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41821B1 -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821B1
KR101141821B1 KR1020110107553A KR20110107553A KR101141821B1 KR 101141821 B1 KR101141821 B1 KR 101141821B1 KR 1020110107553 A KR1020110107553 A KR 1020110107553A KR 20110107553 A KR20110107553 A KR 20110107553A KR 101141821 B1 KR101141821 B1 KR 101141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mounting
mounting portion
coupling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자
Original Assignee
김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자 filed Critical 김경자
Priority to KR102011010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82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even parallel pins and four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8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of cylindric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은 가구의 본체내벽(1)에 부착된 본체마운팅부(10)와, 상기 본체마운팅부(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메인플레이트(20)와, 상기 본체마운팅부(10)의 일측에 연결된 제1작동링크(30)와, 상기 본체마운팅부(10)의 타측에 연결된 제2작동링크(40)와, 상기 제2작동링크(40)의 연장부 말단에 결합되는 제3작동링크(50)와, 가구의 도어내벽(2)에 안착되어 상기 메인플레이트(20)와 연결되는 도어마운팅부(60)와,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제3작동링크(50)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연결부재(70)로 구성되어 도어마운팅부의 요입장공에 연결부재를 요입시키고 연결부재의 하부를 직각으로 절곡하는 결합절곡부를 형성하여 결합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도어마운팅부의 하부면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개폐시 흔들림을 방지하며, 연결부재에 도어마운팅부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장입편지지부를 형성하여 연결부재와 도어마운팅부의 결속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 Easy to combine with door hinges for connecting part }
본 발명은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내벽에 부착된 본체마운팅부와 가구의 도어내벽에 부착되는 도어마운팅부를 연결하기 위해서 도어마운팅부의 요입장공에 연결부재를 요입시키고 연결부재의 하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결합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도어마운팅부의 하부면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개폐시 흔들림을 방지하며, 연결부재의 일측에 도어마운팅부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장입편지지부를 형성하여 연결부재와 도어마운팅부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장롱 또는 주방용 가구 등과 같은 각종가구의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일련의 장치이다.
최근에는 상기 경첩이 단순히 가구와 도어의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서로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조절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복원 스프링이 설치되면서 상기 개폐 도어의 닫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적인 구조가 추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의 가구용 경첩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가이드링크(101)를 갖는 메인플레이트(10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접혀짐과 펼침 작용을 하게 되는 제1작동링크(110) 및 제2작동링크(120)와, 상기 제2작동링크(120)에 힌지 결합되어 절첩되는 제3작동링크(130)와, 상기 제1작동링크(110)와 제2작동링크(120)에 힌지 결합되어 가구의 본체내벽(1)에 고정되는 본체마운팅부(14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가이드링크(101)와 제3작동링크(130)와 힌지 결합되어 도어벽면(2)의 장입부에 매립된 후 나사(N)로 고정되는 도어마운팅부(150)와, 상기 도어마운팅부(150)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3작동링크(130)와 힌지 결합되는 연결체(160)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구용 경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마운팅부(150)의 내부에 연결체(160)를 안착시킬 경우, 상기 연결체(160)의 일측에 다수의 절곡부(162)를 형성하는 절곡작업과, 나사체결홀(161)을 형성하는 천공작업이 불가피 하여 제조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어를 개폐할 경우 상기 제3작동링크(130)에 연결된 연결체(160)가 전방으로 회전하는 도어의 힘에 의해 도어마운팅부(150)로부터 이탈되어 제품의 결속력이 현저히 감소됨은 물론 그로 인하여 체결된 나사가 도어에서 이탈되거나 나사의 이탈로 나사체결홀(161)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가구용 경첩은 상기 도어마운팅부(150)와 가이드링크(101)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힌지핀(h)이 개폐되는 도어의 힘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므로 연결된 힌지핀(h)이 도어마운팅부(150)에서 이탈되어 도어가 개폐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의 목적은 도어마운팅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요입장공으로 요입결합편을 요입시키고 요입결합편의 하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작업자가 매우 간편하게 결합작업을 할 수 있고, 도어마운팅부의 하부면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결합절곡부가 도어마운팅부의 하면 내측에 안착되어 개폐시 흔들림을 방지하며, 연결부재의 후부에 도어마운팅부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장입편지지부를 형성하여 연결부재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마운팅부의 내측에 힌지핀이 거치되는 한 쌍의 힌지거치편을 형성하여 힌지핀이 하방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은 가구의 본체내벽(1)에 부착되는 본체마운팅부(10)와, 상기 본체마운팅부(10)의 상부에 가이드링크부(21)를 갖는 메인플레이트(2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20)가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본체마운팅부(10)의 일측에 연결된 제1작동링크(30)와, 본체마운팅부(10)의 타측에 연결된 제2작동링크(40)와, 상기 제2작동링크(40)의 연장부 말단에 결합되어 내부으로 절첩되는 제3작동링크(50)와, 가구의 도어내벽(2)에 안착되어 상기 메인플레이트(20)와 연결되는 도어마운팅부(60)와,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제3작동링크(50)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연결부재(70)로 구성된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도어마운팅부(60)에는 내부가 개방된 도어마운팅요입부(61)와, 상기 도어마운팅요입부(61)의 바닥면에 장방형의 요입장공(6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70)에는 상기 요입장공(62)에 요입되어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하부 일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요입결합편(71)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마운팅요입부(61)의 상부 일측면에는 장방형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장입홈(6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70)의 하부면에는 상기 장입홈(63)에 요입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장입편(72)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어마운팅부와 연결부재의 상호 결합이 편리해지도록 도어마운팅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요입장공으로 연결부재에 형성된 요입결합편을 요입시키고, 상기 요입결합편의 하부를 직각으로 절곡하는 결합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와 도어마운팅부를 간편하게 결합하여 작업자가 매우 손쉽게 제작할 수 있고,
둘째, 연결부재의 결합절곡부 하면이 상기 도어마운팅부의 하면 내측으로 안착되어 도어마운팅부의 하면이 도어내벽에 수평으로 밀착되도록 도어마운팅부의 하부면에 안착홈을 형성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시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도어마운팅부에 결합된 연결부재의 결합절곡부에 상방으로 펀칭된 절곡펀칭부를 형성함으로써, 도어마운팅부에 안착된 연결부재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작용으로 인하여 흔들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도어마운팅부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장입편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작용에 의해서 연결부재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다섯째, 도어마운팅부의 내측에 메인플레이트와 연결되는 힌지핀이 상부에 안착되도록 반원의 힌지거치절개면이 형성된 한 쌍의 힌지거치편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힌지핀이 도어의 자체 중량 또는 도어 개폐시 회전작용의 힘으로 인하여 하방으로 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용 경첩을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도어용 경첩중 도어에 결합되는 마운팅부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을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중 도어에 결합되는 마운팅부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마운팅부와 연결부재를 나타내보인 구성도로서,
(a)는 연결부재가 도어마운팅부의 내측으로 요입되는 것을 나타내보인 결합단면도이고,
(b)는 연결부재가 도어마운팅부에 요입된 후 절곡되는 것을 나타내보인 결합단면도이며,
(c)는 연결부재와 도어마운팅부가 절곡된 후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보인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입편지지부의 작용을 나타내보인 결합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거치편의 작용을 나타내보인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의 본체내벽(1)에 부착된 본체마운팅부(10)와, 상기 본체마운팅부(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메인플레이트(20)와, 상기 본체마운팅부(10)의 일측에 연결된 제1작동링크(30)와, 상기 본체마운팅부(10)의 타측에 연결된 제2작동링크(40)와, 상기 제2작동링크(40)의 연장부 말단에 결합되는 제3작동링크(50)와, 가구의 도어내벽(2)에 안착되어 상기 메인플레이트(20)와 연결되는 도어마운팅부(60)와,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제3작동링크(50)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연결부재(7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마운팅부(10)는 가구의 본체내벽(1)에 부착되도록 양측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요입되어 상기 본체내벽(1)을 관통연결하는 나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플레이트(20)는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내측부와 힌지핀(h)으로 연결되도록 일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링크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링크부(21)의 측면에 상기 힌지핀(h)이 요입되도록 천공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제1작동링크(30)는 메인플레이트(20)가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본체마운팅부(10)의 일측과 메인플레이트(2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작동링크(40)는 메인플레이트(20)가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본체마운팅부(10)의 타측과 메인플레이트(20)의 타측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작동링크(40)에는 상기 제3작동링크(50)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연장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3작동링크(50)는 상기 제2작동링크(40)의 연장부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작동링크(40)의 내부로 절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마운팅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내벽(2)에 안착되며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의 도어마운팅요입부(61)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마운팅요입부(61)의 바닥면에 장방형으로 천공된 요입장공(62)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마운팅요입부(61)의 일측에 장방형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장입홈(6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도어마운팅요입부(61) 내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링크부(21)를 연결하는 힌지핀(h)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의 일측면이 호형상으로 절개된 힌지거치절개면(64a)이 형성된 힌지거치편(64)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힌지거치절개면(64a)은 상기 힌지거치편(64)의 상부 일측면 또는 상부 중심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반원 또는 장방형으로 상기 힌지핀(h)이 안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절개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70)는 상기 요입장공(62)에 요입되어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하부 일측면이 하방으로 연장된 요입결합편(71)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결합편(71)이 상기 요입장공(62)에 요입되어 직각으로 절곡되는 결합절곡부(73)가 형성된다.
한편,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절곡부(73)의 하면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결합절곡부(73)가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하부면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펀칭되는 절곡펀칭부(75)가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70)의 하측면에는 상기 장입홈(63)에 요입되어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장입편(7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입편(72)의 하부면 일측에 상기 도어마운팅요입부(61)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연결부재(70)가 전방으로 회전되는 힘을 지지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장입편지지부(74)가 형성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하부 바닥면에는 상기 직각으로 절곡된 결합절곡부(73)가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하면보다 내측에 안착되도록 안착홈(65)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내벽(1)에 부착된 본체마운팅부(10)와 도어내벽(2)에 부착된 도어마운팅부(60)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본체마운팅부(10)에 구비된 메인플레이트(20) 및 제1작동링크(30), 제2작동링크(40), 제3작동링크(50)의 회전 작용으로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내벽(2)에 부착된 도어마운팅부(60)의 내측에는 상기 제3작동링크(50)가 연결되도록 연결부재(70)가 안착되어 상기 본체마운팅부(10)와 도어마운팅부(7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5(a)는 상기 연결부재(70)가 도어마운팅부(60)의 내측으로 요입되는 것을 나타내 보인 것으로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바닥면에 형성된 요입장공(62)으로 상기 연결부재(70)에 형성된 요입결합편(71)이 화살표방향으로 요입하게 된다.
이어, 도 5(b)는 상기 연결부재(70)가 도어마운팅부(60)에 요입된 후 절곡되는 것을 나타내 보인 것으로 상기 도어마운팅부(60)에 점선과 같이 요입된 결합절곡부(73)를 화살표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70)가 도어마운팅부(60)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하여 상기 도어마운팅부(60)와 연결부재(70)를 연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절곡부(73)를 도어마운팅부(60)의 하부면에 형성된 안착홈(65)의 내측에 요입시킴으로써,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하부면이 도어내벽(2)의 상면에 수평으로 밀착되어 도어가 흔들림없이 개폐하게 된다.
또한, 도 5(c)는 상기 연결부재(70)가 도어마운팅부(60)에 펀칭되는 것을 나타내 보인 것으로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하면과 결합절곡부(73)의 하면에 상측방향으로 작동되는 펀칭구(P)로 절곡펀칭부(7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70)와 도어마운팅부(6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70)의 일측에 형성된 장입편(72)이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일측에 형성된 장입홈(63)에 요입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입편(72)의 하부에 형성된 장입편지지부(74)가 상기 도어마운팅요입부(61)의 외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도어의 개폐시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을 지지하여 상기 연결부재(70)가 도어마운팅부(6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마운팅요입부(61)의 내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거치편(64)의 힌지거치절개면(64a)에 상기 가이드링크부(21)와 연결되는 힌지핀(h)이 안착되어 도어의 개폐시 회전되는 힘에 의해 상기 힌지핀(h)이 화살표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본체내벽 2 : 도어내벽
10 : 본체마운팅부 20 : 메인플레이트
21 : 가이드링크부 30 : 제1작동링크
40 : 제2작동링크 50 : 제3작동링크
60 : 도어마운팅부 61 : 도어마운팅요입부
62 : 요입장공 63 : 장입홈
64a : 힌지거치절개면 64 : 힌지거치편
65 : 안착홈 70 : 연결부재
71 : 요입결합편 72 : 장입편
73 : 결합절곡부 74 : 장입편지지부
75 : 절곡펀칭부 h : 힌지핀
P : 펀칭구

Claims (5)

  1. 가구의 본체내벽(1)에 부착되는 본체마운팅부(10)와, 상기 본체마운팅부(10)의 상부에 가이드링크부(21)를 갖는 메인플레이트(20)와, 상기 메인플레이트(20)가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본체마운팅부(10)의 일측에 연결된 제1작동링크(30)와, 본체마운팅부(10)의 타측에 연결된 제2작동링크(40)와, 상기 제2작동링크(40)의 연장부 말단에 결합되어 내부으로 절첩되는 제3작동링크(50)와, 가구의 도어내벽(2)에 안착되어 상기 메인플레이트(20)와 연결되는 도어마운팅부(60)와,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제3작동링크(50)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연결부재(70)로 구성된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도어마운팅부(60)에는 상부가 개방된 도어마운팅요입부(61)와, 상기 도어마운팅요입부(61)의 바닥면에 장방형의 요입장공(6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70)에는 상기 요입장공(62)에 요입되어 간편하게 결합되도록 하부 일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요입결합편(71)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결합편(71)의 하부에는 상기 요입장공(62)에 요입되어 직각으로 절곡되는 결합절곡부(73)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하부면에는 상기 직각으로 절곡된 결합절곡부(73)가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하면보다 내측에 안착되도록 안착홈(65)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마운팅요입부(61)의 일측면에는 장방형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장입홈(6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70)의 하부면에는 상기 장입홈(63)에 요입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장입편(72)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절곡부(73)의 하면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결합절곡부(73)가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하부면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펀칭되는 절곡펀칭부(7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70)의 장입편(72) 하부면에는 상기 도어마운팅요입부(61)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연결부재(70)의 전방으로 회전되는 힘을 지지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장입편지지부(7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마운팅부(60)의 도어마운팅요입부(61)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링크부(21)를 연결하는 힌지핀(h)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힌지거치절개면(64a)이 형성된 힌지거치편(6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KR1020110107553A 2011-10-20 2011-10-20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Expired - Fee Related KR101141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553A KR101141821B1 (ko) 2011-10-20 2011-10-20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553A KR101141821B1 (ko) 2011-10-20 2011-10-20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821B1 true KR101141821B1 (ko) 2012-05-07

Family

ID=4627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5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1821B1 (ko) 2011-10-20 2011-10-20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8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874B1 (ko) * 2018-12-07 2019-06-27 신안케이에프 주식회사 가구용 경첩
KR20240001882A (ko) * 2022-06-28 2024-01-04 김상우 도어용 경첩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0865A (ja) * 1992-06-10 1996-01-30 クニュール−メカニック フューア ディー エレクトロニック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ヒンジ
JPH08504910A (ja) * 1993-10-18 1996-05-28 パク、ビュン・キ 両側開放型のドア開閉装置
JPH09511292A (ja) * 1994-01-17 1997-11-11 ノマファ、アクチボラーグ 耐衝突性を有するドア
KR20090007417U (ko) * 2008-01-18 2009-07-22 유상현 가구용 경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0865A (ja) * 1992-06-10 1996-01-30 クニュール−メカニック フューア ディー エレクトロニック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ヒンジ
JPH08504910A (ja) * 1993-10-18 1996-05-28 パク、ビュン・キ 両側開放型のドア開閉装置
JPH09511292A (ja) * 1994-01-17 1997-11-11 ノマファ、アクチボラーグ 耐衝突性を有するドア
KR20090007417U (ko) * 2008-01-18 2009-07-22 유상현 가구용 경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874B1 (ko) * 2018-12-07 2019-06-27 신안케이에프 주식회사 가구용 경첩
KR20240001882A (ko) * 2022-06-28 2024-01-04 김상우 도어용 경첩 구조
KR102680818B1 (ko) * 2022-06-28 2024-07-02 김상우 도어용 경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9475B (zh) 用於傢俱之減速鉸鏈
USD577565S1 (en) Sliding door latch
CN108253711A (zh) 冰箱
WO2008061136A3 (en) Gaming machine cabinet with vertically operating doors
RU2756221C2 (ru) Потайной навесной кронштейн в сборе с противорасцепляющим механизмом,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легкий доступ к средствам регулировки
JP6542467B2 (ja) 非干渉前面開閉型フレーム構造
KR101141821B1 (ko) 결합이 용이한 연결부재가 구비된 도어용 경첩
US20070022918A1 (en) Laptop port
CN108286862A (zh) 嵌入式铰链装置
KR101490160B1 (ko) 자동 닫힘 도어힌지
CN108278841A (zh) 冰箱
CN108266953A (zh) 冰箱
US11691098B2 (en) Blind attachment interface for filter housing assembly
KR20090007417U (ko) 가구용 경첩
CN108286861A (zh) 冰箱
JP2011528411A (ja) ドア組立体
KR101394021B1 (ko) 책상용 전선 정리커버의 슬라이딩 장치
CN106618261B (zh) 一种便携可折叠的烧烤炉
JP3121820U7 (ko)
KR200442585Y1 (ko) 코너 싱크대 선반의 회동 인출장치의 선반 체결구조
KR20130022366A (ko)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첩
KR101494754B1 (ko) 힌지 내부연결형 미니 자판기 본체케이스 및 미니 자판기 본체케이스 결합용 힌지 연결기구
KR101033072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KR200455503Y1 (ko) 도어 프레임
USD534737S1 (en) Cabinet with two doors movable in front of one anot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