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27628B1 -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 Google Patents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628B1
KR101127628B1 KR1020080058611A KR20080058611A KR101127628B1 KR 101127628 B1 KR101127628 B1 KR 101127628B1 KR 1020080058611 A KR1020080058611 A KR 1020080058611A KR 20080058611 A KR20080058611 A KR 20080058611A KR 101127628 B1 KR101127628 B1 KR 101127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oil
delete delete
spac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778A (ko
Inventor
박병찬
박병훈
Original Assignee
박병훈
박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훈, 박병찬 filed Critical 박병훈
Publication of KR20090079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녹화를 위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식생 상자를 형성하되, 상측면에는 식생토를 담고 물이 일부 저장되는 공간과 일부 배수되는 공간을 동시에 갖춘 공간 구획수단을 포함하고, 저면에는 바닥과 식생상자사이의 공간을 두기위한 지지대를 보유하여 배수와 통풍을 양호하게 하고 단열효과도 좋게한다.지지대의 일부 또는 전부에 구름수단인 바퀴를 장착하여 식생상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식생토의 교체가 간편하도록 한다 또한 저면에는 구름수단인 바퀴를 다수 보유하면서 그 바퀴의 지지 축을 높이 조절수단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더 나가서 내부에 담긴 식생토의 교체가 간편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하는 바들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수단은 식생 토양을 저장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의 테두리(20)와, 이 테두리 안쪽에서 다수의 공간(41)으로 나누어 구획하기 위한 공간 구획수단(40)과, 상기한 다수의 공간(41)들 중 일부의 공간(41)들 바닥에 배수구멍(11)과 저수를 위한 저수공간을 가지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저면에 마련한 지지대 또는 구름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이다.
조경, 식생, 상자, 바퀴

Description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BOX FOR LOADING SOIL}
본 발명은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경수(樹) 및 화초의 식생을 위해 토양을 담고 있을 수 있으면서 빗물 또는 조경수(水)의 일정비율은 저장되고 , 일정비율은 배수되는데 약 50%는 저장, 약 50%는 배수가 되도록 배려하며, 상자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들을 구비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아울러 그 바퀴들의 지지 축을 높이 조절수단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더 나가서 화분을 이용한 조경의 초기 시공을 간편하게 하며 특히 바닥의 균열에 따른 하자 발생시 조경물의 간편한 이동과 재배치를 통하여 간편하도록 하는데도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화의 방법은 적용방식과 관리방식에 따라 저관리 경량형, 관리중량형, 혼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 방식의 적용은 옥상과 같은 부분을 녹화하는 경우에는 녹화에 의한 무게를 대상 건축물이 얼마나 견딜 수 있는가를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저관리 경량형은 주로 경사지붕과 적재하중 100㎏/㎡ 의 평지붕에 해당하며 이용자의 진입을 배제하고 경량토에 지피식생을 주로 한 초본류나 내건성 다육식물 등을 심어서 관리 요구도를 최소화하며, 냉난방에 에너지 절약과 생태계복원을 기하는 타입이다.
관리중량형은 이용과 관리가 전제가 되는 녹화시스템으로 지피식물, 관목, 교목을 활용한 다층구조의 식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수, 시비, 전정 등 이용 요구에 부합되는 관리가 필수적이며, 각종시설과 이용형태를 갖추게 되는 집약적인 조경으로 무거운 토양 층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조건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적재력이다.
보통의 집약적인 녹화의 경우 보통 500㎏/㎡ 까지의 중량 적재가 생겨나며 상황에 따라서 역학적인 잠재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녹화 대상이 되는 부분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경우도 발생하여 이에 대한 기술적인 비용이 많은 결점이 있다.
화분을 이용한 녹화는 일반적으로 지표면 위에서 실시하는 조경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은 아니다. 대상 환경은 지표면과는 판이하게 다른 조건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비용적으로 그리고 수목 생리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훨씬 많고 복잡하다.
특히 시공상에 하중, 바람, 극단적인 온도변화 및 방수, 배수 등의 특수 환경은 녹화의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기존 녹화 방식에 따른 시공 후 문제점으로 드러난 내용으로, 첫째 식물식재 를 위한 토양 층 조성에 따른 하중발생으로 건축물 구조에 미치는 안전성 문제, 둘째 시공상, 하중을 줄이기 위한 얇은 경량 토양 층 조성으로 인하여 뿌리 신장 불량과 동해피해 등으로 수목생육 저하, 셋째 식재단의 배수불량, 방수처리 미흡에 의한 누수발생으로 건물내구성 저하, 넷째 시공 후 건조기 관수, 영양공급과 병충해방제 등 유지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기존방식의 녹화에는 전문적인 관리기술, 인공토양기술, 보조 장비 투여, 시공 후 유지관리 비용부담이 뒤따라야만 기대하는 녹화의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식재하는 수목재료 비용은 물론 방수 처리, 배수, 경량토양 등 부대 재료들을 구입하는데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하중 문제로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종래의 녹화구조물들은 한번 설치된 상태에서 옮길 수가 없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 있으며, 옮길 수 있는 구조라 하더라도 인력으로는 어렵고 별도의 견인 장비를 동원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 대부분의 조경방법이 배수공간의 형성을 위하여 슬라브 상단과 식생토 사이에 여러 형태의 지지대를 세워 배수공을 형성하는데 지지대의 설치 등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을 경우 상부 식생토의 토압에 의해 지지대 상단 지지판이 내려 앉아 배수공이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없음으로 전체 조경공간에 물이 채워지고, 이로 인해서 식물의 뿌리가 썩거나 상부에 과다한 수압으로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에 식물의 뿌리가 슬라브에 직접 접촉하여 균열을 가속시킬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고자 제안하는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녹화를 위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식생 상자를 형성하되, 상측면에는 식생토를 담을 수 있도록 하되, 물이 일부 저장되는 공간과 일부 배수되는 공간을 동시에 갖춘 공간 구획수단을 포함하고, 저면에는 구름수단인 바퀴를 다수 보유하면서 그 바퀴의 지지 축을 높이 조절수단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조경의 초기 시공 및 재배치가 간편하도록 하는데도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생 상자와 식생 상자들간에 서로의 체결구조를 준비하여 서로 결속시켜둘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생 상자의 테두리 판재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식생 상자의 높이를 달리 구성하면서 식생토의 관리가 편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생 상자의 테두리 판재를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녹화의 심미감을 새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하는 바들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수단은 식생 토양을 저장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의 테두리와, 이 테두리 안쪽에서 다수의 공간으로 나누어 구획하기 위한 공간 구획수단과, 상기한 다수의 공간들 중 일부의 공간들 바닥에 배수구멍을 가지는 바닥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마련한 구름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구름수단은 지지축이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연결 고정되고, 그 아래에 바퀴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구름수단의 지지축은 속이 빈 파이프이면서 이중의 나사 결합관을 체결하여 그 길이 조절로 바닥판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원래 바닥은 빗물이 잘 빠져나가도록 하기위하여 구배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지지축의 속이 비어 있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높이 조절수단을 추가로 부착하여 설치 후 이동을 막기 위한 바퀴 고정수단을 추가로 부착하여 바퀴고정수단에 의하여 상자가 스스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퀴에 부착된 높이 조절 수단은 지지축의 길이가 가변하도록 반경이 다른 여러개의 관이 함께 있는 것일 수 있으며 바퀴고정수단은 바퀴가 움직이지 않도록 바퀴의 옆면에 멈춤쇠를 부착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퀴고정수단이나 높이조절수단은 기타의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바닥판은 그 상측 모서리마다 세로 홈을 가진 지지기둥을 세우고, 상기 지지기둥의 세로 홈으로 끼운 테두리 판재를 이용하여 식생토의 저장 깊이를 깊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지지기둥들은 서로의 상단 간격 유지를 보장하기 위해 상부 연결간을 조립하여서 된 것이다.
또, 상기한 바닥판은 그 상측에 테두리 판재를 고정하되 단일화된 장식벽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 상기한 지지기둥과 테두리 판재는 아연합금 소재 혹은 스테인레스 소재 중 어느 하나로써 일체화하여 제조한 것이다.
또, 상기한 테두리 또는 테두리 판재는 옆으로 다수의 작은 통기구멍들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구획수단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중 배수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공간은 저수를 위한 저수공간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생상자에 사용되는 토양은 유기성슬러지로부터 재활용된 식생토를 포함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에 의하여 생기는 벽체 중 하나 이상의 벽체는 벽체를 뽑아 여는 구조, 여닫을 수 있는 구조 중 어느 하나로 형성이 되어 벽을 열어 식생토를 교체함으로써 상기 식생상자내부의 흙을 분갈이하기 편리하게 만들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간구획수단은 직선, 곡선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공간구획수단에 의해 나누어지는 공간은 일정하지 않은 기하학적 모양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름수단은 저면의 어느 한쪽에만 형성된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생 상자는 구름 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위로 들어올려 옮기는 것이 아니라 식생토와 식생물이 그대로 식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처음 시공할 때는 물론 시공 후, 균열등 에 따른 하자 보수의 필요성이 있을때 재배치하기 위하여, 인력을 들이거나 견인 장비를 필요로 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에 매우 유리하다.
아울러 녹화시킨 식물이 부분적으로 죽어서 흉하게 되었을 때 그 부분의 식생 상자를 수평이동시켜 독립적으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식생 상자와 식생 상자들간에 서로의 체결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결속이 용이하며, 따라서 경사진 곳에서도 서로의 간격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그리고 또, 식생 상자의 테두리 판재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큰 나무를 식재하기에도 용이하며 식생토를 교체하는 등의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더 나가서 식생 상자의 테두리 판재를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녹화의 심미감을 새롭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식생 상자의 테두리 또는 테두리 판재에 다수의 작은 통기구멍들을 가지기 때문에 내부 수분과 공기가 인접한 식생 상자로 소통되어 생태학적으로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흙을 얹어 담을 수 있는 바닥판(10)과, 공간 구획수단(40)과 그 아래의 저면에 마련한 구름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의 바닥판(10)은 강화 플라스틱 소재가 적당하며, 그 위로 식생 토양을 저장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의 테두리(20)를 가지고, 아울러 상기 공간 구획수단(40)에 의해 나누어진 다수의 공간(41)들은 일부에 한해서 바닥에 배수구멍(11)을 가진다.
즉, 나누어진 다수의 공간(41)들은 배수구멍(11)을 가진 공간들과 배수구멍을 가지지 않은 공간들을 가로세로 모두 교대로 배치하여 약 50%의 공간은 물을 배수하고, 나머지 약 50%의 공간은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비율은 식물의 종류 즉 식물에 공급되야 하는 물의 양이나 식물의 물에대한 기호성에 따라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즉, 배수구멍을 각 공간마다 만들고 최초에는 배수구멍을 막은후에 배수구멍이 필요한 만큼 배수구멍을 막은 마개를 떼어낼 수 있으며 최초 제작시에 배수공간과 저수공간을 따로 만들 수 있다. 배수구멍을 가지지 않은 부분은 바닥쪽으로 물이 빠지지 않기 때문에 저수공간으로 사용이 될 수 있다. 저수공간은 물만 담기는 것이 아니라 공간 상부에 놓이는 부직포 또는 경량골재 및 흙과 함께 담기게 되지만 물이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배수구멍이 있는 곳보다 물의 함량이 높게 된다. 가뭄이 들거나 관리가 잘안되는 경우에 저수공간에 있는 물을 이용하여 식물이 생장을 하게 된다.
도면에서의 이러한 공간(41)들은 격자 모양으로 표현되었으나,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꼭 격자 모양으로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구획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또, 상기한 테두리(20)에는 다수의 작은 통기구멍(12)들을 형성하여 서로 인접한 식생 상자의 수분과 공기 및 미생물들이 서로 소통될 수 도 있다. 그러나 물의 저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통기구멍을 없앨 수도 있다. 토한 통기구멍은 벽면마다 있는 것은 아니면 가장 가장자리면에만 있을 수 있다.
상기 격자는 식생상자의 변형을 막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격자를 이루는 벽면의 공간은 비우도록 할 수 있다. 벽면의 공간을 비우도록 함으로써 식생상자자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벽면의 공간이 차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차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변형에 대한 저항력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또, 상기한 구름수단(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를 구비하여 식생토가 갖는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바퀴(31)는 고무 재질로하는 것이 좋다. 즉, 고무 재질로 하면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와 가능한 하중을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구름수단 대신에 지지대가 형성이 될 수 도 있다. 한쪽에는 지지대가 한쪽에는 구름수단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구름수단도 바퀴가 바닥의 4면중 한쪽면에만 두 개가 부착이 되거나 바닥면 전체에 바퀴가 부착될 수도 있다.
바퀴(31)를 연결하는 지지축(32)은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의 나사 결합관(33)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나사 결합관(33)을 돌렸을 때, 바퀴(31)를 포함하는 전체의 높이가 조절되며, 이 기능을 이용함으로 써 반복 나열되는 각각의 바닥판들 높이를 바닥으로부터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을 달리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는 식생토의 깊이를 깊게 유지하여 뿌리가 깊어야 하는 식목에 적합한 것이며, 도면에서 보듯이 바닥판(10)을 앞에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하되, 그 상측 모서리마다 세로 홈(51)을 가진 지지기둥(50)을 세우고, 상기 지지기둥(50)의 세로 홈(51)으로 테두리 판재(60)를 끼워 높은 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도, 상기한 테두리 판재(60)에는 다수의 작은 통기구멍(12)들을 형성하여 서로 인접한 식생 상자의 수분과 공기 및 미생물들이 서로 소통될 수 있다.
상기한 지지기둥(50)들은 서로의 상단 간격 유지를 보장하기 위해 상부 연결간(52)을 조립하여 사용한다.
또 본 발명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이는 바닥판(10)의 상측에 테두리를 형성하되, 단일화된 장식벽(70)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식생 상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공간 구획수단(40)이 형성되어 있는바, 그 위로 식생토를 담는다.
식생토는 부직포를 깔고 그 위로 경량 세립 인공토양, 기포성 경량골재 등이 적당하며, 최종적으로 물에 의해 식생토가 파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연 화산석을 깔아준다. 그리고 여기에 파종을 하거나 모종을 옮겨 심어서 녹화시킨다.
이와 같은 녹화는 빈 식생 상자를 미리 녹화하려는 곳에 올려서 배치한 후, 실시할 수도 있고, 미리 녹화작업까지 완료된 식생 상자를 옮겨서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식생 상자들은 소정의 간격으로 혹은 밀착시킨 상태로 반복 나열하여 전체를 녹화할 수 있는바, 나열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두리(20)에 마련된 연결고리(21)들을 이용해 묶어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면, 자연적으로 내리는 비 또는 인공적인 살수 작업에 의해 녹화된 식생 화초가 잘 서식하게 되며, 이때 식생 상자 속으로 침투된 물은 배수구멍이 없는 부분의 공간(41)에서 일부가 잔류하여 식생에 사용되고, 배수구멍(11)이 있는 부분의 공간(41)에서 일부가 배출된다.
그리고 테두리(20)에 형성된 작은 통기구멍(12)들을 통해 서로 소통될 수 있 기 때문에 토양 속의 습기와 공기는 물론 미생물 이동이 가능하여 전체 식생 상자가 동일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도 7에서와 같은 식생 상자는 비교적 큰 나무를 식재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기둥(50) 사이에 테두리 판재(6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가벼운 상태)로 운반하여 녹화대상이 되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고, 이어서 테두리 판재(60)를 끼워 내부 공간을 확보한 후, 비교적 큰 나무를 심으면서 식생토를 채운다.
식재가 끝나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연결간(52)을 끼워 지지기둥(50)들이 내재된 식생토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식생 상자는 테두리 판재(60)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식생토의 교체, 식재 나무의 교체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 한, 본 발명의 도 9에서와 같은 식생 상자는 테두리를 단일화된 장식벽(70)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도면에 소개한 형태 외에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바깥쪽에 배치하여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식생상자에 사용되는 토양은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처리되어 나온 유기성슬러지를 재활용하여 나온 식생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토는 보통의 토양과 일부 섞어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식생토는 영양공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은 식생상자에 사용할 때 그 효용이 배가된다.
도10은 식생상자에서 공간구획수단(40)에 의해 공간(41)이 구획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공간(41)은 격자형 뿐 아니라 공간구획수단(41)을 곡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원형,타원형, 삼각형등 각종 기하하적 모양의 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것은 식생상자에 심는 식물의 수, 종류에 따라 그 모양이 달라질 수 있다.
도11은 지지기둥 사이에 벽을 만든 경우 식생토를 교환하기 쉽도록 한쪽에 벽을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다. 측벽의 일 측에 격자를 형성하거나 측벽이 쉽게 분리되게 하여 측벽을 위쪽으로 뽑아 올림으로써 한쪽벽면을 통하여 식생토를 쉽게 교환하도록 한다.
보통 식생토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심어져 있는 나무를 완전히 뽑아낸 뒤에 식생토를 갈게되는데 본발명처럼 각각의 측벽이 열리는 경우 한쪽측벽을 열고 그쪽 벽면에 있는 식생토를 갈고 다시 옆쪽의 측벽을 열어 식생토를 가는 방식으로 식생토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에 심어져 있는 식물을 완전히 뽑아내지 않고서도 분갈이가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측벽을 뽑을 수 있도록 하거나 경첩을 달아 당겨서 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측벽을 하나의 판재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측벽만 열린다고 하여도 식생토를 위쪽에서 퍼올리는 형태가 아니라 앞쪽에서 퍼내는 형태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좀더 쉽게 분갈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는 옥상조경, 건물의 주차장 상부나 주차장, 도로갓길등의 조경을 실시하는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수단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간 구획수단의 또 다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바닥판 70: 장식벽
11: 배수구멍 12: 통기구멍
20: 테두리 21: 연결고리
30: 구름수단 31: 바퀴
32: 지지축 33: 나사 결합관
40: 공간 구획수단 41: 구획공간
50: 지지기둥 51: 세로 홈
52: 상부 연결간 60: 테두리 판재

Claims (15)

  1. 식생 토양을 저장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의 테두리(20)와, 이 테두리 안쪽에서 다수의 공간(41)으로 나누어 구획하기 위한 공간 구획수단(40)과, 상기한 다수의 공간(41)들 중 일부의 공간(41)들 바닥에 배수구멍(11)을 가지는 바닥판(10)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10)의 저면에 식생상자를 지지하기 위한 마련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구멍이 형성된 공간에는 부직포, 경량골재, 흙중 어느 하나이상이 담기게 되며
    상기 바닥판(10)의 저면에 하나이상의 구름수단(30)을 더 포함하며
    상기한 구름수단(30)은 지지축(32)이 상기 바닥판(10)의 저면에 연결 고정되고, 그 아래에 바퀴(31)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며
    상기한 구름수단(30)의 지지축(32)은 높이 조절수단을 가져서 바닥판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한 바닥판(10)은 그 상측 모서리마다 세로 홈(51)을 가진 지지기둥(50)을 세우고, 상기 지지기둥(50)의 세로 홈(51)으로 끼운 테두리 판재(60)를 이용하여 식생토의 저장 깊이를 깊게 형성하며
    상기한 지지기둥(50)들은 서로의 상단 간격 유지를 보장하기 위해 상부 연결간(52)을 조립하여서 된 것이며
    상기 구획수단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41)중 배수구멍(11)이 형성되지 않은 공간(41)은 저수를 위한 저수공간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한 바닥판(10)은 그 상측에 테두리 판재를 고정하되 단일화된 장식벽(70)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테두리(20)는 다수의 작은 통기구멍(12)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80058611A 2008-01-18 2008-06-20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KR101127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5674 2008-01-18
KR1020080005674 2008-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778A KR20090079778A (ko) 2009-07-22
KR101127628B1 true KR101127628B1 (ko) 2012-03-23

Family

ID=4129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611A KR101127628B1 (ko) 2008-01-18 2008-06-20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201B1 (ko) * 2008-09-12 2011-09-27 박봉수 장식용 화초식재장치
CN102696417A (zh) * 2012-05-20 2012-10-03 张平 拼接式花盆组
CN109275450A (zh) * 2018-11-22 2019-01-29 花王生态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景观河道可移动绿化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233Y1 (ko) 2002-03-25 2002-06-14 신현성 조립식 실내화단
JP2002209451A (ja) 2001-01-19 2002-07-30 Yoshio Chiyoda 屋上緑化用芝類育成床函体装置
JP2003116356A (ja) * 2001-10-12 2003-04-22 Aaki Yamade Kk 植栽トレー
KR200416039Y1 (ko) * 2005-12-19 2006-05-10 안광국 이동식 실내정원 조성용 조경 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451A (ja) 2001-01-19 2002-07-30 Yoshio Chiyoda 屋上緑化用芝類育成床函体装置
JP2003116356A (ja) * 2001-10-12 2003-04-22 Aaki Yamade Kk 植栽トレー
KR200278233Y1 (ko) 2002-03-25 2002-06-14 신현성 조립식 실내화단
KR200416039Y1 (ko) * 2005-12-19 2006-05-10 안광국 이동식 실내정원 조성용 조경 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778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5407B2 (ja) 相互接続するパネルを備えたモジュール式の屋上緑化システム
KR101342475B1 (ko)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GB2266647A (en) Drainage box
CN102860245B (zh) 植物蓄水底灌系统的施工方法
US20100043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vering Surfaces with a Planting Module
CN101690457A (zh) 阶梯式边坡花池
KR101055566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JP2003047346A (ja) 緑化用植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76938B1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KR101230730B1 (ko)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CN211793193U (zh) 一种园林保护用花草护坡
CN1579137A (zh) 一种用于建筑物平台和屋顶绿化的花槽装置
CN201585288U (zh) 阶梯式边坡花池
JP3285201B2 (ja) 自生型屋上緑化施工方法
JP4927038B2 (ja) 緑化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植え込み構造、並びに緑化工法
CN216292305U (zh) 一种适合于种植草的多孔混凝土
KR102543474B1 (ko) 띠녹지 화분
CN210671434U (zh) 一种紧密型室内植物景墙
JP2000201536A (ja) 壁面等の緑化用コンテナ
KR20090117453A (ko)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다목적 식생 블럭을 이용한박층녹화방법 및 다목적 식생블럭구조
JP3868604B2 (ja) 植栽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2640227Y (zh) 一种用于屋顶绿化和室内外摆放的节水型花槽装置
CN212611784U (zh) 一种道路绿化空心砖
CN219352477U (zh) 一种利用藤本植物及灌木复绿边坡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