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862B1 - Apparatus for measuring plastic strain ratio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easuring plastic strain ratio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0862B1 KR101140862B1 KR20100028799A KR20100028799A KR101140862B1 KR 101140862 B1 KR101140862 B1 KR 101140862B1 KR 20100028799 A KR20100028799 A KR 20100028799A KR 20100028799 A KR20100028799 A KR 20100028799A KR 101140862 B1 KR101140862 B1 KR 1011408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pecimen
- support
- measuring
- plastic str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소성변형비 측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시편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지지된 시편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지지부와 측정부가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센서부와 시편의 접촉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시편에 밀착되어 측정 위치의 변화를 억제하는 한편 시편의 소성변형비를 자동으로 측정함으로써, 시험자의 수작업을 통한 측정방법에 비해 소성변형비를 손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measuring plastic strain ratio. The disclosed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for supporting a specimen; A measuring unit measuring a width of the specimen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And an installation unit on which the support unit and the measurement unit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between the measuring sensor unit and the specime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pecimen to suppress the change in the measurement position, while automatically measuring the plastic strain ratio of the specimen, and compared to the method of measuring by manual tester The strain ratio can be measured easily and accurat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성변형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장시험시 시편의 소성변형비를 측정하는 소성변형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plastic strain ratio of the specimen during the tensile test.
인장시험(引張試驗)은 재료강도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수행되는 공업시험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시험으로서, 재료의 기계적 성질 중에서 탄성과 소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시험방법이다. 인장시험의 장점은 시편에 걸리는 응력의 분포가 잘 해석되며, 시험방법이 손쉽고, 경제적으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인장시험에서 소성변형비(r=w/1)는 시편이 인장시험기(引張試驗機)에 의해 지정된 인장연신(引張延伸)에 달했을 때 폭 방향의 변형값(w)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시편의 폭 방향의 변형(w)은 시험자의 수작업을 통해 측정된다.Tensile test is the most basic test among industrial test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basic data on material strength. It is an important test method for evaluating the elasticity and plasticity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The advantage of the tensile test is that the distribution of stress on the specimen is well interpreted, the test method is easy, and the test can be carried out economically. In this tensile test, the plastic strain ratio (r = w / 1) can be measured using the strain value (w)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specimen reaches the tensile elongation specified by the tensile tester. Deformation 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pecimen is measured by the tester's manual operation.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art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conventional technology well known in the art.
본 발명은 소성변형비를 손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소성변형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apparatus that can easily and accurately measure the plastic strain ratio.
본 발명에 따른 소성변형비 측정장치는: 시편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시편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측정부가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measuring plastic strain rat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a specimen; A measuring unit measuring a width of the specimen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And an installation unit in which the support unit and the measurement unit are installed.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편의 이탈을 억제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A first support part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part to support the specimen;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support portio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to suppress the separation of the specimen.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시편과 선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is preferably rounded to be in linear contact with the specimen.
또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시편과 접촉되어 상기 시편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asu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ing unit installed at the installation unit; An accommodation unit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a measuring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receiving unit and in contact with the specimen to measure the width of the specimen.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부는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측정센서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and the measurement sensor unit is movably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또한, 상기 설치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간격조절부; 및 상기 측정부를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to form an appearance; A first interval adjusting unit movably coupling the support unit to the main body unit; And a second interval adjusting unit for movably coupling the measurement unit to the main body unit.
또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를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unit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the first interval control unit and the second interval control unit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소성변형비 측정장치에 따르면, 측정센서부와 시편의 접촉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시편에 밀착되어 측정 위치의 변화를 억제하는 한편 시편의 소성변형비를 자동으로 측정함으로써, 시험자의 수작업을 통한 측정방법에 비해 소성변형비를 손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between the measuring sensor unit and the specime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pecimen to suppress the change in the measurement position while automatically measuring the plastic strain ratio of the specimen, thereby making manual work of the tester Compared to the measurement method through the plastic strain ratio can be measured easily and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은 측정대상인 시편의 크기와 유사한 정도의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가벼운 무게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적게 들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 아니라, 측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mall size similar to the size of the specimen to be measured and can be manufactured with a light weight,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easy to store and transport, and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measurement. .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 측정부, 설치부와 같은 각 부품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 아니라, 각 부품의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each component, such as a support, a measuring unit, and an installation unit, is detachably coupled, so that not only is easy to store and transport, but also easy to repair and replace each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성변형비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의 연장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의 수축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성변형비 측정장치의 연장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성변형비 측정장치의 수축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stal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the installa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racted state of the installa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the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ontraction state of the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성변형비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성변형비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stic deformation ratio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easuring part which concerns 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의 연장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의 수축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stal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the instal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racted state of the installa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exampl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성변형비 측정장치(100)는 지지부(110)와, 측정부(120) 및 설치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lastic deformation
지지부(110)는 시편(1)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편(1)은 인장시험기(미도시)에 의한 인장시험의 대상이 되는 금속 박편인 것으로 예시되며, 지지부(110)는 시편(1)의 폭 방향 일측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는 제1지지부(111)와, 지지부재(112)와, 제2지지부(115) 및 제1연결부(119)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제1지지부(111)는 설치부(130)에 설치되어 시편(1)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지지부(111)는 제1연결부(119)를 매개로 설치부(130)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지지부(111)는 설치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119)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설치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지지부재(112)는 제1지지부재(111)에 설치되어 시편(1)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112)는 시편(1)과 선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12)는 시편(1)과 선접촉된 상태로 시편(1)을 지지함으로써, 시편(1)의 폭 방향 일측부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시편(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제2지지부(115)는 지지부재(112)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지지부(115)는 제1지지부(111)와 함께 시편(1)의 3면을 둘러쌈으로써 시편(1)이 지지부(1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한다.The
측정부(120)는 지지부(110)에 지지된 시편(1)의 폭을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부(1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21)와 측정센서부(125)를 포함한다.The
수용부(121)는 설치부(13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121)는 제2연결부(129)를 매개로 설치부(130)에 설치된다. 이러한 수용부(121)는 설치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129)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설치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수용부(1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수용부(121)의 내부는 관통되게 형성된다.The
측정센서부(125)는 수용부(121)에 설치되며, 시편(1)과 접촉되어 시편(1)의 폭을 측정한다. 일례로서, 측정센서부(125)는 측정부(120)와 지지부(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112; 도 2 참조)의 단부와, 측정센서부(125)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변위센서(LVDT)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변위센서를 이용한 거리측정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상기와 같은 측정센서부(125)는 시편(1)의 폭 방향 일측부와 접촉되는 지지부재(112)의 단부와 시편(1)의 폭 방향 타측부와 접촉되는 측정센서부(125)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시편(1)의 폭을 측정할 수 있다.The
아울러, 측정센서부(125)는 관통공이 형성된 수용부(12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센서부(125)는 수용부(121)에 설치되는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측정센서부(125)와 시편(1)간의 거리를 시편(1) 폭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거리로 미리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부(110)와 측정부(120)는 설치부(130)에 설치된다. 설치부(130)는 지지부(110)와 측정부(120)를 지지하는 한편, 지지부(110)와 측정부(120)를 시편(1) 측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설치부(13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32)와, 제1간격조절부(134)와, 제2간격조절부(136) 및 가압부(138)를 가압한다.The
본체부(132)는 시편(1)의 폭 방향으로 배치된다. 일례로서, 본체부(13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부(132)의 내부에는 관통홀(부호생략)이 형성된다.The
제1간격조절부(134)는 지지부(110)를 본체부(13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간격조절부(134)는 원형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32)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간격조절부(134)의 단부는 본체부(132)의 일측으로 노출되며, 본체부(132)의 일측으로 노출된 제1간격조절부(134)의 단부는 제1연결부(119)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간격조절부(134)는 제1연결부(119)를 매개로 지지부(1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rst
제2간격조절부(136)는 측정부(120)를 본체부(13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간격조절부(136)는 제1간격조절부(134)와 마찬가지로 원형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32)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간격조절부(136)의 단부는 본체부(132)의 타측으로 노출되며, 본체부(132)의 타측으로 노출된 제2간격조절부(136)의 단부는 제2연결부(129)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2간격조절부(136)는 제2연결부(129)를 매개로 측정부(1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econd
가압부(138)는 제1간격조절부(134)와 제2간격조절부(1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시편(1) 측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138)는 본체부(132)의 내부에 삽입되어 그 중심부가 본체부(132)의 내부에 고정된 코일스프링인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가압부(138)는 그 일측이 제1간격조절부(134)와 결합되고 타측이 제2간격조절부(138)와 결합되어 제1간격조절부(134)와 제2간격조절부(136) 모두를 시편(1) 측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설치부(130)는 연장 및 수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지지부(110)와 측정부(12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지부(110)와 측정부(1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112)와 측정센서부(125)가 시편(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설치부(130)는 측정센서부(125)와 시편(1)의 접촉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시편(1)에 밀착되어 측정 위치의 변화를 억제함으로써, 측정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성변형비 측정장치의 연장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성변형비 측정장치의 수축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the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contracted state of the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소성변형비 측정장치(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lastic strain
본 실시예에 따른 소성변형비 측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시편(1)의 소성변형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측정센서부(125)의 기준위치를 지정하여 준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센서부(125)의 기준위치는 지지부재(112)의 단부와 측정센서부(125)의 단부 간의 거리가 22㎜일 때의 측정센서부(125)의 위치인 것으로 예시된다. 측정센서부(125)의 기준 위치는 시편(1)의 폭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order to measure the plastic strain ratio of the
상기와 같은 측정센서부(125)의 기준위치 지정은 시편(1)에 대한 인장시험을 수행하는 인장시험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고 인장시험기에 의한 인장시험 결과를 기록, 저장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장치를 이용한 측정센서부(125)의 기준위치 지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데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reference position designation of the
그런 다음, 인장시험기에 고정된 시편(1)에 소성변형비 측정장치(100)를 접촉, 고정시켜 준다. 인장시험기에 고정된 시편(1)에 소성변형비 측정장치(100)를 접촉, 고정시켜 주기 위해서는,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간격조절부(134)와 제2간격조절부(136)를 잡아당겨 설치부(130)의 길이를 연장시켜 줌으로써 지지부(110)와 측정부(120) 사이 간격을 벌려준다.Then, the plastic strain
그런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1)의 폭 방향 일측부가 제1지지부(111)와 제2지지부(115)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삽입되어 지지부재(112)에 접촉되도록 지지부(110)를 위치시켜 준다. 이와 함께 측정센서부(125)를 시편(1)의 폭 방향 타측부에 위치시키고, 제1간격조절부(134)와 제2간격조절부(136)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여 측정센서부(125)를 시편(1)의 폭 방향 타측부에 접촉시켜 준다. 이때, 지지부재(112)와 측정센서부(125)는 제1간격조절부(134)와 제2간격조절부(136)를 시편(1)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38; 도 6 참조)의 가압력에 의해 시편(1)과 밀착되고, 시편(1)은 시편(1)과 밀착된 지지부재(112)와 측정센서부(125)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Then, as shown in Figure 8, one sid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측정센서부(125)는 상기와 같이 위치가 고정된 시편(1)의 폭 방향 타측부에 밀착되어 시편(1)의 폭을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측정된 시편(1)의 폭은, 시편(1)의 변형 전 폭을 측정한 초기값으로서 제어장치에 기록된다.The
인장시험을 위한 인장시험기의 동작이 시작되어 시편(1)에 인장하중이 가해지면, 시편(1)은 가해진 인장하중에 의해 인장연신(引張延伸)된다. 시편(1)이 지정된 인장연신율(引張延伸率)로 인장연신되면, 측정센서부(125)는 시편(1)의 폭을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정된 인장연신율은 15%인 것으로 예시되며, 측정센서부(125)의 측정 동작은 시편(1)이 지정된 인장연신율(引張延伸率)로 인장연신되면 자동으로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of the tensile tester for the tensile test is started and a tensile load is applied to the
시편(1)의 인장연신에 의해 시편(1)의 폭이 변화되면, 즉 시편(1)의 폭이 감소되면, 지지부재(112) 및 측정센서부(125)는 제1간격조절부(134)와 제2간격조절부(136)를 시편(1)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38)의 가압력에 의해 시편(1)의 폭이 감소된 만큼 시편(1)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112)와 측정센서부(125) 간의 간격은 시편(1)의 폭이 감소된 만큼 감소하게 되며, 측정센서부(125)는 이처럼 감소된 지지부재(112)와 측정센서부(125) 간의 간격을 측정함으로써 시편(1)의 폭을 측정하게 된다.When the width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측정된 시편(1)의 폭은 시편(1)의 변형 후 폭을 측정한 측정값으로서 제어장치에 기록된다. 제어장치는 시편(1)의 변형 전 폭을 측정한 초기값과 시편(1)의 변형 후 폭을 측정한 측정값을 기초로 연산을 수행하여 소성변형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소성변형비 측정장치(100)는, 측정센서부(125)와 시편(1)의 접촉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시편(1)에 밀착되어 측정 위치의 변화를 억제하는 한편 시편(1)의 소성변형비를 자동으로 측정함으로써, 시험자의 수작업을 통한 측정방법에 비해 소성변형비를 손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The plastic strain
또한, 본 실시예의 소성변형비 측정장치(100)는 측정대상인 시편(1)의 크기와 유사한 정도의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가벼운 무게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적게 들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 아니라, 측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stic strain
또한, 본 실시예의 소성변형비 측정장치(100)는, 지지부(110), 측정부(120), 설치부(130)와 같은 각 부품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 아니라, 각 부품의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lastic deforma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 소성변형비 측정장치 110 : 지지부
111 : 제1지지부 112 : 지지부재
115 : 제2지지부 120 : 측정부
121 : 수용부 125: 측정센서부
130 : 설치부 132 : 본체부
134 : 제1간격조절부 136 : 제2간격조절부
138 : 가압부100: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device 110: support part
111: first support portion 112: support member
115: second support portion 120: measuring unit
121: accommodating part 125: measuring sensor part
130: mounting portion 132: main body
134: the first interval control unit 136: the second interval control unit
138: pressure unit
Claims (7)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시편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측정부가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편의 이탈을 억제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시편과 선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제2지지부는 평면 형상이 'ㄷ' 모양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상기 시편의 3면을 둘러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변형비 측정장치.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pecimen;
A measuring unit measuring a width of the specimen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And
An installation part on which the support part and the measurement part are installed;
The support portion,
A first connection part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art;
A first support part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part to support the specimen; And
A second support part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to suppress separation of the specimen;
The support member is rounded to be in linear contact with the specime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pair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a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ar shape is connected to form a 'c' shape to surround the three surfaces of the specimen.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시편과 접촉되어 상기 시편의 폭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변형비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asuring unit,
A second connection part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art;
An accommodation unit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The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comprises a measuring sensor unit in contact with the specimen to measure the width of the specimen.
상기 수용부의 내부는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측정센서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변형비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The plastic strain ratio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ing sensor unit is mov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지지부를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간격조절부; 및
상기 측정부를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변형비 측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llation unit,
A main body forming an appearance;
A first interval adjusting unit movably coupling the support unit to the main body unit; And
Plastic deformation ratio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interval adjusting unit for movably coupling the measuring unit to the main body.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를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변형비 측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installa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the first interval control unit and the second interval control unit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plastic deformation ratio measuring apparatu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28799A KR101140862B1 (en) | 2010-03-30 | 2010-03-30 | Apparatus for measuring plastic strain ratio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28799A KR101140862B1 (en) | 2010-03-30 | 2010-03-30 | Apparatus for measuring plastic strain ratio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9192A KR20110109192A (en) | 2011-10-06 |
KR101140862B1 true KR101140862B1 (en) | 2012-05-03 |
Family
ID=4539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287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40862B1 (en) | 2010-03-30 | 2010-03-30 | Apparatus for measuring plastic strain ratio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086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257B1 (en) * | 2012-03-30 | 2014-05-29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Monitoring method of metallic glass deformation, bending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onitoring method |
KR101853829B1 (en) * | 2016-09-21 | 2018-06-08 | 주식회사 포스코 | Material property evaluating apparatus |
KR102400935B1 (en) * | 2019-04-18 | 2022-05-23 | 한국자동차연구원 | Magnetorheological elastomers test apparatus and method |
KR102349399B1 (en) * | 2019-04-18 | 2022-01-11 | 한국자동차연구원 | Magnetorheological elastomers test apparatus and metho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7615A (en) * | 2000-12-13 | 2002-06-22 | 이계안 | Micrometer jig |
KR20030010229A (en) * | 2001-07-26 | 2003-02-05 | 한국전력공사 | A Extensometer for Large Diamter |
-
2010
- 2010-03-30 KR KR20100028799A patent/KR10114086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7615A (en) * | 2000-12-13 | 2002-06-22 | 이계안 | Micrometer jig |
KR20030010229A (en) * | 2001-07-26 | 2003-02-05 | 한국전력공사 | A Extensometer for Large Diam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9192A (en) | 2011-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0862B1 (en) | Apparatus for measuring plastic strain ratio | |
KR100863693B1 (en) | Jig unit for bolt tension test | |
KR20090079420A (en) | Bending test equipment | |
KR101737817B1 (en) | Nano material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material using the same | |
KR101494797B1 (en) | Direct Tensile Tester and Method for Testing Using the Same | |
KR100903164B1 (en) | Grip for Tensile Creep Tester | |
US2010022400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verse tensile strength testing of materials at extreme temperatures | |
KR20110030997A (en) | Extensometer holder for tensile, compression and fatigue testing | |
CN103149092A (en) | Multifunctional concrete sample splitting device | |
KR102011293B1 (en) | Probe fixing device for ultrasonic test instrument | |
KR20110091063A (en) | Vehicle angle measuring device | |
KR101689438B1 (en) | Tensile test system | |
CN209014386U (en) | It is biaxial stretch-formed in a kind of face to use width Self adapting fixture | |
KR101443823B1 (en) | Stroke measuring apparatus for rod of hydraulic cylinder | |
KR100421570B1 (en) | A Extensometer for Large Diamter | |
KR101648060B1 (en) | Device for testing parts | |
KR101853829B1 (en) | Material property evaluating apparatus | |
KR101284284B1 (en) | Changeable gage length extensometer | |
KR20160064639A (en) | Apparatus for measuring an object to be measured | |
JP3166421U (en) | Extensometer | |
JP2012167962A (en) | Calibration device | |
CN207197704U (en) | A kind of closed fixture | |
CN210626173U (en) | Electric tension testing machine convenient to fix | |
CN205482904U (en) | A clamping device for extensometer | |
CN205482903U (en) | A cutting edge structure for extensome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