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157B1 -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0157B1 KR101160157B1 KR1020100020483A KR20100020483A KR101160157B1 KR 101160157 B1 KR101160157 B1 KR 101160157B1 KR 1020100020483 A KR1020100020483 A KR 1020100020483A KR 20100020483 A KR20100020483 A KR 20100020483A KR 101160157 B1 KR101160157 B1 KR 1011601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ling
- elevator
- landing
- stop position
-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4
- SAZUGELZHZOXHB-UHFFFAOYSA-N acecarbromal Chemical compound CCC(Br)(CC)C(=O)NC(=O)NC(C)=O SAZUGELZHZOXHB-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위치 검출을 위한 랜딩 베인 및 랜딩 센서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30: 속도 제어기 140: 출입문 제어기
210: 엘리베이터 카 220: 이동 로프
230: 랜딩 베인(위치 식별 수단)
240: 랜딩 센서부(위치 감지 수단)
250: 위치 검출 수단 241: 제1 랜딩 센서
242: 제2 랜딩 센서 243: 제3 랜딩 센서
244: 제4 랜딩 센서 245: 제1 레벨링 센서
246: 제2 레벨링 센서 231: 제1 레벨링 개방부
232: 제2 레벨링 개방부
Claims (19)
-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된 판 형상의 랜딩 베인과, 상기 랜딩 베인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랜딩 센서 및 상기 레벨링 개방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랜딩 센서 및 상기 레벨링 센서가 상기 랜딩 베인에 의해 차폐 또는 개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 출력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정차 위치 검출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제어하고, 정차 대상 승강층에 대해 검출된 상기 정차 위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움직임 제어기;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정차 대상 승강층에 정차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출입문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정차 위치 검출기는 상기 레벨링 개방부의 수직 폭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정차 위치를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센서 및 상기 레벨링 개방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과 상기 정차 대상 승강층의 승강장 바닥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 정위치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위치 검출기는,
상기 레벨링 센서가 상기 랜딩 베인에 의해 차폐되었다가 상기 레벨링 개방부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을 기준으로 상기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베인은,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각 레벨링 센서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레벨링 개방부 중 가장 작은 수직 폭을 갖는 레벨링 개방부의 신호 출력 값을 기준으로 상기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제어기는,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신호 출력 값과 동일할 때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제어기는,
상기 정차 위치 검출기를 통해 상기 정차 대상 승강층에 대응하는 랜딩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의 최초 변화가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감속 운행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베인 및 랜딩 센서는,
각각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일면 또는 승강로 내의 일면 중 어느 하나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또는 승강로 내의 일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된 판 형상의 랜딩 베인;
상기 엘리베이터 카 또는 승강로 내의 일면 중 상기 랜딩 베인에 수평 대향되는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랜딩 베인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랜딩 센서 및 상기 레벨링 개방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센서를 포함하는 랜딩 센서부; 및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가 상기 랜딩 베인에 의해 차폐 또는 개방될 때 출력되는 신호 출력 값과 상기 레벨링 센서가 상기 레벨링 개방부에 의해 개방될 때 출력되는 신호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센서 및 레벨링 개방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과 정차 대상 승강층의 승강장 바닥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 정위치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레벨링 개방부 중 수직 폭이 가장 작은 레벨링 개방부에 대응되는 상기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는,
각각 상기 랜딩 베인에 의해 차폐될 때와 개방될 때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로부터 상기 출력되는 신호 출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신호 출력 값에 부합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및 출입문 개방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기 위한 정차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가 정차할 승강층을 식별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된 랜딩 베인에 의해 상기 랜딩 베인을 감지하는 랜딩 센서 및 상기 레벨링 개방부를 감지하는 레벨링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이 모두 변화되면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링 개방부의 수직 폭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 범위가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신호 출력 값에 부합되는지 판단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에서,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신호 출력 값에 부합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 출력 값이 상기 기준 신호 출력 값에 부합될 때까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되어 있던 승강층과 상기 정차할 승강층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정차할 승강층을 식별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정차할 승강층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진입하면 감속 운행을 시작하고, 상기 감속 운행을 시작 시점부터 최초로 상기 랜딩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이 변화되는 승강층을 상기 정차할 승강층으로 식별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위치 범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과 상기 정차할 승강층의 승강장 바닥이 수평이 되는 정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레벨링 개방부 중 수직 폭이 가장 작은 레벨링 개방부에 대응되는 상기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0483A KR101160157B1 (ko) | 2010-03-08 | 2010-03-08 |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0483A KR101160157B1 (ko) | 2010-03-08 | 2010-03-08 |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1472A KR20110101472A (ko) | 2011-09-16 |
KR101160157B1 true KR101160157B1 (ko) | 2012-06-27 |
Family
ID=4495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0483A Active KR101160157B1 (ko) | 2010-03-08 | 2010-03-08 |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015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70452A (ko) * | 2022-06-10 | 2023-12-19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자기센서를 이용한 위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5202700A1 (de) * | 2015-02-13 | 2016-08-18 | Thyssenkrupp Ag |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ufzugsystems |
KR102428037B1 (ko) * | 2020-01-06 | 2022-08-02 | 주식회사 한테크 |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
KR102428036B1 (ko) * | 2020-01-06 | 2022-08-02 | 주식회사 한테크 |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
DE112020007714T5 (de) * | 2020-10-21 | 2023-08-03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Aufzugsvorrichtu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99266U (ko) | 1977-12-26 | 1979-07-13 | ||
KR100292260B1 (ko) | 1998-10-13 | 2001-06-01 | 장병우 |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장치 |
JP2004067252A (ja) | 2002-08-01 | 2004-03-04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ーの位置検出装置 |
KR20090033257A (ko) * | 2006-10-17 | 2009-04-01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
-
2010
- 2010-03-08 KR KR1020100020483A patent/KR10116015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99266U (ko) | 1977-12-26 | 1979-07-13 | ||
KR100292260B1 (ko) | 1998-10-13 | 2001-06-01 | 장병우 |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장치 |
JP2004067252A (ja) | 2002-08-01 | 2004-03-04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ーの位置検出装置 |
KR20090033257A (ko) * | 2006-10-17 | 2009-04-01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70452A (ko) * | 2022-06-10 | 2023-12-19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자기센서를 이용한 위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KR102706973B1 (ko) * | 2022-06-10 | 2024-09-13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자기센서를 이용한 위치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1472A (ko) | 2011-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51854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1160157B1 (ko) |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
JP6294335B2 (ja) | 可変長緩衝器を有するエレベータ | |
JP6683184B2 (ja) | エレベータ | |
JP2001171924A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制御装置 | |
JP2012126558A (ja) |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制御装置 | |
JP2008179432A (ja) |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 |
JP2012246113A (ja) | エレベータ制御装置 | |
JP6419638B2 (ja) | 両かごエレベーター | |
JP5877732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の乗りかご内の情報表示方法 | |
KR102135192B1 (ko) |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
JP5850801B2 (ja) | 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速度制御方法 | |
JP2019099325A (ja) | エレベーター | |
JP6079323B2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 |
JP2018052667A (ja) |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 |
KR20110086426A (ko) |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 장치 | |
JP2002220161A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 |
JP2006290500A (ja) | 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 |
KR100638754B1 (ko) | 엘리베이터 카 위치검출장치 | |
JP7449501B1 (ja) | エレベータ | |
JP5966872B2 (ja) |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 |
KR102265012B1 (ko) | 가변속도 엘리베이터의 강제 감속 제어장치 및 방법 | |
JP6602906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3370920B2 (ja) |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管制運転装置 | |
CN110402229B (zh) | 电梯的控制装置以及曳引绳索的伸缩量估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