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65662B1 -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 Google Patents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662B1
KR101165662B1 KR1020110137115A KR20110137115A KR101165662B1 KR 101165662 B1 KR101165662 B1 KR 101165662B1 KR 1020110137115 A KR1020110137115 A KR 1020110137115A KR 20110137115 A KR20110137115 A KR 20110137115A KR 101165662 B1 KR101165662 B1 KR 101165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arth
earth plate
pile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순
최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기술
Priority to KR102011013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6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1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H-파일과, 상기 H-파일들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부를 상기 H-파일의 삽입홈 내면에 끼워넣어 가며 적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류판을 포함하는 토류벽에 있어서,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 사이에는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 사이 공간에 끼워지며 상기 공간을 기밀 처리하는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의 일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 사이 공간 입구에 걸려지며 상기 입구를 막음 처리하는 수직판부로 구성한 제 1고무지수판이 설치되며, 상기 H-파일의 삽입홈 내면에 끼워지는 토류판의 양단부에는 하나의 토류판 양단 상면부에 밀착되며 상기 토류판 위에 적층되는 다른 토류판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기밀 처리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전면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의 양단 전면부와, 상기 토류판이 끼워지는 H-파일의 삽입홈 내면 사이에 끼워지며 기밀 처리하는 전면판부로 구성한 제 2고무지수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linear panel for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토립지 유실 방지용 토류벽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지수판을 이용하여 토립자 유실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로나 옹벽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행한 절토공사나 건물의 기초 터파기 공사시에는 토사나 암반이 무너지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토압, 수압 등의 측압에 대해 저항하는 것을 목적으로 흙막이 공법이 시행된다.
이러한 흙막이 공법은 토목시공현장의 지하층 작업을 위해서, 시공자가 원하는 소정의 지점을 굴착하게 된다. 굴착작업을 통해 노출된 흙벽은 상당한 세기의 토압이 발생되는데, 이 토압이 지정한도를 초과하게 되면 흙벽은 자연적으로 융출, 침하, 또는 붕괴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붕괴위험성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흙막이 시설은 굴착되어 노출된 흙벽면에 수직되게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배치된 하나 이상의 H-파일과, 상기 H-파일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토류판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H-파일과 토류판으로 이루어진 토류벽의 경우, 지하수의 차단효과가 약하기 때문에 토류벽 배면의 지하수 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으며, 수위가 높지 않더라도 토류벽 배면의 지하수가 토류벽을 통해 누수될 경우, 토류벽 배면에 위치한 토립자(토사)가 함께 침투하여 토립자 유실로 인해 구조물이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토류벽의 배면에 Sheet Pile 및 시멘트 그라우팅 공법으로 토립자 유실방지와 차수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공법은 좁은 도시공간에 적용시, 대형장비로 인한 소음 등 민원이 발생할 뿐 아니라 시추와 그라우팅 설치로 공사기간 연장과 이로 인한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지수판을 이용하여 토립자 유실 방지 및 차수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H-파일과, 상기 H-파일들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부를 상기 H-파일의 삽입홈 내면에 끼워넣어 가며 적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류판을 포함하는 토류벽에 있어서,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 사이에는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 사이 공간에 끼워지며 상기 공간을 기밀 처리하는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의 일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 사이 공간 입구에 걸려지며 상기 입구를 막음 처리하는 수직판부로 구성한 제 1고무지수판이 설치되며, 상기 H-파일의 삽입홈 내면에 끼워지는 토류판의 양단부에는 하나의 토류판 양단 상면부에 밀착되며 상기 토류판 위에 적층되는 다른 토류판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기밀 처리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전면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의 양단 전면부와, 상기 토류판이 끼워지는 H-파일의 삽입홈 내면 사이에 끼워지며 기밀 처리하는 전면판부로 구성한 제 2고무지수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 하로 적층되며 토류벽을 이루게 되는 토류판과 토류판 사이에 고무지수판을 삽입시켜, 토류판과 토류판 사이 공간을 기밀 처리함으로서 토류벽 배면에서 지하수가 누수되어 토립자가 유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시멘트 그라우팅 공법 등과 같은 고가의 공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토립자 유실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경제성과 또한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
도 5는 제 1고무지수판의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 1고무지수판과 토류판간의 조립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 2고무지수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 하로 적층되며 토류벽을 이루게 되는 토류판과 토류판 사이에 고무지수판을 삽입시켜, 토류판과 토류판 사이 공간을 기밀 처리함으로서 토류벽 배면에서 지하수가 누수되어 토립자가 유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을 구현하고자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별도의 공법을 접목할 필요없이 토류판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고무지수판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은 일정깊이 굴착된 흙벽면에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H-파일(10)과, 상기 H-파일(10)에 지지되며 토압, 수압 등의 측압을 상기 H-파일과 함께 저항하는 토류벽을 포함한다.
상기 토류벽은 직사각의 단면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된 토류판(20)을 H-파일(10) 사이에 다수개 수직으로 적층시켜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토류판들 사이사이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 1고무지수판이 설치되는 바, 하기에서는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에 끼워지는 제 1고무지수판(30)의 구조에 대하여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 1고무지수판(30)은 상, 하로 적층되는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에 삽입되며 토류판(20a)과 토류판(20b)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22)(틈새)로 지하수가 누수되어 토류벽 배면의 토립자가 유실되는 것을 차단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도 5와 도 6은 상기한 제 1고무지수판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고무지수판(30)은 전체적으로 "T"형 단면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수평판부(32)와, 상기 수평판부(32)의 일단에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수직판부(34)로 구성한다.
상기 수평판부(32)는 상, 하로 적층되는 토류판(20a)과 토류판(20a) 사이에 형성된 공간(22)에 끼워지며, 상기 공간(22)을 기밀 처리하게 된다.
상기 수직판부(34)는 상기 토류판(20a)과 토류판(20b) 사이에 형성된 공간(22)에 수평판부(32)가 끼워지고 나면, 상기 공간(22)의 입구(22a)에 걸려지며 토압, 수압 등의 측압에 의해 제 1고무지수판(30)이 밀려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상기 공간(22) 입구(22a)로 지하수와 토립자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를 가진 제 1고무지수판(30)을 토류판들 사이 공간에 삽입시켜 기밀 처리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고가의 시멘트 그라우팅 공법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토류벽 배면에서 지하수가 누수되어 토립자가 유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제 1고무지수판(30)은 토류판(20a, 20b)의 길이 보다 짧게, 바람직하게는 H-파일(10)과 H-파일(10) 사이에 끼워지는 토류판(20a, 20b)의 양단부를 제외한 토류판(20a, 20b)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토류판(20a, 20b)의 양단부는 다시 별도의 제 2고무지수판(40)으로 차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H-파일(10)의 삽입홈(12)에 끼워지는 상기 토류판(20a, 20b)의 양단부에는 다시 별도의 제 2고무지수판(40)이 더 부착되도록 한다.
첨부된 도 7은 제 2고무지수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고무지수판(40)은 "ㄱ"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판부(42)와, 상기 상판부(42)의 전면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전면판부(4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상판부(42)는 하나의 토류판(20a) 양단 상면부에 밀착되며 상기 토류판 위에 적층되는 다른 토류판(20b)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기밀 처리하게 되고, 상기 전면판부(44)는 토류판(20a)의 양단 전면부와, 상기 토류판(20a)이 끼워지는 H-파일(10)의 삽입홈(12) 내면과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기밀 처리하게 된다.
즉, 제 2고무지수판(40)의 상판부(42)는 상, 하로 적층되는 토류판(20a)과 토류판(20b) 사이에 형성된 공간(22)을 기밀 처리하는 제 1고무지수판(30)의 수평판부(32)와 같이, H-파일(10)의 삽입홈(12)에 토류판(20a, 20b)이 적층되고 나면 상, 하로 적층되는 토류판(20a)과 토류판(20b)의 양단부 사이 공간에 끼워지며 기밀 처리하게 되고, 상기 제 2고무지수판(40)의 전면판부(44)는 상기 토류판(20a)의 양단부 전면과 H-파일(10)의 삽입홈(12) 내면 사이의 틈새를 차단시켜 기밀 처리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일정깊이 굴착된 흙벽면에 H-파일들을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 배치한 다음, 두 개의 H-파일(10)의 삽입홈(12) 내면에 토류판(20a, 20b)의 양단부를 끼워넣어 가며 상기 토류판(20a, 20b)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토압, 수압 등의 측압을 상기 H-파일(10)과 함께 저항할 수 있는 토류벽을 시공토록 한다.
이때 토류벽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 하로 적층되는 토류판(20a)과 토류판(20b)의 사이 공간(22)은 본 발명의 제 1고무지수판(30)으로 기밀 처리토록 하고, 상기 H-파일(10)의 삽입홈(12)에 끼워지는 토류판(20a, 20b)의 양단부는 제 2고무지수판(40)으로 기밀 처리토록 한다.
즉, 하나의 토류판(20a)을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상기 토류판(20a)의 양단부를 H-파일(10) 삽입홈(12) 내면에 끼워넣은 다음, 다른 토류판(20b)을 올려놓기 전, 제 1고무지수판(30)의 수평판부(32)를 끼워넣고, 상기 수평판부 (32)위에 다른 토류판(20b)을 올려놓음으로서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 공간(22)은 상기 제 1고무지수판(30)의 수평판부(32)에 의해 기밀 처리됨으로서 지하수가 누수되어 토립자가 유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더욱이 수평판부(32)의 일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부(34)가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 공간(22) 입구(22a)를 막아주게 됨은 물론, 수직판부(34)가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 공간(22) 입구(22a)에 걸려진 상태가 됨으로서 토압, 수압 등의 측압에 의해 제 1고무지수판(3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H-파일(10) 삽입홈(12) 내면에 끼워진 하나의 토류판(20a) 양단부 상면에 본 발명의 제 2고무지수판(40)인 상부판(42)을 올려놓게 되면, 상기 상부판(42)의 전면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는 전면판부(44)는 토류판(20a)의 전면과 H-파일(10a) 삽입홈(12a) 내면 사이에 끼워지며 H-파일(10a)과 토류판(20a)의 접촉면 사이 틈새를 기밀 처리하게 되고, 그리고 상기 제 2고무지수판(40)의 상부판(42) 위에 다른 토류판(20b)의 양단부가 올려지게 됨으로서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기밀 처리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토류벽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토류판 사이 사이에 제 1, 2고무지수판(30, 40)을 함께 시공토록 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고가의 시멘트 그라우팅 공법 등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비교적 적은 공사비로 토립자 유실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시공성과 경제성 그리고 친 환경성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10: H-파일 20a, 20b: 토류판
30: 제 1고무지수판 32: 수평판부
34: 수직판부 40: 제 2고무지수판
42: 상판부 44: 전면판부

Claims (1)

  1.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H-파일(10)과, 상기 H-파일(10)들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부를 상기 H-파일(10)의 삽입홈(12) 내면에 끼워넣어 가며 적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류판(20a, 20b)을 포함하는 토류벽에 있어서,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에는;
    수평으로 누운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 하로 적층된 두 개의 토류판(20a, 20b) 사이 공간(22)에 끼워지며 상기 공간(22)을 기밀 처리하는 수평판부(32)와;
    상기 수평판부(32)의 일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20a, 20b) 사이 공간(22) 입구(22a)에 걸려지며 상기 입구(22a)를 막음 처리하는 수직판부(34)로 구성한 제 1고무지수판(30)이 설치되며;
    상기 H-파일(10)의 삽입홈(12) 내면에 끼워지는 토류판(20a, 20b)의 양단부에는;
    하나의 토류판(20a) 양단 상면부에 밀착되며 상기 토류판(20a) 위에 적층되는 다른 토류판(20b)의 양단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기밀 처리하는 상판부(42)와;
    상기 상판부(42)의 전면에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토류판(20a)의 양단 전면부와, 상기 토류판(20a)이 끼워지는 H-파일(10)의 삽입홈(12) 내면 사이에 끼워지며 기밀 처리하는 전면판부(44)로 구성한 제 2고무지수판(4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KR1020110137115A 2011-12-19 2011-12-19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Active KR101165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115A KR101165662B1 (ko) 2011-12-19 2011-12-19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115A KR101165662B1 (ko) 2011-12-19 2011-12-19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662B1 true KR101165662B1 (ko) 2012-07-16

Family

ID=46716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115A Active KR101165662B1 (ko) 2011-12-19 2011-12-19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6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476B1 (ko) 2015-06-22 2016-09-05 주식회사 금원건설 강판을 연결하여 지반에 매설함과 동시에 인발할 수 있는 흙막이 벽체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09753B1 (ko) * 2021-03-12 2021-10-07 최경철 철판 벽체 차수 구조 및 시공방법
KR102570965B1 (ko) 2022-09-20 2023-08-25 정운성 흙막이 가시설 구조체
KR102590977B1 (ko) 2022-09-23 2023-10-19 (주)동진이엔시 부직포 일체형 배수챤넬을 사용한 h파일 토류판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605Y1 (ko) 2003-07-07 2003-09-29 박노일 가설용 흙막이
KR200409056Y1 (ko) 2005-09-14 2006-02-20 김무성 토목용 토류판의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605Y1 (ko) 2003-07-07 2003-09-29 박노일 가설용 흙막이
KR200409056Y1 (ko) 2005-09-14 2006-02-20 김무성 토목용 토류판의 보강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476B1 (ko) 2015-06-22 2016-09-05 주식회사 금원건설 강판을 연결하여 지반에 매설함과 동시에 인발할 수 있는 흙막이 벽체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09753B1 (ko) * 2021-03-12 2021-10-07 최경철 철판 벽체 차수 구조 및 시공방법
KR102570965B1 (ko) 2022-09-20 2023-08-25 정운성 흙막이 가시설 구조체
KR102590977B1 (ko) 2022-09-23 2023-10-19 (주)동진이엔시 부직포 일체형 배수챤넬을 사용한 h파일 토류판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075B1 (ko) 공동 주택 기초 공사용 토류판의 구조
WO2017048056A1 (ko) 가시설용 차수식 흙막이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KR101165662B1 (ko) 토립자 유실 방지용 토류벽
KR100743474B1 (ko) 건축물 기초공사용 흙막이 구조
KR101041274B1 (ko) 합성형 그라우팅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03104021A (zh) 昔格达地层路堑边坡防排水系统
KR102195203B1 (ko) 수평 및 경사 버팀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JP6277755B2 (ja) 地盤改良工法、及び地盤改良システム
CN101775800B (zh) 一种具有双重作用的水泥土桩及其成形方法
KR100923728B1 (ko) 건축기초 흙막이용 토류판에 설치되는 배수처리장치
JP5959094B2 (ja) 地盤改良体の形成方法
KR20120119474A (ko) 옹벽의 시공방법
KR100568988B1 (ko) 슬라이드 판넬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구조 및 그 설치공법
JP6395529B2 (ja) 水平修復可能な建物の基礎構造
CN211571744U (zh) 一种地下水发育地段边坡防护结构
KR100503871B1 (ko) 토류판 보강 장치
KR200369479Y1 (ko) 흙막이용 패널
JP2014062393A (ja) 液状化対策のための地盤改良体及びその形成方法
JPH0819667B2 (ja) 粘性土地盤における掘削工法
KR100501508B1 (ko) 토류판
KR101215270B1 (ko)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공법
KR100669530B1 (ko) 흙막이 시공방법
JP6445276B2 (ja) 境界ブロック設置の施工方法
KR20150048375A (ko) 공동주택 지하 벽체 누수를 배수하는 배수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352429B1 (ko) 파형 강판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수형 가설 흙막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