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82468B1 -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468B1
KR101182468B1 KR1020090124757A KR20090124757A KR101182468B1 KR 101182468 B1 KR101182468 B1 KR 101182468B1 KR 1020090124757 A KR1020090124757 A KR 1020090124757A KR 20090124757 A KR20090124757 A KR 20090124757A KR 101182468 B1 KR101182468 B1 KR 101182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leimide
parts
polarizing plate
photocur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958A (ko
Inventor
류진영
홍영준
이순열
김우성
이한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90124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468B1/ko
Priority to PCT/KR2010/008970 priority patent/WO2011074871A2/ko
Priority to JP2012544380A priority patent/JP5602244B2/ja
Priority to CN201080063871.8A priority patent/CN102763010B/zh
Priority to US13/515,948 priority patent/US9005743B2/en
Publication of KR2011006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468B1/ko
Priority to JP2014105586A priority patent/JP2014197208A/ja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1Of polyim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편광자 및 b)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구비되고,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 내지 95 중량부,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 4 내지 95 중량부 및 (C)광중합 개시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경화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 특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표면경도가 높으며, 박형화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경화 수지, 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Description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REOF}
본 발명은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다층의 플라스틱 광학필름으로 구성되며 액정패널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는데, 이들 광학필름 중 요오드 및 염료 등의 편광매질을 흡착한 PVA(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은 편광판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PVA 편광 필름은 광학특성이 우수하나 온도, 습도 및 광에 대한 내구성이 취약하여,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을 PVA 양면에 접착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보완하여야 한다.
최근 편광판 보호필름은 몇 가지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고기능 형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로서, 하드 코트(hard coat) 처리, 난반사(anti-glare) 코팅, 무반사(anti-reflection) 코팅 등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일체형의 편광판 보호필름으로 개발되어, 박형화와 가격경쟁력을 실현하고 있다. 특히, 요즘에는 화상 액정 장치의 용도가 광범위해져 여러 분야의 장치에 사용되고 있어, 편광판의 경도의 향상 및 박형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편광특성, 내구성, 표면 경도가 우수하고 박형화할 수 있는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편광자 및
b)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구비되고,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 내지 95 중량부,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 4 내지 95 중량부, (C)광중합 개시제 1 내지 20 중량부 및 (D)광경화성 올리고머 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경화 수지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a)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b)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c)N-치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로서,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b)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된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 내지 95 중량부,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 4 내지 95 중량부 및 (C)광중합 개시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상기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경화 수지층이,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직접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a)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b)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c)N-치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로서,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b)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된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 내지 95 중량부,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 4 내지 95 중량부 및 (C)광중합 개시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상기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경화 수지층을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편광자와 상기 경화 수지층 사이에 접착제 층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특성 및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 경도가 높으며, 박형화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여 편광특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a)편광자 및 b)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구비되고,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 내지 95 중량부,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 4 내지 95 중량부 및 (C)광중합 개시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경화 수지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광자>
본 발명에 이용되는 편광자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PVA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 수지층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경화 수지층은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 내지 95 중량부,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 4 내지 95 중량부, (C)광중합 개시제 1 내지 20 중량부 및 (D)광경화성 올리고머 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a)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b)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c)N-치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로서 자외선(UV) 경화 시 반응에 참가할 수 있는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한다.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9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g/mol 내지 200,000 g/mol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자외선(UV) 경화 시 반응에 참가할 수 있는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로일 관능기가 5 내지 9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a)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98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b)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N-치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로는 N-메틸 말레이미드, N-에틸 말레이미드, N-n-프로필 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N-n-부틸 말레이미드, N- s-말레미이드, N-t-말레이미드, N-n-헥실 말레이미드, N-n-도데실 말레이미드, N-알릴 말레이미드, N-벤질 말레이미드, N-사이클로 헥실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N-니트로 페닐 말레이미드, N-히드록시기 말레이미드, N-메톡시 말레이미드, N-에톡시 말레이미드, N-모노크롤로페닐 말레이미드, N-디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N-모노메틸 페닐 말레이미드, N-디메틸페닐 말레이미드 및 N-에틸페닐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c)N-치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는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는 자외선(UV) 경화 시 반응에 참가할 수 있는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 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로프로판 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는 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9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광중합 개시제로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클로로아세 토페논(Chloroacetophenone), 디에톡시아세토페논(Diethoxy Acetophenone), 히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 Acetophenone(상품명 Darocure 1173, Irgacure 184 등)), α-아미노아세토페논(α-Amino Acetophenone(상품명Irgacure-907 등)), 벤조인에테르(Benzoin Ether), 벤질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 Ketal(상품명 Irgacure-651 등)), 벤조페논(BenzoPhenone), 티오크산톤(Thioxanthone), 2-2-에틸안스라퀴논(2-EthylAnthraquinone, 2-ETAQ)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UV 램프의 파장대에 맞추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광중합 개시제는 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광경화성 올리고머는 자외선(UV) 경화 시 반응에 참가할 수 있는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는 올리고머를 의미하며,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광경화성 올리고머는 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광경화성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g/mol 내지 100,000 g/mol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의 제조 및 화상표시장치>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 및 경화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편 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경화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광경화 조성물이 코팅되어 있는 필름을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2).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60㎛ 내지 7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편광특성, 내구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부분에는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물성평가]
*두께 측정; 디지털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필 경도 측정; 상이한 경도의 연필을 사용하여 경화 수지층 표면의 연필 스크래치 값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A) 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60g,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30g, 스티렌 5g, N-사이클로 헥실 말레이미드 5g 및 n-도데실머캅탄 0.2g와 유기용매로서 메틸이소부틸케톤 233g을 넣은 후, 반응용액 내부 온도가 65℃에 도달하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3g을 투입하고 18시간 동안 중합 반응을 한다. 중합금지제인 4-t-부틸파이로카테콜 0.1g을 투입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수율 99%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에 아크릴산 15g, 디메틸아미노피리딘 0.1g을 투입하고, 110℃의 온도에서 18시간 반응시켜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B) 광경화성 조성물( 하드 코팅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0g,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60g,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RS27-921(DIC Corp.) 20g, 광중합 개시제로서 히드록시아세토페논(Darocure 1173) 1.5g, 히드록시아세토페논(Irgacure 184) 2.4g, α-아미노아세토페논(Irgacure 907) 1.9g 및 유기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 89g을 혼합하여 광경화성 조성물(하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편광판의 제조
상기 제조된 하드 코팅 조성물을 PET 이형필름(50㎛) 위에 바(BAR) 코팅 방식으로 건조 두께 1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상기 코팅된 필름을 90℃ 오븐에서 3분 동안 건조한 후, 질소분위기에서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적산광량이 610mJ/cm2가 되도록 조사하였다.
상기 제조된 하드 코팅 필름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자 PVA 필름과 양면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였다. 각각의 필름을 접합한 후, 다층필름 두께 65㎛의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판의 경화 수지층 표면의 연필경도는 4H 이었으며, 상온에서 24시간 보존 후 경화층 표면에서 크랙(CRACK) 및 컬(CURL)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및 (B)광경화성 조성물(하드 코팅 조성물)의 제조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C)편광판의 제조
상기 (B)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하드 코팅 조성물)을 편광자 PVA 필름 위에 바(BAR) 코팅 방식으로 건조 두께 1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코팅된 필름을 90℃ 오븐에서 3분 동안 건조한 후, 질소분위기에서 고압 수은램프를 이용하여 적산광량이 610mJ/cm2가 되도록 조사하였다.
양면 동일방식으로 코팅하여 필름 두께 65㎛의 편광판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판의 경화 수지층 표면의 연필경도는 5H이었으며, 상온에서 24시간 보존 후 경화층 표면에서 크랙(CRACK) 및 컬(CURL)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A) 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B) 광경화성 조성물( 하드 코팅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0g,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60g을 적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도 1).
(C)편광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층필름 두께 65㎛의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판의 경화 수지층 표면의 연필경도는 4H이었으며, 상온에서 24시간 보존 후 경화층 표면에서 크랙(CRACK) 및 컬(CURL)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
(A) 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60g,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30g, 스티렌 5g, N-페닐 말레이미드 5g 및 n-도데실머캅탄 0.2g와 유기용매로서 메틸이소부틸케톤 233g을 넣은 후, 반응용액 내부 온도가 65℃에 도달하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3g을 투입하고 18시간 동안 중합 반응을 한다. 중합금지제인 4-t-부틸파이로카테 콜 0.1g을 투입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수율 99%의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에 아크릴산 15g, 디메틸아미노피리딘 0.1g을 투입하고, 110℃의 온도에서 18시간 반응시켜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B) 광경화성 조성물( 하드 코팅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C)편광판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판의 경화 수지층 표면의 연필경도는 4H이었으며, 상온에서 24시간 보존 후 경화층 표면에서 크랙(CRACK) 및 컬(CURL)이 관찰되지 않았다.
비교예 1
(B) 하드 코팅 조성물 및 (C)편광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는 달리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적용하지 않았고,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RS27-921(DIC Corp.) 60g,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40g을 적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두께 65㎛의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판의 경화 수지층 표면의 연필경도는 2H이었고, 상온에서 24시간 보존 후 경화층 표면에서 크랙(CRACK) 및 컬(CURL)이 관찰되었다.
비교예 2
(B) 하드 코팅 조성물 및 (C)편광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는 달리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적용하지 않았고,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60g,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40g을 적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두께 65㎛의 편광판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판의 경화 수지층 표면의 연필경도는 3H이었고, 상온에서 24시간 보존 후 경화층 표면에서 크랙(CRACK) 및 컬(CURL)이 관찰되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조성물을 이용한 편광판은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에 비하여 표면 경도가 우수하고, 두께도 더 얇을 뿐만 아니라, 경화층 표면에 크랙 및 컬이 발생하지 않는 등 그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1: 편광자, 3: 경화 수지층).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1: 편광자, 2: 접착제 층, 3: 경화 수지층).

Claims (19)

  1. a)편광자 및
    b)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구비되고,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 내지 95 중량부,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 4 내지 95 중량부 및 (C)광중합 개시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경화 수지층
    을 포함하는 편광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 수지층은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 내지 90 중량부,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 4 내지 90 중량부, (C)광중합 개시제 1 내지 20 중량부 및 (D)광경화성 올리고머 0 초과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a)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b)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c)N-치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이고,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g/mol 내지 2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90 중량부의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a)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98 중량부의 (a)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b)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의 (b)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c)N-치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는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n-프로필 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n-부틸 말레이미드, N-s-말레미이드, N-t-말레이미드, N-n-헥실 말레이미드, N-n-도데실 말레이미드, N-알릴 말레이미드, N-벤질 말레이미드, N-사이클로 헥실 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니트로 페닐 말레이미드, N-히드록시기 말레이미드, N-메톡시 말레이미드, N-에톡시 말레이미드, N-모노크롤로페닐 말레이미드, N-디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N-모노메틸 페닐 말레이미드, N-디메틸페닐 말레이미드 및 N-에틸페닐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0 중량부의 (c)N-치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c)N-치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는 N-사이클로 헥실 말레이미드 및 N-페닐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D)광경화성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g/mol 내지 10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두께는 6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경화 수지층 사이에 접착제 층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 수지층은 상기 편광자 위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7. a)(a)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b)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c)N-치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로서,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b)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된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 내지 95 중량부,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 4 내지 95 중량부 및 (C)광중합 개시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상기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경화 수지층이,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직접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18. a)(a)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b)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c)N-치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로서, 아크릴로일 관능기를 포함하는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b)광경화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된 (A)광경화성 아크릴계 중합체 4 내지 95 중량부, (B)다관능 아크릴계 단량체 4 내지 95 중량부 및 (C)광 중합 개시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상기 제조된 광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경화 수지층을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편광자와 상기 경화 수지층 사이에 접착제 층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90124757A 2009-12-15 2009-12-15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Active KR10118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57A KR101182468B1 (ko) 2009-12-15 2009-12-15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PCT/KR2010/008970 WO2011074871A2 (ko) 2009-12-15 2010-12-15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2012544380A JP5602244B2 (ja) 2009-12-15 2010-12-15 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CN201080063871.8A CN102763010B (zh) 2009-12-15 2010-12-15 偏光板、其制备方法以及包括该偏光板的图像显示装置
US13/515,948 US9005743B2 (en) 2009-12-15 2010-12-15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2014105586A JP2014197208A (ja) 2009-12-15 2014-05-21 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57A KR101182468B1 (ko) 2009-12-15 2009-12-15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958A KR20110067958A (ko) 2011-06-22
KR101182468B1 true KR101182468B1 (ko) 2012-09-12

Family

ID=4416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757A Active KR101182468B1 (ko) 2009-12-15 2009-12-15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05743B2 (ko)
JP (2) JP5602244B2 (ko)
KR (1) KR101182468B1 (ko)
CN (1) CN102763010B (ko)
WO (1) WO2011074871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712A1 (ko) * 2013-09-30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CN104685392B (zh) * 2013-09-30 2017-03-01 Lg化学株式会社 偏光板
US10330829B2 (en) 2013-03-27 2019-06-25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US10473825B2 (en) 2013-03-27 2019-11-12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0639A1 (ja) * 2011-11-29 2013-06-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並びに偏光板の製造方法
JP5825147B2 (ja) * 2012-03-01 2015-12-02 東亞合成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CN106444066B (zh) * 2012-08-22 2019-02-26 3M创新有限公司 偏振分束器及其制造方法
JP6368678B2 (ja) 2014-04-16 2018-08-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I526505B (zh) 2014-09-11 2016-03-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硬塗層組成物及應用其之偏光膜和顯示器
KR102674470B1 (ko) * 2015-10-30 2024-06-1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편광 필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681501B1 (ko) * 2015-12-02 2024-07-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N109642977B (zh) * 2016-08-22 2021-09-24 株式会社可乐丽 偏振板
US11378720B2 (en) * 2016-09-19 2022-07-05 Essilor International Adhesion primer for laminate in cast lenses
CN110036013B (zh) * 2016-11-30 2022-04-12 Lt素材株式会社 杂环化合物以及使用此杂环化合物的有机发光装置
TWI830706B (zh) 2017-09-14 2024-02-01 日商可樂麗股份有限公司 偏光薄膜保護用積層體及其製造方法
JP7055734B2 (ja) * 2018-11-29 2022-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230323151A1 (en) * 2020-11-05 2023-10-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mide addition-fragmentation ag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3143A1 (ja) 2007-06-14 2008-12-18 Nippon Shokubai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樹脂成形品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ならびに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9288413A (ja) 2008-05-28 2009-12-10 Konica Minolta Opto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7102B2 (en) * 2001-02-23 2004-08-17 Fuji Photo Film Co., Ltd. Curable composition and hardcoated article employing same
JP4055427B2 (ja) * 2001-02-23 2008-03-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ト処理物品及び画像表示装置
US20070014018A1 (en) * 2004-12-30 2007-01-18 Wheatley John A Internal components of optical device comprising hardcoat
JP4145332B2 (ja) * 2006-03-28 2008-09-03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740184B2 (ja) * 2006-05-16 2011-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8032763A (ja) * 2006-07-26 2008-02-14 Nitto Denko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990673B1 (ko) 2006-11-01 2010-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개시제기를 함유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047922B1 (ko) * 2007-02-07 2011-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934272B1 (ko) * 2007-07-03 2009-12-28 조을룡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 방법,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를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의 편광판
JP5208579B2 (ja) 2008-05-23 2013-06-12 株式会社Dnpファインケミカル 光学素子用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3143A1 (ja) 2007-06-14 2008-12-18 Nippon Shokubai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樹脂成形品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ならびに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9288413A (ja) 2008-05-28 2009-12-10 Konica Minolta Opto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0829B2 (en) 2013-03-27 2019-06-25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US10473825B2 (en) 2013-03-27 2019-11-12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US11125918B2 (en) 2013-03-27 2021-09-21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a preparation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US11143796B2 (en) 2013-03-27 2021-10-12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a polarizer protective film
US11150386B2 (en) 2013-03-27 2021-10-19 Lg Chem, Ltd. Polarizer protective film comprising a cured resin
WO2015046712A1 (ko) * 2013-09-30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CN104685392B (zh) * 2013-09-30 2017-03-01 Lg化学株式会社 偏光板
US9599753B2 (en) 2013-09-30 2017-03-21 Lg Chem, Ltd. Polariz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4871A2 (ko) 2011-06-23
US20120308798A1 (en) 2012-12-06
KR20110067958A (ko) 2011-06-22
CN102763010B (zh) 2015-01-21
JP2013513832A (ja) 2013-04-22
JP5602244B2 (ja) 2014-10-08
CN102763010A (zh) 2012-10-31
US9005743B2 (en) 2015-04-14
WO2011074871A3 (ko) 2011-11-10
JP2014197208A (ja)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468B1 (ko)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CN101932960B (zh) 偏振板、光学构件及液晶显示装置
CN101672946B (zh) 偏振片及其制造方法
JP5454862B2 (ja) 偏光板、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I689755B (zh) 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TWI691563B (zh) 光可固化塗料組合物及其應用
KR20140050296A (ko) 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하드 코팅막과 그 제조 방법
JP2008088395A (ja) 移動体通信端末用両面粘着シート、及び、移動体通信端末
KR102289814B1 (ko) 유리층 부착 적층체 및 해당 유리층 부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1697404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2005092112A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30469B2 (ja) 偏光板およびこ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JPWO2014069231A1 (ja) 放射線硬化性組成物、接着剤、及び偏光板
JP4808575B2 (ja) 光硬化性粘着フィルム
KR101008235B1 (ko)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428883B1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04323A1 (ja) 偏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43242A1 (ja) 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偏光板
CN105121565A (zh) 光固化性涂覆组合物、使用所述光固化性涂覆组合物的涂覆膜和起偏板
KR102103615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KR102043483B1 (ko)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JP2010139830A (ja) 複合位相差板、複合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TWI224201B (en) An optical coating lamination with low birefringence, high transmittance, and excellent solvent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57526B1 (ko)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부재
JP2004077579A (ja) 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