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080B1 - 유체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혼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8080B1 KR101148080B1 KR1020090120512A KR20090120512A KR101148080B1 KR 101148080 B1 KR101148080 B1 KR 101148080B1 KR 1020090120512 A KR1020090120512 A KR 1020090120512A KR 20090120512 A KR20090120512 A KR 20090120512A KR 101148080 B1 KR101148080 B1 KR 1011480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inlet
- mixer
- unit
- m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8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01F25/104—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discharge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1—Combinations of similar mixers, e.g.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two or more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1—Combinations of similar mixers, e.g.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two or more receptacles
- B01F33/811—Combinations of similar mixers, e.g.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two or more receptacles in two or more consecutive, i.e. successive, mixing receptacles or being consecutively arrang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단위 유체 혼합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 단위 유체 혼합기는, 유체 유입부와 상기 유체 유입부와 연결되며 유체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에서는 주변부 벽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구는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 편으로 경사지게 유체가 유입되어 내부 공간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체 입력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될 유체의 흐름에 있어서 별도의 교반을 위한 용기나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교반장치 없이도 혼합과정을 행할 수 있고, 연속적인 유체의 흐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혼합이 이루어져 혼합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교반기를 포함하지 않고 유체의 유입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유체를 혼합하여 방출할 수 있는 유체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의 혼합은 화학, 약품, 식품 등의 여러 공업 분야 및 농업이나 건설 기타 생활 현장에서도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혼합되는 유체의 종류와 혼합의 정도 등 그 혼합의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혼합 장치 및 혼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혼합을 위해 사용되는 한 형태로 하나의 용기에 혼합 대상 물질을 넣고 모터에 연결된 교반기를 가지고 일정 시간 교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런 교반에서는 교반기의 회전 속도나 시간을 조절하여 원하는 정도의 혼합물을 만들기에 적합하지만 별도의 교반 용기 및 교반 장치가 필요하고, 배치식(batch type)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연속 공정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교반을 위해 별도의 교반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교반에 드는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
한편, 혼합되는 복수의 재료들이 서로 자발적으로 확산에 의해 혼합될 수 있는 재료라면 한 재료의 흐름에 다른 재료의 흐름을 합류시켜 하나의 공통 공간을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상호간의 충분한 확산 시간을 주면 된다. 그러나, 이런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우선 물리적으로 충분히 섞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혼합 및 전체 공정의 시간을 줄이는 것이 요청된다. 그러나, 재료의 흐름의 경로상에 흐름방향과 수직한 충돌판을 놓는 등의 방법은 그 설치도 용이하지 않고, 재료의 흐름에서 압력을 감소시켜 원활한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의 분출이 에어로졸 형태의 노즐 분사인 경우, 분사 과정을 통해 재료의 혼합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방출이 노즐 분사라는 특수한 경우에 해당되고, 혼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분사 압력이 필요하며, 노즐로 향하는 흐름에서 재료가 충분히 섞이지 않으면 시간적으로 혼합비가 일정치 않은 혼합물 분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체의 혼합에 있어서 상술한 종래의 혼합 방법의 문제점을 경감 혹은 해결할 수 있는 유체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혼합될 재료의 흐름에 있어서 별도의 교반을 위한 용기나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교반장치 없이도 혼합과정을 행할 수 있고, 연속적인 재료의 흐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혼합이 이루어져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유체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구성으로 유체의 양에 큰 관계가 없이 연속적으로 다양한 유체를 혼합시키고 즉시로 그 결과물을 공급할 수 있는 유체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체 혼합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유체 혼합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 단위 유체 혼합기는, 유체 유입부와 상기 유체 유입부와 연결되며 유체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체 유입부에서는 주변부 벽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구는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 편으로 경사지게 유체가 유입되어 내부 공간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체 입력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유체 유입부는 관경이 큰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배출부는 일 측 단부가 이 유체 유입부의 큰 관경의 원통과 연결되면서 반대쪽 단부는 관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유입부의 큰 관경과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쉽게 와류가 형성되어 혼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입구에 형성되는 유도부는 외측으로 일부 돌출된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도부의 외부로 돌출된 방향은 배출부에서 유체 유입부를 바라볼 때 시계회전방향 혹은 시계회전반대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시계회전방향인 경우, 유체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체 유입부를 통해 유체 혼합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본 발명에서 유체 혼합기를 형성하는 벽체의 내면에는 돌출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돌출부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유입된 재료들이 와류(회전류)를 이루면서 혼합될 때 부분적으로 돌출부에 부딪혀 별도의 미세한 다수의 불규칙적인 와류를 형성하고, 유체들이 더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단, 돌출부는 돌출되는 단부가 뾰족한 삼각형 형태를 이루는 것이 전체적으로 유체 혼합기 내에서 회전하는 와류의 흐름을 덜 방해하게 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벽체 내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기 편하도록 단위 유체 혼합기는 유체 유입부와 여타 부분 (가령 배출부)가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단위 유체 혼합기의 유체 유입부는 배출부와 반대편이 열린형태로 다른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형태가 될 수도 있고, 닫힌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열린 형태인 경우, 단순히 배관의 일 단부와 같은 열린 형태이거나, 혹은 전반적으로 닫혀있고, 일부만 열리거나, 혹은 전반적으로 닫혀있고, 별도의 좁은 직 경의 배관이 통과하는 형태일 수 있고, 통과하는 좁은 직경의 배관은 단위 유체 혼합기 내부에서 벽체에 다수의 홀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위 유체 혼합기의 유체 유입부 일 단이 열린 형태인 경우 다른 단위 유체 혼합기의 배출부가 그 열린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단위 유체 혼합기의 유입구에도 다른 단위 유체 혼합기의 배출부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위 유체 혼합기의 배출부에는 별도의 분기관이 연결되고, 분기관 각각의 분기된 가지는 다른 단위 유체 혼합기의 유입구에 연결되어 복수의 단위 혼합기에서 중복적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혼합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위 유체 혼합기의 배출부에는 유체 경로가 좁아지다가 다시 넓어지는 벤튜리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될 재료(유체)의 흐름에 있어서 별도의 교반을 위한 용기나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교반장치 없이도 혼합과정을 행할 수 있고, 연속적인 재료의 흐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혼합이 이루어져 혼합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구성으로 유체의 양에 큰 관계가 없이 연속적으로 다양한 유체를 혼합시키고 즉시로 그 결과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유체 혼합장치를 더 상 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2을 참조하면, 단위 유체 혼합기는 유체 유입부(110)와 상기 유체 유입부와 연결되며 유체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유체 유입부(110)는 관경이 큰 원통 형태를 이루어지고, 배출부(120)는 일측 단부인 연결부가 유체 유입부(110)의 큰 관경의 원통과 연결되면서 반대쪽 단부인 배출구(121)는 관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유체 유입부(110)의 주변부 벽체에는 8개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구 각각에는 위쪽에서 볼 때 외측으로 시계회전방향으로 편향되게 가지가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된 가지는 유입구의 형성 위치에서 유체 유입부를 이루는 원통의 회전대칭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하게 일 편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가지는 유체가 유입되어 내부 공간에서 원통의 원주를 따라 회전하는 흐름을 형성하도록 유체 입력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부(119)를 이룬다. 물론 각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 및 유입구의 단면적은 서로 섞이는 유체의 특성 및 혼합물 조성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가령,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양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유입 압력을 맞추기 위해 유입구의 단면적을 서로 달리 할 수 있고, 반대로 유입구 단면적을 동일하게 하면서 유체별로 유입구에서의 압력을 달리할 수도 있다. 단, 각 유입구의 압력은 배출부의 배출구 및 단위 유체 혼합기의 내부에서의 압력보다는 커야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에서는, 유도부(119)를 통해 유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유체 혼합기 내부 공간에서 혼합 유체를 회전시킬 때, 유체 유입 부(110)를 이루는 원통의 큰 관경으로 인하여, 유체 유입부와 배출부의 관경이 같은 경우에 비해 같은 유입 압력에서도 토오크(torque)가 커져 쉽게 와류가 형성되고 유체들의 혼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유체 유입부(11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유체 유입부(110)를 이루는 원통의 벽체(116)에 8개의 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111)는 유도부(119)를 이루는 파이프형 가지를 비스듬하게 자를 때 형성된 타원형에 해당되는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유체 유입부(110)의 일측 단부(도면상으로는 하측 단부)는 완전히 막히거나, 완전히 열릴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대부분이 벽체로 막힌 상태에서 벽체 중앙의 개구(117)를 하나의 관통 파이프(115)가 관통하여 위쪽으로 튀어나온 형태를 이룬다. 도3에서도 볼 수 있듯이 관통 파이프(115)의 하단은 유체 유입부(110)의 하단 벽체에 형성된 개구(117)에 일체화되고, 상단은 막혀 있으며, 관통 파이프(115) 벽체에는 다수의 홀(11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 파이프(115)의 하단에 별도의 유체 투입 라인을 결합하면 이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와 유체 유입부의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도 서로 혼합될 수 있다. 관통 파이프(115)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막힌 상단을 뚫은 상태에서 위쪽으로 진행하여 배출부의 배출구를 바로 향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관통 파이프(115)의 벽체에만 홀(1151)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유체 투입 라인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구 방향의 바로 진행하는 것을 억제하고, 유입구(111)에서 유입되는 유체와 함께 와류를 이루면서 배출구로 배출되기 전에 혼합되는 기 회를 많이 가지도록 한다.
관통 파이프(115)의 하단에는 혼합물 가운데 용매의 역할을 하는 양이 많은 유체를 투입하고, 유입구(111)에는 용질의 역할을 하는 비교적 양이 적은 유체를 투입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5는 도4와 같은 유체 유입부(110)의 벽체(116) 내면에 다수의 핀(fin:113)이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핀(113)은 단위 유체 혼합기 내부에서 유입된 유체들이 함께 회전류를 형성할 때 전체적 회전류 속에서 다시 미세한 와류들을 일으킴으로써 유체의 혼합이 더욱 잘 이루어지도록 설치된 것이다.
여기서 핀(113)은 삼각형을 이루며, 돌출된 한 끝단이 삼각형의 한 모서리에 해당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핀(113)이 부분적 와류를 일으키되, 전체 유체의 진행을 심하게 방해하여 오히려 유체들 사이의 혼합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삼각형 핀(113)의 돌출된 모서리 각도나 크기, 갯수는 요청되는 혼합의 정도나 유체의 점성 등 특성에 따라 서로 달리 디자인될 수 있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유체 유입부의 열린 부분과 결합되는 배출부(120)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볼 때 깔대기의 형태를 이루어 유체 유입부와 연결된 연결부(127)의 관경은 크고 반대쪽인 배출구(121)의 관경은 작다. 도5의 유체 유입부 내면에 형성된 삼각형 핀(113)과 마찬가지로 배출부(120) 벽체 내면에도 삼각형 핀(12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5 내지 도6과 같이 단위 유체 혼합기의 내부 벽면에 부분적 와류 형성을 위한 핀(113,123)을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유체 유입부(110)와 배출부(120)를 별도로 형성하고, 그 다음에 유체 유입부와 배출부의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 부분에 형성되는 나사수단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유체 유입부와 배출부를 서로 결합시켜 유체 혼합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때에는 유체 유입부(110)와 배출부(1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유입된 유체가 결합된 부분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결합수단의 밀폐 강도를 결정하도록 한다. 또한, 유체 유입부와 배출부의 결합이 착탈 가능하도록 하면, 유입구의 갯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유체 유입부를 준비하고 필요에 따라 유체 유입부를 교체하여 유입구 갯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도7을 참조하면, 배출부 상단의 배출구 근처에는 관경이 좁아지다가 넓어지는 벤튜리 구조(12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벤튜리 구조(125)는 유입물의 혼합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도 있지만 단위 유체 혼합기 내부의 압력과 배출구(121)에서의 배출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벤튜리 구조(125)는 극단적으로 분사 노즐과 같은 형태를 이루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을 이루는 유체는 여러 가지 종류가 될 수 있으며, 내부 압력은 유체의 유입 속도와 배출량, 혼합 과정에 관여하여 혼합의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혼합물 가운데 적어도 일부가 기체이거나, 모두 기체일 경우, 벤튜리 구조 및 내부 압력은 확산속도, 액체에 대한 용해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배출되는 혼합 결과물의 혼합정도 및 혼합 상태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도8에서는 도1과 같은 단위 유체 혼합기가 직렬로 4개 연결되어 있다. 하부 의 단위 유체 혼합기(200)의 배출구(221)는 상부의 단위 유체 혼합기(100)의 유체 유입부(110)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혹은 관통 파이프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각 단에 있는 단위 유체 혼합기의 유체 유입부에 있는 유입구를 통해 서로 다른 유체들이 투입되어 혼합될 수 있으므로 혼합에 있어서 순서가 필요하다면 먼저 혼합되어야할 유체들은 하부의 단위 유체 혼합기의 유입구에 연결하고, 나중에 혼합되어야할 유체들은 상부의 단위 유체 혼합기의 유입구에 연결하여 혼합을 실시한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지만 도9의 형태와 달리 하부의 단위 유체 혼합기의 배출구를 분기관을 통해 복수개의 가지로 분기하고, 분기된 각각의 가지를 상부의 단위 유체 혼합기의 유체 유입부에 형성된 유입구에 연결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상부 단위 유체 혼합기에서 별도의 유체를 추가하여 혼합하는 목적보다는 하부 단위 유체 혼합기에서 혼합된 유체를 상부 단위 유체 혼합기를 통해 한번 더 혼합하여 충분히 잘 혼합된 상태를 만드는 목적에 적합하다.
도9에서는 단위 유체 혼합기(400) 3개의 배출구(421)가 상부의 다른 단위 유체 혼합기(300)의 유입구(319)에 연결되어 혼합되고, 그 혼합된 결과물이 상부의 단위 유체 혼합기(30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형태로 전체 유체 혼합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도8 및 도9와 같이 단위 유체 혼합기 복수개가 결합되어 전체 유체 혼합장치를 이루는 구성에서 혹은 단위 유체 혼합기만으로 유체 혼합장치가 이루어지는 구성에서 각 유체 혼합기의 유입구는 적절한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입구와 관련하여, 유입구에 결합된 유도부에 밸브를 설치하거나, 유입구에 결합 되는 배관에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이 밸브를 통해 각 종의 유체 유입을 조절, 단속할 수 있으므로 혼합을 위해 유입되는 유체의 갯수와 단위 유체 혼합기의 유입구의 갯수가 서로 달라도 문제없이 유체 혼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빈번히 혼합에 사용되는 유체를 일단 유체 혼합기의 유입구에 미리 연결하고, 필요에 따라 밸브를 단속하여 그때그때 필요한 종류의 유체만으로 원하는 혼합물을 제조,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관통 파이프나 유입구 가운데 하나에는 단위 유체 혼합기 내부를 세척하거나 퍼지(purge)할 수 있는 유체를 연결하면, 혼합물을 바꾸는 중간에 유체 혼합기 내부를 세척함으로써 새로 사용될 혼합물과 이전 혼합물의 잔류물이 섞여서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혼합되는 유체로는 점도가 다른 여러가지 유체가 적용될 수 있고, 기체와 액체, 액체와 액체, 기체와 기체의 혼합도 생각할 수 있다. (고체의 경우 미세한 분말 상태로 다른 유체에 혼합 혹은 분산된 유체 상태를 이루는 경우에만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은 후속적인 결과에 관계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혼합과 동시에 화학적 반응이 이루어지거나, 단순한 물리적 혼합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혼합에서도 균일 혼합과 불균일 혼합, 분산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기체와 액체의 혼합의 경우, 기체를 미세한 기포 상태로 혼합물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의 동력이 없으므로 이런 경우 유체의 유입되는 압력을 크게 하고, 유체 유입부의 관경을 크게 하여 와류의 발생에 기여하는 토오크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체 혼합기에서 배출부의 벤튜리 구조의 목부나 배출구 자체의 크기를 줄여 유체 혼합기 자체의 내부 압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액체에 대한 기체의 용해도가 아주 높은 경우를 제외한 일반적인 용해도를 가진 기체에서는 용해도 상승을 통해 혼합의 정도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유체 혼합기를 이루는 단위 유체 혼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단위 유체혼합기의 평면도이며,
도3은 단위 유체 혼합기의 유체 유입부를 저면쪽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유체 유입부를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5는 도4의 유체 유입부 내면에 혼합을 돕는 삼각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도1의 단위 유체 혼합기의 배출부를 아래쪽에서 본 저면도,
도7는 도6의 배출부를 삼각핀이 없는 상태로 정면쪽에서 바라본 정면 투시도,
도8은 복수의 단위 유체 혼합기가 직렬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유체 혼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9는 복수의 단위 유체 혼합기의 배출부가 다른 단위 유체 혼합기의 확장부의 유입구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유체 혼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9)
- 적어도 하나의 단위 유체 혼합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상기 단위 유체 혼합기는, 원통 형태의 유체 유입부와 상기 유체 유입부와 연결되며 유체 혼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상기 유체 유입부에서는 원통의 주변부 벽체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는 원통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 편으로 경사지게 유체가 유입되어 내부 공간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체 입력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부와 결합되며,상기 단위 유체 혼합기 내벽면에는 돌출된 핀(fin)이 설치되고,상기 배출부에는 유체 경로가 좁아지다가 다시 넓어지는 벤튜리 구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부는 일측 단부인 연결부가 상기 유체 유입부와 연결되면서 반대쪽 단부인 배출구는 상기 연결부에 비해 관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유도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도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은 상기 배출부에서 확장부를 바라볼 때 시계회전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유체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는 서로 별도로 형성되고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위 유체 혼합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유체 유입부에서 상기 배출부와 반대편 단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열린 형태를 이루어 열린 부분을 통해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복수개의 상기 단위 유체 혼합기가 구비되며,상기 유체 유입부에서 상기 배출부와 반대편 단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열린 형태를 이루는 단위 유체 혼합기의 열린 부분을 통해 다른 단위 유체 혼합기의 배출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복수개의 상기 단위 유체 혼합기가 구비되며,하나의 단위 유체 혼합기의 배출부가 다른 단위 유체 혼합기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혼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0512A KR101148080B1 (ko) | 2009-12-07 | 2009-12-07 | 유체 혼합장치 |
PCT/KR2009/007569 WO2011071205A1 (ko) | 2009-12-07 | 2009-12-17 | 유체 혼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0512A KR101148080B1 (ko) | 2009-12-07 | 2009-12-07 | 유체 혼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4080A KR20110064080A (ko) | 2011-06-15 |
KR101148080B1 true KR101148080B1 (ko) | 2012-06-13 |
Family
ID=4414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0512A KR101148080B1 (ko) | 2009-12-07 | 2009-12-07 | 유체 혼합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8080B1 (ko) |
WO (1) | WO2011071205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0308A (ko) | 2014-08-13 | 2016-02-23 | 차상화 | 유체 혼합장치 |
KR101817770B1 (ko) * | 2016-01-28 | 2018-01-11 | 주식회사에이비테크 | 고효율 유체 혼합 또는 반응 장치 |
KR102026895B1 (ko) * | 2019-05-15 | 2019-09-30 | 최봉규 | 냉·난방 시스템용 유체혼합 및 응축 촉진장치 |
KR20200076168A (ko) | 2018-12-19 | 2020-06-29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듈형 유체 혼합기 |
KR20200091708A (ko) | 2019-01-23 | 2020-07-31 | 주식회사에이비테크 | 고효율 유체 혼합/반응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TO20070084A1 (it) * | 2007-02-06 | 2008-08-07 | K & E Srl | Dispositivi di miscelazione radiale per reattori inclinati rotanti. |
WO2013082717A1 (en) | 2011-12-06 | 2013-06-13 | Bachellier Carl Roy | Improved impeller apparatus and dispersion method |
JP6118544B2 (ja) * | 2012-11-29 | 2017-04-19 | Idec株式会社 | 微細気泡生成ノズルおよび微細気泡生成装置 |
WO2015160850A1 (en) * | 2014-04-14 | 2015-10-22 | Enevor Inc. | Conical impeller and applications thereof |
KR101658410B1 (ko) * | 2015-07-31 | 2016-09-30 |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 고점도 유체 분산유화장치 |
KR101865610B1 (ko) * | 2015-11-25 | 2018-06-08 | 주식회사 캠프런 |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의 출수 모듈 구조 |
US10150941B2 (en) * | 2015-11-19 | 2018-12-11 | Irvine Scientific Sales Company, Inc. | Media mixing chamber |
EP4234071A3 (en) | 2017-06-30 | 2023-09-27 | FUJIFILM Irvine Scientific, Inc. | Autom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bioprocess solutions |
US20220126244A1 (en) * | 2019-01-31 | 2022-04-28 | Modernatx, Inc. | Vortex mixers and associated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8835A (ko) * | 2006-09-28 | 2009-03-19 | 가부시키가이샤 나카타 코팅 | 선회류 생성장치, 선회류 생성방법, 및 기상 발생장치, 미세기포 발생장치, 유체의 혼합장치, 유체 분사노즐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15906B1 (ja) * | 1998-07-14 | 1999-07-05 | 社団法人高等技術研究院研究組合 | 音響共振を利用した物質混合装置 |
JP4420161B2 (ja) * | 1999-05-15 | 2010-02-24 | 博文 大成 | 旋回式微細気泡発生方法及び装置 |
KR20020074560A (ko) * | 2001-03-20 | 2002-10-04 | 이종원 | 교차 격자형 유체 믹서기 |
-
2009
- 2009-12-07 KR KR1020090120512A patent/KR10114808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12-17 WO PCT/KR2009/007569 patent/WO201107120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8835A (ko) * | 2006-09-28 | 2009-03-19 | 가부시키가이샤 나카타 코팅 | 선회류 생성장치, 선회류 생성방법, 및 기상 발생장치, 미세기포 발생장치, 유체의 혼합장치, 유체 분사노즐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0308A (ko) | 2014-08-13 | 2016-02-23 | 차상화 | 유체 혼합장치 |
KR101817770B1 (ko) * | 2016-01-28 | 2018-01-11 | 주식회사에이비테크 | 고효율 유체 혼합 또는 반응 장치 |
KR20200076168A (ko) | 2018-12-19 | 2020-06-29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듈형 유체 혼합기 |
KR20200091708A (ko) | 2019-01-23 | 2020-07-31 | 주식회사에이비테크 | 고효율 유체 혼합/반응 장치 |
KR102026895B1 (ko) * | 2019-05-15 | 2019-09-30 | 최봉규 | 냉·난방 시스템용 유체혼합 및 응축 촉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4080A (ko) | 2011-06-15 |
WO2011071205A1 (ko) | 2011-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8080B1 (ko) | 유체 혼합장치 | |
US6749330B2 (en) | Cement mixing system for oil well cementing | |
US4701055A (en) | Mixing apparatus | |
KR20090106089A (ko) | 미세유체 혼합 장치 | |
US20080192566A1 (en) | Liquid Mixing Device | |
KR101044406B1 (ko) | 혼화용 급속 교반장치 | |
JP5933891B2 (ja) | 渦低減キャップ | |
KR101479796B1 (ko) | 인라인 믹서 장치 | |
KR102099829B1 (ko) | 인라인 믹서를 적용한 완전 배출형 교반기 | |
JP7295669B2 (ja) | シャワーヘッド | |
JP2005305436A (ja) | 硬化性混合製品の静止撹拌器 | |
KR20170100721A (ko) | 혼합 효율 개선 스태틱 믹서 | |
US20150190766A1 (en) | Polymer static mixer | |
TWM536093U (zh) | 桶底噴流攪拌裝置 | |
CN216605275U (zh) | 一种二氧化氯强化反应器液、液两相混合装置 | |
JP4850729B2 (ja) | 粉体と液体の混合方法及びその装置 | |
JP2006326498A (ja) | 静止混合機 | |
KR102314580B1 (ko) | 교반기 | |
RU180014U1 (ru) | Струйный смеситель | |
KR102498267B1 (ko) | 마이크로버블 생성 혼합 수중 에어레이터 회전분사 조립체 | |
WO2022252530A1 (zh) | 一种混合料搅拌设备 | |
CN114259972A (zh) | 一种二氧化氯强化反应器液、液两相混合装置 | |
CN211487220U (zh) | 一种用于水处理的管道混合器 | |
CN211706460U (zh) | 一种管道混合器 | |
KR101994538B1 (ko) | 유체혼합용 노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