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96637B1 -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637B1
KR101196637B1 KR1020100112157A KR20100112157A KR101196637B1 KR 101196637 B1 KR101196637 B1 KR 101196637B1 KR 1020100112157 A KR1020100112157 A KR 1020100112157A KR 20100112157 A KR20100112157 A KR 20100112157A KR 101196637 B1 KR101196637 B1 KR 101196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input device
handle
housing
key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749A (ko
Inventor
최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Priority to KR102010011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6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속기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키보드부의 문자키그룹이 위치하는 하우징 중앙 일측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하우징의 중앙 하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으로, 속기 키보드 장치에 손잡이가 형성됨에 따라 속기 키보드 장치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Description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Stenography keyboard apparatus having handles}
본 발명은 속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연동되는 외부의 휴대 단말기를 후면에 거치한 후 고정하고, 속기 입력장치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손잡이가 형성된 속기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속기의 사전적 의미는 무형의 음성적 언어나 영상이나 음성을 빠르고 정확하게 기록하여 이를 문자화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속기는 말로 나타내는 언어를 문자화하는 특징에서 볼 때 필기의 일종이므로, 말의 언어를 기록 보존하기 위한 녹음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이러한 속기는 손으로 쓰는 수필 속기부터 타자기 속기, 컴퓨터 자판으로 내용을 입력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속기까지 발전하여 오다가 사람이 기록하기 힘들었던 부분까지도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개발됨에 따라 가능하게 되었다.
컴퓨터를 이용한 속기가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속기키보드가 개발되고 있다.
속기 키보드는 일반적인 컴퓨터용 키보드와 달리, 특수하게 자판 배열이 되어 있고, 키스위치의 숫자가 적다.
속기키보드의 설계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은 고속의 타이핑 속도, 적은 오타율, 적은 소음, 적은 피로도 등이다.
이 사항들을 최대한 수용하기 위해, 대부분의 속기키보드는 자판을 독특하게 배열하고 그 구조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고 있다.
한편, 속기의 대상은 음성이나 영상이 대부분이다. 특히, 속기는 현장의 음성을 문자화하여 보존하는 것에 있으므로, 속기의 질은 속기사의 숙달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음성이나 영상을 보존하는 속기의 특성상 한번 놓친 음성은 다시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짧은 시간 동안 속기 작업을 완료해야 한다.
만약, 오타가 났을 경우나 기기의 오작동 등으로 인하여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오타 수정할 시간이 부족해지고, 오타 난 부분을 수정하지 못하고 다음 속기작업을 바로 진행해야 하므로 속기사에게 심적인 부담감을 주어 양질의 속기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속기 입력을 위한 속기 입력장치에 음성을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보이스 레코딩 기능을 포함하여, 속기의 입력은 물론 입력된 속기 입력을 위한 소스 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는 속기 입력 장치(국내특허출원 제 10-2009-36574, 2009년 4월 29일)가 출원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속기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따른 종래 속기 입력 장치는 속기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를 포함하는 키보드(110)와; 키보드(110)를 통해 입력된 속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120)와; 입력되는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저장하며, 저장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보이스 레코딩부(130)와; 키보드(110)를 통해 입력되는 속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신부(120)를 통해 전송하며, 키보드(110)로부터 입력되는 레코딩 명령에 따라 보이스 레코딩부(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키보드(110)는 중앙에 구비되는 문자키 그룹(111)과 그 주변에 배치된 기능키그룹(112)(F1 ~ F12, Esc, Enter, Del, Ins, Num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문자키 그룹(111)의 형상과 기능키 그룹(112)의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기능키그룹(112)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별 키스위치(37)를 배열하였고, 문자키 그룹(111)은 속기의 특성상 일반 키보드와는 다르게 상판 케이스의 경사도와 별도로 양손을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돌출되어 독자적인 평면을 이루고 있다. 상술한 키보드(110)의 배열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1999. 12. 14 자 출원하여 2001. 7. 7 자 공개된 한국공개특허 제2001-56048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속기 키보드 장치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가 키보드 하부에 형성되어 속기 키보드를 전용 가방에 넣지 않아도 이동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지능형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가지고 다니지 않고도, 연동되는 지능형 휴대 단말기를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일 측면은 속기 입력장치에 있어서, 문자키그룹과 기능키그룹으로 구성된 키보드부; 상기 키보드의 문자키그룹이 중앙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키보드의 기능키그룹이 문자키그룹 주변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전방에 손잡이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다른 측면은 속기 입력장치에 있어서, 문자키그룹과 기능키그룹으로 구성된 키보드부; 상기 키보드의 문자키그룹이 중앙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키보드의 기능키그룹이 문자키그룹 주변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되, 상기 문자키그룹의 전방에 상하로 개방된 파지 공간이 형성되어 전방틀이 손잡이 기능을 하는 하우징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미끄럼 방지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후면에 거치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의 양측에 형성된 스냅형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후면에는 상기 거치대를 삽입하기 위한 거치대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면의 양측에 형성된 스냅형힌지가 삽입될 수 있는 힌지삽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의 전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핑거 삽입공이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핑거가 각각 고정핑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핑거와 상기 고정핑거 삽입공 사이에는 일측이 상기 고정핑거 삽입공 내부 종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핑거 종단에 연결된 탄성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후면에는 거치대를 삽입할 수 있는 거치대 삽입부가 형성되고, 거치대 삽입부에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거치대의 거치면 하부면에는 거치대 삽입부에 형성된 안내홈에 삽입되는 안내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 상부면에는 거치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부재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될 때, 상기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하우징 후면에는 휴대 단말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후면에는 상기 거치대를 삽입하기 위한 거치대 삽입부와, 상기 거치면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힌지삽입홈과, 상기 하우징 후면 일측에 상기 거치대가 삽입될 수 있는 거치대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는 속기 키보드 장치에 손잡이가 형성됨에 따라 속기 키보드 장치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간편하게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지 않을 경우 속기 키보드 장치에 복원되어 속기 키보드 장치의 미관을 유지하면서도 휴대 단말기를 거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른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속기 키보드 장치의 문자키입력부가 개방되어 형성됨에 따라 속기 키보드 장치를 분리하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속기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지능형 휴대 단말기 연동형 속기 키보드 장치에 거치대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손잡이를 사용자가 잡아 사용하는 상태도.
도 5a는 도 3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거치대 세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5b는 도 3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에 거치대가 장착된 상태를 타나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에서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거치대 동작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거치대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거치대 동작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거치대에서 고정핑거가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고정핑거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는 하우징(100), 문자키그룹(111)과 기능키그룹으로 이루어진 키보드부(110), 손잡이(500) 및 거치대(600)를 포함한다. 이때, 속기 입력장치는 휴대 단말기(200)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200)는 속기 입력장치(100)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속기 데이터와 동기화 시켜 저장하거나 동기화되어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보이스 레코딩 기능과 속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켜주기 위한 표시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0)은 키보드부(110)의 문자키그룹(111)이 중앙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키보드부(110)의 기능키그룹(112)이 문자키그룹(111) 주변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되, 문자키그룹(111)의 전방에 상하로 개방된 파지 공간이 형성되어 전방틀이 손잡이(500) 기능을 한다.
그리고 관통되어 형성된 하우징(100) 중앙 하측에는 손잡이(500)가 형성되고, 손잡이(500)에는 미끄럼 방지돌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손잡이를 사용자가 잡아 사용하는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50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속기 키보드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거치대 세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3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에 거치대가 장착된 상태를 타나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600)는 휴대 단말기(20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면(610)과, 거치면(610)의 양측에 형성된 스냅형힌지(6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냅형힌지(620)는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 후면에는 거치대 삽입부(630)와 거치면(610)의 양측에 형성된 스냅형힌지(620)가 삽입될 수 있는 힌지삽입홈(6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스냅형힌지(620)가 삽입될 수 있는 힌지삽입홈(640)은 스냅형힌지(620)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대응되도록 돌기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하우징(100) 후면에는 거치대(6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600)의 스냅형힌지(620)는 하우징(100) 후면에 형성된 힌지삽입홈(64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600)의 전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핑거 삽입공(650)이 형성되고, 크기가 상이한 휴대 단말기(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핑거(660)가 고정핑거 삽입공(6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핑거(660)는 고정핑거 삽입공(65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회전 또한 가능하기 때문에 고정핑거(660)를 회전시켜 휴대 단말기(200)의 고정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거치대에서 고정핑거가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고정핑거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핑거(660)와 고정핑거 삽입공(650) 사이에는 일측이 고정핑거 삽입공(650) 내부 종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고정핑거(660) 종단에 연결된 탄성부재(651)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651)는 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651)가 연결된 경우, 휴대 단말기(200)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핑거(660)를 고정핑거 삽입홈(650)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놓을 경우 고정핑거(660)는 탄성부재(651)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핑거 삽입홈(650)에 다시 삽입되고 이에 휴대 단말기(200)는 고정핑거(600)에 의해 고정된다.
반면에 거치대(6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600)가 하우징(100) 후면에 형성된 거치대 삽입부(630)에 삽입된다.
이때, 하우징(100) 후면에 형성된 거치대 삽입부(630)에는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600)가 삽입된 후 움직이지 않도록 안내홈(680)이 형성되고, 거치대(600)의 거치면(610) 하부면에는 거치대 삽입부(630)에 형성된 안내홈(680)에 삽입되는 안내돌부(69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에서 거치대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600)에 휴대 단말기(200)가 거치될 때, 휴대 단말기(200)가 위치하는 하우징(100) 후면에는 휴대 단말기(200)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7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600) 상부면에는 거치되는 휴대 단말기(20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부재(670)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거치대 동작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6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200)를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도 7b 및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600)를 회전시켜 고정한다. 여기서, 거치대(600)를 회전시켜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스냅형힌지(62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치대(600)의 기울기별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어 고정된 거치대(600)에는 휴대 단말기(200)를 거치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거치대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하우징(100) 후면에는 거치대(6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600)의 힌지(621)는 하우징(100) 후면에 형성된 힌지삽입홈(64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힌지삽입홈(640)은 힌지(621)가 회전 가능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하우징(100) 후면에는 거치대(600)가 삽입될 수 있는 거치대 삽입구(641)가 형성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의 거치대 동작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거치대 삽입부(630)에 거치대(6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200)를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600)를 회전시킨 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후면에 형성된 거치대 삽입구(641)에 거치대(600)를 삽입한다.
그러면, 거치대(600)에 형성된 힌지(621)는 힌지삽입홈(640)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힌지삽입홈(640)내에서 이동된 거치대(600)는 힌지 삽입홈(640)과 거치대 삽입구(641)에 지지되어 고정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600)에 휴대 단말기(200)를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구비한 속기 입력장치는 키보드부(110)의 문자키그룹(111)이 중앙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키보드부(110)의 기능키그룹(112)이 문자키그룹(111) 주변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하우징(100) 전방에 손잡이(5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를 구비한 속기 입력장치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거치대(600)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상세한 설명이 여러 실시예에 적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들을 도시하고 기술하고 언급하였지만, 예시된 시스템의 형태 및 상세 사항에 대해 본 발명의 의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생략, 교체 및 변경이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키보드부
111 : 문자키그룹 112 : 기능키그룹
500 : 손잡이 510 : 미끄럼 방지돌부
600 : 거치대 610 : 거치면
620 : 스냅형힌지 621 : 힌지
630 : 거치대 삽입부 640 : 힌지삽입홈
650 : 고정핑거 삽입공 660 : 고정핑거
670 : 미끄럼 방지부재 680 : 안내홈
690 : 안내돌부 700 : 완충부재

Claims (11)

  1. 속기 입력장치에 있어서,
    문자키그룹과 기능키그룹으로 구성된 키보드부;
    상기 키보드부의 문자키그룹이 중앙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키보드부의 기능키그룹이 문자키그룹 주변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되,
    상기 하우징 전방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대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핑거 삽입공이 형성되며,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핑거가 각각 고정핑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2. 속기 입력장치에 있어서,
    문자키그룹과 기능키그룹으로 구성된 키보드부; 및
    상기 키보드부의 문자키그룹이 중앙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키보드부의 기능키그룹이 문자키그룹 주변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되, 상기 문자키그룹의 전방에 상하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어 전방틀이 손잡이 기능을 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되,
    상기 거치대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핑거 삽입공이 형성되며,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핑거가 각각 고정핑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미끄럼 방지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의 양측에 형성된 스냅형힌지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 후면에는 상기 거치대를 삽입하기 위한 거치대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면의 양측에 형성된 스냅형힌지가 삽입될 수 있는 힌지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핑거와 상기 고정핑거 삽입공 사이에는,
    일측이 상기 고정핑거 삽입공 내부 종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핑거 종단에 연결된 탄성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하우징 후면에는 거치대를 삽입할 수 있는 거치대 삽입부가 형성되고, 거치대 삽입부에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거치대의 거치면 하부면에는 거치대 삽입부에 형성된 안내홈에 삽입되는 안내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상부면에는,
    거치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부재가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될 때, 상기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하우징 후면에는 휴대 단말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면과, 상기 거치면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 후면에는 상기 거치대를 삽입하기 위한 거치대 삽입부와, 상기 거치면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힌지삽입홈과, 상기 하우징 후면 일측에 상기 거치대가 삽입될 수 있는 거치대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KR1020100112157A 2010-11-11 2010-11-11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KR101196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157A KR101196637B1 (ko) 2010-11-11 2010-11-11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157A KR101196637B1 (ko) 2010-11-11 2010-11-11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749A KR20120050749A (ko) 2012-05-21
KR101196637B1 true KR101196637B1 (ko) 2012-11-05

Family

ID=4626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157A KR101196637B1 (ko) 2010-11-11 2010-11-11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6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357Y1 (ko) 2001-01-05 2001-06-15 모두플라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JP2002073255A (ja) 2000-06-16 2002-03-12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3255A (ja) 2000-06-16 2002-03-12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入力装置
KR200226357Y1 (ko) 2001-01-05 2001-06-15 모두플라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749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23904A (ja) 移動体及び固定環境内でのデータ入力向上システム
EP1766940A2 (en) System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US20110305494A1 (en) Portable and ease-of-use ergonomic keyboard
KR20110020318A (ko) 데이터 입력 방법
KR20060122932A (ko) 휴대 통신 장치
CN102163120A (zh) 图标的突出选择提示
US20080111798A1 (en) Laptop computer, system and/or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90273567A1 (en) Computing Device Keyboard
WO2004102364A2 (en) Sliding screen emerging keyboard
US8730181B1 (en) Tactile guidance system for touch screen interaction
US20150261312A1 (en) Talking multi-surface keyboard
US6694391B2 (en) Combination computer mouse and telephony handset
US20050185788A1 (en) Keypad adapted for use in dual orientations
NO20023636L (no) Sammenleggbart tastatur med justerbare tastestörrelser
US11503144B2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KR101196637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속기 입력장치
CN101515954B (zh) 用于便携式无线通信设备的轨迹球插槽
WO2021075083A1 (ja) タイピング補助部材およびキーボード
KR2006003855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JP2002152355A (ja) 携帯端末装置
JP2009216796A (ja) ゲームと文字の練習装置
CN103076886A (zh) 在移动和固定的环境中用于增强数据输入的系统
KR20090080271A (ko)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NZ552439A (en) System to enhance data entry using letters associated with finger movement directions, regardless of point of contact
ZA200508462B (en) Systems to enhance day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