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620B1 - Autogenous bone collector - Google Patents
Autogenous bone coll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1620B1 KR101131620B1 KR1020110080311A KR20110080311A KR101131620B1 KR 101131620 B1 KR101131620 B1 KR 101131620B1 KR 1020110080311 A KR1020110080311 A KR 1020110080311A KR 20110080311 A KR20110080311 A KR 20110080311A KR 101131620 B1 KR101131620 B1 KR 1011316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ting
- bone
- instrument
- cover
- autologous bo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2—Drill hand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플란트 시술시 골채취편을 채취하는데 사용하며, 골채취편의 수용량을 향상시키고, 채취된 골채취편을 절삭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 내고, 자가골에 침투하는 절삭부의 깊이를 제어하도록 한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harvesting, in particular used to collect bone extract during implantation, to improve the capacity of the bone extract, and to easily separate the collected bone extract from the cutting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instrument for autogenous bone harvesting to control the depth of the cutting portion penetrating.
임플란트 시술시, 피시술자의 골채취편을 채취하여 이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골채취편은 치과용 핸드피스에 장착되는 드릴을 통하여 임플란트 피시술자의 자가골로부터 채취된다. 본 출원보다 앞서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694호(등록번호)에는 이와 같이 골채취편을 채취하는 자가골분 채취장치가 개시된다. At the time of implantation, a method of collecting and transplanting bone extracts of a subject is used. The bone collection piece is taken from the autogenous bone of the implant recipient through a drill mounted on a dental handpiec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6694 (registration number) registered and filed prior to this application discloses an autologous bone powder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bone extracts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상기 종래 자가골분 채취장치는 드릴을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골채취편을 채취할 때, 드릴이 형성하는 골 부분에 골채취편이 끼어있게 되고 이를 일일이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utologous bone powder collecting device has the inconvenience that the bone collection piece is caught in the bone portion formed by the drill when collecting the bone extraction piece of the subject using the drill, which must be collected one by on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골채취편의 수용량을 향상시키고, 채취된 골채취편을 절삭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고, 자가골에 침투하는 절삭부의 깊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improve the capacity of the bone extraction pieces, to easily separate the collected bone extraction pieces from the cutting portion, and to control the depth of the cutting portion penetrating the autogenous bone The aim is to provide a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harvest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는, 구동장치에 연결되는 자루부와 회전하면서 피시술자의 골채취편을 채취하는 절삭부를 구비하는 드릴부를 갖는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의 단면적(L)은 그 중심으로부터 최 외측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할 때 그 가상원 면적의 10% 이상 내지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logous bone harves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autologous bone harvesting instrument having a drill portion having a cutting portion for collecting the bone extraction pieces of the subject while rotating and the bag portion connected to the drive device The cross-sectional area (L) of the cutting part is characterized by being 10% or more and 40% or less of the imaginary circle area when the radius from the center to the outermost part is a radius.
또한, 상기 절삭부의 말단은 뾰족한 형상을 이루도록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말단의 중심부에는 상기 경사면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돌출되는 포인터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cut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to form a pointed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end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pointer having a larger slope than the inclined surface.
또한, 상기 절삭부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칼날과, 상기 제1 칼날과 동일한 피치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제2 칼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utting portion preferably comprises a first blade extending in a spiral, and a second blade extending in a spiral at the same pitch as the first blade.
또한, 상기 절삭부를 횡으로 절단한 절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칼날 또는 상기 제2 칼날의 최 외측 두께는 그 중심부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most thickness of the said 1st blade or said 2nd blade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art with respect to the cutting surface which cut | disconnected the said cutting part transversely.
또한, 상기 절삭부의 말단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2개 이상의 서브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nds of the cutting portion preferably includes two or more sub-inclined surface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또한, 상기 드릴부에 체결되고, 그 내주면과 상기 절삭부의 절단면의 외주면의 사이 공간에 상기 골채취편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ver portion which is fastened to the drill portion, and forms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bone collection piece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t surface of the cutting portion.
또한, 상기 드릴부의 선단이 상기 커버부로부터 돌출가능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절삭부의 절단면이 통과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of the drill portion protrudes from the cover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through which a cutting surface of the cutting portion can pass.
또한, 상기 드릴부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걸림턱의 하측에 제1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rill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over portion is caught by the locking projection is limited move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roj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rojection.
또한, 상기 제1 돌기의 하측으로 제2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projection is formed below the first projection.
또한,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격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격벽부가 상기 절삭부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격벽부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된 골채취편이 상기 선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wh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is moved in the tip direction of the cutt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ne extraction pieces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is moved in the tip direction. .
또한, 상기 커버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e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iece protruding in the upward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piec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bent inward.
또한, 상기 커버부에는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장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part penetrat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s a long hole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에 채용된 드릴부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저면도,
도4는 도2의 Ⅳ-Ⅳ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에 채용된 커버부의 정면도,
도6은 도5의 평면도,
도7은 도5의 단면도,
도8은 도7의 "A"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9는 드릴부와 커버부가 1차적으로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10은 도1의 Ⅹ-Ⅹ선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에 의해 채취된 골채취편을 촬영한 사진
도12는 종래 시술기구에 의해 채취된 골채취편을 촬영한 사진이다.1 is a front view of the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harves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drill portion employed in the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harves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cover portion employed in the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harves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FIG. 5;
7 is a sectional view of FIG. 5;
FIG. 8 is a view showing an “A” portion of FIG. 7 taken together;
9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rill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re primarily couple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1.
Figure 11 is a picture taken bone extract taken by the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col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hotograph taken of the bone extraction sample collected by a conventional surg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플란트 시술시 골채취편을 채취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harvesting, in particular to be used to collect bone extract during implantation procedur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의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에 채용된 드릴부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저면도이고, 도4는 도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에 채용된 커버부의 정면도이고, 도6은 도5의 평면도이며, 도7은 도5의 단면도이다. 도8은 도7의 "A"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드릴부와 커버부가 1차적으로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10은 도1의 Ⅹ-Ⅹ선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of the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harves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drill portion employed in the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harves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cover portion employed in the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harves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of Figure 5,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n “A” portion of FIG. 7, FIG. 9 is a view in which a drill part and a cover part are primarily coupled,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1.
먼저, 도1 및 도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는, 구동장치에 연결되는 자루부(11)와 회전하면서 피시술자의 골채취편을 채취하는 절삭부(12)를 구비하는 드릴부(10)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부(12)의 단면적(L)은 그 중심으로부터 최 외측까지의 거리를 반경(R)으로 할 때 그 가상원 면적의 10% 이상 내지 40% 이하로 형성된다. First,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절삭부(12)의 단면적(L)을 10% 미만으로 가공하면 절삭부의 강도가 떨어지고, 40%를 초과하면 절삭부(12)가 차지하는 면적 증가로 인하여 채취된 골채취편이 수용되는 수용공간(26)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If the cross-sectional area L of the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절삭부(12)의 단면적은 그 중심으로부터 최 외측까지의 거리를 반경(R)으로 할 때 그 가상원의 면적의 20%로 형성된다. 종래 시술기구에 사용되는 절삭부의 단면적은 절삭부의 중심으로부터 최 외측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할 때 그 가상원면적의 50%를 초과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상기 드릴부(10)는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시 피시술자의 골채취편을 채취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다. The
상기 자루부(11)는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도2을 참조하면, 상기 자루부(11)의 상측에 동력원이 연결되고, 하측으로 절삭부(12)가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루부(11)와 상기 절삭부(12)는 연결부(13)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부(13)의 상측으로는 자루부(11)가 연결되고, 하측으로는 상기 절삭부(12)가 연결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절삭부(12)는 상기 자루부(11)와 함께 회전되어 피시술자의 자가골에 침투하여 골채취편을 채취한다. 상기 절삭부(12)는 상기 자루부(1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된다.The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삭부(12)는 제1 칼날(121)과 제2 칼날(122)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상기 제1,2 칼날(121,122)은 상기 연결부(13)로부터 하측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며, 제1,2 칼날(121,122)을 동일한 피치로 연장된다. 상기 제1 칼날(121)과 제2 칼날(122)이 나선형으로 연장될 때 형성하는 골(일견, 나사골 같이 형성된 부분)은 자가골로부터 채취된 골채취편이 수용되는 수용공간(26)을 제공한다.The first and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부(12)의 말단에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2 개 이상의 서브경사면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삭부(12)의 말단, 즉 상기 제1,2 칼날(121,122)의 선단은 2단의 서브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3, two or more sub-inclined surfaces having different inclinations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구체적으로, 2단의 서브경사면은 도3의 참조번호 121a,121b 및 122a, 122b로 표기하였다. 제1 칼날(121)의 선단에 기울기가 서로 다른 서브경사면(121a, 121b)가 구비되고, 제2 칼날(122)의 선단에 기울기가 서로 다른 서브경사면(122a, 122b)가 구비된다. 상기 121a와 122a는 같은 기울기를 가지며, 121b와 121b는 서로 같은 기울기를 갖는다. 121a 및 122a의 서브경사면의 기울기는 121b와 121b의 서브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작다.Specifically, the two sub-slope surfaces are denoted by
도4을 참조하면, 절삭부(12)의 절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칼날(121) 또는 제2 칼날(122)의 최 외측 두께(W1)는 그 중심부의 두께(W2)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cut surface of the
즉, 제1 칼날(121) 또는 제2 칼날(122)은 절삭부(12)의 중심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지도록 가공되어 있다. 이렇게 두께가 얇아지도록 함으로써, 제1,2 칼날(121,122)이 회전되어 채취된 골채취편이 수용되는 수용공간(26)을 넓게 확보하게 된다. That is, the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절삭부(12)의 말단은 그 중심부가 뾰죡한 형상을 이루도록 경사면(12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절삭부(12)의 말단의 중심부에는 상기 경사면(123)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돌출되는 포인터(124)가 결합된다. 상기 포인터(124)는 상기 절삭부(12)와 일체로 가공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end of the
상기 포인터(124)는 피시술자의 자가골에 절삭부(12)를 접촉시킬 때 접촉되어야 할 자가골의 위치에 절삭부(12)를 용이하게 접근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또한, 포인터(124)에 의해 절삭부(12)가 회전시, 포인터(124)에 의해 절삭부(12)의 흔들림이 억제한다. 즉, 상기 포인터(124)는 골채취편을 채취할 정확한 위치에 절삭부(12)를 접근시켜 흔들림을 억제한 상태에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cutt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릴부(10)는 걸림턱(14)과 제1,2 돌기(15,16)가 구비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상기 걸림턱(14)은 드릴부(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턱(14)은 상기 연결부(13)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외측으로 돌출된다. 후술할 커버부(20)는 상기 걸림턱(14)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20)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걸림턱(14)에 걸려 상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The locking
상기 제1 돌기(15)는 상기 걸림턱(14)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돌기(15)는 상기 연결부(13)의 외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돌기(15)에 후술할 커버부(20)의 걸림돌기(24)가 걸리게 된다. The
상기 제2 돌기(16)는 제1 돌기(15)의 하측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돌기(16)는 상기 연결부(13)의 외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 돌기(16) 역시 후술할 커버부의 걸림돌기(24)가 걸리게 된다. 구체적으로, 걸림돌기(24)는 제2 돌기(16)에 걸린 후에, 제1 돌기(15)에 걸리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는 커버부(20)를 포함한다.The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col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드릴부(10)에 체결되고, 그 내주면(12a)과 상기 절삭부(12)의 절단면(ℓ)의 외주면(12a)의 사이 공간에 골채취편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26)을 형성한다. The
상기 드릴부(10)의 선단이 상기 커버부(20)로부터 돌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절삭부(12)의 절단면(ℓ)이 통과할 수 있는 수용부(22)를 구비한다. The tip of the
즉,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절삭부(12)의 절단면(ℓ)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20)가 드릴부(10)에 체결될 때, 상기 절삭부(12)는 상기 수용부(22)에 끼워진다. That is,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ut surface ℓ of the cutting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절삭부(12)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절삭부(12)를 수용한다. 상기 커버부(20)의 길이는 상기 걸림턱(14)으로부터 상기 절삭부(12)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작다. Specifically, the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0)의 상측이 상기 연결부(13)의 걸림턱(14)에 접촉한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절삭부(12)는 상기 커버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1, when the upper side of the
즉, 상기 절삭부(12)가 회전하여 상기 피시술자의 자가골에 침투하여 골채취편을 채취할 때, 상기 절삭부(12)는 상기 커버부(2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cutting
상기 커버부(20)는 격벽부(21), 돌출편(23), 장공(25)을 구비한다. The
도6을 참조하면, 상기 격벽부(21)는 상기 절삭부(12)의 내주면으로부터 절삭부(12)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절삭부(12)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부(22)를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구체적으로, 격벽부(21)는 상기 절삭부(12)의 내주면으로부터 2개의 절편이 서로 마주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중심측에서 상기 절삭부(12)가 수용되는 수용부(22)가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상기 격벽부(21)는 상기 커버부(20)가 상기 절삭부(12)에 결합된 상태에서 골채취편을 채취한 후에, 커버부(20)를 상기 절삭부(12)로부터 분리할 때 절삭부(12)에 끼여있는 골채취편을 긁어내어 골채취편의 수집을 용이하게 한다. The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편(23)은 상기 커버부(2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편(23)은 상기 커버부(20)의 상단부에서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protruding
따라서, 상기 돌출편(23)은 상기 커버부(20)의 상단부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돌출편(23)의 개수 및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즉, 돌출편(23)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편(23)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24)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24)는 상기 커버부(20)가 상기 절삭부(12)에 결합될 때 1차적으로 제2 돌기(16)에 걸리고, 절삭부(12)가 동작하여 회전할 때 커버부(2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2차적으로 제1 돌기(15)에 걸리게 된다. 7 and 8, the upper end of the protruding
상기 돌출편(23)은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구비되므로, 걸림돌기(24)가 제1,2 돌기(15,16)에 걸릴 때 각각의 돌출편(23)이 외측으로 다소 탄성변형되어 체결을 용이하게 한다.Since the protruding
상기 장공(25)은 절삭부(12)가 회전하여 자가골을 채취할 때 발생하는 열을 식혀주기 위하여 커버부(20)와 절삭부(12) 사이에 물을 주입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장공(25)은 상기 커버부(20)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며 상하방향 길게 절개되어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공(25)은 상기 커버부(20)의 하단부에 근접하여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장공(25)의 상단부는 상기 격벽부(21)의 하측에 배치된다. 즉, 장공(25)의 일단부는 커버부(20)의 하단부에 근접해 있으며, 타단부(상단부)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격벽부(2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길게 연장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genous bone harvesting procedu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8를 참조하면, 절삭부(12)의 말단을 커버부(20)의 상측(돌출편(23)이 위치한 부분)으로 접근시켜 체결한다. 상기 절삭부(12)는 상기 격벽부(21)가 형성하는 수용부(22)을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으므로, 절삭부(12)와 커버부(20)를 서로 상대회전시켜 걸림돌기(24)가 제2 돌기(16)에 걸리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절삭부(12)와 커버부(20)의 1차적 결합이 이루어진다.First, referring to FIG. 8, the end of the cutting
이어서, 상기 자루부(11)에 구동장치에 연결하고, 동력을 인가하여 자루부(11)를 회전시키면 상기 커버부(20)가 절삭부(12)의 제1,2 칼날(121,122)이 형성하는 골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다. Subsequently, when the
이때,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0)는 걸림턱(14)에 걸리는 위치까지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걸림돌기(24)는 제1 돌기(15)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절삭부(12)와 상기 커버부(20)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the
이어서, 절삭부(12)의 포인터(124)를 피시술자의 자가골에 위치시킨다. 상기 포인터(124)는 절삭부(12)의 경사면(123)보다 더 큰 기울기를 가지므로, 골채취편을 채취할 자가골의 위치에 정확하게 포인터(124)를 위치시킬 수 있다. Subsequently, the
이어서, 자루부(11)를 회전시키면서 골채취편을 채취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절삭부(12)는 상기 커버부(2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자가골에 침투하는 절삭부(12)의 길이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자가골에 침투하는 절삭부(12)의 깊이 제어가 가능해 진다. Subsequently, the bone extraction piece is collected while rotating the
즉, 커버부(20)의 하측으로 돌출하는 절삭부(12)의 길이는 커버부(20)의 길이를 조절하면 가능하므로, 원하는 길이를 갖는 커버부(20)를 제작하여 자가골에 침투하는 절삭부(12)의 깊이를 제어할 수 있다. 절삭부(12)의 회전시, 채취되는 골채취편은 수용공간(26)에 수용된다.That is, since the length of the cutting
골채취편의 채취가 완료되면, 커버부(20)를 절삭부(12)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커버부(20)를 상기 절삭부(12)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커버부(20)를 분리하는데, 이때 상기 격벽부(21)는 상기 절삭부(12)에 끼여있는 골채취편을 긁어내게 된다. When the sampling of the bone collection piece is completed, the
즉, 제1,2 칼날(121,122) 사이에 존재하는 골채취편이 격벽부(21)에 의해 긁어져 상기 골채취편은 커버부(20)의 내부에 담겨져 자동적으로 절삭부(12)로부터 분리되게 된다.That is, bone extraction pieces existing between the first and
또한, 시술 중에 상기 장공(25)을 통하여 물을 유입시킨다. 상기 장공(25)은 커버부(20)의 외측에 형성된 것으로 그 길이가 항상 일정하므로, 시술 중에 일정량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본 히팅(Bone heating)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는, 피시술자의 자가골에 침투하는 절삭부(12)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절삭부(12)에 의해 채취된 골채취편은 종래 보다 넓은 수용공간(26)에 수용되어 보다 많은 골채취편을 채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As such, the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coll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constant depth of the cutting
또한, 절삭부(12)에 끼여있는 골채취편을 용이하게 긁어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시술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시술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easily scrape off the bone extraction pieces sandwiched in the cutting portion (12). Thus, it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procedure and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procedure time.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채용된 드릴부(10)는 그 선단에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2 이상의 서브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절삭기능을 현저히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에 의해 채취된 골채취편과 종래 시술기구에 의해 채취된 골채취편을 촬영한 사진이다. In addition, the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에 의해 채취된 골채취편의 크기는 종래 시술기구에 의해 채취된 골채취편의 크기보다 현저히 크다. 따라서, 절삭기능 향상으로 인하여 보다 큰 골채취편의 채취가 가능하고, 이러한 골채취편은 이식에 사용하기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11 and 12, the size of the bone extract pieces collected by the autologous bone harves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size of bone extracts collected by the conventional instrument. Therefore, a larger bone collection piece is possible due to the improved cutting function, and this bone collection piece provides an advantage of being easy to use for transplantation.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can be provi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드릴부 11... 자루부
12... 절삭부 121... 제1 칼날
122... 제2 칼날 123... 경사면
124... 포인터 13... 연결부
14... 걸림턱 15... 제1 돌기
16... 제2 돌기 20... 커버부
21... 격벽부 22... 수용부
23... 돌출편 24... 걸림돌기
25... 장공 26... 수용공간10 ... Drill
12. Cutting
122 ...
124 ...
14 ...
16 ...
21 ...
23 ...
25 ... long 26 ... accommodating space
Claims (12)
상기 절삭부(12)의 단면적(L)은 그 중심으로부터 최 외측까지의 거리를 반경(R)으로 할 때 그 가상원 면적의 10% 이상 내지 40% 이하이며,
상기 절삭부(12)의 말단은 뾰족한 형상을 이루도록 경사면(123)을 구비하며, 상기 말단의 중심부에는 상기 경사면(123)보다 큰 기울기를 가지며 돌출되는 포인터(12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In the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harvesting having a bag (11) connected to the drive device and a drill portion (10) having a cutting portion (12) for collecting bone extraction pieces of the subject while rotating,
The cross-sectional area (L) of the cutting portion 12 is 10% or more to 40% or less of the imaginary circle area whe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outermost radius is R.
The end of the cutting portion 12 has an inclined surface 123 to form a pointed shape, the central portion of the end has a greater inclination than the inclined surface 123 has an inclined pointer 124,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Collection instrument.
상기 절삭부(12)의 단면적(L)은 그 중심으로부터 최 외측까지의 거리를 반경(R)으로 할 때 그 가상원 면적의 10% 이상 내지 40% 이하이며,
상기 드릴부(10)에 체결되고, 그 내주면(29)과 상기 절삭부(12)의 절단면(ℓ)의 외주면(12a)의 사이 공간에 상기 골채취편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26)을 형성하는 커버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In the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harvesting having a bag (11) connected to the drive device and a drill portion (10) having a cutting portion (12) for collecting bone extraction pieces of the subject while rotating,
The cross-sectional area (L) of the cutting portion 12 is 10% or more to 40% or less of the imaginary circle area whe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outermost radius is R.
The receiving space 26 is fastened to the drill portion 10, the accommodating space 26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9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a of the cut surface (l) of the cutting portion 12 Autologous bone harvesting proced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portion 20 to form.
상기 절삭부(12)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칼날(121)과, 상기 제1 칼날(121)과 동일한 피치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제2 칼날(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utting unit 12 is a procedure for autologous bone colle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rst blade 121 extending in a spiral, and a second blade 122 extending in a spiral at the same pitch as the first blade 121. Instrument.
상기 절삭부(12)를 횡으로 절단한 절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칼날(121) 또는 상기 제2 칼날(122)의 최 외측 두께는 그 중심부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The method of claim 3,
The outermost thickness of the first blade 121 or the second blade 122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based on the cut surface of the cutting portion 12 laterally cut. Instrument.
상기 절삭부(12)의 말단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2개 이상의 서브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End of the cutting portion 12 is autologous bone harvesting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or more sub-inclined surface having a different slope.
상기 드릴부(10)의 선단이 상기 커버부(20)로부터 돌출가능하며,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절삭부(12)의 절단면(ℓ)이 통과할 수 있는 수용부(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The method of claim 2,
A tip of the drill portion 10 is protruded from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cover portion 2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22 through which a cutting surface ℓ of the cutting portion 12 can pass. Autologous bone harvesting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드릴부(10)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14)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걸림턱(14)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걸림턱(14)의 하측에 제1 돌기(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The method of claim 2,
The drill part 10 includes a locking jaw 14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over part 20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14 to restrict movement, and a lower side of the locking jaw 14 is formed. 1 projection (15) is a surgical instrument for autologous bone colle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제1 돌기(15)의 하측으로 제2 돌기(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The method of claim 8,
Surgical instrument for collecting b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ojection (16) is formed below the first projection (15).
상기 커버부(20)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격벽부(21)를 구비하고, 상기 격벽부(21)가 상기 절삭부(12)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격벽부(21)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26)에 보관된 골채취편이 상기 선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The method of claim 2,
The partition wall portion 21 extend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0,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21 is moved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21 wh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21 is moved toward the tip direction of the cutting portion 12. Autologous bone harvesting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e collection piece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26 is moved in the tip direction.
상기 커버부(2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그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편(23)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23)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돌기(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The method of claim 2,
I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ver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iece 23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rotrudes in the upper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piece 23, the locking stone bent inwardly Instrument 2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logous bone harvesting instrument.
상기 커버부(20)에는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장공(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골 채취용 시술기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cover unit 20 is a procedure for autologous bone harvesting, characterized in that penetr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long hole 25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0311A KR101131620B1 (en) | 2011-08-11 | 2011-08-11 | Autogenous bone collector |
PCT/KR2012/006427 WO2013022324A2 (en) | 2011-08-11 | 2012-08-13 | Drill, drill cover, and surgical instrument for collecting autologous bone employing same |
JP2014524947A JP5931197B2 (en) | 2011-08-11 | 2012-08-13 | Drill, drill cover, and autologous bone harvesting surgical instrument employing them |
US14/238,049 US9888929B2 (en) | 2011-08-11 | 2012-08-13 | Drill, drill cover, and surgical instrument for collecting autologous bone employing same |
EP12821622.3A EP2742896B1 (en) | 2011-08-11 | 2012-08-13 | Autogenous bone collector for harvesting autogenous bone |
CN201280039246.9A CN103930065B (en) | 2011-08-11 | 2012-08-13 | Drilling tool, drilling tool cover and use the drilling tool and the operating theater instruments for collecting autologous bone of drilling tool cover |
TW101129224A TWI489978B (en) | 2011-08-11 | 2012-08-13 | Drill and drill cover and autogenous bone collector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0311A KR101131620B1 (en) | 2011-08-11 | 2011-08-11 | Autogenous bone coll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1620B1 true KR101131620B1 (en) | 2012-03-30 |
Family
ID=4614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0311A KR101131620B1 (en) | 2011-08-11 | 2011-08-11 | Autogenous bone coll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162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6311B1 (en) * | 2012-05-07 | 2014-12-02 | 주식회사 제노스 | Bone obtaining drill for implant |
EP2842514A4 (en) * | 2012-04-12 | 2016-01-13 | Machado Asbel Rodrigues | Method for positioning a guide tube in a plate of polymer material, tomographic reference support and device for positioning a guide tube |
CN107496042A (en) * | 2017-08-15 | 2017-12-22 | 佛山市安齿生物科技有限公司 | It is a kind of have a sheath take bone device |
KR20190046065A (en) | 2017-10-25 | 2019-05-07 | (주) 코웰메디 | Particle type bone extraction ki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6907B1 (en) | 2006-01-27 | 2008-01-22 | 조성암 | The autogenous bone collector drill and container |
KR100838942B1 (en) | 2008-02-04 | 2008-06-16 | 허영구 | Drill for sinus membrane lift |
KR101013285B1 (en) | 2010-04-01 | 2011-02-09 | (주) 시원 | Drill bit and drill provided with the same |
-
2011
- 2011-08-11 KR KR1020110080311A patent/KR10113162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6907B1 (en) | 2006-01-27 | 2008-01-22 | 조성암 | The autogenous bone collector drill and container |
KR100838942B1 (en) | 2008-02-04 | 2008-06-16 | 허영구 | Drill for sinus membrane lift |
KR101013285B1 (en) | 2010-04-01 | 2011-02-09 | (주) 시원 | Drill bit and drill provided with the sam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842514A4 (en) * | 2012-04-12 | 2016-01-13 | Machado Asbel Rodrigues | Method for positioning a guide tube in a plate of polymer material, tomographic reference support and device for positioning a guide tube |
KR101466311B1 (en) * | 2012-05-07 | 2014-12-02 | 주식회사 제노스 | Bone obtaining drill for implant |
CN107496042A (en) * | 2017-08-15 | 2017-12-22 | 佛山市安齿生物科技有限公司 | It is a kind of have a sheath take bone device |
KR20190046065A (en) | 2017-10-25 | 2019-05-07 | (주) 코웰메디 | Particle type bone extraction k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55837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bone | |
CN107773274B (en) | Spiral soft tissue biopsy needle | |
JP3790549B2 (en) | Bone harvesting instrument and method | |
US9265517B2 (en) | Surgical disc removal tool | |
US7033359B2 (en) | Rotary apparatus for grafting and collecting bone | |
KR101131620B1 (en) | Autogenous bone collector | |
JP2009532081A (en) | Tissue sample collection system for visual inspection of samples | |
EP1749487A2 (en) | Surgical tool for scraping and collecting bone particles | |
US8672942B2 (en) | Integrated system for cleaning bone and milling the cleaned bone to form bone chips | |
JP5931197B2 (en) | Drill, drill cover, and autologous bone harvesting surgical instrument employing them | |
KR101131621B1 (en) | Drill cover and autogenous bone collector using the same | |
KR101033176B1 (en) | maxillary sinus and bone picking | |
US12035926B2 (en) | Surgical instrument for scraping and collecting bone particles | |
KR20150003639U (en) | Autogenous bone harvest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 |
KR101416797B1 (en) | Bone harvester | |
EP0957786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b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