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52742B1 -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 - Google Patents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742B1
KR101152742B1 KR1020100058632A KR20100058632A KR101152742B1 KR 101152742 B1 KR101152742 B1 KR 101152742B1 KR 1020100058632 A KR1020100058632 A KR 1020100058632A KR 20100058632 A KR20100058632 A KR 20100058632A KR 101152742 B1 KR101152742 B1 KR 101152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holding member
opening
light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631A (ko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박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훈 filed Critical 박지훈
Priority to KR102010005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74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74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을 개시한다. 개시된 전등은, 외부를 향해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수용 지지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싱과; 대기위치, 상기 대기위치에서 이동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사용위치 및 상기 사용위치에서 이동된 수거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며,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발광유지부재와; 상기 발광유지부재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유지부재와 상기 개구부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유입 방지부재와; 상기 발광유지부재를 상기 개구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부와; 상기 발광유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ELECTRICAL LAMP HAVING A CONSTANT ILLUMINAT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전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 터널등과 같이 야외에 설치되는 전등은 먼지나 이물질이 그 외면에 쌓이게 되어 그 내부의 광원의 성능에 관계없이 시간이 갈수록 조명성능이 떨어진다.
이러한 조명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가로등 또는 터널등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작업을 하거나 그들을 교체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설치된 장소의 도로 또는 터널의 차량 진입을 차단해야 하는 등 외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로 인해 주변 교통 정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교체작업 중에 발생하는 교통사고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가 상당하다.
따라서, 야외에 설치되더라도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유지 보수가 가능한 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등에 있어서, 외부를 향해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수용 지지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싱과; 대기위치, 상기 대기위치에서 이동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사용위치 및 상기 사용위치에서 이동된 수거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며,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발광유지부재와; 상기 발광유지부재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유지부재와 상기 개구부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유입 방지부재와; 상기 발광유지부재를 상기 개구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부와; 상기 발광유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발광유지부재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사용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유지부재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발광유지부재와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유지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투과 가능한 광투과부재와; 상기 광투과부재를 상기 개구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유지부재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광투과부재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가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먼지 또는 이물질이 쌓이는 발광유지부재를 일정시간 주기로 새로운 발광유지부재가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조명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둘째, 광원 또는 발광유지부재를 간편하게 교체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등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등의 상부케이싱 및 발광유지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정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등의 상부케이싱 및 발광유지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배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등을 천정에 매립한 상태에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등(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를 향해 광을 출사하는 광원(150); 상기 광원(150)을 수용 지지하는 케이싱(110); 대기위치(S), 상기 대기위치(S)에서 이동되어 상기 광원(15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사용위치(U) 및 상기 사용위치(U)에서 이동된 수거위치(D) 간을 이동 가능한 발광유지부재(120);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130); 상기 이동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150)은 냉음극 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백열등 및 엘이디(LED:Light Emitting Di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열거된 광원은 일례에 불과하고 다른 형태의 광원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싱(110)은 서로 착탈 가능한 상부 케이싱(111) 및 하부 케이싱(113)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싱(113)은 설치될 장소에 결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전등(100)이 터널등으로서 사용될 경우 상기 하부케이싱(113)은 터널의 상측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하부케이싱(113)은 상기 광원(150)에서 출사된 광이 터널 내부를 향하도록 하면서 상기 벽면에 매립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케이싱(111)에는 개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는 상기 광원(150)에서 출사된 광이 투과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는 투명 또는 소정 색상의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는, 상기 상부 케이싱(111)에 상기 개구부(112)가 형성된 경우, 상기 사용위치(U)에서 상기 개구부(112)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12)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발광유지부재(120)와 상기 상부케이싱(111) 사이에 배치된 이물질유입 방지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유입 방지부재(170)는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이물질유입 방지부재(170)는 오링(O-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링은 스펀지 또는 고무 또는 연성플라스틱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는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대기위치(S)의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만이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수거위치(D)는 상기 케이싱(110) 외부에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수거위치(D)의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는 이물질 또는 먼지가 쌓여 있으므로 굳이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수용하지 않아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는 상기 대기위치(S)에서 상기 사용위치(U)를 경유하여 상기 수거위치(D)로 회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대기위치(S)에서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는 롤의 형태로 마련되어 한 쌍의 롤지지부재(123)에 의해 그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 지지부재(123)는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상기 개구부(112)를 향해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외면에 돌출된 안내돌기(12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위치(D)에서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는 롤의 형태로 마련되어 한 쌍의 롤지지부재(1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 지지부재(125)는 상기 사용위치(U)에 있던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상기 수거위치(D)로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외면에 돌출된 안내돌기(12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30)는 상기 대기위치(S)에 있는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상기 사용위치(U)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위치(U)에 있는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상기 수거위치(D)로 이동시키는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130)는 상기 대기위치(S)에 있는 상기 한 쌍의 롤 지지부재(123)를 회전 구동하는 제1구동부(131) 및 상기 수거위치(D)에 위치하는 상기 한쌍의 롤 지지부재(125)를 회전 구동하는 제2구동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131, 133)는 상기 발광유지부재(120)가 상기 대기위치(S)에서 상기 수용위치(U)를 경유하여 상기 수거위치(D)로 이동하도록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이동시킨다.
물론, 도면에서는 2개의 제1 및 제2구동부(131, 133)가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1개의 구동부만이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1개의 구동부만을 사용할 경우 제2구동부(133)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발광유지부재(120)가 상기 대기위치(S)에서 상기 사용위치(U)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1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위치(U)에 있던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는 상기 수거위치(D)로 회수되고 사용되지 않은 상태의 깨끗한 발광유지부재(120)가 다시 상기 사용위치(U)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상기 사용위치(U)에 존재하여 이물질 또는 먼지가 쌓인 발광유지부재는 상기 수거위치(D)로 회수되고 깨끗한 발광유지부재(120)로 상기 사용위치(U)가 채워짐으로써 이물질 또는 먼지에 의해 조명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일정한 조명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수거위치(D)로 모두 이동하여 사용이 완료된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회수하고 새로운 발광유지부재(120) 롤을 상기 대기위치(S)의 상기 롤 지지부재(123)에 삽입하고, 상기 롤의 일단을 상기 수거위치(D)의 상기 롤 지지부재(125)에 고정함으로써 새로운 발광유지부재(120) 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등(100)을 터널등 또는 가로등으로 채용할 경우, 세척 또는 교체를 위해 불필요하게 교통을 통제하는 회수가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공공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등(100)은,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를 상기 대기위치(S), 상기 사용위치(U) 및 상기 수거위치(D)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재(115)는 상기 하부 케이싱(113)에 결합된 베이스부재(117)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전등(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투과부재(141)에 결합되어 상기 구획부재(115)에 면 접촉하는 한 쌍의 이동제한부재(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부재(172)에 의해 상기 광투과부재(141)의 좌우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등(100)은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상기 개구부(112)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상기 개구부(112)에 밀착시킴으로써 그 둘 사이의 틈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40)는, 상기 발광유지부재(120)와 상기 광원(1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지지하며 상기 광원(150)에서 출사되는 광을 투과 가능한 광투과부재(141)와; 상기 광투과부재(141)를 상기 개구부(112)를 향해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47)를 포함한다.
상기 광투과부재(141)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또는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투과부재(141)는 상기 개구부(112)를 커버하도록 판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서, 상기 광투과부재(141)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가령, 상기 광투과부재(141)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상기 개구부(112)를 향해 밀착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발광유지부재(120)에 직접 접촉하여 밀착시키는 경우 상기 광투과부재(14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밀착부(140)는 상기 광투과부재(14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부재(141)와 상기 지지부재(14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43)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14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2)를 향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밀착부(140)는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케이싱(113)에 기립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부재(142, 144)와; 상기 지지부재(143)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142, 144)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14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43a)는 상기 가이드 부재(142, 144)의 기립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부재(142, 144) 각각은 상기 지지부재(143)가 하향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스톱퍼(14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144a)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부재(142, 144)의 단부의 외경보다 크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143a)가 상기 스톱퍼(144a)를 통과하지 못하여 상기 지지부재(143)의 하향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톱퍼(144a)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부(147)는 상기 광투과부재(141)를 상기 개구부(112)를 향해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147a)와; 상기 광투과부재(141)를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수단(14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7a)는 코일 스프링, 평판 스프링, 탄성 고무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력이 있는 것이면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의 것으로 대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47a)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가령, 상기 광투과부재(141)의 무게에 의한 자중 때문에 상기 광투과부재(141)가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상기 개구부(112)를 향해 가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147a)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전등(100)이 터널등 또는 가로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112)의 방향이 도로 지면을 향할 것이고 이 경우 상기 광투과부재(141)의 자중 때문에 별도의 가압수단이 없더라도 상기 발광유지부재(120)가 상기 개구부(112)를 어느 정도의 압력으로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이격수단(147b)은 상기 탄성부재(147a)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광투과부재(141)를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이격수단(147b)은 상기 광투과부재(141)와 함께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143)를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상기 광투과부재(141)를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이격수단(147b)은 상기 지지부재(143)에 이격방향을 따라 설치된 래크(미도시)와 상기 래크(미도시)에 맞물려서 상기 지지부재(143)를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이격시키는 피니언(미도시)과, 상기 피니언(미도시)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방향은 상기 지지부재(143)가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래크-피니언에 의한 이격방식 대신에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광투과부재(141)를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이격시킬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격수단(147b)은 상기 지지부재(143)에 결합된 플런저(미도시)와; 상기 플런저(미도시)를 상하로 승강 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다앙한 구조 및 방식에 의해서 상기 광투과부재(141)를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이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147)는 상기 탄성부재(147a) 및 상기 이격수단(147b)의 조합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상기 개구부(112)를 향해, 정확하게는 상기 상부 케이싱(111)을 향해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가령, 캠(미도시)을 사용하여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상기 개구부(112)를 향해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147)는 캠(미도시)과; 상기 캠을 구동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가압부(147)는 웜기어(미도시), 상기 웜기어(미도시)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웜기어(미도시)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발광유지부재(120)가 직선왕복 운동하여 상기 개구부(112)를 향하거나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이격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밀착부(140)가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케이싱(110)(정확하게는 상기 상부케이싱(11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케이싱(110)에 밀착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발광유지부재(120) 대신에 상기 상부케이싱(111)을 상기 발광유지부재(120) 방향으로 당겨서 상기 발광유지부재(120)와 상기 케이싱(111)을 밀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케이싱(111)은 상기 하부 케이싱(113)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발광유지부재(120)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광투과부재(141)가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가압부(147)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광투과부재(141)가 상기 개구부(112)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도 상기 개구부(12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발광유지부재(120)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대기위치(S)에서 상기 사용위치(U)까지의 구간동안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등(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설치된 상기 광원(150)을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광투과부재(141) 및 상기 지지부재(143)를 회동시키기 위한 경첩(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싱(111)을 제거하고 상기 광투과부재(141) 및 상기 지지부재(143)를 회전시키면 상기 광원(15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첩(180)은 힌지축(185)과; 상기 힌지축(185)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지지부재(143)에 결합된 제1브라켓(181)과; 상기 하부 케이싱(113)에 결합된 제2브라켓(183)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상기 경첩(180)은 일례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광원(150)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광투과부재(141) 및 상기 지지부재(143)가 회전 이동하는 방식 대신, 상기 광투과부재(141) 및 상기 지지부재(143)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등(200)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5는 터널의 천정(C)에 매립된 상태에서의 상기 전등(200)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등(200)은, 광원(250); 상기 광원(250)을 수용 지지하는 서브케이싱(210); 상기 케이싱(210)의 외면을 겹겹이 둘러싸는 발광유지부재(220); 사용 후의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회수하는 회수롤러(240)와; 상기 회수롤러(240) 및 상기 서브케이싱(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여 상기 발광유지부재(220)를 대기위치(S)에서 사용위치(U)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와; 소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구동부(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발광유지부재(120)상술한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메인케이싱(201)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메인케이싱(201)은 생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케이싱(201)은 상기 광원(150) 또는 상기 발광유지부재(1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케이싱(210)은 양단부가 밀폐된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브케이싱(210)은 상기 메인 케이싱(2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서브케이싱(21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발광유지부재(220)의 대기위치(S), 사용위치(U) 및 수거위치(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대기위치(S)에 있던 상기 발광유지부재(220)가 상기 사용위치(U)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수롤러(24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위치(U)에서 사용되어 이물질 또는 먼지가 쌓인 사용된 발광유지부재(220)는 상기 수거위치(D)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회수롤러(240)의 외면에 감기게 된다. 이로 인해, 조명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를 위한 별도의 세척과정이 불필요해지고, 일정한 조명성능을 상당히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광원(250)은 상기 서브 케이싱(210)의 일단부 측을 개방함으로써 교체가능하다.
상기 서브 케이싱(210)의 외면에는 상기 발광유지부재(220)의 일단부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발광유지부재 고정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광유지부재(220)가 모두 소진된 경우, 즉, 모든 상기 발광유지부재(220)가 상기 수거위치(D)로 수거된 경우, 새로운 발광유지부재(220) 롤(roll)을 상기 서브케이싱(210)의 외면에 삽입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발광유지부재(220) 롤의 일단부는 상기 서브 케이싱(210)의 외면의 상기 고정부(미도시)에 고정하고, 그 타단부 상기 회수롤러(240)의 외면에 고정함으로써 새로운 발광유지부재(220) 롤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번 상기 전등(200)을 매립하면 상기 광원(150) 및 상기 광원유지부재(220)만을 교체하면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200: 전등 110, 210: 케이싱
111: 상부 케이싱 113: 하부케이싱
120, 220: 발광유지부재 130: 이동부
140: 밀착부 141: 광투과부재
143: 지지부재 142, 144: 가이드 부재
147: 가압부 147a: 탄성부재
147b: 이격수단 150, 250: 광원
160: 제어부 170: 이물질 유입방지부재

Claims (6)

  1. 전등에 있어서,
    외부를 향해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수용 지지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싱과;
    대기위치, 상기 대기위치에서 이동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사용위치 및 상기 사용위치에서 이동된 수거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며,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발광유지부재와;
    상기 발광유지부재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유지부재와 상기 개구부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유입 방지부재와;
    상기 발광유지부재를 상기 개구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부와;
    상기 발광유지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발광유지부재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사용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발광유지부재와 상기 광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유지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투과 가능한 광투과부재와;
    상기 광투과부재를 상기 개구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지부재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광투과부재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가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
KR1020100058632A 2010-06-21 2010-06-21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 Expired - Fee Related KR101152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632A KR101152742B1 (ko) 2010-06-21 2010-06-21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632A KR101152742B1 (ko) 2010-06-21 2010-06-21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631A KR20110138631A (ko) 2011-12-28
KR101152742B1 true KR101152742B1 (ko) 2012-06-15

Family

ID=4550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6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2742B1 (ko) 2010-06-21 2010-06-21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7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28B1 (ko) * 2012-11-20 2015-03-30 오규봉 조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led터널등
KR102256367B1 (ko) * 2021-02-25 2021-06-01 (주)알더블유티 안전지시 기능이 있는 분진방폭 등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621B1 (ko) * 2018-03-23 2020-03-12 유명현 스마트 도로 조명 장치
KR101985139B1 (ko) * 2018-03-23 2019-05-31 유명현 태양광 도로 조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5Y1 (ko) 2005-08-17 2005-11-03 박경섭 조명기구
KR20070080459A (ko) * 2006-02-07 2007-08-10 대방포스텍(주) 슬라이드형 커버가 구비된 조명등기구
KR100918246B1 (ko) * 2009-04-22 2009-09-18 제일설계(주) 보호 스크린을 가진 등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5Y1 (ko) 2005-08-17 2005-11-03 박경섭 조명기구
KR20070080459A (ko) * 2006-02-07 2007-08-10 대방포스텍(주) 슬라이드형 커버가 구비된 조명등기구
KR100918246B1 (ko) * 2009-04-22 2009-09-18 제일설계(주) 보호 스크린을 가진 등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28B1 (ko) * 2012-11-20 2015-03-30 오규봉 조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led터널등
KR102256367B1 (ko) * 2021-02-25 2021-06-01 (주)알더블유티 안전지시 기능이 있는 분진방폭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631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742B1 (ko) 조명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등
KR100739447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140024202A (ko)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KR101775718B1 (ko) 절첩식 태양광 가로등
KR101314981B1 (ko)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전등
CN112013323B (zh) 一种可便于更换灯泡的路灯
CN216383841U (zh) 一种可调节照射角度的led投光灯
CN219414644U (zh) 一种市政道路用照明路灯
CN215518474U (zh) 一种水利工程施工用安全防护装置
CN218637988U (zh) 一种城市道路照明装置
KR102088621B1 (ko) 스마트 도로 조명 장치
KR102372486B1 (ko) 태양전지패널 청소용 브러쉬부재를 구비하는 태양광 가로등
CN213480035U (zh) 便于防尘清扫的照明灯保护装置
CN116857576A (zh) 一种增益型led发光管及其装配工艺
CN109737328A (zh) 一种用于隧道的便于拆装的防尘型照明装置
KR101985139B1 (ko) 태양광 도로 조명 장치
KR100615403B1 (ko) 자동으로 전환되는 현수막 거취장치
CN218819755U (zh) 一种高速公路隧道视觉安全引导装置
CN219389599U (zh) 一种镜头可跟踪移动的互动投影灯
KR100918246B1 (ko) 보호 스크린을 가진 등기구
CN220506683U (zh) 一种城市夜景照明管理系统
RU21278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зинфекции поручней перил эскалатора
CN212644374U (zh) 一种悬挂式led车库灯
CN216844408U (zh) 一种城市干道照明装置
CN115013767B (zh) 一种具有远程运维功能的智慧城市路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