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614B1 -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1614B1 KR101191614B1 KR1020100060434A KR20100060434A KR101191614B1 KR 101191614 B1 KR101191614 B1 KR 101191614B1 KR 1020100060434 A KR1020100060434 A KR 1020100060434A KR 20100060434 A KR20100060434 A KR 20100060434A KR 101191614 B1 KR101191614 B1 KR 1011916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oil
- component
- cosmetic composition
- surfact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 및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제 조성물은 보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2제 조성물은 오일, 점증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과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을 분리하여 제조한 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외부상은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내부상은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수중유형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어 사용감이 우수하게 되며, 내부상을 형성하는 유상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피부보호와 유분감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과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을 분리하여 제조한 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외부상은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내부상은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수중유형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어 사용감이 우수하게 되며, 내부상을 형성하는 유상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피부보호와 유분감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 직전에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림은 스킨케어의 마지막 단계에서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에 유분감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크림에는 왁스나 오일과 같은 유상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크림의 피부보호와 유분감 제공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크림에 함유되어 있는 왁스나 오일과 같은 유상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유상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경우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많아져서 피부자극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유상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유분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유중수형의 제형으로 크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경우 연속상이 유상이기 때문에 오일감이 먼저 느껴지면서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상성분의 함량을 증가시켜 피부보호와 유분감 제공효과를 증가시킴과 더불어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사용 직전에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은 별도의 용기에 보존된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을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와 같은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은 산화염모제, 모발탈색제, 효소배합제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의 성분 및 조성비를 적절히 조절할 경우, 목적하는 피부보호와 유분감과 더불어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보습력이 높은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과 다량의 오일과 같은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을 분리하여 제조한 후 사용직전에 혼합함으로써, 외부상은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내부상은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수중유형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어 사용감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수중유형 제형의 내부상을 구성하는 2제 조성물에 점증제 성분을 포함시킴으로써,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이 혼합될 때 점도와 탁도가 증가 되어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줄이면서도 오일과 같은 유상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피부보호와 유분감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 및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제 조성물은 보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2제 조성물은 오일, 점증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1제 조성물과 상기 2제 조성물의 혼합에 의해 상기 1제 조성물은 외부상을 형성하고 상기 2제 조성물은 내부상을 형성함으로써 수중유형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70:30 ~ 15:8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제 조성물은 방부제, 킬레이트제, 중화제, 및 점증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상기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0 ~ 9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점증제는 상기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 ~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 ~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계면활성제와 소수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소수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의 함량과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제 조성물은 오일겔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오일겔화제는 상기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 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과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을 분리하여 제조한 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외부상은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내부상은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수중유형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어 사용감이 우수하게 되며, 내부상을 형성하는 유상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피부보호와 유분감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크림타입의 수중유형에서 할 수 없었던 적은 양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서도 유상성분의 비율을 85중량%까지 높일 수 있게 되어 유분감과 보습감을 함께 느낄 수 있으며, 난용성 물질의 장기보존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1제 조성물인 샘플 1의 유화입자를 400배율의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2제 조성물인 샘플 3의 유화입자를 400배율의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샘플 1과 샘플 3을 1:1로 혼합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인 실시예 3의 유화입자를 400배율의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2제 조성물인 샘플 3의 유화입자를 400배율의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샘플 1과 샘플 3을 1:1로 혼합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인 실시예 3의 유화입자를 400배율의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 및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이 별도로 보관되며 사용직전에 상기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이 혼합됨으로써 상기 1제 조성물은 외부상을 형성하고 상기 2제 조성물은 내부상을 형성하면서 유화가 이루어져 결국 수중유형의 제형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은, 수중유형 제형의 외부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보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물 또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을 향상시키고 사용감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습제로는 1,3-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등의 글라이콜류;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롤류; 솔비톨, 만니톨, 자당, 전분당, 라쿠치톨 등의 당류; 구아검, 콘드로이틴 유산나트륨, 히아루론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알킬화카르복실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아라비아고무, 카라기난 등의 수용성 고분자;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유산나트륨 등의 염류; 로즈, 레몬, 한방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액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정제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제형의 안정도 또는 사용감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방부제, 킬레이팅제, 중화제,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은, 수중유형 제형의 내부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오일, 점증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오일겔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유분감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합성유(디카프릴일카보네이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펜타에리쓰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터 오일), 천연동식물성유(스쿠알란, 포도종자유, 스위트아몬드유, 호호바유, 마카다미아유), 실리콘유(알킬변성실리콘, 실리콘수지),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상기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0 ~ 9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70.0 ~ 9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오일이 50.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피부보호와 유분감 증진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고, 90.0중량% 초과하여 함유되면 제형이 수중유형 화장료에서 유중수형 화장료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유중수형 화장료로 변경될 경우에는 오일이 외부상으로 되어 사용감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점증제는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을 혼합할 때에 점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점증제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클릴레이트코폴리머,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상기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 ~ 5.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증제가 0.5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점도가 형성되지 않아서 크림과 같은 제형을 얻지 못할 수 있고, 5.0 중량%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사용시 고분자들이 뭉쳐서 석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공지되어 있는 모든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 ~ 1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 6.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을 혼합할 때 유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10.0중량%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계면활성제와 소수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소수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친수성 계면활성제의 함량보다 많을 경우 수중유형에서 유중수형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소수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친수성 계면활성제의 함량과 같거나 또는 친수성 계면활성제의 함량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겔화제는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을 혼합할 때에 겔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제형의 안정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실온에서 고형으로 존재하며 융점이 50℃ 이상인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오일겔화제는 글리세릴베헤네이트/에이코사디오에이트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오일겔화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겔화제는 상기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 10.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오일겔화제가 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제형이 안정화되지 않아서 상분리가 될 수 있고, 10.0중량%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2제 조성물이 겔화되어 사용시 혼합이 쉽게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점증제와 더불어 오일겔화제가 최적화된 함량으로 2제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을 혼합할 때 안정적인 제형을 얻을 수 있게 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의 함량을 85중량%까지 증가시키면서도 수중유형의 제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70:30 ~ 15:85이며, 바람직하게는 50:50 ~ 20:80이다. 만일 상기 1제 조성물의 중량비가 70을 초과하면 원하는 점도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15 미만이면 제형이 수중유형에서 유중수형으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크림타입의 수중유형에서 할 수 없었던 적은 양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서도 유상성분의 비율을 85중량%까지 높일 수 있게 되어 유분감과 보습감을 함께 느낄 수 있으며, 난용성 물질의 장기보존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내부상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증가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제형은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내부상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수중유형 제형에서 계면활성제를 5중량%로 사용할 경우 내부상의 함량을 35중량% 정도밖에 사용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제형은 계면활성제를 동일하게 사용하여도 내부상의 함량을 최대 85중량%까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뛰어난 유분감을 제공하는 수중유형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와 실험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비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1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수상 용해조에서 원료 1-7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용해시켜 1제 조성물의 샘플 1을 얻었다.
구분 | 대분류 | 원료 | 조성비(중량%) |
1 | 보습제 | 메칠글루세스-20 | 10 |
2 | 점증제 | 산탄검 | 0.2 |
3 | 보습제 | 피이지-75 | 5 |
4 | 점증제 | 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 | 7 |
5 | 중화제 | 아르기닌 | 2 |
6 | 보습제 | 소듐히아루로네이트 | 5 |
7 | 용매 | 정제수 | to 100 |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비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2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표 2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유상 용해조에서 원료 8-14를 70-80℃로 가온하여 용해시킨 후, 용해된 혼합액을 45℃로 냉각하여 향료를 투입하고 분산시킨 후 30℃로 냉각 및 탈포하여 2제 조성물의 샘플 2 내지 샘플 6을 얻었다.
구분 | 대분류 | 원료 | 조성비(중량%) | ||||
샘플 2 | 샘플 3 | 샘플 4 | 샘플 5 | 샘플 6 | |||
8 | 계면활성제 | 폴리소르베이트 60 | 5 | 5 | 1 | 5 | 2.5 |
9 | 계면활성제 |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 1 | 1 | 5 | 1 | 2.5 |
10 | 오일 | 헬리안수스안누스(선플라워) 씨드 오일 | 30 | 30 | 30 | 30 | 30 |
11 | 오일 | 스쿠알란 | 30 | 30 | 30 | 30 | 30 |
12 | 오일 | 올리브 프룻 오일 | 30 | 26 | 26 | 21 | 22 |
13 | 점증제 | 폴리아크릴아마이드/C13-14이소파라핀/라우레스-7 | 1 | 5 | 5 | 10 | 10 |
14 | 오일겔화제 | 글리세릴베헤네이트 에이코사디오네이트 | 3 | 3 | 3 | 3 | 3 |
15 | 향료 | 향료 | 적량 |
<
실시예
1-8 :
1제
조성물 및
2제
조성물을 혼합한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제조>
1제 조성물인 샘플 1과 2제 조성물인 샘플 3의 혼합비율을 하기 표 3과 같이 변경하면서 혼합하여 실시예 1-8에 따른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실시예 8 | |
샘플 1의 비율 | 70중량% | 60중량% | 50중량% | 40중량% | 30중량% | 20중량% | 15중량% | 10중량% |
샘플 3의 비율 | 30중량% | 40중량% | 50중량% | 60중량% | 70중량% | 80중량% | 85중량% | 90중량% |
<
비교예
1-4 : 수상성분 및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단일형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4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비로 단일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수상 용해조에서 원료 1-7을 70-80℃로 가온 용해하고, 유상 용해조에 원료 8-14를 70-80℃로 가온 용해시켰다. 용해된 수상과 유상을 교반기(PRIMI, TK HOMOMIXER MARK 2.5 MODEL)을 이용하여 3000rpm으로 5분간 교반한 뒤, 45℃로 냉각하여 원료 15를 투입하고 분산시킨 후 30℃로 냉각 및 탈포하였다.
구분 | 대분류 | 원료 | 조성비(중량%) |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비교예5 | |||
1 | 보습제 | 메칠글루세스-20 | 5 | ||||
2 | 점증제 | 산탄검 | 0.1 | ||||
3 | 보습제 | 피이지-75 | 2.5 | ||||
4 | 점증제 | 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 | 3.5 | ||||
5 | 중화제 | 아르기닌 | 1 | ||||
6 | 보습제 | 소듐히아루로네이트 | 2.5 | ||||
7 | 용매 | 정제수 | to 100 | ||||
8 | 계면활성제 | 폴리소르베이트 60 | 2.5 | 2.5 | 0.5 | 2.5 | 1.25 |
9 | 계면활성제 |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 0.5 | 0.5 | 2.5 | 0.5 | 1.25 |
10 | 오일 | 헬리안수스안누스(선플라워) 씨드 오일 | 15 | 15 | 15 | 15 | 15 |
11 | 오일 | 스쿠알란 | 15 | 15 | 15 | 15 | 15 |
12 | 오일 | 올리브 프룻 오일 | 15 | 13 | 13 | 10.5 | 11 |
13 | 점증제 | 폴리아크릴아마이드/C13-14이소파라핀/라우레스-7 | 0.5 | 2.5 | 2.5 | 5 | 5 |
14 | 오일겔화제 | 글리세릴베헤네이트 에이코사디오네이트 | 1.5 | 1.5 | 1.5 | 1.5 | 1.5 |
15 | 향료 | 향료 | 적량 |
실험예
1) 샘플 1, 샘플 3, 및
실시예
3의 제형 평가
1제 조성물인 샘플 1, 2제 조성물인 샘플 3, 상기 샘플 1과 샘플 3을 5:5로 혼합한 실시예 3의 제형을 도 1 ~ 3에 나타내었다.
도 1은 1제 조성물인 샘플 1의 사진이고, 도 2는 2제 조성물인 샘플 3의 사진이고, 도 3은 1제 조성물인 샘플 1과 2제 조성물인 샘플 3을 5:5로 혼합한 실시예 3의 사진이다.
도 1 및 도 2의 사진에는 콜로이드 입자가 존재하지 않지만, 도 3의 사진에는 콜로이드 입자가 형성되어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3의 경우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상성분이 수상성분을 만나면서 수중유형의 입자를 형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샘플 1-6 및
비교예
1-5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상분리
평가
상기 샘플 1-6 및 비교예 1-5의 화장료 조성물의 상분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샘플 1-6 및 비교예 1-5의 제형을 각각 실온, 45℃, Cycle(45℃~-10℃, 6시간 주기)의 범위 내에서 1개월간 관찰하여 다음의 평가기준에 따라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5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a. 안정함, b. 부분분리, c. 완전분리
샘플 1 | 샘플 2 | 샘플 3 | 샘플 4 | 샘플 5 | 샘플 6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비교예5 | |
실온 | a | a | a | a | a | a | c | b | a | b | c |
45℃ | a | a | a | a | a | a | c | c | b | c | c |
Cycle | a | a | a | a | a | a | c | c | c | c | c |
상기의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함량의 동일한 유상성분을 보관하는데 있어 샘플 1-6와 같이 제형을 분리하여 보관할 경우 각각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는 비교예 3의 실온에서만 안정성이 유지되었으며 비교예 1, 2, 4, 5에서는 상분리가 발생하였다. 이 결과로써 본 발명의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분리하여 보관하는 것이 좋은 안정성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혼합식
화장료의
유상성분 함유량에 대한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을 대상으로 하여 TAE KWANG TK-3201전류계를 사용하여 전류의 흐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수중유형 제형은 외부상이 수상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고, 유중수형 제형은 외부상이 유상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에서 수중유형 제형이 안정하게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전류의 흐름을 측정한 것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실시예 8 | |
수상:유상 | 70:30 | 60:40 | 50:50 | 40:60 | 30:70 | 20:80 | 15:85 | 10:90 |
전류의 흐름 | O | O | O | O | O | O | O | X |
상기의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조성에서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의 함량을 변화시켰을 때 내부상인 유상성분이 85 중량%까지는 전류가 통하였고, 유상성분이 90중량%일 때는 전류가 통하지 않음으로써, 내부상이 85중량%일 때까지 수중유형의 제형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상 성분의 함량을 85중량%까지 높이면서도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혼합식
화장료의
유상성분 중
오일겔화제에
의한
상분리
평가
2제 조성물인 샘플 3의 조성에서 오일겔화제의 함량을 표7과 같이 변경하여 비교샘플을 만들어(샘플 3의 조성에서 오일겔화제의 함량 변화에 따라 올리브 프룻 오일의 함량을 변경하였음. 예로서, 비교샘플 6과 같이 오일겔화제의 함량이 5중량%일 경우, 올리브 프룻 오일의 함량이 24중량%가 됨) 혼합하여 각각 실온, 45℃, Cycle(45℃~-10℃, 6시간주기)의 범위 내에서 1개월간 관찰하여 다음의 평가기준에 따라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7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a. 안정함, b.분리됨
조건 |
오일겔화제 함량 | |||||
비교샘플 1 (0.1중량%) |
비교샘플 2 (0.5중량%) |
비교샘플 3 (1.0중량%) |
비교샘플 4 (1.5중량%) |
비교샘플 5 (3.0중량%) |
비교샘플 6 (5.0중량%) |
|
실온 | b | b | b | a | a | a |
45 | b | b | b | b | a | a |
Cycle | b | b | b | b | a | a |
상기의 표7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제 화장료 조성물 중 오일겔화제를 함유함에 따라 비교샘플 5, 6은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에, 비교샘플 1-4는 상분리가 발생하였다. 이 결과로써 본 발명의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중 2제에서 오일겔화제를 3중량%이상 함유하는 것이 좋은 안정성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 및 유상성분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제 조성물은 보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2제 조성물은 오일, 점증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오일은 상기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0.0 ~ 90.0 중량%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보습제는 글라이콜류, 글리세롤류, 당류, 수용성 고분자, 염류, 및 식물 추출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은 합성유, 천연동식물성유, 실리콘유,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점증제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클릴레이트코폴리머,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계면활성제와 소수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1제 조성물과 상기 2제 조성물의 혼합에 의해 상기 1제 조성물은 외부상을 형성하고 상기 2제 조성물은 내부상을 형성함으로써 수중유형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70:30 ~ 15: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제 조성물은 방부제, 킬레이트제, 중화제, 및 점증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상기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 ~ 5.0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0 ~ 10.0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계면활성제와 소수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수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상기 친수성 계면활성제의 함량과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제 조성물은 오일겔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화제는 상기 2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 ~ 10.0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0434A KR101191614B1 (ko) | 2010-06-25 | 2010-06-25 |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0434A KR101191614B1 (ko) | 2010-06-25 | 2010-06-25 |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211A KR20120000211A (ko) | 2012-01-02 |
KR101191614B1 true KR101191614B1 (ko) | 2012-10-15 |
Family
ID=4560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0434A KR101191614B1 (ko) | 2010-06-25 | 2010-06-25 |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161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3791A (ko) * | 2019-03-26 | 2020-10-07 | 코스맥스 주식회사 |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
KR102343553B1 (ko) | 2021-03-18 | 2021-12-28 | (주)나우코스 | 제1제와 제2제 베이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피부 보습 미스트 화장품 조성물 |
KR20230150424A (ko) | 2022-04-21 | 2023-10-31 | 주식회사 에스피에스 | 수중유 액정유화 미스트 베이스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5467B1 (ko) * | 2014-01-07 | 2020-11-06 | (주)아모레퍼시픽 |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274296B1 (ko) * | 2014-07-25 | 2021-07-0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
WO2017095083A1 (ko) * | 2015-11-30 | 2017-06-08 |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 혼합 용이성이 확보된 이액 제형 화장료 조성물 |
CN109789085B (zh) * | 2017-07-21 | 2022-04-29 | 奥汀福图斯有限公司 | 面膜套装 |
KR101887048B1 (ko) * | 2017-07-21 | 2018-08-09 | (주)아우딘퓨쳐스 |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
KR101887050B1 (ko) * | 2017-09-29 | 2018-08-09 | (주)아우딘퓨쳐스 | 마스크팩 키트 |
KR101879423B1 (ko) * | 2017-08-14 | 2018-07-17 | (주)아우딘퓨쳐스 | 마스크팩 키트 |
KR101994619B1 (ko) * | 2017-11-29 | 2019-07-02 | 코스맥스 주식회사 |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
KR101961852B1 (ko) * | 2018-07-20 | 2019-03-25 | (주)아우딘퓨쳐스 | 필-오프 타입의 팩 화장료 조성물 |
CN114727911B (zh) * | 2019-11-29 | 2023-10-20 | 莱雅公司 | 用于局部施用的两相组合物 |
KR102572589B1 (ko) * | 2020-11-20 | 2023-09-01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01965A (ja) * | 2005-06-22 | 2007-01-11 | Sunstar Inc | 乳化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した化粧料 |
-
2010
- 2010-06-25 KR KR1020100060434A patent/KR1011916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01965A (ja) * | 2005-06-22 | 2007-01-11 | Sunstar Inc | 乳化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した化粧料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3791A (ko) * | 2019-03-26 | 2020-10-07 | 코스맥스 주식회사 |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
KR102273237B1 (ko) * | 2019-03-26 | 2021-07-06 | 코스맥스 주식회사 |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
KR102343553B1 (ko) | 2021-03-18 | 2021-12-28 | (주)나우코스 | 제1제와 제2제 베이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피부 보습 미스트 화장품 조성물 |
KR20230150424A (ko) | 2022-04-21 | 2023-10-31 | 주식회사 에스피에스 | 수중유 액정유화 미스트 베이스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211A (ko) | 2012-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1614B1 (ko) |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 |
KR101994619B1 (ko) |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 |
KR101087602B1 (ko) |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JP6038334B2 (ja) | 可変的な透明度を有する水中油型のオルガノゲル化粧料組成物 | |
KR101507893B1 (ko) |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의 분사형 보습 화장료 조성물 | |
KR100760167B1 (ko) |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 |
CN104997653B (zh) | 一种适合油性皮肤使用的润肤霜及其制备方法 | |
KR100678364B1 (ko) |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 |
KR102013619B1 (ko) |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KR101503923B1 (ko) |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 |
KR101773523B1 (ko) | 수용성 결정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394535B1 (ko) | 칼라민 고함량 내상 안정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
KR102673707B1 (ko) | 고체 유성 성분을 안정화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 |
JP2004175736A (ja) |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 |
KR102317099B1 (ko) | 킬레이팅 효과가 있는 폴리머를 이용한 알진 캡슐 붕해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509002B1 (ko) |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
KR102563508B1 (ko) |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
CN103301044A (zh) | 一种茶油润肤乳液及其制备方法 | |
KR102423954B1 (ko) |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
EP3630297B1 (fr) | Composition cosmétique foisonnée à haute teneur en beurre végétal | |
KR102050577B1 (ko) | 계면활성제 없이 오일상을 함유한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 | |
JP2799569B2 (ja) | 酸化防止剤組成物 | |
KR101877179B1 (ko) |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 |
TWI322009B (en) | Stabilize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vitamin a or a derivative thereof | |
KR102274296B1 (ko) |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