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207B1 - 수냉식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수냉식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0207B1 KR101180207B1 KR1020060084047A KR20060084047A KR101180207B1 KR 101180207 B1 KR101180207 B1 KR 101180207B1 KR 1020060084047 A KR1020060084047 A KR 1020060084047A KR 20060084047 A KR20060084047 A KR 20060084047A KR 101180207 B1 KR101180207 B1 KR 1011802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eat exchanger
- compressor
- level
- refriger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4—Outdoor unit with water as a heat sink or hea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와 물을 내부로 순환시켜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기의 일측에 제2열교환기 내부의 물 유무 및 물의 유동 여부를 감지하는 플로터스위치 및 냉각수온도/압력센서가 구비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0)와, 상기 압축기(210)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물과 열교환하는 판형상의 제2열교환기(290)와, 상기 제2열교환기(290)의 상/하부 일측에 제2열교환기(290)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292) 및 출수관(29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수관(292) 및 출수관(293)의 일측에는, 상기 입수관(292) 또는 상기 출수관(293)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물 유무를 감지하는 플로터스위치(320)와, 상기 입수관(292) 및 출수관(293)의 내부 수압 또는 수온을 측정하여 물의 유동 여부를 감지하는 유동감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열교환기의 과열 및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수냉식, 공기조화기, 제2열교환기, 물감지, 센서
Description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조감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채용된 일체형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작동시 건물 내부의 공기 및 물의 유동을 보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조감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실외측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실외측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a 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시 냉매 및 물의 흐름을 보인 구성도.
도 7b 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일구성인 플로터스위치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
도 8 a 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플로터스위치를 이용하여 수냉식 공기조화 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인 블럭도.
도 8 b 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냉각수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수냉식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인 블럭도.
도 8 c 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냉각수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수냉식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인 블럭도.
도 8 d 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플로터스위치와 유동감지수단을 동시에 이용하여 수냉식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인 블럭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시 냉매 및 물의 흐름을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측 110. 실내팬
120. 제1열교환기 130. 냉매관
132. 공통액관 134. 공통기관
200. 실외측 202. 수로
202'. 입수로 202". 출수로
204. 탑커버 204'. 보강빔
205. 전면판넬 206. 서비스판넬
207. 후면판넬 208. 측면판넬
208'. 방열구멍 209. 베이스팬
210. 압축기 212. 정속압축기
214. 인버터압축기 215. 냉매분사기
216. 균유관 217. 압축기토출온도센서
218. 오일분리기 219. 오일회수관
232. 체크밸브 240. 4방향밸브
240'. 고압센서 242. 4방입구포트
244. 4방1출구포트 246. 4방2출구포트
248. 4방3출구포트 250. 핫가스관
252. 핫가스밸브 260. 과냉각기
262. 실외액관 264. 역이송관
266. 과냉각팽창밸브 270. 어큐뮬레이터
272. 흡입배관온도센서 274. 저압센서
280. 컨트롤박스 282. 컨트롤커버
284. 방열부 290. 제2열교환기
292. 입수관 293. 출수관
294. 냉매입관 295. 냉매출관
320. 플로터스위치 322. 플로터
324. 너트 326. 스위치부
328. 씰러 340. 냉각수압력센서
342. 입수압력센서 344. 출수압력센서
360. 냉각수온도센서 362. 입수온도센서
364. 출수온도센서 B . 건물
C . 냉각탑 D . 덕트
H . 흡입구 R . 실내공간
S . 밀폐공간
본 발명은 수냉식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와 물을 내부로 순환시켜 냉매와 물을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기의 일측에 가열수단을 더 구비하여 동절기에 결빙이 방지되도록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매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근래에는 삶의 질 향상과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여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청정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공기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건습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을 겸하고 있다.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측('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측('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 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측에는 응축기(제2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측에는 증발기(제1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는 실외측과 실내측이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측과 실내측이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설치공간이나 소음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선호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실내 공기를 조화시에 과다하게 발생되는 전력 소비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선호되고 있으며, 활발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수냉식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실외공기에 의해 공냉되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응축기(제2열교환기)와는 달리 물에 의해 수냉되도록 한 것으로, 제2열교환기 내부로 물과 냉매가 섞이지 않은 상태로 경유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냉식 공기조화기는 세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압축기(11), 수냉식 응축기(12), 증발기(미도시), 그리고 팽창장치(미도시)가 냉매관(미도시)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냉식 응축기(12)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중관을 나선형으로 말아 중앙부가 빈 원기둥 모양의 외관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수냉식 응축기(12) 우측 외면에는 물이 내부로 유입된 후 경유하여 배수될 수 있도록 입수관(14) 및 출수관(16)이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입수관(14)과 출수관(16)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냉각탑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냉식 응축기(12)와 냉각탑 사이의 물 순환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냉식 응축기(12) 내부로 물과 냉매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동하게 되면 상기 수냉식 응축기(12)는 물과 냉매를 서로 열교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축기(11)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내부는 상기 수냉식 응축기(12)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1)에서 압축된 냉매는 수냉식 응축기(12)로 안내되며, 물과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한 수냉식 응축기(12)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일반적인 공냉식 공기조화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수냉식 응축기(12)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과 냉매가 서로 교차되도록 유입된다. 따라서, 수냉식 응축기(12) 내부에는 반드시 물이 유입되어야만 냉매와 열교환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수냉식 응축기(12)에는 물의 유무 및 물의 유동 여부를 감지하 기 위한 어떠한 구성도 기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실내 공기를 조화할 수 없으며 사용자는 제품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이 누수되거나 결빙되면 수냉식 응축기(12)의 파손을 야기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수냉식 응축기(12)가 파손되면 막대한 수리 비용이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매와 물을 내부로 순환시켜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기의 일측에 제2열교환기 내부의 물 유무를 감지하는 플로터스위치가 구비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와 물을 내부로 순환시켜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기의 일측에 제2열교환기 내부의 물의 유동 여부를 감지하는 냉각수온도센서 및 냉각수압력센서가 구비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수온도센서 및 냉각수압력센서 그리고 플로터스위치가 서로 연동하여 제2열교환기 내부의 물이 있는지 여부와 물 유동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제2열교환기의 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 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물과 열교환하는 판형상의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상/하부 일측에 제2열교환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 및 출수관과, 상기 출수관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출수관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출수관 내부의 물 유무를 감지하는 플로터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물과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상/하부 일측에 제2열교환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 및 출수관과, 상기 입수관 및 출수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입수관 및 출수관의 내부 수압을 측정하여 물의 유동 여부를 감지하는 냉각수압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물과 열교환하는 판형상의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상/하부 일측에 제2열교환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 및 출수관과, 상기 입수관 및 출수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입수관 및 출수관 내부의 물온도를 측정하여 물의 유동 여부를 감지하는 냉각수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물과 열교환하는 판형상의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의 상/하부 일측에 제2열교환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수관 또는 출수관의 일측에는, 상기 입수관 또는 상기 출수관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물 유무를 감지하는 플로터스위치와, 상기 입수관 및 출수관 의 내부 수압 또는 수온을 측정하여 물의 유동 여부를 감지하는 유동감지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감지수단은, 수압 또는 수온을 측정하는 냉각수압력센서 또는 냉각수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로터스위치는, 설정수위 이상일 때 상기 압축기는 작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수위는 출수관의 1/2 내경 높이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압력센서는, 상기 입수관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는 입수압력센서와, 상기 출수관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는 출수압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수압력센서와 출수압력센서가 측정한 수압차가 설정압력차 이하일 때 상기 압축기는 작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압력차는 20㎪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온도센서는, 상기 출수관 내부의 수온을 측정하는 출수온도센서와, 상기 입수관 내부의 수온을 측정하는 입수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수온도센서와 입수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차가 설정온도차 이하일 때 상기 압축기는 작동이 정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온도차는 3℃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제2열교환기 일측에 구비 된 플로터스위치가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과 출수관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와, 상기 플로터스위치가 측정한 측정수위와 설정수위를 제어부에서 비교하는 수위비교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비교된 측정수위와 설정수위의 차이값에 따라 압축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2열교환기 일측에 구비된 냉각수압력센서가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 및 출수관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측정단계와, 상기 냉각수압력센서가 측정한 입수관 및 출수관 내부의 수압차를 제어부에서 설정압력과 비교하는 수압비교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비교된 수압차와 설정압력의 차이값에 따라 압축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2열교환기 일측에 구비된 냉각수온도센서가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 및 출수관 내부의 물온도를 측정하는 수온측정단계와, 상기 냉각수온도센서가 측정한 입수관 및 출수관 내부의 수온차를 제어부에서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수온비교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비교된 수온차와 설정온도의 차이값에 따라 압축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2열교환기 일측에 구비된 플로터스위치가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과 출수관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와, 상기 제2열교환기 일측에 구비된 유동감지수단이 제2열교환기 내부의 물 유동 여부를 감지하는 유동감지단계와, 상기 플로터스위치가 측정한 측정수위를 제어부가 설정수위와 비교하는 수위비교단계와, 상기 수위비교단계에서 측정된 측정수위와 설정수위의 차이 값 및 상기 유동감지수단이 감지한 물 유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압축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감지단계는, 제2열교환기 일측에 구비된 냉각수압력센서 또는 냉각수온도센서가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 및 출수관 내부의 수압 또는 수온을 측정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측정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일 때 상기 압축기를 구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수압차가 설정압력 이상일 때 상기 압축기를 구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수온차가 설정온도 이하일 때 상기 압축기를 구동함을 인가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열교환기의 과열 및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조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채용된 일체형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작동시 건물 내부의 공기 및 물의 유동을 보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냉식 공기조화기는 건물(B)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밀폐공간(S)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밀폐공간(S)은 건물(B) 외부와는 밀폐되고, 천장에 천공된 흡입구(H)에 의해 실내공간(R)과 연통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공간(R)에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덕트(D)가 연결된다. 즉, 상기 수냉식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 한 후 다시 실내공간(R)으로 토출하는 실내측(100)과, 상기 실내측(100)과 냉매관(도 4의 도면부호 130)으로 연결되고, 상기 냉매관(130)을 통해 유입된 냉매를 물과 열교환하는 실외측(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덕트(D)는 실내측(100)과 실내공간(R)을 연통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200)에는 압축기(210) 및 어큐뮬레이터(도 6의 도면부호 270) 그리고 제2열교환기(290)와 실외전자밸브(도 7a의 도면부호 234, LEV:linear expansion valve) 등이 구비되고, 실내측(100)에는 제1열교환기(120)와 팽창밸브(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작동하게 되면 실내공간(R)의 공기는 흡입구(H)를 통해 천장으로 유입되며, 천장을 따라 유동한 공기는 상기 실내측(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내 공기의 순환을 위해 상기 실내측(100) 내부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하는 실내팬(110)이 구비되며, 상기 실내팬(110) 하측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120)가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120)는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게 될 제2열교환기(290)와 냉매관(130)으로 연결된다.
상기 냉매관(130)은 냉매가 실내측(100)과 실외측(200)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실외측(200)과 실내측(100) 사이에는 액체상태의 냉매가 흐르는 단일 배관인 공통액관(도 7a의 도면부호 132)과, 기체냉매가 흐르는 단일배관인 공통기관(도 7a의 도면부호 134)이 구비된다.
즉, 상기 공통액관(132)은 제2열교환기(290)와 제1열교환기(120)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공통기관(134)은 압축기(210)와 제1열교환기(120)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실내측(100)은 수냉식 공기조화기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에 차이는 있으나 그 내부 구성은 일반적인 실내기(미도시)의 구성과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실내측(100)의 하측에는 실외측(200)이 구비된다. 상기 실외측(200)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서 내부에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210)와, 상기 압축기(210)로부터 유입된 냉매와 건물(B) 옥상에 설치된 냉각탑(C)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내부를 경유하도록 하여 물과 냉매를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기(29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290)에는 상기 냉각탑(C) 내부와 연통되는 수로(202)가 설치되며, 상기 수로(202)는 냉각탑(C)으로부터 보내진 물이 제2열교환기(29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입수로(202')와, 상기 제2열교환기(290) 내부를 경유하면 서 냉매와 열교환된 물이 다시 냉각탑(C)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출수로(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멀티형으로 적용시 설치된 모습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멀티형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조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멀티형으로 적용시에 상기 실내측(100)과 실외측(200)은 서로 분리되며 냉매관(130)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실내측(100)은 실내공간(R)의 천장에 설치되고, 실외측(200)은 상기한 밀폐공간(S)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실외측(200)과 실내측(100)은 냉매관(130)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가 순환함으로써 실내공간(R)의 공기를 열교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100) 내부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실내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제1열교환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공간(R)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실내팬(110)이 더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일체형 수냉식 공기조화기와 마찬가지로 멀티형 수냉식 공기조화기에는 물과 냉매를 서로 열교환시키는 제2열교환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열교환기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와 물의 순환은 멀티/일체형과 상관없이 동일하므로 여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외측(200)의 구성을 멀티형 수냉식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실외측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실외측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a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시 냉매 및 물의 흐름을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실외측(200)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실외측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실외측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a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시 냉매 및 물의 흐름을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측(200)은 세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내측(100)과 실외측(200)을 구획하는 탑커버(204)와, 전면과 후면 외관을 각각 형성하는 전면판넬(205)과 후면판넬(207), 그리고, 좌/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판넬(208) 및 다수개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팬(209)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탑커버(204)는 실외측(200)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실내측(100) 내부를 경유하는 공기가 실외측(20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어떠한 구멍도 형성되지 않은 사각판 모양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탑커버(204)는 상측에 구비되는 실내측(100)을 지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탑커버(204)의 하면 테두리에는 탑커버(204)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빔(204')이 더 구비된다.
상기 탑커버(204)의 선단 하측에는 전면판넬(205)이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넬(205)의 중앙부 좌측과 하부 좌/우측에는 서비스판넬(206)이 형성된다. 상기 서비스판넬(206)은 상기 실외측(200)에 설치된 부품에 이상이 발생되어 서비스가 요구될 때 실외측(200)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으로, 1면을 제외한 나머지 3면이 슬릿(slit) 가공된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판넬(206)이 슬릿되지 않은 면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실외측(200) 내부는 외부와 연통되어 서비스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205)의 후면 좌/우측단에는 측면판넬(208)의 선단이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측면판넬(208)의 상부에는 상기 압축기(210)가 작동시에 발생하는 열이 실외측(20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절제된 방열구멍(208')이 다수개 천공된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탑커버(204), 전면판넬(205), 후면판넬(207) 및 측면판넬(208)의 일측에는 전술한 공통기관(134) 및 공통액관(132)이 실내측(100)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천공된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질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전면판넬(205), 후면판넬(207) 및 측면판넬(208)의 하단부에는 베이스팬(209)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팬(209)은 다수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 로, 상기 베이스팬(209)의 상면 중앙부에는 압축기(210)가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2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좌/우에 각각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축기(210)는 상대적으로 우측에 설치되어 정속운전을 하는 정속압축기(212)와, 상기 정속압축기(212)의 좌측에 설치되고 속도 가변이 가능한 가변속 열펌프(Variable Speed Heat Pump)인 인버터압축기(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210)의 입구측에는 냉매분사기(215)가 설치된다. 상기 냉매분사기(215)는 상기 압축기(210)가 운전상황에 따라 과열되는 경우 냉매를 공급하여 소손을 방지하는 것으로, 여기에 사용되는 냉매는 상기 제2열교환기(29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사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속압축기(212)와 인버터압축기(214) 사이에는 균유관(216)이 설치되어 정속압축기(212)와 인버터압축기(214)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어느 일측의 압축기(212,214)에서 급유부족이 발생하면, 다른 압축기로부터 보충되도록 하여 유량부족에 의한 압축기(210)의 소손을 방지한다.
상기 압축기(210)로는 소음이 작고 효율이 뛰어난 스크롤압축기가 사용되며, 특히 상기 인버터압축기(214)는 부하용량에 따라 회전수가 조절되는 인버터 스크롤 압축기이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210)에 가해지는 부하가 적은 경우에는 먼저 상기 인버터압축기(214)가 가동되며, 점차 부하용량이 증가하여 인버터압축기(214)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경우에는 비로소 상기 정속압축기(212)가 가동된다.
상기 압축기(210)의 출구 측에는 압축기(21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압축기토출온도센서(217) 및 오일분리기(218)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오일분리기(218)는 압축기(2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속에 섞여 있는 오일을 걸러내어 압축기(210)로 회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압축기(210)의 구동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오일(oil)이 냉매와 더불어 상기 압축기(210)의 출구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냉매속의 오일을 상기 오일분리기(218)에서 분리하여 오일회수관(219)을 통해 압축기(210)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일분리기(218)의 출구측에는 체크밸브(232)가 더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232)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정속압축기(212)나 인버터압축기(214) 중 어느 하나만 가동되는 경우에 정지중인 압축기 내부로 압축 냉매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오일분리기(218)는 배관에 의해 4방향밸브(240)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4방향밸브(240)는 냉,난방 운전에 따라 냉매의 흐름방향을 바꾸어 주도록 배설되는 것으로, 4방입구포트(242), 4방1출구포트(244), 4방2출구포트(246), 4방3출구포트(248)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포트는 압축기(210)의 출구(또는 오일분리기(218)), 압축기(210)의 입구(또는 어큐뮬레이터(270)), 제2열교환기(290) 및 실내측(10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정속압축기(212)와 인버터압축기(214)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한 곳으로 모아진 다음, 상기 4방향밸브(240)로 유입되는데 이러한 4방향밸브(240)의 입구에는 압축기(21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체크하는 고압센서(24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오일분리기(218)에서 상기 4방향밸브(240)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어큐뮬레이터(270)로 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핫가스관(250.hot gas)이 상기 4방향밸브(240)를 회유하여 설치된다.
상기 핫가스관(250)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중에 어큐뮬레이터(270)로 유입되는 저압의 냉매 압력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에 압축기(210) 토출구측의 고압 냉매가 압축기(210) 입구측으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핫가스관(250)에는 바이패스밸브인 핫가스밸브(252)가 설치되어 배관을 개폐한다.
상기 베이스팬(209)의 상면 우측 후단부에는 과냉각기(260)가 형성된다. 상기 과냉각기(260)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제2열교환기(290)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더욱 냉각되도록 하는 과냉각수단으로, 제2열교환기(290)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상기 실외액관(262)의 임의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과냉각기(260)는 이중관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실외액관(262)이 내측에 구비되고, 외측에는 역이송관(26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과냉각기(260)의 출구로부터 역이송관(264)이 분지되고, 이러한 역이송관(264)에는 냉매를 팽창에 의해 냉각시키는 과냉각팽창밸브(266)가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과냉각기(26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일부가 상기 역이송관(264)으로 유입되어 상기 과냉각팽창밸브(266)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냉매가 상기 과냉각기(260)를 역류하면서 내측의 냉매가 더욱 냉각되게 한다. 상기 과냉각기(260)를 빠져나온 역류냉매는 아래에서 설명할 어큐뮬레이터(270)로 다시 공급되어 순환된다.
한편 상기 과냉각기(260)의 출구에는 실외측(20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액관온도센서(263)가 설치되고, 상기 과냉각팽창밸브(266)의 출구에는 과냉각입구센서(265)가 구비되어 과냉각기(260)로 유입되는 역류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과냉각기(260)로부터 배출되는 역류냉매가 흐르는 역이송관(264)에는 과냉각출구센서(267)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2열교환기(290)를 통과한 냉매는 중앙부를 통해 흐르고 외부에는 팽창밸브(미도시)에 의해 팽창된 저온의 냉매가 반대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냉매의 온도가 더 낮아지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팬(209)의 좌측부, 즉 상기 인버터압축기(214)의 좌측에는 어큐뮬레이터(270)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270)는 액냉매를 걸러내어 기체상태의 냉매만 상기 압축기(210)로 유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실내측(10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중 기체로 증발되지 못하고 액상으로 남아있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210)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면,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 냉매로 형성시키는 압축기(210)에 부하가 증가되어 압축기(210)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큐뮬레이터(270) 내부로 유입된 냉매 중 미처 증발되지 못하고 액상으로 남아있는 냉매는 기상의 냉매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어큐뮬레이터(270)의 하부에 저장되고, 상부의 기체상태 냉매만 상기 압축기(210)로 유입된 다.
그리고, 상기 어큐뮬레이터(270)의 입구측에는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흡입배관온도센서(272)와 냉매의 압력을 체크하는 저압센서(274)가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전면판넬(205)의 후측에는 컨트롤박스(28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280)는 좌/우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단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도록 전면에 설치된 컨트롤커버(282)에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박스(280)의 내부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압트랜스, 인쇄회로기판(PCB) 및 커패시터 등의 제어부품이 구비되며, 후면에는 방열핀으로 이루어지는 방열부(284)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박스(280)의 후측에는 제2열교환기(29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290)는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물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세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외관을 가진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2열교환기(290)의 내부에는 물과 냉매가 서로 섞이지 않은 상태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물유동관 및 냉매유동관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다수개의 물유동관과 냉매유동관은 서로 인접한 상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물과 냉매가 서로 열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물유동관(미도시)의 주위에는 냉매유동관(미도시)이 둘러싸고 있고, 상기 냉매유동관 주위에는 물유동관이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물유동관과 냉매유동관은 동일한 단면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함이 바람 직하다.
예컨대 정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벌집형상으로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2열교환기(290)의 전면(도 6에서 볼 때)에는 제2열교환기(290) 내부로 물 또는 냉매가 유출/입되도록 안내하는 입/출수관(292,293) 및 냉매입/출관(294,295)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290)의 전면에서 우측 상/하부에는 제2열교환기(290)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물유동관과 연통됨으로써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292)과 출수관(293)이 형성되며, 상기 입수관(292)은 출수관(293)의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기(290)의 전면에서 좌측 상/하부에는 제2열교환기(290)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냉매유동관(미도시)과 연통됨으로써 냉매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냉매입관(294)과 냉매출관(295)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입관(294)은 냉매출관(295)의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2열교환기(290) 내부로 물과 냉매가 유입되면, 물은 상기 제2열교환기(290) 내부의 물유동관을 따라 안내되어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2열교환기(290)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유동관을 따라 안내되어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290) 내부에서는 물과 냉매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교차됨으로써 물과 냉매의 열교환 효율은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열교환기(290)의 일측,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입수관(292)과 출수관(293)의 외면 일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냉각수온도센서(360)가 구비된다.
상기 냉각수온도센서(360)는 제2열교환기(290) 내부를 경유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입수관(292)의 외면 일측에 구비된 입수온도센서(362)와, 상기 출수관(293)의 외면에 구비된 출수온도센서(3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수온도센서(362)는 상기 입수관(292)을 통해서 제2열교환기(29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출수온도센서(364)는 상기 출수관(293)을 통해 제2열교환기(290)를 빠져나오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온도센서(360)는 입수온도센서(362)와 출수온도센서(364)가 측정한 수온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제2열교환기(290) 내부의 물 유동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압축기(21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입수온도센서(362)와 출수온도센서(364)는 상기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입수온도센서(362)와 출수온도센서(364)가 측정한 물의 온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입수온도센서(362)와 출수온도센서(364)로부터 받은 두개의 수온을 서로 차감(출수관(293)의 물온도에서 입수관(292)의 물온도를 뺌)한 후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차(3℃)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압축기(21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냉방 모드로 운전시에 상기 입 수관(292)과 출수관(293) 내부를 경유하는 물의 온도차가 3℃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2열교환기(290) 내부에서 냉매와 물의 열교환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은 물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압축기(210)의 작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물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나 부저(buzzer)에 신호를 보내어 사용자로 하여금 제2열교환기(290) 내부의 물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임을 인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입수관(292)과 출수관(293)의 일측에는 수압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290) 내부의 물 유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유동감지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유동감지수단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력과 온도를 이용한 냉각수압력센서(340)와 냉각수온도센서(360)가 적용되어 있으나, 이 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냉각수압력센서(340)는 입수관(292)과 출수관(293) 내부를 경유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입수관(292)의 외면 일측에 구비된 입수압력센서(342)와 상기 출수관(293)의 외면 일측에 구비된 출수압력센서(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압력센서(340)는 냉각수온도센서(360)와 마찬가지로 측정된 수압 데이터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입수압력센서(342)와 출수압력센서(344)가 보내온 두개의 수압 데이터를 차감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차와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즉, 입수압력센서(342)와 출수압력센서(344)는 상기 인쇄회로기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입수압력센서(342)와 출수압력센서(344)가 측정한 수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입수압력센서(342)와 출수압력센서(344)로부터 받은 두개의 압력을 서로 차감(출수관(293) 내부의 수압과 입수관(292) 내부의 수압을 뺌)한 후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차(20㎪)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압축기(21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냉방 모드로 운전시에 상기 입수관(292)과 출수관(293) 내부를 경유하는 물의 압력차가 20㎪이상일 때에는 내부에 제2열교환기(290) 내부에 이물이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고, 난방 모드로 운전시에는 상기 제2열교환기 내부의 물이 결빙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압축기(210)의 동작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물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나 부저(buzzer)에 신호를 보내어 사용자로 하여금 제2열교환기(290) 내부의 물 유동이 원활하지 않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대로, 상기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냉방 및 난방 모드로 운전시 상기 입수관(292)과 출수관(293) 내부의 수압차가 20㎪미만인 경우에는 원활한 물 유동이 가능한 상태임을 판단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압축기(21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정상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출수관(293)의 일측에는 출수관(293)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수위 를 측정하여 물의 유무를 감지하는 플로터스위치(32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로터스위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b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일구성인 플로터스위치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로터스위치(320)는 부력(浮力)을 이용하여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출수관(293)의 외주면 상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고정되며 상기 플로터스위치(320) 내부에는 플로터(322)가 구비된다.
즉, 상기 플로터(322)는 내부에 공기가 밀폐된 상태로 수용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출수관(293)의 내/외측에는 너트(324)가 각각 한 개씩 구비되어 상기 플로터스위치(320)의 상부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플로터스위치(320)가 출수관(293)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면 상기 플로터(322)는 상기 출수관(293)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높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플로터(322)의 상측에는 플로터(322)가 부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유동시에 상기 플로터(322)의 상단부와 접촉하여 선택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부(326)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부(326)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플로터(322)와 접촉시에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 쇄회로기판은 스위치부(326)로부터 받은 전기적 신호를 통해 상기 압축기(21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터스위치(320)는 출수관(293) 내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설정수위 이상일 때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290)가 물과 냉매를 열교환하기 위해서 물은 상기 출수관(293) 내부에 절반 이상이 채워져야 한다. 즉, 상기 설정수위는 출수관(293)의 1/2 내경 높이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326)는 설정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기적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플로터(322)의 부상위치를 고려한 높이에 설치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출수관(293) 내경 높이의 절반만큼 물이 채워졌을 때 비로소 상기 플로터(322)는 스위치부(326)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너트(324) 사이에는 고무 재질의 씰러(328)가 구비되며, 상기 씰러(328)는 출수관(293)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도 7a 를 참조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290)의 하측에는 열교환기지지대(298)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지지대(298)는 제2열교환기(290)를 지지하여 베이스팬(209)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열교환기지지대(298)의 상면은 제2열교환기(290)의 하면보다 조금 더 큰 면적을 가지며, 후반부는 상면 후단에서 하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지지대(298)의 하단부는 베이스팬(209)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도 7a 및 도 8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a 내지 도 8d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시 냉매 및 물의 흐름을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냉방 모드로 운전시에 냉매 흐름을 살펴보기에 앞서 상기 제2열교환기(290)에 설치된 플로터스위치(320)는 출수관(293) 내부의 수위를 측정 중(수위측정단계:S120)이며, 상기 냉각수압력센서(340)와 냉각수온도센서(360)는 출수관(293)과 입수관(292) 내부를 경유하는 물의 압력 및 온도를 측정중에 있다.(수압측정단계(S140) 및 수온측정단계(S160))
따라서, 상기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이 되려면, 상기 출수관(293) 내부에는 물이 반이상 채워져 상기 플로터(322)와 스위치부(326)가 접촉한 상태여야 한다(도 7b 참조). 즉, 상기 플로터(322)와 스위치부(326)의 접촉으로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인쇄회로기판에 전달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290) 내부에 물이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출수관(293)과 입수관(292) 내부의 물은 상기 냉각수압력센서(340)와 냉각수온도센서(360)에 의해 감지되어 유동되고 있는지(유동감지단 계:S200) 이와 동시에 유동이 원활한지 측정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플로터스위치(320)가 측정한 측정수위와 설정수위를 비교하고(수위비교단계:S220), 상기 냉각수압력센서(340)가 측정한 입수관 및 출수관 내부의 수압차를 설정압력과 비교하며(수압비교단계:S240), 상기 냉각수온도센서가 측정한 입수관 및 출수관 내부의 수온차를 설정온도와 비교(수온비교단계:S260)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냉식 공기조화기는 상기 출수압력센서(344)와 입수압력센서(342)가 측정한 수압의 차이가 20㎪이내이고, 상기 출수온도센서(364)와 입수온도센서(362)에서 측정한 수온의 차이가 3℃이상일 때 작동 가능하게 된다.
만일 상기 출수압력센서(344)와 입수압력센서(342)가 측정한 수압의 차이가 20㎪이상이 되면, 동절기의 경우 제2열교환기(290) 내부의 물이 결빙된 상태임을 알 수 있고, 하절기의 경우 제2열교환기(290) 내부에 이물이 적재된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온도센서(364)와 입수온도센서(362)에서 측정한 수온의 차이가 3℃이하가 되면, 동절기의 경우 제2열교환기(290) 내부의 물이 결빙된 상태임을 알 수 있고, 하절기의 경우 제2열교환기(290) 내부에 이물이 적재된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압력센서(340)와 냉각수온도센서(360)는 측정의 대상이 다를 뿐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은 동일하므로 이 둘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야 무방하다.
또한, 상기 플로터스위치(320) 역시 결빙이 발생되는 동절기만 아니라면 냉각수압력센서(340)와 냉각수온도센서(360)의 작동을 정지(off)시킨 상태에서 단독으로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플로터스위치(320)와 냉각수압력센서(340) 및 냉각수온도센서(360)에 의해 감지된 제2열교환기(290) 내부의 수위 및 유동 여부가 냉매와 열교환 될 수 있는 정상 범위에 들면 상기 제어부는 이러한 신호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보내게 된다.
그리고, 사익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받은 신호에 따라 압축기(210)에 전원을 인가(제어단계:S300)하여 냉매가 압축함으로써 상기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냉방 모드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실외전자밸브(234)는 개방되어 냉매가 실외측(200)과 실내측(100) 사이를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상태이다.
상기 실외측(200)에서의 냉매유동을 살펴보면, 실내측(100)으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냉매는 상기 4방3출구포트(248)를 통해 4방향밸브(240) 내부를 경유한 후 상기 4방2출구포트(246)를 통해 어큐뮬레이터(270)로 들어간다. 상기 어큐뮬레이터(270)를 나온 기체 냉매는 압축기(210)로 유입된다.
상기 압축기(2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압축기(210) 외부로 토출되어 오일분리기(218)를 통과한다. 상기 오일분리기(218)에서는 냉매 중에 함유된 오일(oil)이 분리되어 상기 오일회수관(219)을 통해 상기 압축기(210)로 회수된다.
즉, 상기 압축기(210)에서 냉매가 압축되면서 오일(oil)이 냉매속에 섞이게 되는데, 이러한 오일은 액체상태이고 냉매는 기체상태이므로 기/액분리기인 오일분리기(218)에서 분리된다.
한편 상기 정속압축기(212)와 인버터압축기(214)를 연결하고 있는 균유관(216)에 의해 양측의 압축기(210) 내부 오일은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오일분리기(218)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4방입구포트(242)를 통해 4방향밸브(240) 내부로 유입되어 경유한 후 상기 4방1출구포트(244)를 통해 상기 제2열교환기(290)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열교환기(290)로 유동한 냉매는 냉매입관(294)을 통해 제2열교환기(290)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냉각탑(C)으로부터 입수관(292)을 통해 제2열교환기(290) 내부로 유입된 물과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어 액냉매가 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29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과냉각기(260)를 통과하면서 더욱 냉각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열교환기(290) 내부에서 냉매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데워진 물은 상기 출수관(293)을 통해 제2열교환기(290) 외부로 토출된 후 상기 출수로(202")를 통해 냉각탑(C)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냉각탑(C) 내부로 유입된 물은 냉각된 후 상기 입수로(202')를 통해 다시 제2열교환기(290)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과냉각기(260)를 통과한 냉매는 냉매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를 거친 다음, 상기 실내측(100) 내부로 유입되며, 팽창밸브에 의해 감압된 후 제1열교환기(120)에서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열교환기(120)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므로, 냉매는 열교환을 통해 저압가스가 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120)를 경유하면서 열교환된 냉매는 상기 공통기관(134)을 따라 유동한 후 4방향밸브(240)를 거쳐 어큐뮬레이터(27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270)에서는 미처 증발되지 못한 액상상태의 냉매는 걸러지고, 기체상태의 냉매만 선별되어 상기 압축기(210)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하나의 냉방 사이클(cycle)이 완성된다.
한편, 동절기에 수냉식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으로 작동시에 냉매 흐름을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압축기(210)로부터 압축된 냉매는 실내측(100)을 경유한 후 실외액관(262)을 통해 실외측(200)으로 유입되며, 이후 상기 제2열교환기(290) 내부를 경유하면서 물과 열교환된다.
그리고, 열교환된 냉매는 상기 4방1출구포트(244)와 4방2출구포트(246)를 차례로 지나 상기 어큐뮬레이터(270) 내부에서 액냉매가 걸러진 후 상기 압축기(210)로 유입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난방 사이클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에서는, 냉매와 물을 내부로 순환시켜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기의 일측에 제2열교환기 내부의 물 수위를 감지하는 플로터스위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물이 없거나 적정 수준 이하의 수위일 때 발생될 수 있는 제2열교환 기의 과열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냉식 공기조화기에서는, 제2열교환기의 일측에 제2열교환기 내부의 물의 유동 여부를 감지하는 냉각수온도센서 및 냉각수압력센서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2열교환기 내부의 이물 적재 여부 및 결빙 여부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게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이점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 신뢰도 향상도 기대됨은 물론이다.
Claims (21)
-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물과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기;상기 제2열교환기의 상/하부 일측에 제2열교환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 및 출수관;상기 입수관 또는 상기 출수관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물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입수관 또는 출수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수단; 및상기 입수관 또는 출수관 내부 수압 또는 수온을 측정하여 물의 유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입수관 또는 출수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동감지수단;을 포함하고,상기 수위감지수단 및 유동감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를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동량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가 작동되고,냉각수의 유동량이 일정 수준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유동감지수단은, 수압 또는 수온을 측정하는 냉각수압력센서 또는 냉각수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위감지수단으로 감지된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일 때 상기 압축기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설정수위는 냉각수 유로의 내경의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냉각수압력센서는,상기 입수관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는 입수압력센서; 및상기 출수관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는 출수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입수압력센서와 출수압력센서가 측정한 수압차가 설정압력차 이하일 때 상기 압축기는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설정압력차는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냉각수온도센서는,상기 출수관 내부의 수온을 측정하는 출수온도센서; 및상기 입수관 내부의 수온을 측정하는 입수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출수온도센서와 입수온도센서가 측정한 온도차가 설정온도차 이하일 때 상기 압축기는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설정온도차는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
- 제2열교환기 일측에 구비된 플로터스위치가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과 출수관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단계;상기 제2열교환기 일측에 구비된 유동감지수단이 제2열교환기 내부의 물 유동 여부를 감지하는 유동감지단계;상기 플로터스위치가 측정한 측정수위를 제어부가 설정수위와 비교하는 수위비교단계; 및상기 수위비교단계에서 측정된 측정수위와 설정수위의 차이값 및 상기 유동감지수단이 감지한 물 유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열교환기를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동량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에는 압축기가 작동되고, 냉각수의 유동량이 일정 수준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의 작동이 정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측정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일 때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유동감지단계는, 제2열교환기 일측에 구비된 냉각수압력센서 또는 냉각수온도센서가 물의 유출/입을 안내하는 입수관 및 출수관 내부의 수압 또는 수온을 측정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측정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이거나, 수압차가 설정압력 미만이거나, 수온차가 설정온도 이상일 때,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측정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이거나, 수압차가 설정압력 이상이거나, 수온차가 설정온도 미만일 때,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4047A KR101180207B1 (ko) | 2006-09-01 | 2006-09-01 | 수냉식 공기조화기 |
EP07746004.6A EP2057423A4 (en) | 2006-09-01 | 2007-04-16 | WATER COOLED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CT/KR2007/001841 WO2008026813A2 (en) | 2006-09-01 | 2007-04-16 | Water-cooled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US11/785,244 US20080053141A1 (en) | 2006-09-01 | 2007-04-16 | Water-cooled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CNA2007101034630A CN101135477A (zh) | 2006-09-01 | 2007-05-18 | 水冷式空调机和控制该空调机的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4047A KR101180207B1 (ko) | 2006-09-01 | 2006-09-01 | 수냉식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0770A KR20080020770A (ko) | 2008-03-06 |
KR101180207B1 true KR101180207B1 (ko) | 2012-09-10 |
Family
ID=3913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4047A KR101180207B1 (ko) | 2006-09-01 | 2006-09-01 | 수냉식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053141A1 (ko) |
EP (1) | EP2057423A4 (ko) |
KR (1) | KR101180207B1 (ko) |
CN (1) | CN101135477A (ko) |
WO (1) | WO2008026813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3342A (ko) * | 2017-02-13 | 2018-08-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5223B1 (ko) * | 2005-10-28 | 2007-04-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부분 과부하 해소방법 |
KR100830663B1 (ko) * | 2007-06-26 | 2008-05-20 | 범양공조산업 주식회사 | 고층용 수냉식 공기조화기 |
CN101761999B (zh) * | 2009-09-11 | 2012-07-25 | 沃姆制冷设备(上海)有限公司 | 户用中央空调节能自动防冻控制方法及用该方法的空调机 |
CN101825329A (zh) * | 2010-03-25 | 2010-09-08 |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 空调器的换气装置 |
WO2012049702A1 (ja) * | 2010-10-12 | 2012-04-19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KR102283905B1 (ko) * | 2014-12-30 | 2021-08-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CN106196520A (zh) * | 2015-05-08 | 2016-12-07 |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 水机组的控制方法及空调器 |
CN106440926B (zh) * | 2016-11-29 | 2018-12-07 | 郭琦 | 一种热交换流体流动的检测方法和监控系统 |
CN110002554A (zh) * | 2019-05-23 | 2019-07-12 | 洛阳中的电子科技有限公司 | 家用智能电脉冲阻垢器 |
JP7332882B2 (ja) * | 2019-09-30 | 2023-08-24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四方弁 |
CN117847892A (zh) * | 2022-12-29 | 2024-04-09 | 江苏大正饲料科技有限公司 | 一种加工食品用的冷冻保鲜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82915A (en) * | 1989-12-20 | 1993-02-02 | Kabushiki Kaisha Toshiba | Portable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
JP2675684B2 (ja) * | 1990-05-10 | 1997-11-12 | 株式会社東芝 | 熱交換器の異常監視装置 |
JP3094602B2 (ja) * | 1991-11-21 | 2000-10-03 | 株式会社デンソー | トイレ用空調装置 |
US5495723A (en) * | 1994-10-13 | 1996-03-05 | Macdonald; Kenneth | Convertible air conditioning unit usable as water heater |
JPH09105551A (ja) * | 1995-10-09 | 1997-04-22 | Hitachi Ltd | 空気調和機 |
KR20030075719A (ko) * | 2002-03-20 | 2003-09-2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냉각탑 일체형 멀티수냉식 컨덴싱 유닛 공조시스템 |
JP4055692B2 (ja) * | 2003-10-08 | 2008-03-0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
US20060218949A1 (en) * | 2004-08-18 | 2006-10-05 | Ellis Daniel L | Water-coole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condenser water regeneration for precise air reheat in dehumidifying mode |
-
2006
- 2006-09-01 KR KR1020060084047A patent/KR1011802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
- 2007-04-16 US US11/785,244 patent/US2008005314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7-04-16 EP EP07746004.6A patent/EP2057423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7-04-16 WO PCT/KR2007/001841 patent/WO2008026813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5-18 CN CNA2007101034630A patent/CN101135477A/zh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3342A (ko) * | 2017-02-13 | 2018-08-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KR102638181B1 (ko) | 2017-02-13 | 2024-02-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8026813A2 (en) | 2008-03-06 |
WO2008026813A3 (en) | 2009-06-11 |
EP2057423A4 (en) | 2014-04-02 |
KR20080020770A (ko) | 2008-03-06 |
CN101135477A (zh) | 2008-03-05 |
EP2057423A2 (en) | 2009-05-13 |
US20080053141A1 (en) | 2008-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0207B1 (ko) | 수냉식 공기조화기 | |
KR101340725B1 (ko) | 수냉식 공기조화기 | |
KR101152472B1 (ko) | 지열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 |
KR20070119839A (ko) | 지열공조 시스템 | |
KR101264429B1 (ko) | 수냉식 공기조화기 | |
KR101198457B1 (ko) | 수냉식 공기조화기 | |
US8997514B2 (en) | Air-conditioning apparatus with a control unit operating as an evaporator | |
KR101135809B1 (ko) | 수냉식 공기조화기 | |
KR20080020771A (ko) | 수냉식 공기조화기 | |
CN104165422A (zh) | 水侧换热系统、水源热泵空调及其控制方法 | |
KR101175374B1 (ko) | 지열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 |
US7721559B2 (en) | Multi-type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205679B1 (ko) | 지열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의 급탕장치 | |
KR101205561B1 (ko) | 수냉식 공기조화기 | |
KR101179030B1 (ko) | 수냉식 공기조화기 | |
KR101526339B1 (ko) |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82493B1 (ko) | 냉난방 시스템 | |
CN213238035U (zh) | 一种集成氟泵的机房冷却机组 | |
KR100607864B1 (ko) | 안전성 및 신뢰성이 확보된 지열히트펌프 | |
CN219913686U (zh) | 液冷温控机组 | |
CN215113819U (zh) | 烘干机 | |
KR0117025Y1 (ko) | 열교환기 | |
CN111023369A (zh) | 一种冷媒循环系统及空调 | |
KR20100046692A (ko) | 히트펌프 연동 수열교환식 공기조화기 | |
KR20070111930A (ko) | 지열을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