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607B1 - 레일패드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레일 체결부 - Google Patents
레일패드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레일 체결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4607B1 KR101184607B1 KR1020100009706A KR20100009706A KR101184607B1 KR 101184607 B1 KR101184607 B1 KR 101184607B1 KR 1020100009706 A KR1020100009706 A KR 1020100009706A KR 20100009706 A KR20100009706 A KR 20100009706A KR 101184607 B1 KR101184607 B1 KR 1011846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coil spring
- pad
- shoulders
- seating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선로의 레일 체결부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다양한 레일 체결장치에 있어 숄더의 코일스프링클립 착좌면을 하향 절취하여 된 보정착좌면과 요홈 형태로 된 안치홈부를 형성하고, 레일 체결장치에 있어 숄더의 코일스프링클립 삽입공을 상향 절취하여 된 확장부를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침목이나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방진체결장치에 형성된 레일패드 안치부는 하향 절취에 의한 하강면을 갖도록 개선함으로써,
레일 체결장치의 숄더 또는 레일패드의 안치부에 대한 비교적 간단한 개선만으로도 레일을 지지하고 있는 레일패드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어 신설 선로는 물론 기존의 선로에 즉시 적용이 가능한 것이고, 레일패드의 두께가 증대함에 따라 완충 작용 및 소음 감소 효과는 물론 전기적이고 열화학적인 절연 특성 역시 향상될 뿐만 아니라 철도 선로의 파손을 방지하여 보수주기의 연장으로 보수비 절감 및 철도 고객의 승차감 향상으로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레일 체결장치의 숄더 또는 레일패드의 안치부에 대한 비교적 간단한 개선만으로도 레일을 지지하고 있는 레일패드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어 신설 선로는 물론 기존의 선로에 즉시 적용이 가능한 것이고, 레일패드의 두께가 증대함에 따라 완충 작용 및 소음 감소 효과는 물론 전기적이고 열화학적인 절연 특성 역시 향상될 뿐만 아니라 철도 선로의 파손을 방지하여 보수주기의 연장으로 보수비 절감 및 철도 고객의 승차감 향상으로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 선로의 레일 체결부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로의 형태에 따라 각기 달리 적용되는 레일 체결부에 있어 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클립이 체결되는 숄더의 구조를 개선하고 이와 동시에 레일패드의 안치부를 개선함으로써, 기존 5mm의 두께로만 제한적으로 적용되어 왔던 레일패드의 두께를 9~10mm까지 증대시킬 수 있어 두꺼워진 레일패드에 의해 우수한 완충성과 절연성을 제공하면서도 그 레일패드 자체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 체결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갈 도상이나 콘크리트 도상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선로에는 다양한 침목과 레일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레일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도상에 직결되는 방진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레일을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선로는 하기와 같이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1. 상부 양측으로 숄더가 돌출된 상태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침목(이하, PC침목이라 한다)을 나열시킨 상태에서, 상기의 숄더 사이에 레일패드를 위치시킨 후 상기의 레일패드 상측으로 레일을 올려 놓고, 상기 숄더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클립(E-클립이라고도 한다)을 이용하여 레일과 숄더를 견고하게 서로 체결하는 형태로 된 PC침목에 의한 선로.
2. 내부에 철근이 매립 보강되고 상부 양측으로는 숄더가 돌출된 상태의 철근보강 콘크리트 침목(이하, RC침목이라 한다)을 나열시킨 상태에서, 상기의 숄더 사이에 레일패드를 위치시킨 후 상기의 레일패드 상측으로 레일을 올려 임시 가설하고, 상기 숄더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클립(e-클립이라고도 한다)을 이용하여 레일과 숄더를 견고하게 서로 체결하는 형태로 된 RC침목에 의한 선로.
3. 상부면에 숄더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의 목재침목을 나열시킨 상태에서, 상기 숄더의 사이에 레일패드를 위치시킨 후 상기의 레일패드 상측으로 레일을 올려 놓고, 상기 숄더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클립(e-클립이라고도 한다)을 이용하여 레일과 숄더를 견고하게 서로 체결하는 형태로 된 목재침목에 의한 선로.
4.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측으로 탄성부재를 통해 결합되면서도 상부 양측으로 숄더가 돌출 형성된 상부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방진체결장치를 콘크리트 타설 또는 블럭 형태로 된 콘크리트 도상에 직결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숄더 사이에 레일패드를 위치시킨 후 상기의 레일패드 상측으로 레일을 올려 놓고, 상기 숄더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클립(e-클립이라고도 한다)을 이용하여 레일과 숄더를 견고하게 서로 체결하는 형태로 된 콘크리트 도상에 의한 선로가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된 선로를 구축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소용되는 것은 침목(또는 콘크리트 도상)과 레일을 침목(또는 콘크리트 도상)과 체결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클립을 포함하는 체결장치 및 상기의 침목(또는 콘크리트 도상)과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 및 절연 특성의 레일패드가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레일패드는 통상적으로 부타디엔(butadiene) 고무와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와 소정의 충전재를 혼합하여 경질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우수한 완충성은 물론 뛰어난 절연성을 확보하여 고중량체인 열차가 레일을 지나가는 경우 열차에 의한 하중과 진동을 완화시켜 줌과 동시에 소음을 감소시켜 주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전기적이고 열화학적인 차단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는 구성품이다.
예컨데, PC침목에 의한 선로의 경우 도 1의 도시와 같이 콘크리트에 의해 성형되는 PC침목(200)을 양생시키기 전, 상기의 PC침목(200) 상부 양측으로 숄더(210)(210')가 돌출되도록 상기 숄더(210)(210')의 하부를 콘크리트 속에 매립 고정시키고, 이와 같은 숄더(210)(210')를 갖는 PC침목(200)의 상측으로 레일(220)을 배치하되, PC침목(200)과 레일(220)의 사이에는 별도의 레일패드(230)를 삽입하는 것이며, 상기의 숄더(210)(210')를 이용하여 탄력 결합되는 코일스프링클립(240)(240')에 의해 상기의 숄더(210)(210')와 레일(220)이 서로 견고하게 체결됨에 따라 PC침목에 의한 선로의 구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레일패드는 열차가 반복적으로 선로를 따라 운행됨에 따라 고중량의 지속적인 가압 및 충격으로 인해 탄성력을 잃으며 압축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레일패드는 주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확인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것이다.
더욱이, 기존의 다양한 선로에 적용된 레일패드는 두께가 5mm에 지나지 않아 그 사용수명이 매우 짧고 효과적으로 완충과 소음 감소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고, 사용수명이 짧아 빈번하게 레일패드를 교체해주어야 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반면,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레일패드의 경우 두께를 두껍게 제작하여 적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증진된 완충 및 감음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나, 기존의 모든 선로에 적용되는 레일 체결장치 코일스프링클립은 상기와 같은 5mm의 두께를 갖는 레일패드를 기준으로 하여, 도 2의 도시와 같이 긴밀한 상호 대응의 수치를 갖도록 제작되어 있어 5m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갖는 레일패드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레일 자체의 위상이 상승하므로 기존의 숄더와 코일스프링클립을 이용하여 레일을 체결시킬 수 없을 것이므로 무작정 상기 레일패드의 두께를 증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기존의 다양한 레일 체결장치에 있어 숄더의 코일스프링클립 착좌면을 하향 절취하여 된 보정착좌면과 요홈 형태로 된 안치홈부를 형성하고, 레일 체결장치에 있어 숄더의 코일스프링클립 삽입공을 상향 절취하여 된 확장부를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침목이나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방진체결장치에 형성된 레일패드 안치부는 하향 절취에 의한 하강면을 형성하여, 상기의 보정착좌면이나 안치홈부 및 확장부와 하강면으로 인해 코일스프링클립의 레일가압부는 레일의 좌부에 대한 위상이 상승하므로 결국 레일가압부의 상승량에 비례하여 두꺼워진 레일패드의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레일 체결부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일에 의해 구축되는 선로 상에는 레일패드안치부에 의해 레일패드가 위치하고, 상기 레일패드의 상부에는 레일이 위치하며, 상기의 레일 하부 양측으로는 숄더가 배치되고, 그 숄더에는 레일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코일스프링클립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레일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코일스프링클립은 횡방향의 삽입부 일측으로부터 연장 절곡된 착좌부와 그 착좌부로부터 연장 절곡되어진 레일가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숄더는 코일스프링클립의 삽입부가 결합되는 삽입공과 코일스프링클립의 착좌부가 안치되는 착좌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의 착좌면은 하향 절취에 의한 보정착좌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숄더에 조립된 코일스프링클립은 그 착좌부가 숄더의 보정착좌면으로 인해 삽입공에 의한 축점으로부터 하강됨에 따라 일체로 된 타측의 레일가압부는 상승하게 되어, 상기 레일가압부의 상승량에 비례하여 두껍게 제작된 레일패드를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일 체결장치의 숄더 또는 레일패드의 안치부에 대한 비교적 간단한 개선만으로도 레일을 지지하고 있는 레일패드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어 신설 선로는 물론 기존의 선로에 즉시 적용이 가능한 것이고, 레일패드의 두께가 증대함에 따라 완충 작용이 상승하여 선로파손방지로 인한 보수비절감 및 소음 감소 효과는 물론 전기적이고 열화학적인 절연 특성 역시 향상되는 것이며, 레일패드 자체의 사용 수명이 크게 연장되므로 점검이나 교체 주기가 길어져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도 1은 PC침목을 이용한 기존의 선로에 대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되는 PC침목 선로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의 숄더 착좌면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4에서의 코일스프링클립 위상 가변도
도 6은 도 3에서의 숄더 삽입공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도 6에서의 코일스프링클립 위상 가변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개선된 패드안치부가 적용된 PC침목 선로의 전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되는 RC침목 선로의 전체 구성도
도 10은 도 9에서의 레일 체결부에 대한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되는 목재침목 선로의 전체 구성도
도 12는 도 11에서의 레일 체결부에 대한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되는 콘크리트 도상 선로의 전체 구성도
도 14는 도 13에서의 레일 체결부에 대한 확대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되는 PC침목 선로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의 숄더 착좌면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4에서의 코일스프링클립 위상 가변도
도 6은 도 3에서의 숄더 삽입공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도 6에서의 코일스프링클립 위상 가변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개선된 패드안치부가 적용된 PC침목 선로의 전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되는 RC침목 선로의 전체 구성도
도 10은 도 9에서의 레일 체결부에 대한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되는 목재침목 선로의 전체 구성도
도 12는 도 11에서의 레일 체결부에 대한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되는 콘크리트 도상 선로의 전체 구성도
도 14는 도 13에서의 레일 체결부에 대한 확대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레일 체결부는 PC침목에 의한 레일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된 선로나 RC침목과 레일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된 선로 및 목재침목과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한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된 선로 또는 콘크리트 도상과 방진체결장치를 이용하여 된 선로 모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레일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레일패드의 두께를 향상시켜 그에 따른 완충성과 소음 감소 및 전기적이고 열화학적인 절연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이에, 상기의 레일패드에 대한 두께를 향상시키고자 레일을 가압 지지하고 있는 코일스프링클립의 레일가압부에 대한 위상을 레일로부터 상승시킴에 따라 결국 상기의 코일스프링클립의 레일가압부 상승량과 비례하여 신설 선로에 모두 9~10mm의 두께를 갖는 레일패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통상의 다양한 선로는 보편적으로 침목(또는 콘크리트 도상)의 상부면으로부터 서로 대향 배치되는 숄더(10)(1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숄더(10)(10')에는 평면상 영문자 "e"의 형상을 갖는 코일스프링클립(20)(20')이 각기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의 침목(또는 콘크리트 도상)과 레일(110)의 사이에는 레일(11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레일패드(120)가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을 이용하여 숄더(10)(10')과 레일(110)이 서로 견고하게 체결되게 하면 상기의 레일(110)은 다양한 종류의 침목이나 콘크리트 도상에 연속하여 길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은 전기한 바와 같이 영문자 "e"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어 현장에서는 e클립이라고도 불리는 것인데, 우선 횡방향으로 직선 형태를 갖는 삽입부(21)를 갖고 있고 그 삽입부(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절곡부에 의한 착좌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착좌부(2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절곡되어 타측을 향하는 레일가압부(23)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코일스프링클립(20)(20')이 결합되는 숄더(10)(10')는 상기의 삽입부(21)가 끼워지는 횡방향으로의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착좌부(22)가 안치되는 착좌면(12)이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숄더(10)(10')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 레일패드(120)와 레일(110)을 위치시킨 후 상기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을 결합시키면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레일가압부(23)가 레일의 하부를 강력하게 하향 고정시켜 상호 간의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착좌부(22)는 숄더(10)(10')의 착좌면(12)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결국 상기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은 가압력의 약화 없이 지속적이고 강력한 힘으로 상기의 레일(110)을 가압하고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레일(110) 하부면에 위치하는 레일패드(120)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선로 상에 형성된 패드안치부(30)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인데, 선로의 특징적인 구성에 따라 상기의 패드안치부(30)는 침목의 상부 표면 자체가 될 수 있을 것이고, 때에 따라서는 절곡의 금속판재로 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 또는 콘크리트 도상 선로의 방진체결장치 내 상부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숄더(10)(10')와 패드안치부(30)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신설 선로에 적용되는 레일패드(120)의 두께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필요한 경우 레일패드(120)에 대한 두께의 가변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숄더(10)(10')의 착좌면(12)을 하향 절취하여 기존의 착좌면(12)보다 낮은 상태인 보정착좌면(12')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고, 상기 숄더(10)(10')의 삽입공(11)을 상향 절취하여 기존의 삽입공(11) 보다 높은 상태인 확장부(11')가 생성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패드안치부(30)를 하향 절취하여 기존의 패드안치부(30)보다 낮은 상태인 하강부(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보정착좌면(12')에는 상기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착좌부(22)가 안정적으로 삽입 유도될 수 있도록 한 안치홈부(13)를 더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안치홈부(13)에 의해 탄성크립(20)(20')의 유동을 억제하는 동시에 그 안치홈부(13)로 인하여 상기의 보정착좌면(12')을 더욱 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정착좌면(12')이나 안치홈부(13) 또는 확장부(11') 및 하강부(30')는 모두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레일가압부(23)에 대한 레일로부터의 위상을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의 레일가압부(23)가 상승됨에 따라 결국 레일패드(120)의 두께를 두꺼운 것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숄더(10)(10') 및 패드안치부(30)에 대한 개선된 구조가 적용된 다양한 선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1.
먼저, PC침목에 의한 선로의 경우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장방형의 다양한 형태로 된 PC침목(40)을 콘크리트에 의해 양생하고자 하는 경우 하부 매립부를 갖는 숄더(10)(10')를 이격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숄더(10)(10')의 하부가 레디믹스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도록 양생하여 PC침목(40)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PC침목(40)을 시공하고자 하는 선로 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각각의 PC침목(40) 상부면 즉, 숄더(10)(10') 사이에 레일패드(120)를 올려놓은 후 이들 레일패드(120)의 상부에 레일(110)을 설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을 상기의 숄더(10)(10')에 결합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레일가압부(23)에 작용하는 하향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의 레일(110)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PC침목(40)에 적용되는 숄더(10)(1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숄더(10)(10')의 착좌면(12)을 하향 절취 형성함에 따라 결국 상기의 착좌면(12)은 d1에 상응하는 높이의 차를 갖는 보정착좌면(12')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을 숄더(10)(10')에 결합하게 되면 숄더(10)(10')의 삽입공(11)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기존의 착좌면(12)이 아닌 보정착좌면(12')으로 인해 착좌부(22)의 위상이 낮아질 것이므로 결국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착좌부(22)는 삽입부(21)를 축점으로 하여 하강하는 반면 타측의 레일가압부(23)는 착좌부(22)의 하강량인 d1의 높이에 상응하는 폭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보정착좌면(12') 상에 만곡의 곡률을 갖고 형성되는 안치홈부(13)로 인해 상기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은 일측의 착좌부(22)가 상기 안치홈부(13)가 갖는 깊이인 d1'로 인하여 더욱 하강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와 같은 보정착좌면(12')에 의한 기존 착좌면(12)으로부터의 단차인 d1과 상기 안치홈부(13)에 의한 단차인 d1'로 인해 상기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은 타측의 레일가압부(23)가 더욱 높이 상승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기존의 착좌면(12)과 신규의 보정착좌면(12') 및 안치홈부(13)에 의한 위상 차이는 기존 5mm의 두께가 적용되었던 레일패드(120)를 9~10mm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조정 및 설정된 수치인 것으로서, 결국 상기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레일가압부(23)는 기존의 높이와 비교하여 상측으로 4~5mm 상승된 상태에서의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레일패드(120)를 9~10mm의 것으로 적용하여 선로를 구축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월등하게 향상된 방진성과 소음 감소 효과 및 우수한 절연성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숄더(10)(10')의 착좌면(12)에 의한 보정착좌면(12')을 단독으로 형성하여 레일패드(120)의 두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의 보정착좌면(12')과 함께, 도 5의 도시와 같이 숄더(10)(10')의 삽입공(11)을 상향 절취하여 된 확장부(11')를 형성하여 적용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의 확장부(11')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전기한 보정착좌면(12')에 의한 단차인 d1과 안치홈부(13)에 의한 단차인 d1'에 상기 확장부(11')에 의한 단차인 d2가 합쳐지는 결과를 낳게 되므로 상기의 레일패드(110)를 더욱 두꺼운 것으로 시공할 수 있을 것이고, 아니면 상기와 같은 확장부(11')를 상기의 보정착좌면(12') 및 안치홈부(13)와 함께 적용하여 9~10mm의 두께만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향상시키고자 하는 레일패드(120)의 두께에 따라 상기의 확장부(11')과 보정착좌면(12') 및 안치홈부(13)에 대한 위상 변화에 대한 수치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레일패드(120)의 두께에 해당하는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변경되는 위상으로부터 서로 배분하여 보정착좌면(12') 및 안치홈부(13)에 대한 절취 높이 또는 확장부(11')에 대한 절취 높이를 서로 배분 결정하면 될 것이다.
반면, 상기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에 대한 위상 변경으로 인해 레일패드(120)의 두께를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상기 레일패드(120)를 위한 패드안치부(30)를 기존보다 낮게 형성하여 된 하강부(30')를 통해서도 레일패드(120)의 두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전기한 보정착좌면(12')과 안치홈부(13)에 의한 상승 유도 단차인 d1 및 d1'와 확장부(11')에 의한 상승 유도 단차인 d2 및 상기의 패드안치부(30)를 하향 절취함에 따라 생성되는 하강부(30')에 의한 단차인 d3가 모두 합쳐지면서 더욱 향상된 두께를 갖는 레일패드(120)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 실시예 2
도 9는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되는 RC침목에 의한 선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의 레일 체결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시와 같이 RC침목으로 된 철도 선로를 구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RC침목(50)은 콘크리트 양생 전 내부에 철근 보강재와 숄더(10)(10')의 하부가 매립될 수 있도록 배치시켜 콘크리트 양생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RC침목(50)을 시공하고자 하는 선로 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각각의 RC침목(50) 상부면 즉, 숄더(10)(10') 사이에 레일패드(120)를 올려놓은 후 이들 레일패드(120)의 상부에 레일(110)을 설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을 상기의 숄더(10)(10')에 결합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레일가압부(23)에 작용하는 하향력으로 인해 상기의 레일(110)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RC침목(50)에 적용되는 숄더(10)(10')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착좌부(22)가 위치하는 기존의 착좌면(12)으로부터 하향 절취된 상태인 보정착좌면(12')에 의해 생성되는 단차인 d1과 그 보정착좌면(12')의 상부에 요홈 형태로 형성된 안치홈부(13)에 의해 생성되는 단차인 d1' 및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삽입부(21)가 끼워지는 삽입공(11)을 상향 절취하여 형성되는 확장부(11')로 인해 생성되는 단차인 d2를 갖게 되는 것이고, 상기 RC침목(50)의 상부면에 해당하던 패드안치부(30)를 하향 절취하여 된 하강부(30')에 의한 단차인 d3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보정착좌면(12')에 의한 단차인 d1과 안치홈부(13)에 의한 단차인 d1' 및 확장부(11')에 의한 단차인 d2와 하강부(30')에 의한 단차인 d3들을 수치의 변화를 통해 단독으로 적용하여 활용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단차를 레일패드(120)의 보강되는 두께에 따라 배분 설계하여 동시에 적용된 형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실시예 3
도 11은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되는 목재침목에 의한 선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의 레일 체결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시와 같이 목재침목으로 된 철도 선로를 구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목재침목(60)은 그 목재침목(60)의 상부면에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베이스 플레이트(61)가 체결 고정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베이스 플레이트(61)에는 상향 절곡부에 의한 숄더(10)(10')가 양측으로 이격 대향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고, 레일패드(120)가 안치되는 패드안치부(30)는 상기 숄더(10)(10')의 사이에 해당하는 베이스 플레이트(61)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재침목(60)을 시공하고자 하는 선로 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각각의 목재침목(60) 상부면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61)의 숄더(10)(10') 사이에 레일패드(120)를 올려놓은 후 이들 레일패드(120)의 상부에 레일(110)을 설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을 상기의 숄더(10)(10')에 결합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레일가압부(23)에 작용하는 하향력으로 인해 상기의 레일(110)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재침목(60)에 적용되는 숄더(10)(10')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착좌부(22)가 위치하는 기존의 착좌면(12)으로부터 하향 절취된 상태인 보정착좌면(12')에 의해 생성되는 단차인 d1과 그 보정착좌면(12')의 상부에 요홈 형태로 형성된 안치홈부(13)에 의해 생성되는 단차인 d1' 및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삽입부(21)가 끼워지는 삽입공(11)을 상향 절취하여 형성되는 확장부(11')로 인해 생성되는 단차인 d2를 갖게 되는 것이고, 상기 목재침목(60)의 베이스 플레이트(61) 상부면에 해당하던 패드안치부(30)를 하향 절취하여 된 하강부(30')에 의한 단차인 d3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보정착좌면(12')에 의한 단차인 d1과 안치홈부(13)에 의한 단차인 d1' 및 확장부(11')에 의한 단차인 d2와 하강부(30')에 의한 단차인 d3들을 수치의 변화를 통해 단독으로 적용하여 활용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단차를 레일패드(120)의 보강되는 두께에 따라 배분 설계하여 동시에 적용된 형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실시예 4
도 13은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되는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체결장치에 의한 선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의 레일 체결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콘크리트 도상 선로라 함은 주지한 바와 같이 시공 구간 전체에 대하여 레디믹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거나 일정의 크기를 갖는 콘크리트 블럭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콘크리트 도상(70)에 별도의 방진체결장치를 직결 형태로 결합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방진체결장치의 상부플레이트(71)에 형성되어진 숄더(10)(10')과 코일스프링클립(20)(20')을 이용하여 레일(110)을 체결 및 고정시키는 형태로 시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방진체결장치는 콘크리트 도상(70)의 상부면에 직결 형태로 체결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측으로는 방진부재를 통해 상부플레이트(71)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상부플레이트(71)에는 상부 양측으로 숄더(10)(10')가 이격 대향 형태로 돌출 배치되는 것이고, 이들 숄더(10)(10')의 사이에는 레일패드(120)가 안치되는 패드안치부(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진체결장치를 시공하고자 하는 선로 방향에 따라 콘크리트 도상(70)에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직결한 상태에서 이들 방진체결장치의 상부플레이트(71) 숄더(10)(10') 사이에 레일패드(120)를 올려놓은 후 이들 레일패드(120)의 상부에 레일(110)을 설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을 상기의 숄더(10)(10')에 결합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레일가압부(23)에 작용하는 하향력으로 인해 상기의 레일(110)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진체결장치의 상부플레이트(71)에 적용되는 숄더(10)(10')는, 도 14의 도시와 같이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착좌부(22)가 위치하는 기존의 착좌면(12)으로부터 하향 절취된 상태인 보정착좌면(12')에 의해 생성되는 단차인 d1과 그 보정착좌면(12')의 상부에 요홈 형태로 형성된 안치홈부(13)에 의해 생성되는 단차인 d1' 및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삽입부(21)가 끼워지는 삽입공(11)을 상향 절취하여 형성되는 확장부(11')로 인해 생성되는 단차인 d2를 갖게 되는 것이고, 상기 상부플레이트(71)의 숄더(10)(10') 사이에 해당하는 패드안치부(30)를 하향 절취하여 된 하강부(30')에 의한 단차인 d3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보정착좌면(12')에 의한 단차인 d1과 안치홈부(13)에 의한 단차인 d1' 및 확장부(11')에 의한 단차인 d2와 하강부(30')에 의한 단차인 d3들을 수치의 변화를 통해 단독으로 적용하여 활용하거나 적어도 둘 이상의 단차를 레일패드(120)의 보강되는 두께에 따라 배분 설계하여 동시에 적용된 형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10' : 숄더 11 : 삽입공
11' : 확장부 12 : 착좌면
12' : 보정착좌면 13 : 안치홈부
20,20' : 코일스프링클립 21 : 삽입부
22 : 착좌부 23 : 레일가압부
30 : 패드안치부 30' : 하강부
40 : PC침목
50 : RC침목
60 : 목재침목 61 : 베이스 플레이트
70 : 콘크리트 도상 71 : 상부플레이트
100 : 선로
110 : 레일
120 : 레일패드
11' : 확장부 12 : 착좌면
12' : 보정착좌면 13 : 안치홈부
20,20' : 코일스프링클립 21 : 삽입부
22 : 착좌부 23 : 레일가압부
30 : 패드안치부 30' : 하강부
40 : PC침목
50 : RC침목
60 : 목재침목 61 : 베이스 플레이트
70 : 콘크리트 도상 71 : 상부플레이트
100 : 선로
110 : 레일
120 : 레일패드
Claims (8)
- 레일(110)에 의해 구축되는 선로(100) 상에는 패드안치부(30)에 의해 레일패드(120)가 위치하고, 상기 레일패드(120)의 상부에는 레일(110)이 위치하며, 상기의 레일(110) 하부 양측으로는 삽입공(11)을 갖는 숄더(10)(10')가 배치되고, 그 숄더(10)(10')에는 레일(110)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코일스프링클립(20)(2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코일스프링클립(20)(20')은 횡방향의 삽입부(21) 일측으로부터 연장 절곡된 착좌부(22)와 그 착좌부(22)로부터 연장 절곡되어진 레일가압부(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숄더(10)(10')는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삽입부(21)가 결합되는 삽입공(11)과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착좌부(22)가 안치되는 착좌면(12)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레일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착좌면(12)을 하향 절취하여 보정착좌면(12')을 형성하고, 상기 보정착좌면에 안치홈부(13)를 추가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숄더(10)(10')의 삽입공(11)을 상향 절취하여 확장부(11')를 형성하여, 숄더(10)(10')에 조립된 코일스프링클립(20)(20')의 일측 착좌부(22)가 숄더(10)(10')의 보정착좌면(12')과 안치홈부(13), 확장부(11')에 의해 코일스프링클립의 삽입부(21)를 축점으로 하여 하강됨에 따라 일체로 된 타측의 레일가압부(23)는 반대로 상승하게 되어, 상기 레일가압부(23)의 상승량에 비례하여 두껍게 제작된 레일패드(120)를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패드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레일 체결부.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9706A KR101184607B1 (ko) | 2010-02-02 | 2010-02-02 | 레일패드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레일 체결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9706A KR101184607B1 (ko) | 2010-02-02 | 2010-02-02 | 레일패드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레일 체결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0114A KR20110090114A (ko) | 2011-08-10 |
KR101184607B1 true KR101184607B1 (ko) | 2012-09-21 |
Family
ID=4492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9706A KR101184607B1 (ko) | 2010-02-02 | 2010-02-02 | 레일패드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레일 체결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460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84246A2 (en) * | 2011-12-09 | 2013-06-13 | P Venkteswara Chowdary | Improved anchor that grips a railway rail fastening elastic e-clip |
CN109706798A (zh) * | 2017-10-26 | 2019-05-03 | 天津市东达伟业机车车辆有限公司 | 一种新型尼龙挡板座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8501A (ja) * | 1999-05-17 | 2000-11-28 | Teito Rapid Transit Authority | レール締結装置 |
KR100747764B1 (ko) * | 2005-08-31 | 2007-08-0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탄성레일체결장치 |
-
2010
- 2010-02-02 KR KR1020100009706A patent/KR10118460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8501A (ja) * | 1999-05-17 | 2000-11-28 | Teito Rapid Transit Authority | レール締結装置 |
KR100747764B1 (ko) * | 2005-08-31 | 2007-08-08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탄성레일체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0114A (ko) | 2011-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1601B1 (ko) | 레일 고정 시스템 | |
KR101184607B1 (ko) | 레일패드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레일 체결부 | |
JP2001107301A (ja) | 鉄道レールの防振装置 | |
KR20150019947A (ko) | 철도레일의 절연 이음매부 고정장치 | |
KR20140139323A (ko) | 콘크리트 도상용 hdpe 특수침목 및 콘크리트 도상용 침목의 교체 방법 | |
JP5894675B2 (ja) | 車両線路 | |
KR20070025011A (ko) |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 |
TW201344010A (zh) | 鐵路用軌道區段及增進安裝彈性之方法 | |
CN103741560B (zh) | 一种剪力铰及轨道结构 | |
KR101067832B1 (ko) |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 |
KR100397870B1 (ko) | 철도레일 방진체결장치 | |
CN107761482B (zh) | 一种适于地铁车辆段库内线的弹性滑槽式减振扣件 | |
KR100448847B1 (ko) | 콘크리트 도상 직결매립식 분기부 레일 고정장치 | |
CN104480808A (zh) | 一种改进绝缘轨距块的有轨电车扣件 | |
GB2475734A (en) | Suspended rail fastening assembly | |
RU2306377C2 (ru) |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бучко, кацберг рельса к шпале | |
KR200442631Y1 (ko) | 받침부재의 밀착 시공을 가능케 하는 콘크리트 도상 궤도의레일 체결장치 | |
KR20050060992A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침목용 방진패드 | |
KR100612755B1 (ko) | 고속철도용 방진침목 및 그 제작방법 | |
KR200489075Y1 (ko) | 금속보강재를 일체화한 레일 체결장치 | |
KR200410824Y1 (ko) | 연약지반용 철로설치구조 | |
KR100802356B1 (ko) | 콘크리트노반상 궤도탄성변화구간의 완충구조 | |
KR100383578B1 (ko) | 철도 레일 방진장치 | |
CN104358191A (zh) | 一种埋入式有轨电车扣件 | |
KR200254140Y1 (ko) | 철도 레일 방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