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836B1 -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 Google Patents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9836B1 KR101149836B1 KR1020090107127A KR20090107127A KR101149836B1 KR 101149836 B1 KR101149836 B1 KR 101149836B1 KR 1020090107127 A KR1020090107127 A KR 1020090107127A KR 20090107127 A KR20090107127 A KR 20090107127A KR 101149836 B1 KR101149836 B1 KR 1011498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curved plate
- plate body
- center
- rad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electric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0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07—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the shield being provided with devices for lining the tunnel, e.g. shuttering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621—Shield advanc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3)
-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에 있어서,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상기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상기 조립통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의 각 신축부재에 고정되고,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곡면판체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며,상기 몸체는 진퇴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는 상기 이송장비 선단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 선단에 진퇴 가능 마련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상기 복수개의 신축부재 중 일부 신축부재는 상기 제1몸체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신축부재 중 나머지 신축부재는 상기 제2몸체 둘레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에 있어서,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상기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상기 조립통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의 각 신축부재에 고정되고,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곡면판체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며,상기 몸체는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이송장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곡면판체는 금속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조립관체는 상기 굴착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되되,상기 굴착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한 상기 조립관체 사이와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호 인접한 곡면판체 사이가 상기 곡면판체의 두께방향으로 상호 포개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곡면판체에는 외곽 쪽을 따라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 제 5항에 있어서,상호 인접한 곡면판체 사이에 있어서 상호 포개어지는 상기 단차부 사이에는 지수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인접한 상기 곡면판체 사이는 상호 포개어진 상기 단차부 쪽에 상기 굴착구 중심 쪽에서 반경방향으로 상기 지수부재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되되,상기 체결부재는 헤드부와 체결부를 포함하는 나사형태로 마련되고,상호 포개어지는 상기 한 쌍의 단차부 중 상기 굴착구 중심에 인접한 단차부에는 상기 헤드부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홈이 마련되며,상기 헤드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시 이용되는 툴의 삽입을 위한 툴삽입홈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홈에 일치되는 원형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 제 5항에 있어서,상호 포개어지는 상기 한 쌍의 단차부는 상기 굴착구 중심에 인접한 단차부의 두께보다 상기 굴착구 내벽에 인접한 단차부의 두께가 더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후방추진기는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유압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에 있어서,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상기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상기 조립통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의 각 신축부재에 고정되고,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곡면판체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며,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곡면판체의 중심에 연결되고,상기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곡면판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 쪽 길이가 나머지 다른 곡면판체와 다르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에 있어서,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상기 하나의 조립관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상기 조립통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사형 조립장치의 각 신축부재에 고정되고,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곡면판체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며,상기 곡면판체에는 상기 신축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곡면판체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상기 조립관체 외면과 상기 굴착구 내벽 사이에는 지수제가 충진되되,상기 결합구에는 상기 신축부재와 상기 지수제의 충진을 위한 주입구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연결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
- 지중에 관로를 구축하기 위한 관로 구축 공법으로써, 상기 관로의 적어도 일부구간 구축시 굴착구를 형성하는 굴착기 후방에 조립통을 연결하고 상기 조립통에 설치되는 후방추진기의 추진동작을 통해 확보되는 상기 조립통 내부공간에서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굴착구에 조립관체를 설치하는 곡면판체 조립공법이 이용되고, 상기 조립관체는 상기 곡면판체 조립공법에 따른 공정의 반복으로 상기 굴착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설치되되,상기 곡면판체 조립공법에서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는 굴착구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장비를 통해 상기 조립통 내부로 공급되고,상기 이송장비 선단에는 중심이 상기 굴착구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마련된 몸체와,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를 방사형으로 신축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 둘레에 상기 굴착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마련된 복수개의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형 조립장치가 마련되며,상기 방사형 조립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정도를 상기 곡면판체를 상기 조립통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 중에는 상기 복수개의 곡면판체에 있어서 상기 몸체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부위와 상기 몸체 중심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보다 작게 되고, 상기 신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몸체의 중심과 상기 각 곡면판체 사이의 수직거리가 상기 조립관체 내경의 반경이 되도록 조절하며,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조립관체의 열에 의해 구성된 관로 내벽에 속관을 형성하기 위한 속관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되,상기 속관은 연성튜브로 마련되고,상기 속관설치단계는 에폭시 수지가 함침 된 연성튜브를 상기 관로 내부로 견인하는 튜브견인단계와, 상기 관로 내부로 견인된 연성튜브 내부로 유체를 충진하여 상기 연성튜브를 상기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는 튜브밀착단계와, 상기 관로 내벽에 밀착된 연성튜브를 경화시키는 튜브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방법을 포함하는 관로 구축 공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7127A KR101149836B1 (ko) | 2009-11-06 | 2009-11-06 |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7127A KR101149836B1 (ko) | 2009-11-06 | 2009-11-06 |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0235A KR20110050235A (ko) | 2011-05-13 |
KR101149836B1 true KR101149836B1 (ko) | 2012-05-29 |
Family
ID=4436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7127A Active KR101149836B1 (ko) | 2009-11-06 | 2009-11-06 |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983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3302B1 (ko) | 2012-07-04 | 2013-02-14 | 조성식 | 압입공법용 선도관 조립체 |
CN106089223A (zh) * | 2016-06-24 | 2016-11-09 | 中铁隧道集团二处有限公司 | 一种tbm快速空推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28058A (zh) * | 2020-06-30 | 2020-10-27 | 上海隧道工程有限公司 | 超大断面矩形顶管钢管节施工现场拼装平台及施工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37095A (ja) | 1999-05-27 | 2000-12-05 | Kawasaki Heavy Ind Ltd | 鋼管セグメント |
-
2009
- 2009-11-06 KR KR1020090107127A patent/KR10114983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37095A (ja) | 1999-05-27 | 2000-12-05 | Kawasaki Heavy Ind Ltd | 鋼管セグメント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3302B1 (ko) | 2012-07-04 | 2013-02-14 | 조성식 | 압입공법용 선도관 조립체 |
CN106089223A (zh) * | 2016-06-24 | 2016-11-09 | 中铁隧道集团二处有限公司 | 一种tbm快速空推方法 |
CN106089223B (zh) * | 2016-06-24 | 2019-04-19 | 中铁隧道集团二处有限公司 | 一种tbm快速空推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0235A (ko) | 2011-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9836B1 (ko) | 방사형 조립장치를 이용한 곡면판체의 쾌속 조립공법 및 관로 구축 공법 | |
US20060153640A1 (en) | Sewer pipe | |
JP2004339753A (ja) | アーチ型地中構造体の構築方法 | |
KR101985360B1 (ko) | 수밀성이 우수한 레진 콘크리트 추진관 | |
JP3647500B2 (ja) | 掘進装置及び推進工法 | |
KR101050756B1 (ko) | 복합중압관을 이용한 세미쉴드 굴착장치 및 터널 굴착방법 | |
EP2195509B1 (en) | A way of constructing and renovating the pipeline especially an underground one, and a set of devices for using this method | |
JP2001140592A (ja) | トンネル覆工用セグメント及びその施工方法 | |
JP7389698B2 (ja) | 発進口の形成方法および発進口構造 | |
KR101495593B1 (ko) | 굴착장치 | |
JP6132672B2 (ja) | 既設管更新工法 | |
JP5463049B2 (ja) | 合成樹脂管曲進埋設装置 | |
JP4952108B2 (ja) | 地盤改良装置及び地盤改良方法 | |
JP6230284B2 (ja) | 既設管更新工法 | |
JP3145345B2 (ja) | 真空式下水管の敷設方法および真空式下水管用の複合管 | |
JP2008280842A (ja) | アーチ型先行支保工の構築方法 | |
WO2005075792A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injected wet concrete during the formation of a concrete tunnel | |
WO2012020447A1 (ja) | 合成樹脂管曲進埋設装置 | |
RU2528465C1 (ru) | Способ бестраншейной замены подзем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 |
JP3950108B2 (ja) | 小口径推進工法用推進体およびこの推進体を用いた小口径推進工法 | |
JPH05287726A (ja) | 排水用管路の敷設工法 | |
JPH01146097A (ja) | 管推進装置 | |
JPH0673725A (ja) | 地盤改良体造成装置 | |
KR101648814B1 (ko) | 역류방지용 분리형 강관구조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보강용 강관 그라우팅 공법 | |
JP2023084118A (ja) | 更生管及び既設管の更生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