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205B1 -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4205B1 KR101174205B1 KR1020100050989A KR20100050989A KR101174205B1 KR 101174205 B1 KR101174205 B1 KR 101174205B1 KR 1020100050989 A KR1020100050989 A KR 1020100050989A KR 20100050989 A KR20100050989 A KR 20100050989A KR 101174205 B1 KR101174205 B1 KR 1011742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pipe
- supply pipe
- water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D15/04—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4/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eat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류수의 열량을 활용하여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고, 관로 등에 침착되는 방류수의 SS물질를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방류수로부터 지속적으로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생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는, 하수처리장의 방류구로부터 방류수를 공급받는 공급관로와, 상기 공급관로와 연결되어 상기 방류수와 냉매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터펌프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방류수를 상기 방류구에 배출하는 배출관로와, 상기 공급관로 및 상기 배출관로가 통과하는 다수의 맨홀과, 상기 맨홀의 내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관로 및 상기 배출관로의 일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공급관로 및 상기 배출관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연결관체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에 포함되어 있는 폐열을 히터펌프를 통하여 회수함으로써 버려지는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원유 등 화석연료의 고갈 및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주변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지하수나 생활하수 등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방류수는 약 1.5~10m 깊이에 매설된 차집 관거를 통해 지열을 흡수하여 유입된 생활하수나 공업하수이고,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인 정화처리를 거치면서 상당한 수온을 보유한 열원이다. 또한, 하절기에는 하수가 지중을 통과하여 유입되고 그 정화처리가 지하시설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방류수는 대기의 온도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도 1은 상기 방류수의 연중 평균수온을 평균대기온도와 비교하여 나타내고 있는 그래프로서 특히, 겨울철과 같이 대기와 온도차가 많이 나는 시기에는 열원으로 충분히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는 정화된 후에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고, SS성분(부유물질)이 많이 함유된 방류수의 특성상 관로 막힘으로 인해 방류수를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방류수의 열량을 활용하여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 등에 침착되는 방류수의 SS물질를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방류수로부터 지속적으로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생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는 하수처리장의 방류구로부터 방류수를 공급받는 공급관로와, 상기 공급관로와 연결되어 상기 방류수와 냉매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터펌프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방류수를 상기 방류구에 배출하는 배출관로와, 상기 공급관로 및 상기 배출관로가 통과하는 다수의 맨홀과, 상기 맨홀의 내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관로 및 상기 배출관로의 일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공급관로 및 상기 배출관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연결관체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관로와 상기 배출관로의 배열은 계절에 따라 방류수를 보온 또는 냉각시켜 히터펌프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그 배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단열관체와 방열관체의 배열로 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열관체를 PE계열의 진공관으로 하며, 상기 방열관체는 백금합금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열교환기는 그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다수의 세관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로 및 상기 배출관로는 상기 방류수가 상기 세관의 주위를 유동하도록 상기 열교환기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류수 중의 SS성분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세관이 설치된 부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방류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전방압력센서 및 후방압력센서와, 상기 다수의 세관 주위의 방류수를 강제유동시키는 펌프와, 상기 전방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과 상기 후방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의 차가 설정치 이상 높을 경우, 상기 강제순환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방류수의 유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공급관로를 동일한 지중 깊이에 매설하고, 상기 배출관로는 상기 공급관로와 동일한 깊이이거나 그보다 더 깊게 매설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대기온도와 방류수온도의 차이가 작아지는 경우 히터펌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대기온도센서와, 상기 공급관로에 설치되는 방류수온도센서와, 상기 공급관로에 설치된 공급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대기온도센서와 상기 방류수온도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의 온도차가 설정치보다 작을 경우, 상기 공급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방류수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라 방류수의 폐열이 히터펌프를 통해 재활용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공급관로와 배출관로가 통과하는 맨홀이 설치되고 그 맨홀의 내부에서 분리될 수 있는 연결관체가 설치됨으로써 방류수 내의 SS성분(부유물질)에 의해 관로가 막힐 때에 준설하거나 통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셋째, 본 발명은 히터펌프 내의 열교환기에서 SS성분(부유물질)에 의해 내부의 일부가 막힌 경우에도 압력센서에 의해 그러한 상태의 감지가 가능하고 방류수를 강제 순환시켜 막힘을 해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펌프의 효율저하를 방지하고, 열교환기 주변의 흐름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넷째, 관체를 하절기용과 동절기용으로 구분함으로써 방류수의 이송 중 에너지의 손실을 막아 효율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대기온도센서와 방류수온도센서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의 온도차가 설정치보다 작을 경우, 공급펌프에 의해 방류수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보다 활발히 진행될 수 있으므로 대기온도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출력 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버려지는 방류수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에너지나 비용을 크게 투입하지 않고 방류수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
도 1은 부산지역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및 대기의 평균온도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의 단열관 및 방열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의 열교환기 부근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의 제어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의 단열관 및 방열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의 맨홀의 구조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의 열교환기 부근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의 제어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 블록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는 하수처리장의 방류구(10)로부터 방류수를 공급받는 공급관로(30)와, 공급관로(30)와 연결되어 상기 방류수와 냉매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51)를 구비한 히터펌프(50)와, 상기 열교환기(51)의 방류수를 배출하는 배출관로(40)와, 상기 공급관로(30) 및 상기 배출관로(40)가 통과하는 다수의 맨홀(20)과, 상기 맨홀(20)의 내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관로(30) 및 상기 배출관로(40)의 일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공급관로(30) 및 상기 배출관로(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연결관체(33,43)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공급관로(30)는 정화된 하수가 배출되는 하수처리장의 방류구(10)에 연결되어 방류수의 일부를 공급받는다. 공급관로(30)로 유입된 방류수는 히터펌프(50)의 열교환기(51)까지 이송되어 열교환기(51) 내부의 냉매와 열교환된 후 배출관로(40)를 통하여 다시 방류구(10)로 배출된다. 배출관로(40)는 방류구(10)에서 상기 공급관로(30)가 연결된 부분의 하류에 연결하여 방류수를 배출하거나 별도의 방류구(11)를 마련하여 배출할 수 있다. 공급관로(30)에는 공급펌프(35)가 구비되어 방류수를 압송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도면부호 52 및 54는 히터펌프(50)에서 배출 및 유입되는 냉난방수로서, 건물이나 지역, 농가 등에 공급된다.
상기 공급관로(30)는 단열관체(31)와 방열관체(32)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로(40)는 상기 선택되고 남은 나머지 하나의 관체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공급관로(30)와 배출관로(40)는 전부 또는 그 대부분이 단열관체(31)와 방열관체(32)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공급관로(30)를 동절기에는 단열관체(31)로 하고 하절기에는 방열관체(32)로 함으로써 온수와 냉수를 각각 공급해야 하는 동절기와 하절기에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의 (a)(b)는 각각 단열관체(31)와 방열관체(32)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단열관체는 PE계열의 진공관(31)이고, 상기 방열관체(32)는 백금합금 재질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백금합금은 열전도율이 특히 높고, SS성분에 강한 특성이 있다. 방열관체(32)에는 지중으로 열이 발산될 수 있도록 냉각판(3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방류수가 방류구(10)로 되돌아오는 배출관로(40)는 방류수의 단열 및 방열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급관로(30)가 계절에 따라 어느 하나로 결정되고 난 후, 남은 관체가 선택되어 관연결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공급관로(30) 및 배출관로(40)가 통과하는 다수의 맨홀(20)이 설치된다. 상기 맨홀(20)은 관로의 내부에 침착되는 SS성분(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적정길이 단위로 공급관로(30) 및 배출관로(40)를 따라 설치된다.
도4는 그와 같은 맨홀(2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맨홀(20)에는 공급관로(30)와 배출관로(40)가 병렬로 배열되어 통과하하고, 상기 맨홀(20)의 내부영역 내에 위치하는 공급관로(30)와 배출관로(40)에는 분리될 수 있는 연결관체(33,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체(33,43)는 상기 공급관로(30) 및 상기 배출관로(40)의 일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방류수의 통로가 되고 있고, 상기 공급관로(30) 및 상기 배출관로(40)로부터 각각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급관로(30)와 배출관로(40) 내부에 SS성분이 침착된 경우, 이웃하는 맨홀(예컨대, 도 2의 도면부호 21과 22)의 연결관체(33,43)를 모두 제거하고 피그 등 공지의 배관청소장치를 한쪽 맨홀(21)에서 타측 맨홀(22) 측으로 이동시켜 침착된 SS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연결관체(33,43)는 그 내표면에도 SS성분이 침착되므로 주기적으로 분리시켜 점검함으로써 세척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체(33,43)가 공급관로(30) 및 배출관로(40)로부터 각각 분리되므로, 상기 맨홀(20)내부에서 공급관로(30)를 방열관체(32) 또는 단열관체(31)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4 (b)와 같이 공급관로(30)가 방열관체(30a)로 형성되어 있고, 배출관로(40)가 단열관체(40a)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서 동절기로 접어듦에 따라, 공급관로(30)를 단열관체(40a)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 도4 (b)의 연결관체(33,43)를 분리하고, 도4의 (c)와 같이 별도의 연결관체(33′,43′)를 교차하도록 설치하여 변경할 수 있다. 공급관로에 단열관체(40a)가 선택되어 연결된 후에는 남아 있는 방열관체(30a)를 배출관체로 하여 연결한다. 배출관체는 방열이나 단열의 필요성이 없으므로 방열이나 단열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연결할 수 있다.
연결관체(33,43)를 변경하는 경우, 최초 맨홀(21)에서 상기와 같이 연결관체(33,43,33′,43′)를 교체함으로써 공급관로(30)를 계절에 따라 전환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연결관체(33,43)가 교체되는 맨홀(21) 이후의 공급관로에 표기된 도면부호 30은 연결관체(33,43)의 전술한 교체에 따라 배출관로로 운영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공급관로(30)에 의해 이송된 방류수와 열교환함으로써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히터펌프(50)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펌프(50)는 방류수와 열교환을 통해서 소정의 지역 또는 건물에 냉난방을 제공하며, 그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될 수 있는 열교환기(5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열교환기(51)는 방류수로부터 열량을 공급받을 경우 증발기의 역할을 하고, 방류수로 열량을 방출하는 경우에는 응축기의 역할을 한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절기에는 방류수의 온도가 대기온도보다 항시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히터펌프(50)는 난방(온수)용으로 활용하고, 하절기에는 대기의 온도가 30°를 넘어가는 낮시간대에 냉방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기(51)의 내부에는 히터펌프(50)의 냉매가 흐르는 다수의 세관(512)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로(30) 및 상기 배출관로(40)는 상기 방류수가 상기 세관(512)의 주위를 유동하도록 상기 열교환기(51)에 각각 연결된다.
도 5는 히터펌프(50)의 열교환기(51) 부근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열교환기(51)에는 다수의 세관(512)이 내부에 형성되어 그 내부를 냉매가 유동하고 있고, 그 외부에서 방류수가 유동하도록 열교환기(51)의 유입구(514)와 유출구(515)에 각각 공급관로(30)와 배출관로(40)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세관(512)의 표면에서 냉매와 방류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열교환기(51)의 유입구와 유출구에서 방류수의 흐름 방향은 계절에 따른 공급관로(30)의 전환으로 역전될 수 있으나, 열교환기(51) 내의 열교환작용에는 큰 차이가 없다.
한편, 상기 공급관로(30)의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세관(512)이 설치된 부분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전방압력센서(63)과 후방압력센서(65)가 설치된다. 그 압력센서는 다수의 세관(512) 사이에 SS성분의 침착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작용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로(30)의 방류수를 강제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51)의 전방 및 후방, 보다 구체적으로 열교환기(51)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접속되는 부근에 펌핑관로(66)의 양측이 각각 접속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공급관로(30) 및 배출관로(40)에는 차단밸브(61,62)가 설치되되, 공급관로(30) 및 배출관로(40)의 개방 시에는 펌핑관로(66)의 양단이 차단되고, 상기 공급관로(30) 및 배출관로(40)의 차단 시에는 펌핑관로(66)의 양단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단밸브(61,62)에는 그것을 작동시키는 작동기가 각각 설치되어 후술하는 제어기(7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열교환기(51)와 상기 공급관로(30)는 방류수의 유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중의 동일한 깊이에 매설하고, 상기 배출관로(40)는 상기 공급관로(30)와 동일한 깊이이거나 그보다 더 깊게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방류수의 유동저항을 경감시킴으로써 열교환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도 6은 제어기(7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히터펌프(50)의 설치위치 등에 별도로 설치된 제어기(70)는 다수의 세관(512)의 전후방에 설치된 전방압력센서(63)와 후방압력센서(65)로부터 압력값을 전달받고, 그 압력값의 차가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공급관로(30)와 배출관로(40)가 차단되도록 차단밸브(61,62)를 작동시킨다. 이후, 펌핑관로(66)의 강제순환펌프(60)를 작동시켜 열교환기(51) 내부의 방류수를 강제로 순환시킨다.
예컨대, 상기 다수의 세관(512) 사이에 SS성분의 침착으로 인하여 배출수의 유동이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 세관(512)의 전방압력센서(63)의 압력이 높아지고, 후방압력센서(65)의 압력은 낮아지게 되어 양 압력센서의 측정값의 차가 높게 발생한다. 이때, 설정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라면, 다수의 세관(512)의 사이사이에 SS성분이 많이 침작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기(70)는 차단밸브(61,62)의 작동기를 구동시켜 공급관로(30) 및 배출관로(40)를 모두 차단시키고, 상기 펌핑관로(66)의 강제순환펌프(60)를 작동시킴으로써 열교환기(51) 내부에 남아 있는 방류수에 강한 압력을 부가하여 강제순환시킨다. 이는 상기 차단밸브(61,62)가 공급관로(30) 및 배출관로(40)는 차단하고 있으나 열교환기(51) 쪽으로는 모두 개방시키고 있으므로, 강제순환펌프(60)에서 압송되는 잔류방류수가 펌핑관로(66)으로부터 열교환기(51) 내부로 들어가고 다시 강제순환펌프(60)로 들어온 후 압송되는 순환을 의미한다. 그러한 작용에 의해, 방류수의 유속이 빨라지고, 다수의 세관(512)의 사이에 침착된 SS성분이 세관(512)으로부터 분리되어 방류수 내에서 유동하게 된다. 상기 강제순환은 방류수의 정상흐름방향과는 반대로 순환시키는 것이 침착된 SS성분의 분리를 위해 보다 바람직하다.
설정시간이 경과된 후, 제어기(70)는 강제순환펌프(60)를 정지시키고 다시 차단밸브(61,62)를 개방시킴으로써 열교환기(51)가 정상작동하게 되면, 세관(512)로부터 떨어져 나와 유동하는 SS성분이 배출관로(40)를 따라 방류구(10)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대기온도센서(71)와 방류구(10)에서 공급관로(30)로 공급된 방류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류수온도센서(72)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기(70)는 대기온도센서(71)와, 공급관로(30)에 설치된 방류수온도센서(72)로부터 각 온도값을 전달받는다.
이때,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대기온도센서(71)와 상기 방류수온도센서(72)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의 온도차가 설정치보다 작을 경우, 공급관로(30)의 공급펌프(35)를 가동시키거나 그 발생되고 있는 출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방류수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51)에서 열교환이 보다 활발히 진행될 수 있으므로 대기온도 변화에 따른 냉난방 출력의 변동의 정도를 경감시키고, 일정량 이상의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재생에너지 생산장치가 하수처리장의 방류구를 통해 버려지는 방류수의 일부를 활용하는 것으로, 에너지나 비용의 큰 증가없이 방류수의 공급량을 쉽게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방류구 11; 별도의 방류구
20,21,22,23; 맨홀 30; 공급관로
30a;방열관체 31; 단열관체
32; 방열관체 33,33′; 연결관체
35; 공급펌프 40; 배출관로
40a; 단열관체 43,43′; 연결관체
50; 히터펌프 51; 열교환기
52,54; 냉난방수 60; 강제순환펌프
61,62; 차단밸브 63; 전방압력센서
65; 후방압력센서 70; 제어기
71; 대기온도센서 72; 방류수온도센서
321; 방열판 512; 세관
20,21,22,23; 맨홀 30; 공급관로
30a;방열관체 31; 단열관체
32; 방열관체 33,33′; 연결관체
35; 공급펌프 40; 배출관로
40a; 단열관체 43,43′; 연결관체
50; 히터펌프 51; 열교환기
52,54; 냉난방수 60; 강제순환펌프
61,62; 차단밸브 63; 전방압력센서
65; 후방압력센서 70; 제어기
71; 대기온도센서 72; 방류수온도센서
321; 방열판 512; 세관
Claims (7)
- 하수처리장의 방류구(10)로부터 방류수를 공급받는 공급관로(30)와,
상기 공급관로(30)와 연결되어 상기 방류수와 냉매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51)를 포함하는 히터펌프(50)와,
상기 열교환기(51)를 통과한 방류수를 상기 방류구(10)에 배출하는 배출관로(40)와,
상기 공급관로(30) 및 상기 배출관로(40)가 통과하는 다수의 맨홀(20)과,
상기 맨홀(20)의 내부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관로(30) 및 상기 배출관로(40)의 일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공급관로(30) 및 상기 배출관로(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연결관체(33,43)를 각각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기(51)는 그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다수의 세관(512)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로(30) 및 상기 배출관로(40)는 상기 방류수가 상기 세관(512)의 주위를 유동하도록 상기 열교환기(51)에 각각 연결되는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세관(512)이 설치된 부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방류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전방압력센서(63) 및 후방압력센서(65)와,
상기 다수의 세관(512) 주위의 방류수를 강제유동시키는 강제순환펌프(60)와,
상기 전방압력센서(63)에서 감지된 압력과 상기 후방압력센서(65)에서 감지된 압력의 차가 설정치 이상 높을 경우, 상기 강제순환펌프(60)를 작동시키는 제어기(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51)와 상기 공급관로(30)는 동일한 지중 깊이에 매설되고,
상기 배출관로(40)는 상기 공급관로(30)와 동일한 깊이이거나 그보다 더 깊게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대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대기온도센서(71)와,
상기 공급관로(30)에 설치되는 방류수온도센서(72)와,
상기 공급관로(30)에 설치된 공급펌프(3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대기온도센서(71)와 상기 방류수온도센서(72)에서 각각 측정된 온도의 온도차가 설정치보다 작을 경우, 상기 공급펌프(35)를 작동시켜 상기 방류수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0989A KR101174205B1 (ko) | 2010-05-31 | 2010-05-31 |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0989A KR101174205B1 (ko) | 2010-05-31 | 2010-05-31 |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1519A KR20110131519A (ko) | 2011-12-07 |
KR101174205B1 true KR101174205B1 (ko) | 2012-08-14 |
Family
ID=4549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0989A KR101174205B1 (ko) | 2010-05-31 | 2010-05-31 |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420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61329A (ja) * | 2004-12-03 | 2006-06-22 | Sekisui Chem Co Ltd | マンホールの更正方法 |
KR100743364B1 (ko) * | 2006-09-13 | 2007-07-26 | 한국수자원공사 | 상하수도관을 활용한 히트펌프 시스템 |
-
2010
- 2010-05-31 KR KR1020100050989A patent/KR1011742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61329A (ja) * | 2004-12-03 | 2006-06-22 | Sekisui Chem Co Ltd | マンホールの更正方法 |
KR100743364B1 (ko) * | 2006-09-13 | 2007-07-26 | 한국수자원공사 | 상하수도관을 활용한 히트펌프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1519A (ko) | 2011-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61280B1 (fr) | Installation geothermique avec recharge thermique du sous sol. | |
CN102695928B (zh) | 低能量系统中的接地回路 | |
WO2008009289A1 (en) | A heat exchange module, in particular for a ground source heat pump | |
CN105276862A (zh) | 网箱式地表水源换热器 | |
CN204574340U (zh) | 地源热泵地下换热器分集水器系统 | |
US20130058725A1 (en) | System for extracting heat from an effluent flowing in a duct, and heat exchanger for such a system | |
CN102498347B (zh) | 热交换器组件及用于传递热能的方法 | |
KR101174205B1 (ko) | 방류수 및 히터펌프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장치 | |
US20100212858A1 (en) | Geothermal Cooling System for an Energy-Producing Plant | |
CN101943528A (zh) | 污水或地表水源热泵畅通型换热装置及其系统 | |
JP2016023914A (ja) | 多段的地下水熱利用システム | |
CN103062958B (zh) | 反冲洗系统 | |
JP2016070530A (ja) | 環境に配慮した地下水熱利用システム | |
DE102008026240B4 (de) | Anlage zum Heizen und Kühlen | |
KR100917388B1 (ko) | 복류수를 이용하는 열펌프 냉 난방시스템 | |
CN104197585A (zh) | 利用电厂冷却系统换热的复合式热泵热源系统及方法 | |
CN203533758U (zh) | 一种并联式模块化地能空调 | |
RU2455574C1 (ru) | Установка автономного тепло-и холодоснабжения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 |
HU229116B1 (en) | Process and arrangement for sewage waste heat recovery | |
KR20180016712A (ko) | 광산 배수를 이용한 히트펌프 장치 | |
CN105737133A (zh) | 一种锅炉排污水综合利用装置 | |
JP2005344953A (ja) | ハイブリッド型地中熱利用システム | |
RU140779U1 (ru) | Система теплоснабжения | |
CN202485480U (zh) | 一种单排管空冷散热器管束 | |
JP2005114240A (ja) | 冷却設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