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11567B1 - 급수전 - Google Patents

급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567B1
KR101111567B1 KR1020100055872A KR20100055872A KR101111567B1 KR 101111567 B1 KR101111567 B1 KR 101111567B1 KR 1020100055872 A KR1020100055872 A KR 1020100055872A KR 20100055872 A KR20100055872 A KR 20100055872A KR 101111567 B1 KR101111567 B1 KR 101111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supply pipe
valve body
water
tap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087A (ko
Inventor
송태석
Original Assignee
송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석 filed Critical 송태석
Priority to KR1020100055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56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56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spout or the outlet nozz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급수전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은 물이 공급되는 공급파이프; 공급파이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이 토출되는 스파우트; 및 공급파이프 및 스파우트의 내부가 상호 연결되거나 차단되도록 작동하며, 스파우트의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스파우트에 연결되는 밸브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전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그 제작비도 절감된다. 또한 급수전이 직관적인 방식으로 조작됨으로서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된다.

Description

급수전{Faucet}
본 발명은 급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돗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급수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급수전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급수전(100')은 수돗물이 토출되는 스파우트(20')와, 스파우트(20')에 연결되며 수돗물이 공급되는 공급관(10')과, 스파우트(20') 및 공급관(10')을 상호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밸브에는 핸들(40')이 구비되며, 사용자는 핸들(40')을 회전시켜 작동시킴으로써 수돗물의 토출을 제어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급수전(100')에 있어서는, 스파우트(20') 및 핸들(40')이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나아가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수돗물이 스파우트(20')를 통해 항상 하방으로 토출되므로, 핸들 조작 미숙으로 다량의 수돗물의 토출시에는 다량의 수돗물이 세면기나 개수대에 수직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수돗물이 세면기나 개수대 등으로 튄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작동성도 매우 우수한 급수전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가 절감되며 나아가 직관적인 방식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급수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급수전은 물이 공급되는 공급파이프; 상기 공급파이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물이 토출되는 스파우트; 및 상기 공급파이프 및 스파우트의 내부가 상호 연결되거나 차단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스파우트의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상기 스파우트에 연결되는 밸브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파우트 및 밸브체는 상기 스파우트의 회전에 연동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스파우트는 상기 공급파이프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공급파이프 및 스파우트가 상호 차단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공급파이프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공급파이프 및 스파우트의 내부가 상호 연결되는 토출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체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파우트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파우트와 한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스파우트의 내부와는 연결되되 상기 공급파이프의 내부와는 상기 스파우트의 상기 공급파이프에 대한 회전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핸들이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게 되어 급수전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그 제작비가 매우 절감된다. 특히 사용자는 스파우트를 누르기만 하면 수돗물을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며 나아가 급수전의 조작이 직관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스파우트가 회전하게 되므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수돗물의 방향이 변경된다. 따라서 종래의 개수대나 세면대 등에서 설치된 상태에서 다량 분사되더라도 수돗물의 분사방향이 개수대나 세면대에 수직하지 않게 되어 수돗물이 튀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례에 따른 급수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급수전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스파우트가 각각 폐쇄위치 및 토출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급수전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스파우트가 각각 폐쇄위치 및 토출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100)은 공급파이프(10)와, 스파우트(20)와, 밸브체(30)를 구비한다.
공급파이프(1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공급파이프(10)에는 외부로부터 수돗물이 공급된다.
스파우트(2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스파우트(20)의 일단부에는 공급파이프(10)로 공급된 수돗물이 토출되는 토출구(21)가 형성된다. 스파우트(20)는 공급파이프(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밸브체(30)는 공급파이프(10) 및 스파우트(20)의 내부를 상호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체(30)는 스파우트(20)의 타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스파우트(20)와 한 몸체를 구성한다. 따라서 밸브체(30)는 스파우트(20)의 회전시 스파우트(20)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한다. 밸브체(30)는 전체적으로 볼(ball)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공급파이프(10)의 내측면에는 볼 형상의 밸브체(30)에 대응되며 밸브체(30)가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면(11)이 형성된다. 여기서 미끄럼 접촉면(11)은 밸브 시이트로서 기능하며, 밸브체(30)와 미끄럼 접촉면(11) 사이에는 적절한 공지의 실링수단이 구비되거나 미끄럼 접촉면이 패킹으로 구성되는 등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체(30)에는 연결유로(31)가 관통 형성된다. 연결유로(31)는 스파우트(20)의 내부와 연결된다.
한편, 스파우트(20)는 폐쇄위치 및 토출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스파우트(20)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폐쇄위치에 배치되면, 공급파이프(10) 및 스파우트(20)는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밸브체의 연결유로(31)는 미끄럼 접촉면(11)에 의해 막히게 되므로, 공급파이프(10)의 내부 및 스파우트(20)의 내부는 상호 차단되며 이에 따라 수돗물은 스파우트(20)를 통해 토출되지 않는다.
스파우트(20)를 폐쇄위치로부터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스파우트(20)의 중심축은 공급파이프(10)의 중심축과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되며, 스파우트(20)는 토출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스파우트(20)가 토출위치에 배치되면, 공급파이프(10)의 내부는 밸브체의 연결유로(31)를 통해 스파우트(20)의 내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수돗물은 스파우트(20)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파우트(20)가 폐쇄위치로부터 회전하기만 하면 스파우트(20)는 토출위치에 배치되며, 폐쇄위치로부터 회전각도가 증가하면 할수록 밸브체의 연결유로(31)가 미끄럼 접촉면(11)에 대해 개방되는 정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연결유로(31)로 유입되는 수돗물의 유량도 증가하게 된다. 특히, 도 4에는 밸브체(30)의 연결유로(31)가 미끄럼 접촉면(11)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며 연결유로(31)로 최대 유량의 수돗물이 유입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급수전(100)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파우트(20)가 폐쇄위치에 배치되면, 밸브체의 연결유로(31)의 단부가 미끄럼 접촉면(11)에 의해 폐쇄되므로, 공급파이프(10)의 내부는 스파우트(20)의 내부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급되는 수돗물은 스파우트(20)를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파우트(20)를 하방으로 눌러서 회전시키면, 밸브체(30)도 스파우트(20)와 함께 회전하므로, 밸브체의 연결유로(31) 단부가 미끄럼 접촉면(11)에 의해 완전히 막히지 않는다. 따라서 공급파이프(10)의 내부는 밸브체의 연결유로(31)를 통해 스파우트(20)의 내부와 연결되어, 수돗물은 스파우트의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된다. 특히 스파우트(20)의 회전각도가 도 3에 도시된 폐쇄위치로부터 증가하면 할수록 밸브체의 연결유로(31)의 개방 정도가 증가하여 토출되는 수돗물의 유량도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급수전은, 사용자가 스파우트(20)를 잡고 아래로 누르기만 하면 스파우트(20)가 회전하면서 토출구(21)를 통해 수돗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핸들이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게 되어 급수전의 구조가 간단해지며 그 제작비가 매우 절감된다. 특히 사용자는 스파우트(20)를 누르기만 하면 수돗물을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며 나아가 급수전의 조작이 직관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스파우트(20)의 회전에 연동되어 수돗물의 토출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토출방향이 변경되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돗물이 최대로 토출되더라도 수돗물이 종래의 개수대나 세면대의 표면에 수직으로 토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수돗물이 세면대나 개수대 등 외부로 튀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체와 스파우트가 한 몸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밸브체와 스파우트가 한 몸체로 구성되지 않고 스파우트의 회전에 연동되어 밸브체가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체가 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볼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파우트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스파우트는 좌우방향 또는 그 밖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파우트 및 밸브체가 한 몸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스파우트 및 밸브체가 별개의 부품으로 제조된 후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한 몸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공급파이프 11...미끄럼 접촉면
20...스파우트 21...토출구
30...밸브체 31...연결유로
100...급수전

Claims (3)

  1. 물이 공급되는 공급파이프;
    상기 공급파이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물이 토출되는 스파우트; 및
    상기 공급파이프 및 스파우트의 내부가 상호 연결되거나 차단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스파우트의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상기 스파우트에 연결되는 밸브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및 밸브체는 상기 스파우트의 회전에 연동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스파우트는 상기 공급파이프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공급파이프 및 스파우트가 상호 차단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공급파이프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공급파이프 및 스파우트의 내부가 상호 연결되는 토출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파우트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파우트와 한 몸체를 구성하며,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스파우트의 내부와는 연결되되 상기 공급파이프의 내부와는 상기 스파우트의 상기 공급파이프에 대한 회전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
KR1020100055872A 2010-06-14 2010-06-14 급수전 Expired - Fee Related KR101111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72A KR101111567B1 (ko) 2010-06-14 2010-06-14 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72A KR101111567B1 (ko) 2010-06-14 2010-06-14 급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087A KR20110136087A (ko) 2011-12-21
KR101111567B1 true KR101111567B1 (ko) 2012-02-24

Family

ID=4550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8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1567B1 (ko) 2010-06-14 2010-06-14 급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9549A3 (en) * 2020-01-06 2021-06-23 Xiamen Water Nymph Sanitary Technology Co. Ltd. Water outlet device and show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8543B2 (en) 2018-02-28 2022-08-09 Kohler Co. Articulating faucet
US10890277B2 (en) 2018-02-28 2021-01-12 Kohler Co. Articulating faucet with progressive magnetic joint
US11125365B2 (en) 2018-02-28 2021-09-21 Kohler Co. Magnetic joint
CN110548612B (zh) 2018-06-04 2021-09-03 科勒公司 铰接水龙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1760U (ja) 1984-04-05 1985-10-26 松下電工株式会社 蛇口取付型水栓
JPH05277039A (ja) * 1992-04-03 1993-10-26 Toto Ltd 洗面器
JP2000120112A (ja) 1998-10-19 2000-04-25 Yoshiaki Masuno 蛇 口
KR200388676Y1 (ko) 2005-04-07 2005-07-01 송재춘 개수대용 급수전의 방향절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1760U (ja) 1984-04-05 1985-10-26 松下電工株式会社 蛇口取付型水栓
JPH05277039A (ja) * 1992-04-03 1993-10-26 Toto Ltd 洗面器
JP2000120112A (ja) 1998-10-19 2000-04-25 Yoshiaki Masuno 蛇 口
KR200388676Y1 (ko) 2005-04-07 2005-07-01 송재춘 개수대용 급수전의 방향절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9549A3 (en) * 2020-01-06 2021-06-23 Xiamen Water Nymph Sanitary Technology Co. Ltd. Water outlet device and sh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087A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1623U (ja) 蛇口
CN107995879A (zh) 雾化喷嘴
KR101111567B1 (ko) 급수전
CN210421274U (zh) 一种全方位可旋转多功能出水龙头
JP5291327B2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0458414Y1 (ko) 음용수 일체형 수도꼭지
JP2003328408A (ja) 原水・処理水切替吐出装置
KR20120004030U (ko) 복수 방향의 토수 구조를 갖는 수도꼭지
KR200444870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유로선택 조절장치
CN104652545A (zh) 水栓装置
KR102483441B1 (ko) 배출부재가 결합되어 냉·온수 및 정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수전
JP4709266B2 (ja) 水栓設備における吐水装置
KR100896076B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KR20190034723A (ko) 복합형 수도꼭지
JP2005226409A (ja) 水栓設備における吐水装置
JP5106469B2 (ja) 水栓設備における吐水装置
KR200391526Y1 (ko) 수도밸브
KR200470166Y1 (ko) 샤워기용 수전밸브구조
KR200444965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수압조절장치
JP5931808B2 (ja) 2口の吐水口を有する水栓柱
KR20240081746A (ko) 수전금구류 토수방향전환용 멀티토출수전장치
CN118581955A (zh) 一种厨用万向清洗头
KR200349639Y1 (ko) 두 개의 토수구로 구성된 수도꼭지
KR101857349B1 (ko) 수전용 카트리지
JP2009040413A (ja) 洗車具及び洗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