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841B1 - Mta계 근관충전재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Mta계 근관충전재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8841B1 KR101138841B1 KR1020090042660A KR20090042660A KR101138841B1 KR 101138841 B1 KR101138841 B1 KR 101138841B1 KR 1020090042660 A KR1020090042660 A KR 1020090042660A KR 20090042660 A KR20090042660 A KR 20090042660A KR 101138841 B1 KR101138841 B1 KR 1011388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ot canal
- root
- cao
- canal filling
- pow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50—Prepa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root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방향 근관 충전(orthograde canal filling)이 가능한 치과용 분말형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s)계 근관충전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잔류 CaO의 함량을 0.7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O-SiO2-Al2O3(MTA)계 치과용 분말형 근관충전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존적 근관 충전법에 적용되기에 적합하고, 치근 파절의 발생을 억제하며, 불순물 함량이 매우 낮아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배제하고, 주입성이 향상된 치과용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MTA, 근관, 충전, 보존적 근관충전재, 순방향 충전
Description
본 발명은 근관충전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순방향 근관 충전 (orthograde canal filling)이 가능한 치과용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적인 치과용 근관충전재는, 생체친화성(biocompatibilty), 살균성(bactericidal property), 밀폐성(sealing property), 안정성(stability), 조작성(workability), 주입성과 분산성(easily placed and distributed property), 경화시간(hardening time), 치질강화(enhance tooth structure), 균일성(homogeneity), 방사선 불투과성(radio opacity) 등의 특성이 우수해야 한다.
치과용 근관충전재로 사용되는 기존의 재료로는 가타퍼챠(gutta percha)와 실러(sealer)가 대표적이다. 가타퍼챠와 실러를 사용한 근관 치료법은 보존적 치료법(orthograde canal filling technique)으로 불리 우는데, 통상적으로 다음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먼저, 도 1은 보존적 근관 치료법(orthograde canal filling)의 하나인 측방 가압법을 설명하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타퍼챠 콘(cone; B, C, D)을 근관 내부에 넣고 스프레더라는 기구를 사용하여 콘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근관을 충전한다. 충전된 가타퍼챠와 근관 사이의 빈 공간은 실러로 채워지게 된다.
도 2는 보존적 근관 치료법(orthograde canal filling)의 다른 한 방법인 수직 가압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근관 내에 가타퍼쳐를 삽입하고, 프러거(plugger)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가타퍼쳐를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여 근관 내에 근관충전재를 충전한다.
그러나 가타퍼쳐를 이용한 시술을 할 경우, 치근단 부분의 초기 밀폐성이 거의 없고, 가타퍼쳐가 생체 내에 흡수되어 장기적으로도 밀폐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실러는 초기 경화단계에서 세포독성이 있고 근관 공간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는 등의 초기 밀폐성도 나쁘다.
보존적인 근관치료용 근관충전재(orthograde canal filling materials)는 특히 치근단 5㎜ 부위의 신경관 부근 즉 치근첨 근관 5㎜ 부위를 공간 없이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가타퍼쳐를 이용한 기존의 근관 충전법으로는 임상적으로 근관 치료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치근단 밀폐 효과를 얻기가 부족하다.
기존의 근관치료용 근관충전재를 이용한 충전법으로 치료한 후 치근단 부위에 병소가 재발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외과적 치료법(retrograde canal filling)을 시행하게 된다. 도 3은 외과적 근관 치료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도면이며,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진다.
(i) 마취 후 잇몸 절개(A)
(ii) 잇몸 뼈를 노출(C)
(iii) 병소가 있는 부위의 뿌리 끝단을 외과용 드릴 등으로 노출(D)
(iv) 치근단 마취 시행(E)
(v) 치아의 뿌리 끝부분을 소파(F)
(vi) 뿌리 끝부분에 구멍을 형성(G)
(v) 뿌리 끝부분을 충전용 물질로 충전(H)
이 방법은 근관 상부에서 근관을 충전하는 보존적 근관 치료법과는 달리 치근 끝부분에서 근관을 충전하기 때문에 역방향 근관 충전법(retrograde canal filling)이라고 불리고 있다. 지금까지는 근관 역충전 물질로 미국 DENTSPLY사의 프로루트(ProRoot)라는 물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물질은 분말형 근관충전재로써 가타퍼쳐에 비해 양호한 밀폐 효과를 나타내며, 그 조성은 미국특허공개공보 제2004-226478호에 기재된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s)이다.
본 발명자들은 미국 DENTSPLY사의 프로루트(ProRoot)를 순방향 근관 충전법(orthograde canal filling technique)으로 사용해 본 결과 프로루트(ProRoot)가 치근단 3㎜ 부위에 만족할 만한 밀폐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그 밖에도 이 충전 물질은 경화 시의 팽창으로 인해 근관 밀폐 후 치근 파절을 야기 할 수 있으며, 크롬이라는 중금속을 함유하여 생체친화적이지 못하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존적 근관 충전법, 즉 순방향 근관 충전법(orthograde canal filling technique)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근관 치료용 근관충전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보존적 근관 충전법(retrograde canal filling)에서 치근단 3㎜ 부위를 완전 밀폐할 수 있는 치과용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 후 팽창으로 인한 치근 파절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치과용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친화적인 치과용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 시판되는 MTA계 역방향 근관충전재, 즉 덴트스플라이(DENTSPLY)사의 프로루트(ProRoot)는 원료 중 잔류 CaO의 함량이 1.7 중량% 이상으로 비교적 높아서 이로 인하여 근관 충전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근관 부위에서 팽창압에 의한 균열의 가능성이 있다. 또 가타퍼쳐는 수축 때문에 시술 후 치근단을 완전히 밀폐시킬 수 없는 결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새롭게 개발되는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는 적절한 수축 및 팽창 특성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은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의 팽창 특성을 억제하기 위해 잔류 CaO의 함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 잔류 CaO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1.5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7 중량% 이하로 유지된다.
한편, 근관충전재는 착색을 나타내면 시술 후 심미성 면에서 좋지 않기 때문에 적용되는 근관충전재의 백색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의 백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출발원료 중 Fe2O3와 같은 불순물의 함량을 낮추어야 한다. 그러나 Fe2O3의 함량을 감소하게 되면, 3CaO ? SiO2를 합성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에서는 Fe2O3와 같은 불순물을 억제하고도 충분한 3CaO ? SiO2 함량을 갖는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근관충전재의 조성은 3CaO ? SiO2, 2CaO ? SiO2 및 3CaO ?Al2O3를 주성분으로 하고, 그 성분의 함량은 CaO-SiO2-Al2O3(MTA)계 화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5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는 충전 후 방사선 촬영을 위해 중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로 스트론튬 글래스(strontium glass), 바륨글래스(barium glass)와 같은 유리질물질이나, 비스무스 트리옥사이드(bismuth trioxide), 황산 바륨(barium sulfate: BaSO4), 이테르븀 훌루오라이드(ytterbium fluoride: YbF3)를 사용한다. 스트론튬 글래스, 바륨 글래 스, 비스무스 트리옥사이드, 황산 바륨은 평균입경 2㎛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이테르븀 훌루오라이드는 200㎚ 이하의 것 바람직하게는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의 크기를 가지는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의 화합물은 CaO-SiO2-Al2O3(MTA)계 총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존적 근관충전재(retrograde canal filling)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로 근관 내의 충전 조작성이 중요하다. 충전 조작성이란 근관충전재가 근관 내로의 주입이 원활하고 주입 후 밀폐성을 확보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원료 중 조대입자가 없고, 입도가 균일하면서 입자크기가 작아야 하며, 가능한 구상입자일 경우가 가장 우수한 원료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가 1 ~ 2㎛의 평균 입자를 가지고, 5㎛ 이상의 조대 입자는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와 같은 작은 입자는 충전 후 근관 5㎜ 부근에서 완전한 밀폐성을 나타내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치과용 근관충전재는 생체친화적 성질을 가지면서 살균성이 장기간 지속되는 것이 필요하다. 나아가서 이러한 근관충전재가 여러 가지 아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치근단의 치유를 획기적으로 도울 수 있다면 이상적인 치과용 근관충전재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은 잔류 CaO의 함량을 0.7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CaO-SiO2-Al2O3(MTA)계 분말형 근관충전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근관충전재의 조성은 3CaO ? SiO2, 2CaO ? SiO2 및 3CaO ? Al2O3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 성분의 함량이 CaO-SiO2-Al2O3 화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비스무스계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잔류 CaO의 함량은 0.7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는 1 ~ 2㎛의 평균 입자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 입경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가 수화되기에 적합하도록 적절한 양의 물과 함께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원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관 충전용 시약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물과 근관충전재의 함량비는 중량비로 0.3 ~ 0.6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발원료물질로 CaO, SiO2 및 Al2O3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료 물질을 혼합 및 소성하는 단계, 상기 소성체를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소성체를 체가름하여 최대 입경이 5㎛ 이하인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O-SiO2-Al2O3(MTA)계인 분말형 근관충전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분쇄된 근관충전재를 비스무스계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존적 근관 충전법에 적용될 때 치근단 5㎜ 부위를 완전 밀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낮은 잔류 CaO의 함량으로 인해서 시술 후 팽창으로 인한 치근 파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는 높은 결정성 성분의 함량을 가지며, 이에 따라 불순물 함량이 매우 낮아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입성 향상으로 충전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새로운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는 기계적, 물리적 특성을 개선시킴은 물론 아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치근단 치유을 획기적으로 돕는 물질로서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3CaO ? SiO2, 2CaO ? SiO2 및 3CaO ? Al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CaO-SiO2-Al2O3계인 분말형 MTA 근관충전재를 제공하는데, 이 충전재는 보존적 근관 충전(retrograde canal filling)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의 경화 후 치수변화율을 적절하도록 유지하고, 백색도를 개선시키고, 시술 및 충전 조작성이 용이하고, 살균성, 생체친화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출발원료물질에서 잔류 CaO의 생성량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조건을 배합을 하여 소성된 다.
기존의 MTA계 근관충전재는 원료 중 잔류 CaO의 함량이 1.7 중량% 이상으로 비교적 높아서 이로 인하여 근관 충전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근관 부위에서 팽창압에 의한 균열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MTA계 근관충전재의 사용에 있어서 근관 주입, 경화 후 치수변화율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가능한 수축 및 팽창성이 적어야 하고, 특히 시술 후 수축이 되면 근관에서의 밀폐성이 나빠지고, 시술 후 팽창에 따른 치근의 균열문제가 있다. 잔류 CaO의 생성량은 출발원료물질의 배합조건과 소성온도 및 시간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치과용 근관충전재가 착색을 나타내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원료의 백색도를 올릴 필요가 있다. 백색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출발원료물질의 중 Fe2O3를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백색 계열의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은 적절한 함량, 예컨대 근관충전재 100 중량부에 대해 약 2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효율적인 근관 충전을 위해서는 충전 조작성이 매우 중요하다. 충전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관충전재의 분산과 주입성이 원활해야 하는데 이는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의 입도분포가 비교적 균일하고, 조대입자가 없어야 하며, 가능한 평균입경이 낮을수록 좋다. 이러한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소성 후 근관충전재의 분쇄조건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는 생체친화적 성질을 가지면서 살균성이 우수해야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아세포의 분화를 촉 진시켜 치근단의 치유를 획기적으로 도와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순방향 치근관 충전법(Dr Yoo's Orthograde Filling Technique이라 명명한다)은 분말형 근관충전재를 사용하여 순방향으로 근관을 충전하는 새로운 근관 충전방법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방향 치근관 충전법(Dr Yoo's Orthograde Filling Technique)의 술식은 아래와 같다.
(1) 시술하려는 치아의 치근관 길이를 측정한다.
(2) 치아의 치근관을 시술이 용이하도록 확대한다.
(3) 세균 감염을 막고 시술에도 용이하도록 치아의 치근관을 세척한다.
(4) 치아의 치근관을 건조시킨다.
(5) 본 발명의 MTA계 근관충전재 바이알 한 개를 소형 원심분리기에 장착한 후 적정량[예컨대 수화제/분말(w/p) = 0.3]으로 9% 생리식염수 또는 PBS(phosphate buffered solution)용액(시술시 생리식염수보다 유리)을 넣은 후 원심분리기에 넣고 원심 분리한다. 이 때 분리된 물은 면봉 등을 사용하여 제거한다.
(6) 혼합된 근관충전재를 캐리어(carrier)를 사용하여 치근관 입구로 가져간다.
(7) 혼합된 근관충전재를 치근관입구로 밀어 넣는다.
(8) 플러거(plugger)로 근관충전재를 치근첨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9) (3)과 (4)의 과정을 반복하여 치근관 입구까지 근관충전재가 충진된 것을 확인 한 후 스프레더(spreader)를 밀어 넣어 치근첨으로부터 0.5㎜가 될 때 까지 스프레더(spreader)의 말단을 도달시킨다.
(10) 컨덴서(condenser)를 치과용 저속 앵글 (low speed angle)에 장착한 후 근관 장 길이만큼 정확히 밀어 넣는다.
(11) 약 1500~2000 R.P.M의 저속으로 근관충전재를 충전한다. 컨덴서(condenser)의 끝부분으로부터 유리판을 두드리는 듯 한 느낌이 오면 비로서 치근첨이 근관충전재가 밀폐되어 완벽한 치근첨 밀폐(apical sealing)가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12) 치근첨 밀폐 후 근관장에서 5㎜ 정도를 감한 길이 만큼이 될 때까지 근관충전재를 사용하여 근관을 밀폐시킨다.
(13) 치근첨으로 부터 5㎜까지 근관충전재로 밀폐된 후에는 플러거를 사용하여 백필(Back Fill)을 진행시킨다.
(14) 포스트 형성을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서 고속 버(high speed bur)를 사용하여 주 근관에 공간을 형성한다.
(15) 직접법 또는 간접법으로 포스트 코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순방향 치근관 충전법(orthograde filling technique)이 기존 근관충전법과 다른 특이한 점은 아래와 같다.
(1) 분말을 사용한 영구적인 근관 충전법이다. 분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극이 없이 완벽하게 신경관을 충전해 낼 수 있다.
(2) 분말의 경화 후 치수변화율이 0.1% 이하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프로루트(ProRoot) MTA는 크기 변화율 즉 경화 후 치수변화가 커서 순방향 근관충전재로 사용 될 경우 치근 파절의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의 근관충전재는 경화 후 치수변 화율이 0.1% 이하로 유지되기 때문에 치근관의 순방향 충전에 사용 할 수 있다.
(3) 분말의 생물학적 특성이 치근단의 재생을 유도한다.
MTA계 물질의 치근단 조직에 대한 영향은 선학들에 의해 충분히 연구되어 왔다. 특히 골조직과 치근막조직 그리고 시멘트질의 재형성을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치근단의 치주조직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4) 분말을 치근관 입구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분말 운반 기구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관충전재는 수화 특성을 나타내므로, 운반 기구에 들러붙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테프론 튜브와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5) 분말을 순방향 치근관 충전(orthograde canal filling)을 하기위해서는 컨덴서(condensor)라는 특수한 치과용 드릴이 사용된다. 컨덴서는 치근관 입구로 운반되어 온 분말을 치근첨을 향하여 균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치근첨 5㎜가 수화된 근관충전재 분말로 공극없이 완벽하게 충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6) 분말을 수화시키는 방법이 기존 치과용 시멘트를 혼합하는 방식과 상이하다. 시술시 분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 근관충전재 분말을 PBS(phosphate buffered solution)에 수화시킴과 동시에 바세린 또는 글리세린을 소량 첨가하여 함께 혼합한 후 0.6cc 바이알을 소형 원심분리기에서 원심분리 시킴으로 근관충전재 분말을 공극없이 압축시킨다. 이 후 바이알의 상층 2/3부위를 가위로 잘라내어 근관충전재 운반 기구의 테프론 튜브가 용이하게 조작 될 수 있도록 해준다.
(7) 분말을 치근관 충전 후 바로 금속제 포스트 형성을 위한 치근관 삭제가 가능하고 또한 인상을 뜰 수도 있고 포스트 레진 코어의 술식을 즉시 시행하여 금관형성 을 위한 치아 삭제도 가능하다. 그 결과 환자의 내원 횟수를 줄일 수 있다.
(8) 분말의 알칼리성으로 인하여 치근단의 염증이 완화내지 소멸되어 치아의 동요도가 급격히 줄어든다.
(9) 분말의 생체친화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술식과는 다르게 시술 후 타진 반응이 거의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술한다.
근관충전재의 특성
<실시예 1>
CaCO3 원료를 1000℃에서 하소(탈탄산)하여 만든 CaO 71 중량부에 SiO2 25 중량부, 그리고 Al2O3를 4 중량부 각각 계량하여 혼합한 후 혼합한 원료를 백금 도가니에 넣고 1450 ℃에서 8시간 소성한다. 소성된 원료가 상온이 되면 볼밀에 넣고 72시간 습식조건에서 볼밀링(ball milling)을 한다. 이때 사용되는 용제는 물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미분쇄된 원료를 건조시킨 후 체가름하여 입경 5㎛ 이하인 입자는 제거하고, 비스무스계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를 일정량 첨가하여 균일혼합이 되도록 충분히 교반하여 근관충전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분말을 네덜란드 필립스사의 PW 1710을 사용하여 화합물을 정량 분석(QXRD)하였다. 이 때, 측정조건은 2θ = 5 ~ 60, scan speed = 4°/min, target = Cu kα 1, power = 40kV, 30mA였다. 또, 말베른(Malvern)사의 마스터사이즈S(Mastersizer S, Ver. 2.15)로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의 평균입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근관충전재의 분말 상태를 육안 성상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관찰하여 입자의 크기가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제조된 분말에 포함된 잔류 CaO의 함량을 KS L 5120에 따라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 분말을 ISO 6876의 시험 규격에 따라 흐름도, 작업시간, 경화시간, 피막도, 용해도, 경화 후 치수변화, 방사선 불투과도 등의 물리화학적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같이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되, 원료의 배합비를 달리하였다. CaCO3 원료를 1000℃에서 하소(탈탄산)하여 만든 CaO 68 중량부에 SiO2 26 중량부, Al2O3 6 중량부를 계량 혼합한 후 얻어진 원료를 백금 도가니에 넣고 1450 ℃에서 8시간 소성한다. 소성된 원료가 상온이 되면 볼밀에 넣고 72시간 습식조건에서 볼밀링(ball milling)을 한다. 이때 사용되는 용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미분쇄된 원료를 건조시킨 후 체가름하여 입경 5㎛ 이하인 입자는 제거하고, 비스무스계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를 일정량 첨가하여 균일혼합이 되도록 충분히 교반하여 근관충전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를 QXRD 분석, 입도측정 및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행하였고, 잔류 CaO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물성 및 특성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2와의 비교를 위해 상용의 백색 포틀랜드시멘트(white potland cement)를 QXRD 분석, 입도측정 및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행하였고, 잔류 CaO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물성 및 특성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 2와의 비교를 위해 상용의 DENTSPLY사 프로루트(ProRoot) MTA계 근관충전재를 QXRD 분석, 입도측정 및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행하였고, 잔류 CaO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물성 및 특성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분말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근관충전재의 분말 상태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사진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 분말은 비교예에 비해 입자가 작고 크기가 균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분말형 MTA계 근관충전재 분말은 비교예에 비해 분말의 구형도가 비교적 높음을 알 수 있다.
특성 평가 방법
특성평가 시험은 물리화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물리화학적 평가는 ISO 6876:2001 [Dental root canal sealing materials] 규격에 준하여 진행하였으며, 세부 평가 항목은 흐름도(flow), 작업시간(working time), 경화시간(setting time), 피막도(film thickness), 용해도(solubility), 경화 후 치수변화(dimensional change following setting), 방사선 불투과도(radiopacity) 등을 평가하였다.
<흐름도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해 사용수(0.9% 생리식염수)와 충전재 분말의 혼합 비율(사용수/충전재분말)을 0.3 ~ 0.6의 비율로 혼합한 후 혼합된 시료를 바늘이 제거된 주사기(graduated syringe, 용량 0.5㎖, 눈금 0.01㎖)에 주입하여 혼합된 시료 중 0.05㎖(± 0.0005㎖)를 표면이 연마된 유리판(40㎜×40㎜×5㎜)에 위에 놓는다. 혼합 후 180±5초에 다른 동일 크기의 유리판을 0.05㎖의 시료가 올려진 유리판의 중앙 위에 올려놓고, 겹쳐진 유리판 들 위에 무게추(100g)를 사용하여 100g중의 힘을 중력방향으로 가한다. 혼합시작 10분 후에, 유리판 위의 무게추를 제거하고 압착에 의해 방사형으로 퍼진 0.05㎖ 시료의 최대와 최소 직경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취한다. 만일 최대 및 최소 직경의 평균값의 차이가 1㎜ 이상이면 재시험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5회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평균하여 흐름도 값(단위 = ㎜)으로 한다.
<작업시간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해 사용수(0.9% 생리식염수)와 충전재 분말의 혼합 비율(사용수/충전재분말)을 0.3 ~ 0.6의 비율로 혼합한 후 혼합된 시료를 바늘이 제거된 주사기(graduated syringe, 용량 0.5㎖, 눈금 0.01㎖)에 주입하여 혼합된 시료 중 0.05㎖의 시료를 표면이 연마된 유리판(40㎜×40㎜×5㎜)에 놓는다. 혼합 후 210±5초에 다른 동일 크기의 유리판을 앞서서 유리판 위에 올려진 0.05㎖ 시료의 중앙에 올려놓고, 0.05㎖의 시료를 포함한 겹쳐진 유리판들 위에 무게추(100g)를 사용하여 100g중의 힘을 중력방향으로 가한다. 중력방향의 힘을 7분간 가한 후, 압착 후 확대된 방사형 시료의 최대와 최소 직경을 측정한다. 새롭게 수화제와 혼합된 시료 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되 혼합시작부터 힘을 가하는 시간까지를 점차 증가시켜 미리 측정된 흐름도 값보다 10% 감소할 때까지 반복한다.
<경화시간 평가(경화 시 수분을 요구하지 않는 경화 조건으로 평가>
스테인레스 주형 1(8㎜×20㎜×10㎜)을 온도 37℃, 상대습도 95% 이상 유지되는 항온항습기에 미리 넣어 둔다. 스테인레스 주형 2(직경 = 10㎜, 높이 = 2㎜)를 1㎜정도 두께의 현미경용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둔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해 사용수(0.9% 생리식염수)와 충전재 분말의 혼합 비율(사용수/충전재분말)을 0.3 ~ 0.6의 비율로 혼합한 후 혼합된 시료를 바늘이 제거된 주사기(graduated syringe, 용량 0.5㎖, 눈금 0.01㎖)에 주입하여 준비된 주형 2의 표면까지 채운다. 혼합 120±10초 후, 항온항습기에 미리 넣어두었던 스테인레스 주 형 1 위에 시료(주형 2 + 혼합된 시료)를 올려놓는다. 경화 여부 측정은 길모어(Gilmore) 압흔기를 사용하여 천천히 시료 위에 침주를 내려 측정시료의 표면에 압흔이 생기지 않을 때까지 반복하여 최초혼합시간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기록한다. 동일한 전체 단계의 시험을 5회 반복 후 평균하여 경화시간을 구한다.
<피막도 평가>
두 장의 표면이 연마된 유리판(서로 맞닿는 부분의 최소 넓이 = 200㎟, 두께 5㎜)을 시료가 적용되지 않은 두께를 micrometer(Mitutoyo사) 혹은 indicator등을 이용하여 1㎛의 정확도로 측정한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해 사용수(0.9% 생리식염수)와 충전재 분말의 혼합 비율(사용수/충전재분말)을 0.3 ~ 0.6의 비율로 혼합한 후 혼합된 시료를 바늘이 제거된 주사기(graduated syringe, 용량 0.5㎖, 눈금 0.01㎖)에 주입하여 혼합된 시료의 0.05㎖를 유리판의 중앙 위에 놓고, 다른 동일 크기의 유리판으로 시료를 덮는다. 혼합시작 180±10초 후에 15kg중의 힘을 중력방향으로 가하여 압착된 0.05㎖의 시료가 밀착된 유리판의 면적을 다 덮도록 한다. 혼합시작 10분 후에 두 유리판의 전체두께를 측정하여 압착팽창된 시료만의 두께를 기록한다. 동일한 시험을 5회 반복하여 평균하여 피막도 값(단위 = ㎛)을 구한다.
<용해도 평가(경화 시 수분을 요구하지 않는 경화 조건으로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해 사용수(0.9% 생리식염수)와 충전재 분말 의 혼합 비율(사용수/충전재분말)을 0.3 ~ 0.6의 비율로 혼합한 후 혼합된 시료를 바늘이 제거된 주사기(graduated syringe, 용량 0.5㎖, 눈금 0.01㎖)에 주입하여, 혼합된 시료를 연마된 편평한 유리판 위(분리형 링 주형의 최대 크기보다 더 커야 함)에 스테인레스 주형(two split-ring moulds, 직경 = 20±1㎜, 높이 = 1.5±0.1㎜)을 올려놓고 혼합된 시료를 채운다. PE(polyethylene) 편막(두께 = 50±30㎛)을 붙인 다른 유리판으로 시료의 상부를 누른 후 평편하고, 균일한 표면이 되도록 조작 후 편막을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혼합된 시료가 채워진 주형을 온도 37℃, 상대습도 95%가 유지되는 항온항습기에 넣어 경화시간보다 50% 더 긴 시간 보관한다.
보관 후에 스테인레스 주형으로부터 탈형한 두 개의 시편과 유리 페트리 접시(직경 = 90㎜, 부피 = 50㎖)의 무게를 0.001g의 정확도까지 측정한다. 두 개의 시편을 표면이 서로 닿지 않게 유리 페트리 접시에 넣고 50㎖의 물을 첨가하고 유리 페트리 접시의 뚜껑을 덮는다. 유리 페트리 접시와 시편을 온도 37±1℃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시편만을 취한다. 이 때, 시편을 약간의 물로 씻어 표면 잔류물이 포함된 물을 페트리 접시 내에 담기도록 한다. 시편을 취한 후, 접시의 물을 끓지 않도록 110±2℃에서 증발시키고, 물이 증발된 접시를 공랭 후 0.001g의 정확도까지 무게를 측정한다. 용해도의 계산은 다음의 식을 따르고 전체의 단계를 5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취해 용해도를 구한다.
용해도(%) = [(증발 후 접시의 무게 - 증발 전 접시의 무게) / 초기 두 개의 시편 무게] × 100
<방사선 불투과도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해 사용수(0.9% 생리식염수)와 충전재 분말의 혼합 비율(사용수/충전재분말)을 0.3 ~ 0.6의 비율로 혼합 후 혼합된 시료를 바늘이 제거된 주사기(graduated syringe, 용량 0.5㎖, 눈금 0.01㎖)에 주입하여, 스테인리스 주형(직경 = 10㎜, 높이 = 1㎜)에 담고, 주형의 위와 아래에 덮개를 눌러 1㎜ 두께의 측정용 시편을 만든다. 고정대에 시편과 알루미늄 스텝 웨지를 가깝게 올려놓는다. 65±5㎸의 X-선으로 대상-필름간 거리가 300㎜가 되게 하여 10㎃에서 0.1초(현상 후에 시편과 알루미늄 주위의 필름부 광학밀도가 1.5 ~ 2사이가 되는 시간)동안 시편을 노출시킨다.
<경화 후 치수변화 평가(경화 시 수분을 요구하지 않는 조건으로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해 사용수(0.9% 생리식염수)와 충전재 분말의 혼합 비율(사용수/충전재분말)을 0.3 ~ 0.6의 비율로 혼합 후 2g의 혼합된 시료를 [현미경용 슬라이드 글라스(25×75×1㎜) + PE(polyethylene) 편막(두께 = 50±30㎛) + 스테인레스 주형(직경 = 6㎜, 높이 = 12㎜)]의 순서대로 상방 장치 후 혼합된 시료를 주형의 입구가 조금 넘치게 채운다. 그리고 [PE 편막 + 현미경용 슬라이드 글라스]의 순서대로 주형을 덮고, C클램프(물림너비 = 25㎜)로 현미경용 슬라이드 글라스과 주형을 동시에 고정한다. 혼합개시 5분 후 고정된 [현미경용 슬라이드 글라스 / 주형 / C클램프] 일체를 온도 37±1℃, 습도 95 ~ 100%의 항온항습 기에 넣는다. 혼합된 시료를 경화시간만큼 경화를 시킨후 항온항습기에서 꺼내 연마지(입도 #600) 위에 시료를 포함한 주형을 수직방향으로 올린 후 앞뒤로 주형을 움직여 시료 끝을 연마한 후 주형을 제거하고, 시료의 평편한 끝 사이의 지름을 10㎛의 정확도로 측정 후 다음 측정까지 37±1℃ 증류수에 보관하여 시편의 제작 30일 후에 시편의 길이를 10㎛의 정확도로 측정하여 전후 치수변화율(단위 = %)을 다음 식에 따라 구한다.
[경화 후 치수변화율(%) = [(30일 침지 후 시편 길이 - 최초 시편 길이) / 최초 시편 길이] × 100]
아래 표 1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잔류 CaO의 함량을 정량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
잔류 CaO (중량%) | 0.66 | 0.84 | 1.65 | 1.74 |
위 표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 2의 잔류 CaO의 함량은 조성물의 1.0 중량% 이하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비교예 1, 2의 경우 1.65 중량%와 1.74 중량%인 것과 비교할 때 약 1/2 이하의 잔류 CaO의 함량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잔류 CaO의 함량이 낮을뿐더러 또 출발 원료의 불순물이 낮기 때문에 근관충전재 조성물 중 결정질 성분의 함량이 매우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8 ~ 11는 각각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QXRD 분석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얻어진 3CaO ? SiO2, 2CaO ? SiO2 및 3CaO ? Al2O3의 성분의 함량을 중량%로 나타내면 아래 표와 같다.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3CaO ? SiO2 | 76 | 72 | 54 | 66 |
2CaO ? SiO2 | 12 | 13 | 20 | 7 |
3CaO ? Al2O3 | 8 | 10 | 17 | 20 |
합계 | 96 | 95 | 91 | 93 |
위 표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 2에서 비교예 1, 2보다 많은 결정질 성분의 함량이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3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 근관충전재의 입도 분석에 의해 얻어진 평균 입자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평균입경(㎛) | 1.1 | 1.6 | 11.4 | 6.9 |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근관충전재들은 모두 비교예 1, 2에 비해 낮은 입경을 나타내고 있다.
아래 표 4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경화 시간에 따른 경화 후 치수변화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근관충전재들이 경과시간 28일에서의 경화 후 치수변화율이 비교예 1, 2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2가 낮은 CaO의 함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인한다.
아래 표 5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경화 시간에 따른 흐름도와 피막도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흐름도 (㎜) | 22.0㎜ | 21.7㎜ | 8.8㎜ | 10.0㎜ |
피막도 (㎛) | 42㎛ | 43㎛ | 312㎛ | 208㎛ |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근관충전재들이 흐름도와 피막도가 비교예 1, 2에 비해 흐름도는 다소 높고, 피막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2의 입자 사이즈가 비교예 1, 2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기인한다.
아래 표 6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경화 시간에 따른 작업시간과 경화시간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작업시간 | 12분 00초 | 12분 00초 | 10분 30초 | 11분 00초 |
경화시간 | 5시간 10분 | 5시간 10분 | 3시간 50분 | 3시간 50분 |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근관충전재들의 작업시간은 모두 기준 작업 시간인 30분 이내로 안정하고, 경화시간도 기준 시간인 72 시간 이내에 비하여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용해도 | 1.2% | 1.2% | 1.1% | 1.3% |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근관충전재들이 용해도가 비교예 2에 비해 낮으므로 시술 후 근관충전재의 안정한 보존이 예상되어 근관 밀폐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근관 밀폐성 실험예(Sealing Effectiveness Test)
<실험예 1(가타퍼쳐와 실러를 사용한 경우)>
종래의 가타퍼쳐(상품명: gutta percha point, 제조사: 메타바이오메드), ZOE계 실러(상품명: Z?O?B SEAL, 제조사: 메타바이오메드)를 사용하여 근관 충전 실험을 하였다. 먼저, 실험 대상 치아를 통법에 따라 근관 확대를 시행 후 가타퍼쳐와 실러로 근관 충전을 하였다. 근관 충전 후 치근단 2㎜를 염색약에 담가 6시간 침적 시킨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치아를 치근단 1㎜/2㎜/..../10㎜ 단위로 절편을 내어 각 절편의 단면을 디지탈 광학 현미경(200 배율)으로 관찰하였다.
도 12 내지 도 19은 치근단 1㎜부터 8㎜ 부위까지의 각 절편의 단면을 촬영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사진으로부터 치근단 8㎜ 부위까지 모두 염색제의 침투 및 확산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가타퍼쳐와 실러로 구성되는 근관충전재는 근관 충전 후 6시간 후에 염색제 투과가 발생함을 알 수 있으며, 치근단 8㎜까지 치근 밀폐성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험예 2>
DENTSPLY사의 프로루트(ProRoot) MTA를 사용하여 근관 충전을 행하였다. 근관 충전법은 프로루트(ProRoot) MTA를 제품 내 들어있는 사용수와 충전재 분말의 혼합 비율(사용수/충전재분말)을 1의 비율로 혼합 후 원심분리기에 넣어 원심분리하고, 근관충전재 혼합물을 근관 충전 기구를 사용하여 실험대상 치아의 근관에 충전을 하였다. 다만, 치근을 염색제에 48시간 침적시킨 후 단면을 관찰하였다.
도 20 내지 도 28은 치근단으로부터 1㎜ 간격으로 각 절편의 단면을 관찰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먼저, 도 20에서 치근단 1㎜부위에 밀폐되지 못한 공간이 관찰됨을 알 수 있고, 치근단 2 ~ 3㎜ 부위에서 치근단 밀폐되지 못한 공간 및 염색제의 침투 소견을 나타내며(도 21 및 도 22), 치근단 4 ~ 9㎜에 밀폐되지 못한 공간이 관찰됨을 알 수 있다(도 23 내지 도 28).
<실험예 3>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근관충전재로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근관 충전을 행하였다. 도 29 내지 도 36는 치근단으로부터 1㎜ 간격으로 각 절편의 단면을 관찰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치근단 1㎜ 부근에는 소량의 염색제 침투가 관찰되었으나(도 29), 치근단 2㎜ 부근부터 염색제 침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도 30 내지 도 36), 우수한 밀폐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근관충전재로 실험예 2와 같은 방법으로 근관 충전을 행하였다. 도 37 내지 도 45는 치근단 1㎜부터 치근단 9㎜ 부위까지의 각 절편의 단면을 관찰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치근단 1㎜ 부근에는 약간의 염색제 침투가 관찰되었으나(도 37), 치근단 2㎜부터 관찰되지 않았으며, 매우 우수한 밀폐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근관충전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치근단 3㎜ 부위에서 완전한 밀폐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가타퍼쳐+실러나 프로루트(ProRoot)와 같은 근관충전재는 밀폐성이 부족하여 순방향 (Orthograde canal filling) 근관 충전용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이것은 프로루트(ProRoot)의 경우 입자 크기가 평균 6.9㎛ 정도이고 5㎛ 보다 훨씬 큰 조대입자가 불규칙하게 혼합되어 있어서 그러한 큰 입자에 의해 근관 충전 시에 충전 도중에 갑자기 근관이 막혀버리면서 밀폐하려는 근관 내에 공간이 생기게 되며 그 결과 치아의 뿌리 끝부분인 치근단 3㎜ 부위의 치근단 부위에 세균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근관 치료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근관충전재는 평균 입자 크기가 2㎛ 이하로 유지되며, 균일한 입도를 가지기 때문에 치근단 3㎜에 대한 밀폐 효과가 뛰어나고 근관 충전 후 근관 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서 임상적으로 신경치료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치근관 내에 생긴 공간은 혐기성 세균의 증식 장소이며 항생제등의 도달이 불가능한 부위이기 때문이다.
프로루트(ProRoot)의 경우 치근단 절제술이라는 외과적 수술을 동반한 역방향 근관충전(retrograde canal filling) 시에는 지름 1㎜ 깊이 3㎜ 정도의 제법 큰 크기의 와동을 형성하고 이를 충전할 목적으로 개발된 약제이다. 따라서 보존적 치료 시의 근관 충전(orthograde canal filling) 시에는 지름 0.25 ~ 0.35㎜ 정도의 미세한 근관을 충전 밀폐하기에는 입도가 너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즉 프로루트(ProRoot)라는 제품은 평균입도가 6.9㎛로 너무 크고 또한 평균 입도에 대한 표준편차가 커서 조대한 입자 섞여 있어 근관 밀폐과정 중 다루기가 어렵고 밀폐 후 근관 내부에 수많은 공간을 만들어 낼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어서 만족스런 근관 밀폐 효과를 얻을 수가 없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보존적 근관 치료법의 하나인 측방 가압법을 설명하는 사진이다.
도 2는 보존적 근관 치료법의 다른 한 방법인 수직 가압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외과적 근관 치료법(retrograde canal filling)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근관충전재의 분말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근관충전재의 분말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비교예 1의 근관충전재의 분말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비교예 2 의 근관충전재의 분말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8 및 도 9는 실시예 1, 2 의 QXRD 분석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비교예 1, 2 의 QXRD 분석 그래프이다.
도 12 내지 도 19은 실험예1에 따라 치근단 1㎜부터 8㎜ 부위까지의 각 절편
의 단면을 촬영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20 내지 도 28은 실험예2에 따라 치근단 1㎜부터 치근단 10㎜ 까지 각 절
편의 단면을 관찰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29 내지 도 36는 실험예3에 따라 치근단 1㎜부터 치근단 8㎜ 부위까지의
각 절편의 단면을 관찰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37 내지 도 45은 실험예4에 따라 치근단 1㎜부터 치근단 9㎜ 부위까지의
각 절편의 단면을 관찰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7)
- CaO-SiO2-Al2O3 화합물로서, 3CaO?SiO2, 2CaO?SiO2, 3CaO?Al2O3를 포함하고, 상기 3 조성의 함량이 CaO-SiO2-Al2O3 화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5중량% 이상이며, 평균 입경이 1~2 미크론이며, 잔류 CaO 함량이 1.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O-SiO2-Al2O3계 분말형 근관충전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이테르븀 훌루오라이드, 스트론튬 글래스, 바륨 글래스. 황산 바륨 및 비스무스 트리옥사이드로 이루어진 방사선 불투과 재료의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의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O-SiO2-Al2O3계 분말형 근관충전재.
- 제1항에 있어서, 잔류 CaO의 함량이 0.7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O-SiO2-Al2O3계 분말형 근관충전재.
- 제1항에 있어서, 최대 입경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O-SiO2-Al2O3계 분말형 근관충전재.
-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관충전재의 경화 후 치수변화율이 0.1% 이내의 팽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O-SiO2-Al2O3계 분말형 근관충전재.
-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말형 근관충전재와 사용수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 용액을 원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관 충전용 시약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2660A KR101138841B1 (ko) | 2009-05-15 | 2009-05-15 | Mta계 근관충전재 및 그의 제조 방법 |
US12/780,814 US20100291512A1 (en) | 2009-05-15 | 2010-05-14 | Root canal filler composed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2660A KR101138841B1 (ko) | 2009-05-15 | 2009-05-15 | Mta계 근관충전재 및 그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3439A KR20100123439A (ko) | 2010-11-24 |
KR101138841B1 true KR101138841B1 (ko) | 2012-04-26 |
Family
ID=4306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2660A KR101138841B1 (ko) | 2009-05-15 | 2009-05-15 | Mta계 근관충전재 및 그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291512A1 (ko) |
KR (1) | KR10113884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5054A (ko) | 2017-10-20 | 2019-05-02 | (주)에스겔 | 근관충전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868200A1 (en) | 2012-03-21 | 2013-09-26 | Loma Linda University | Substances and method for replacing natural tooth material |
KR101370023B1 (ko) * | 2012-04-06 | 2014-03-06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합성고분자 나노섬유메시와 mta를 포함하는 치수질환 치료용 조성물 |
KR101815334B1 (ko) * | 2013-09-25 | 2018-01-04 | 최정훈 | Mta계 코팅 조성물의 신규한 용도 |
JP6368206B2 (ja) * | 2014-09-24 | 2018-08-01 | Yamakin株式会社 | 歯科用セメント組成物 |
UA128509C2 (uk) * | 2019-07-18 | 2024-07-31 | Септодон У Септодон Сас У Спесьаліт Септодон | Стоматологічний гідравлічний цемент, що містить частинки ультрадисперсного силікату кальцію, із швидким твердінням та придатними механічними властивостями |
KR20240150258A (ko) | 2023-04-07 | 2024-10-15 | 송종호 | 치과용 근관 충전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15547A (en) * | 1993-04-23 | 1995-05-16 | Loma Linda University | Tooth filling material and method of use |
-
2009
- 2009-05-15 KR KR1020090042660A patent/KR1011388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5-14 US US12/780,814 patent/US20100291512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15547A (en) * | 1993-04-23 | 1995-05-16 | Loma Linda University | Tooth filling material and method of us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5054A (ko) | 2017-10-20 | 2019-05-02 | (주)에스겔 | 근관충전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291512A1 (en) | 2010-11-18 |
KR20100123439A (ko) | 2010-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hen et al. | What do different tests tell about the mechan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bioceramic materials? | |
KR101138841B1 (ko) | Mta계 근관충전재 및 그의 제조 방법 | |
Xuereb et al. | In situ assessment of the setting of tricalcium silicate–based sealers using a dentin pressure model | |
CN1414868A (zh) | 生物活性和骨质疏松的骨粘固剂 | |
EP2902006B1 (en) | Curable composition for dentistr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Chen et al. | Bismuth-doped injectable calcium phosphate cement with improved radiopacity and potent antimicrobial activity for root canal filling | |
Chen et al. | Novel fast-setting mineral trioxide aggregate: Its formulation, chemical–physical properties, and Cytocompatibility | |
Barbosa et al. | New cement based on calcium and strontium aluminates for endodontics | |
CN112057348A (zh) | 一种牙齿封闭处理的多重组合物 | |
CN104302267B (zh) | 包含氧化锆粉末的牙齿填充用组合物 | |
US20210290495A1 (en) | Pre-mixed strontium silicate-based biological hydraulic cementing paste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 |
Saltareli et al. | Apatite‐like forming ability, porosity, and bond strength of calcium aluminate cement with chitosan, zirconium oxide, and hydroxyapatite additives | |
US20200138676A1 (en) | Method for preparation of an implant for regenerating dental tissue | |
KR101005554B1 (ko) | Mta계 근관 충전재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20190046277A (ko) | 의료용 시멘트 조성물 | |
Chalas et al. | A chemical activity evaluation of two dental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s | |
KR20220035934A (ko) | 신속한 경화 및 적합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초미세 규산칼슘 입자를 포함하는 치과용 수경 시멘트 | |
Aquino et al.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ment-based hydroxyapatite and galactomannan extracted from Adenanthera pavonina L. seeds | |
KR20230004233A (ko) | 근관 내 이식재 | |
US20240197575A1 (en) | Premixed barium silicate cement for dental and med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of use | |
KR20190052791A (ko) | 의료용 충전재 조성물 | |
KR20110070269A (ko) | 지르코니아 비드를 포함하는 근관충전재 및 순방향 근관충전법 | |
KR20130118842A (ko) | 지르코니아 분말을 포함하는 치아 충전용 조성물 | |
Sowmini | Invitro Comparison of Compressive Strength and Microleakage in Deciduous Molars Between Conventional Glass Ionomer Cement, Miracle Mix and Zirconia Reinforced Glass Ionomer Cement in Class I Restorations | |
Oransakunwong et al. | The Development of Bioceramic Root Canal Sea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