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670B1 - 동축 케이블 연결용 커텍터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 연결용 커텍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9670B1 KR101189670B1 KR1020110039474A KR20110039474A KR101189670B1 KR 101189670 B1 KR101189670 B1 KR 101189670B1 KR 1020110039474 A KR1020110039474 A KR 1020110039474A KR 20110039474 A KR20110039474 A KR 20110039474A KR 101189670 B1 KR101189670 B1 KR 1011896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xial cable
- insertion hole
- circumferential surface
- coupled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2—Bending-reliev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동축 케이블 연결용 커텍터가 개시된다. 상기 커넥터는 제 1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는 수(male) 커넥터부,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과 상이한 유연성을 가지는 제 2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는 암(female) 커넥터부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커넥터부의 제 1 몸체와 상기 암커넥터부의 제 2 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커넥터부는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1 신호핀, 상기 제 1 신호핀과 절연되어 있고, 일 단부에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삽입되며, 타 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일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1 몸체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제 1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암커넥터부는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신호핀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신호핀, 상기 제 2 신호핀과 절연되어 있고, 일 단부에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삽입되며, 타 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일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2 몸체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 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축 케이블들의 연결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 기기들 상에는 다양한 신호들이 전송된다. 신호가 전송되는 통신 기기들은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축 케이블은 고주파 특성이 뛰어나고 내압이 다른 케이블보다 크기 때문에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나 광대역 신호 전송에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동축 케이블은 주로 비디오 신호, 구형파 및 펄스 신호등의 전송용으로서 사용 대상물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동축 케이블과 사용 대상물과의 연결은 주로 커넥터를 매개체로 하여 연결되고 있다.
종래의 동축 케이블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사용 대상물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뻣뻣한(rigid) 동축 케이블에서는 균열(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설치 용도 및 작업 현장에 따라 동축 케이블이 빈번하게 휘어지거나 회전하므로,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단선이거나 동축 케이블의 직경이 커서 유연성이 작은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동축 케이블이 꺾여서 균열이 발생하거나 동축 케이블의 피복에 균열이 발생하여 피복이 벗겨지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연성이 작은 동축 케이블 중 균열(crack)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유연성이 큰 동축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 1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는 수(male) 커넥터부,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과 상이한 유연성을 가지는 제 2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는 암(female) 커넥터부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커넥터부의 제 1 몸체와 상기 암커넥터부의 제 2 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커넥터부는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1 신호핀, 상기 제 1 신호핀과 절연되어 있고, 일 단부에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삽입되며, 타 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일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1 몸체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제 1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암커넥터부는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신호핀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신호핀, 상기 제 2 신호핀과 절연되어 있고, 일 단부에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삽입되며, 타 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일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2 몸체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 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핀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삽입되거나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납땜되고, 상기 제 2 신호핀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삽입되거나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납땜되며 일 단부에 상기 제 1 신호핀의 일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신호핀을 둘러싸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신호핀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내경은 상기 제 2 영역의 내경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몸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이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영역의 일 단부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몸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이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영역의 일 단부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홈의 내주면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1 링 및 상기 제 2 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홈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2 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일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신호핀, 상기 신호핀과 절연되어 있고, 상기 동축 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내주면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 영역의 일 단부에 링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일 단부에서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신호핀, 상기 신호핀과 절연되어 있고, 상기 동축 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내주면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 영역의 일 단부에 링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유연성이 작은 동축 케이블에 유연성이 큰 동축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유연성이 작은 동축 케이블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균열(crack)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유연성이 작은 동축 케이블만 사용하는 경우 균열(crack)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이용하여 유연성이 큰 동축 케이블을 연결함으로써, 사용 대상물이 움직이는 경우 동축 케이블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이용하여 유연성이 작은 동축 케이블과 유연성이 큰 동축 케이블을 연결하고 유연성이 큰 동축 케이블을 사용 대상물에 장착하는 경우, 유연성이 작은 동축 케이블을 사용 대상물에 장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 대상물에 동축 케이블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male)커넥터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커넥터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커넥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암(female)커넥터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암커넥터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암커넥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3의 수커넥터부 또는 제 4 내지 도 6의 암커넥터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3의 수커넥터부 또는 제 4 내지 도 6의 암커넥터부에 결합되는 제 1 링 또는 제 2 링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3의 수커낵터부와 도 4 내지 도 6의 암커넥터부가 결합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male)커넥터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커넥터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커넥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암(female)커넥터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암커넥터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암커넥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3의 수커넥터부 또는 제 4 내지 도 6의 암커넥터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3의 수커넥터부 또는 제 4 내지 도 6의 암커넥터부에 결합되는 제 1 링 또는 제 2 링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3의 수커낵터부와 도 4 내지 도 6의 암커넥터부가 결합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male)커넥터부(10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커넥터부(10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커넥터부(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커넥터부(100)는 제 1 신호핀(150), 제 1 몸체(130) 및 제 1 하우징(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동축 케이블(110)은 중심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 도체(111)가 위치하고, 내부 도체(111)를 중심으로 절연체(117)가 둘러싸여 있다. 그리고, 제 1 동축 케이블(110)은 절연체(117)의 외측으로 외부 도체(113)가 둘러싸여 있으며, 외부 도체(113)의 외측으로 피복(115)이 둘러싸여 있다. 제 1 동축 케이블(110)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또는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과 그 구성이 유사하므로 이하 제 1 동축 케이블(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수커넥터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타 단부는 사용 대상물 또는 다른 동축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타 단부에 상기 사용 대상물이 연결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고,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타 단부에 다른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6의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신호핀(150)은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내부 도체(111)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 신호핀(150)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내부 도체(111)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내부 도체(111)는 제 1 신호핀(150)에 억지끼움되거나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신호핀(150)은 일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신호핀(150)은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내부 도체(111)가 삽입되는 제 1 삽입부(151) 및 제 1 삽입부(151)의 일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55)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삽입부(151)는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내부 도체(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돌출부(155)는 제 1 삽입부(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몸체(130)는 제 1 신호핀(150)과 절연되어 있고,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외부 도체(113)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 몸체(13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외부 도체(113)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외부 도체(113)의 외주면이 제 1 몸체(130)의 내주면에 결합되도록, 제 1 동축 케이블(110)이 제 1 몸체(130)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제 1 몸체(13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영역의 일 단부에 제 1 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홈의 내주면과 제 1 하우징(170)의 내주면 사이에 제 1 링이 결합되어 제 1 하우징(170)의 내부에 유입된 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제 1 링의 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링에 대하여는 도 9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 상기 제 1 링이 결합되는 형상과 관련하여서는 도 11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몸체(130)는 제 1 삽입구(131), 제 2 삽입구(133) 및 제 3 삽입구(135)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삽입구(133)의 외경은 제 1 삽입구(131)의 외경 및 제 3 삽입구(135)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즉, 제 2 삽입구(133)는 제 1 몸체(13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2 삽입구(133) 중 상기 돌출 형성된 영역의 일 단부에 상기 제 1 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 1 삽입구(131), 제 2 삽입구(133) 및 제 3 삽입구(135)는 내경이 동일할 수 있다. 제 1 삽입구(131), 제 2 삽입구(133) 및 제 3 삽입구(135)의 내주면은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삽입구(133)의 홈이 형성된 외주면 및 상단의 외주면은 제 1 하우징(17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제 1 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 1 하우징(170)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 1 몸체(13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70)은 내주면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제 1 하우징(170)의 내주면 중 일 부분은 제 2 삽입구(133)의 홈이 형성된 외주면 및 제 2 삽입구(133)의 상단의 외주면에 결합에 제 1 하우징(17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하우징(170)의 내주면 중 일 부분이 제 2 삽입구(133)의 외주면 중 일 부분에 결합되어 제 1 하우징(170)이 제 1 동축 케이블(11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7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홈이 형성되어 다른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제 1 하우징(170)의 외주면에 수나사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주면에 암나사홈이 형성되어 다른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70)이 다른 하우징에 결합되는 실시예에 관하여는 도 11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 1 하우징(170)에는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하우징(170)이 다른 하우징과 결합된 경우 상기 홈에 체결수단(예를 들어, 나사)을 결합하여 제 1 하우징(170)과 다른 하우징을 보다 단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홈은 제 1 하우징(170)에서 수나사홈 또는 암나사홈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암(female)커넥터부(400)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암커넥터부(40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암커넥터부(400)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암커넥터부(400)는 제 2 신호핀(450), 제 2 몸체(430) 및 제 2 하우징(4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제 1 동축 케이블(110)과 유사하다. 즉, 제 2 동축 케이블(410)은 중심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내부 도체(411)가 위치하고, 내부 도체(411)를 중심으로 절연체(417)가 둘러싸여 있다. 그리고, 제 2 동축 케이블(410)은 절연체(417)의 외측으로 외부 도체(413)가 둘러싸여 있으며, 외부 도체(413)의 외측으로 피복(415)이 둘러싸여 있다. 제 2 동축 케이블(410)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또는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과 그 구성이 유사하므로 이하 제 2 동축 케이블(4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암커넥터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타 단부는 사용 대상물 또는 다른 동축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타 단부에 상기 사용 대상물이 연결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고,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타 단부에 다른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6의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다.
제 2 신호핀(450)은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내부 도체(411)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 신호핀(450)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 1 동축 케이블(410)의 내부 도체(411)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내부 도체(411)는 제 2 신호핀(450)에 억지끼움되거나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그리고, 제 2 신호핀(450)은 일 단부에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45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신호핀(450)은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내부 도체(411)가 삽입되는 제 2 삽입부(455) 및 제 2 삽입부(455)의 일 단부에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451)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삽입부(455)는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내부 도체(4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결합홈(451)은 제 2 삽입부(4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몸체(430)는 제 2 신호핀(450)과 절연되어 있고,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외부 도체(413)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 몸체(43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외부 도체(413)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외부 도체(413)의 외주면이 제 2 몸체(430)의 내주면에 결합되도록, 제 2 동축 케이블(410)이 제 2 몸체(430)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제 2 몸체(43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영역의 일 단부에 제 2 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홈의 내주면과 제 2 하우징(470)의 내주면 사이에 제 2 링이 결합되어 제 2 하우징(470)의 내부에 유입된 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제 2 링의 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링에 대하여는 도 9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 상기 제 2 링이 결합되는 형상과 관련하여서는 도 11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몸체(430)는 제 4 삽입구(431), 제 5 삽입구(433) 및 제 6 삽입구(435)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5 삽입구(433)의 외경은 제 4 삽입구(431)의 외경 및 제 6 삽입구(435)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즉, 제 5 삽입구(433)는 제 2 몸체(43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5 삽입구(433) 중 상기 돌출 형성된 영역의 일 단부에 상기 제 2 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 4 삽입구(431), 제 5 삽입구(433) 및 제 6 삽입구(435)는 내경이 동일할 수 있다. 제 4 삽입구(431), 제 5 삽입구(433) 및 제 6 삽입구(435)의 내주면은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5 삽입구(433)의 홈이 형성된 외주면 및 상단의 외주면은 제 2 하우징(47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제 2 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 2 하우징(470)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 2 몸체(13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470)은 내주면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제 2 하우징(470)의 내주면 중 일 부분은 제 5 삽입구(433)의 홈이 형성된 외주면 및 제 5 삽입구(433)의 상단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 2 하우징(47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하우징(470)의 내주면 중 일 부분이 제 5 삽입구(433)의 외주면 중 일 부분에 결합되어 제 2 하우징(470)이 제 2 동축 케이블(410)로부터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47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홈이 형성되어 다른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제 2 하우징(470)의 내주면에 암나사홈이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 내지 도 3의 제 1 하우징(170)과 같이 외주면에 수나사홈이 형성되어 다른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470)이 다른 하우징에 결합되는 실시예에 관하여는 도 11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 2 하우징(470)에는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하우징(470)이 다른 하우징과 결합된 경우 상기 홈에 체결수단(예를 들어, 나사)을 결합하여 제 2 하우징(470)과 다른 하우징을 보다 단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홈은 제 2 하우징(470)에서 수나사홈 또는 암나사홈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3의 수커넥터부(100) 또는 제 4 내지 도 6의 암커넥터부(400)에 결합되는 연결부(7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연결부(7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70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이 단차를 가지고 있으며 수커넥터부(100)의 제 1 몸체(130)와 암커넥터부(400)의 제 2 몸체(4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연결부(700)의 일 단부는 제 1 몸체(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단부는 제 2 몸체(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700)는 수커넥터부(100)의 제 1 몸체(130)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암커넥터부(400)의 제 2 몸체(430)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700)가 수커넥터부(100)의 제 1 몸체(130) 및 암커넥터부(400)의 제 2 몸체(430)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11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결부(700)는 내경이 상이한 제 1 영역(710) 및 제 2 영역(7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영역(710)과 제 2 영역(720)의 중공부에는 제 1 신호핀(150) 또는 제 2 신호핀(450)이 접촉하지 않으면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신호핀(150)과 제 2 신호핀(450)이 서로 다른 입출력 임피던스를 가지는 경우, 제 1 영역(710)과 제 2 영역(720)은 내경이 상이하게 하여 제 1 신호핀(150) 및 제 2 신호핀(450) 각각을 둘러싸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임피던스 매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도체의 직경이 상이한 동축 케이블끼리 연결하는 경우, 직경이 작은 내부 도체에 연결되는 신호핀이 제 1 영역(710)에 삽입되고 직경이 큰 내부 도체에 연결된 신호핀이 제 2 영역(720)에 삽입되어 상기 신호핀들 간의 임피던스 매칭이 될 수 있다. 상기 신호핀들 중 하나의 신호핀은 제 1 신호핀(150)과 같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신호핀은 제 2 신호핀(450)과 같이 형성되어 제 1 영역(710)과 제 2 영역(720)의 경계면에서 신호핀들이 결합할 수 있다. 제 1 신호핀(150)과 제 2 신호핀(450)이 결합되는 경우에 관하여는 도 11과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결부(700)는 내경이 상이한 제 3 영역(730) 및 제 4 영역(740)이 제 1 영역(710) 및 제 2 영역(720)과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영역(730) 및 제 4 영역(740)은 제 1 몸체(130) 또는 제 2 몸체(430)의 결합되는 부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영역(730)과 제 1 몸체(130)가 결합되는 경우, 제 3 영역(730)의 내경은 제 1 몸체(130)의 제 3 결합구(135)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4 영역(740)과 제 2 몸체(430)가 결합되는 경우, 제 4 영역(740)의 내경은 제 2 몸체(430)의 제 6 결합구(435)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예에서 제 3 결합구(135)의 외경이 제 6 결합구(435)의 외경보다 작은 경우에 관한 도면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3 영역(730)에 결합되는 제 3 결합구(135)의 외경과 제 4 영역(740)에 결합되는 제 6 결합구(435)의 의경에 따라 제 3 영역(730) 및 제 4 영역(740)의 내경은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3의 수커넥터부(100) 또는 제 4 내지 도 6의 암커넥터부(400)에 결합되는 제 1 링(900) 또는 제 2 링(9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 1 링(900) 또는 제 2 링(900)은 고무재질의 고무링일 수 있다. 또는, 제 1 링(900)은 상기 제 1 홈의 내주면과 제 1 하우징(170)의 내주면을 결합시키는 납땜 등일 수 있고, 제 2 링(900)은 상기 제 1 홈의 내주면과 제 1 하우징(170)의 내주면을 결합시키는 납땜 등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 1 링(900)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홈의 내주면과 제 1 하우징(170)의 내주면의 결합시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른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링(900)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2 홈의 내주면과 제 2 하우징(470)의 내주면의 결합시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른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3의 수커낵터부(100)와 도 4 내지 도 6의 암커넥터부(400)가 결합된 커넥터(1000)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커넥터(10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커넥터(1000)는 도 1 내지 도 3의 수커낵터부(100), 도 4 내지 도 6의 암커넥터부(400) 및 도 7과 도 8의 연결부(70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일 단부에 연결된 수커낵터부(100),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일 단부에 연결된 암커낵터부(400) 및 연결부(7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타 단부에 상기 사용 대상물이 연결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고,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타 단부에 다른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6의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타 단부에 상기 사용 대상물이 연결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고,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타 단부에 다른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6의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수커낵터부(100)의 구성, 도 4 내지 도 6의 암커넥터부(400)의 구성 및 도 7과 도 8의 연결부(700)의 구성에 대하여는 대응하는 도면과 관려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수커넥터부(100)와 암커넥터부(40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의 커넥터(1000)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도 9와 같은 형태의 상기 제 1 링 및 상기 제 2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동축 케이블(110)과 제 2 동축 케이블(410)은 상이한 유연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직경과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직경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내부 도체(111) 및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내부 도체(411) 중 하나의 내부 도체는 연선이고 다른 하나의 내부 도체는 단선일 수 있고, 또는 둘 다 연선이거나 둘 다 단선일 수 있다. 다만, 직경 또는 내부 도체의 종류는 유연성의 정도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제 1 동축 케이블(110)과 제 2 동축 케이블(410)이 상이한 유연성을 가지는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동축 케이블(110)이 제 2 동축 케이블(410)보다 큰 유연성을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직경이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직경보다 작고,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내부 도체(111)의 직경이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내부 도체(411)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신호핀(150)의 일 단부와 제 2 신호핀(450)의 일 단부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2 신호핀(450)의 결합홈(451)에 제 1 신호핀(150)의 일 단부가 결합되어 결합홈(451)의 내주면에 제 1 신호핀(150)의 외주면이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신호핀(150)의 일 단부는 제 2 신호핀(450)의 결합홈(451)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 1 신호핀(150)의 돌출부(155)가 제 2 신호핀(450)의 결합홈(451)에 삽입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신호핀(150)의 일 단부에 돌출부(155)가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결합홈(451)에 제 1 신호핀(150)의 일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면, 제 1 신호핀(150)의 일 단부에 돌출부(155)가 형성됨이 없이 결합홈(451)에 제 1 신호핀(150)이 삽입될 수 있다.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외부 도체(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몸체(130)의 일 단부 및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외부 도체(4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몸체(430)의 일 단부에 연결부(700)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700)의 제 1 영역(710)은 제 1 신호핀(150)을 둘러싸고 제 2 영역(720)은 제 2 신호핀(450)을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영역(710) 및 제 2 영역(720)의 내경을 조절하여, 제 1 신호핀(150)과 제 2 신호핀(450)이 결합한 경우 임피던스 매칭을 시킬 수 있다.
연결부(700)의 제 1 영역(710)은 제 1 몸체(130)의 제 3 삽입구(135)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제 2 영역(720)은 제 2 몸체(430)의 제 6 삽입구(435)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700)의 제 3 영역(730)은 제 1 몸체(130)의 제 2 삽입구(133)와 결합될 수 있고, 제 4 영역(740)은 제 2 몸체(430)의 제 5 삽입구(433)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700)는 제 1 몸체(130)의 일 단부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 2 몸체(430)의 일 단부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700)의 일 단부가 제 1 몸체(130)의 일 단부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 단부가 제 2 몸체(430)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700)의 일 단부가 제 2 몸체(430)의 일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 단부가 제 1 몸체(130)의 일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 1 몸체(130), 연결부(700) 및 제 2 몸체(4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외부 도체 연결부가 될 수도 있다. 제 1 몸체(130), 연결부(700) 및 제 2 몸체(4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도체 연결부가 되는 실시예에 관한여는 도 12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하우징(170) 및 제 2 하우징(470)은 나사홈끼리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 하우징(170)의 수나사홈과 제 2 하우징(470)의 암나사홈이 체결됨으로써, 제 1 하우징(170)과 제 2 하우징(470)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하우징(170)의 암나사홈과 제 2 하우징(470)의 수나사홈이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나사홈을 이용하지 않고 억지끼움과 같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제 1 하우징(170)과 제 2 하우징(470)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하우징(170)과 제 2 하우징(470) 중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은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하는 홈이 형성되고, 제 1 하우징(170)과 제 2 하우징(470)이 결합된 경우 상기 홈에 체결수단(예를 들어, 나사)이 결합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70)과 제 2 하우징(470)이 나사홈을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경우, 제 1 몸체(130)와 연결부(700)의 접촉 및/또는 제 2 몸체(430)와 연결부(700)의 접촉을 더욱 강하게 할 수 있어 RF 특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즉, 제 1 하우징(170)과 제 2 하우징(470)의 결합으로 도 11에서 좌우 방향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제 1 몸체(130)의 제 3 삽입구(135)와 연결부(700)의 제 3 영역(730)이 보다 강하게 접촉되거나 제 2 몸체(430)의 제 3 삽입구(435)와 연결부(700)의 제 4 영역(740)이 보다 강하게 접촉될 수 있다.
제 1 몸체(130)의 제 1 홈에는 도 9와 같은 형태의 상기 제 1 링이 결합될 수 있고, 제 2 몸체(130)의 제 2 홈에는 도 9와 같은 형태의 상기 제 2 링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링과 상기 제 2 링은 크기 및 두께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홈의 내주면과 제 1 하우징(170)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제 1 링이 결합되어 제 1 하우징(170)의 내부에 유입된 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제 1 링의 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홈의 내주면과 제 2 하우징(470)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제 2 링이 결합되어 제 2 하우징(470)의 내부에 유입된 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 제 2 링의 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커넥터(10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의 커넥터(1000)는 도 11의 커넥터(1000)의 제 1 몸체(130), 연결부(700) 및 제 2 몸체(4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이다. 즉, 도 12의 커넥터(1000)는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외부 도체(115)와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외부 도체(4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나의 외부 도체 연결부(1210)를 포함하고 있다. 외부 도체 연결부(1210)는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몸체(130), 연결부(700) 및 제 2 몸체(4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른 구성요소들도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도 10의 커넥터(10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의 커넥터(1000)는 도 11의 커넥터(1000)의 제 1 신호핀(150)과 제 2 신호핀(45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관한 실시예이다. 즉, 도 13의 커넥터(1000)는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내부 도체(111)와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외부 도체(4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나의 내부 도체 연결부(1310)를 포함하고 있다. 내부 도체 연결부(1310)는 일 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내부 도체(111)가 억지끼움되며, 타 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내부 도체(411)가 억지끼움될 수 있다. 또는, 내부 도체 연결부(1310)는 일 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내부 도체(111)가 억지끼움되며, 타 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내부 도체(411)가 납땜될 수 있다. 또는, 내부 도체 연결부(1310)는 일 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 1 동축 케이블(110)의 내부 도체(111)가 납땜되며, 타 단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제 2 동축 케이블(410)의 내부 도체(411)가 억지끼움될 수 있다. 납땜으로 내부 도체와 내부 도체 연결부(1310)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내부 도체 연결부(1310)는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신호핀(150) 및 제 2 신호핀(45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른 구성요소들도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3의 커넥터(1000)에서 도 12의 실시예와 같이 제 1 몸체(130), 연결부(700) 및 제 2 몸체(43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제 1 몸체(130)와 연결부(700)를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연결부(700)와 제 2 몸체(430)를 일체형으로 형성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2)
- 제 1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는 수(male) 커넥터부;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과 상이한 유연성을 가지는 제 2 동축 케이블에 연결되는 암(female) 커넥터부;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커넥터부의 제 1 몸체와 상기 암커넥터부의 제 2 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커넥터부는,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1 신호핀;
상기 제 1 신호핀과 절연되어 있고, 일 단부에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삽입되며, 타 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일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1 몸체; 및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상기 제 1 몸체가 삽입되는 제 1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암커넥터부는,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신호핀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 2 신호핀;
상기 제 2 신호핀과 절연되어 있고, 일 단부에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삽입되며, 타 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일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2 몸체; 및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상기 제 2 몸체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핀은,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삽입되거나,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납땜되고,
상기 제 2 신호핀은,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삽입되거나,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납땜되며 일 단부에 상기 제 1 신호핀의 일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핀은,
상기 일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핀과 상기 제 2 신호핀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 1 신호핀 및 상기 제 2 신호핀의 일 단부는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가 삽입 또는 납땜되고 타 다부는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가 삽입 또는 납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직경은,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직경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는 연선이고,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는 단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 단부가 상기 제 1 몸체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타 단부가 상기 제 2 몸체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 단부가 상기 제 1 몸체의 일 단부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제 2 몸체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신호핀을 둘러싸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신호핀을 둘러싸는 제 2 영역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영역의 내경은 상기 제 2 영역의 내경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이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영역의 일 단부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몸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이 상기 제 2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영역의 일 단부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홈의 내주면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1 링; 및
상기 제 2 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홈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2 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은,
고무 재질이거나 상기 제 1 홈의 내주면과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주면을 결합시키는 납땜이고,
상기 제 2 링은,
고무 재질이거나 상기 제 2 홈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주면을 결합시키는 납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제 1 삽입구, 제 2 삽입구 및 제 3 삽입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삽입구의 외경은 상기 제 1 및 제 3 삽입구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 2 삽입구의 일 단부에 제 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는,
제 4 삽입구, 제 5 삽입구 및 제 6 삽입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5 삽입구의 외경은 상기 제 4 및 제 6 삽입구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 5 삽입구의 일 단부에 제 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신호핀을 둘러싸고 상기 제 3 삽입구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 1 영역, 상기 제 2 신호핀을 둘러싸고 상기 제 6 삽입구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 1 영역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제 2 영역, 일 단부가 상기 제 2 삽입구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제 3 영역 및 일 단부가 상기 제 5 삽입구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제 4 영역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 3 삽입구의외주면과 상기 제 1 영역의 접촉 강도 및 상기 제 6 삽입구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영역의 접촉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의 외주면에 수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하우징의 내주면에 암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나사홈과 상기 암나사홈이 체결되어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은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이 결합된 경우 상기 홈에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일 단부에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신호핀;
상기 신호핀과 절연되어 있고, 상기 동축 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내주면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 영역의 일 단부에 링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이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제 1 삽입구, 제 2 삽입구 및 제 3 삽입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삽입구의 외경은 상기 제 1 및 제 3 삽입구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제 2 삽입구의 일 단부에 상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몸체의 일 단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다른 동축 케이블에 연결된 커넥터 중 상기 다른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몸체의 타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이 단차를 가지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일 단부에서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는 신호핀;
상기 신호핀과 절연되어 있고, 상기 동축 케이블이 삽입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내주면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 영역의 일 단부에 링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및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다른 동축 케이블에 연결된 커넥터 중 상기 다른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연결되는 부분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이 상기 제 1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제 1 삽입구, 제 2 삽입구 및 제 3 삽입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삽입구의 외경은 상기 제 1 및 제 3 삽입구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제 2 삽입구의 일 단부에 상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몸체의 일 단부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다른 동축 케이블에 연결된 커넥터 중 상기 다른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몸체의 타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이 단차를 가지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9474A KR101189670B1 (ko) | 2011-04-27 | 2011-04-27 | 동축 케이블 연결용 커텍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9474A KR101189670B1 (ko) | 2011-04-27 | 2011-04-27 | 동축 케이블 연결용 커텍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9670B1 true KR101189670B1 (ko) | 2012-10-11 |
Family
ID=4728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9474A KR101189670B1 (ko) | 2011-04-27 | 2011-04-27 | 동축 케이블 연결용 커텍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9670B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8362B1 (ko) | 2011-07-27 | 2012-12-05 |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 풀림 방지용 커넥터 |
WO2017075286A1 (en) * | 2015-10-27 | 2017-05-04 | Transtector Systems, Inc. | Radio frequency surge protector with matched piston-cylinder cavity shape |
US9924609B2 (en) | 2015-07-24 | 2018-03-20 | Transtector Systems, Inc. | Modular protection cabinet with flexible backplane |
US9991697B1 (en) | 2016-12-06 | 2018-06-05 | Transtector Systems, Inc. | Fail open or fail short surge protector |
US10129993B2 (en) | 2015-06-09 | 2018-11-13 | Transtector Systems, Inc. | Sealed enclosure for protecting electronics |
KR101944635B1 (ko) * | 2017-12-08 | 2019-01-30 | 한국공항공사 | 항공등화용 직선접속제 |
KR20190024550A (ko) * | 2017-08-29 | 2019-03-08 |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 전기 커넥터 |
US10356928B2 (en) | 2015-07-24 | 2019-07-16 | Transtector Systems, Inc. | Modular protection cabinet with flexible backplane |
US10588236B2 (en) | 2015-07-24 | 2020-03-10 | Transtector Systems, Inc. | Modular protection cabinet with flexible backplane |
KR102150589B1 (ko) * | 2020-05-22 | 2020-09-01 | (주)다산기술단 |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
KR102536136B1 (ko) * | 2022-11-15 | 2023-05-26 | (주)명성라이픽스 | 방수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8752B1 (ko) | 2004-06-29 | 2004-12-03 | 박노영 | 방수용 딘 커넥터 |
KR100637306B1 (ko) | 2005-06-17 | 2006-10-24 | 주식회사 엠피디 |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동축 커넥터 |
-
2011
- 2011-04-27 KR KR1020110039474A patent/KR1011896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8752B1 (ko) | 2004-06-29 | 2004-12-03 | 박노영 | 방수용 딘 커넥터 |
KR100637306B1 (ko) | 2005-06-17 | 2006-10-24 | 주식회사 엠피디 |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동축 커넥터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8362B1 (ko) | 2011-07-27 | 2012-12-05 | 재단법인 국방기술품질원 | 풀림 방지용 커넥터 |
US10129993B2 (en) | 2015-06-09 | 2018-11-13 | Transtector Systems, Inc. | Sealed enclosure for protecting electronics |
US10356928B2 (en) | 2015-07-24 | 2019-07-16 | Transtector Systems, Inc. | Modular protection cabinet with flexible backplane |
US9924609B2 (en) | 2015-07-24 | 2018-03-20 | Transtector Systems, Inc. | Modular protection cabinet with flexible backplane |
US10588236B2 (en) | 2015-07-24 | 2020-03-10 | Transtector Systems, Inc. | Modular protection cabinet with flexible backplane |
WO2017075286A1 (en) * | 2015-10-27 | 2017-05-04 | Transtector Systems, Inc. | Radio frequency surge protector with matched piston-cylinder cavity shape |
US10193335B2 (en) | 2015-10-27 | 2019-01-29 | Transtector Systems, Inc. | Radio frequency surge protector with matched piston-cylinder cavity shape |
US9991697B1 (en) | 2016-12-06 | 2018-06-05 | Transtector Systems, Inc. | Fail open or fail short surge protector |
KR20190024550A (ko) * | 2017-08-29 | 2019-03-08 |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 전기 커넥터 |
KR102449423B1 (ko) * | 2017-08-29 | 2022-09-29 |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 전기 커넥터 |
KR101944635B1 (ko) * | 2017-12-08 | 2019-01-30 | 한국공항공사 | 항공등화용 직선접속제 |
KR102150589B1 (ko) * | 2020-05-22 | 2020-09-01 | (주)다산기술단 |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
KR102536136B1 (ko) * | 2022-11-15 | 2023-05-26 | (주)명성라이픽스 | 방수기능을 갖는 바닥신호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9670B1 (ko) | 동축 케이블 연결용 커텍터 | |
US7476127B1 (en) | Adapter for mini-coaxial cable | |
JP6621832B2 (ja) | スリーブ部を備えたプラグコネクタ構造 | |
KR101116060B1 (ko) | 길다란 중공 공동을 가지는 절연체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 |
US9203196B2 (en) | Electrical coaxial connector | |
US8702456B1 (en) | Coaxial cable adaptor | |
CN102868038A (zh) | 同轴电缆连接器组件 | |
US9306346B2 (en) | Coaxial cable and connector with capacitive coupling | |
US9293873B2 (en) | Co-axial insertion-type connector | |
US20160226202A1 (en) | Right angle coaxial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 |
KR101097281B1 (ko) | 고출력 알에프 푸쉬 커넥터 | |
US20170077642A1 (en) | Vibration resistant connector | |
KR102123717B1 (ko) | 동축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 |
KR101139943B1 (ko) | 고전압 동축케이블 및 커넥터 | |
US6095858A (en) | Coaxial cable connector | |
KR102239232B1 (ko) | 솔더 페이스트를 이용한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 |
KR101630684B1 (ko) | 강제 압착방식의 알에프 동축 커넥터 | |
KR100799973B1 (ko) | 통신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 |
US5639252A (en) | High-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also providing a switching function | |
CN106207616B (zh) | 一种快插式测试用毫米波连接器 | |
KR101286898B1 (ko) | 신호 전송 안정성이 우수한 bnc 커넥터 | |
CN111641088B (zh) | 一种高低频混装集束电缆组件 | |
KR101590317B1 (ko) | 트랜지션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부재 | |
JP3168264U (ja) | 接地効果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 |
US20210281025A1 (en) |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cable to an electrical compon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