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075B1 - 베이비슬링 - Google Patents
베이비슬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9075B1 KR101199075B1 KR1020100044493A KR20100044493A KR101199075B1 KR 101199075 B1 KR101199075 B1 KR 101199075B1 KR 1020100044493 A KR1020100044493 A KR 1020100044493A KR 20100044493 A KR20100044493 A KR 20100044493A KR 101199075 B1 KR101199075 B1 KR 1011990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ngitudinal direction
- infant
- elasticity
- knitted fabric
- shou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Landscapes
- Knitting Of Fabric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베이비슬링의 전체의 고리 형상의 길이가 변화하는 일 없이, 또한, 유아 유지부로 유아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는 것.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유아 유지부(10)가,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 (W)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적은 편물지(A)의 바깥쪽부(11)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의 안쪽부(12)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탄성이 큰 편물지(A)의 바깥쪽부(11)에 유아의 체중이 가해져,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B)의 안쪽부(12)에 의해서 가이드 되기 때문에, 유아가 안정된 수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은 베이비슬링으로 할 수 있다.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유아 유지부(10)가,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 (W)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적은 편물지(A)의 바깥쪽부(11)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의 안쪽부(12)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탄성이 큰 편물지(A)의 바깥쪽부(11)에 유아의 체중이 가해져,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B)의 안쪽부(12)에 의해서 가이드 되기 때문에, 유아가 안정된 수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은 베이비슬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를 안을 때에,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보조구로서 이용되는 베이비슬링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선행 기술로서는, 특허문헌 1의 발명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띠형상체(10)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베이비슬링(1)에 있어서, 띠형상체(10)는, 폭방향의 중앙부(14)에 신축사를 이용하고, 측가장자리부(15)에 비신축사를 이용하여, 중앙부(14)와 측가장자리부(15)가 일체로 편성(編成)된 편물지(編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띠형상체(10)의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 (14)가 상대적으로 성긴 그물코로 편성된 네트조직으로 구성되고, 측가장자리부 (15)가 상대적으로 촘촘한 그물코로 편성된 밀(密)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띠형상체(10)가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성긴 그물코로 편성된 네트조직 (13b), (13d)과, 상대적으로 촘촘한 그물코로 편성된 밀조직 (13a), (13c), (13d)를 갖는다.
한편, ( ) 쓰기의 번호는, 특허문헌 1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된 부호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특허문헌 1에서는, 띠형상체(10)의 측가장자리부(15)가 비신축사에 의해 신장이 규제되는 한편으로, 중앙부(14)가 편조직의 확대와 신축사 자신의 신장에 의해서 폭방향으로도 길이방향으로도 넓어져, 보다 입체적으로 변형하여 피트성이 높아진다. 또한, 측가장자리부(15)의 신장이 더 강하게 규제되고, 중앙부(14)에서는 실 자신의 신축에 네트조직(13b), (13d)의 그물코의 변형이 가해져, 중앙부(14)와 측가장자리부(15)의 신축성의 차이가 현저하게 되어, 중앙부(14)를 한층 입체적으로 변형시켜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측가장자리부(15)를 밀조직(13a), (13c), (13e)으로 편성하는 것에 의해 띠형상체(10)의 강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유아 유지부(13d)나 어깨댐부(13b) 등의 폭방향의 확대가 요구되는 부분을 네트조직으로 짜서 이루어 피트성을 확보하는 한편으로, 그 이외의 부분을 밀조직(13a), (13c), (13e)으로 편성하는 것에 의해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네트조직(13b), (13d)이 튼튼하고, 또한, 네트조직(13b), (13d)과 밀조직(13a), (13c), (13e)과의 뜨기 분류도 용이하다. 또한, 고리형상부의 직경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격에 맞출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75238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은, 베이비슬링은, 전개 상태에 있어서, 네트형상의 띠형상체(10)의 일단부(13a)에 2개의 연결용 링(11), (11)이 부착되고, 타단부 (13e)에 경질 고무 시트로 이루어지는 발지용 부재(12)가 꿰매 붙여져 있다. 상기 베이비슬링은, 상기 띠형상체(10) 타단부(13e)를 2개의 링(11), (11) 사이에 통과시켜 링(11), (11) 사이에 구속하는 것에 의해서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띠형상체(10)는,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 링(11)을 부착하는 일단부(13a)와 발지용 부재(12)를 꿰매 붙이는 것 타단부(13e)와의 사이가, 사용자의 어깨에 닿는 어깨댐부(13b), 사용자의 등에 닿는 등댐부(13c), 유아를 수용하는 유아 유지부(13d)에 대응한다. 한편, 고리형상부의 직경은 링(11)에 의한 구속위치를 가감하는 것에 의해서 무단계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격에 맞출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베이비슬링은, 네트형상의 띠형상체(10)의 일단부 (13a)에 2개의 연결용 링(11), (11)이 부착되고, 타단부(13e)에 경질 고무 시트로 이루어지는 발지용 부재(12)가 꿰매 붙여져 있고, 상기 띠형상체(10)의 타단부 (13e)를 2개의 링(11), (11) 사이에 통과시켜 링(11), (11) 사이에 구속하는 것에 의해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지만, 2개의 링(11), (11) 사이에 통과시켜 구속되어 있어도, 사용중에 어긋남이 생기기 때문에, 사용자는 안심하고 유아를 얹어 유아에만 손을 더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의 둔부로부터 손을 돌려 안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의 고리형상의 길이가 변화하는 일 없이, 또한, 유아 유지부로 유아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는 베이비슬링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베이비슬링은,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유아 유지부와, 상기 유아 유지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띠형상부와, 상기 띠형상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된 탄성이 적은 편물지와 그 안쪽에 형성된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어깨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아 유지부 및 상기 띠형상부 및 상기 어깨댐부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의 길이에 직각인 폭이 최대폭이고, 그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는 리브뜨기(고무뜨기) 등의 편물지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래, 리브뜨기는 특정방향으로 신축성이 크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그 큰 신축방향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는 늘어남이 적은 것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의 신축성의 크고 작음은, 그 사용방법에 따라서 다른 것으로, 특정된 방향만을 대상으로 하면 좋다.
또한, 고리형상의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는 메쉬뜨기 등의 평뜨기의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메쉬뜨기에 의해, 특정의 방향에만 탄성이 있어, 늘리기 쉽게 한 편물지이다.
한편, 이 탄성이 크고, 작음은 탄성률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고, 탄성이 적은 편물지는 리브뜨기 등의 신축이 작은 쪽에 상당하는 편물지를 말하고, 탄성이 큰 편물지는 평뜨기이더라도 메쉬뜨기나 모양뜨기 등에 의해서 자유롭게 신축되도록 한 것으로, 당연히, 탄성이 큰 리브 편물지도 이것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적어도란, 펄뜨기 등과 같이 직교하는 2방향으로 신축 자유로운 편물지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유아 유지부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이고, 그 길이방향의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띠형상부는, 유아 유지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길이방향으로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뜨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방향에는 탄성이 풍부하다.
그리고, 상기 어깨댐부는, 상기 띠형상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된 탄성이 적은 편물지와 그 안쪽에 형성된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아 유지부 및 상기 띠형상부 및 상기 어깨댐부는, 상기 유아 유지부 및 상기 띠형상부 및 상기 어깨댐부 및 상기 띠형상부 및 상기 유아 유지부의 순서로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베이비슬링은,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유아 유지부와, 상기 유아 유지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띠형상부와, 상기 띠형상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된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어깨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아 유지부 및 상기 띠형상부 및 어깨댐부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의 길이에 직각인 폭이 최대폭이고, 그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는 리브뜨기(고무뜨기) 등의 편물지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래, 리브뜨기는 특정방향으로 신축성이 크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그 큰 신축방향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는 늘어남이 적은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고리형상의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는 메쉬의 평뜨기 등으로서의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메쉬뜨기에 의해, 특정의 방향에만 탄성이 있어, 늘리기 쉽게 한 편물지이다.
한편, 이 탄성의 크고, 작음은, 탄성률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고, 탄성이 적은 편물지는 리브뜨기 등의 신축이 작은 쪽에 상당하는 편물지를 말하고, 탄성이 큰 편물지란 평뜨기이더라도 메쉬뜨기나 모양뜨기 등에 의해서 자유롭게 신축되도록 한 것으로, 당연히, 탄성이 큰 리브 편물지도 이것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적어도란, 펄뜨기 등과 같이 직교하는 2방향으로 신축 자유로운 편물지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유아 유지부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이고, 그 길이방향의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띠형상부 및 어깨댐부는, 유아 유지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길이방향의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아 유지부 및 상기 띠형상부 및 어깨댐부는, 상기 유아 유지부와 상기 띠형상부와 어깨댐부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에 관한 베이비슬링의 상기 유아 유지부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둘로 접었을 때, 중앙이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무게로 내려가기 쉽고, 상기 유아 유지부내 또는 그 근방에 중심 위치가 오고,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중심 위치가 되는 깊이에 만곡 및 그 탄성이 설정되면 좋다.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베이비슬링의 상기 어깨댐부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둘로 접었을 때, 중앙이 바깥쪽에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에 그 볼록형상 부분의 안쪽이 오면, 유아의 체중이 어깨 위로부터와 옆으로부터의 벡터력의 합성이 되도록, 그 폭이 설정되면 좋다.
청구항 5의 발명에 관한 베이비슬링의 상기 유아 유지부 및 2개소의 상기 띠형상부 및 상기 어깨댐부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은, 단일의 방적사 등의 실에 의해서 편성되어 있으면 좋다. 여기서, 단일의 방적사 등의 실에 의한 편성이란, 예를 들면, 무봉제 니트 횡편기의 가먼트(garment)뜨기(홀 가먼트는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세이사쿠쇼의 등록상표)로 한 개의 방적사로 전체를 짠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은, 방적사에 한정하지 않고, 필라멘트사, 모노필라멘트사, 숭고사(崇高絲), 중공사, 피복사, 코어얀(core yarn)사, 복합사, 견평사 (肩平絲), 이형 단면사, 스프리트사, 옻나무실 등의 실이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실의 원재료로서는, 화학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실, 금속으로부터 형성되는 실, 식물로부터 형성되는 실, 그들 2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꼬임실의 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기계적 강도가 강해도, 그 뜨기 방법에 탄력을 갖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끊어지기 어려운 비교적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높은 사용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6의 발명에 관한 베이비슬링의 상기 유아 유지부의 상기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와,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란, 탄성이 적은 편물지를 리브뜨기로 하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를 평뜨기로 한 것이다. 여기서, 이 리브뜨기와 평뜨기는, 특정의 뜨기 방법 뿐만 아니라, 단순 또는 복잡한 메쉬, 모양을 박아 넣은 것이더라도 좋다.
청구항 7의 발명에 관한 베이비슬링의 상기 유아 유지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를 2중으로 배치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를 2중으로 배치 형성이란, 안쪽 또는 바깥쪽의 어느 쪽이더라도 좋고, 고리형상으로 한 것이라도 좋다.
청구항 8의 발명에 관한 베이비슬링의 상기 유아 유지부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를 리브뜨기로 하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를 메쉬뜨기, 모양뜨기 등의 평뜨기, 필요에 따라서 스트레치 천축(天竺), 베어 평뜨기 또는 펄뜨기로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아 유지부의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은, 리브뜨기로 한 것으로, 탄성의 신장이 적은 것이면 좋다.
청구항 1의 발명의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유아 유지부가,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적은(신축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 또는 그 길이방향 및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탄성이 큰 편물지에 유아의 체중이 가해져,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에 의해서 가이드되기 때문에, 안정된 수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 유지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띠형상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어깨댐부가 형성되고, 특히, 상기 띠형상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된 탄성이 적은 편물지와 그 안쪽에 형성된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어깨댐부는, 유아의 체중이 어깨의 일부에 집중하는 일 없이 분산할 수 있어,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사람의 어깨의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아 유지부 및 상기 띠형상부 및 상기 어깨댐부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꿰매 맞춤이 빗나가 일부가 파단되거나, 신장되거나 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은 베이비슬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의 고리형상의 길이가 변화하는 일 없이, 또한, 유아 유지부로 유아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는 베이비슬링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의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유아 유지부가,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 또는 그 길이방향 및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탄성이 큰 편물지에 유아의 체중이 가해져,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에 의해서 가이드되기 때문에, 안정된 수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 유지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띠형상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어깨댐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체중이 어깨의 일부에 집중하는 일 없이 분산할 수 있어,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사람의 어깨의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아 유지부 및 상기 띠형상부 및 상기 어깨댐부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꿰매 맞춤이 빗나가 일부가 파단되거나, 신장되거나 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은 베이비슬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의 고리형상의 길이가 변화하는 일 없이, 또한, 유아 유지부로 유아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는 베이비슬링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의 베이비슬링의 상기 유아 유지부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둘로 접었을 때, 중앙이 바깥으로 볼록형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유아의 무게로 내려가기 쉽고, 상기 유아 유지부내 또는 그 근방에 중심 위치가 오고,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중심 위치가 되기 때문에, 사용하기 쉬운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보조구가 된다.
청구항 4의 발명의 베이비슬링의 상기 어깨댐부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둘로 접었을 때, 중앙이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어깨에 그 볼록형상 부분이 오면, 유아의 체중이 어깨 위로부터와 옆으로부터의 벡터력의 합성이 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걸리는 부담이 경감된다.
청구항 5의 발명의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상기 유아 유지부 및 상기 띠형상부 및 상기 어깨댐부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무봉제 니트 횡편기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은, 한 개의 실에 의해서 편성된 것이기 때문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부분적으로 실이 풀려 베이비슬링의 기능의 일부가 빠지는 일이 없다.
청구항 6의 발명의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상기 유아 유지부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와,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란, 탄성이 적은 편물지를 평뜨기로 하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를 리브뜨기로 한 것이기 때문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평뜨기와 리브뜨기라고 하는 일반적인 신뢰성이 높은 뜨기 방법이기 때문에, 품질관리상 안정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의 베이비슬링의 상기 유아 유지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를 2중으로 배치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탄성을 극력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의 둔부의 안정된 내려앉음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의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상기 유아 유지부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를 리브뜨기로 하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의 그 직각방향으로 탄성이 큰 편물지를 메쉬, 모양뜨기 등의 평뜨기, 또는, 렛치 천축, 베어 평뜨기, 펄뜨기 중의 어느 하나로 한 것이기 때문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상기 유아 유지부의 상기 길이방향만의 탄성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로 하고, 베이비슬링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특히, 상기 유아 유지부 및/또는 상기 어깨댐부는, 통기성이 있는 메쉬로 형성하면, 땀이 생기지 않는 사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고리형상이 되어 있는 베이비슬링을 2개로 접은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편성과정의 제어를 나타내는 심볼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a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b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c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d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e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f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g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 그물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11(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고리형상이 되어 있는 베이비슬링을 2개로 접은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고리형상이 되어 있는 베이비슬링을 2개로 접은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편성과정의 제어를 나타내는 심볼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a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b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c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d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e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f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부분 g의 확대 짜넣기 상태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 그물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11(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베이비슬링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고리형상이 되어 있는 베이비슬링을 2개로 접은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고리형상이 되어 있는 베이비슬링을 2개로 접은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한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시에서의 동일 기호 및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기능 부분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베이비슬링은, 유아 유지부(10) 및 띠형상부(20) 및 어깨댐부(30)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있다.
유아 유지부(10)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이 되어 있고, 그 양단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그 양단측의 폭이 순차로 좁아져 있다.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A), 예를 들면, 니트의 고무뜨기의 별칭으로 알려져 있는 리브뜨기로 하고 있는 바깥쪽부(11)를 가지고 있다. 바깥쪽부(11)의 리브뜨기는 고무뜨기, 프라이스뜨기라고도 불려, 편물지의 표면과 이면이 없고, 양면이 같은 외관이 되어, 평뜨기에 비해 가로방향의 신축성이 크고, 세로방향의 신축성이 작아진다. 이 리브뜨기의 세로방향의 신축성의 작은 쪽이,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합쳐진다. 실은, 방적사, 필라멘트사, 모노필라멘트사, 숭고사, 중공사, 피복사, 코어얀사, 복합사, 견평사, 이형 단면사, 스프리트사, 옻나무실이 사용 가능하다.
한편, 평뜨기가, 본 실시형태의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사용하고 있는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서 사용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 즉, 유아 유지부(10)의 폭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는, 메쉬, 모양뜨기 등의 천축 편물지의 안쪽부(12)이다. 안쪽부(12)의 평뜨기는, 가장 기본적인 뜨기 조직이며, 표면의 그물코에 세로방향의 줄이 보이고, 이면의 그물코는 약간 성긴 기분이 든다. 그러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유아 유지부(10) 및/또는 어깨댐부(30)는, 통기성이 있는 메쉬로 형성되어, 땀이 생기지 않는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안쪽부(12)의 평뜨기는, 메쉬, 모양뜨기 등에 의해서 특정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고 있다.
한편, 탄성이 큰 편물지(B)인 안쪽부(12)의 메쉬, 모양뜨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뜨기는, 펄뜨기로 할 수도 있다. 이 펄뜨기는, 고리형상이 길이방향 및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의 양 방향의 탄성이 큰 것이다.
띠형상부(20)는, 유아 유지부(1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것으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A), 예를 들면, 리브뜨기로 되어 있다.
또한, 어깨댐부(30)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단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그 양단측의 폭이 순차로 좁아져 있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A), 즉, 리브뜨기의 바깥쪽부(31)가 되어 있다. 또한, 띠형상부(20)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큰 폭이 되는 탄성이 적은 편물지의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 즉, 유아 유지부(10)의 폭에 방향으로 탄성이 큰 편물지(B)의 메쉬, 모양뜨기 등의 평뜨기로 안쪽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유아 유지부(10)의 폭에 방향으로 탄성이 큰 편물지(B)를 통기구멍이 있는 메쉬의 평뜨기로 형성하면, 통기성에 의해서 유아의 땀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비슬링은, 무봉제 니트 횡편기의 홀 가먼트 편기(홀 가먼트는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세이사쿠쇼의 등록상표)로 한 개의 방적사로 유아 유지부(10) 및 띠형상부(20) 및 어깨댐부(30)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전체를 짠 것이다. 홀 가먼트 편기는,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세이사쿠쇼 제조의 홀 가먼트 횡편기의 MACH2X, MACH2S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편성과정을 나타내는 바늘과 편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는, 도 2 내지 도 8 및 도 9와 같이 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편성과정의 제어를 나타내는 심볼도는, 제 1 편성과정은 표면 평뜨기를 나타내고, 제 2 편성과정은 이면 평뜨기를 나타내고, 제 3 편성과정은 표면 평뜨기의 후, 바늘에 걸고 있는 위치를 1피치 왼쪽 정렬을 나타내고, 제 4 편성과정은 표면 평뜨기의 후, 바늘에 걸고 있는 위치를 1피치 오른쪽 정렬을 나타내고, 제 5 편성과정은 이면 평뜨기의 후, 바늘에 걸고 있는 위치를 1피치 왼쪽 정렬을 나타내고, 제 6 편성과정은 이면 평뜨기의 후, 바늘에 걸고 있는 위치를 1 피치 오른쪽 정렬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a에 의한 편성 코스도이고, 바깥쪽부(31)의 탄성이 적은 편물지(A)는 리브뜨기이고, 안쪽부(32)의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평뜨기이다. 도시의 이면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부분 b에 의한 편성 코스도이고, 바깥쪽부(31)의 탄성이 적은 편물지(A)는 리브뜨기이고, 안쪽부(32)의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평뜨기이다. 안쪽부(32)의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평뜨기로부터, 도 1에 도시하는 띠형상부(20)에 나타내는 리브뜨기로 연속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1의 부분 c에 의한 편성 코스도이고, 바깥쪽부(31)의 탄성이 적은 편물지(A)는 리브뜨기로 편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1의 부분 d에 의한 편성 코스도이고, 바깥쪽부(11)의 탄성이 적은 편물지(A)는 리브뜨기이고, 안쪽부(12)의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평뜨기이다. 안쪽부(12)의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평뜨기이고, 도 1에 도시하는 띠형상부(20)에 나타내는 리브뜨기로부터 연속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1의 부분 e에 의한 편성 코스도이고, 바깥쪽부(11)의 탄성이 적은 편물지(A)는 리브뜨기이고, 안쪽부(12)의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평뜨기이다. 또한, 바깥쪽부(11)의 바깥쪽은 부가부(13)이고, 탄성이 적은 편물지(C)이고, 바깥쪽부(11)와 같은 리브뜨기이고, 연속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한편, 바깥쪽부(11)의 바깥쪽의 부가부(13)는, 표면과 이면의 편물지를 변화시켜 말려 들어가기 쉬운 뜨기 방법으로 한 것으로, 유아가 발을 뻗었을 때에, 부분적으로 바깥쪽부(11)가 다리에 먹혀들기 어렵게 한 것이다.
도 8은 도 1의 부분 f에 의한 편성 코스도이고, 바깥쪽부(11) 및 부가부(13)의 탄성이 적은 편물지(A)는 리브뜨기이고, 안쪽부(12)의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평뜨기이다.안쪽부(12)의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평뜨기로부터, 도 1에 도시하는 띠형상부(20)에 나타내는 리브뜨기로 연속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또한, 바깥쪽부 (11)의 바깥쪽은 부가부(13)이고, 탄성이 적은 편물지(C)이고, 바깥쪽부(11)와 같이 리브뜨기이고, 연속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도 9는 도 1의 부분 g에 의한 편성 코스 그물코 도면(사진)으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서, 바깥쪽부(11)의 탄성이 적은 편물지(A)는 리브뜨기이고, 안쪽부(12)의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평뜨기이다. 안쪽부(12)의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평뜨기로부터, 도 1에 도시하는 띠형상부(20)에 나타내는 리브뜨기로 연속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베이비슬링은, 도 1의 하단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W)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A)인 바깥쪽부(11)로 이루어지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인 안쪽부(12)로 이루어지는 유아 유지부(10)와, 유아 유지부(10)의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 이루어지는 띠형상부(20)와, 띠형상부(20)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큰 폭이 되는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 이루어지는 어깨댐부(30)를 구비하고, 유아 유지부(10) 및 띠형상부 (20) 및 어깨댐부(30)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W)이란, 폭의 넓이를 설명하는 것으로, 폭이 넓은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거리를 묻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은, 유아 유지부(1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한 경우의 기준이며, 본 실시형태의 베이비슬링은 고리형상이고, 도형적으로는, 그 주위에 중앙부분은 없다. 즉,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은, 유아 유지부(10)의 중심 위치를 특정하는 전제 조건하의 형태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측과 이면측이 동일하게 되는 형태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띠형상부(20)가 반드시 동일한 길이일 필요가 없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유아 유지부(10)가, 고리형상의 길이방향(둘레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W)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 이루어지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탄성이 큰 편물지(B)에 유아의 체중이 가해져,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A)에 의해서 가이드되기 때문에, 안정된 수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유아 유지부(10)의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띠형상부(20)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어깨댐부(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체중이 어깨의 일부에 집중하는 일 없이 분산할 수 있어,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사람의 어깨의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아 유지부(10) 및 띠형상부(20) 및 어깨댐부(30)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꿰매 맞춤이 빗나가 일부가 파단되거나, 신장되거나 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은 베이비슬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의 고리형상의 길이가 변화하는 일 없이, 또한, 유아 유지부 (10)로 유아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는 베이비슬링으로 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아 유지부(10)는, 도 1의 하단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W)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그물코 수를 줄여 폭을 좁게 하고,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A)인 바깥쪽부(11), 및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설정한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A)인 바깥쪽부(11)의 바깥쪽에, 또한, 순차로 그물코 수를 세서 폭을 넓게 하고, 한편, 반대로 폭을 좁게 해서 이루어지는 탄성이 적은 편물지(C)인 부가부(13)로 이루어지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인 안쪽부(1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게다가, 부가부(13)는 평뜨기이고, 유아 유지부(10)의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으로 말려 들어가도록 짜여져 있기 때문에, 바깥쪽부(11) 및 부가부(13)가 굵어져, 유아가 베이비슬링으로부터 발을 뻗는 것과 같은 도 11(a)에 도시하는 안는 방법에 있어서도, 유아의 다리에 바깥쪽부 (11) 및 부가부(13)가 먹혀드는 일이 없어져, 유아의 부담이 경감한다.
여기서, 유아 유지부(10)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둘로 접었을 때,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무게로 내려가기 쉽고, 또한, 유아 유지부(10)내 또는 그 근방에 중심 위치가 오고, 안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중심 위치가 되기 때문에, 도 11(a)에 도시하는 안는 방법에 있어서도, 사용하기 쉬운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보조구가 된다.
특히, 도 11(b)에 도시하는 안는 방법에 있어서는, 중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무게로 내려가기 쉽고, 유아 유지부(10)내에 중심 위치가 와서, 그 중심 위치로부터 안정된 안는 기분이 된다.
특히, 바깥쪽부(11) 및 바깥쪽부(31)는, 균일폭으로 유아 유지부(10) 및 어깨댐부(30)의 가장자리가 둘러져 있기 때문에, 바깥쪽부(11) 및 바깥쪽부(31)의 신축은 매우 적고, 유아 유지부(10) 및 어깨댐부(30)의 안쪽부(12) 및 안쪽부(32)가 신축 자유롭기 때문에, 하중에 대응한 구성이 되어, 볼품의 향상 및 기능미가 표상 (表象)된다.
예를 들면, 어깨댐부(3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둘로 접었을 때, 중앙이 위에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1(a)과 같이, 어깨에 그 볼록형상 부분이 오면, 유아의 체중이 어깨 위로부터와 옆으로부터의 벡터의 분력이 되므로, 특히, 어깨결림의 발생하기 쉬운 사람이라도 어깨결림이 생기지 않는 사용이 된다. 또한, 목부분에 가까운 곳에서 하중을 부담하지 않기 때문에, 피로를 경감할 수 있는 등의 사용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어깨댐부(30)가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 이루어지는 바깥쪽부(31) 및 탄성이 큰 편물지(B)로 이루어지는 안쪽부 (32)로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유아를 베이비슬링을 사용하여 안는 사람(어른)의 어깨 폭은, 대략 정해져 있는 것 및 의류의 어깨패드가 있어도, 그만큼 요철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탄성이 큰 편물지(B)의 안쪽부(32)를 바깥쪽부(31)와 같은 어깨댐부(30)로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의 1분의 폭을 넓게 한 어깨댐부(30) 또는, 도시를 생략하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의 폭을 띠형상부(20)와 동일 또는 약간 폭을 넓게 한 어깨댐부(30)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2는, 실시형태 2에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의 일부의 폭을 넓게 한 어깨댐부(30)로 한 것이다. 띠형상부(20)의 폭보다 10~30%만큼 폭을 넓게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베이비슬링을 사용하여 유아를 안는 사람의 어깨에 가해지는 부담을 분담하여, 경감할 수 있다. 특히, 도 12의 실시형태 2에서는, 띠형상부(20)와 동일한 리브뜨기의 연장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의 베이비슬링에서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의 일부의 폭을, 띠형상부(20)의 폭보다 10~30%만큼 폭을 넓게 한 것이지만, 유아의 체중이 10Kg 정도이기 때문에, 각별히, 띠형상부(20)의 폭을 넓게 하지 않고, 또는 띠형상부(20)와 동일한 폭의 어깨댐부(30)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바깥쪽부 (11)의 바깥쪽은 부가부(13)이고, 탄성이 적은 편물지(C)이며, 바깥쪽부(11)와 같이 신축하지 않게 한 평뜨기이고, 연속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한편, 부가부(13)의 평뜨기는, 메쉬, 모양뜨기 등을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평뜨기가 말려들어가는 성질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즉, 실시형태 2의 베이비슬링에서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W)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 이루어지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로 이루어지는 유아 유지부(10)와, 유아 유지부(1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 이루어지는 띠형상부(20) 및 어깨댐부(30)를 구비하고, 유아 유지부(10) 및 띠형상부(20) 및 어깨댐부(30)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 2의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유아 유지부(10)가,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W)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 이루어지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탄성이 큰 편물지(B)에 유아의 체중이 가해져,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A)에 의해서 가이드되기 때문에, 안정된 수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유아 유지부(1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띠형상부(20)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체중이 어깨의 일부에 집중하지 않는 듯한 띠형상부(20)의 폭으로 하면, 어깨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할 수 있어,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사람의 어깨의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아 유지부(10) 및 띠형상부(20) 및 어깨댐부(30)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꿰매 맞춤이 빗나가 일부가 파단되거나, 신장되거나 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은 베이비슬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의 고리형상의 길이가 변화하는 일 없이, 또한, 유아 유지부(10)로 유아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는 베이비슬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아 유지부(10) 및 띠형상부(20) 및 어깨댐부(30)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은, 단일의 실에 의해서 무봉제 니트 횡편기로 편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유아 유지부(10) 및 띠형상부(20) 및 어깨댐부(30)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무봉제 니트 횡편기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은, 단일의 실에 의해서 편성된 것이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실이 풀려 베이비슬링의 기능의 일부가 빠지는 일이 없다.
유아 유지부(10)의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A)와,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탄성이 적은 편물지(A)를 리브뜨기로 하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B)를 평뜨기로 한 것이다.
따라서, 유아 유지부(10)의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A)와,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탄성이 적은 편물지(A)를 리브뜨기로 하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B)를 평뜨기로 한 것이기 때문에, 탄성이 적은 편물지(A)를 리브뜨기로 하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B)를 평뜨기로 한 것이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뜨기 방법이기 때문에, 품질관리상 안정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유아 유지부(10)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A)를 2중으로 배치 형성한 것으로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탄성을 극력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의 둔부의 안정된 내려앉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아 유지부(10)의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 (A)를 리브뜨기로 하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B)를 스트레치 천축 및 베어 평뜨기 및/또는 펄뜨기로 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유아 유지부(10)의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A)를 리브뜨기로 하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를 스트레치 천축 및 베어 평뜨기 및/또는 펄뜨기로 한 것이기 때문에, 유아 유지부(10)의 고리형상의 길이방향만의 탄성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B)로 할 수 있어, 베이비슬링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도 1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유아 유지부(10)의 구성을 바깥쪽부(11)의 안쪽에 안쪽부(12)를 설치하고, 바깥쪽부(11)의 바깥쪽에 부가부(13)를 설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바깥쪽부(11)의 안쪽에 안쪽부(12)를 설치하고, 바깥쪽부(11)의 안쪽에서 안쪽부(12)의 바깥쪽에 부가부 (13)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바깥쪽부(11)와 바깥쪽부(31)는, 겹침뜨기를 해도 좋다.
물론, 바깥쪽부(11)의 바깥쪽의 부가부(13)나 바깥쪽부(11)에 겹침뜨기로 해도 좋고, 바깥쪽부(11) 및 부가부(13)를 안쪽부(12)에 겹침뜨기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바깥쪽부(31)는, 리브뜨기로 하고 자신에게 말려들어가는 형태를 채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부가부(13)만을 고리형상(중공 끈형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또한, 바깥쪽부(11) 및 부가부(13)를 일체로 한 통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1의 실시형태의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바깥쪽부(11)로부터 바깥쪽부(31)에 이르는 양측을 고리형상으로 해도 좋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깥쪽부(11) 및 부가부(13)를 띠형상부(20)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바깥쪽부(11) 및 부가부(13) 및 띠형상부(20)의 양측을 이중으로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유아 유지부(10)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A) 또는 탄성이 적은 편물지(C)는, 리브뜨기에서도, 스트레치 천축 및/또는 베어 평뜨기로 할 수 있다.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B)를 스트레치 천축 및 베어 평뜨기 및/또는 펄뜨기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3은, 실시형태 3으로, 어깨댐부(3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둘로 접었을 때, 중앙이 위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1(a)와 같이, 어깨에 그 만곡한 볼록형상 부분, 정확하게는, 어깨가 볼록하기 때문에 안쪽의 오목부분이 오면, 유아의 체중이 어깨 위로부터와 옆으로부터의 벡터의 분력이 되므로, 특히, 어깨결림의 발생하기 쉬운 사람이라도 어깨결림이 생기기 어려운 사용이 된다. 또한, 목부분에 가까운 곳에서 하중을 부담하지 않기 때문에, 피로를 경감할 수 있는 등의 사용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것에 의해서 베이비슬링을 사용하여 유아를 안는 사람의 어깨에 가해지는 부담을 분담하여, 경감할 수 있다. 특히, 도 13의 실시형태 3에서는, 띠형상부(20)와 동일한 평뜨기의 연장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의 베이비슬링에서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 (W)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 이루어지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로 이루어지는 유아 유지부(10)와, 유아 유지부(1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 이루어지는 띠형상부(20) 및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X)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 이루어지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로 이루어지는 어깨댐부(30)를 구비하고, 유아 유지부(10) 및 띠형상부(20) 및 어깨댐부(30)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 3의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유아 유지부(10)가,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W)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 이루어지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탄성이 큰 편물지(B)에 유아의 체중이 가해져,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A)에 의해서 가이드되기 때문에, 안정된 수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어깨댐부(30)가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이 최대폭(X)이고, 그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적은 편물지(A)로 이루어지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어깨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할 수 있어, 유아를 감싸서 지지하는 사람의 어깨의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아 유지부(10) 및 띠형상부 (20) 및 어깨댐부(30)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꿰매 맞춤이 빗나가 일부가 파단되거나, 신장되거나 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성이 높은 베이비슬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의 고리형상의 길이가 변화하는 일 없이, 또한, 유아 유지부(10)로 유아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는 베이비슬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아 유지부(10) 및 띠형상부(20) 및 어깨댐부(30)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은, 단일의 실에 의해서 무봉제 니트 횡편기로 편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 베이비슬링에 있어서는, 유아 유지부(10) 및 띠형상부(20) 및 어깨댐부(30)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무봉제 니트 횡편기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은, 단일의 실에 의해서 편성된 것이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실이 풀려 베이비슬링의 기능의 일부가 빠지는 일이 없다.
유아 유지부(10)의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A)와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B)란, 탄성이 적은 편물지(A)를 리브뜨기로 하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B)를 평뜨기로 한 것이다.
따라서, 유아 유지부(10)의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A)와,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B)는, 탄성이 적은 편물지(A)를 리브뜨기로 하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B)를 평뜨기로 한 것이기 때문에, 탄성이 적은 편물지(A)를 리브뜨기로 하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B)를 평뜨기로 한 것이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뜨기 방법이기 때문에, 품질관리상 안정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유아 유지부(10)는,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A)를 1겹으로 배치 형성하고, 그 기계적 강도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탄성을 극력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의 둔부의 안정된 내려앉음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아 유지부(10)의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A)를 리브뜨기로 하고,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탄성이 큰 편물지(B)를 스트레치 천축 및 베어 평뜨기 및/또는 펄뜨기로 할 수 있다.
10 : 유아 유지부
11 : 바깥쪽부
12 : 안쪽부
13 : 부가부
20 : 띠형상부
30 : 어깨댐부
31 : 바깥쪽부
32 : 안쪽부
A : 탄성이 적은 편물지
B : 탄성이 큰 편물지
C : 탄성이 적은 편물지
W : 최대폭
11 : 바깥쪽부
12 : 안쪽부
13 : 부가부
20 : 띠형상부
30 : 어깨댐부
31 : 바깥쪽부
32 : 안쪽부
A : 탄성이 적은 편물지
B : 탄성이 큰 편물지
C : 탄성이 적은 편물지
W : 최대폭
Claims (8)
- 유아의 신체를 받는 유아 유지부 및 상기 유아의 체중을 안는 사람의 어깨에 전하는 어깨댐부 및 상기 유아 유지부에 가해진 유아의 체중을 상기 어깨댐부에 전하는 띠형상부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베이비슬링에 있어서,
상기 유아 유지부는, 고리형상의 둘레방향의 중앙부분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각방향의 폭이 최대폭이고, 그 길이방향의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바깥쪽부이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안쪽부이며, 또한, 상기 바깥쪽부의 바깥쪽의 부분 또는 상기 바깥쪽부와 상기 안쪽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진 부가부이고;
상기 띠형상부는, 상기 유아 유지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깨댐부는, 상기 띠형상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된 탄성이 적은 편물지와 그 안쪽에 형성된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슬링. - 유아의 신체를 받는 유아 유지부 및 상기 유아의 체중을 안는 사람의 어깨에 전하는 어깨댐부 및 상기 유아의 체중을 어깨댐부에 전하는 띠형상부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베이비슬링에 있어서,
상기 유아 유지부는, 고리형상의 둘레방향의 중앙부분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각방향의 폭이 최대폭이고, 그 길이방향의 양단측이 순차로 폭이 좁아지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그 길이방향에 대해서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바깥쪽부이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안쪽부이며, 또한, 상기 바깥쪽부의 바깥쪽의 부분 또는 상기 바깥쪽부와 상기 안쪽부와의 사이의 부분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진 부가부이고;
상기 띠형상부는, 상기 유아 유지부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깨댐부는, 상기 띠형상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된 탄성이 적은 편물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슬링.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 유지부는, 베이비슬링의 전체를 상기 어깨댐부와 상기 유아 유지부를 2분하는 양 위치에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둘로 접었을 때, 중앙이 바깥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슬링.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댐부는, 베이비슬링의 전체를 상기 어깨댐부와 상기 유아 유지부를 2분하는 양 위치에서, 고리형상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둘로 접었을 때, 중앙이 바깥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슬링.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 유지부 및 상기 띠형상부 및 상기 어깨댐부가 일체로 고리형상으로 짜여져 이루어지는 것은, 한 개의 실에 의해서 무봉제 니트 횡편기로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슬링.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 유지부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와,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이 적어도 그 길이방향에 직각인 폭방향에 대한 탄성이 큰 편물지는, 탄성이 적은 편물지를 리브뜨기로 하고, 상기 탄성이 큰 편물지를 메쉬 또는 모양을 형성한 평뜨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슬링.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 유지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를 2중으로 배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슬링.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 유지부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이 탄성이 적은 편물지는 리브뜨기로 하고, 상기 길이방향의 중앙측의 탄성이 큰 편물지를 메쉬 또는 모양을 형성한 평뜨기, 스트레치 평뜨기, 베어 평뜨기, 펄뜨기 중의 어느 하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슬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063764A JP5583441B2 (ja) | 2010-03-19 | 2010-03-19 | ベビースリング |
JPJP-P-2010-063764 | 2010-03-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5690A KR20110105690A (ko) | 2011-09-27 |
KR101199075B1 true KR101199075B1 (ko) | 2012-11-07 |
Family
ID=4345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4493A KR101199075B1 (ko) | 2010-03-19 | 2010-05-12 | 베이비슬링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226822A1 (ko) |
EP (1) | EP2366312B1 (ko) |
JP (1) | JP5583441B2 (ko) |
KR (1) | KR101199075B1 (ko) |
CN (2) | CN102188126A (ko) |
ES (1) | ES2408165T3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544U (ko) | 2018-09-03 | 2020-03-11 | 함미희 | 신생아용 슬링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23028B1 (en) | 2012-08-27 | 2013-09-03 | Anthony Young | Body worn child carrier |
US8418897B1 (en) | 2012-08-27 | 2013-04-16 | Anthony Young | Body worn child carrier |
US9259100B2 (en) * | 2012-09-20 | 2016-02-16 | Creative Nuances Ltd. | Multifunction childcar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US9289076B2 (en) * | 2013-02-12 | 2016-03-22 | Hayley Mullins | Baby support |
SG11201609617XA (en) * | 2013-02-12 | 2016-12-29 | Hayley Mullins | Baby support |
US20140283277A1 (en) * | 2013-03-22 | 2014-09-25 | Mariela WILHELM | Medical wrap for neonatal kangaroo care |
JP2015047248A (ja) * | 2013-08-30 | 2015-03-16 |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 ベビースリング |
EP3212043A4 (en) | 2014-10-29 | 2018-04-18 | Brandner, Theresa | Wearable child carriers and methods of use |
CN204245635U (zh) * | 2014-11-03 | 2015-04-08 | 杭州兆世进出口有限公司 | 一种吊篮椅 |
US20160331151A1 (en) * | 2015-05-11 | 2016-11-17 | Dawn Miller-Hanna | Infant Support Wrap |
US9681758B2 (en) | 2015-08-19 | 2017-06-20 | Michelle Lau | Dual strap sling carrier with support sleeve |
WO2019113392A1 (en) * | 2017-12-06 | 2019-06-13 | Ennovate Products, Llc | Nursing sling pillow |
EP3552523B1 (de) * | 2018-04-13 | 2020-08-05 | Limas GmbH | Tragetuchvorrichtung für babys oder kleinkinder |
EP3952812A2 (en) * | 2019-04-11 | 2022-02-16 | Chlewinska, Izabela | Sensory object |
AT523237B1 (de) | 2019-12-12 | 2021-08-15 | Unger Andrea | Tragetuch für Säuglinge, Kleinkinder oder dergleich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529732A (ja) * | 2001-05-25 | 2004-09-30 | カミングス,クイン・エル | 幼児を運ぶための装置 |
JP2006081598A (ja) * | 2004-09-14 | 2006-03-30 | Chiyoko Kugimura | 環状帯 |
JP2007075238A (ja) * | 2005-09-13 | 2007-03-29 | Lucky Kogyo Kk | ベビースリング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21865Y1 (ko) * | 1969-11-21 | 1976-06-07 | ||
JPS5010112Y1 (ko) * | 1970-02-05 | 1975-03-29 | ||
JPS592258U (ja) * | 1982-06-29 | 1984-01-09 | 株式会社清水商店 | ベビ−・キ−パ− |
USD306655S (en) * | 1986-03-06 | 1990-03-20 | Tonga | Carrier for a baby |
FR2662339B3 (fr) * | 1990-05-22 | 1992-09-04 | Schlegel Arlette | Porte-charge en particulier porte-bebe. |
US6065655A (en) * | 1994-03-24 | 2000-05-23 | Parewick; Kathleen | Combination baby carrier and seat harness apparatus |
US5857598A (en) * | 1996-08-22 | 1999-01-12 | Noel Joanna, Inc. | Baby sling with improved retainer |
NL1006025C1 (nl) * | 1997-05-12 | 1997-06-04 | Maria Elisabeth Everarda Looma | Draagmethode voor baby's bestaande uit twee kokerbanden van interlock tricot die in kombinatie gebruikt worden. |
US6343727B1 (en) * | 2000-06-21 | 2002-02-05 | Jamie S. Leach | One piece baby carrier |
JP2005329200A (ja) * | 2004-05-18 | 2005-12-02 | Kaori Nakagawa | 乳幼児用襷がけ抱っこ紐 |
TWM277284U (en) * | 2005-04-15 | 2005-10-11 | Mamaway Inc | Foldable carryon back-carrying towel for baby |
EP1908867B1 (en) * | 2005-06-01 | 2014-09-24 | Shima Seiki Mfg., Ltd | Method of knitting knitwear having an open part in a tubular body part |
JP2008220669A (ja) * | 2007-03-13 | 2008-09-25 | Combi Corp | 子守帯 |
JP3133312U (ja) * | 2007-04-26 | 2007-07-05 | ティーバス株式会社 | 乳幼児用スリング |
GB2453153A (en) * | 2007-09-27 | 2009-04-01 | Ann Louise Day | A baby sling with an elastic or stretchy panel |
-
2010
- 2010-03-19 JP JP2010063764A patent/JP558344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5-12 CN CN2010101787675A patent/CN102188126A/zh active Pending
- 2010-05-12 KR KR1020100044493A patent/KR10119907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5-12 CN CN2010201947631U patent/CN201709899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7-23 US US12/842,613 patent/US2011022682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
- 2011-02-03 ES ES11153143T patent/ES2408165T3/es active Active
- 2011-02-03 EP EP11153143.0A patent/EP2366312B1/en not_active Not-in-forc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529732A (ja) * | 2001-05-25 | 2004-09-30 | カミングス,クイン・エル | 幼児を運ぶための装置 |
JP2006081598A (ja) * | 2004-09-14 | 2006-03-30 | Chiyoko Kugimura | 環状帯 |
JP2007075238A (ja) * | 2005-09-13 | 2007-03-29 | Lucky Kogyo Kk | ベビースリン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544U (ko) | 2018-09-03 | 2020-03-11 | 함미희 | 신생아용 슬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1194019A (ja) | 2011-10-06 |
JP5583441B2 (ja) | 2014-09-03 |
ES2408165T3 (es) | 2013-06-18 |
EP2366312B1 (en) | 2013-04-17 |
EP2366312A1 (en) | 2011-09-21 |
CN102188126A (zh) | 2011-09-21 |
US20110226822A1 (en) | 2011-09-22 |
KR20110105690A (ko) | 2011-09-27 |
CN201709899U (zh) | 2011-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9075B1 (ko) | 베이비슬링 | |
TWI479059B (zh) | 具有多向係數均值之布料及其製成之衣服 | |
US9402758B2 (en) | Supporter | |
JP2014148780A (ja) | 腹部を覆う衣類 | |
TWI375527B (ko) | ||
CN109788809B (zh) | 下衣 | |
CN108570756B (zh) | 使用横编织结构形成整体编织物品的方法 | |
JP2016211086A (ja) | 両面緯編物 | |
TW200932136A (en) | A warp-knitted pant having U-shaped crotch | |
JP4299624B2 (ja) | 端末編組織および該端末編組織を備えた衣類 | |
TWM474494U (zh) | 藉由不同編織張力而具不同曲度及彈性伸縮力之束腰 | |
CN107613799A (zh) | 特别适用于水上活动的衣物 | |
JP6462455B2 (ja) | 運動用衣服 | |
JP4722637B2 (ja) | ベビースリング | |
JP2015047248A (ja) | ベビースリング | |
JP2013019074A (ja) | 経編生地の製造方法及び経編生地 | |
JP2013011034A (ja) | 形状追従性経編地 | |
WO2020054832A1 (ja) | サポーター | |
JP2012040223A (ja) | ベビースリング | |
JP2007332480A (ja) | 下衣 | |
JP6313980B2 (ja) | 衣服用帯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衣服 | |
JP2009242988A (ja) | 衣類 | |
CN217242774U (zh) | 一种高弹性针织衫 | |
CN217337469U (zh) | 裤子 | |
JP2018188765A (ja) | 上半身用衣類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