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98786B1 - 가변 압축비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압축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786B1
KR101198786B1 KR1020100063135A KR20100063135A KR101198786B1 KR 101198786 B1 KR101198786 B1 KR 101198786B1 KR 1020100063135 A KR1020100063135 A KR 1020100063135A KR 20100063135 A KR20100063135 A KR 20100063135A KR 101198786 B1 KR101198786 B1 KR 101198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eccentric
compression ratio
rotatably connected
eccentric bea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316A (ko
Inventor
양재춘
류연화
이은호
공진국
우수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786B1/ko
Priority to US12/946,234 priority patent/US8397684B2/en
Priority to DE102010060783A priority patent/DE102010060783A1/de
Publication of KR20120002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78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4Engines with variable distances between pistons at top dead-centre positions and cylinder heads
    • F02B75/048Engines with variable distances between pistons at top dead-centre positions and cylinder heads by means of a variable crank stroke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는 혼합기의 연소력을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받아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엔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기의 압축비를 변경하는 것으로, 일단에 장착홈이 형성되어 피스톤 핀을 통하여 상기 피스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 양 단을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장착홈에 동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핀이 상기 일단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편심 베어링 링크; 양단과 중간부를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링크; 양단을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제어 링크의 타단 또는 중간부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요동 링크; 양 단을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제어 링크의 타단 또는 중간부 중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요동 링크; 그리고 상기 제1요동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편심 캠 및 상기 제2요동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편심 캠에 각각 편심되게 연결되며, 제1,2편심 캠과 함께 회전하는 제어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압축비 장치{VARIABLE COMPRESSION RATIO APPARATUS}
본 발명은 가변 압축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실 내의 혼합기의 압축비를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가변시키는 가변 압축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기관의 열효율은 압축비가 높으면 증가되며, 스파크 점화기관의 경우 일정 수준까지 점화시기를 진각하면 열효율이 증가된다. 그러나, 스파크 점화기관은 높은 압축비에서 점화시기를 진각하면 이상 연소가 발생하여, 엔진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점화시기 진각에 한계가 있고, 이에 의해 출력 저하를 감수해야 한다.
가변 압축비(variable compression ratio; VCR) 장치는 혼합기의 압축비를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가변 압축비 장치에 따르면, 엔진의 저부하 운전 상태(low load condition)에서는 혼합기의 압축비를 높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엔진의 고부하 운전 상태(high load condition)에서는 혼합기의 압축비를 낮추어 녹킹의 발생을 방지하고 엔진 출력을 향상시킨다.
종래의 가변 압축비 장치는 피스톤과 크랭크샤프트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압축비의 변화를 구현하였다. 이러한 타입의 가변 압축비 장치는 피스톤과 크랭크샤프트를 연결하는 부분이 여러 개의 링크들로 구성되어 있어 연소압이 상기 링크들에 직접 전달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링크들의 내구성이 취약해졌다.
종래의 가변 압축비 장치에 대한 다양한 실험 결과, 편심 베어링을 이용하여 크랭크 핀과 피스톤 핀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작동 신뢰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런데, 편심 베어링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유압을 이용하면 각 실린더마다 편심 베어링의 회전량 및 유압 유출량이 다르므로 각 실린더마다 압축비가 일정하지 못하고, 엔진 작동 조건에 따라 압축비가 변화되는 시간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커넥팅 로드에 편심 베어링을 장착하고 편심 베어링을 링크 부재들을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혼합기의 압축비를 변화시키는 가변 압축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넥팅 로드와 상기 링크 부재들을 기구학적으로 분리하여 링크 부재들에 전달되는 혼합기의 연소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가변 압축비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는 혼합기의 연소력을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받아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엔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기의 압축비를 변경하는 것으로, 일단에 장착홈이 형성되어 피스톤 핀을 통하여 상기 피스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 양 단을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장착홈에 동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핀이 상기 일단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편심 베어링 링크; 양단과 중간부를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링크; 양단을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제어 링크의 타단 또는 중간부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요동 링크; 양 단을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제어 링크의 타단 또는 중간부 중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요동 링크; 그리고 상기 제1요동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편심 캠 및 상기 제2요동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편심 캠에 각각 편심되게 연결되며, 제1,2편심 캠과 함께 회전하는 제어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의 일단에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편심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핀은 상기 편심 베어링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2편심 캠은 상기 제어축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편심 캠은 상기 제어축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될 수 있다.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는 제1,2편심 베어링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링크의 일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갈라져 제1,2가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1,2편심 베어링 링크의 타단은 각각 상기 제1,2가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가지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딩 홈은 상기 커넥팅 로드의 움직임과 상기 제어 링크의 움직임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편심 베어링은 제1,2편심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2편심 베어링은 각각 상기 제1,2편심 베어링 링크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2편심 베어링은 상기 장착홈에 서로 반대 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는 혼합기의 연소력을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받아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엔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기의 압축비를 변경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과 상기 크랭크샤프트를 연결하여 혼합기의 연소력을 크랭크샤프트에 전달하며, 상기 피스톤과 피스톤 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라 회전하는 제어축; 상기 제어축에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요동 링크; 상기 제1,2요동 링크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어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제어 링크; 그리고 일단이 상기 제어 링크에 연결되어 제어 링크의 수평 방향 움직임에 따라 회전 운동을 하는 편심 베어링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의 타단에는 편심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편심 베어링은 상기 커넥팅 로드에 형성된 장착홈에 동심으로 장착되어 회전하고, 상기 피스톤 핀은 상기 편심 베어링에 편심되게 삽입되어 상기 커넥팅 로드와 상기 피스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축에는 상기 제1,2요동 링크와 각각 편심되게 연결하는 제1,2편심 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편심 캠은 상기 제어축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커넥팅 로드와 유사한 커넥팅 로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엔진의 구조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서도 가변 압축비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혼합기의 연소력이 커넥팅 로드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링크 부재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넥팅 로드의 움직임과 제어 링크의 움직임 사이의 간섭이 가이드 홈에 의하여 방지되므로, 제어 링크의 좌우 움직임을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축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여도 저압축비와 고압축비가 번갈아 나타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가 고압축비에서 작동하는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가 저압축비에서 작동하는 경우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1)는 혼합기의 연소력을 피스톤(10)으로부터 전달 받아 크랭크샤프트(30)를 회전시키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며, 상기 혼합비를 변경한다.
상기 피스톤(10)은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내에서 상하 운동을 하며 상기 피스톤(10)과 실린더 사이에는 연소실이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샤프트(30)는 상기 피스톤(10)으로부터 연소력을 전달 받고 이 연소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변속기(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한다. 상기 크랭크샤프트(30)는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크랭크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변 압축비 장치(1)는 커넥팅 로드(20), 편심 베어링 링크(80, 82), 제어 링크(60), 제1요동 링크(50), 제2요동 링크(52), 그리고 제어축(40)을 포함한다.
커넥팅 로드(20)는 피스톤(10)으로부터 연소력을 전달 받아 이 연소력을 크랭크샤프트(30)에 전달하는 것으로, 종래의 커넥팅 로드와 유사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커넥팅 로드(20)의 일단은 상기 피스톤(10)에 피스톤 핀(1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커넥팅 로드(20)의 타단은 상기 크랭크샤프트(30)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커넥팅 로드(20)의 일단에는 상기 피스톤 핀(12)이 관통하는 장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커넥팅 로드와 유사한 커넥팅 로드(20)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엔진의 구조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서도 가변 압축비 장치(1)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혼합기의 연소력이 커넥팅 로드(2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링크 부재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쌍의 편심 베어링 링크(80, 82)는 각각 양단을 포함하며, 한 쌍의 편심 베어링 링크(80, 82)의 일단은 상기 커넥팅 로드(2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편심 베어링 링크(80, 82)의 일단에는 편심 베어링(84, 8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 베어링(84, 86)은 상기 커넥팅 로드(20)의 양 측면으로부터 상기 장착홈(22)에 동심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편심 베어링(84, 86)에는 상기 피스톤 핀(12)이 편심되게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10)과 상기 커넥팅 로드(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즉, 상기 편심 베어링(84, 86)의 중심축(Y)(장착홈(22)의 중심축과 동일함)은 상기 피스톤 핀(12)의 중심축(X)과 평행하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편심 베어링(84, 86)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장착홈(22)의 중심에 대한 피스톤 핀(12)의 중심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게 되고, 그것에 의하여 크랭크 핀(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피스톤 핀(12)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혼합기의 압축비가 변경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편심 베어링(84, 86)이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80, 82)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편심 베어링 링크(80, 82)와 편심 베어링(84, 84)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여도 된다.
제어 링크(60)는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80, 82)를 밀거나 당겨 편심 베어링(84, 86)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제어 링크(60)는 양단과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링크(60)의 일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갈라져 제1,2가지(62, 64)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2가지(62, 64)가 제어 링크(60)의 중간부에서 서로 만나 도면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또한, 상기 제1,2가지(62, 64)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74)이 형성되어 커넥팅 로드(20)가 이 가이드 홈(74)을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홈(74)은 상기 커넥팅 로드(20)의 움직임과 상기 제어 링크(60)의 움직임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또한, 커넥팅 로드(20)의 움직임과 제어 링크(60)의 움직임 사이의 간섭이 방지되므로, 제어 링크(60)의 좌우 움직임을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축(40)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여도 저압축비와 고압축비가 번갈아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링크(60)의 타단, 중간부 및 제1,2가지(62, 64)에는 각각 제1,2요동 링크(50, 52) 및 한 쌍의 편심 베어링 링크(80, 82)가 연결되기 위한 제1,2,3,4연결점((66, 68, 70, 72)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가지(62)의 일단에는 제3연결점(70)이 위치하여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8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가지(64)의 일단에는 제4연결점(72)이 위치하여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82)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2요동 링크(50, 52)는 상기 제어 링크(60)를 도면에서 좌우로 움직이도록 제어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제1요동 링크(50)의 일단은 상기 제2연결점(68)에서 제어 링크(60)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요동 링크(52)의 일단은 상기 제1연결점(66)에서 제어 링크(6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축(40)은 제1,2편심 캠(42, 44)을 포함한다. 제1,2편심 캠(42, 44)은 상기 제어축(40)에 각각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축(40)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제1,2편심 캠(42, 44)은 제어축(40)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다. 제1편심 캠(42)에는 제1요동 링크(5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편심 캠(44)에는 제2요동 링크(52)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2편심 캠(42, 44)이 제어축(40)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2요동 링크(50, 52)는 상기 제어 링크(60)의 상하 움직임은 최소화하고 좌우 움직임을 최대화한다. 만일 제어 링크(60)의 상하 움직임이 크면 제어 링크(60)는 크랭크샤프트(30)와 실린더라이너와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링크(60)의 상하 움직임을 최소화함으로써 설치의 자유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1)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엔진의 작동 상태에 따라 혼합기의 압축비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어부는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축(40)을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한 쌍의 편심 베어링 링크를 사용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하나의 편심 베어링 링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링크(60)의 일단부가 갈라지지 않으며, 제어 링크(60)는 상기 커넥팅 로드(20)의 일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가 고압축비에서 작동하는 경우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가 저압축비에서 작동하는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압축비 장치(1)가 고압축비에서 작동하는 상태에서 제어축(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어축(40)에 편심되게 연결된 제1,2요동 링크(42, 44)는 제어 링크(60)를 도면에서 우측으로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 링크(60)는 편심 베어링 링크(80, 82)에 형성된 편심 베어링(84, 86)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피스톤 핀(12)의 위치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 핀(12)과 크랭크 핀(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축비가 구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압축비 장치(1)가 저압축비에서 작동하는 상태에서 제어축(4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어축(40)에 편심되게 연결된 제1,2요동 링크(42, 44)는 제어 링크(60)를 도면에서 좌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 링크(60)는 편심 베어링 링크(80, 82)에 형성된 편심 베어링(84, 8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피스톤 핀(12)의 위치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 핀(12)과 크랭크 핀(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축비가 구현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11)

  1. 혼합기의 연소력을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받아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엔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기의 압축비를 변경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장착홈이 형성되어 피스톤 핀을 통하여 상기 피스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
    양 단을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장착홈에 동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핀이 상기 일단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편심 베어링 링크;
    양단과 중간부를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링크;
    양단을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제어 링크의 타단 또는 중간부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요동 링크;
    양 단을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제어 링크의 타단 또는 중간부 중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요동 링크; 그리고
    상기 제1요동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편심 캠 및 상기 제2요동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편심 캠에 각각 편심되게 연결되며, 제1,2편심 캠과 함께 회전하는 제어축;
    을 포함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의 일단에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편심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핀은 상기 편심 베어링에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편심 캠은 상기 제어축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편심 캠은 상기 제어축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는 제1,2편심 베어링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링크의 일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갈라져 제1,2가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1,2편심 베어링 링크의 타단은 각각 상기 제1,2가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가지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커넥팅 로드의 움직임과 상기 제어 링크의 움직임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베어링은 제1,2편심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2편심 베어링은 각각 상기 제1,2편심 베어링 링크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편심 베어링은 상기 장착홈에 서로 반대 방향에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9. 혼합기의 연소력을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받아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엔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기의 압축비를 변경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크랭크샤프트를 연결하여 혼합기의 연소력을 크랭크샤프트에 전달하며, 상기 피스톤과 피스톤 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라 회전하는 제어축;
    상기 제어축에 각각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요동 링크;
    상기 제1,2요동 링크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어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의 움직임을 생성하는 제어 링크; 그리고
    일단이 상기 제어 링크에 연결되어 제어 링크의 수평 방향 움직임에 따라 회전 운동을 하는 편심 베어링 링크;
    를 포함하며,
    상기 편심 베어링 링크의 타단에는 편심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편심 베어링은 상기 커넥팅 로드에 형성된 장착홈에 동심으로 장착되어 회전하고, 상기 피스톤 핀은 상기 편심 베어링에 편심되게 삽입되어 상기 커넥팅 로드와 상기 피스톤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축에는 상기 제1,2요동 링크와 각각 편심되게 연결하는 제1,2편심 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편심 캠은 상기 제어축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KR1020100063135A 2010-06-30 2010-06-30 가변 압축비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98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135A KR101198786B1 (ko) 2010-06-30 2010-06-30 가변 압축비 장치
US12/946,234 US8397684B2 (en) 2010-06-30 2010-11-15 Variable compression ratio apparatus
DE102010060783A DE102010060783A1 (de) 2010-06-30 2010-11-24 Vorrichtung mit variablem Verdichtungsverhältn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135A KR101198786B1 (ko) 2010-06-30 2010-06-30 가변 압축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16A KR20120002316A (ko) 2012-01-05
KR101198786B1 true KR101198786B1 (ko) 2012-11-07

Family

ID=4534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1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98786B1 (ko) 2010-06-30 2010-06-30 가변 압축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97684B2 (ko)
KR (1) KR101198786B1 (ko)
DE (1) DE102010060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3571A1 (en) * 2010-03-31 2011-10-06 Miin Jeng Yan Improved differential-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210021B1 (ko) 2011-08-18 2012-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편심 링크가 구비된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305666B1 (ko) * 2011-11-14 2013-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361514B1 (ko) * 2012-07-11 2014-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360052B1 (ko) * 2012-07-12 2014-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316881B1 (ko) * 2012-07-23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896709B1 (ko) 2012-08-22 2018-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엔진의 피스톤핀
KR101886078B1 (ko) * 2012-10-31 2018-08-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압축비 가변기구를 구비한 엔진
KR101338461B1 (ko) * 2012-11-02 2013-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DE102017008704A1 (de) * 2017-09-18 2019-03-21 Arianit Gashi Ein Takt Motor
KR20200015306A (ko) 2018-08-03 2020-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KR20200015305A (ko) 2018-08-03 2020-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KR20200015304A (ko) 2018-08-03 2020-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압축비 장치
CN109866689A (zh) * 2019-02-18 2019-06-11 蒋康宁 一种曲柄摇杆水平伸缩式电动迎宾踏步及汽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955A (ja) 2000-07-31 2002-02-15 Nissan Motor Co Ltd 可変圧縮比機構を備えた内燃機関
JP2010216276A (ja) 2009-03-13 2010-09-30 Nissan Motor Co Ltd 可変圧縮比機構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3691A (en) * 1936-04-13 1939-04-11 Kenjiro Tsuneda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tomatic compression ratio varying means
US2316399A (en) * 1941-11-26 1943-04-13 Wood John Mfg Co Inc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stroke of pistons
JPS61291736A (ja) * 1985-06-20 1986-12-22 Toyota Motor Corp 圧縮比可変機構の偏心ベアリングロツク機構
JPH0338424Y2 (ko) * 1985-10-25 1991-08-14
JPH082441Y2 (ja) * 1987-06-01 1996-0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圧縮比切換装置
US4876992A (en) * 1988-08-19 1989-10-31 Standard Oil Company Crankshaft phasing mechanism
DE10058206B4 (de) * 2000-05-29 2005-07-28 Meta Motoren- Und Energie-Technik Gmbh Vorrichtung zum Verändern der Verdichtung eines Zylinders einer Hubkolbenbrennkraftmaschine
WO2009044889A1 (ja) 2007-10-03 2009-04-0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酸化インジウム系ターゲ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955A (ja) 2000-07-31 2002-02-15 Nissan Motor Co Ltd 可変圧縮比機構を備えた内燃機関
JP2010216276A (ja) 2009-03-13 2010-09-30 Nissan Motor Co Ltd 可変圧縮比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60783A1 (de) 2012-01-05
US8397684B2 (en) 2013-03-19
KR20120002316A (ko) 2012-01-05
US20120000444A1 (en)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786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180953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020826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180955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360052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US8733302B1 (en) Variable compression ratio apparatus
KR100969385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806157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316881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163700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JP5582196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100921806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518945B1 (ko) 압축비를 가변시키는 가변 압축비 엔진
KR101090801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361514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210021B1 (ko) 듀얼 편심 링크가 구비된 가변 압축비 장치
EP1674692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510321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806149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RU22807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US9243556B2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405176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500411B1 (ko) 가변 압축비 장치를 구비한 엔진
KR20110001520A (ko) 가변 압축비 장치
EP3808968B1 (en) A vehicle engine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force from a camshaft to an out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