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56675B1 - 배수판 - Google Patents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675B1
KR101156675B1 KR1020090114197A KR20090114197A KR101156675B1 KR 101156675 B1 KR101156675 B1 KR 101156675B1 KR 1020090114197 A KR1020090114197 A KR 1020090114197A KR 20090114197 A KR20090114197 A KR 20090114197A KR 101156675 B1 KR101156675 B1 KR 10115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line
drainage
drain
plate
protrusio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701A (ko
Inventor
김현수
장대희
남창진
김용봉
나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Priority to KR102009011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6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6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발명은 건축,조경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투수가 구조체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침투수를 처리하기 위한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배수로(102A)가 형성되며, 배수층(40)에 공극(4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복수의 돌출부(104,106)가 돌출 형성되고, 쪼개져서 복수로 분리될 수 있도록 분리라인(10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100)을 제시한다.
배수판, 배수층, 분리라인, 옥상녹화

Description

배수판{DRAIN BOARD}
본 발명은 건축,조경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투수가 구조체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침투수를 처리하기 위한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판은 침투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방수소재로 형성되며 침투수가 집수정 등으로 배수되어 처리될 수 있도록 배수로가 형성되어 구조체를 보호한다. 이와 같은 배수판은 용도에 따라 바닥배수판(즉, 지하침투수처리용), 벽체 배수판, 조경용 배수판 등으로 분류된다.
특히 도시는 점점 건축물이 과밀해짐에 따라서 녹지지대가 사라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배수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옥상이나 고층건물의 베란다에 녹지를 조성하는 옥상녹화공법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배수판은 시공장소에서 그 장소에 맞추어서 잘라서 사용한다.
이때, 배수판의 두께때문에 칼질을 해서 배수판을 잘라내는데, 이때 배수판이 넓고 길기 때문에 배수판을 바닥에 놓고 칼질을 하는 것이 현실정이다.
이렇다보니 배수판의 칼질로 인해 바닥에 기 형성된 단열층이나 방수층 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배수판이 넓고 길기 때문에, 칼질할 때 칼질선이 삐뚤어지기 쉬우며, 이로 인해 잘라낸 배수판을 버리거나 다시 배수판에 칼질을 하여 마무리해야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칼질을 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잘라서 사용할 수 있는 배수판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수로(102A)가 형성되며, 배수층(40)에 공극(4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복수의 돌출부(104,106)가 돌출 형성되고, 쪼개져서 복수로 분리될 수 있도록 분리라인(10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100)을 제시한다.
상기 분리라인(108)은 상기 배수로(102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104,106)는 복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리라인(108)은 각 열을 이루는 복수의 돌출부(104,106)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라인(108)은 상기 배수부의 분리라인형성부분(100A)의 두께(T)보다 깊이가 얕은 홈 또는 절개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라인형성부분(100A)은 상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은 분리라인이 형성됨으로써 칼질하는 대신 용이하게 쪼개서 잘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발명에 따른 배수판(100)은 바닥배수판(100), 벽체배수판(100), 정원용 배수판(100) 등 여러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녹화공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옥상녹화공법의 일 예로써, 먼저, 슬래브(10) 위에 도포작업 또는 방수/방근시트에 의해 방수 및 방근층(20)을 조성하고, 방수 및 방근층(20) 위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단열층(30)을 조성하며, 단열층(30) 위에 배수판(100)을 설치하여 공극(42)을 갖는 배수층(40)을 조성하며, 배수층(40) 위에 부직포 등에 의해 토양필터층(50)을 조성한 후, 토양필터층(50) 위에 녹지 조성을 위한 식생토(60)를 조성하면 옥상녹화를 위한 녹지를 조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옥상녹화공법 등에 이용되는 본발명에 따른 배수판(100)은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배수판(100)은 기본적으로 배수층(40)이 상술한 공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수판(100)은 배수로(102A)를 형성하는 베이스(102)의 상측에 돌출부(104,106) 중 하나인 복수의 기둥(104)이 돌출 형성되거나, 베이스(102)의 하측에 돌출부(104,106) 중 하나이며 침투수가 저수될 수 있는 공간(106A)을 갖는 컵(cup)(106)이 복수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배수판(100)은 베이스(102) 및 복수의 기둥(10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형 배수판(110)'이라 한다). 또는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 이 배수판(100)은 베이스(102) 및 복수의 컵(10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형 배수판(120)'이라 한다). 여기서, 배수판(100)의 복수의 기둥(104) 및 컵(106)은 여러가지로 배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열을 이루도록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수판(100)은 시공현장에 맞추어 잘라 사용하기 위해, 쪼개져서 복수로 분리될 수 있도록 분리라인(10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분리라인(108)에 의해 배수판(100)을 칼질하지 않고 손으로 쪼개서 잘라낼 수 있다. 따라서, 배수판(100)의 시공작업성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칼질 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고, 칼질 등에 의한 배수판(100) 밑에 시공되는 단열층이나 방수층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분리라인(108)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히 배수판(100)이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배수부의 분리라인형성부분(100A)의 두께(T)보다 깊이가 얕은 홈 또는 절개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분리라인(108)은 배수판(100)에 여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분리라인(108)은 도 2,3,5,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판(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판(10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라인(108)은 도 2 내지 도 4, 도 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102A)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열을 이루는 복수의 돌출부(104,106)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는 분리라인(108)이 돌출 부(104,106)를 가로지르면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라인형성부분(100A)은 상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라인(108)이 보다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분리라인형성부분(100A)이 볼록함에 따라 분리라인(108)이 형성되었지만 분리라인형성부분(100A)이 충분히 구조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형 배수판(100)(110)의 기둥(104)에는 침투수가 어느 정도 저수될 수 있도록 저수홈(10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저수홈(104A)에 저수된 물도 용이하게 배수처리될 수 있도록, 저수홈(104A)에는 배수홈(104B) 또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배수판을 이용한 옥상녹화공법의 구성도.
도 2 이하는 본발명에 따른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도 2는 제1형 배수판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다른 실시 예의 제1형 배수판의 단면도.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의 제1형 배수판의 기둥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
도 9는 제2형 배수판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배수판 102; 베이스
102A; 배수로 104; 기둥
106; 컵 108; 분리라인
110; 제1형 배수판 120; 제2형 배수판

Claims (5)

  1. 베이스(102) 및 상기 베이스(102)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04,106)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02)의 복수의 돌출부(104,106) 사이가 배수로(102A)가 되고, 쪼개져서 복수로 분리될 수 있도록 분리라인(108)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라인(108)이 형성된 분리라인형성부분(100A)은 상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분리라인(108)은 상기 분리라인형성부분(100A)의 두께(T)보다 깊이가 얕은 홈 또는 절개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라인(108)은 상기 배수로(102A)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104,106)는 복수 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리라인(108)은 각 열을 이루는 복수의 돌출부(104,106)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100).
  4. 삭제
  5. 삭제
KR1020090114197A 2009-11-24 2009-11-24 배수판 Active KR10115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197A KR101156675B1 (ko) 2009-11-24 2009-11-24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197A KR101156675B1 (ko) 2009-11-24 2009-11-24 배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701A KR20110057701A (ko) 2011-06-01
KR101156675B1 true KR101156675B1 (ko) 2012-06-15

Family

ID=4439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197A Active KR101156675B1 (ko) 2009-11-24 2009-11-24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6811B (zh) * 2020-11-17 2022-02-15 南京金海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可减少碳排放的绿色建筑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218Y1 (ko) 2001-02-08 2001-07-19 송성용 녹지조성용 배수판
KR200354545Y1 (ko) 2004-04-13 2004-07-05 성 무 김 신축 가능한 록지 조성용 배수 처리판
KR200358886Y1 (ko) 2004-05-11 2004-08-11 허준영 배수판
KR200371453Y1 (ko) * 2004-10-01 2005-01-03 성 무 김 녹지 조성용 배수처리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218Y1 (ko) 2001-02-08 2001-07-19 송성용 녹지조성용 배수판
KR200354545Y1 (ko) 2004-04-13 2004-07-05 성 무 김 신축 가능한 록지 조성용 배수 처리판
KR200358886Y1 (ko) 2004-05-11 2004-08-11 허준영 배수판
KR200371453Y1 (ko) * 2004-10-01 2005-01-03 성 무 김 녹지 조성용 배수처리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701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1941B1 (en) Studded plate
US7698858B2 (en) Membrane for the protection of buildings
EP2630313B1 (en) Drainage system
KR101156675B1 (ko) 배수판
KR101139501B1 (ko) 배수판
US9068342B2 (en) Masonry unit systems and methods
KR100893363B1 (ko) 인조잔디 배수구조 및 그 배수공법
US11371205B2 (en) Insulation system for a building
KR100759112B1 (ko) 배수판
KR101388151B1 (ko)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KR101139502B1 (ko) 배수판
KR100804066B1 (ko)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하며 그 구조강도가 개선되는인공지반의 배수구조
JP2012110289A (ja) 植栽装置とこれに使用する保水・排水基板
KR101606867B1 (ko) 습기유도로를 적용한 옥상 방수층 보수공법
JP5103575B1 (ja) タイル敷設構造
JP5626979B2 (ja) 屋根構造
AU2014101588A4 (en)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370730B1 (ko) 듀얼 발코니 블럭
KR101922161B1 (ko) 조경용 배수판 조립체
JP2014171414A (ja) 防水緑化構造
KR100871722B1 (ko) 역원추형 다공성 식생블럭을 이용한 조경용 수직재
JP2005229920A (ja) 防根パネルを用いた防根構造、緑化構造及び防根容器
JP4474920B2 (ja) 人工地盤用壁体及びそれを用いた緑化設備
JP3146077U (ja) 屋根構造材
FI126497B (fi) Vettäläpäisevä laat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