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347B1 - 다운로드 실행 장치 - Google Patents
다운로드 실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3347B1 KR101193347B1 KR1020077015181A KR20077015181A KR101193347B1 KR 101193347 B1 KR101193347 B1 KR 101193347B1 KR 1020077015181 A KR1020077015181 A KR 1020077015181A KR 20077015181 A KR20077015181 A KR 20077015181A KR 101193347 B1 KR101193347 B1 KR 101193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wnload
- program
- user
- tuning
- downloa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101150053844 APP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101100189105 Homo sapiens PABPC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102100039424 Polyadenylate-binding protein 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1100055496 Arabidopsis thaliana APP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100016250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GYL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1001091379 Homo sapiens Kallikrein-5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4868 Kallikrein-5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04N21/4349—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by extracting from data carousels, e.g. extraction of software modules from a DVB carous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3—Implementing client middleware, e.g. Multimedia Home Platform [MH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시에 사용자의 시청 또는 녹화를 적어도 갑자기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를 제공한다. AM(1205b)은 현재의 튜닝 정보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파수를 비교하여, 다운로드원을 결정하는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 튜너의 사용 상황과 사용 중인 각 튜너가 튜닝하고 있는 주파수를 취득하는 튜닝 주파수 취득부(2902),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파수를 취득하는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부(2903), 결정된 다운로드원으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스토어하는 스토어부(2904),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부(2905),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파수로 지정된 튜너를 튜닝하는 튜닝 요구부(290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의 다운로드 실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송 수신기에서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는 다운로드하는 프로그램을 방송파에 의해서 송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삽입하고, 프로그램이 흐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튜닝함으로써 다운로드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프로그램을 삽입하는 방법은 MPEG 규격서 ISO/IEC13818-6에 기술된 DSMCC라는 방식이 이용된다. DSMCC는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할 때에는 튜닝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의 시청 혹은 녹화를 방해하지 않도록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하기 전에 방송 수신기의 현재의 상태가 시청 혹은 녹화 중인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시청 혹은 녹화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사용자의 프로그램 시청 혹은 녹화를 방해하는 일은 없었다.
한편, 특허 문헌 1에서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특허 문헌 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송 수신기 내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때에 프로그램의 버전 업을 검출하고, 방송 수신기의 에러가 수복될 때에는 통지를 행하여, 사용자에게 버전 업을 행할지의 여부의 확인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방법으로서는, 방송 수신기 상태가 시청 혹은 녹화 등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 한정하여 다운로드를 행하는 방법과, 방송 수신기의 에러 발생 시에 다운로드할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응답을 수신하는 방법이 존재하고 있다.
그런데, 방송 수신기는 방송국으로부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고 다운로드를 개시한다. 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요구에는 방송 수신기가 다운로드할 수 있는 방법이 복수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일례로서, OCAP 사양(OCAP 1.0 Profile OC-SP-OCAP1.0-I11-040604)을 설명한다. OCAP 사양에서는 EPG나 VOD 등의 서비스를 기술한 프로그램을 방송 수신기 상으로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OCAP 사양은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한 배포와 네트워크 경유의 배포에 의해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방송국은, 프로그램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배송하는 것도, 네트워크 경유로 배송하는 것도, 혹은 이 양쪽 모두로부터 배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OCAP 사양은 수신 단말기는 하나 혹은 복수의 다운로드 방법을 나타낸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했을 때에 어느 배포 방법을 이용할지, 또한 사용자의 시청을 방해하는 경우의 행동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03-6728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방송 수신기 상태가 시청 혹은 녹화를 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 한하여 다운로드를 행하는 방법에서는, 방송 수신기가 시청 혹은 녹화를 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방송국으로부터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할 수 없으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재고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연기된 것을 알 수 없었다. 따라서, 다운로드 시에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방법의 사용이 생각되지만,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방송 수신기 내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때에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할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물을 방침이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할 때까지는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의 시청 또는 녹화 중인 프로그램 이외에 관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요구를 받았을 때에 다운로드를 행하고자 하면, 예를 들어 방송 수신기가 보유하는 튜너 중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 가능한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이며, 또한 다운로드를 행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흐르고 있는 주파수가 현재 튜닝되고 있는 주파수와 다른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의해 사용자의 시청 또는 녹화가 방해되게 된다.
또한, CommonDownload 사양(OpenCable Common Download Specification)에서는, 방송 수신기의 펌 웨어(기기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단말로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CommonDownload 사양은 다운로드원 정보에 더하여 다운로드의 타이밍을 지정하는 다운로드 요구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다운로드의 타이밍 지정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시청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CommonDownload 사양은 그러한 경우의 단말의 행동에 대해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시에 사용자의 시청 또는 녹화를 갑자기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원 정보를 포함한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는 다운로드 요구 수신 수단과, 방송파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와, 상기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튜닝 판단 수단과, 상기 튜닝 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관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시지 통지 수단과, 상기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실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관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므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시에 사용자의 시청 또는 녹화를 갑자기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상기 튜너에 있어서 튜닝되고 있는 주파수를 취득하는 튜닝 주파수 취득 수단과, 상기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한 방송파의 주파수를 취득하는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튜닝 판단 수단은 상기 튜닝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와, 상기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현재의 튜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의 튜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가능한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한다고 판단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튜너가 튜닝을 행하고 있는 주파수로부터 다른 주파수로 튜닝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에 한하여,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통지하여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외의 메시지에 관해서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튜너를 사용하는 예로서 프로그램 시청이나 녹화가 있다.
또한, 상기 튜닝 판단 수단은, 또한, 상기 튜닝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이용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있는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한다고 판단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현재의 튜닝으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단되고, 또한 이용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없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통지하여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상기 튜닝 판단 수단에 의해서 현재의 튜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로의 튜닝을 실행하는 튜닝 실행 수단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현재의 튜닝으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튜닝을 실행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닝 실행 수단은 튜닝을 실행할 때에, 튜너의 이용 상황 또는 이용 목적에 따라 튜닝을 실행하는 튜너를 선택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튜닝을 실행할 때에 튜너의 이용 상황 혹은 이용 목적에 따라 튜닝을 실행하는 튜너를 선택함으로써, 튜너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튜닝 판단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현재의 튜닝으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단되고, 이용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사용자에게 메시지 통지를 행함으로써 튜너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영향이 미칠 때에 한하여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메시지를 소정 시간 표시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메시지가 계속 표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다운로드 실행 중인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소정의 이미지, 소정의 영상, 및 소정의 음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운로드 중인 영상 혹은 음성의 전환에 의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는 응답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와 다운로드 실행 장치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메시지 통지를 행할 수 있고,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답 접수 수단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 접수에 제한 시간을 설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응답 접수 수단은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대한, 승인 또는 거부의 응답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바람직하지 않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요구는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의 세트를 복수 포함하고,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세트를 결정하는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세트의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의 복수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를 특정하여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다운로드 방법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응답 접수 수단은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승인 또는 거부의 응답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바람직하지 않은 다운로드 방법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응답 접수 수단에 의해서 상기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거부의 응답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경우에,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상기 다운로드 방법과는 다른 다운로드 방법인 세트를 결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바람직하지 않은 다운로드 방법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복수의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방법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다운로드 방법을 문의하고, 상기 응답 접수 수단은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방법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운로드 방법을 접수하며,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응답 접수 수단에 의해서 접수된 상기 다운로드 방법인 세트를 결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다운로드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튜닝 판단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다운로드 방법의 문의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튜너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영향이 미칠 때에 한하여 사용자는 다운로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또한, 상기 다운로드 방법의 선택을 위한 보조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다운로드원을 선택하는 처리를 보조할 수 있다.
또,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개시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소정의 시간에 다운로드를 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처리가 종료하는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그 이후의 사용자의 처리를 방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답 접수 수단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개시하는 시간을 접수하고, 상기 타이머 설정 수단은 상기 응답 접수 수단에 의해서 접수된 상기 시간을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개시하는 시간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처리가 종료하는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그 이후의 사용자의 처리를 방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음 번의 다운로드가 언제 행해지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 설정 수단은, 사전에 결정되어 있는 시간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개시하는 시간을 설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를 개시하는 시간을 설정하지 않아도 설정된 시간부터 다운로드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 설정 수단은 상기 응답 접수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대한 거부의 응답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수되었을 때에,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개시하는 시간을 설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처리가 종료되는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그 이후의 사용자의 처리를 방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음 번의 다운로드가 언제 행해지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의 세트를 복수 포함한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는 다운로드 요구 수신 수단과,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세트를 결정하는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과,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세트의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실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의 복수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를 특정하고,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요구의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이 인코드 및 다중화된 스트림으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하는 방법 및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취득하는 방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이 인코드 및 다중화된 스트림으로부터 수신하는 방법,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하는 방법 및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취득하는 방법으로부터 다운로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은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다운로드를 실행,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의 실행 및 상기 기억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취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행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요구의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서 우선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도에 의거하여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세트를 결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이 인코드 및 다중화된 스트림으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서 다른 방법보다 우선적으로 취급하는 우선도를 부여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종래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고, 네트워크 혹은 다른 다운로드 방법을 갖지 않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로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방송파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와, 상기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튜닝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상기 튜너에 있어서 튜닝되고 있는 주파수를 취득하는 튜닝 주파수 취득 수단과, 상기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한 방송파의 주파수를 취득하는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튜닝 판단 수단은 상기 튜닝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와, 상기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현재의 튜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의 튜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가능한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한다고 판단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튜너가 튜닝을 행하고 있는 주파수로부터 다른 주파수로 튜닝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다운로드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닝 판단 수단은 또한, 상기 튜닝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이용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있는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한다고 판단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현재의 튜닝으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고 또한 이용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없는 경우에, 다른 다운로드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튜닝 판단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 방법 혹은,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취득하는 방법인 세트를 결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이 인코드 및 다중화된 스트림으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방법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는,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하는 방법 혹은,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취득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사용자에게 메시지 통지를 행하는 메시지 통지 수단과,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는 응답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와 다운로드 실행 장치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메시지 통지를 행할 수 있고,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이 인코드 및 다중화된 스트림으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방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응답 접수 수단에 의해서 상기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거부의 응답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경우에,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 방법인 세트를 결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종래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으로서 일반적인, 프로그램이 인코드 및 다중화된 스트림으로부터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로부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서 다른 방법보다 우선적으로 취급하는 우선도를 부여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튜너를 사용 중인 경우, 사용자의 처리를 방해하지 않고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 중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 방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항상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 방법인 세트를 결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튜너를 사용 중인 경우, 사용자의 처리를 방해하지 않고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기록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취득에 대해서 다른 방법보다 우선적으로 취급하는 우선도를 부여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튜너를 사용 중인 경우, 사용자의 처리를 방해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 중에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취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항상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취득인 세트를 결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튜너를 사용 중인 경우, 사용자의 처리를 방해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 중에서 가장 고속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세트를 결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가장 고속으로 다운로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있어서 에러를 검출함과 함께 에러를 검출했을 때에 에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에 의해서 에러가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에러 정보에 의거하여 다시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 중에서 하나의 세트를 결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운로드 중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도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재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원을 검출 또는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에러를 검출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원을 검출 또는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에러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운로드원을 검출 혹은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도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재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원에 상기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에러를 검출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원에 상기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에러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운로드원에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재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닝 실행 수단은 상기 튜닝에 있어서 에러를 검출함과 함께 에러를 검출했을 때에 에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튜닝 실행 수단에 의해서 에러가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에러 정보에 의거하여 다시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 중에서 하나의 세트를 결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튜닝에 있어서 에러가 검출된 경우에도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재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에 의해서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을 보존하는 스토어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라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을 결정할 때에, 방송 수신 장치가 구비하는 튜너 디바이스나 네트워크 등의 리소스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다운로드 실행 장치로서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운로드 실행 장치가 구비하는 특징적인 수단을 단계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방법으로서 실현하거나, 그러한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실현하거나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러한 프로그램은 CD-ROM 등의 기록 매체나 인터넷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배포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로드 실행 장치에 의하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관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므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시에 사용자의 시청 또는 녹화를 갑자기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의 복수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를 특정하여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서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의 실시의 형태 1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에 있어서 헤드 엔드와 단말 장치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사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에 있어서 헤드 엔드와 단말 장치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사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에 있어서 헤드 엔드와 단말 장치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사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POD의 하드웨어 구성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POD가 보존하는 프로그램 구성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MPEG 규격으로 정의되고 있는 패킷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입력부를 프런트 패널로 구성한 경우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가 보존하는 프로그램 구성의 구성도이다.
도 14a, 14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기억부가 보존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16b, 16c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기억부가 보존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MPEG2 규격이 규정하는 PAT의 내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MPEG2 규격이 규정하는 PMT의 내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OCAP 사양이 규정하는 AIT의 내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DSMCC 방식으로 송신되는 파일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XAIT의 내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DSMCC 방식으로 전송되는 파일 시스템과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서버 내의 파일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기억부가 보존하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XAIT 정보에 기술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영역에 스토어되어 있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AM이 XAIT 정보를 수취한 시점으로부터 VM으로의 어플리케이션 기동 지시를 행하기까지의 동작의 일례의 일부이며, 스토어를 행하는 처리 부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6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AM이 XAIT 정보를 수취한 시점으로부터 VM으로의 어플리케이션 기동 지시를 행하기까지의 동작의 일례의 일부이며,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부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AM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API의 호출에 의해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지시를 행하기까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8a, 28b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XAIT 정보에 따라 스토어 영역에 스토어된 어플리케이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a, 29b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XAIT 정보에 따라 스토어 영역에 스토어된 어플리케이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A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 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2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도 31의 일부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3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통지부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통지에 수반하여, 다이얼로그 표시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509)에 표시하는 다운로드 통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통지부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다운로드 통지를 실현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A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통지부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다운로드 통지를 실현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통지부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다운로드 통지를 실현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도 31의 일부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9는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0은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도 39의 일부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1은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A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통지부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다운로드 통지를 실현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통지부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다운로드 통지를 실현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도 39의 일부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5는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A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도 39의 일부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7은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도 39의 일부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8은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 통지부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다운로드 통지를 실현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는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 도 39의 일부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0은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 도 49의 일부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1은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 도 49의 일부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2는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 A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은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4는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 도 53의 일부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5는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 도 53의 일부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6은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 A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8은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9는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 도 58의 일부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0은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 A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1은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2는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3은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 통지부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다운로드 통지를 실현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4는 실시의 형태 9에서의, 프로토콜 식별자에 디스크 지정을 행한 XAIT의 내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5는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 AM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6은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7은 실시의 형태 10의 다운로드 실행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8은 실시의 형태 10에서의 Download Module의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9는 실시의 형태 10에서의, 펌 웨어 갱신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5b : AM
2901 : 다운로드원 결정부
2902 : 튜닝 주파수 취득부
2903 :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부
2904 : 스토어부
2905 : 통지부
2906 : 튜닝 요구부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헤드 엔드(101) 및 3개의 단말 장치(A111), 단말 장치(B112), 단말 장치(C113)로 구성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나의 헤드 엔드에 대해서 3개의 단말 장치가 결합되고 있지만, 임의의 수의 단말 장치를 헤드 엔드에 결합해도 본 발명은 실시 가능하다.
헤드 엔드(101)는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해서 영상?음성?데이터 등의 방송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단말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수신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헤드 엔드(101)와 단말 장치(A111), 단말 장치(B112), 단말 장치(C113) 간의 전송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분할해서 이용된다. 도 3은 주파수 대역의 분할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주파수 대역은 Out Of Band(약칭 OOB)와 In-Band의 2종류로 크게 나뉜다. 5~130MHz가 OOB에 할당되고, 주로 헤드 엔드(101)와 단말 장치(A111), 단말 장치(B112), 단말 장치(C113) 간의 데이터의 교환에 사용된다. 130MHz~864MHz는 In-Band에 할당되고, 주로 영상?음성을 포함한 방송 채널에 사용된다. OOB에서는 QPSK 변조 방식이, In-Band는 QAM64 변조 방식이 사용된다. 변조 방식 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관여가 적은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OOB 주파수 대역의 더욱 상세한 사용의 일례이다. 70MHz~74MHz는 헤드 엔드(101)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고, 모든 단말 장치(A111), 단말 장치(B112), 단말 장치(C113)가 헤드 엔드(101)로부터 동일한 데이 터를 수취하게 된다. 한편, 10.0MHz~10.1MHz는 단말 장치(A111)로부터 헤드 엔드(101)로의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고, 10.1MHz~10.2MHz는 단말 장치(B112)로부터 헤드 엔드(101)로의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며, 10.2MHz~10.3MHz는 단말 장치(C113)로부터 헤드 엔드(101)로의 데이터 송신에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각 단말 장치 고유의 데이터를 각 단말 장치(A111), 단말 장치(B112), 단말 장치(C113)로부터 헤드 엔드(101)에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In-Band의 주파수대에 대한 사용의 일례이다. 150~156MHz와 156~162MHz는 각각 텔레비젼 채널 1과 텔레비젼 채널 2에 할당되고, 이후, 6MHz 간격으로 텔레비젼 채널에 할당되어 있다. 310MHz 이후는 1MHz 단위로 라디오 채널에 할당되어 있다. 이러한 각 채널은 아날로그 방송으로서 사용해도 디지털 방송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디지털 방송의 경우는, MPEG2 사양에 의거한 트랜스포트 패킷 형식으로 전송되고, 음성이나 영상에 더하여 각종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도 송신할 수 있다.
헤드 엔드(101)는 이러한 주파수 대역에 적절한 방송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QPSK 변조부나 QAM 변조부 등을 가진다. 또한, 단말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QPSK 복조기를 가진다. 또한, 헤드 엔드(101)는 이들 변조부 및 복조부에 관련된 여러 가지 기기를 가진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주로 단말 장치에 관련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 장치(A111), 단말 장치(B112), 단말 장치(C113)는 헤드 엔드(101)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또한, 헤드 엔드(101)에 대해서 각 단말 장치 고유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3개의 단말 장치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동일한 구성을 취한다.
도 6은 단말 장치(다운로드 실행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 장치(다운로드 실행 장치 : 500)는 QAM 복조부(501), QPSK 복조부(502), QPSK 변조부(503), TS 디코더(505), 오디오 디코더(506), 스피커(507), 비디오 디코더(508), 디스플레이(509), 2차 기억부(510), 1차 기억부(511), ROM(512), 입력부(513), CPU(514)로 구성된다. 또한 단말 장치(500)에는 POD(504)를 착탈할 수 있다.
도 7은 단말 장치(500)의 외관의 일례인 박형 텔레비전이다.
박형 텔레비전의 케이스(601)는 POD(504)를 제외한 단말 장치(500)의 구성 요소를 모두 내장하고 있다.
디스플레이(602)는, 도 6에서의 디스플레이(509)에 상당한다.
프런트 패널부(603)는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되고 도 6의 입력부(513)에 상당한다.
신호 입력 단자(604)는 헤드 엔드(101)와의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해 케이블선을 접속한다. 또한, 신호 입력 단자(604)는 도 6의 QAM 복조부(501), QPSK 복조부(502), QPSK 변조부(503)와 접속되어 있다.
POD 카드(605)는 도 6의 POD(504)에 상당한다. POD(504)는 도 7의 POD 카드(605)와 같이 단말 장치(500)와는 독립된 형태를 취하고, 단말 장치(500)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POD(504)의 상세는 후술한다.
삽입 슬롯(606)은 POD 카드(605)가 삽입되는 삽입 슬롯이다.
도 6을 참조하여 QAM 복조부(501)는 CPU(514)로부터 지정된 주파수를 포함한 튜닝 정보로, 헤드 엔드(101)에서 QAM 변조되어 송신되어 온 신호를 복조하여 POD(504)에 인도한다.
QPSK 복조부(502)는 CPU(514)로부터 지정된 주파수를 포함한 튜닝 정보로, 헤드 엔드(101)에서 QPSK 변조되어 송신되어 온 신호를 복조하여 POD(504)에 인도한다.
QPSK 변조부(503)는 CPU(514)로부터 지정된 주파수를 포함한 변조 정보로, POD(504)로부터 인도된 신호를 QPSK 변조하여 헤드 엔드(101)에 송신한다.
POD(504)는 도 7과 같이 단말 장치 본체(500)로부터 착탈 가능한 형태를 하고 있다. 단말 본체(500)와 POD(504)의 접속 인터페이스는 OpenCable(TM) HOST-POD Interface Specification(OC-SP-HOSTPOD-IF-I12-030210) 및 이 사양서로부터 참조되고 있는 사양서에서 정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상세는 생략하고 본 발명에 관한 부분만을 해설한다.
도 8은 POD(504)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POD(504)는 제1 디스크램블러부(701), 제2 디스크램블러부(702), 스크램블러부(703), 제1 기억부(704), 제2 기억부(705), CPU(706)로 구성된다.
제1 디스크램블러부(701)는 CPU(706)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단말 장치(500)의 QAM 복조부(501)로부터 암호화된 신호를 수취하여 복호를 행한다. 그리고, 복호된 신호를 단말 장치(500)의 TS 디코더(505)에 보낸다. 디코드에 필요한 키 등의 정보는 CPU(706)로부터 적절히 부여된다. 구체적으로는, 헤드 엔드(101)는 몇 개의 유료 채널을 방송하고 있다. 사용자가 이 유료 채널을 구매하면 제1 디스크램블러부(701)는 CPU(706)로부터 키 등의 필요한 정보를 수취하여 디스크램블함으로써 사용자는 유료 채널을 열람할 수 있다. 키 등의 필요한 정보가 부여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디스크램블러부(701)는 디스크램블을 행하지 않고, 수취한 신호를 그대로 TS 디코더(505)에 보낸다.
제2 디스크램블러부(702)는 CPU(706)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단말 장치(500)의 QPSK 복조부(502)로부터 암호화된 신호를 수취하여 복호를 행한다. 그리고, 복호된 데이터를 CPU(706)에 인도한다.
스크램블러부(703)는 CPU(706)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CPU(706)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단말 장치(500)의 QPSK 변조부(503)에 보낸다.
제1 기억부(704)는 구체적으로는 RAM 등의 일차 기억 메모리로 구성되고, CPU(706)가 처리를 행할 때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제2 기억부(705)는 구체적으로는 플래시 ROM 등의 2차 기억 메모리로 구성되고 CPU(706)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또한 전원 OFF가 되어도 소거되어서는 곤란한 데이터의 보존에 사용된다.
CPU(706)는 제2 기억부(705)가 기억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프로그램은 복수의 서브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도 9는 제2 기억부(705)가 기억하는 프로그램의 일례이다. 도 9에서는, 프로그램(800)은 메인 프로그램(801),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 네트워크 서브 프로그램(803), 재생 서브 프로그램(804), PPV 서브 프로그램(805) 등 복수의 서브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PPV란 Pay Per View의 약어이며, 영화 등 특정한 프로그램을 유료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구입한 것이 헤드 엔드(101)에 통지되고 스크램블이 해제되어 시청할 수 있다. 이 시청에 의해 사용자는 후일, 구입 대금을 지불하는 것이다.
메인 프로그램(801)은 CPU(706)가 전원 투입 시에 최초로 기동하는 서브 프로그램으로서, 다른 서브 프로그램의 제어를 행한다.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은 전원 투입 시에 메인 프로그램(801)에 의해서 기동되고 단말 장치(500)와의 정보 교환 등을 행하여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 초기화 처리의 상세는 OpenCable(TM) HOST-POD Interface Specification(OC-SP-HOSTPOD-IF-I12-030210) 및 이 사양서로부터 참조되고 있는 사양서에서 정의되고 있다. 또한, 사양서에 정의되고 있지 않은 초기화 처리도 행한다. 여기에서는, 그 일부를 소개한다. 전원이 투입되면,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은 제2 기억부(705)가 기억하는 제1 주파수를 단말 장치(500)의 CPU(514)를 통하여 QPSK 복조부(502)에 통지한다. QPSK 복조부(502)는 부여된 제1 주파수로 튜닝을 행하고, 신호를 제2 디스크램블러부(702)에 보낸다. 또한,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은 제2 기억부(705)가 기억하는 제1 키 등의 복호 정보를 제2 디스크램블러부(702)에 부여한다. 그 결과, 제2 디스크램블러부(702)는 디스크램블을 행하고,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을 실행하는 CPU(706)에 인도한다. 따라서,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은 정보를 수취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은 네트워크 서브 프로그램(803)을 통하여 정보를 수취하는 것으로 한다.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은 제2 기억부(705)가 기억하는 제2 주파수를 단말 장치(500)의 CPU(514)를 통하여 QPSK 변조부(503)에 통지한다.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은 제2 기억부(705)가 기억하는 암호화 정보를 스크램블러부(703)에 부여한다.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이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를 네트워크 서브 프로그램(803)을 통하여 스크램블러부(703)에 부여하면, 스크램블러부(703)는 부여된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단말 장치(500)의 QPSK 변조부(503)에 부여한다. QPSK 변조부(503)는 부여된 암호화된 정보를 변조하고 헤드 엔드(101)에 송신한다.
이 결과,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은 단말 장치(500), 제2 디스크램블러부(702), 스크램블러부(703), 네트워크 서브 프로그램(803)을 통하여 헤드 엔드(101)와 쌍방향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브 프로그램(803)은 메인 프로그램(801),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 등의 복수의 서브 프로그램으로부터 사용되는, 헤드 엔드(101)와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기 위한 서브 프로그램이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서브 프로그램(803)을 사용하는 다른 서브 프로그램에 대해서, TCP/IP에 의해서, 헤드 엔드(101)와 쌍방향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것처럼 행동한다. TCP/IP는 복수의 장치간에 정보 교환을 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규정한 공지의 기술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네트워크 서브 프로그램(803)은 전원 투입 시에 초기화 서브 프로그램(802)에 기동되면, 미리 제2 기억부(705)가 기억하고 있는 POD(504)를 식별하는 식별자인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의 약어)를 단말 장치(500)를 통해 헤드 엔드(101)에 통지하고 IP 어드레스의 취득을 요구한다. 헤드 엔드(101)는 단말 장치(500)를 통하여 POD(504)에 IP 어드레스를 통지하고, 네트워크 서브 프로그램(803)은 IP 어드레스를 제1 기억부(704)에 기억한다. 이후, 헤드 엔드(101)와 POD(504)는, 이 IP 어드레스를 POD(504)의 식별자로서 사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재생 서브 프로그램(804)은 제2 기억부(705)가 기억하는 제2 키 등의 복호 정보나, 단말 장치(500)로부터 부여되는 제3 키 등의 복호 정보를 제1 디스크램블러부(701)에 부여하여 디스크램블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네트워크 서브 프로그램(803)을 통하여 제1 디스크램블러부(701)에 입력되어 있는 신호가 PPV 채널인 것의 정보를 수취한다. PPV 채널이라고 알았을 때에는 PPV 서브 프로그램(805)을 기동한다.
PPV 서브 프로그램(805)은 기동되면, 단말 장치(500)에 프로그램의 구입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취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500)의 CPU(514)에 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보내면, 단말 장치(500)의 CPU(514) 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단말 장치(500)의 디스플레이(509) 상에 메시지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500)의 입력부(513)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단말 장치(500)의 CPU(514)가 그것을 수취하고, POD(504)의 CPU(706) 상에서 동작하는 PPV 서브 프로그램(805)에 통지한다. PPV 서브 프로그램(805)은 수취한 비밀번호를 네트워크 서브 프로그램(803)을 통해 헤드 엔드(101)에 송신한다. 헤드 엔드(101)는 비밀번호가 올바르면, 복호에 필요한 제4 키 등의 복호화 정보를 네트워크 서브 프로그램(803)을 통하여 PPV 서브 프로그램(805)에 통지한다. PPV 서브 프로그램(805)은 수취한 제4 키 등의 복호화 정보를 제1 디스크램블러부(701)에 부여하고, 제1 디스크램블러부(701)는 입력되어 있는 신호를 디스크램블한다.
도 6을 참조하여 TS 디코더(505)는 POD(504)로부터 수취한 신호의 필터링을 실시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오디오 디코더(506) 및 비디오 디코더(508), CPU(514)에 인도한다. 여기서, POD(504)로부터 오는 신호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다.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상세는, MPEG 규격서 ISO/IEC13818-1에 기재되어 있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세는 생략한다.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복수의 고정길이 패킷으로 구성되고, 각 패킷에는 패킷 ID가 할당되어 있다. 도 10은 패킷의 구성도이다. 900은 패킷이며, 고정 길이의 188바이트로 구성된다. 선두 4바이트가 헤더(901)로 패킷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나머지 184바이트가 페이로드(902)로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903은 헤더(901)의 내역이다. 선두로부터 12비트째~24비트째까지의 13비트에 패킷 ID가 포함되어 있다. 도 11은 보내져 오는 복수의 패킷의 열을 표현한 모식도이다. 패킷 1001은 헤더에 패킷 ID 「1」을 갖고, 페이로드에는 영상 A의 1번째의 정보가 들어가 있다. 패킷 1002는 헤더에 패킷 ID 「2」를 갖고, 페이로드에는 음성 A의 1번째의 정보가 들어가 있다. 패킷 1003은 헤더에 패킷 ID 「3」을 갖고, 페이로드에는 음성 B의 1번째의 정보가 들어가 있다.
패킷 1004는 헤더에 패킷 ID 「1」을 갖고, 페이로드에는 영상 A의 2번째의 정보가 들어가 있으며 이것은 패킷 1001의 연속이 되어 있다. 동일하게, 패킷 1005, 1026, 1027도 다른 패킷의 후속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패킷 ID를 갖는, 패킷의 페이로드의 내용을 연결하면, 연속한 영상이나 음성을 재현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CPU(514)가 패킷 ID 「1」과 출력처로서 「비디오 디코더(508)」를 TS 디코더(505)에 지시하면, TS 디코더(505)는 POD(504)로부터 수취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패킷 ID 「1」의 패킷을 추출하여 비디오 디코더(508)에 인도한다. 도 11에 있어서는, 영상 데이터만을 비디오 디코더(508)에 인도하게 된다. 동시에, CPU(514)가 패킷 ID 「2」와「오디오 디코더(506)」를 TS 디코더(505)에 지시하면, TS 디코더(505)는 POD(504)로부터 수취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패킷 ID 「2」의 패킷을 추출하여 오디오 디코더(506)에 인도한다. 도 11에 있어서는, 음성 데이터만을 오디오 디코더(506)에 인도하게 된다.
이 패킷 ID에 따라 필요한 패킷만을 취출하는 처리가 TS 디코더(505)가 행하는 필터링이다. TS 디코더(505)는 CPU(514)로부터 지시된 복수의 필터링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오디오 디코더(506)는 TS 디코더(505)로부터 부여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에 매립된 오디오 데이터를 연결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행하여 스피커(507)에 출력한다.
스피커(507)는 오디오 디코더(506)로부터 부여된 신호를 음성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더(508)은, TS 디코더(505)로부터 부여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 림의 패킷에 매립된 비디오 데이터를 연결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행하여 디스플레이(509)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509)는 구체적으로는 브라운관이나 액정 등으로 구성되고, 비디오 디코더(508)로부터 부여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거나 CPU(514)로부터 지시된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한다.
2차 기억부(510)는 구체적으로는,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고 CPU(514)로부터 지시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보존하거나 삭제하거나 한다. 또한, 보존되고 있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은 CPU(514)에 참조된다. 보존되고 있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은 단말 장치(500)의 전원이 절단된 상태에서도 계속 보존한다.
1차 기억부(511)는 구체적으로는, RAM 등으로 구성되고 CPU(514)로부터 지시받은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일차적으로 보존하거나 삭제하거나 한다. 또한,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은 CPU(514)에 참조된다.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은 단말 장치(500)의 전원이 절단되었을 때에 말소된다.
ROM(512)은 개서(改書) 불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구체적으로는 ROM이나 CD-ROM, DVD 등으로 구성된다. ROM(512)은 CPU(514)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입력부(513)는 구체적으로는, 프런트 패널이나 리모콘으로 구성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도 12는 프런트 패널로 입력부(513)를 구성한 경우의 일례이다. 1100은 프런트 패널이며, 도 7의 프런트 패널부(603)에 상당한다. 프런트 패널(1100)은 7개의 버튼, 상부 커서 버튼(1101), 하부 커서 버튼(1102), 좌 측 커서 버튼(1103), 우측 커서 버튼(1104), OK 버튼(1105), 취소 버튼(1106), EPG 버튼(1107)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눌러진 버튼의 식별자가 CPU(514)에 통지된다.
CPU(514)는 ROM(512)이 기억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지시에 따라, QAM 복조부(501), QPSK 복조부(502), QPSK 변조부(503), POD(504), TS 디코더(505), 디스플레이(509), 2차 기억부(510), 1차 기억부(511), ROM(512)을 제어한다.
도 13은 ROM(512)에 기억되고 CPU(514)에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구성도의 일례이다.
프로그램(1200)은 복수의 서브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구체적으로는 OS(1201), EPG(1202), Java(등록상표) VM(1203)(이후 VM(1203)라 함), 서비스 매니저(1204), Java(등록상표) 라이브러리(1205)(이후 라이브러리(1205)라 함)로 구성된다.
OS(1201)는, 단말 장치(500)의 전원이 투입되면, CPU(514)가 기동하는 서브 프로그램이다. OS(120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약어이며, Linux 등이 일례이다. OS(1201)는 다른 서브 프로그램을 평행하여 실행하는 커널(1201a) 및 라이브러리 (1201b)로 구성되는 공지의 기술의 총칭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OS(1201)의 커널(1201a)은 EPG(1202)와 VM(1203)을 서브 프로그램으로서 실행한다. 또한, 라이브러리(1201b)는 이들 서브 프로그램에 대해서, 단말 장치(500)가 유지하는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을 제공한다.
기능의 일례로서 튜닝 기능을 소개한다. 튜닝 기능은 다른 서브 프로그램으로부터 주파수를 포함한 튜닝 정보를 수취하고, 그것을 QAM 복조부(501)에 인도한다. QAM 복조부(501)는 부여된 튜닝 정보에 의거하여 복조 처리를 행하고, 복조한 데이터를 POD(504)에 인도할 수 있다. 이 결과, 다른 서브 프로그램은 라이브러리(1201b)를 통해 QAM 복조기를 제어할 수 있다.
EPG(1202)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일람을 표시 및,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프로그램 표시부(1202a)와, 채널 선국을 행하는 재생부(1202b)로 구성된다. 여기서, EPG는 Electric Program Guide의 약어이다. EPG(1202)는 단말 장치(500)의 전원이 투입되면, 커널(1201a)에 의해서 기동되는, 기동된 EPG(1202)의 내부에서는 프로그램 표시부(1202a)가 단말 장치(500)의 입력부(513)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기다린다. 여기서, 입력부(513)가 도 12에서 나타나는 프런트 패널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513)의 EPG 버튼(1107)을 누르면 EPG 버튼의 식별자가 CPU(514)에 통지된다. CPU(514) 상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그램인 EPG(1202)의 프로그램 표시부(1202a)는 이 식별자를 수취하고, 프로그램 정보를 디스플레이(509)에 표시한다. 도 14a 및 14b는 디스플레이(509)에 표시된 프로그램표의 일례이다. 도 14a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509)에는 격자형상으로 프로그램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열 1301에는 시각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열 1302에는 채널명 「채널 1」과, 열 1301의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에 방영되는 프로그램이 표시되어 있다. 「채널 1」에서는 9:00~10:30에 프로그램「뉴스 9」가 방영되고, 10:30~12:00에는 「영화 AAA」가 방영되는 것을 나타낸다. 열 1303도 열 1302와 동일하게, 채널명 「채널 2」와 열 1301의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대에 방영되는 프로그램이 표시되어 있다. 9:00~11:00에 프로그램 「영화 BBB」가 방영되고, 11:00~12:00에는 「뉴스 11」이 방영된다. 1330은 커서이다. 커서(1330)는 프런트 패널(1100)의 좌측 커서 버튼(1103)과 우측 커서 버튼(1104)을 누르면 이동한다. 도 14a 상태에서, 우측 커서 버튼(1104)을 누르면, 커서 버튼(1330)은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14b와 같이 된다. 또한, 도 14b 상태에서 좌측 커서(1103)를 누르면, 커서(1330)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도 14a와 같이 된다.
도 14a 상태에서 프런트 패널(1100)의 OK 버튼(1105)이 눌러지면, 프로그램 표시부(1202a)는「채널 1」의 식별자를 재생부(1202b)에 통지한다. 도 14b 상태에서 프런트 패널(1100)의 OK 버튼(1105)이 눌러지면, 프로그램 표시부(1202a)는 「채널 2」의 식별자를 재생부(1202b)에 통지한다.
또한, 프로그램 표시부(1202a)는 표시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POD(504)를 통해 헤드 엔드(101)로부터 정기적으로 1차 기억부(511)에 기억해 둔다. 일반적으로, 헤드 엔드로부터의 프로그램 정보의 취득은 시간이 걸린다. 입력부(513)의 EPG 버튼(1107)이 눌러졌을 때, 1차 기억부(511)에 미리 보존된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재빠르게 프로그램표를 표시할 수 있다.
재생부(1202b)는 수취한 채널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채널을 재생한다. 채널의 식별자와 채널의 관계는 채널 정보로서 2차 기억부(5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도 15는 2차 기억부(510)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 정보의 일례이다. 채널 정보는 표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열 1401은 채널의 식별자이다. 열 1402는 채널명이다. 열 1403은 튜닝 정보이다. 여기서, 튜닝 정보는 주파수나 전송 레이트, 부호화율 등을 포함하고 QAM 복조부(501)에 부여하는 값이다. 열 1404는 프로그램 넘버이다. 프로그램 넘버란 MPEG2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PMT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다. PMT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행 1411~1414의 각 행은, 각 채널의 식별자, 채널명, 튜닝 정보의 세트가 된다. 행 1411은 식별자가 「1」, 채널명이 「채널 1」, 튜닝 정보에 주파수 「150MHz」, 프로그램 넘버가 「101」을 포함한 세트가 되고 있다. 재생부(1202b)는 채널의 재생을 행하기 위해서, 수취한 채널의 식별자를 그대로 서비스 매니저에 인도한다.
또한, 재생부(1202b)는 재생 중에 사용자가 프런트 패널(1100)의 상부 커서 버튼(1101)과 하부 커서 버튼(1102)을 누르면, 입력부(513)로부터 CPU(514)를 통하여 눌러진 통지를 수취하고 재생하고 있는 채널을 변경한다. 우선, 재생부(1202b)는 1차 기억부(511)에 현재 재생 중인 채널의 식별자를 기억한다. 도 16a, 16b 및 16c는 1차 기억부(511)에 보존하고 있는 채널의 식별자의 예이다. 도 16a에서는 식별자 「3」이 기억되고 있고, 도 15를 참조하여 채널명 「TV 3」의 채널이 재생 중인 것을 나타낸다. 도 16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 커서 버튼(1101)을 누르면 재생부(1202b)는 도 15의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표 중의 전의 채널인 채널명 「채널 2」의 채널로 재생을 전환하기 때문에, 서비스 매니저에 채널명 「채널 2」의 식별자 「2」를 인도한다. 동시에, 1차 기억부(511)에 기억되어 있는 채널 식별자 「2」로 개서한다. 도 16b는 채널 식별자가 개서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6a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부 커서 버튼(1102)을 누르면 재생부(1202b)는 도 15 의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표 중의 다음의 채널인 채널명 「TV Japan」의 채널로 재생을 전환하기 때문에, 서비스 매니저에 채널명 「TV Japan」의 식별자 「4」를 인도한다. 동시에, 1차 기억부(511)에 기억되어 있는 채널 식별자 「4」에 개서한다. 도 16c는 채널 식별자가 개서된 상태를 나타낸다.
VM(1203)은 Java(등록상표) 언어로 기술된 프로그램을 순서대로 해석하여 실행하는 Java(등록상표) 버추얼 머신이다. Java(등록상표) 언어로 기술된 프로그램은 바이트 코드로 불리는, 하드웨어에 의존하지 않는 중간 코드에 컴파일된다. Java(등록상표) 버추얼 머신은 이 바이트 코드를 실행하는 인터프리터이다. 또한, 일부의 Java(등록상표) 버추얼 머신은 바이트 코드를 CPU(514)가 이해 가능한 실행 형식으로 번역하고 나서, CPU(514)에 인도, 실행하는 것도 행한다. VM(1203)은 커널(1201a)에 실행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지정하여 기동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커널(1201a)은 실행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으로서 서비스 매니저(1204)를 지정한다. Java(등록상표) 언어의 상세는, 서적 「Java(등록상표) Language Specification(ISBN 0-201-63451-1)」등의 많은 서적에서 해설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그 상세를 생략한다. 또한, Java(등록상표) 버추얼 머신 자체의 상세한 동작 등은 Java(등록상표) Virtual Machine Specification(ISBN 0-201-63451-X)」등의 많은 서적에서 해설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그 상세를 생략한다.
서비스 매니저(1204)는 Java(등록상표) 언어로 쓰여진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이며, VM(1203)에 의해 순서대로 실행된다. 서비스 매니저(1204)는 JNI(Java(등록상표) Native Interface)를 통하여 Java(등록상표) 언어로 기술되어 있지 않은 다른 서브 프로그램을 호출하거나 또는 호출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JNI에 관해서도 서적 Java(등록상표) Native Interface」등의 많은 서적에서 해설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그 상세를 생략한다.
서비스 매니저(1204)는 JNI를 통하여 재생부(1202b)에서 채널의 식별자를 수취한다.
서비스 매니저(1204)는 처음에 라이브러리(1205) 중에 있는 Tuner(1205c)에 채널의 식별자를 인도하고 튜닝을 의뢰한다. Tuner(1205c)는 2차 기억부(510)가 기억하는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튜닝 정보를 획득한다. 지금, 서비스 매니저(1204)가 채널의 식별자 「2」를 Tuner(1205c)에 인도하면, Tuner(1205c)는, 도 15의 행 1412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튜닝 정보「156MHz」를 획득한다. Tuner(1205c)는 OS(1201)의 라이브러리(1201b)를 통하여 QAM 복조부(501)에 튜닝 정보를 인도한다. QAM 복조부(501)는 부여된 튜닝 정보에 따라서 헤드 엔드(101)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를 복조하여 POD(504)에 인도한다.
다음에 서비스 매니저(1204)는 라이브러리(1205) 중에 있는 CA(1205d)에 디스크램블을 의뢰한다. CA(1205d)는 OS(1201)의 라이브러리(1201b)를 통해 복호에 필요한 정보를 POD(504)에 부여한다. POD(504)는 부여된 정보를 바탕으로, QAM 복조부(501)로부터 부여된 신호를 복호하여 TS 디코더(505)에 인도한다.
다음에 서비스 매니저(1204)는 라이브러리(1205) 중에 있는 JMF(1205a)에 채널의 식별자를 부여하여 영상?음성의 재생을 의뢰한다.
우선, 처음에 JMF(1205a)는 재생해야 할 영상과 음성을 특정하기 위한 패킷 ID를 PAT, PMT로부터 취득한다. PAT나 PMT는 MPEG2 규격으로 규정되고 있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의 프로그램 구성을 표현하는 테이블이며,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패킷의 페이로드에 매립되어 음성이나 영상과 함께 송신되는 것이다. 상세는 규격서를 참조한다. 여기에서는, 개략만 설명한다. PAT는 Program Association Table의 약어로, 패킷 ID 「0」의 패킷에 저장되어 송신되고 있다. JMF(1205a)는 PAT를 취득하기 위해, OS(1201)의 라이브러리(1201b)를 통하여 TS 디코더(505)에 패킷 ID 「0」과 CPU(514)를 지정한다. TS 디코더(505)가 패킷 ID「0」에서 필터링을 행하고, CPU(514)에 인도함으로써 JMF(1205a)는 PAT의 패킷을 수집한다. 도 17은 수집한 PAT의 정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열 1601은 프로그램 넘버이다. 열 1602는 패킷 ID이다. 열 1602의 패킷 ID는 PMT를 취득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행 1611~1613은 채널의 프로그램 넘버와 대응하는 패킷 ID의 세트이다. 여기에서는, 3개의 채널이 정의되고 있다. 행 1611은 프로그램 넘버 「101」과 패킷 ID 「501」의 세트가 정의되고 있다. 지금, JMF(1205a)에 부여된 채널의 식별자가 「2」라고 하면, JMF(1205a)는 도 15의 행 1412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프로그램 넘버 「102」를 획득하고, 다음에, 도 17의 PAT의 행 1612를 참조하여 프로그램 넘버 「102」에 대응하는 패킷 ID 「502」를 획득한다. PMT는 Program Map Table의 약어로, PAT에서 규정된 패킷 ID의 패킷에 저장되어 송신되고 있다. JMF(1205a)는 PMT를 취득하기 위해서 OS(1201)의 라이브러리(1201b)를 통하여 TS 디코더(505)에 패킷 ID와 CPU(514)를 지정한다. 여기서, 지정하는 패킷 ID는 「502」라고 한다. TS 디코더(505)가 패킷 ID 「502」에서 필터링을 행하고, CPU(514)에 인도함으로써 JMF(1205a)는 PMT의 패킷을 수집한다. 도 18은 수집한 PMT의 정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열 1701은 스트림 종별이다. 열 1702는 패킷 ID이다. 열 1702에서 지정되는 패킷 ID의 패킷에는 스트림 종별로 지정된 정보가 페이로드에 저장되어 송신되고 있다. 열 1703은 보충 정보이다. 행 1711~1714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이라 불리는, 패킷 ID와 송신하고 있는 정보의 종별의 세트이다. 행 1711은 스트림 종별 「음성」과 패킷 ID 「5011」의 세트이며, 패킷 ID 「5011」의 페이로드에는 음성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JMF(1205a)는 PMT로부터 재생하는 영상과 음성의 패킷 ID를 획득한다. 도 18을 참조하여, JMF(1205a)는 행 1711로부터 음성의 패킷 ID 「5011」을, 행 1712로부터 영상의 패킷 ID 「5012」를 획득한다.
다음에, JMF(1205a)는 OS(1201)의 라이브러리(1201b)를 통하여, 획득한 음성의 패킷 ID와 출력처로서 오디오 디코더(506), 영상의 패킷 ID와 출력처로서 비디오 디코더(508)의 세트를 TS 디코더(505)에 부여한다. TS 디코더(505)는 부여된 패킷 ID와 출력처에 의거하여 필터링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패킷 ID 「5011」의 패킷을 오디오 디코더(506)에, 패킷 ID 「5012」의 패킷을 비디오 디코더(508)에 인도한다. 오디오 디코더(506)는, 부여된 패킷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행하여 스피커(507)를 통해 음성을 재생한다. 비디오 디코더(508)는 부여된 패킷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행하여 디스플레이(509)에 영상을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매니저(1204)는 라이브러리(1205) 중에 있는 AM(1205b)에 채널의 식별자를 부여하여 데이터 방송 재생을 의뢰한다. 여기서, 데이터 방송 재 생이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VM(1203)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매립하는 방법은 MPEG 규격서 ISO/IEC13818-6에 기술된 DSMCC라는 방식을 이용한다. 여기에서는 DSMCC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SMCC 방식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 중에 컴퓨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디렉토리나 파일로 구성되는 파일 시스템을 인코드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실행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정보는 AIT라 불리는 형식으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패킷 중에 매립되어 송신되고 있다. AIT는 OCAP 사양(정식으로는 OCAP 1.0 Profile OC-SP-OCAP1.0-IF-I09-031121)에 정의되고 있는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의 약어이다.
AM(1205b)은 우선, AIT를 획득하기 위해서 JMF(1205a) 동일하게 PAT, PMT를 취득하고, AIT가 저장되어 있는 패킷의 패킷 ID를 획득한다. 지금, 부여된 채널의 식별자가 「2」이고, 도 17의 PAT, 도 18의 PMT가 송신되고 있으면, JMF(1205a)와 동일한 순서로 도 18의 PMT를 획득한다. AM(1205b)은 PMT로부터 스트림 종별이 「데이터」에서 보충 정보로서 「AIT」를 갖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으로부터 패킷 ID를 추출한다. 도 18을 참조하여 행 1713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해당하고, 패킷 ID 「5013」을 획득한다.
AM(1205b)은 OS(1201)의 라이브러리(1201b)를 통해 TS 디코더(505)에 AIT의 패킷 ID와 출력처 CPU(514)를 부여한다. TS 디코더(505), 부여된 패킷 ID로 필터링을 행하고 CPU(514)에 인도한다. 이 결과, AM(1205b)은 AIT의 패킷을 수집할 수 있다. 도 19는, 수집한 AIT의 정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표이다. 열 1801은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식별자이다. 열 1802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제어 정보이다. 제어 정보에는 「autostart」 「present」 「kill」등이 있고, 「autostart」는 즉시 단말 장치(500)가 이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present」는 자동 실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kill」은 프로그램을 정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열 1803은 DSMCC 방식으로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패킷 ID를 추출하기 위한 DSMCC 식별자이다. 열 1804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이다. 행 1811과 1812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정보의 세트이다. 행 1811로 정의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은 식별자 「301」, 제어 정보 「autostart」, DSMCC 식별자 「1」, 프로그램명 「a/TopXlet」의 세트이다. 행 1812로 정의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은 식별자 「302」, 제어 정보 「present」, DSMCC 식별자 「1」, 프로그램명 「b/GameXlet」의 세트이다. 여기서 2개의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은 동일한 DSMCC 식별자를 갖지만, 이것은 하나의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 내에 2개의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에 대해서 4개의 정보 밖에 규정하지 않지만, 실제로는 보다 많은 정보가 정의된다. 자세한 것은 OCAP 사양(OCAP 1.0 Profile OC-SP-OCAP1.0-IF-I09-031121)을 참조한다.
AM(1205b)은 AIT 중에서 「autostart」의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발견하고, 대응하는 DSMCC 식별자 및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명을 추출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AM(1205b)은 행 1811의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DSMCC 식 별자 「1」및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명 「a/TopXlet」를 획득한다.
다음에 AM(1205b)은 AIT로부터 취득한 DSMCC 식별자를 이용하여,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DSMCC 방식으로 저장하고 있는 패킷의 패킷 ID를 PMT로부터 획득한다. 구체적으로는, PMT 중에서 스트림 종별이 「데이터」이고, 보충 정보의 DSMCC 식별자가 합치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패킷 ID를 취득한다.
지금, DSMCC 식별자가 「1」고, PMT가 도 18로 하면, 행 1714의 엘리멘터리 스트림이 합치하여 패킷 ID 「5014」를 취출한다.
AM(1205b)은 OS(1201)의 라이브러리(1201b)를 통해 TS 디코더(505)에 DSMCC 방식으로 데이터가 매립된 패킷의 패킷 ID와 출력처로서 CPU(514)를 지정한다. 여기에서는, 패킷 ID 「5014」를 부여한다. TS 디코더(505), 부여된 패킷 ID로 필터링을 행하여 CPU(514)에 인도한다. 이 결과, AM(1205b)은 필요한 패킷을 수집할 수 있다. AM(1205b)은 수집한 패킷으로부터, DSMCC 방식에 따라서 파일 시스템을 복원하여 1차 기억부(511)에 보존한다.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의 패킷으로부터 파일 시스템 등의 데이터를 취출하여 1차 기억부(511) 등의 기억 수단에 보존하는 것을 이후, 다운로드라고 부른다.
도 20은 다운로드한 파일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면 중, 원은 디렉토리를 사각은 파일을 나타내고, 1901은 루트 디렉토리, 1902는 디렉토리 「a」, 1903은 디렉토리 「b」, 1904는 파일 「TopXlet. class」, 1905는 파일 「GameXlet.class」이다.
다음에 AM(1205b)은 1차 기억부(511)에 다운로드한 파일 시스템 중으로부터 실행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VM(1203)에 인도한다. 지금, 실행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명이 「a/TopXlet」라고 하면,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명의 마지막에 「.class」를 부가한 파일 「a/TopXlet.class」가 실행해야 할 파일이 된다. 「/」은 디렉토리나 파일명의 단락이며, 도 20을 참조하여, 파일 1904가 실행해야 할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이다. 다음에 AM(1205b)은 파일 1904를 VM(1203)에 인도한다.
VM(1203)은 인도된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서비스 매니저(1204)는 다른 채널의 식별자를 수취하면, 라이브러리(1205)에 포함되는 각 라이브러리를 통해 재생하고 있는 영상?음성 및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실행을, 동일하게 라이브러리(1205)에 포함되는 각 라이브러리를 통해 정지하고, 새롭게 수취한 채널의 식별자에 의거하여 영상?음성의 재생 및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실행을 행한다.
라이브러리(1205)는 ROM(512)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Java(등록상표) 라이브러리의 집합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라이브러리(1205)는 JMF(1205a), AM(1205b), Tuner(1205c), CA(1205d), POD Lib(1205e)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에,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보존 및 실행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서비스 매니저(1204)는 라이브러리(1205)에 포함되는 POD Lib(1205e)를 통해 헤드 엔드(101)와의 통신에 의해 헤드 엔드(101)로부터의 정보를 수취할 수 있다. 이 통신은 POD Lib(1205e)는 OS(1201)의 라이브러리(1201b) 및 POD(504)를 통하여 QPSK 복조부(502)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서비스 매니저(1204)는 이 통신을 이용하여 헤드 엔드(101)로부터 단말 장치(500)가 2차 기억부(510)에 보존해야 할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취한다. 이 정보를 XAIT 정보라고 부른다. XAIT 정보는 헤드 엔드(101)와 POD(504) 사이에서 임의의 형식으로 송신된다. 어떠한 송신 형식을 채용해도 XAIT 정보에 필요로 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본 발명은 실시 가능하다.
도 21은 헤드 엔드(101)로부터 취득한 XAIT 정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열 2001은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식별자이다. 열 2002는 J 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제어 정보이다. 제어 정보에는 「autostart」 「present」등이 있고, 「autostart」는 단말 장치(500)가 전원 투입시 또는 XAIT 정보가 갱신되었을 때에 이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present」는 자동 실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열 2003은 프로토콜 식별자이다. 프로토콜 식별자는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프로토콜 식별자에는 「OC(Object Carousel)」와「IP」등이 있다. 「OC」는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IP」는 네트워크를 이용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OC」와「IP」의 양쪽 모두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경우는 양쪽 모두를 기술할 수도 있다. 열 2004는 DSMCC 방식으로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패킷 ID를 추출하기 위한 DSMCC 식별자이다. 그 때문에, 열 2003의 프로토콜 식별자에 「OC」가 존재할 때에만 존재한 다. 열 2005는 열 2003으로 나타낸 프로토콜의 다운로드원 지정이다. 프로토콜 식별자 2003의 「OC」지정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은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이 매립된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그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의 PMT(도 18 참조)를 한번에 특정할 수 있는 식별자 및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식별자를 지정한다. 이 이후, 간단화를 위해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그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의 PMT(도 18 참조)를 한번에 특정할 수 있는 식별자를 소스 ID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프로토콜 식별자 2003의 「IP」지정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은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서버와, 프로그램이 보존된 디렉토리명 등을 지정한다. 또한, 다운로드원 지정(2005)은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대해 복수 존재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OC」를 지정하고, 이 「OC」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2005)을 복수 기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로토콜 식별자(2003)거 「IP」인 경우도 동일하다. 열 2006은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이다. 열 2007은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스토어 우선도이다. 스토어 우선도는 XAIT 정보에 기술되는 개개의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에 지정되는 값이며,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 및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보존할 때에, 2차 기억부(510)로 보존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 및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우선도이다. 열 2008은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어플리케이션명이다. 어플리케이션명은 사용자가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이름이다. 행 2011과 2012와 2013은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정보의 세트이다. 행 2011로 정의되는 Java(등 록상표) 프로그램은 식별자 「701」, 제어 정보 「autostart」, 프로토콜 식별자 「OC」, DSMCC 식별자 「1」, 다운로드원 지정 「dsmcc://0xAAAA, 0x11」, 프로그램명 「a/APP1Xlet」, 스토어 우선도 「100」, 어플리케이션명 「APP1」의 세트이다. 여기에서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에 대해서 8개의 정보 밖에 규정하지 않지만, 보다 많은 정보 혹은, 이 일부가 정의되어 있어도 본 발명은 실시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각 정보의 기술의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각 정보가 가져야 할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면 이 기술에 따르지 않아도 본 발명은 실시 가능하다.
또한, 열 2007의 어플리케이션명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해서 XAlT 정보에 기술된 각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식별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는 이름이지만,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가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식별하는데 충분한 정보가 있으면 어플리케이션명은 없어도 본 발명은 실시 가능하다.
도 22는, 도 21에서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와 다운로드원이 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파일 시스템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2에 있어서, 도 21과 동일한 요소에는, 도 21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2110은 트랜스포트 스트림 상에 있는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을 나타낸다. 또한, 2120은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서버 상에 있는 파일 시스템을 나타낸다. 행 2011에서 정의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은 열 2003에 나타나는 프로토콜 식별자가 「OC」뿐이기 때문에, 2110에 나타낸 파일 시스템 상에만 존재한다. 또한, 행 2012에서 정의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은, 열 2003에 나타나는 프로토콜 식별자가 「IP」뿐이기 때문에, 2120에 나타낸 서버 상의 파일 시스템에만 존재한다. 또한 행 2013에서 정의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은,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OC」와「IP」의 양쪽 모두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2110에 나타낸 파일 시스템 상과 2120에 나타낸 서버 상의 파일 시스템의 양쪽 모두에 존재한다. 이 때문에,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할 때에는 이 어느 쪽에서 취득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선택하는 방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각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에 대해서, OC 혹은 IP를 하나씩 설정하고 있지만, 이들이 복수 존재해도 된다.
다음에 서비스 매니저(1204)는 라이브러리(1205) 내에 있는 AM(1205b)에 XAlT 정보를 주고 받아, XAIT 정보에 기술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프로토콜 식별자(2003)와 다운로드원 지정(2005)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실행을 의뢰한다. AM(1205b)은 XAIT 정보를 수취하면, 프로토콜 식별자(2003)를 참조하여 다운로드 방법을 결정한다. AM(1205b)이 결정된 다운로드 방법이 「OC」인 경우에는, AIT 정보로부터 Java (등록상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파일 시스템을 1차 기억부(511)에 보존한다. 한편, 「IP」의 경우는, 다운로드원 지정(2005)의 내용에 따라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1차 기억부(511)에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보존한다. 또한, 여기서 다운로드한 프로그램을 AM(1205b)은 XAIT 정보의 파일명으로 지정된 디렉토리 구조에 일치하도록 파일 시스템을 구축하여 보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행 702에서 정의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프로그램명 2006으로 나타 난 바와 같이 루트 디렉토리로부터 b 디렉토리를 작성하고, 그 중에 다운로드한 프로그램 App2Xlet. class를 보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1, 도 22에 나타낸 다운로드원 지정(2005)은 HTTP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서버로부터 프로그램을 취득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예로서 도 21의 행 2012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원 지정(2005)은 「http://192.168.0.1/BB」이다. 이 다운로드원 지정(2005)의 「http」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192.168.0.1」은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HTTP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BB」는, HTTP 서버 내에 존재하는 다운로드하는 프로그램으로의 디렉토리의 패스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는 HTTP 프로토콜 및 HTTP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 방법을 설명했지만, 이 외의 방법으로 취득해도 된다. 그 후, 1차 기억부(511)에 저장한 파일 시스템을 2차 기억부(510)에 복사해도 된다. 또한, 1차 기억부(511)를 통하지 않고 직접 2차 기억부(510)에 다운로드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1차 기억부(511)에서 처리하고 2차 기억부(510)에 보존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프로토콜 식별자로서 「OC」와「IP」를 설명했지만, 「기록 매체」로부터 취득하는 것이나, 이외의 방법이어도 된다.
다음에, AM(1205b)은 다운로드 혹은 구축한 파일 시스템의 저장 위치를 XAIT 정보에 대응시켜 2차 기억부(510)에 보존한다. 도 23은, 2차 기억부(510)에 있어서, XAIT 정보와 다운로드 혹은 구축한 파일 시스템이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23에 있어서, 도 22와 동일한 요소에는, 도 22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열 2201은 각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마다 대응하는 다운로드 혹은 구축한 파일 시스템의 보존 위치를 저장한다. 도면 중, 보존 위치는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2210은 다운로드 혹은 구축한 파일 시스템이며, 내부에 톱 디렉토리(2211), 디렉토리 「a」(2212), 디렉토리「b」(2213), 디렉토리「c」(2214), 파일 「APP1Xlet. class」(2115), 파일 「APP2Xlet. class」(2116), 파일 「APP3Xlet. class」(2117)을 유지한다.
여기서 AM(1205b)은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보존하고 나서 XAIT 정보를 보존하고 있지만,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보존하기 전에 XAIT 정보를 보존함으로써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XAIT 정보를 2차 기억(510)에 보존하고 있지만, 1차 기억부(511)에 보존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 1차 기억부(511)에 보존하는 경우, 전원 OFF시에 보존된 XAIT 정보는 모두 지워진다.
여기서, 파일 시스템은 구체적으로는, XAIT 정보에 기술되는 복수의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 및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로 형성된다. 이후, XAIT 정보로 기술되는 개개의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 및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부른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2차 기억부(510) 혹은 1차 기억부(511)에 다운로드하는 것을 이후, 스토어라고 부른다. 또한, 2차 기억부(510) 혹은 1차 기억부(511)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스토어하기 위한 영역을 스토어 영역이라고 부른다. 또한, VM(1203)이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라고 부른다.
도 24는 XAIT 정보에 기술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영역 2301에 스토어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24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영역(2301)은 어플리케이션명 「APP1」을 갖는 어플리케이션(2311) 및 어플리케이션명 「APP2」를 갖는 어플리케이션(2312)을 저장한다.
다음에 AM(1205b)은 1차 기억부(511) 또는 2차 기억부(510)에 보존된 XAIT 정보를 참조하여 1차 기억부(511)에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2차 기억부(510)의 스토어 영역(2301)에 스토어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autostart」라고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VM(1203)에 인도한다. 도 23을 참조하여, 행 2011로 정의되는 어플리케이션 「APP1」의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 「a/APP1Xlet」가 VM(1203)에 인도된다.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명이 「a/APP1Xlet」라고 하면,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명의 마지막에 「. class」를 부가한 파일 「a/APP1Xlet. class」가 실행해야 할 파일이 된다. VM(1203)은 인도된 어플리케이션의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후, AM(1205b)으로부터의 VM(1203)으로의 어플리케이션이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 인도를 VM(1203)으로의 어플리케이션 기동 지시라고 부른다.
여기서, AM(1205b)이 XAIT 정보를 수취한 시점에 있어서, XAIT 정보에 기술된 어플리케이션 중 이미 스토어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이미 스토어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해서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또는 스토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토어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스토어 영역(2301)에 스토어해 둠으로써, AM(1250b)이 XAIT 정보를 수취한 시점으로부터 VM(1203)로의 어플리케이션 기동 지 시를 행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를 행할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스토어 우선도(2007)를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스토어 우선도가 11 이상이라면 스토어하는 것으로 하고, 11보다 작으면 스토어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 판단 기준은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를 행할지의 여부를 알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11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스토어 우선도(2007)와는 다른 정보로서 제공해도 된다.
도 25와 도 26은 AM(1250b)이 XAIT 정보를 수취한 시점으로부터 VM(1203)으로의 어플리케이션 기동 지시를 행하기까지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XAIT 정보를 수취하고 나서 스토어 처리를 완료할 때까지의 플로우차트 부분이며, 도 26은 스토어 처리 후,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행할 때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를 참조하여 AM(1205b)이 XAIT 정보를 수취하면(S2401), XAIT 정보에 기술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아직 선택되지 않은 것을 하나 선택한다(S2402). 여기서, AM(1205b)은 스토어 우선도(2007)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판단 기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스토어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403). 이 때, 어플리케이션을 스토어하는 경우(S2403에서 YES)는, AM(1205b)은 S2402에서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스토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404), 스토어되어 있지 않은 경우(S2404에서 NO), AM(1205b)은 어플리케이션을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기술된 프로토콜과 다운로드원 지정(2005)으로부터 다운로드원을 결정하고 다운로드를 행하여 스토어한다(S2405). 또한, DSMCC로부터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경우는 DSMCC 식별자(2004)도 참조한다. S240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스토어하지 않는 다고 판단한 경우(S2403에서 NO), 또는, S2404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스토어되어 있는 경우(S2404에서 YES), 또는 S2405의 처리를 하면, AM(1205b)은 XAIT 정보 기술의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선택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406), 아직도 XAIT 정보 기술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있지 않은 경우(S2406에서 NO), S24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S2406에 있어서, XAIT 정보 기술의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선택했다고 판단하면, 다음에 AM(1205b)은 도 26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행한다. AM(1205b)은 다시 XAIT 정보에 기술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하나씩 선택한다(S2501). 다음에, AM(1205b)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정보(2002)가「autostart」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502),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정보가 「autostart」인 경우(S2502에서 YES), AM(1205b)은 어플리케이션이 스토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503). 스토어되어 있지 않은 경우(S2503에서 NO), AM(1205b)은 어플리케이션을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기술된 프로토콜과 다운로드원 지정(2005)으로부터 다운로드원을 결정하고 다운로드를 행하여 스토어한다(S2504). 또한, DSMCC로부터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경우에는 DSMCC 식별자(2004)도 참조한다.
다음에, AM(1205b)은 VM(1203)으로의 어플리케이션 기동 지시를 행한다(S2505). 그리고, AM(1205b)은 XAIT 정보 기술의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선택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506), 아직 XAIT 정보 기술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있지 않은 경우(S2506에서 NO), S25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S2506에 있어서 XAIT 정보 기술의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선택했다고 판단하면(S2506에서 YES) 처리 를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XAIT 정보의 수취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와 기동 지시까지의 처리를 진행시켜 이미 XAIT 정보 기술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도 25와 도 26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와 기동 지시를 따로 따로 처리하는 순서를 나타냈지만, 이들은 1회의 반복 중에서 처리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AM(1205b)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또는 스토어 영역으로의 스토어 완료 후에 VM(1203b)으로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지시를 냄으로써 설명하고 있지만, AM(1205b)이 XAIT 정보의 수취 후,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또는 스토어 영역으로의 스토어를 하기 전에 VM(1203)으로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지시를 내도 된다. 여기서의 기동 지시는, AM(1205b)이 VM(1203)에 실행해야 할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명을 인도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VM(1203)이 AM(1205b)으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기동 지시 후에 다운로드를 행하거나, 또는 1차 기억부(511) 또는 스토어 영역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판독 실행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은 도 25나 도 2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XAIT 정보를 수취했을 때만은 아니다. AM(1205b)은 특수한 권한을 가진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이나 정지 등의 라이프 사이클을 취급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고 있다. 그 때문에, 특수한 권한을 가진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기동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지정하고, 이 API를 이용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AM(1205b)에 요구할 수 있다. 이 때의 플로우차트를 도 27에 나타낸다.
특수한 권한을 가진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기동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지정하고, AM(1205b)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행하는 API를 부른다(S2601). 이 때 AM(1205b)은 기동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스토어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S2602). 여기서, 스토어되어 있지 않은 경우(S2602에서 NO)는, AM(1205b)은 어플리케이션을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기술된 프로토콜과 다운로드원 지정(2005)으로부터 다운로드원을 결정하고 다운로드를 행하여 스토어한다(S2603). 다음에, AM(1205b)은 VM(1203)으로의 어플리케이션 기동 지시를 행하고(S2505) 종료한다.
AM(1205b)은 XAIT 정보를 수신했을 때에 도 25와 도 26의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XAIT 정보의 갱신에 수반하여 스토어 영역(2301)에 스토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갱신된다. 도 28과 도 29를 참조하여 XAIT 정보가 갱신되면, 거기에 수반하여 스토어 영역(2301)에 스토어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갱신되는 경우가 있다. 도 28a는 행 2011에서 정의되는 어플리케이션 「APP1」의 XAIT 정보를 나타내고, 도 28b는 AM(1205b)이 도 28a의 XAIT 정보를 수신하며, 도 25, 도 26의 처리를 종료했을 때의 스토어 영역(2301)을 나타낸다. 도 28a의 XAIT 정보에는 행 2011에서 정의되는 어플리케이션 「APP1」이 하나 존재하므로, 도 28b의 스토어 영역(2301)에는 「APP1」(2311)이 하나 스토어되어 있다. 다음에, 스토어 영역(2301)이 도 28b인 상태에서 도 29a의 XAIT 정보를 수신하고, 도 25, 도 26의 처리를 종료했을 때의 스토어 영역(2301)을 도 29b에 나타낸다. 도 29a는 행 2011에서 정의되는 어플리케 이션 「APP1」과 행 2012에서 정의되는 어플리케이션 「APP2」이 기술된 XAIT 정보이다. 도 29a의 XAIT 정보를 AM(1205b)이 수신했을 때에, 스토어 영역 2301은 도 29b와 동일하게 행 2011에서 정의되는 어플리케이션 「APP1」(2311)과 행 2012에서 정의되는 어플리케이션 「APP2」(2312)의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스토어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요 기능인 XAIT 정보를 수취한 AM(1205b)에 의한 XAIT 정보에 기술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기능 시에 필요한 다운로드원의 결정과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통지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XAIT 정보를 수신했을 때의 플로우차트로서 나타낸 도 25와 도 26에서의 S2405와 S2504 및 특별한 권한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AM(1205b)의 어플리케이션 기동 API를 불렀을 때의 플로우차트로서 나타낸 도 27의 S2603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도 30은 AM(1205b)의 구성 중 스토어 처리를 행할 때에 다운로드원을 결정하는 구성 요소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구성요소는 본 발명과는 직접 관계없기 때문에 생략한다.
AM(1205b)은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 튜닝 주파수 취득부(2902),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부(2903), 스토어부(2904), 통지부(2905), 튜닝 요구부(2906)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으로서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OC가 지정되어 있고, 다운로드원 지정(2005)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의 「OC」지정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2005)이 명기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원을 결정한다. 그 때문에, XAIT 정보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와 다운로드원 지정(2005)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어떠한 프로토콜 식별자(2003)를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다운로드원을 결정하기 위해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튜닝 주파수 취득부(2902)로부터 현재의 튜닝 정보를 취득하고,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부(2903)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파수를 취득한다. 여기서, 주파수로 기술하고 있지만, 튜닝에 필요한 정보를 대표하여 기술하고 있기 때문에, 이 외의 튜닝에 필요한 정보인 변조 방식이나 내부호율 등도 함께 처리해도 된다. 이하, 주파수에 관한 기술은 모두 동일하다.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튜닝 주파수 취득부(2902)로부터 튜너의 사용 상황과 사용 중인 각 튜너가 튜닝하고 있는 주파수를 취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하고자 하는 튜너가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문제이며, 튜너의 수는 몇 개라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운로드원 지정(2005)에 OC로부터의 복수의 다운로드원이 지정되어 있어도 실시할 수 있다. 즉,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XAIT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선택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OC가 있는 경우, 다운로드원 지정(2005)으로부터 모든 소스 ID를 취득하고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부(2903)로 건네주고,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부(2903)로부터, 그 소스 ID로 나타낸 PMT로 전송되는 채널이 존재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흐르고 있는 모든 주파수를 수취한다. 그리고, 현재의 튜닝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다운로드원을 결정한다. 또한,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다운로드원을 결정 후에 통지부(2905)로의 통지 지시와 튜닝 요구부(2906)로의 튜닝 요구 지시와, 스토어부(2904)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지시를 행한다. 또한, 튜닝 요구부(2906)로의 튜닝 요구 지시에서는, 튜닝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ID와 사용하는 튜너를 지정한다. 이 때, 단말 장치(500)가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복수의 튜너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어느 튜너를 사용하는가 하는 방침을 결정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우선도의 일례를 생각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의 조합으로 사용해도 된다.
1) 사용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존재하면, 그 튜너를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2) 사용자가 Picture in Picture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의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는, 각 프로그램이 다른 주파수로 전송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는, 사용자는 복수의 튜너를 사용하고 있고, 이 튜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대화면에서 시청하고 있는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처리하여, 사용자에 대한 영향이 적은 소화면에서 흐르고 있는 프로그램을 튜닝하고 있는 튜너를 사용할 수 있다. 당연히, 반대도 가능하다.
3) 사용자가 녹화와 시청을 동시에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녹화를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시청 중인 프로그램을 튜닝하고 있는 튜너를 사용해도 된다. 반대도 가능하다.
4) PPV(Pay Per View) 등에 의하여 사용자가 구입한 프로그램과 무료의 프로그램이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구입한 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무료의 프로그램을 튜닝하고 있는 튜너를 사용해도 된다.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가 사용하는 튜너의 결정을 행하는 방침으로 했지만, 튜너를 선택하는 우선도가 이러한 방침에 따라서 있으면, 본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튜닝 요구부(2906)로 소스 ID의 지정만을 행하고, 튜닝 요구부(2906) 내에서 사용하는 튜너를 선택하는 방침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 및 튜닝 요구부(2906)는 소스 ID를 지정할 뿐으로, 튜너 라이브러리(1205c)가 사용하는 튜너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라도 된다.
또한, 스토어 완료 후, 스토어부(2904)로부터 통지를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하기 전의 주파수로 튜닝을 재설정하기 위해 튜닝 요구부(2906)로 통지할 수도 있다.
튜닝 주파수 취득부(2902)는 튜너의 사용 상황과 사용 중인 각 튜너가 튜닝하고 있는 주파수를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로 통지한다. 여기서 튜닝 주파수 취득부(2902)는 튜너의 사용 상황과 사용 중인 각 튜너가 튜닝하고 있는 주파수의 취득을 튜너 라이브러리(1205c)가 튜너에 튜닝 요구를 행하기 위해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취득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튜너 라이브러리(1205c)가 관리하는 정보로부터 취득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튜너의 사용 상황과 사용 중인 각 튜너가 튜닝하고 있는 주파수를 취득할 수 있으면 다른 방법으로 실현해도 된다. 복수 튜너가 있는 경우에는 튜닝 중인 모든 주파수를 취득하고 이러한 결과를 배열로 통지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배열로 통지한다고 했지만, 본 발명은 통지 방법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통지 방법이라도 된다. 또한, 주파수의 값을 직접 통지 하는 것이 아니라,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와 튜닝 주파수 취득부(2902)를 해석할 수 있는 식별자라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튜닝 주파수 취득부를 AM(1205b)의 일부로서 기술했지만, 튜너 라이브러리(1205c)의 일부로서 존재하고, 이 튜너 라이브러리(1205c)와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가 통신을 하도록 해도 된다.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부(2903)는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로부터 소스 ID를 수신하고, 소스 ID로부터 주파수 정보를 취득하며,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로 통지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에 필요한 주파수를 통지한다. 여기서, 주파수의 값을 직접 통지하는 것이 아니라,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와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부(2903)를 해석할 수 있는 식별자라도 된다.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에서는 소스 ID로부터 주파수로의 변환을 행할 필요가 있다. 소스 ID로부터 주파수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Inband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혹은 OOB로부터, 주파수 정보 등 튜닝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 NIT와 소스 ID를 기본으로 하여 가상적인 채널의 테이블을 유지하는 SVCT라는 SI(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있다. 또는, SVCT에 더하여 더욱 부가 정보를 유지하는 LVCT라는 SI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이 소스 ID로부터 주파수를 취득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며 자세한 것은, Cable Television SCTE65를 참조하고자 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OCAP 사양으로 실현되는 경우를 전제로 하여 기술하고 있지만, 이외의 방법으로 소스 ID와 주파수의 관계를 해결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튜닝 주파수 취득부를 AM(1205b)의 일부로서 기술했지만, SI 정보를 취급하는 전문의 모듈의 일부로서 존재하고, 이 SI 정보를 취급하는 전문의 모듈과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가 통신을 하도록 해도 된다.
스토어부(2904)는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가 결정된 다운로드원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스토어한다.
통지부(2905)는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의 결정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는 것을 통지한다. 여기서, 통지부(2905)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통지는 통지부(2905)가 단말 장치(500)의 CPU(514)에 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다운로드 통지 정보를 보내고, OS(1201)의 라이브러리(1201b)에 포함되는 다이얼로그 표시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통지를 디스플레이(509)에 표시함으로써 실현된다. 여기서, 다이얼로그는 예를 들어 일정시간 경과 후에 디스플레이(509)로부터 지우는 것으로 한다.
튜닝 요구부(2906)는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에 의해서 지정된 튜닝 요구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이 흐르고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지정된 튜너를 이용하여 튜닝을 행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튜닝 요구부(2906)를 AM(1205b)의 일부로서 기술했지만, 튜너 라이브러리(1205c)의 일부로서 존재하고, 이 튜너 라이브러리(1205c)와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가 통신을 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도 31, 도 32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XAIT 정보를 수취한 AM(1205b)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특히, XAIT 정보에 기술되는 어플리케이션을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스토어 영역(2201)으로 스토어할 때에 현재 튜닝되고 있는 주파 수와는 다른 주파수로부터 다운로드할 필요가 있는 경우의, AM(1205b)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1, 도 32를 참조하여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선택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XAIT 정보를 수신한다(S3001). 이 때, 선택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OC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한다. 다음에,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튜닝 주파수 취득부(2902)로부터 현재 튜닝 중인 주파수를 취득한다(S3002). 이 때, 복수의 튜너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튜닝 중인 모든 주파수를 취득한다. 다음에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부(2903)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주파수를 취득한다(S3003).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S3002에서 취득한 현재 튜닝되고 있는 주파수와 S3003에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의 주파수를 비교함으로써, 현재의 튜닝을 변경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04). 이 때,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주파수가 현재의 튜닝되고 있는 주파수에 없는 경우(S3004에서 NO),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튜닝 주파수 취득부(2902)로 튜너의 사용 상황을 문의한다(S3005). 이 때,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인 경우(S3005에서 YES)는,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통지부(2905)로 다운로드하기 때문에, 현재의 시청 혹은 녹화를 방해할 수 있는 취지를 전하는 메시지 통지를 지시한다. 그리고, 통지부(2905)는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는 것을 통지한다(도 32의 S3101). 또한, 도 32의 S3101의 처리는, 통지 모듈로서 이 이후, 동일한 처리를 할 때에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통지부(2905)에 의한 사용자로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통지는, 통지부(2905) 가 단말 장치(500)의 CPU(514)에 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다운로드 통지 정보를 보내고, OS(1201)의 라이브러리(1201b)에 포함되는 다이얼로그 표시 프로그램이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운로드 통지를 디스플레이(509)에 표시함으로써 실현된다. 3201은 다이얼로그 박스이며, 메시지(3202)의 표시 요소를 갖는다. 또한, 메시지(3202)의 문자열은,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통지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면, 도 33 중의 문자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문자열이어도 되고, 또한 메시지(3202)의 형식은 문자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이어도 된다. 또한, 다이얼로그 박스(3201)의 표시 요소는, 도 33의 표시 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것, 혹은 현재의 시청 혹은 녹화가 방해되는 것, 혹은 이 양쪽 모두의 내용을 통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표시 요소라도 된다. 계속해서,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통지 후와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이 아닌 경우(즉, 사용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존재한 경우(S3005에서 NO)),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튜닝 요구부(2906)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는 주파수의 튜닝 요구를 행한다(S3006). 튜닝 요구부(2906)는 이 요구를 받아 튜닝을 개시한다. 그리고,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는 스토어부(2904)에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스토어를 지시한다. 스토어부(2904)는 이 지시를 받아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와 스토어를 행한다. 또한, 스토어부는 스토어의 완료 후에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의 호출원의 실행으로 돌아오도록 해도 되고, 완료 시에 다운로드원 결정부로 메시지를 통지함으로써 알려도 된다. 또한, 호출의 되돌림값에 의해서 스토어 성공인지의 여부를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 게 하여,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를 행하여 종료한다.
또한, 여기서, 통지부(2905)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통지는 통지부(2905)가 단말 장치(500)의 CPU(514)에 화면에 표시하고자 하는 다운로드 통지 정보를 보내고, OS(1201)의 라이브러리(1201b)에 포함되는 다이얼로그 표시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통지를 디스플레이(509)에 표시함으로써 실현하고 있지만, 통지부(2905)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다운로드 통지는 리모콘의 액정 화면에 다운로드 통지를 표시하거나, 혹은, 도 34를 참조하여 단말 장치 본체의 7세그 LED(3302)에 다운로드 통지를 표시하거나, 혹은 단말 장치 본체의 램프(3301)를 점등하는 등,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검지할 수 있는 방법이면 그 외의 방법이라도 실시 가능하다. 도 34에 있어서, 도 7과 동일한 요소에는 도 7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시에 통지부(2905)는 다운로드의 진척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되고, 「loading」등의 메시지의 표시를 행하여도 되며, 다른 영상?음성으로 전환해도 된다. 이 때 표시하는 영상?음성은 단말 장치 내에 보존하고 있는 것이어도 되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하고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에 존재하는 영상?음성이어도 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하고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의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의 영상?음성으로 전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AM(1205b)에 의한 XAIT 정보의 수취는 단말 장치(500)의 전원 투입시 또는 XAIT 정보가 갱신되었을 때에 행한다. 즉, 본 실시 의 형태에 있어서, AM(1205b)에 의한 XIT 정보의 수취는 단말 장치(500)의 전원 투입 시에서의 AM(1205b)에 의한 XAIT 정보의 수취와, 단말 장치(500)가 기동 후에 XAIT 정보가 갱신되었을 때의 AM(1205b)에 의한 XAIT 정보의 수취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XAIT 정보의 갱신은, 헤드 엔드(101)로부터 송신되는 XAIT 정보 그 자체의 갱신뿐만이 아니라, AM(1205b)이나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XAIT 정보의 갱신 등, 다른 방법이어도 본 발명은 실시 가능하고, 이 이후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XAIT 정보의 갱신은 AM(1205b)이 특별한 권한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XAIT 정보의 갱신을 행하기 위한 API를 준비함으로써 실현한다. XAIT 정보의 갱신을 행하기 위한 API에는 특별한 권한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신규로 작성한 XAIT 정보를 등록 가능하게 하는 것이나, 이미 AM(1205b)이 1차 기억 또는 2차 기억에 보존하고 있는 XAIT 정보를 수정 가능하게 하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XAIT 정보의 갱신을 행하기 위한 API는 공지의 기술로서 실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XAIT 정보를 등록하는 API는 OCAP 사양(OCAP 1.0 Profile OC-SP-OCAP1.0-IF-I09-031121)의 AnnexG OCAP 1.0 application API에 있어서, org. ocap, application. AppManagerProxy 클래스의 registerUnboundApp 메소드로서 정의되고 있다. 특별한 권한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XAIT 정보를 등록하는 API를 이용하여, 신규의 XAIT 정보를 등록(특별한 권한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이 신규로 작성한 XAIT 정보의 등록)을 행했을 때에는, AM(1205b)은 그 특별한 권한을 갖는 어플리케이션 에 의해 등록된 XAIT 정보를 XAIT 정보의 갱신으로서 수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의 형태 1을 적용함으로써 현재의 튜닝되고 있는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청 혹은 녹화 중인 영상?음성 등의 서비스의 정지를 사전에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갑자기 시청 혹은 녹화를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원을 결정한 경우, 통지부(2905)는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기 때문에 현재의 시청 혹은 녹화가 중단되는 것을 통지하지만, 사용자에 의한 확인의 유무는 판단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에 더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는 응답 접수부(도 35의 3507)를 구비한다. 도 35를 참조하여, 도 30과 동일한 번호로 나타내는 것은, 도 30과 동일한 기능을 갖기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게,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으로서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OC의 설정이 지정되어 있고, 다운로드원 지정(2005)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의 「OC」지정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이 명기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는 다운로드원 결정부(2901)에 더하여 응답 접수부(3507)로 응답 접수 지시를 행하고 사용자 응답을 수신한다. 이 사용자 응답을 수신 후에 튜닝 요구부(2906)로 튜 닝 요구를 지시와 스토어부(2904)로 스토어 지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응답 접수부(3507)는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로부터 응답 접수 지시를 수신 후,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고,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 후, 다운로드 결정부(3501)로 사용자의 응답을 통지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리는 응답 접수부(3507)는 사용자로부터의 응답 대기를 행하는 제한 시간을 결정해 두고, 제한 시간 경과 후에도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이 없을 때에는, 응답 접수부(3507)에 의해서 독자 판단을 행한다는 방침으로 해도 된다. 응답 접수부(3507)는 사용자가 통지부(2905)가 표시한 화면에 따라 리모콘에 할당된 십자 키나 OK키를 누름으로써 실현된다.
도 36 및 도 37에 통지부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6은 실시의 형태 1에서 나타낸 도 33에 더하여 OK 버튼(3603)을 구비한다. 또한, 도 37은 실시의 형태 1에서 나타낸 도 33에 더하여 Yes 버튼(3703)과 No 버튼(3704)을 구비한다. 이 때,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시지 내용은 사용자에게 다운로드를 위해서 사용자의 시청 혹은 녹화가 중단하는 것을 통지하는 메시지이면 3602 및 3702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메시지는 텍스트 표시가 아니어도 다른 표현으로 제시되어도 된다. 또한, 3603 및 3703, 3704의 버튼 내의 문자열도 이 내용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33, 도 36, 도 37은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시청 혹은 녹화의 중단을 통지하고, 사용자가 다운로드 통지의 확인을 선택한 것을 CPU(514)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표시 요소라도 된다.
도 38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36과 같은 사용자의 승인만을 접수하 는 경우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38은 실시의 형태 1에서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1의 일부인 도 32의 처리를 치환하는 형태로 나타낸다. 도 31의 처리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1의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인지의 여부의 판단(S3005)에 있어서, 모두 사용 중인 경우는, 도 38을 참조하여,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는 통지부(2905)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현재의 시청 혹은 녹화가 중단되는 것을 통지하도록 지시하며, 통지부(2905)는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통지한다(S3801). 그 후,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는 응답 접수부(3507)에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도록 지시한다. 이 명령을 받은 응답 접수부(3507)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기다려, 입력 정보를 수취하면,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로 사용자 확인 정보를 통지한다(S3802). 또한, 도 38의 S3801과 S3802의 처리는 통지?응답 모듈(1)로서 이 이후 동일한 처리를 할 때에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이 통지를 받아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는 튜닝 요구부(2906)로 다운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흐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주파수로의 튜닝을 지지하고, 그 후 스토어부(2904)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스토어 요구를 냄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한다.
다음에, 도 37과 같은 사용자의 승인 혹은 거부를 접수하는 경우의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처리 동작의 일례를 플로우차트 도 39와 도 40에 나타낸다.
우선, 도 39는 도 31에 더하여 사용자의 거부 응답에 대응하기 위해서, 도 40으로부터의 처리의 복귀를 나타내는 S3910을 추가하였다. 이 때문에, 도 39에 대해서는, 도 31과 동일한 처리를 나타내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도 39의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인지의 여부의 판단(S3005)에 있어서, 모두 사용 중인 경우(S3005에서 YES)는, 도 40을 참조하여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는 통지부(2905)로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고, 현재의 시청 혹은 녹화가 중단되는 것을 통지하도록 통지부(2905)에 지시하고, 통지부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통지한다(S4001). 그 후,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는 응답 접수부(3507)에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도록 지시한다. 이 명령을 받은 응답 접수부(3507)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기다려 입력 정보를 수취하면,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로 사용자 확인 정보를 통지한다(S4002). 이 통지를 받아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는 사용자의 응답이 다운로드 허가 혹은 거부였는지를 고려하고(S4003), 허가된 경우(S4003YES)에는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도 39의 A의 처리로 돌아오고, 거부된 경우(S4003에서 NO)는 다운로드를 행할 수 없기 때문에 도 39의 B의 처리로 돌아온다. 그리고, A의 처리로 돌아오면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는 튜닝 요구부(2906)로, 다운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흐르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주파수로의 튜닝을 지지하고, 그 후 스토어부(2904)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스토어 요구를 냄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한다. 또한, B의 처리로 돌아오면, 다운로드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도 40의 S4001~S4003의 처리는, 통지?응답 모듈(2)로서 이 이후 동일한 처리를 할 때에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리는 응답 접 수부(3507)는 사용자로부터의 응답 대기를 행하는 제한 시간을 결정해 두고, 제한 시간 경과 후에도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이 없을 때에는, 응답 접수부(3507)에 의해서 독자 판단을 행한다는 방침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실시의 형태 2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에 있어서, 현재의 사용자의 시청 혹은 녹화가 중단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운로드 처리를 아는 것과 함께 다운로드 처리를 거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시청 혹은 녹화를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3)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고,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거부할 수 있었다. 그러나, 거부를 행했을 때에는 다음 번의 다운로드가 언제 행해지는지를 사용자는 알 수 없었다. 또, 단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할 때마다, 다운로드할지의 여부의 문의가 표시되기 때문에, 문의용 윈도우가 사용자의 시청 혹은 녹화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거부했을 때에,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행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타이머 설정부(도 41의 410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다운로드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이나 녹화를 행하지 않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청 혹은 녹화를 방해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여, 도 30 혹은 도 35과 동일한 번호로 나타내는 것은, 도 30 혹은 도 35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타이머 설정부(4108)는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로부터 지정된 설정 시간을 도모한다.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 후,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로 설정 시간 경과의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는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에 더하여 통지부(2905)로 타이머 설정에 관한 사용자로의 메시지 통지를 지시하고, 응답 접수부(3507)로부터 사용자로부터의 답신을 수신한다. 이 결과를 받아 타이머 설정부(4108)로 설정 시간을 지시한다. 또한,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는 타이머 설정부(4108)의 설정 시간 경과의 통지를 수신하고, 튜닝 요구부(2906)로 튜닝을 지시하며, 스토어부(2904)로 스토어 지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이머 설정부(4108)로부터 설정 시간 경과의 통지를 수신했을 때에, 다시, 통지부(2905)를 통해 사용자로 메시지 통지를 행해도 된다. 또한 더욱, 통지부(2905)가 표시한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응답 접수부(3507)로부터 수신하여 처리를 행한다는 방침으로 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했지만,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와 디폴트 설정 시간을 유지하고,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거부했을 때에, 사용자에게 설정 시간을 묻지 않고 디폴트 설정 시간을 타이머 설정부(4108)로 지시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 2와 동일하게,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의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으로서 존재하는 경우 를 상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OC의 설정이 지정되어 있고, 다운로드원 지정(2005)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의 「OC」지정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이 명기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도 42 및 도 43에 통지부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2는 실시의 형태 2에서 나타낸 도 37에서 No 버튼(3704)이 눌러진 후에 타이머 설정을 행할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그 때문에, 도 42는 사용자에게 다운로드를 행하는 시간을 설정할지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4202)와 Yes 버튼(4203)과 No 버튼(4204)을 구비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적어도 다운로드를 행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되기 때문에, 도 42의 형식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42에서 나타낸 다운로드를 행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메시지는 생략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43은 사용자로 다운로드의 설정 시간의 지정을 촉구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그 때문에, 도 43은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시간의 설정을 촉구하는 메시지(4302)와 설정 시간을 지정하기 위한 버튼(4304~4309)과 입력을 완료한 것을 통지하는 OK 버튼(4310)을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시지 내용은,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시간의 설정을 촉구하는 메시지이면 4302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여기에서는 버튼(4304~4309)을 선택함으로써 시간 지정을 행하는 방침으로 했지만, 리모트 콘트롤로부터 직접 숫자를 입력해도 되고,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을 알 수 있는 것이라면 입력 형식은 어떠한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입력에 잘못이 없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촉구하는 처리를 추가해도 된다. 또한, 도 43은 시간 지정만으로 했지만, 일자나 시간이나 분 등 설정 시간의 내용에 관해서도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다운로드하는 타이밍을 알 수 있는 것이라면, 여기에서 일례로서 나타낸 도 43의 통지부가 표시하는 화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42 및 도 43 모두 메시지는 텍스트 표시가 아니어도 다른 표현으로 제시되어도 된다. 또한, 도 42 및 도 43의 각 버튼 내의 문자열도 이 내용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도 43은 사용자가 다운로드의 설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면 다른 표현이어도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사용자가 다운로드 설정 시간을 설정하는 처리 동작의 일례를 플로우차트 도 44에 나타낸다. 또한, 도 44는 실시의 형태 2에서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9의 일부인 도 40의 처리를 치환한 형태로 나타낸다. 도 39의 처리는 실시의 형태 2와 동일한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9의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인지의 여부의 판단(S3005)에 있어서, 모두 사용 중인 경우에는, 도 44를 참조하여, 통지?응답 모듈(2)의 처리를 행하며 사용자에게 다운로드를 행할지의 여부의 문의를 행한다(S4401). 이 결과가 A인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다운로드가 승인되었기 때문에 다운로드 처리를 행한다(자세한 것은 전술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 결과가 B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거부했기 때문에,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는 통지부(2905)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통지하도록 지시하고, 통지부(2905)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통지한다(S4402).
그 후,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는 응답 접수부(3507)에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도록 지시한다. 이 명령을 받은 응답 접수부(3507)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기다려 입력 정보를 수취하면,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로 사용자의 타이머 설정 가부 응답을 통지한다(S4403).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는 이 통지에 의해 타이머 설정을 행할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S4404). 타이머 설정하지 않는 경우(S4404에서 NO)는, 도 39의 B에 돌아와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타이머 설정을 행하는 경우(S4404에서 YES)는,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는 통지부(2905)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설정 시간의 입력 메시지를 통지하도록 지시하고, 통지부(2905)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통지한다(S4405). 그 후,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는 응답 접수부(3507)에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도록 지시한다. 이 명령을 받은 응답 접수부(3507)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기다려 입력 정보를 수취하면,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로 사용자의 타이머 설정 시간을 통지한다(S4406). 그리고, 다운로드원 결정부(4101)는 타이머 설정부(4108)로 설정 시간을 통지하고, 타이머 설정부(4108)는 수신한 시간을 설정한다(S4407). 타이머 설정부(4108)는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린다(S4408). 시간이 경과하면, 도 39의 A에 돌아와 다운로드 처리를 행한다. 이 때, 다시 다운로드를 행할지의 여부를 묻기 위해서, S4401의 처리에 돌아와도 된다. 또한, 도 4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운로드의 설정 시간을 설정할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처리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도 44의 S4402 및 S4403 및 S4404를 생략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 3에 의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거부 했을 때에 다운로드의 설정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고,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거부했을 때, 사용자는 다운로드 가능한 설정 시간을 지정할 수 있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거부했을 때에,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를 행하는 것을 상정하고, 네트워크 접속부(도 45의 450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5를 참조하여, 도 30 혹은 도 35와 동일한 번호로 나타내는 것은, 도 30 혹은 도 35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으로서 존재하고, 또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서버에도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OC와 IP의 양쪽 모두의 설정이 지정되어 있고, 다운로드원 지정(2005)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의 「OC」지정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과,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의 「IP」지정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이 명기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다운로드원 결정부(3501)에 더하여 네트워크 접속부(4509)로 네트워크의 접속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문의하여 답신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 접속부(4509)로 네트워크의 접속처를 지정한 다운로드원 지정(2005)을 설정하고, 다운로드한 어플리 케이션을 수신하여 스토어부(4504)로 스토어 요구를 낸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부(4509)로 네트워크의 접속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문의하여 답신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은, 다운로드를 행할 때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고려했지만, 반드시 필요한 기능은 아니다.
네트워크 접속부(4509)는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로부터 네트워크의 접속이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의 문의에 대해, 현재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로 통지한다. 또한,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로부터 네트워크의 접속처를 지정된 다운로드원 지정(2005)을 수신했을 때에 지정된 서버로 접속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에 건네준다. 혹은, 직접 스토어부(4504)에 건네주어도 된다.
스토어부(4504)는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 혹은 네트워크 접속부(4509)로부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스토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네트워크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동작의 일례를 플로우차트 도 46에 나타낸다. 또한, 도 46은 실시의 형태 2에서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9의 일부인 도 40의 처리를 치환하는 형태로 나타낸다. 도 39의 처리는, 실시의 형태 2와 동일한 처리를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도 39의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인지의 여부의 판단(S3005)에 있어서, 모두 사용 중인 경우에는 도 46을 참조하여, 통지?응답 모듈 2의 처리(S4601)를 행하여 사용자에게 다운로드를 행할지의 여부의 문의를 행한다(S4602). 이 결과가 A인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다운로드가 승인되었기 때문에 다운로드를 행하는 처리를 행한다(이 처리에 관해서는, 전술한 실시의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 결과가 B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거부했기 때문에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네트워크 접속부(4509)에 문의한다(S4602).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 접속부(4509)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 여부의 판단(S4603)을 고려하여, 이용할 수 없는 경우(S4603에서 NO)는 처리를 종료한다. 혹은,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된다. 혹은, 사용자의 시청 혹은 녹화가 끝난 시간에 다운로드의 타이머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실시의 형태 3에서 나타낸 도 44의 S4402로 처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한편,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을 때(S4603에서 YES)는,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 접속부(4509)로 다운로드원 지정(2005)을 건네주어 다운로드 요구의 지시를 행한다(S4604). 그리고, 이 지시를 받아 네트워크 접속부(45090는 다운로드원 지정(2005)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한다(S4605). 그리고, 네트워크 접속부(4509)는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로 건네준다.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스토어부(4504)에 그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를 지시한다. 스토어부(4504)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스토어한다(S4606). 또한, 네트워크 접속부(4509)가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스토어부(4504)로 건네주어도 된다.
또한, 사전에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문의하는 S4602와 S4603의 처리는 반드시 필요한 처리는 아니기 때문에, 도 47과 같이 S4602와 S4603의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 4에 의해 사용자가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에 필요한 튜닝을 거부했을 때에,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거부했을 때에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사용자가 다운로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4와 동일하게,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으로서 존재하고, 또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서버에도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OC와 IP의 양쪽 모두의 설정이 지정되어 있고, 다운로드원 지정(2005)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의 「OC」지정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과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의 「IP」지정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이 명기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 요소는, 도 45의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에 더하여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다운로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와 튜너의 선택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통지부(2905)로 지시하고, 그 메시지의 응답을 수신하도록 응답 접수부(3507)로 지시한다. 그리고 응답 접수부(3506)로부터 통지된 사용자가 선택한 다운로드 방법에 따라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다운로드를 행하도록 설정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튜너가 선택된 경우에는 지금까지의 실시의 형태 1~3과 동일한 기능을 적용하고, 네트워크가 선택된 경우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를 실행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다운로드 방법으로서 네트워크와 튜너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혹은 프로그램의 취득을 할 수 있는 방법이면 이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다운로드 방법은 프로토콜 식별자(2003)의 일부 혹은 전부라도 된다.
도 48에 통지부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802는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방법의 선택을 촉구하는 메시지(4702)와 네트워크와 튜너를 선택하는 버튼(4703과 4704),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이 종료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버튼(4705)을 구비한다. 또한 이 때,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내용이나 버튼의 형식이나 표시 내용은, 반드시 도 48의 형식일 필요는 없다. 즉, 도 48은 사용자가 다운로드원을 지정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표현이어도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사용자가 다운로드원을 설정하는 처리 동작의 일례를 플로우차트 도 49에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는, 실시의 형태 2에서 나타낸 도 37에서 No 버튼(3704)이 눌린 후에, 사용자에게 다운로드원의 지정을 촉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도 49는 실시의 형태 2에서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9의 일부인 도 40의 처리를 치환한 형태로 나타낸다. 도 39의 처리는, 실시의 형태 2와 동일한 처리를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도 39의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인지의 여부의 판단(S3005)에 있어서, 모두 사용 중인 경우에는 도 49를 참조하여,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네트워크 접속부(4509) 에 문의한다(S4801).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 접속부(4509)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의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의 판단(S4802)을 고려하여, 이용할 수 없는 경우(S4802에서 NO)는 도 50에 나타낸 통지 모듈 혹은, 통지?응답 모듈(1) 혹은 도 51에 나타낸 통지?응답 모듈(2) 혹은 시간 설정 모듈을 행하고, 튜너를 이용한 다운로드를 행한다(도 50의 S4806 또는 도 51의 S4806).
한편,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을 때(S4802에서 YES)에는,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통지부(2905)로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통지하도록 지시하고, 통지부(2905)는 메시지를 통지한다(S4803). 그 후,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은, 응답 접수부(3507)에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도록 지시한다. 이 명령을 받은 응답 접수부(3507)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기다리고, 입력 정보를 수취하면,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에 선택된 다운로드 방법을 통지한다(S4804).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수신한 다운로드 방법이 네트워크인지의 여부를 판단(S4805)하고, 사용자가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를 선택하고 있지 않은 경우(S4805에서 NO)는, 도 50에 나타낸 통지 모듈 혹은, 통지?응답 모듈(1) 혹은, 도 51에 나타낸 통지?응답 모듈(2) 혹은 시간 설정 모듈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 튜너를 이용한 다운로드를 행한다(도 50의 S4806 또는 도 51의 S4806). 한편, 네트워크가 선택된 경우(S4805에서 YES)에는,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 접속부(4509)로 다운로드원 지정(2005)을 건네주고, 다운로드 요구의 지시를 행한다(S4807). 그리고, 이 지시를 받아 네트워크 접속부(4509)는 다운로드원 지정(2005)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행한다(S4808). 그리고, 네트워크 접속부(4509)는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에 건네준다.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스토어부(4504)로 그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를 지시한다. 스토어부(4504)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스토어한다(S4806). 또한, 네트워크 접속부(4509)가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스토어부(4504)에 건네주어도 된다.
또한,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방법의 선택을 통지할 때에, 사용자가 판단하기 쉽도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다운로드한 경우와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한 경우의 예상 시간 혹은 다운로드 속도 등을 사용자에게 제시해도 된다. 또한, 튜너를 이용한 경우에는 현재의 시청 혹은 녹화가 중단되는 것도 통지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인 경우에, 사용자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할지 튜너로부터 다운로드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냈지만,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인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다운로드원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도 상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금까지 도 49를 도 39의 일부로서 처리해 왔지만, 도 49의 S4801로부터 처리를 개시하고, 10의 처리로 진행하는 대신에 도 39를 개시하는 방법을 상정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운로드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실시의 형태 6)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사용자가 튜너로부터의 다운로드를 거부했을 경우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4, 5와 동일하게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DSMCC 방식으로 인코드된 파일 시스템으로서 존재하고, 또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서버에도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OC와 IP의 양쪽 모두의 설정이 지정되어 있어 다운로드원 지정(2005)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의 「OC」지정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과,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의 「IP」지정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이 명기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 요소를 도 52에 나타낸다. 또한, 통지부(2905) 및 응답 접수부(3507) 및 튜닝 요구부(2906)는 본 실시의 형태의 필수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2에 나타내는 각 요소는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 요소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사용자가 튜너로부터의 다운로드를 거부한 경우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동작의 일례를 플로우차트 도 53과 도 54에 나타낸다. 도 53을 참조하여, S5001로부터 S5004는 도 31 및 도 39과 동일한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S5004의 어플리케이션의 주파수가 튜닝 중이 아닌 경우(S5004에서 NO), 도 54를 참조하여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네트워크 접속부(4509)에 문의한다(S5101). 이 결과를 받아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한 지의 여부의 판단(S5102)에 따라, 이용할 수 없는 경우(S5102로 NO)는, 도 53의 B의 처리에 돌아와 종료한다. 한편,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한 경우(S5102에서 YES), S5103~S5105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S5103~S5105의 처리는, 도 46의 S4604~S4606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 53에 있어서, 현재의 어플리케이션의 주파수가 튜닝되고 있을지(S5004)의 판단이 NO인 경우에, 곧바로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여기서,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모든 튜너가 사용 중인 경우에 한정하여 도 54의 처리에 진행되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한, S5102의 판단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는, 다운로드의 처리를 종료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 때문에,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도 52의 통지부(2905 및 3507)의 응답 접수부와 튜닝 요구부(2906)를 추가하여, 도 55의 S5206과 같이 도 50에 나타낸 통지 모듈 혹은 통지?응답 모듈(1) 혹은, 도 51에 나타낸 통지?응답 모듈(2) 혹은 시간 설정 모듈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 튜너를 이용한 다운로드를 행할 수도 있다(도 50의 S4806 또는 도 51의 S4806). 본 실시의 형태를 이용함으로써, 튜너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실시의 형태 7)
실시의 형태 6에서는 사용자가 시청 혹은 녹화 중인 튜닝을 고려하여, 튜닝이 필요한 경우에는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현재의 튜닝 정보나 다운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주파수를 고려하지 않고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IP 지정이 있는 경우에는, 항상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서버에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IP의 설정이 지정되어 있고, 다운로드원 지정(2005)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의 「IP」지정에 대응한 다운로드원 지정이 명기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 요소를 도 56에 나타낸다. 도 56에 나타내는 각 요소는,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요소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한, 점선으로 나타낸 요소는 필수 요소는 아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원에 IP로부터의 다운로드가 존재하는 경우는, 네트워크의 다운로드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동작의 일례를 플로우차트 도 57에 나타낸다. 도 57을 참조하여,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취한다(S5401). 이 어플리케이션 정보에는 선택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 및 다운로드원 지정(2005) 등이 포함된다. 이 때,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IP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한다. 다음에,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네트워크 접속부(4509)에 문의한다(S5402).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S5403)하고, 이용할 수 없는 경우(S5403에서 NO)에는 종료한다. 한편, 이용할 수 있는 경우(S5403에서 YES)에는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다운로드원 지정(2005)을 지정하고, 네트워크 접속부(4509)로 다운로드 요구를 행한다(S5404). 네트워크 접속부(4509)는 지정된 다운로드원 지정(2005)으로부터 다운로드를 행한다(S5405). 그리고, 네트워크 접속부(4509)는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로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건네주고,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스토어부(4504)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를 지시하고 스토어부(4504)로 스토어를 행한다(S5406).
또한, 여기에서는 도 57의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의 판단(S5403)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여기서 도 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튜너로부터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도 59의 처리에 계속되도록 해도 된다. 도 59는 도 39로부터 S3001의 처리를 제외한 것 뿐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9를 참조하여,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인지의 여부의 판단(S5604)이 YES인 경우의 도 50에 나타낸 통지 모듈 혹은, 통지?응답 모듈(1) 혹은, 도 51에 나타낸 통지?응답 모듈(2) 혹은 시간 설정 모듈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고, 튜너를 이용하여 다운로드를 행한다(도 50의 S4806 또는 도 51의 S4806). 또한, 도 59의 S5601~S5606의 처리는 DSMCC로부터의 다운로드 모듈로서, 이 이후, 동일한 처리를 할 때에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를 우선적으로 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시청 혹은 녹화를 방해하는 것이 감소된다고 생각된다.
(실시의 형태 8)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는 DSMCC를 이용하여 튜너로부터 다운로드를 행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실시의 형태 1~6에서는 DSMCC로부터의 다운로드를 행하는 방법을 우선적으로 생각한 방법을 설명하였다. 또한, 실시의 형태 7은, 다운로드의 속도보다, 다운로드 시에 사용자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를 DSMCC로부터의 다운로드보다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다운로드 가능한 방법 중, 가장 고속으로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다운로드원을 찾아 다운로드를 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지금까지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특히 네트워크를 이용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있어서, 다운로드원 지정(2005)이 복수 존재할 때에 최고 속도의 부분으로부터 다운로드를 행하는 방식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 요소를 도 60에 나타낸다. 도 60에 나타내는 각 요소는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의 형태의 구성 요소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한, 점선으로 나타낸 요소는 필수 요소는 아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원의 결정에 있어서 최고 속도의 부분으로부터 다운로드를 행하는 동작의 일례를 플로우차트 도 61과 도 62에 나타낸다. 도 61을 참조하여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취한다(S5801). 이 어플리케이션 정보에는 선택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콜 식별자(2003) 및 다운로드원 지정(2005) 등이 포함된다. 다음에,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네트워크 접속부(4509)에 문의한다(S5802).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S5803)하고, 이용할 수 있는 경우(S5803에서 YES)에는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 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지정처 중 최고 속도의 네트워크를 결정한다(S5804). 이 최고 속도의 네트워크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다운로드원 지정(2005)에서 설정된 서버로 ping이라는 네트워크의 소통을 확인하는 커멘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ping은 네트워크 소통을 확인하고자 하는 호스트에 대해서 IP 패킷을 발행하고, 그 패킷이 바르게 닿아 대답이 행해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커멘드이다. 그 때문에, 이 대답이 가장 빠른 서버를 최고 속도로 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외의 방법이라도 된다. 또한, 이러한 최고 속도의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원 지정(2005)를 특정하고, 그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방법은 지금까지의 실시의 형태 1~7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가 구한 최고 속도의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원 지정(2005)과 튜너를 이용한 DSMCC로부터의 다운로드의 속도를 비교한다(S5805). 또한, DSMCC로부터의 다운로드 속도는 패킷을 취득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검출하고, 그 값을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를 취득할 수 있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한,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가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비트 레이트를 사전에 고정값으로서 유지해 두어도 된다. 다음에,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S5805의 비교에 의해 네트워크가 최고 속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806). 이 결과, 네트워크가 최고 속도인 경우(S5806에서 YES)에는, 도 62의 5의 처리로 진행하고, 네트워크 접속부(4509)는 다운로드원 지정(2005)으로부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행한다(S5807). 그리고,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로 건네주고,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는 스토어부(4504)로 어플리케이션을 건네주며, 스토어부(4504)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 어를 지시한다(S5808). 한편, S5806에서 네트워크가 최고 속도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S5806에서 NO)는, 도 62의 6의 처리로 진행된다. 또한, S5803의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이 도 62의 6의 처리로 진행된다. 이 때는, 튜너를 이용하기 때문에, 도 59의 처리를 행한다(S5809). 또한, 도 59에서의 10의 처리에서는 실시의 형태 1~3에서 나타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네트워크 및 DSMCC로부터의 다운로드 중, 최고 속도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다운로드를 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실시의 형태 9)
지금까지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방법으로서 네트워크와 DSMCC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고려해왔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록 매체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취득을 고려한다.
기록 매체로부터의 취득의 경우는, 튜너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청 혹은 녹화를 방해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기록 매체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의 취득 요구를 수신했을 때, 사용자에게 기록 매체의 삽입 지시를 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억 매체란 CD, DVD, BD 등의 광 디스크 미디어나 반도체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 등, 매체 중에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매체라도 된다.
도 63에 통지부가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프로그램의 취득이 필요하게 된 타이밍에서 기록 매체의 삽입을 요구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기록 매체의 삽입을 촉구하는 메시지(5902)와 OK 버튼(5903)과 캔슬 버튼(5904)을 구비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기록 매체의 삽입이 완료한 것, 혹은 처리를 캔슬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표시 방법이나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에 관해서는 이 방법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도 64에 기록 매체를 지정한 경우의 XAIT의 일례를 나타낸다.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media를 지정하고, 다운로드원 지정(2005)에 기록 매체의 지정을 나타낸다. 다른 항목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내는 기록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취득은 XAIT 정보로부터의 취득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정보를 이용한 요구라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4에서 나타낸 항목은 기록 매체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의 취득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이면, 도 64의 항목 및 표현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도 65에 본 실시의 형태의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30 및 도 35 및 도 45와 동일한 번호로 나타낸 것은, 이전에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으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운로드원 결정부(6101)는 다운로드원 결정부(4501)에 더하여 통지부(2905)로 기록 매체의 삽입을 촉구하는 메시지의 표시를 지시하고, 응답 접수부(3507)로부터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한다. 그리고, 기록 매체 처리부(6110)로 기록 매체로부터의 판독을 지시하고, 취득한 어플리케이션을 스토어부(4504)로 스토어하도록 지시한다.
기록 매체 처리부(6110)는 다운로드원 결정부(6101)의 지시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의 판독을 행하고, 다운로드원 결정부에 의해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취 득한다.
다음에 도 66에 기록 매체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판독 플로우차트의 일례를 나타낸다. 다운로드원 결정부(6101)는 사용자에게 기록 매체의 삽입이 요구하는 메시지 표시를 통지부(2905)에 지시하고, 통지부(2905)는 이 메시지를 표시한다(S6201). 그 후, 다운로드원 결정부(6101)는 응답 접수부(3507)에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도록 지시한다. 이 명령을 받은 응답 접수부(3507)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기다리고 입력 정보를 수취하면, 다운로드원 결정부(6101)에 선택된 사용자 응답을 통지한다(S6202). 다운로드원 결정부(6101)는 수신한 사용자 응답으로부터 기록 매체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6203)하고, 기록 매체가 삽입된 경우에는 다운로드원 결정부(6101)는 기록 매체 처리부(6110)로 어플리케이션의 판독을 지시하고, 기록 매체 처리부(6110)는 기록 매체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판독을 행한다(S6204). 기록 매체 처리부(6110)는 취득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원 결정부(6101)에 건네주고, 다운로드원 결정부(6101)는 스토어부(4504)로 어플리케이션의 스토어 요구를 지시하고 스토어부(4504)는 스토어를 한다(S6205). 한편, 기록 매체의 삽입이 캔슬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기록 매체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취득만을 설명했지만, 네트워크 접속부(4501)와 병용함으로써 기록 매체로부터 취득한 어플리케이션에 최신의 것이 존재하지 않을지를 조사할 수도 있다. 이것은 프로토콜 식별자(2003)에 media와 IP가 양쪽 모두 있는 경우에는 다운로드원 지정(2005)을 참조할 수 있다. 혹은, 일례로서 기록 매체 내에 최신판을 보존하는 서버 및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파일을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보존해 두고, 기록 매체 처리부(6110)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을 행할 때에, 이 파일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접속부(4509)를 통해 최신의 어플리케이션의 존재를 조사함으로써 실현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최신의 것이 있던 경우에는 네트워크 접속부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는 방법도 상정된다.
또한, 실시의 형태 8에서는 네트워크 및 DSMCC로부터의 다운로드 중, 최고 속도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다운로드를 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예를 들어 기록 매체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취득도 가능한 경우, 기록 매체로부터의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 DSMCC로부터의 다운로드 및 기록 매체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취득 중에서 최고 속도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다운로드를 행해도 상관없다.
또한, 실시의 형태 1~9를 통하여 이하의 응용이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시의 메시지 통지와 다운로드 경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다운로드원을 결정하고, 다운로드 도중에 에러를 검출했을 때에 다른 다운로드원 지정(2005)을 지정함으로써 처리를 반복하는 방침으로 해도 되고, 다운로드원 지정(2005) 모두 처리해도 다운로드를 완료할 수 없는 경우에는 프로토콜 지정(2003)의 다른 한 쪽의 방법으로 도전해도 된다. 이 때,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의 형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은 Java(등록상표)로 기술된 부분과 CPU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바이너리 형식의 부분의 혼합이어도 되고, CPU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바이너리 형식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등록된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2차 기억부(510)에 보존하고 있었지만, 1차 기억부(511)에 보존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 1차 기억부(511)에 보존하는 경우, 전원 OFF시에 보존된 정보는 모두 지워진다. 또한, 네트워크에 관해서는 유선으로 실현되어도 무선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 등의 정보 기기이면 적응 가능하다.
또한, POD(504)는 착탈 가능한 형태로 하고 있지만, 내장하고 있어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내장한 경우, POD(504)의 CPU(706)를 들어내어 CPU(514)가 CPU(706)의 동작도 행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
POD Lib(1205e)에 등록되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은 다운로드된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뿐만이 아니라, 미리 내장되어 있는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에서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SD 메모리 카드 등의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를 착탈하면 슬롯부를 부착하고, 거기로부터 Java(등록상표) 프로그램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10)
전술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다운로드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디지털 TV 등의 단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예로 설명을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 장치 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플랫폼을 구성하는 프로그램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것이다. 즉, 플랫폼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도 다운로드의 대상이 된다.
여기서 플랫폼이란 방송 수신 장치에 삽입된 소프트웨어로, 기능 추가나 불구체의 수정 등을 위해 후에 변경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플랫폼을 다운로드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도 67은 본 실시의 형태의 다운로드 실행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7에 있어서 6701은 플랫폼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이후 펌 웨어라 함)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 모듈(Download Module)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내는 Download Module(6701)의 처리 동작의 일례를 플로우차트 도 68에 나타낸다. Download Module(6701)은, 예를 들어 도 3의 In-Band 또는 OOB, 혹은 네트워크 등 다른 전송 방식에 의해서 전송되는, 예를 들어 도 69에 나타내는 펌 웨어 갱신 정보(상세는 후술)가 전송되고 있는지의 여부의 모니터링을 행하고, 펌 웨어 갱신 정보가 전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펌 웨어 갱신 정보를 취득한다(S6801).
도 69는 펌 웨어 갱신 정보의 일례이다.
이러한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ANSI/SCTE 28 2004 HOST-POD Interface Standard에 의해 상세한 기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69에 있어서, 벤더 ID(6901)는 벤더마다 할당이 정해져 있어 벤더를 한번에 특정할 수 있는 값을 유지한다. 일례로서 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OUI)가 IEEE에 의해서 호스트 디바이스 벤더에 할당한 값 등이 있다. 또한, 하드웨어 버전(6902)은 벤더 ID에 의해서 나타난 벤더에 있어서, 하드웨어의 각 타이프로 할당된 하드웨어를 한번에 특정하는 식별자를 유지한다. 또한, 타이밍 정보(6903)는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를 유지한다. 일례로서 즉시 다운로드(00), 연기된 다운로드(01), 예외없이 즉시 다운로드(02) 등과 같이 다운로드의 타이밍을 수치로서 기술하는 것을 기술할 수 있다. 또한, 취득 경로(6904)는 벤더 ID(6901)나 하드웨어 버전(6902)에 의해서 식별된 펌 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경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방송파」는 도 3의 In-Band나 OOB 등이 있고, 「네트워크」는 Data-Over-Cable-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DOCSIS) 등이 있다. DOCSIS의 상세는 CM-SP-eDOCSIS-I16-050812를 참조하고자 한다. 또한, 스트림 특정 정보(6905)는 취득 경로(6904)에서 기재된 경로 내에서 다시 전송 스트림 등을 특정하는 식별자를 유지한다. 전송 스트림이 특정하는 식별자의 일례로서 「프로그램(=서비스)」이나 「주파수와 프로그램 넘버」나 「주파수와 패킷 ID」등이 있다.
다시 도 68로 되돌아가서 설명을 한다. (S6801)에서, 예를 들어 도 69에 나타내는 펌 웨어 갱신 정보를 취득한 후, 수신한 펌 웨어 갱신 정보의 벤더 ID(6901) 및 하드웨어 버전(6902)과 방송 수신 장치가 유지하는 벤더 ID나 하드웨어 버전을 비교한다(S6802). 이 때, 방송 수신 장치가 유지하는 펌 웨어 정보가 수신한 펌 웨어 갱신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플랫폼의 갱신에 불필요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EPG(1202), VM(1203), 서비스 매니저(1204), 라이브러리(1205) 중의 일부의 기능 (JMF(1205a), AM(1205b), CA(1205d) 등))의 실행을 일단 정지한 다(S6803). 또한, 방송 수신 장치가 유지하는 펌 웨어 정보가 수신한 펌 웨어 갱신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S6801)로 되돌아가서 다시 펌 웨어 갱신 정보의 취득을 기다린다.
(S6803)에서 플랫폼의 갱신에 불필요한 프로그램의 실행을 일단 정지한 후, Download Module(6701)은 펌 웨어 갱신의 타이밍 정보(6903), 취득 경로(6904) 및 스트림 특정 정보(6905)를 이용하여 펌 웨어의 다운로드원을 결정하고, 펌 웨어를 다운로드하여 기억 영역에 보존한다(S6804).
또한, 기억 영역의 일례로서 1차 기억부(511), 2차 기억부(510) 등이 있다.
(S6804)에서의 보다 상세한 플로우차트는 예를 들어 도 31, 도 32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 상당한다. 또 Download Module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0에 나타내는 블록도에 상당한다. 단 이 플로우차트는 AM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블록도는 AM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므로 이것을 Download Module(6701)로서 치환하여 읽으면 된다. 이 때 도 31, 32에 대응하는 설명을 하고 있는 문장에 있어서 「XAIT 정보」라는 것을 「펌 웨어 갱신 정보」로 치환하여 읽으면 된다. 또한, 「프로토콜 식별자」라는 것을 「취득 경로」로 치환하여 프로토콜 식별자의 「OC」를 「방송파」로서 읽고, 「IP」를 「네트워크」로 치환하여 읽으면 된다. 또한, 「네트워크」의 전송 방법의 일례로서 IP 패킷이나 UDP 패킷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DSMCC 방식의 섹션 정보 등을 내포하여 전송해도 된다. 또한, 「다운로드원 지정」을 「스트림 특정 정보」라고 치환하여 읽으면 된다. 「스트림 특정 정보」의 일례로서 소스 ID를 지정해도 되고, 주파수와 프로그램 넘 버의 세트나 주파수와 패킷 ID의 세트라도 된다.
동일한 치환은 플로우차트에 대해서는 도 38, 39, 40, 44, 46, 47, 49, 50, 51, 53, 54, 55, 57, 58, 59, 61, 62, 66, 블록도에 대해서는 도 35, 41, 45, 52, 56, 60, 65 및 이러한 도면에 대응하는 설명에 대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타이밍 정보(6903)에 유지되고 있는 정보가, 즉시 다운로드(00)나, 예외없이 즉시 다운로드(02)하는 정보로서, 또한 튜너를 이용하여 다운로드하는 경우, 튜너가 모두 사용 중인 경우에는 다운로드 실행을 하지 않는다고 하도록 구성하면, 사용자의 시청을 방해하는 일이 없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특히, 디지털 텔레비전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기술로서 유용하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 등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제어되는 정보 기기에서의 다운로드원 결정 및 메시지 통지의 용도에도 응용할 수 있다.
Claims (46)
-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로서,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 가능한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식별자에 의해 결정되는 다운로드 방법 및 상기 프로그램의 소재를 나타내는 다운로드원 정보의 세트를 복수 포함하는 하나의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는 다운로드 요구 수신 수단과,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세트를 결정하는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과,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세트의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실행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에는, 적어도 2개의 서로 상이한 다운로드 방법이 포함되며, 또한 상기 다운로드원 정보에는 파일 시스템으로의 디렉토리 버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방송파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와,상기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튜닝 판단 수단과,상기 튜닝 판단 수단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관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메시지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상기 튜너에서 튜닝되고 있는 주파수를 취득하는 튜닝 주파수 취득 수단과,상기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방송파의 주파수를 취득하는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튜닝 판단 수단은 상기 튜닝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와, 상기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현재의 튜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의 튜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가능한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튜닝 판단 수단은 또한, 상기 튜닝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이용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있는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상기 튜닝 판단 수단에 의해서 현재의 튜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로의 튜닝을 실행하는 튜닝 실행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튜닝 실행 수단은 튜닝을 실행할 때에 튜너의 이용 상황 또는 이용 목적에 따라 튜닝을 실행하는 튜너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튜닝 판단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메시지를 소정 시간 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다운로드 실행 중인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소정의 이미지, 소정의 영상 및 소정의 음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는 응답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접수 수단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 접수에 제한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고,상기 응답 접수 수단은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대한 승인 또는 거부의 응답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삭제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다운로드 방법을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고,상기 응답 접수 수단은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승인 또는 거부의 응답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응답 접수 수단에 의해서 상기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거부의 응답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경우에,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상기 다운로드 방법과는 다른 다운로드 방법을 포함하는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복수의 세트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방법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다운로드 방법을 문의하고,상기 응답 접수 수단은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방법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운로드 방법을 접수하고,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응답 접수 수단에 의해서 접수된 상기 다운로드 방법을 포함하는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튜닝 판단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다운로드 방법의 문의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또한, 상기 다운로드 방법의 선택을 위한 보조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개시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접수 수단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프로그 램의 다운로드를 개시하는 시간을 접수하고,상기 타이머 설정 수단은 상기 응답 접수 수단에 의해서 접수된 상기 시간을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개시하는 시간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설정 수단은 사전에 결정되어 있는 시간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개시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설정 수단은 상기 응답 접수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대한 거부의 응답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수되었을 때에,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개시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요구의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방법은, 상기 프로그램이 인코드 및 다중화된 스트림으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방법,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하는 다운로드 방법 및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취득하는 다운로드 방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은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다 운로드를 실행,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의 실행 및 상기 기억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취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요구의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서 우선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도에 의거하여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이 인코드 및 다중화된 스트림으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서 다른 방법보다 우선적으로 취급하는 우선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방송파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와,상기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튜닝 판단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상기 튜너에서 튜닝되고 있는 주파수를 취득하는 튜닝 주파수 취득 수단과,상기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방송파의 주파수를 취득하는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튜닝 판단 수단은 상기 튜닝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와, 상기 다운로드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현재의 튜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의 튜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실행 가능한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튜닝 판단 수단은 또한, 상기 튜닝 주파수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이용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용되고 있지 않은 튜너가 있는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튜닝 판단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할 수 있는 튜너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 방법 혹은,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취득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사용자에게 메시지 통지를 행하는 메시지 통지 수단과,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접수하는 응답 접수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통지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이 인코드 및 다중화된 스트림으로부터 수신하는 다운로드 방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고,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응답 접수 수단에 의해서 상기 다운로드 방법에 대한 거부의 응답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수된 경우에,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 방법을 포함하는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 방법에 대해서 다른 방법보다 우선적으로 취급하는 우선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 중에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 방법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항상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다운로드 방법을 포함하는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기록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취득에 대해서 다른 방법보다 우선적으로 취급하는 우선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 중에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취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항상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프로그램 취득인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 중에서 가장 고속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서 에러를 검출함과 함께, 에러를 검출했을 때에 에러 정보를 생성하고,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에 의해서 에러가 검 출되었을 때에, 상기 에러 정보에 의거하여 다시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 중에서 하나의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원을 검출 또는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에러를 검출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원을 검출 또는 접속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에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은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원에 상기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에러를 검출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원에 상기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에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튜닝 실행 수단은 상기 튜닝에서 에러를 검출함과 함께, 에러를 검출했을 때에 에러 정보를 생성하고,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수단은 상기 튜닝 실행 수단에 의해서 에러가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에러 정보에 의거하여 다시 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 중에서 하나의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상기 다운로드 실행 수단에 의해서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을 보존하는 스토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실행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장치.
-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실행 방법으로서,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 가능한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식별자에 의해 결정되는 다운로드 방법 및 상기 프로그램의 소재를 나타내는 다운로드원 정보의 세트를 복수 포함하는 하나의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는 다운로드 요구 수신 단계와,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세트를 결정하는 다운로드원 결정 단계와,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세트의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실행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에는, 적어도 2개의 서로 상이한 다운로드 방법이 포함되며, 또한 상기 다운로드원 정보에는 파일 시스템으로의 디렉토리 버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실행 방법.
- 실행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상기 프로그램은,상기 실행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에 이용 가능한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식별자에 의해 결정되는 다운로드 방법 및 상기 실행 프로그램의 소재를 나타내는 다운로드원 정보의 세트를 복수 포함하는 하나의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는 다운로드 요구 수신 단계와,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로부터 하나의 세트를 결정하는 다운로드원 결정 단계와,상기 다운로드원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세트의 다운로드 방법 및 다운로드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실행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다운로드 실행 단계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고,상기 다운로드 요구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세트에는, 적어도 2개의 서로 상이한 다운로드 방법이 포함되며, 또한 상기 다운로드원 정보에는 파일 시스템으로의 디렉토리 버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018890 | 2005-01-26 | ||
JPJP-P-2005-00018890 | 2005-01-26 | ||
PCT/JP2006/301157 WO2006080361A1 (ja) | 2005-01-26 | 2006-01-25 | ダウンロード実行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0725A KR20070100725A (ko) | 2007-10-11 |
KR101193347B1 true KR101193347B1 (ko) | 2012-10-19 |
Family
ID=3674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15181A KR101193347B1 (ko) | 2005-01-26 | 2006-01-25 | 다운로드 실행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146128B2 (ko) |
EP (1) | EP1848214A4 (ko) |
JP (1) | JPWO2006080361A1 (ko) |
KR (1) | KR101193347B1 (ko) |
CN (1) | CN101107855A (ko) |
WO (1) | WO200608036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53960A (ja) * | 2006-12-18 | 2008-07-03 | Hitachi Ltd |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更新方法 |
KR20080060818A (ko) * | 2006-12-27 | 2008-07-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데이터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데이터 방송 신호를처리하는 방법 |
JP4277910B2 (ja) * | 2007-02-13 | 2009-06-10 | 船井電機株式会社 |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
KR101345392B1 (ko) * | 2007-04-03 | 2013-1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방송 채널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및 장치 |
KR101448994B1 (ko) * | 2007-06-12 | 2014-10-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펌웨어 다운로드 이력 관리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그 제어방법 |
US8049611B2 (en) * | 2007-06-13 | 2011-11-01 | Eingot Llc | Location mechanism for mobile device |
US7788398B2 (en) | 2007-08-08 | 2010-08-31 | Swarmcast, Inc. | Media player plug-in installation techniques |
US8635360B2 (en) | 2007-10-19 | 2014-01-21 | Google Inc. | Media playback point seeking using data range requests |
WO2009075766A2 (en) | 2007-12-05 | 2009-06-18 | Swarmcast, Inc. | Dynamic bit rate scaling |
JP4730626B2 (ja) * | 2008-06-13 | 2011-07-20 | ソニー株式会社 | コンテンツ供給装置、コンテンツ供給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8898716B2 (en) * | 2008-07-28 | 2014-11-25 |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a communication mechanism between embedded cable modem and embedded set-top box |
CN102187645A (zh) * | 2008-10-15 | 2011-09-14 | 日本电气株式会社 | 显示设备、便携式终端、显示控制方法以及程序记录介质 |
JP2010140180A (ja) * | 2008-12-10 | 2010-06-24 | Fujitsu Ten Ltd | 移動体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更新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10166339A (ja) * | 2009-01-15 | 2010-07-29 | Nippon Hoso Kyokai <Nhk> | プログラムファイル取得装置 |
JP5433239B2 (ja) * | 2009-01-15 | 2014-03-05 | 日本放送協会 | 放送型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システム |
US9948708B2 (en) | 2009-06-01 | 2018-04-17 | Google Llc | Data retrieval based on bandwidth cost and delay |
KR20110010052A (ko) | 2009-07-14 | 2011-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방송 네트워크 및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JP2012129657A (ja) * | 2010-12-13 | 2012-07-05 |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 放送受信装置 |
TWI574565B (zh) * | 2011-03-31 | 2017-03-11 | Sony Corp | A transmitting apparatus, a transmitting method, a receiving apparatus, a receiving method, a computer-readable medium, and a broadcasting system |
JP5961165B2 (ja) * | 2011-05-20 | 2016-08-02 | 日本放送協会 | 放送通信連携受信装置及び放送通信連携システム |
CN102595196A (zh) * | 2012-01-12 | 2012-07-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应用数据的接收方法及装置 |
CN103685366B (zh) * | 2012-09-10 | 2018-10-19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提高文件下载速度的方法、装置及系统 |
EP2782349A1 (en) * | 2013-03-19 | 2014-09-24 | TP Vision Holding B.V. | Device and method for starting an application |
EP2782350A1 (en) * | 2013-03-19 | 2014-09-24 | TP Vision Holding B.V. | Device and method for starting an application |
US10771831B2 (en) | 2017-12-14 | 2020-09-08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System and method for preemptive advertisement caching to optimize network traffic |
JP7337118B2 (ja) * | 2021-04-23 | 2023-09-01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CN115766681B (zh) * | 2022-11-28 | 2024-08-23 | 迈普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 程序下载方法、装置、介质及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78621A (ja) * | 1999-03-24 | 2000-10-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ディジタルテレビ受信機における追加データダウンロード制御システム |
JP2002142164A (ja) * | 2000-10-31 | 2002-05-17 | Sanyo Electric Co Ltd | ディ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
JP2002281081A (ja) * | 2001-01-10 | 2002-09-27 | Sega Corp | データ配信装置、データ配信方法、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9103493L (sv) * | 1991-11-26 | 1993-03-29 | Sweden On Line Ab | Anordning vid dekodrar i tv-system |
US5666293A (en) * | 1994-05-27 | 1997-09-09 |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 Downloading operating system software through a broadcast channel |
US6181867B1 (en) * | 1995-06-07 | 2001-01-30 | Intervu, Inc. | Video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
US6240555B1 (en) * | 1996-03-29 | 2001-05-29 | Microsoft Corporation | Interactive entertainment system for presenting supplemental interactive content together with continuous video programs |
JP2001053697A (ja) | 1999-08-05 | 2001-02-2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
JP2002041390A (ja) * | 2000-07-25 | 2002-02-08 | Sony Corp | 作品配信システム |
JP2002084249A (ja) * | 2000-09-08 | 2002-03-22 | Fujitsu Ltd | 集中管理装置 |
JP2002165046A (ja) * | 2000-11-28 | 2002-06-07 | Burosukomu:Kk |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方法、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
US7428023B2 (en) * | 2001-04-19 | 2008-09-23 | Digeo, Inc. | Remote control device with integrated display screen for controlling a digital video recorder |
JP2003067284A (ja) | 2001-08-30 | 2003-03-07 | Sharp Corp | デジタル放送受信機 |
ATE415049T1 (de) * | 2002-04-12 | 2008-12-15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Herunterladen von programmen in rundfunkempfaenger |
US7308084B2 (en) * | 2003-06-05 | 2007-12-1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of associating file description during a browser-initiated download |
US20050177853A1 (en) * | 2004-02-11 | 2005-08-11 | Alio, Inc. | System and Methodology for Distributed Delivery of Online Content in Response to Client Selections from an Online Catalog |
US8745667B2 (en) * | 2007-01-08 | 2014-06-0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processing channel information and receiver |
-
2006
- 2006-01-25 US US11/814,731 patent/US814612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1-25 KR KR1020077015181A patent/KR10119334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6-01-25 CN CNA2006800032059A patent/CN101107855A/zh active Pending
- 2006-01-25 JP JP2007500552A patent/JPWO2006080361A1/ja not_active Withdrawn
- 2006-01-25 WO PCT/JP2006/301157 patent/WO200608036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1-25 EP EP06712352A patent/EP1848214A4/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78621A (ja) * | 1999-03-24 | 2000-10-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ディジタルテレビ受信機における追加データダウンロード制御システム |
JP2002142164A (ja) * | 2000-10-31 | 2002-05-17 | Sanyo Electric Co Ltd | ディ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
JP2002281081A (ja) * | 2001-01-10 | 2002-09-27 | Sega Corp | データ配信装置、データ配信方法、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848214A4 (en) | 2010-04-21 |
JPWO2006080361A1 (ja) | 2008-06-19 |
CN101107855A (zh) | 2008-01-16 |
WO2006080361A1 (ja) | 2006-08-03 |
KR20070100725A (ko) | 2007-10-11 |
US8146128B2 (en) | 2012-03-27 |
US20090019500A1 (en) | 2009-01-15 |
EP1848214A1 (en) | 2007-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3347B1 (ko) | 다운로드 실행 장치 | |
US8677368B2 (en) |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nd program execution method | |
JP4243571B2 (ja) | 放送受信装置 | |
US7840116B2 (en) |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 |
US9264757B2 (en) | Service executing apparatus | |
KR100926201B1 (ko) | 프로그램 치환 방법 및 프로그램 치환 장치 | |
WO2012029567A1 (ja) |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送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放送システム | |
US20090222867A1 (en) |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video storing apparatus, and multimedia delivering system | |
US20070157263A1 (en) | Content management system | |
JP2012070351A (ja) |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送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放送システム | |
US20070174356A1 (en) | Program execution device, program execution method, and program | |
JP5961165B2 (ja) | 放送通信連携受信装置及び放送通信連携システム | |
KR101036036B1 (ko) | 프로그램 실행 장치 | |
JP2009094702A (ja) | 操作履歴を記憶する情報処理装置 | |
KR20100004282A (ko) | 방송 수신기 및 케이블 방송의 소프트웨어 수신 방법 | |
JP2008187333A (ja) | プログラム実行装置 | |
JP2008117386A (ja) | プログラム置き換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置き換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