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258B1 - Dental Whitening Machanism - Google Patents
Dental Whitening Machanis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8258B1 KR101158258B1 KR1020090130227A KR20090130227A KR101158258B1 KR 101158258 B1 KR101158258 B1 KR 101158258B1 KR 1020090130227 A KR1020090130227 A KR 1020090130227A KR 20090130227 A KR20090130227 A KR 20090130227A KR 101158258 B1 KR101158258 B1 KR 1011582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
- head
- light
- unit
- whit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YVLZVUVIJVGH-UHFFFAOYSA-N caffeine Chemical compound CN1C(=O)N(C)C(=O)C2=C1N=CN2C RYYVLZVUVIJ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LPHGQDQBBGAPDZ-UHFFFAOYSA-N Isocaffeine Natural products CN1C(=O)N(C)C(=O)C2=C1N(C)C=N2 LPHGQDQBBGAPD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948 caffe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VJEONQKOZGKCAK-UHFFFAOYSA-N caffeine Natural products CN1C(=O)N(C)C(=O)C2=C1C=CN2C VJEONQKOZGKC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부(110) 및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어 연장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그립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110)는 외관의 형상을 유지하고, 입사광을 사용자의 구강에 직접 조사할 수 있는 투명 소재의 헤드부 플레이트(111); 및 상기 헤드부 플레이트의 일측 말단부에 형성되어 광확산 및 집광을 수행하는 렌즈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1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외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그립부 하우징(121); 상기 그립부 하우징 표면의 일부에 내장되어 설치되고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기 위한 버튼부(122); 상기 그립부 하우징에 내장되어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23); 및 상기 그립부 하우징 일측 말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부(124)를 포함하는 치아용 미백기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ead portion 110 and the grip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head portion and extend,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the head portion 110 maintains the appearance of the appearance, A head plate 111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irradiating incident light directly onto the mouth of a user; And a lens part 112 formed at one end portion of the head part plate to perform light diffusion and condensing, and the grip part 120 includes a grip part housing for maintaining an appearance of a shape so as to be easily grasped by a user. 121); A button part 122 installed in a part of the grip part housing surface and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power; A power supply unit 123 embedded in the grip unit housing and configured to supply power; And a light emitting diode unit 124 installed at one end of the grip unit housing and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by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발광 다이오드, 렌즈, 치아용 미백기구 Light emitting diodes, lenses, teeth whitening devic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용 미백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비용이 낮고, 광증폭 특성을 나타내는 헤드부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며, 상용성이 우수한 치아용 미백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itening device for teeth,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itening device for teeth that is easy to carry and use by using a head plate having low manufacturing cost and showing optical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having excellent compatibility.
치아 미백이라 함은 황색 또는 갈색으로 변색된 치아 표면에 대하여 변색 원인 물질을 제거하거나 상기 원인 물질의 표면에 흰색 내지는 상아색을 가지는 물질을 코팅 처리를 하여 치아 표면의 색상을 외관상 흰색 내지는 상아색으로 보이게 하는 시술을 말한다.Tooth whitening is the removal of discoloration-causing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eeth that have turned yellow or brown, or coating a material having a white or ivory color on the surface of the causative substances to make the surface of the tooth appear white or ivory in appearance. Say the procedure.
최근 개개인의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미백을 위한 음식, 화학약품, 기계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인 미백을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치아는 커피나 콜라 등과 같은 카페인 음료뿐만 아니라 흡연 등으로 인해 장기간의 사용으로 고유의 치아색이 변색된다. 따라서, 고유의 치아의 색상을 유지하기 위해 각종 치아미백용품을 사용하고 있고, 특히 미백용 기계기구의 사용은 가장 효과적으로 미백이 가능한 것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효과가 우수하며, 사용이 편리한 미백용 기계기구에 대한 개발이 다양한 업체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Recently, as the individual's interest in beauty increases, a lot of researches for effective whiten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food for food whitening, chemicals, and mechanical equipment have been made. Teeth are discolored due to prolonged use due to smoking, as well as caffeine drinks such as coffee or cola. Therefore, various teeth whitening products are used to maintain the unique color of the teeth, and in particular, the use of the whitening machine is the most effective whitening, which is inexpensive, effective, and easy to use for whitening. Development of machinery is being carried out by various companies.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62557호는 "의료 및 치과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기광학적 및 화학적 수단을 채용한 미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변 프로파일 및/또는 조정을 갖는 전기, 전기영동, 또는 전자기파 전류 생성기/제어기(4), 이러한 전류를 미백을 요하는 상기 일부분으로 전송하는 수단(3), 치료 영역을 통해 상처를 입히지 않는 전기, 전기영동, 또는 전자기장(2,26,29,49)을 생성하는, 전극 및 도전성 겔(25)을 포함하는 수단, 이러한 장의 연속성을 유지하며, 극 및 신체와 접촉하는 상기 겔(25)을 수용하는 수단(1,84), 전기영동 전류에 민감하며, 미백을 위해 사용되는 활성 제품(25) 및 광(19) 또는 열(27)에 의해 상기 제품을 활성화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전기영동, 화학약품, 열 및 광을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미백장치로 장치가 고가이고, 작동이 어려워 상용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62557 relates to "whitening apparatus employing electro-optical and chemical means for use in the medical and dental field", the electric, electrophoretic, or electromagnetic current generator with a variable profile and / or adjustment Controller 4, means for transmitting this current to said portion requiring whitening, generating an electric, electrophoretic, or electromagnetic field 2, 26, 29, 49 that does not injure through the treatment area. Means (1,84) for retaining the continuity of this field, for receiving the gel (25) in contact with the pole and body, sensitive to electrophoretic currents, and for whitening. A whitening device is disclosed which comprises an active product 25 used for the purpose and means for activating the product by means of light 19 or heat 27. However, the prior art is a whitening device using a combination of electrophoresis, chemicals, heat and light, the device is expensive, difficult operation is not good compatibility.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06685호는 "착탈식 마우스피스를 구비한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호형으로 둥글게 연장된 마우스피스(7), 및 상기 마우스피스(7)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상기 마우스피스(7)를 한 쪽 벽으로 하여 둥글게 형성된 미백제 충진홈(9)으로 형성된 교합부(3)와 일면(11-1,13-1)이 상기 교합부와 동일한 곡률로 만곡되어 있는 상하부 케이스(11,13), 상기 상하부 케이스(11,13) 사이의 내부 케이스(12)에 장착되는 회로기판(15), 및 상기 만곡면(11-1)과 인접하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12)에 설치된 LED(17)를 포함하는 발광부(5)로 구성된 발광형 치아 미백장치(1)에 있어서, 상기 교합부(3)와 상기 발광부(5)는 상 호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LED를 많이 사용하여야만 원하는 미백효과를 가질 수 있고, 특히 집중적인 미백을 원하는 부위에 대한 미세한 미백을 시행할 수 없으며, 사용이 불편하여 상용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406685 relates to a "light-emitting tooth whitening device having a removable mouthpiece," circular arc-shaped mouthpiece (7), and the mouthpiece (7) radially outwar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cclusal portion 3 and the one surface 11-1, 13-1 formed with the whitening agent filling groove 9 rounded with the mouthpiece 7 as one wall are curved at the same curvature as the occlusal portion. A circuit board 15 mounted on the inner case 12 between the cases 11 and 13, the upper and lower cases 11 and 13, and the inner case 12 so as to be adjacent to the curved surface 11-1. In the light emitting type teeth whitening device (1) consisting of a light emitting unit (5) including an installed LED (17), the occlusal unit (3) and the light emitting unit (5) are mutually removable. A whitening apparatus is disclosed.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may have a desired whitening effect only when a large number of LEDs are used, and in particular, fine whitening may not be performed on a desired portion of intensive whitening.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조비용이 낮고, 광증폭 특성을 나타내는 헤드부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며, 상용성이 우수하고, 원하는 미백 부위의 집중적인 미백 시술이 가능한 치아용 미백기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low manufacturing cost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using a head plate showing the optical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easy to carry and use, excellent compatibility, intensive whitening procedure of the desired whitening site is It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possible whitening device for teeth.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비용이 낮은 치아용 미백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itening device for teeth with low manufacturing cos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증폭 특성을 나타내는 헤드부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치아용 미백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itening device for teeth that is easy to carry and use using a head plate exhibiting optical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용성이 우수한 치아용 미백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itening device for teeth having excellent compati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미백 부위의 집중적인 미백 시술이 가능한 치아용 미백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whitening apparatus capable of intensive whitening of a desired whitening site.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는 헤드부(110) 및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어 연장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그립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110)는 외관의 형상을 유지하고, 입사광을 사용자의 구강에 직접 조사할 수 있는 투명 소재의 헤드부 플레이트(111); 및 상기 헤드부 플레이트의 일측 말단부에 형성되어 광확산 및 집광을 수행하는 렌즈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1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외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그립부 하우징(121); 상기 그립부 하우징 표면의 일부에 내장되어 설치되고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기 위한 버튼부(122); 상기 그립부 하우징에 내장되어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23); 및 상기 그립부 하우징 일측 말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hitening device for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여기서, 상기 헤드부(110) 및 그립부(120)는 상기 헤드부의 렌즈부의 말단부에 형성된 음각 요철 형상을 가지는 체결홀(113)과 상기 그립부의 발광 다이오드부의 양측에 형성된 양각 요철 형상을 가지는 체결부(125)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상기 헤드부 플레이트(111)는 렌즈부가 형성된 반대측 말단부 형상이 전체적으로 굴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헤드부 플레이트(111)의 굴곡부의 표면은 반복적인 동심원 구조 또는 반복적인 다각형의 프리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rface of the bent portion of the
상기 렌즈부(112)는 V자형 단면 또는 U자형 단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렌즈부(112)는 상기 V자형 단면의 형상 하측부에 집광용 볼록렌즈 형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은 제조비용이 낮고, 광증폭 특성을 나타내는 헤드부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며, 상용성이 우수하고, 원하는 미백 부위의 집중적인 미백 시술이 가능한 치아용 미백기구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whitening device having low manufacturing cost, easy to carry and use using a head plate showing optical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excellent compatibility, and intensive whitening of the desired whitening site. Has the effect 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후술하는 내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tooth whi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hitening device for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100)는 헤드부(110)와 그립부(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헤드부(110)는 일측 말단부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굴곡부를 가지는 헤드부 플레이트(111)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 플레이트(111)는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내부에서 전달하고, 외부로 광출사를 가능하게 하는 투명 소재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광증폭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헤드부 플레이트(111)의 굴곡부 표면을 반복적인 동심원 모양 또는 다각형의 프리즘 모양을 가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굴곡부 표면 처리에 의해 하나의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증폭시킬 수 있으므로, 원하는 미백 효과를 가지는 치아용 미백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또한, 그립부(120)는 헤드부(110)의 일측 말단과 결합되어 연결되고, 그립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에 잡기에 편리한 구조를 가지는 그립부 하우징(121)과 상기 그립부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되고 전원의 작동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내장형 버튼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그립부 하우징(121)은 사용자의 장 기간 사용으로 변형되거나, 마모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우수하고 가벼운 소재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립부 하우징(121)의 일부에는 사용자의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미끄럼 방지부를 형성하거나, 그립부 하우징 일부 표면에 고무 패드를 코팅할 수도 있다. 버튼부(122)는 내장형 버튼부(122)를 표현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원의 작동 및 차단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의 헤드부와 그립부 및 이의 결합 형상은 하나의 예시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된다고 볼 수 없으며, 당업자가 본 발명의 명세서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단순한 형상의 변형 내지는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In addition,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의 헤드부와 그립부를 분리하였을 때 및 결합하였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n the head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of the tooth whi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parated and combined.
도 2 (A)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의 헤드부(110)와 그립부(120)를 분리하였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 단면도로, 헤드부(110)는 헤드부 플레이트(111), 상기 헤드부 플레이트의 일측 말단부에 형성되는 렌즈부(112) 및 그립부의 체결부와 결합 가능한 체결홀(113)을 포함한다. 또한, 그립부(120)는 그립부 하우징(121), 버튼부(122), 상기 그립부 하우징(121)에 내장되는 전원 공급부(123), 상기 그립부 하우징 일측 말단부에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부(124)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헤드부의 체결홀과 결합 가능한 체결부(1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그립부(120)의 표면에 형성된 버튼부(122)를 누르게 되면, 전원이 발광 다이오드부(124)에 공급되어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광 이 헤드부(110)의 렌즈부(113)의 방향으로 출사되고, 다시 버튼부(122)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전원이 차단되어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Figure 2 (A)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when the
도 2 (B)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의 헤드부(110)와 그립부(120)를 결합하였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 단면도로, 헤드부와 그립부는 헤드부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홀(113)과 그립부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125)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준다. 치아의 미백을 위해 헤드부와 그립부를 결합한 치아용 미백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미백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헤드부의 결합없이 그립부만를 이용한 미백 시술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체결홀(113)과 체결부(125)의 결합 방식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표현하고 있을 뿐 체결 방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헤드부에 체결부를 형성하고, 그립부에 체결홀을 형성하여 결합 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의도 및 목적에 따라 결합 부재의 방식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Figure 2 (B)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의 헤드부에서의 광 진행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절단부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ting p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light traveling direction in the head of the whitening device for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A)는 V자형 단면의 형상을 가지는 렌즈부(112)를 헤드부(110)에 결합하였을 때의 출사광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렌즈부(112)에 도달된 후 V자형 단면과의 경계면에서 내부 반사된다. 반복적인 내부 반사가 이루어진 후 소정의 강도(Intensity)를 가지거나 광출사각이 임계각보다 큰 빛은 렌즈부(112)를 통해 확산되고, 상기 확산된 빛은 헤드부 플레이트(111) 내면에서 반사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한 후 외부로 출사된다. 이 과정 에서 V자형 단면을 가지는 렌즈부(112)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하나의 LED의 사용으로 미백 효과를 가지는 충분한 균일한 출사광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렌즈부(112)의 형상은 광의 파장 및 헤드부 플레이트의 재질의 선택에 따라 U자형 단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렌즈부의 형상과 관련하여 당업자가 본 명세서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렌즈부 형상의 변형 및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FIG. 3A is a view showi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emitted light when the
도 3 (B)는 V자형 단면의 형상 하측부에 볼록 렌즈의 형상을 가지는 렌즈부(113)를 헤드부(110)에 결합하였을 때의 출사광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렌즈부(112)에 도달된 후 V자형 단면 및 볼록렌즈 형상의 단면의 경계면에서 내부 반사된다. 반복적인 내부 반사가 이루어진 후 소정의 강도(Intensity)를 가지거나 광출사각이 임계각보다 큰 빛은 렌즈부(112)를 통해 확산되고, 상기 확산된 빛은 헤드부 플레이트 내면에서 반사되어 진행한 후 외부로 출사된다. 이 과정에서 볼록 렌즈 형상 외측의 V자형 단면을 가지는 렌즈부(112) 위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빛이 확산되는 반면에 V자형 단면의 형상 하측부에 볼록 렌즈의 형상을 가지는 렌즈부(112) 위치에서는 출사되는 광이 집광되는 효과를 가지므로 헤드부 플레이트(111)의 일측 말단부에 형성된 굴곡면의 중앙 위치에 상대적으로 다량의 광이 집중되어 국소적인 위치에 대한 집중적인 미백 효과를 가지는 출사광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FIG. 3B is a view show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mitted light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는 종래 치아용 미백기구에 비해 가격이 낮고, 상용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지기 때문에 치과용, 실험용, 가정용으로 편리하게 휴대 및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oth whi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price and superior compati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ooth whitening apparatus, and thus can be conveniently carried and used for dental, laboratory, and home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hitening device for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의 헤드부와 그립부를 분리하였을 때 및 결합하였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 단면도Figure 2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when the head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of the tooth whi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mbined and separa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미백기구의 헤드부에서의 광 진행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절단부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ight traveling direction in the head portion of the whitening device for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치아용 미백기구 110: 헤드부100: tooth whitening mechanism 110: head portion
111: 헤드부 플레이트 112: 렌즈부111: head part plate 112: lens part
113: 체결홀 120: 그립부113: fastening hole 120: grip
121: 그립부 하우징 122: 버튼부121: grip part housing 122: button part
123: 전원 공급부 124: 발광 다이오드부123: power supply unit 124: light emitting diode unit
125: 체결부125: fastening par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0227A KR101158258B1 (en) | 2009-12-23 | 2009-12-23 | Dental Whitening Machanis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0227A KR101158258B1 (en) | 2009-12-23 | 2009-12-23 | Dental Whitening Machanis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3069A KR20110073069A (en) | 2011-06-29 |
KR101158258B1 true KR101158258B1 (en) | 2012-06-19 |
Family
ID=4440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02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8258B1 (en) | 2009-12-23 | 2009-12-23 | Dental Whitening Machanis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825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4614Y1 (en) | 2006-01-24 | 2006-04-21 | 길진흥 | Dental Visible Light Polymerizer |
KR20070010206A (en) * | 2007-01-02 | 2007-01-22 | 이용식 | Tooth whitening toothbrush |
KR20070092292A (en) * | 2004-12-21 | 2007-09-12 | 덴-매트 코포레이션 | Dental lighting devices with single or multiple internal total reflectors |
KR20090004440U (en) * | 2007-11-07 | 2009-05-12 | 주식회사 굿닥터스 | Guide Tip and Whitening Accelerator for Teeth Whitening |
-
2009
- 2009-12-23 KR KR1020090130227A patent/KR10115825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92292A (en) * | 2004-12-21 | 2007-09-12 | 덴-매트 코포레이션 | Dental lighting devices with single or multiple internal total reflectors |
KR200414614Y1 (en) | 2006-01-24 | 2006-04-21 | 길진흥 | Dental Visible Light Polymerizer |
KR20070010206A (en) * | 2007-01-02 | 2007-01-22 | 이용식 | Tooth whitening toothbrush |
KR20090004440U (en) * | 2007-11-07 | 2009-05-12 | 주식회사 굿닥터스 | Guide Tip and Whitening Accelerator for Teeth Whiten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3069A (en) | 201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8687B1 (en) | Oral irrigator appliance with radiant energy delivery for bactericidal effect | |
US9457199B2 (en) | Light emitting toothbrush | |
JP5551682B2 (en) | Laser alopecia treatment device | |
EP3076825B1 (en) |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 |
US8029278B1 (en) | Intra-oral whitening device | |
WO2009070344A1 (en) | Photocatalysis process toothbrush | |
EP3681435B1 (en) | Mouthpiece for dental treatment | |
RU2015124024A (en) | DEVICE FOR CARE OF THE ORAL CAVITY CONTAINING A MIRROR AND DISTRIBUTING LIGHT ELEMENT AND METHOD FOR PERFORMING SUCH A DEVICE | |
WO2012040488A1 (en) | Oral irrigator appliance with radiant energy delivery for bactericidal effect | |
KR102090484B1 (en) | Phototherapy brush for companion animals | |
US20080256729A1 (en) | Teeth Whitening Toothbrush | |
CA2349435A1 (en) | Hand-held dental transilluminating device | |
KR101158258B1 (en) | Dental Whitening Machanism | |
TWI555515B (en) | Tooth whitening apparatus | |
KR20100025434A (en) | Oral hygiene device and method having whitening and sterilizing effects | |
KR100777661B1 (en) | Mobile phones with hair loss treatment | |
KR200412016Y1 (en) | Portable tooth whitening machine | |
JPH03251207A (en) | Optical toothbrush device | |
KR20180116836A (en) | Teeth whitening apparatus having optical fiber using teeth whitening film | |
KR101838231B1 (en) | Teeth whitening apparatus using optical fiber | |
KR101166065B1 (en) | Light Emitting Apparatus, Brush and Functional Toothbrush Using the Same | |
KR101060570B1 (en) | Teeth whitening lighting device | |
KR20180040948A (en) | Skin stick-type patch using diffusion optical fiber | |
JP2002223854A (en) | Oral care products | |
KR100898872B1 (en) | Infrared ray distribution and illumination device for medical treatment of hair and scal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7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5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