형상에 따라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스프링 소선(3)의 코일 형상은 조립 상태에서 코일 축선(4)의 곡률반경(R)을 가지는 형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편평면(9, 11)의 코일 축선(4)의 곡률에 따른 설계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은 듀얼 매스 플라이휠 또는 토크 컨버터용 록크 업 또는 습식 혹은 건식의 클러치 기구의 토셔널 댐퍼(비틀림 진동 흡수 장치)에 조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트로크가 긴 낮은 강성의 코일 스프링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성형 당접면은 편평면(9, 11)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소의 볼록면 또는 오목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형 당접면은 스프링 소선(3)의 코일 축선(4) 방향 일방측이 다소의 볼록면, 동 타측이 다소의 오목면 등으로 형성할 수 도 있다.

Claims (11)

  1. 코일 형상으로 감겨지는 스프링 소선의 단면 외주 형상에 대하여, 코일 외경측 부분 또는 코일 내경측 부분을 x2 + y2 = b2으로 표현되는 반원 형상으로 하고,
    코일 내경측 부분 또는 코일 외경측 부분을 (x/a)α + (y/b)α = 1로 표현되는 긴 직경 = a, 짧은 직경 = b의 비원형 형상으로 하고, 상기 α의 값을 α = 1.85 ~ 2.45의 범위로 한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 소선에 있어서의 단면 외주 형상의 코일 내경측 부분으로부터 코일 외경측 부분으로 각각 연장하며, 코일 축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코일 부분이 당접 가능한 성형 당접면을 설치하여, 스프링 소선의 편평률을 작게 하면서 응력 분산의 연속성과 응력 분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당접면은 편평면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당접면을 상기 스프링 소선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의 코일 축선 방향 양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당접면을 상기 스프링 소선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의 코일 축선 방향 양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양 성형 당접면은 스프링 소선의 단면 형상이 쐐기형이 되도록 상호 경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양 성형 당접면은 스프링 소선의 단면 형상이 쐐기형이 되도록 상호 경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소선의 코일 형상은 자유 상태에서 코일 축선이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소선의 코일 형상은 코일 축선이 조립 상태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듀얼 매스 플라이휠 또는 토크 컨버터용 록크 업 또는 습식 혹은 건식의 클러치 기구용 마찰 디스크의 토셔널 댐퍼(비틀림 진동 감쇠기) 내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
  10. 청구항 7에 있어서,
    듀얼 매스 플라이휠 또는 토크 컨버터용 록크 업 또는 습식 혹은 건식의 클러치 기구용 마찰 디스크의 토셔널 댐퍼(비틀림 진동 감쇠기) 내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
  11. 청구항 8에 있어서,
    듀얼 매스 플라이휠 또는 토크 컨버터용 록크 업 또는 습식 혹은 건식의 클러치 기구용 마찰 디스크의 토셔널 댐퍼(비틀림 진동 감쇠기) 내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스프링.
KR1020097016097A 2007-01-26 2008-01-25 코일 스프링 KR101193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6982A JP5268261B2 (ja) 2007-01-26 2007-01-26 コイルばね
JPJP-P-2007-016982 2007-01-26
PCT/JP2008/000089 WO2008090748A1 (ja) 2007-01-26 2008-01-25 コイルば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644A KR20090096644A (ko) 2009-09-11
KR101193517B1 true KR101193517B1 (ko) 2012-10-23

Family

ID=39644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097A KR101193517B1 (ko) 2007-01-26 2008-01-25 코일 스프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84342B2 (ko)
EP (1) EP2128480B1 (ko)
JP (1) JP5268261B2 (ko)
KR (1) KR101193517B1 (ko)
CN (1) CN101617140B (ko)
WO (1) WO2008090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3372B2 (ja) * 2009-07-31 2014-01-08 日本発條株式会社 コイルばね
DE102012207381A1 (de) * 2011-05-13 2012-11-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JP5769499B2 (ja) * 2011-05-27 2015-08-26 日本発條株式会社 コイルばね
JP5064590B1 (ja) * 2011-08-11 2012-10-31 日本発條株式会社 圧縮コイルばね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30330122A1 (en) * 2012-06-12 2013-12-12 Bal Seal Engineering, Inc. Canted coil springs with contoured wire shapes, relate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9206871B2 (en) * 2012-12-10 2015-12-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rc coil spring configuration
JP5827637B2 (ja) * 2013-02-25 2015-12-02 日本発條株式会社 コイルばね
JP5981958B2 (ja) * 2014-05-28 2016-08-31 三菱製鋼株式会社 懸架コイルばね及びストラット型懸架装置
US9926993B2 (en) 2014-07-07 2018-03-27 Aisin Aw Co. Ltd. Coil spring
US10619985B1 (en) 2018-10-19 2020-04-14 Talmage P. Stewart, III Magazine dispensing container an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2461A (en) * 1978-04-06 1979-10-15 Nhk Spring Co Ltd Production of coil spri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3225A (en) * 1922-10-18 1925-01-13 Alan N Lukens Helical spring
US1643073A (en) * 1926-01-27 1927-09-20 Elmyr A Laughlin Spring
US2700540A (en) * 1950-06-02 1955-01-25 Juhasz Kalman J De Mechanical spring
GB930608A (en) * 1961-08-28 1963-07-03 John George Schwarzbeck Stress equalined coil spring
JPS60121333A (ja) * 1983-12-01 1985-06-28 Murata Hatsujo Kk コイルばね
US4923183A (en) * 1987-10-20 1990-05-0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Non-circular cross-section coil spring
JPH0623583B2 (ja) * 1988-03-04 1994-03-30 日本発条株式会社 コイルばね
JPH0238528A (ja) 1988-07-29 1990-02-07 Kawasaki Steel Corp 一方向性けい素鋼板の製造方法
JPH0238528U (ko) * 1988-09-05 1990-03-14
JP2905498B2 (ja) 1989-06-09 1999-06-1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0376127A (ja) 1989-08-18 1991-04-02 Son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3934798A1 (de) * 1989-10-19 1991-04-25 Fichtel & Sachs Ag Torsions-schwingungsdaempfer mit vorgekruemmten schraubenfedern
FR2678035B1 (fr) * 1991-06-20 1995-04-14 Valeo Ressort a boudin, notamment pour amortisseur de torsion.
JP3168227B2 (ja) 1992-06-26 2001-05-21 日本発条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用ろう材およびろう付け接合体
GB9214639D0 (en) * 1992-07-09 1992-08-19 Timken Co Bearings
GB9403008D0 (en) * 1993-03-05 1994-04-06 Luk Lamellen & Kupplungsbau Helical spring
DE19648342B4 (de) * 1995-12-14 2010-10-2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schwingungsdämpfer
JPH1082440A (ja) 1997-07-07 1998-03-31 Murata Hatsujo Kk ダンパ用コイル・スプリング
DE59702902D1 (de) * 1997-09-18 2001-02-15 Alsacienne Pour La Transforma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Druckfeder
GB2342142B (en) * 1998-03-25 2003-02-12 Luk Lamellen & Kupplungsbau Torsional vibration damper
EP1778791B1 (en) 2004-08-17 2008-08-20 INVISTA Technologies S.à.r.l. Colored oxygen scavenging polym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2461A (en) * 1978-04-06 1979-10-15 Nhk Spring Co Ltd Production of coil sp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85072A (ja) 2008-08-14
US20100090384A1 (en) 2010-04-15
EP2128480A1 (en) 2009-12-02
WO2008090748A1 (ja) 2008-07-31
KR20090096644A (ko) 2009-09-11
JP5268261B2 (ja) 2013-08-21
CN101617140B (zh) 2015-07-22
EP2128480B1 (en) 2020-04-22
EP2128480A4 (en) 2012-11-14
CN101617140A (zh) 2009-12-30
US8684342B2 (en) 201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517B1 (ko) 코일 스프링
US8561499B1 (en) Centrifugal pendulum absorber
US9127721B2 (en) Torsional damper for clutch
KR101862841B1 (ko) 가요성 도관 요소
GB2374397A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JP5376061B2 (ja) トルク変動吸収装置
JP4699273B2 (ja) ばねシート部材及びばね組立て体
JP6538047B2 (ja) 皿ばね
KR20090010062A (ko) 프리휠 클러치
US8876095B2 (en) Coil spring
JP5447339B2 (ja) 捩れ緩衝装置
JP5827637B2 (ja) コイルばね
WO2016157881A1 (ja) ばねシート部材及びばね組立て体
KR101503089B1 (ko) 개선된 마찰 링 및 개선된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마찰 클러치
WO2010073918A1 (ja) ばね
JP5769499B2 (ja) コイルばね
CN100449168C (zh) 扭转振动减振器
CN211693395U (zh) 螺旋扭转弹簧及使用该螺旋扭转弹簧的涨紧器
JP4950776B2 (ja) 捩り振動低減装置
JP2009079731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20100054533A (ko) 클러치의 댐핑장치
RU2780073C1 (ru) Сайлентблок
US10480614B2 (en) Device for filtering vibrations
JP2011220477A (ja) ばね
CN106763276A (zh) 提高离合器摩擦阻尼的减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