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95842B1 - 잠금장치용 핸들 - Google Patents

잠금장치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842B1
KR101195842B1 KR1020090031834A KR20090031834A KR101195842B1 KR 101195842 B1 KR101195842 B1 KR 101195842B1 KR 1020090031834 A KR1020090031834 A KR 1020090031834A KR 20090031834 A KR20090031834 A KR 20090031834A KR 101195842 B1 KR101195842 B1 KR 10119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pindle
locking device
window
opera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327A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김용범
(주)성림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범, (주)성림금속 filed Critical 김용범
Priority to KR102009003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84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8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장치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은 창문에 설치되어 손잡이를 가압함으로써 창문을 개폐하는 잠금장치용 핸들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손잡이를 감싸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이 개방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고 내부에 개구공간이 마련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커버; 개방된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를 마감하며 중심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삽입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작동돌기를 구비하는 스핀들; 상기 작동돌기를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홀과,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수용홀들 중 선택된 하나로 위치 변환되기 위해 상기 수용홀과 이웃하게 형성되는 예비공간과 상기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서 직선운동하는 이동판;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수용홀들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되도록 상기 예비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홀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스핀들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되는 창틀의 위치에 무관하게 어떤 부분에도 부착될 수 있는 단일의 범용 잠금장치용 핸들이 제공된다.
창틀, 창문, 잠금장치, 핸들, 스핀들

Description

잠금장치용 핸들 {handle for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잠금장치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되는 창틀의 위치에 무관하게 어떤 부분에도 부착될 수 있는 단일의 범용 잠금장치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 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와, 스트라이커에 걸려 잠금 역할을 하는 후크와, 후크를 부착하여 후크를 움직이는 핸들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핸들은 손잡이를 회전시켜 창문을 개폐하는 형식의 회전식 핸들과, 손잡이를 손으로 가압하여 끝단에 연결된 후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창문을 개폐하는 구조의 그립형 핸들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손잡이 부분이 긴 바의 형태로 구성되어 부딪히는 경우에는 부상의 위험이 있는 회전식 핸들보다, 손잡이만 눌러서 작동시킬 수 있어 간편하고, 잠금장치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깔끔하며, 외부에 요철부분이 없어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배제할 수 있는 그립형 핸들이 더 인기를 얻고 있다.
다만, 이러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그립형 핸들은 좌우측용이 별도로 구별되어 있어, 시공시에 핸들이 창문틀의 좌측과 우측 중 어디 에 시공되느냐에 따라서 시공되어야 할 핸들이 달라져야 하는 문제가 있어 시공자의 입장에서는 시공시에 좌측용 핸들과 우측용 핸들을 모두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생산자의 입장에서도 두 종류의 핸들을 구분하여 별도로 금형을 제작하여야 함에 따라 생산비용이 올라가게 되고 생산 단가가 상승하여 이익이 감소하며,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그에 따른 가격의 상승분을 부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 별도의 구별이 없이 단일의 제품으로 좌우측 창틀에 설치될 수 있어 생산자, 시공자, 수요자 모두에게 편의를 줄 수 있는 잠금장치용 핸들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문에 설치되어 손잡이를 가압함으로써 창문을 개폐하는 잠금장치용 핸들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손잡이를 감싸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이 개방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고 내부에 개구공간이 마련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커버; 개방된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를 마감하며 중심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삽입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작동돌기를 구비하는 스핀들; 상기 작동돌기를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홀과,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수용홀들 중 선택된 하나로 위치 변환되기 위해 상기 수용홀과 이웃하게 형성되는 예비공간과 상기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서 직선운동하는 이동판;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수용홀들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되도록 상기 예비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홀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스핀들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은,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수용홀들 중 하나에 수용되면 상기 손잡이의 가압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수용홀들 중 다른 하나에 수용되면 상기 손잡이의 가압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에 감기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 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상기 베이스를 일부 절개하는 절개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절개라인을 경계로 하여 삽입공이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 영역이 하방으로 이동하되, 상기 스핀들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삽입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영역은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제품으로 창틀의 좌우측을 가리지 않고 시공될 수 있는 잠금장치용 핸들이 제공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을 탄성부재로 이용함에 따라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잠금장치용 핸들이 제공된다.
또한, 재질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탄성력을 획득함에 따라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얻는 경우보다 경량의 잠금장치용 핸들이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100)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커버(110)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이동판(120)을 하측에서 본 사 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100)은 커버(110), 이동판(120), 손잡이(130), 스핀들(140), 탄성부(150), 베이스(16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10)는, 손잡이(130)를 감싸는 상부케이스(111)와, 이동판(120)을 수용하는 하부케이스(11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11)는, 하단이 열려있는 박스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내부에 손잡이(130)를 수용하여 자유로운 직선운동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공간이 형성된다. 작동시에 사용자가 손잡이(130)에 직접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태의 가압구(112)를 정면부에 마련하여 손잡이(130)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또한, 손잡이(130)의 상부와 직접 접촉하는 상부케이스(111)의 하면에는 손잡이(130)에 형성된 이동돌기(131)를 수용하여 손잡이(130)의 직선운동시 외부 이탈을 막는 안내레일(113)이 양쪽에 대칭적으로 다수 구비된다. 이때, 상부케이스(111)의 폭의 길이는 사용자가 손잡이(130)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부케이스(111)를 손으로 감싸안는 경우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케이스(115)는,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에 이동판(120)을 수용하여 자유로운 직선운동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하부케이스(115)의 하방은 전체적으로 개방되며, 하부케이스(115)의 상측은 상부케이스(111)와 결합되어 보호되는 부분만 제한적으로 개구된다. 개방된 하방에는 속이 비어있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의 고정틀(116)이 하부케이스(115)의 내측으로 돌출 되게 형성된다.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5)는 하부케이스(115)의 개방영역을 상부 케이스(111)가 덮는 L자 형태의 일체형으로 구비되나, 각각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판(120)은, 하부케이스(115)에 형성된 고정틀(116)과 서로 엇갈리며 조립되는 다수의 직육면체형의 맞고정틀(121)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수용홀(122)이 스핀들(140)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스핀들(140)의 작동돌기(142)를 수용하여 직선운동을 스핀들(14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동판(120)의 수용홀(122)과 바로 이웃하여 예비공간(123)이 마련된다. 이동판(120)의 수직하방으로 스핀들(140)을 이동시킨 후, 작동돌기(142)를 수용하고 있는 수용홀(122)이 아닌 다른 수용홀(122)에 작동돌기(142)를 수용시키기 위하여 스핀들(140)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다른 장애물의 방해 없이 자유로운 회전을 할 여유공간을 확보한다.
상기 손잡이(130)는, 상부케이스(111)에 형성된 안내레일(113)과 수직하방으로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개수의 이동돌기(131)가 마련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스프링(미도시)이 손잡이(130)의 측면과 조립된 커버(110)의 내측벽면의 사이에 구비되어, 손잡이(130)가 가압된 후에 다시 손잡이(130)가 가압되기 전의 원위치로 복원되기 위해 필요한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동판(120)은 손잡이(130)의 하단에 손잡이(130)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 게 일체로 형성되나, 각각 별도의 부재로 조립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스핀들(140)은, 상부가 원통형상이며 하부가 긴 직육면체인 회전축(141)이 형성되며, 이때 직육면체인 하부의 단면은 그 대각선의 길이가 상부의 원통형상의 외경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된다. 회전축(141)의 외주면에는 수용홀(122)에 수용되는 작동돌기(142)가 마련되며, 수용홀(122)의 내부와 접촉하는 작동돌기(142)의 단부는 수용홀(122)의 내부와 계속적인 선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므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축(141)의 상부는 후술하는 삽입공(161)과 맞물려 회전하게 되므로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축(141)의 하부는 잠금장치용 핸들의 설치시 잠금장치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잠금장치를 회전시키도록 직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150)는, 회전축(141)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큰 외경의 코일 스프링이 회전축(141)의 외주면을 감싸며 구비되고, 스핀들(140)이 수직하방으로 이동한 후에도 이동하기 전의 스핀들(140)이 있었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6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로 구성되고, 중심에는 스핀들(140)이 수용되어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삽입공(161)이 관통형성된다. 하부케이스(115)와 베이스(160)는 서로 끼워 맞춤 조립되나, 견고한 조립을 위하여 나사,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조립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잠금장치용 핸들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100)의 상부 케이스(111)를 손으로 감싸 안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130)를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손잡이(130)가 커버(110)에 수용된 채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때, 손잡이(130)에 설치된 이동돌기(131)가 커버(110)에 형성된 안내레일(113)의 내부에서 이동하므로 손잡이(130)는 외부로의 이탈 없이 규칙적인 직선이동을 할 수 있다.
손잡이(130)가 직선이동하면, 이동판(120)에 돌출 형성된 직육면체의 맞고정틀(121)과 커버(110)에 형성된 고정틀(116)이 서로 엇갈리게 맞물려, 이동판(120)도 규칙적인 직선운동을 한다. 이경우에, 이동판(120)의 중심부의 수용홀(122)도 직선운동을 하고, 작동돌기(142)가 수용홀(122)의 직선운동에 의해 끌려가게 됨에 따라 작동돌기(142)가 형성된 스핀들(140)은 회전운동을 하여, 이동판(120)의 직선운동이 스핀들(14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손잡이(13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손잡이(130)의 측면과 커버(110)의 내벽면 사이에 부착된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하여 손잡이(130)는 압력을 가하기 전의 원위치로 복원된다. 그에 따라 이동판(120)은 복원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하고, 스핀들(140) 역시 상술한 회전운동의 역과정을 거쳐 손잡이(13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의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6은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의 동작 단면도이다.
잠금 장치용 핸들의 방향을 좌측용 또는 우측용으로 바꾸기 위해서,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160)에서부터 먼쪽방향으로 스핀들에 인장력을 가한다. 스핀들(140)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코일 스프링은 압축되고, 작동돌기(142)가 수용홀(122)의 하부에 형성된 예비공간(123)으로 이동 배치되며, 스핀들(140)을 다시 180도 회전시켜 작동돌기(142)가 있던 원래 위치의 맞은편 수용홀(1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스핀들(140)에 가하고 있는 인장력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이 스핀들(140)을 예비공간(123)으로부터 수용홀(122)쪽으로 가압하고, 이러한 복원력으로 인해 스핀들(140)은 인장력이 가해지기 전인 원위치에 복귀하나, 작동돌기(142)는 원래의 수용홀(122)이 아닌 맞은편의 수용홀(122)에 안착,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돌기(142)가 수용되는 수용홀(122)이 변경되면, 이동판(120)의 직선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스핀들(140)의 회전방향이 작동돌기(142)가 수용되는 수용홀(122)이 변경되기 전의 반대방향이 되어 결과적으로, 스핀들(140)의 단부에 부착될 후크의 회전방향도 바뀌게 된다. 이를 이용하면 창틀이 시공될 위치의 가변성에 대해서도 단일의 잠금 장치용 핸들만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잠금장치용 핸들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250)는 베이스(260)재질의 자체 탄성력을 이용한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260)는, 관통 형성된 삽입공(261)의 중심에서 일정 떨어진 점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외경을 가지는 원주선을 따라 절개라인(262)이 절개되고, 절개라인(262)의 일단부는 삽입공(261)과 외접하는 점이 되도록 하며, 절개라인(262)은 삽입공(261)을 중심으로 대칭하여 한 쌍이 되도록 한다. 또한, 절개라인(262)의 일단부와 삽입공(261)이 외접하는 두 점 사이를 삽입공(261)의 외경을 따라 베이스(260)를 연장 절개한다. 절개라인(262)의 타단부에는 직경이 작은 탄성구(263)를 뚫어, 베이스(260)의 탄성 회동시에 절개라인(262)의 끝단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탄성부(250)는 두 개의 탄성구(263)와 삽입공(261)을 꼭짓점으로 하여, 양변이 동일한 곡률의 관통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한 변은 막혀있는 선분의 형태를 가지는 도형이 된다. 이때, 베이스(260)는 탄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스핀들(140)을 길이방향으로 베이스(260)와 멀어지게 인장력을 가하면, 스핀들(140)을 포함하고 있는 탄성부(250)가 절개라인(262)을 따라 베이스(260)로부터 부분 분리되고, 그로 인하여 작동돌기(142)가 이동판(120)의 예비공간(123)으로 이동하고, 스핀들(140)을 180도 회전시켜 작동돌기(142)를 다른 수용홀(122)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가해지는 인장력을 해제하면 탄성부(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핀들(140)은 예비공간(123)에서 수용홀(122)쪽으로 탄성가압되어 삽입공(261)과 스핀들(140)은 인장 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고, 그로 인하여 작동돌기(142)는 원하는 수용홀(122)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커버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이동판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잠금장치용 핸들의 동작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잠금장치용 핸들의 저면도이고,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잠금장치용 핸들 130 : 손잡이
110 : 커버 140 : 스핀들
111 : 상부케이스 150 : 탄성부
115 : 하부케이스 160 : 베이스
120 : 이동판

Claims (4)

  1. 창문에 설치되어 손잡이를 가압함으로써 창문을 개폐하는 잠금장치용 핸들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손잡이를 감싸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이 개방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되고 내부에 개구공간이 마련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하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커버;
    개방된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를 마감하며 중심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삽입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작동돌기를 구비하는 스핀들;
    상기 작동돌기를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홀과,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수용홀들 중 선택된 하나로 위치 변환되기 위해 상기 수용홀과 이웃하게 형성되는 예비공간과 상기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서 직선운동하는 이동판;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수용홀들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되도록 상기 예비공간으로부터 상기 수용홀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스핀들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수용홀들 중 하나에 수용되면 상기 손잡이의 가압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수용홀들 중 다른 하나에 수용되면 상기 손잡이의 가압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에 감기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탄성력을 가지는 상기 베이스를 일부 절개하는 절개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절개라인을 경계로 하여 삽입공이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 영역이 하방으로 이동하되, 상기 스핀들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삽입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영역은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핸들.
KR1020090031834A 2009-04-13 2009-04-13 잠금장치용 핸들 Active KR10119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834A KR101195842B1 (ko) 2009-04-13 2009-04-13 잠금장치용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834A KR101195842B1 (ko) 2009-04-13 2009-04-13 잠금장치용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327A KR20100113327A (ko) 2010-10-21
KR101195842B1 true KR101195842B1 (ko) 2012-10-30

Family

ID=4313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834A Active KR101195842B1 (ko) 2009-04-13 2009-04-13 잠금장치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8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511B1 (ko) * 2014-09-11 2015-09-03 이용재 도어 핸들
KR102076160B1 (ko) 2019-01-10 2020-02-11 주식회사 제이켐 잠금과 풀림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102076163B1 (ko) 2019-01-10 2020-02-11 주식회사 제이켐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102076141B1 (ko) 2019-01-10 2020-02-11 주식회사 제이켐 잠금과 풀림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20210116365A (ko) 2021-09-02 2021-09-27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미닫이 창호 잠금장치용 그립핸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882B1 (ko) * 2013-12-24 2015-03-09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문 잠금장치용 그립핸들
KR101876343B1 (ko) * 2016-02-19 2018-07-09 김진선 슬라이딩 조작형 도어 핸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0816A (ja) 1998-06-08 1999-12-21 Hisayuki Horiguchi 把手を押しても引いてもラッチが引けるドア錠
KR200413876Y1 (ko) 2006-01-27 2006-04-11 이판대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구조
KR200440016Y1 (ko) 2006-11-06 2008-05-19 김용범 창문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0903256B1 (ko) 2008-01-09 2009-06-17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0816A (ja) 1998-06-08 1999-12-21 Hisayuki Horiguchi 把手を押しても引いてもラッチが引けるドア錠
KR200413876Y1 (ko) 2006-01-27 2006-04-11 이판대 창문 자동잠금장치의 손잡이구조
KR200440016Y1 (ko) 2006-11-06 2008-05-19 김용범 창문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0903256B1 (ko) 2008-01-09 2009-06-17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511B1 (ko) * 2014-09-11 2015-09-03 이용재 도어 핸들
KR102076160B1 (ko) 2019-01-10 2020-02-11 주식회사 제이켐 잠금과 풀림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102076163B1 (ko) 2019-01-10 2020-02-11 주식회사 제이켐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102076141B1 (ko) 2019-01-10 2020-02-11 주식회사 제이켐 잠금과 풀림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20210116365A (ko) 2021-09-02 2021-09-27 주식회사 세한이엔지 미닫이 창호 잠금장치용 그립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327A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842B1 (ko) 잠금장치용 핸들
KR10121673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EP3112562B1 (en) Safety door lock using door handle
JP6630097B2 (ja) 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の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90120425A (ko) 철근 결속기
JPH1156180A (ja) 一方向クラッチベアリング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1549511B1 (ko) 도어 핸들
KR101810484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20110026835A (ko) 로울러식 방충망의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로울러식 방충망 조립체
JP6367141B2 (ja) 扉施錠装置
KR101195836B1 (ko) 잠금장치용 핸들
KR101523691B1 (ko)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KR20210067349A (ko) 방충망 프레임이 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잠금장치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200484813Y1 (ko) 슬라이딩 창호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0695070B1 (ko) 셔터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감광드럼유닛 및 이를 구비한화상형성장치
KR200229948Y1 (ko) 원버튼식 샤워헤드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809790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1315492B1 (ko) 도어래치장치
KR200380546Y1 (ko) 문 손 끼임 방지구
KR102544039B1 (ko) 창호용 핸들
KR200405565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JP6917825B2 (ja) 入力装置
JP2011037481A (ja) ケースの蓋体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