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842B1 - 핸들구동형 자전거 - Google Patents
핸들구동형 자전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7842B1 KR101157842B1 KR1020100019701A KR20100019701A KR101157842B1 KR 101157842 B1 KR101157842 B1 KR 101157842B1 KR 1020100019701 A KR1020100019701 A KR 1020100019701A KR 20100019701 A KR20100019701 A KR 20100019701A KR 101157842 B1 KR101157842 B1 KR 1011578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hole
- coupled
- pin
- ar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 B62M1/1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by means of a to-and-fro movable handleb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14—Hand-grips for hand-operated cr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을 밀거나 당겨줌으로써 전륜을 회전시킬 수 있어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핸들구동형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를 조향하기 위한 핸들(10)이 상단에 부착된 일정 길이의 핸들봉(h); 상기 핸들봉(h)에 연결되며 안장봉(S2) 및 안장(S1)이 장착된 센터프레임(C); 상기 센터프레임(C)의 전방에 연결되며 전륜(FW)이 장착되는 전륜 포크(33); 상기 전륜포크(33)에 결합되며 핸들(10)의 전,후 운동에 연동되는 작동부(A); 상기 작동부(A)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부(B); 상기 센터프레임(C)의 후방에 연결되며 후륜(FW)이 장착되는 후륜 프레임(RF1,RF2)을 갖는 후륜부(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를 조향하기 위한 핸들(10)이 상단에 부착된 일정 길이의 핸들봉(h); 상기 핸들봉(h)에 연결되며 안장봉(S2) 및 안장(S1)이 장착된 센터프레임(C); 상기 센터프레임(C)의 전방에 연결되며 전륜(FW)이 장착되는 전륜 포크(33); 상기 전륜포크(33)에 결합되며 핸들(10)의 전,후 운동에 연동되는 작동부(A); 상기 작동부(A)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부(B); 상기 센터프레임(C)의 후방에 연결되며 후륜(FW)이 장착되는 후륜 프레임(RF1,RF2)을 갖는 후륜부(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들구동형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을 밀거나 당겨줌으로써 전륜을 회전시킬 수 있어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 핸들구동형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이 양측 페달을 밟아가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인 바, 상기 페달에 의해 회전되는 스프로킷은 체인에 의해 뒷바퀴를 회전시켜 그 자전거가 전진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자전거는 운전자가 페달에 가하는 답력(踏力)으로 주행하는 것인데, 최근에 모터나 엔진 등의 힘을 더해 주행하는 자전거가 개발되고 있다. 전기자전거는 배터리 등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주행력을 얻는 것이다.
이에 관하여 본 발명자는 발을 구르는 페달 구동으로 움직이는 일반적인 자전거의 개념을 탈피하고, 자전거에 설치된 핸들을 이용하여 자전거의 전륜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하체 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신체의 고른 발달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핸들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를 제안(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07145호)한 바 있다.
또한, 상기 핸들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이하 '핸들 롤링 자전거'라 함)를 더욱 개량한 구조로서, 본 발명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핸들 롤링 자전거를 제안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의 선출원 발명의 핸들 롤링 자전거는, 개략적으로 자전거를 조향하기 위한 핸들(10), 핸들과 연결되는 프레임(2) 및 프레임(2)의 후방에 연결된 발판(20)으로 구성되고, 프레임(2)의 전방에는 핸들(10)이 설치되는 지지판(17)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17)은 후방의 연결핀(18)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틸팅 가능하도록 되어 전륜 포크(16)에 설치된다.
상기 전륜 포크(16)는 그 중심부에 전륜 구동 스프라켓(21)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21)이 설치되고, 전륜 구동 스프라켓(21)은 브라켓(22)에 제공되는 축(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체인(26)을 통하여 전륜(FW)가 고정 설치되는 전륜 지지축(24)에 설치된 종동 스프라켓(23)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전륜은 전륜 구동 스프라켓(21)의 회전에 의해 종동 스프라켓(23)이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17)의 전방 단부에서, 전륜 구동 스프라켓(21)을 회전시키기 위한 링크(27)의 하부 단부가 축(28)을 통하여 지지판(1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27)의 하부 단부는 전륜 구동 스프라켓(21)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된 지점에 핀(30)을 통하여 전륜 구동 스프라켓(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링크(27)는 축(28)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29)의 탄성력이 작용하는바, 스프링 부재(29)의 일측 단부는 지지판(17)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링크(27)에 연결,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스프링 부재(29)는 핸들(10)이 밀리고 당겨지는 것에 의하여 링크(27)를 전후 방향으로, 즉 전륜 구동 스프라켓(21)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핸들(10)이 전방으로 밀어질 때, 링크(27)는 지지판(17)에 의해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브라켓(22)에 설치된 축(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라켓(21)은 링크(27)의 하강 운동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체인(26)을 통하여 스프라켓(21)에 연결된 종동 스프라켓(23)이 회전되어, 자전거의 전륜(FW)가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링크(27)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스프링 부재(29)는 링크(27)를 후방으로 당기도록 작용하며, 핀(30)이 축(32)의 바로 아래, 즉 하사점에 위치할 때, 핸들(10)은 더 이상 밀리지 않게 된다.
운전자는 핀(30)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 자전거를 연속하여 구동하기 위해 핸들(10)을 몸쪽으로 당긴다. 핸들(10)이 당겨지면, 스프라켓(21)의 링크(27)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때 스프링 부재(29)는 링크(27)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29)의 작용력은 핀(30)이 축(32) 바로 위, 즉 상사점에 위치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와 같이, 핸들(10)의 밀고 당기는 작용에 의해 스프링 부재(29)에 탄성력이 작용하고, 이 탄성력은 링크(27)를 당기고 밀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적은 힘으로 핸들(10)을 밀로 당길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경사로와 같은 험로를 무리 없이 주행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선출원 발명은 사용자의 신장이나 근력의 차이에 대응하여 핸들을 밀고 당기는 구조를 변경할 수 없이 일률적이어서 사용 가능한 신장 범위와 연령 범위가 다소 제한적인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탑승한 상태에서 핸들을 전후 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것에 의하여 구동되므로 성인은 물론 아동들이 전신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핸들구동형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를 조향하기 위한 핸들, 핸들과 연결되며 전륜이 장착된 전륜 포크, 상기 전륜 포크에 결합되며 핸들의 전,후 운동에 연동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부, 상기 전륜 포크에 연결되며 후방에 후륜이 결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안장을 포함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며 하부에 전륜이 결합된 전륜 포크의 전면에 부착된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전방까지 개구되어 작동개구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제1호형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호형장공의 하부측 중앙에 제1핀홀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어 축핀으로 힌지결합되며 전단에 링크결합공을 갖는 횡바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호형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호형장공의 중앙에 제2핀홀이 형성된 작동브라켓; 상기 작동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에 핸들봉이 결합되고 양측 및 전방에 수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작동공이 형성된 결합구; 상기 결합구의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작동되며 양측에 상기 작동공에 관통되는 핀이 형성된 승강구; 상기 승강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의 전방 작동공을 통해 관통된 볼트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결합구의 하단에 돌출된 돌기에 결합된 스프링; 상기 승강구의 상단에 연결되며 핸들에 부착된 레버와 연결되는 와이어로 구성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를 조향하기 위한 핸들이 상단에 부착된 일정 길이의 핸들봉, 상기 핸들봉에 연결되며 안장봉 및 안장이 장착된 센터프레임, 상기 센터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며 전륜이 장착되는 전륜 포크, 상기 전륜포크에 결합되며 핸들의 전,후 운동에 연동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부, 상기 센터프레임의 후방에 연결되며 후륜이 장착되는 후륜 프레임을 갖는 후륜부를 포함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센터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며 하부에 전륜이 결합되는 전륜 포크의 상단에 부착된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전방까지 개구되어 작동개구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제1호형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호형장공의 하부측 중앙에 제1핀홀이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어 축핀으로 힌지결합되며 전단에 링크결합공을 갖는 횡바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호형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호형장공의 중앙에 제2핀홀이 형성된 작동브라켓; 핸들봉의 하단에 형성되며, 하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전면 및 양측면에 작동공이 형성된 결합구; 상기 결합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양측면의 작동공에 결합되는 걸이핀부재; 상기 걸이핀부재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구의 전면 작동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트; 상기 볼트의 하부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측 저면에 결합된 스프링; 상기 볼트의 상부에 연결되며 핸들봉의 내부로 인입되어 핸들에 부착된 레버와 연결되는 와이어로 구성된 제어수단; 상기 핸들봉의 외주면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장착대에 형성된 잠금장치에 체결되어 핸들봉을 고정시키는 보조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모드에서 핸들을 전후로 움직여 구동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사로를 올라가는 경우 전동력에 의한 뒷바퀴 구동과 병행하여 수동에 의한 전륜 구동을 병행함으로써 보다 쉽게 주행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자전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또다른 종래 전기자전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작동부"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발췌한 '작동부(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를 후방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의 '센터프레임(C)'을 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안장접철부'를 확대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안장접철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안장접철부'의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또다른 종래 전기자전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작동부"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발췌한 '작동부(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를 후방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의 '센터프레임(C)'을 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안장접철부'를 확대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안장접철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안장접철부'의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X)는,
제어수단이 구비되며 자전거를 조향하기 위한 핸들(10); 핸들(10)이 상단에 부착된 일정 길이의 핸들봉(h); 상기 핸들봉(h)에 연결되며 안장봉(S2) 및 안장(S1)이 장착된 센터프레임(C); 상기 센터프레임(C)의 전방에 연결되며 전륜(FW)이 장착되는 전륜 포크(33); 상기 전륜포크(33)에 결합되며 핸들(10)의 전,후 운동에 연동되는 작동부(A); 상기 작동부(A)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부(B); 상기 센터프레임(C)의 후방에 연결되며 후륜(FW)이 장착되는 후륜 프레임(RF1,RF2)을 갖는 후륜부(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핸들(10)을 전후방으로 밀고 당기면 작동부(A) 및 그에 연동된 구동부(B)의 작동에 의해 전륜(FW)이 회전됨으로써 전진 구동이 가능하다.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작동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부(A)는,
전륜 포크(33)의 상부에 부착된 장착대(2);
상기 장착대(2)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전방까지 개구되어 작동개구(40)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제1호형장공(41)이 형성되며 상기 제1호형장공(41)의 하부측 중앙에 제1핀홀(410)이 형성된 케이싱(4);
상기 케이싱(4)에 삽입되어 축핀(P1)으로 힌지결합되며 전단에 링크결합공(510)을 갖는 횡바(51)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호형장공(5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호형장공(52)의 중앙에 제2핀홀(522)이 형성된 작동브라켓(5);
상기 작동브라켓(5)의 내부에 삽입되며 양측 및 전방면에 수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작동공(62)이 형성되며 상부에 핸들봉(h)이 결합된 결합구(6);
상기 결합구(6)의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되며 양측에 상기 작동공(62)에 관통되는 핀(72)이 형성된 승강구(7);
상기 승강구(7)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6)의 전방 작동공(62)을 통해 관통되는 볼트(75);
상단이 상기 볼트(75)에 결합되고 하단은 케이싱(4)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링(74);
상기 승강구(7)에 연결되며 핸들(10)에 부착된 레버(미도시)와 연결되는 와이어(w);
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4)은 부채꼴형상의 2개의 판재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이격된 2개의 판재의 하부와 후방에 연결판이 부착된 것으로, 후방의 연결판이 장착대(2)에 피스로 결합되며 상부에서 전방까지 개구되어 호형의 작동개구(40)가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양측면에 부채꼴형상의 제1호형장공(41)이 형성되며 상기 제1호형장공(41)의 하부측 중앙에 제1핀홀(410)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브라켓(5)은 대략 "ㄴ"자 형상이며 2개의 판재를 일정 간격 이격 배치시키고, 상기 2개의 판재의 하부 및 후방에 연결판을 부착시킨 것이다.
상기 작동브라켓(5)은 케이싱(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축핀(P1)으로 힌지결합되며 전단에 링크결합공(510)을 갖는 횡바(51)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호형장공(5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호형장공(52)의 중앙에 제2핀홀(5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호형장공(52)은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6)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사각형의 박스형상으로써 작동브라켓(5)의 내부에 삽입되는데, 양측면 및 상기 장착대(2)를 향하는 전방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작동공(62)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구(7)는 결합구(6)의 내부에 삽입되는 사각형의 박스형상이며, 그 상부에는 핸들봉(h)이 용접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구(6)의 측면에 형성된 작동공(62)에 관통되어 삽입되는 핀(72)이 형성되고, 전방면에는 상기 결합구(6)의 전방 작동공(62)을 통해 돌출된 볼트(75)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핸들봉(h)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핀(72)에 묶여져 고정됨으로써 와이어(w)의 당김 및 해제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스프링(74)은 코일스프링으로써 상단은 상기 결합구(6)의 전방 작동공을 통해 관통된 승강구(7)의 볼트(75)에 연결되고, 하단은 케이싱(4)의 저면에 결합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승강구(7)를 하방으로 당기는 힘을 발휘하게 된다.
즉, 와이어(w)의 당김에 의해 승강구(7)가 상승된 상태에서 와이어(w)의 당기는 힘을 해제시키면 스프링(74)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구(7)가 하강하게 된다.
이는 축핀(72)의 걸림 및 해제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이 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와이어(w)는 핸들봉(h)의 내부로 삽입되어 하단이 승강구(7)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핸들(10)에는 와이어(w)의 상단에 결합되는 레버(미도시)를 포함하는 제어수단이 부착된다.
구동부(B)는,
상단이 작동브라켓(5)의 횡바(51)에 형성된 링크결합공(510)에 축핀(P2)으로 힌지결합되고 하단이 제1스프로켓(B1)에 편심되어 힌지결합된 링크바(B4);
상기 전륜포크(33)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스프로켓(B1);
상기 전륜(FW)의 회전축(B2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스프로켓(B2);
상기 제1 및 제2스프로켓(B1,B2)을 연결하는 체인(B3)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바(B4)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체로써 양단부에는 베어링을 갖는 결합부(B41,B42)가 각기 형성된다.
상기 제1스프로켓(B1)은 외주에 치차가 형성된 원판상이며, 전륜포크(33)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축핀(16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중앙에 원웨이클러치베어링(CB)이 장착되며, 일면에는 상기 링크바(B4)의 하단 결합부(B42)가 편심 결합되도록 브라켓(B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브라켓(B13)의 일단은 제1스프로켓(B1)의 중심부에 형성된 원웨이클러치베어링(CB)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의 결합부는 제1스프로켓(B1)의 외경 위치에 형성되며, 이 결합부에 링크바(B4)의 하단 결합부(B42)가 핀(미도시)으로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전륜(FW)이 앞으로 회전될때는 원웨이클러치베어링(CB)이 잠김상태가 되어 제1스프로켓(B1)이 회전되나 전륜(FW)이 역으로 회전될때, 즉 자전거를 뒤로 끌때는 원웨이클러치베어링(CB)이 풀림상태가 되어 회전됨으로써 제1스프로켓(B1)은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제2스프로켓(B2)은 제1스프로켓(B1) 보다 직경이 작으나 외주에 치차가 형성된 원판상으로써 전륜(FW)의 회전축(B22)에 형성된다.
또한 제2스프로켓(B2)의 중심부에는 원웨이클러치베어링(CB)이 장착되어 있으며 그 역할은 상기한 제1스프로켓(B1)의 원웨이클러치베어링(CB)과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수동모드는 핸들(10)을 밀거나 당기는 굴절작동에 의해 전륜(FW)을 회전시킴으로써 운동효과와 더불어 수동에 의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드이다.
수동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작동부(A)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작동부"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핸들(10)에는 레버(미도시)를 갖는 제어수단이 구비되며, 레버를 조작하여 와이어(w)가 상방으로 당겨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의 하단에 결합된 승강구(7)가 동반하여 상승된다.
따라서 승강구(7)의 핀(72)이 상부로 올라가면서 케이싱(4)의 제1핀홀(410)로부터 이탈된 후 작동브라켓(5)의 제2핀홀(522)로 삽입된다. 이 상태가 되면 잠김상태가 해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을 전방으로 밀면(도면에서는 우측임.),
승강구(7)의 핀(72)이 케이싱(4)의 제1호형장공(41) 내에서 시계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동반되어 작동브라켓(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핸들(10)을 미는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브라켓(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횡바(51)가 시계방향으로 하강되고, 이에 연동하여 링크바(B4)가 상승하면서 편심결합된 제1스프로켓(B1)이 회전된다.
따라서 제1스프로켓(B1)에 연결된 체인(B3)에 의해 제2스프로켓(B2)이 회전되며, 이에 연동되어 전륜(FW)이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링크바(B4)가 하사점까지 내려가면 최대로 하강한 지점이며 더이상 제1스프로켓(B1)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을 당기면
승강구(7)의 핀(72)이 케이싱(4)의 제1호형장공(41) 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동반되어 작동브라켓(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연동하여 횡바(51)가 반시계방향으로 상승 회전되며, 이에 연동하여 링크바(B4)가 상승되면서 편심결합된 제1스프로켓(B1)이 회전된다.
따라서 제1스프로켓(B1)에 연결된 체인(B3)에 의해 제2스프로켓(B2)이 회전되며, 이에 연동되어 전륜(FW)이 전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링크바(B4)가 상사점까지 올라오면 최대로 상승한 지점이며 더이상 제1스프로켓(B1)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핸들(10)을 밀거나 당기는 작동을 연속시킴으로써 전륜(FW)이 회전하게 되어 전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핸들(10)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핸들(10)에 마련된 레버를 조작하여 와이어(w)의 당김상태를 해제시키면, 스프링(74)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구(7)가 내려가고, 이에 의해 핀(72)이 내려가면서 작동브라켓(5)의 제2핀홀(522)로부터 이탈된 후 케이싱(4)의 제1핀홀(410)로 삽입된다. 이 상태가 되면 잠김상태가 된 것이므로 핸들(10)의 전,후진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제2실시예
도 10 내지 도 12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발췌한 '작동부(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부여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도 3 및 도 5,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부(A)는,
센터프레임(C)의 전방에 연결되며 하부에 전륜(FW)이 결합되는 전륜 포크(16)의 상단에 부착된 장착대(2);
상기 장착대(2)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전방까지 개구되어 작동개구(40)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제1호형장공(41)이 형성되며 상기 제1호형장공(41)의 하부측 중앙에 제1핀홀(410)이 형성된 케이싱(4);
상기 케이싱(4)에 삽입되어 축핀(P1)으로 힌지결합되며 전단에 링크결합공(510)을 갖는 횡바(51)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호형장공(5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호형장공(52)의 중앙에 제2핀홀(522)이 형성된 작동브라켓(5);
핸들봉(h)의 하단에 형성되며, 하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전면 및 양측면에 작동공(62,62a)이 형성된 결합구(6);
상기 결합구(6)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양측면의 작동공(62a)에 결합되는 걸이핀부재(72a);
상기 걸이핀부재(72a)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구(6)의 전면 작동공(62)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트(75a);
상기 볼트(75a)의 하부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싱(4)의 내측 저면에 결합된 스프링(74);
상기 볼트(75a)의 상부에 연결되며 핸들봉(h)의 내부로 인입되어 핸들(10)에 부착된 레버(미도시)와 연결되는 와이어(w);
상기 핸들봉(h)의 외주면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장착대(2)에 형성된 잠금장치(530)에 체결되어 핸들봉(h)을 고정시키는 보조고정수단(500)
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4) 및 작동브라켓(5)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결합구(6)는 핸들봉(h)의 하단에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어 공간을 갖는 사각형의 박스형상으로써 작동브라켓(5)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전면에 작동공(62)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작동공(6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구(6)의 내부에 삽입되어 작동공(62)에 결합되는 걸이핀부재(72a)와, 상기 걸이핀부재(72a)의 전방을 향해 직각이 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구(6)의 전면 작동공(62)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트(75a)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봉(h)의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w)가 상기 볼트(75a)의 상부에 결속되어 와이어(w)의 당김 및 해제에 의해 걸이핀부재(72a)가 승강된다.
상기 스프링(74)은 코일스프링으로써 상단은 상기 결합구(6)의 전방 작동공을 통해 관통된 볼트(75a)에 연결되고, 하단은 케이싱(4)의 내측 저면에 결합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걸이핀부재(72a)를 하방으로 당기는 힘을 발휘하게 된다.
즉, 와이어(w)의 당김에 의해 걸이핀부재(72a)가 상승된 상태에서 와이어(w)의 당기는 힘을 해제시키면 스프링(7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이핀부재(72a)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걸이핀부재(72a)가 승강됨으로써 걸림 및 해제작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w) 및 레버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후륜부(R)는, 상기 센터프레임(C)의 후방에 연결되며 각기 후륜이 장착되는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은 선회시 항상 후륜(FW)이 선회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센터프레임(C)에 대해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에 결합되는 후륜(FW)도 하부가 외향 경사지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의 후륜부(R)에 대해서 첨부된 도 13 및 도 14를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를 후방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의 '센터프레임(C)'을 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부(R)는
센터프레임(C)의 후방에 설치된 일정 길이의 가로바(R3);
상기 가로바(R3)에 비스듬히 부착된 제1 및 제2힌지브라켓(R1,R2);
상기 제1 및 제2힌지브라켓(R1,R2)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타단부에 후륜(FW)이 결합된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
상기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을 상호 연결하도록 장착된 연동축(R4);
상기 연동축(R4)과 센터프레임(C)에 연장 형성된 후방프레임(CR)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된 완충기(SO)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힌지브라켓(R1,R2)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돌출판(R100)과, 상기 2개의 돌출판(R100)을 관통 결합하며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에 결합되는 핀축(R200)으로 구성된다.
특히 제1 및 제2힌지브라켓(R1,R2)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상호 "∨"자 형상을 이루도록 비스듬히 부착된다.
즉, 제1 및 제2힌지브라켓(R1,R2)은 수직의 가상선보다 약 "θ"의 경사각도로 비스듬히 부착됨으로써 선회각도도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힌지브라켓(R1,R2)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도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종속되어 후륜(FW)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러므로 2개의 후륜(FW)은 하부가 벌어지고 상부가 내측으로 모아져 "∧"의 형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2개의 후륜(FW)의 경사진 형상의 배열에 의해 안정적인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선회시 센터프레임(C)의 기울어짐에도 후륜(FW)의 과도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연동축(R4)은 상기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바디(R40)와, 상기 바디(R40)의 양단부에 돌출된 샤프트(R42)로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R42)가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에 힌지결합된다.
완충기(SO)는 후륜(FW) 및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 바디(SO2) 내에 완충수단이 내장되고, 상기 바디(SO2)의 상,하부에 각기 로드(SO41,SO42)가 결합되며, 상부의 로드(SO41)는 후방프레임(CR)에 힌지결합되고, 하부의 로드(SO42)는 연동축(R4)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완충수단으로는 코일스프링, 오일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의 후단에는 보조바퀴(900)가 더 결합된다. 따라서 자전거의 전륜(FW) 및 후륜(FW)이 갑자기 상방으로 들려질때 보조바퀴(900)가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전복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안장(S1)이 장착된 안장봉(S2)을 접거나 펼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장봉(S2)의 하단에 안장접철부(M)가 구비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안장접철부'를 확대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안장접철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접철부(M)는
가로바(R3)의 중앙에 결합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양측벽의 상단에 삽입공(M32)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일정 길이로 된 작동공(M34)이 형성되며, 전방에 안장봉(S2)이 회전되도록 절개홈(M36)이 형성된 결합홀더(M3);
상기 안장봉(S2)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M32)과 작동공(M34)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축핀(M1,M2);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결합축핀(M1)은 삽입공(M32)을 통해 삽입되고, 제2결합축핀(M2)은 작동공(M34)에 결합된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구동형 자전거에서 '안장접철부'의 작동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결합축핀(M1)이 삽입공(M32)에 삽입되고, 제2결합축핀(M2)은 작동공(M34)에 삽입되어 최저점에 위치된다.
이후 도 18을 참조하면, 안장봉(S2)을 상승시키면 제1결합축핀(M1)은 삽입공(M32)으로부터 이탈되고, 제2결합축핀(M2)은 작동공(M34)의 최고점에 위치된다.
이후 도 19를 참조하면, 안장봉(S2)을 일측으로 회전시켜 센터프레임(C)에 근접시키면 제2결합축핀(M2)을 회전점으로 하여 안장봉(S2)이 회전될 수 있어 접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핸들(10)의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강화하기 위해 보조고정수단(500)이 더 구비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고정수단(500)은 핸들봉(h)의 외주면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된 일정 길이의 지지바(510)와, 상기 장착대(2)에 형성된 잠금장치(5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510)의 타단부가 잠금장치(530)에 체결되어 핸들봉(h)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바(510)는 일단이 핸들봉(h)에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토록 한 일정 길이를 갖는 금속편체로써, 일면에는 자석(520)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잠금장치(530)와 결합되는 슬릿공(540)과 요홈(550)을 갖다.
따라서, 핸들(10)을 구동시키기 위해 지지바(510)를 잠금장치(530)와 분리시켰을때 흔들림에 의한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자석(520)을 이용하여 핸들봉(h)에 자착시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잠금장치(530)는 장착대(2)에 결합된 축핀(532)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일측에 볼록한 캠부(531)가 형성되어 통상 'QR레버'라고 칭하는 것으로, 상기 축핀(532)이 슬릿공(540)에 끼워진 후 잠금장치(530)를 회전시키면 캠부(531)가 지지바(510)의 일면에 가압 밀착됨으로써 고정력이 발휘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장착대 4 : 케이싱
5 : 작동브라켓 6 : 결합구
7 : 승강구 41 : 제1호형장공
52 : 제2호형장공 62 : 작동공
72 : 핀 B1 : 제1스프로켓
B2 ; 제2스프로켓 B3 : 체인
B4 : 링크바 W : 와이어
h : 핸들봉
5 : 작동브라켓 6 : 결합구
7 : 승강구 41 : 제1호형장공
52 : 제2호형장공 62 : 작동공
72 : 핀 B1 : 제1스프로켓
B2 ; 제2스프로켓 B3 : 체인
B4 : 링크바 W : 와이어
h : 핸들봉
Claims (20)
- 레버를 포함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며 자전거를 조향하기 위한 핸들(10), 상기 핸들(10)이 상단에 부착된 일정 길이의 핸들봉(h), 상기 핸들봉(h)에 연결되며 안장봉(S2) 및 안장(S1)이 장착된 센터프레임(C), 상기 센터프레임(C)의 전방에 연결되며 전륜(FW)이 장착되는 전륜 포크(33), 상기 전륜포크(33)에 결합되며 핸들(10)의 전,후 운동에 연동되는 작동부(A), 상기 작동부(A)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부(B), 상기 센터프레임(C)의 후방에 연결되며 후륜(FW)이 장착되는 후륜 프레임(RF)을 갖는 후륜부(R)를 포함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A)는,
전륜 포크(33)의 상부에 부착된 장착대(2);
상기 장착대(2)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전방까지 개구되어 작동개구(40)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제1호형장공(41)이 형성되며 상기 제1호형장공(41)의 하부측 중앙에 제1핀홀(410)이 형성된 케이싱(4);
상기 케이싱(4)에 삽입되어 축핀(P1)으로 힌지결합되며 전단에 링크결합공(510)을 갖는 횡바(51)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호형장공(5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호형장공(52)의 중앙에 제2핀홀(522)이 형성된 작동브라켓(5);
상기 작동브라켓(5)의 내부에 삽입되며 양측 및 전방면에 수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작동공(62)이 형성되며 상부에 핸들봉(h)이 결합된 결합구(6);
상기 결합구(6)의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되며 양측에 상기 작동공(62)에 관통되는 핀(72)이 형성된 승강구(7);
상기 승강구(7)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6)의 전방 작동공(62)을 통해 관통되는 볼트(75);
상단이 상기 볼트(75)에 결합되고 하단은 케이싱(4)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링(74);
상기 핸들봉(h)의 내부로 삽입되어 하단이 상기 승강구(7)에 연결되며 상단이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와이어(w)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은
부채꼴형상의 2개의 판재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이격된 2개의 판재의 하부와 후방에 연결판이 부착된 것으로,
후방의 연결판이 장착대(2)에 피스로 결합되며 상부에서 전방까지 개구되어 호형의 작동개구(40)가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양측면에 부채꼴형상의 제1호형장공(41)이 형성되며 상기 제1호형장공(41)의 하부측 중앙에 제1핀홀(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브라켓(5)은
"ㄴ"자 형상이며 2개의 판재를 일정 간격 이격 배치시키고,
상기 2개의 판재의 하부 및 후방에 연결판을 부착시킨 것이며
케이싱(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축핀(P1)으로 힌지결합되며 전단에 링크결합공(510)을 갖는 횡바(51)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호형장공(5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호형장공(52)의 중앙에 제2핀홀(5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호형장공(52)은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6)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사각형의 박스형상으로써 작동브라켓(5)의 내부에 삽입되며, 양측면 및 상기 장착대를 향하는 전방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작동공(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7)는
결합구(6)의 내부에 삽입되는 사각형의 박스형상이며,
그 상부에는 핸들봉(h)이 용접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구(6)의 작동공(62)에 관통되어 삽입되는 핀(72)이 형성되고,
전방면에는 상기 결합구(6)의 전방 작동공을 통해 돌출된 볼트(75)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봉(h)의 내부로 삽입된 와이어(w)가 상기 핀(72)에 묶여져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w)의 당김 및 해제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74)은
코일스프링으로써 상단은 상기 결합구(6)의 전방 작동공을 통해 관통된 승강구(7)의 볼트(75)에 연결되고,
하단은 결합구(6)의 하단에 돌출된 돌기에 결합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승강구(7)를 하방으로 당기는 힘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B)는
상단이 상기 작동브라켓(5)의 횡바(51)에 형성된 링크결합공(510)에 축핀(P2)으로 힌지결합되고 하단이 제1스프로켓(B1)에 편심되어 힌지결합된 링크바(B4);
상기 전륜포크(33)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스프로켓(B1);
상기 전륜(FW)의 회전축(B2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2스프로켓(B2);
상기 제1 및 제2스프로켓(B1,B2)을 연결하는 체인(B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로켓(B1)은
외주에 치차가 형성된 원판상이며,
전륜포크(33)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축핀(72)에 결합되며,
일면에는 상기 링크바(B4)의 하단 결합부(B42)가 편심 결합되도록 브라켓(B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레버를 포함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며 자전거를 조향하기 위한 핸들(10), 상기 핸들(10)이 상단에 부착된 일정 길이의 핸들봉(h), 상기 핸들봉(h)에 연결되며 안장봉(S2) 및 안장(S1)이 장착된 센터프레임(C), 상기 센터프레임(C)의 전방에 연결되며 전륜(FW)이 장착되는 전륜 포크(33), 상기 전륜포크(33)에 결합되며 핸들(10)의 전,후 운동에 연동되는 작동부(A), 상기 작동부(A)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부(B), 상기 센터프레임(C)의 후방에 연결되며 후륜(FW)이 장착되는 후륜 프레임(RF)을 갖는 후륜부(R)를 포함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센터프레임(C)의 전방에 연결되며 하부에 전륜(FW)이 결합되는 전륜 포크(16)의 상단에 부착된 장착대(2);
상기 장착대(2)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전방까지 개구되어 작동개구(40)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제1호형장공(41)이 형성되며 상기 제1호형장공(41)의 하부측 중앙에 제1핀홀(410)이 형성된 케이싱(4);
상기 케이싱(4)에 삽입되어 축핀(P1)으로 힌지결합되며 전단에 링크결합공(510)을 갖는 횡바(51)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2호형장공(5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호형장공(52)의 중앙에 제2핀홀(522)이 형성된 작동브라켓(5);
핸들봉(h)의 하단에 형성되며, 하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전면 및 양측면에 작동공(62,62a)이 형성된 결합구(6);
상기 결합구(6)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양측면의 작동공(62a)에 결합되는 걸이핀부재(72a);
상기 걸이핀부재(72a)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구(6)의 전면 작동공(62)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트(75a);
상기 볼트(75a)의 하부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싱(4)의 내측 저면에 결합된 스프링(74);
상기 볼트(75a)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핸들봉(h)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와이어(w)로 구성된 제어수단;
상기 핸들봉(h)의 외주면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장착대(2)에 형성된 잠금장치(530)에 체결되어 핸들봉(h)을 고정시키는 보조고정수단(5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부(R)는
상기 센터프레임(C)의 후방에 설치된 일정 길이의 가로바(R3);
상기 가로바(R3)에 비스듬히 부착된 제1 및 제2힌지브라켓(R1,R2);
상기 제1 및 제2힌지브라켓(R1,R2)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타단부에 후륜(FW)이 결합된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
상기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을 상호 연결하도록 장착된 연동축(R4);
상기 연동축(R4)과 센터프레임(C)에 연장 형성된 후방프레임(CR)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된 완충기(SO)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힌지브라켓(R1,R2)은 안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상호 "∨"자 형상을 이루도록 비스듬히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힌지브라켓(R1,R2)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돌출판(R100)과, 상기 2개의 돌출판(R100)을 관통 결합하며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에 결합되는 핀축(R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축(R4)은
상기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바디(R40)와, 상기 바디(R40)의 양단부에 돌출된 샤프트(R42)로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R42)가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기(SO)는
완충수단이 내장된 바디(SO2);
상기 바디(SO2)의 상,하부에 각기 결합된 로드(SO41,SO42);로 구성되고,
상부의 로드(SO41)는 후방프레임(CR)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의 로드(SO42)는 연동축(R4)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후륜프레임(RF1,RF2)의 후단에는 보조바퀴(900)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봉(S2)을 접거나 펼칠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장접철부(M)를 포함하며,
상기 안장접철부(M)는
가로바(R3)의 중앙에 결합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양측벽의 상단에 삽입공(M32)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일정 길이로 된 작동공(M34)이 형성되며, 전방에 안장봉(S2)이 회전되도록 절개홈(M36)이 형성된 결합홀더(M3);
상기 안장봉(S2)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M32)과 작동공(M34)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축핀(M1,M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0)을 고정시키기 위해 보조고정수단(500)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고정수단(500)은
상기 핸들봉(h)의 외주면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된 일정 길이의 지지바(510);
상기 장착대(2)에 형성된 잠금장치(5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510)는
일단이 핸들봉(h)에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토록 한 일정 길이를 갖는 금속편체로써, 일면에는 자석(520)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잠금장치(530)와 결합되는 슬릿공(540)과 요홈(5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530)는
장착대(2)에 결합된 축핀(532);
상기 축핀(532)에 힌지결합되며, 일측에 볼록하게 형성된 캠부(5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구동형 자전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0/004573 WO2011008019A2 (ko) | 2009-07-14 | 2010-07-14 | 핸들구동형 자전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4002 | 2009-07-14 | ||
KR20090064002 | 2009-07-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580A KR20110006580A (ko) | 2011-01-20 |
KR101157842B1 true KR101157842B1 (ko) | 2012-07-11 |
Family
ID=4361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9701A KR101157842B1 (ko) | 2009-07-14 | 2010-03-05 | 핸들구동형 자전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784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635022B (zh) * | 2017-03-30 | 2018-09-11 | 黃永松 | 離合式自行車電力驅動裝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31614A (en) | 1993-06-14 | 1995-07-11 | Jeranson; Richard C. | Exercise device and auxiliary power unit for use with bicycle |
JP2005047458A (ja) | 2003-07-31 | 2005-02-24 | France Bed Co Ltd | 手動式自転車 |
-
2010
- 2010-03-05 KR KR1020100019701A patent/KR1011578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31614A (en) | 1993-06-14 | 1995-07-11 | Jeranson; Richard C. | Exercise device and auxiliary power unit for use with bicycle |
JP2005047458A (ja) | 2003-07-31 | 2005-02-24 | France Bed Co Ltd | 手動式自転車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6580A (ko) | 2011-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491788B (en) | Bicycle and bicycle folding method | |
JP6186510B2 (ja) | 自転車全般に適用可能なエリプティカル駆動機構および操舵機構に導入された改良 | |
WO2011137661A1 (zh) | 一种便携式代步车 | |
CN1621298A (zh) | 可折叠的骑乘车辆 | |
KR101206502B1 (ko) | 배터리 및 페달 구동용 접이식 자전거 | |
KR100908789B1 (ko) |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 |
JP3101174U (ja) | 自転車 | |
US7048289B2 (en) | Human-powered vehicle | |
KR101157842B1 (ko) | 핸들구동형 자전거 | |
CN204056145U (zh) | 一种折叠自行车 | |
CN201291969Y (zh) | 手提箱式两轮折叠车 | |
KR100579530B1 (ko) | 핸들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 | |
CN104210598A (zh) | 一种折叠自行车 | |
KR100775341B1 (ko) | 자전거 | |
KR100758311B1 (ko) | 후륜완충구를 갖는 삼륜자전거 | |
JP2011201372A (ja) | 折りたたみ式電動補助自転車 | |
TWM542599U (zh) | 代步車收折機構 | |
CN205440735U (zh) | 一种手臂驱动自行滑板车 | |
KR20090049675A (ko) | 뒷바퀴 접이식 자전거 | |
JP7370297B2 (ja) | センタースタン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転車 | |
CN207955938U (zh) | 自行车 | |
JP7336410B2 (ja) | 自転車用スタン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転車 | |
JP3236258U (ja) | 前輪駆動折り畳み式自転車 | |
KR101305315B1 (ko) | 차량의 틸팅 및 조향장치 | |
CN216070341U (zh) | 一种踏板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