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446B1 - 휴대기기에 공인인증서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다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 인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에 공인인증서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다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 인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3446B1 KR101113446B1 KR1020100126795A KR20100126795A KR101113446B1 KR 101113446 B1 KR101113446 B1 KR 101113446B1 KR 1020100126795 A KR1020100126795 A KR 1020100126795A KR 20100126795 A KR20100126795 A KR 20100126795A KR 101113446 B1 KR101113446 B1 KR 1011134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 data
- encrypted
- server
- publ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06Q20/4097—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devices and transaction partners
- G06Q20/40975—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devices and transaction partners using encryption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휴대기기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달하거나 데이터 또는 서버를 인증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인인증서 전송을 위한 휴대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인인증서 전송을 위한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인인증서 전송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개키와 비밀키를 모두 전송하는 경우의 공인인증서 전송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개키를 전송하는 경우의 공인인증서 전송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인증을 위한 휴대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인증을 위한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의 전송 또는 인증을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개키 및 비밀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인증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암호용/인증용 대칭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인증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20: 사용자 단말기
130: 서버
140: 휴대기기
Claims (24)
-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에서 다차원 코드를 인식하는 다차원 코드 인식부;
인식된 다차원 코드에서 암호화된 공인인증서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공인인증기관의 서버와 미리 교환된 임시 비밀키 및 사용자의 예전 공개키 중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공인인증서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인인증서는 상기 서버로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서 생성되고, 상기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다차원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생성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휴대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공개키와 쌍을 이루도록 함께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비밀키는 상기 공개키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하나의 키로 암호화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다차원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된 비밀키를 더 이용하여 생성되는, 휴대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공개키와 쌍을 이루도록 함께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비밀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되고,
상기 다차원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된 비밀키를 더 이용하여 생성되는, 휴대기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다차원 코드에서 상기 암호화된 비밀키를 더 추출하고,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비밀키를 더 복호화하는, 휴대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공인인증서가 포함하는 소유주, 인증기관명 및 공개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화된 공인인증서를 검증하는 검증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기기. - 공인인증서를 생성 및 전송하는 공인인증기관의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공개키를 수신하는 키 수신부;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공인인증서를 생성하는 공인인증서 생성부;
상기 공인인증서를 휴대기기와 미리 교환된 임시 비밀키 및 사용자의 예전 공개키 중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다차원 코드가 생성 및 표시되고,
상기 다차원 코드는 상기 휴대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 및 인식되어,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가 추출되고, 상기 하나의 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가 상기 휴대기기에서 복호화되는, 서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공개키와 쌍을 이루도록 함께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비밀키를 더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비밀키를 상기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더 암호화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암호화된 비밀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더 전송하는, 서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공개키와 쌍을 이루도록 함께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비밀키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더 암호화되는, 서버.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차원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암호화된 비밀키를 더 이용하여 생성되는, 서버. - 사용자의 공개키 및 비밀키를 생성하는 키 생성부;
상기 공개키를 공인인증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키 전송부;
상기 서버에서 상기 공개키를 통해 생성되고, 상기 서버와 휴대기기간에 미리 교환된 임시 비밀키 및 사용자의 예전 공개키 중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공인인증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다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다차원 코드 생성부; 및
상기 다차원 코드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다차원 코드는 상기 휴대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 및 인식되어,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가 추출되고, 상기 하나의 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가 상기 휴대기기에서 복호화되는, 사용자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전송부는, 상기 비밀키를 상기 서버로 더 전송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서버에서 상기 하나의 키를 통해 암호화된 비밀키를 상기 서버로부터 더 수신하고,
상기 다차원 코드 생성부는, 상기 암호화된 비밀키를 더 이용하여 상기 다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키를 상기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차원 코드 생성부는, 상기 암호화된 비밀키를 더 이용하여 상기 다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에서 다차원 코드를 인식하는 다차원 코드 인식부;
상기 다차원 코드에서 암호화된 데이터, 서명된 데이터, 메시지 인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상기 서명된 데이터 또는 상기 메시지 인증 코드를 검증하는 복호화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다차원 코드는 사용자의 공개키 또는 공인인증기관의 서버와 미리 공유된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암호용 대칭키를 통해 암호화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상기 서버의 비밀키를 통해 서명된 상기 서명된 데이터 및 상기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인증용 대칭키를 통해 생성된 상기 메시지 인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버에서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휴대기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사용자의 비밀키, 상기 서버의 공개키, 상기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화 또는 검증을 수행하는, 휴대기기. - 사용자의 공개키 또는 휴대기기와 미리 공유된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암호용 대칭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서버의 비밀키로 상기 데이터를 서명하거나 또는 상기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인증용 대칭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메시지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상기 서명된 데이터 및 상기 메시지 인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다차원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차원 코드가 생성 및 표시되고,
상기 다차원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다차원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서버.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다차원 코드는 상기 휴대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 및 인식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추출되고,
상기 휴대기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비밀키 또는 상기 인증용 대칭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복호화되거나 또는 상기 암호용 대칭키 또는 상기 서버의 공개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검증되는, 서버. - 암호화된 데이터, 서명된 데이터 및 메시지 인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버에서 생성된 다차원 코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다차원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수신된 다차원 코드 또는 상기 생성된 다차원 코드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공개키 또는 상기 서버와 휴대기기간에 미리 공유된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암호용 대칭키로 암호화고,
상기 서명된 데이터는 상기 서버의 비밀키로 서명되고,
상기 메시지 인증 코드는 상기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인증용 대칭키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사용자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다차원 코드는 상기 휴대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 및 인식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추출되고,
상기 휴대기기에서 상기 사용자의 비밀키 또는 상기 인증용 대칭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복호화되거나 또는 상기 암호용 대칭키 또는 상기 서버의 공개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검증되는, 사용자 단말기. -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에서 다차원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다차원 코드에서 암호화된 공인인증서를 추출하는 단계; 및
공인인증기관의 서버와 미리 교환된 임시 비밀키 및 사용자의 예전 공개키 중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공인인증서를 복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인인증서는 상기 서버로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서 생성되고, 상기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다차원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생성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공인인증서 전송 방법. - 공인인증서를 생성 및 전송하는 공인인증서 전송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공개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공인인증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인인증서를 휴대기기와 미리 교환된 임시 비밀키 및 사용자의 예전 공개키 중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다차원 코드가 생성 및 표시되고,
상기 다차원 코드는 상기 휴대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 및 인식되어,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가 추출되고, 상기 하나의 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가 상기 휴대기기에서 복호화되는, 공인인증서 전송 방법. - 사용자의 공개키 및 비밀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개키를 공인인증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공개키를 통해 생성되고, 상기 서버와 휴대기기간에 미리 교환된 임시 비밀키 및 사용자의 예전 공개키 중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공인인증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다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차원 코드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차원 코드는 상기 휴대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 및 인식되어,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가 추출되고, 상기 하나의 키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공인인증서가 상기 휴대기기에서 복호화되는, 공인인증서 전송 방법. -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에서 다차원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다차원 코드에서 암호화된 데이터, 서명된 데이터, 메시지 인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상기 서명된 데이터 또는 상기 메시지 인증 코드를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차원 코드는 사용자의 공개키 또는 공인인증기관의 서버와 미리 공유된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암호용 대칭키를 통해 암호화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상기 서버의 비밀키를 통해 서명된 상기 서명된 데이터 및 상기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인증용 대칭키를 통해 생성된 상기 메시지 인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서버에서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데이터 전송/인증 방법. - 사용자의 공개키 또는 휴대기기와 미리 공유된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암호용 대칭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서버의 비밀키로 상기 데이터를 서명하거나 또는 상기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인증용 대칭키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메시지 인증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 상기 서명된 데이터 및 상기 메시지 인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다차원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차원 코드가 생성 및 표시되고,
상기 다차원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다차원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데이터 전송/인증 방법. - 암호화된 데이터, 서명된 데이터 및 메시지 인증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버에서 생성된 다차원 코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다차원 코드 또는 상기 생성된 다차원 코드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공개키 또는 상기 서버와 휴대기기간에 미리 공유된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암호용 대칭키로 암호화고,
상기 서명된 데이터는 상기 서버의 비밀키로 서명되고,
상기 메시지 인증 코드는 상기 암호용/인증용 대칭키 중 인증용 대칭키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데이터 전송/인증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6795A KR101113446B1 (ko) | 2010-12-13 | 2010-12-13 | 휴대기기에 공인인증서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다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 인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6795A KR101113446B1 (ko) | 2010-12-13 | 2010-12-13 | 휴대기기에 공인인증서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다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 인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3446B1 true KR101113446B1 (ko) | 2012-02-29 |
Family
ID=4584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67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3446B1 (ko) | 2010-12-13 | 2010-12-13 | 휴대기기에 공인인증서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다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 인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3446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T13290U1 (de) * | 2012-11-08 | 2013-10-15 | Xitrust Secure Technologies Gmbh | Verfahren und System zum Bereitstellen von Daten auf einem Endgerät |
GB2509045A (en) * | 2012-07-26 | 2014-06-25 | Highgate Labs Ltd | Generating a device identifier by receiving a token from a server, signing a request including the token with a private key and verifying the request |
KR20150016802A (ko) * | 2013-08-05 | 2015-02-1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보안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데이터 이동 방법 |
CN107766771A (zh) * | 2017-11-15 | 2018-03-06 | 深圳大学 | 二维码检测方法以及终端 |
KR20180058996A (ko) * | 2016-11-25 | 2018-06-04 | 주식회사 티모넷 | 전자 서명 제공 방법 및 그 서버 |
WO2019147105A1 (ko) * | 2018-01-29 | 2019-08-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WO2021221871A1 (en) | 2020-04-27 | 2021-11-04 | Sony Group Corporation | Visual enrollment of camera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6045A (ko) * | 2003-02-24 | 2004-08-31 |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 코드 이미지를 통한 문서 서명 방법 |
KR20060118102A (ko) * | 2005-05-16 | 2006-1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필 서명메시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
JP2008134985A (ja) | 2006-10-27 | 2008-06-12 | Murata Mach Ltd |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
2010
- 2010-12-13 KR KR1020100126795A patent/KR10111344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6045A (ko) * | 2003-02-24 | 2004-08-31 |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 코드 이미지를 통한 문서 서명 방법 |
KR20060118102A (ko) * | 2005-05-16 | 2006-1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필 서명메시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
JP2008134985A (ja) | 2006-10-27 | 2008-06-12 | Murata Mach Ltd |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09045A (en) * | 2012-07-26 | 2014-06-25 | Highgate Labs Ltd | Generating a device identifier by receiving a token from a server, signing a request including the token with a private key and verifying the request |
AT13290U1 (de) * | 2012-11-08 | 2013-10-15 | Xitrust Secure Technologies Gmbh | Verfahren und System zum Bereitstellen von Daten auf einem Endgerät |
KR20150016802A (ko) * | 2013-08-05 | 2015-02-1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보안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데이터 이동 방법 |
KR101711023B1 (ko) * | 2013-08-05 | 2017-02-2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보안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데이터 이동 방법 |
KR101933090B1 (ko) | 2016-11-25 | 2018-12-27 | 주식회사 티모넷 | 전자 서명 제공 방법 및 그 서버 |
KR20180058996A (ko) * | 2016-11-25 | 2018-06-04 | 주식회사 티모넷 | 전자 서명 제공 방법 및 그 서버 |
CN107766771A (zh) * | 2017-11-15 | 2018-03-06 | 深圳大学 | 二维码检测方法以及终端 |
CN107766771B (zh) * | 2017-11-15 | 2021-01-19 | 深圳大学 | 二维码检测方法以及终端 |
WO2019147105A1 (ko) * | 2018-01-29 | 2019-08-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US11438326B2 (en) | 2018-01-29 | 2022-09-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same |
WO2021221871A1 (en) | 2020-04-27 | 2021-11-04 | Sony Group Corporation | Visual enrollment of cameras |
CN114731275A (zh) * | 2020-04-27 | 2022-07-08 | 索尼集团公司 | 相机的视觉注册 |
EP4121891A4 (en) * | 2020-04-27 | 2023-08-23 | Sony Group Corporation | VISUAL REGISTRATION OF CAMERAS |
CN114731275B (zh) * | 2020-04-27 | 2024-07-09 | 索尼集团公司 | 相机的视觉注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614637B (zh) | 一种基于软件密码模块的安全通信方法及系统 | |
CN105245341B (zh) | 远程身份认证方法和系统以及远程开户方法和系统 | |
CN105245340B (zh) | 一种基于远程开户的身份认证方法和系统 | |
KR101113446B1 (ko) | 휴대기기에 공인인증서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다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 인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 |
CN107896147B (zh) | 一种基于国密算法协商临时会话密钥的方法及其系统 | |
JP2004304751A5 (ko) | ||
CN102664898A (zh) | 一种基于指纹识别的加密传输方法、装置及系统 | |
CN113204760B (zh) | 用于软件密码模块的安全通道建立方法及系统 | |
CN103905388A (zh) | 一种认证方法、认证装置、智能卡、服务器 | |
CN104065487A (zh) | 一种基于数字指纹随机密值ibc身份认证方法 | |
US20120124378A1 (en) | Method for personal identity authentication utilizing a personal cryptographic device | |
CN105554008B (zh) | 用户终端、认证服务器、中间服务器、系统和传送方法 | |
CN103684798A (zh) | 一种用于分布式用户服务间认证系统 | |
KR102415628B1 (ko) | Dim을 이용한 드론 인증 방법 및 장치 | |
US20070074027A1 (en) | Methods of verifying, signing, encrypting, and decrypting data and file | |
WO2015109958A1 (zh) | 一种基于协商密钥的数据处理方法和手机 | |
CN114422266A (zh) | 一种基于双重验证机制的IDaaS系统 | |
JP3967252B2 (ja) | 暗号通信システム及び暗号通信装置 | |
US8953804B2 (en) | Method for 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channel | |
WO2023199619A8 (ja) | リモート署名システム及び耐タンパ装置 | |
CN110072232A (zh) | 一种可信执行环境用户界面的防伪造方法和系统 | |
KR101302947B1 (ko) | 금융거래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금융 시스템 및 금융거래 데이터 전송 방법 그리고 데이터 해독 시스템 및 방법 | |
KR101305576B1 (ko) | 안전한 디지털 정보의 전달을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해독 시스템 및 데이터 해독 방법 | |
KR101269751B1 (ko) | 안전한 디지털 정보의 전달을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해독 시스템 및 데이터 해독 방법 | |
KR101269818B1 (ko) | 안전한 디지털 정보의 전달을 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해독 시스템 및 데이터 해독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