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14062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062B1
KR101114062B1 KR1020107006434A KR20107006434A KR101114062B1 KR 101114062 B1 KR101114062 B1 KR 101114062B1 KR 1020107006434 A KR1020107006434 A KR 1020107006434A KR 20107006434 A KR20107006434 A KR 20107006434A KR 101114062 B1 KR101114062 B1 KR 101114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speed
car
emergency stop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696A (ko
Inventor
다이스케 오카다
히로시 기가와
다카하루 우에다
나오유키 마루야마
다쿠오 구기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1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rope or cable slack
    • B66B5/125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rope or cable slack electrical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비상멈춤장치는 작동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칸을 비상정지시킨다. 미끄러짐 감시장치는 제1 및 제2 속도검출기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쉬브에 대한 현가체의 미끄러짐의 정도에 관한 값인 미끄러짐 정도값을 연산한다. 또, 미끄러짐 감시장치는 미끄러짐 정도값이 제1 문턱값을 넘으면 권상기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키고, 미끄러짐 정도값이 제2 문턱값을 넘으면 작동신호에 의해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구동쉬브에 대한 현가체의 미끄러짐을 검출하여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보호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에 수반하여 회전되는 풀리의 회전속도와 속도지령 발생장치에서의 지령주행속도에 근거하여 쉬브에 대한 견인로프의 미끄러짐이 검출되고, 미끄러짐 속도가 설정값을 넘으면, 쉬브가 비상정지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브레이크장치에서는 속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문턱값을 넘으면, 안전제어장치에 의해 기동(起動)신호가 발생된다. 기동신호가 발생되면, 마찰브레이크가 가이드레일에 밀어붙여져, 엘리베이터칸이 제동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1]일본국특개소59-230981호공보 [특허문헌2]일본국특표2002-532366호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보호장치 및 안전브레이크장치에서는 속도가 작은 로프 미끄러짐을 검출하지 못하고, 쉬브와의 누적적인 마찰에 의한 로프수명의 저하나 로프파단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구동쉬브에 대한 현가체의 과대한 미끄러짐에 의한 현가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가체의 미소한 미끄러짐에 의한 현가체의 누적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쉬브를 가지는 권상기, 구동쉬브에 감겨져 있는 현가체, 현가체에 의해 매달려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엘리베이터칸에 탑재되어 작동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칸을 비상정지시키는 비상멈춤장치, 권상기의 회전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속도검출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속도검출기 및 제1 및 제2 속도검출기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쉬브에 대한 현가체의 미끄러짐의 정도에 관한 값인 미끄러짐 정도값을 연산하고, 미끄러짐 정도값이 제1 문턱값을 넘으면 권상기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키며, 미끄러짐 정도값이 제1 문턱값보다도 큰 미끄러짐 정도에 대응하는 제2 문턱값을 넘으면, 작동신호에 의해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키는 미끄러짐 감시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미끄러짐 판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4의 미끄러짐 판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6의 미끄러짐 판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의 상부에는 권상기(1)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는 전동기(2), 전동기(2)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쉬브(3) 및 구동쉬브(3)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4)를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구동쉬브(3)는 전동기(2)의 회전축에 직결(直結)되어 전동기(2)의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된다. 통상 운전시에는, 권상기 브레이크(4)는 전동기(2) 및 구동쉬브(3)의 회전이 정지되었을 때에 그들의 정지상태를 유지한다(정지유지).
권상기(1)에는 권상기(1)의 회전속도, 즉 구동쉬브(3)의 회전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속도검출기(5)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속도검출기(5)로서는, 예를 들면 전동기(2)의 회전축에 설치된 엔코더(권상기 엔코더)가 이용되고 있다.
권상기(1)의 근방에는 디플렉션 쉬브(6)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쉬브(3) 및 디플렉션 쉬브(6)에는 현가체(7)가 감겨져 있다. 현가체(7)는 복수 개의 메인로프를 포함하고 있다. 또, 메인로프로서는, 예를 들면, 단면 원형의 로프 또는 편평(扁平)한 단면을 가지는 벨트를 이용할 수 있다.
현가체(7)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7)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8) 및 균형추(9)는 현가체(7)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려 권상기(1)에 의해 승강된다.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0)과,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8)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10)에 결합하여 엘리베이터칸(8)을 비상정지시키는 비상멈춤장치(11)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멈춤장치(11)는 전기적인 작동신호에 따라 비상멈춤장치(11)를 작동시키기 위한 비상멈춤 구동부(11a)를 가지고 있다. 비상멈춤 구동부(11a)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액츄에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조속기(12)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2)는 조속기쉬브(13)와 로프파지장치(14)를 가지고 있다. 조속기쉬브(13)에는 조속기로프(15)가 감겨져 있다. 조속기로프(15)의 양단부는 연결봉(16)을 통하여 비상멈춤장치(11)에 연결되어 있다. 조속기로프(15)의 하단부는 승강로의 하부에 설치된 텐션쉬브(17)에 감겨져 있다.
조속기로프(15)는 엘리베이터칸(8)의 승강에 수반하여 순환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쉬브(13)는 엘리베이터칸(8)의 주행속도에 따른 속도로 회전된다. 엘리베이터칸(8)의 주행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과속도에 이르면, 이것이 조속기(12)에 의해 검출되어 권상기(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급정지된다. 이 때, 전동기(2)로의 통전이 차단됨과 동시에, 권상기 브레이크(4)에 의해 전동기(2) 및 구동쉬브(3)의 회전이 마찰 제동된다.
또, 엘리베이터칸(8)의 주행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과속도(제2 과속도 > 제1 과속도)에 이르면, 이것이 조속기(12)에 의해 검출되어 로프파지장치(14)에 의해 조속기로프(15)가 파지되어 조속기로프(15)의 순환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연결봉(16)을 통하여 비상멈춤장치(11)가 기계적으로 조작되어 비상멈춤장치(1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이 비상정지된다.
조속기(12)에는 조속기쉬브(13)의 회전속도에 따른 신호, 즉 엘리베이터칸(8)의 주행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속도검출기(18)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속도검출기(18)로서는, 예를 들면 조속기쉬브(13)의 회전축에 설치된 엔코더(조속기 엔코더)가 이용되고 있다.
제1 및 제2 속도검출기(5, 18)로부터의 신호는 미끄러짐 감시장치인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에 입력된다.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제1 및 제2 속도검출기(5, 18)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쉬브(3)에 대한 현가체(7)의 미끄러짐의 정도에 관한 값인 미끄러짐 정도값을 연산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미끄러짐 정도값으로서, 구동쉬브(3)에 대한 현가체(7)의 미끄러짐 속도를 연산한다.
또,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현가체(7)의 미끄러짐 속도가 제1 속도문턱값(제1 문턱값)을 넘으면, 권상기(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킨다. 또한,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현가체(7)의 미끄러짐 속도가 제1 속도문턱값보다도 큰 제2 속도문턱값(제2 문턱값)을 넘으면, 비상멈춤 구동부(11a)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미끄러짐 속도연산부(20)와 미끄러짐 판정부(21)를 가지고 있다. 미끄러짐 속도연산부(20)는 제1 및 제2 속도검출기(5, 18)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쉬브(3)에 대한 현가체(7)의 미끄러짐 속도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속도검출기(5)에서의 검출속도를 V1, 제2 속도검출기(18)에서의 검출속도를 V2로 하면, 미끄러짐 속도 δV는, δV = │V1 - V2│로 구해진다.
미끄러짐 판정부(21)에는 미끄러짐 속도연산부(20)에서의 연산결과와, 엘리베이터 가동상황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가동상황에 관한 정보에는 비상정지신호가 발생되어 있는지 여부의 정보, 즉 권상기 브레이크(4)가 비상제동동작 중인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미끄러짐 판정부(21)는 미끄러짐 속도연산부(20)에서 구해진 미끄러짐 속도를 제1 및 제2 속도문턱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와 엘리베이터 가동상황에 따라 각종 안전장치 작동부(22)에 대해서 지령을 출력한다.
여기서,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미끄러짐 속도연산부(20) 및 미끄러짐 판정부(21)의 기능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미끄러짐 속도연산부(20) 및 미끄러짐 판정부(21)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미끄러짐 판정부(2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미끄러짐 판정부(21)는 우선 비상정지신호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1). 비상정지신호가 발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끄러짐 속도가 제1 속도문턱값(Va)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 미끄러짐 속도가 제1 속도문턱값(Va) 이하이면, 통상 운전을 계속한다.
미끄러짐 속도가 제1 속도문턱값(Va)을 넘고 있는 경우, 제1 속도문턱값(Va)을 넘은 누적회수(C1)에 +1을 카운트하고(스텝 S3), 지정층 정지지령을 발생한다(스텝 S4). 지정층 정지지령이 발생되면, 엘리베이터칸(8)이 소정의 층으로 이동되어 정지된다. 엘리베이터칸(8)을 정지시키는 층은, 예를 들면, 현관층 등의 미리 설정된 층 또는 가장 가까운 층이다.
지정층 정지지령을 출력한 후, 미끄러짐 판정부(21)는 미끄러짐 속도가 제2 속도문턱값(Vb)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 미끄러짐 속도가 제2 속도문턱값(Vb)을 넘고 있는 경우, 현가체(7)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권상기 비상정지지령과 비상멈춤 작동지령(작동신호)을 발생한다(스텝 S6). 권상기 비상정지지령이 발생되면, 전동기(2)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권상기 브레이크(4)에 의해 구동쉬브(3)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비상멈춤 작동지령이 발생되면, 비상멈춤 구동부(11a)에 의해 비상멈춤장치(11)가 제동동작된다.
한편, 미끄러짐 속도가 제2 속도문턱값(Vb)을 넘지 않은 경우, 누적회수(C1)가 미리 설정된 규정값(α)을 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7). C1이 α이하인 경우, 엘리베이터칸(8)의 운전은 엘리베이터칸(8)이 지정층에 정지된 후에 통상 운전으로 복귀된다. 또, C1이 α를 넘은 경우, 현가체(7)의 손상이 축적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지정층에 정지된 후에 비상멈춤 작동지령을 발생하여(스텝 S8), 보수원에 의한 보수점검대기가 된다.
이상은 비상정지신호가 발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동작이지만, 비상정지신호가 발생되어 있는 경우도, 우선은 미끄러짐 속도가 제1 속도문턱값(Va)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9). 미끄러짐 속도가 제1 속도문턱값(Va) 이하이면, 미끄러짐 속도가 제2 속도문턱값(Vb)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
또, 미끄러짐 속도가 제1 속도문턱값(Va)을 넘고 있는 경우, 누적회수(C1)에 +1을 카운트하고 나서(스텝 S10), 미끄러짐 속도가 제2 속도문턱값(Vb)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
미끄러짐 속도가 제2 속도문턱값(Vb)을 넘고 있는 경우, 현가체(7)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비상멈춤 작동지령을 발생한다(스텝 S12). 미끄러짐 속도가 제2 속도문턱값(Vb)을 넘지 않은 경우, 누적회수(C1)가 미리 설정된 규정값(α)을 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 C1이 α이하인 경우, 비상멈춤장치(11)는 미작동인 채, 비상정지신호에 의한 비상정지상태의 복구대기가 된다. 또, C1이 α를 넘은 경우, 현가체(7)의 손상이 축적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권상기(1)에 의한 비상정지 후, 비상멈춤 작동지령을 발생하여(스텝 S14), 보수원에 의한 보수점검대기가 된다.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상기와 같은 판정동작을 소정의 주기로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속도검출기(5, 18)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쉬브(3)에 대한 현가체(7)의 미끄러짐 속도를 연산하고, 미끄러짐 속도가 제1 속도문턱값(Va)을 넘으면 권상기(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을 지정층에 정지시키고, 미끄러짐 속도가 제2 속도문턱값(Vb)을 넘으면 비상멈춤 구동부(11a)에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비상멈춤장치(11)를 작동시키므로, 구동쉬브(3)에 대한 현가체(7)의 과대한 미끄러짐에 의한 현가체(7)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가체(7)의 미소한 미끄러짐에 의한 현가체(7)의 누적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권상기 브레이크(4)의 비상제동동작 중에 미끄러짐 속도가 제1 속도문턱값(Va)을 넘은 경우, 지정층 정지동작보다도 권상기 브레이크(4)에 의한 비상제동동작을 우선시키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끄러짐 속도가 제1 속도문턱값(Va)을 넘은 회수(C1)가 미리 설정된 규정값(α)을 넘으면, 엘리베이터칸(8)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킨 후, 비상멈춤장치(11)를 작동시키므로, 미소한 미끄러짐에 기인하는 현가체(7)의 누적손상을 조기에 검지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서비스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러짐 속도가 제1 속도문턱값(Va)을 넘은 회수(C1)는 누적적인 미끄러짐 양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예를 들면 미끄러짐 속도(δV)의 누적값이라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1 속도문턱값(Va)을 넘은 미끄러짐 속도(δV)의 누적값이 미리 설정된 규정값을 넘으면, 엘리베이터칸(8)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킨 후, 비상멈춤장치(11)를 작동시킨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형태 2에서는,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미끄러짐 정도값으로서, 구동쉬브(3)에 대한 현가체(7)의 미끄러짐 거리를 연산한다. 또,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현가체(7)의 미끄러짐 거리가 제1 거리문턱값(제1 문턱값)을 넘으면, 권상기(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킨다. 또한,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현가체(7)의 미끄러짐 거리가 제1 거리문턱값보다도 큰 제2 거리문턱값(제2 문턱값)을 넘으면, 비상멈춤 구동부(11a)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더욱이 또한,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미끄러짐 거리연산부(23)와 미끄러짐 판정부(21)를 가지고 있다. 미끄러짐 거리연산부(23)는 제1 및 제2 속도검출기(5, 18)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쉬브(3)에 대한 현가체(7)의 미끄러짐 거리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속도검출기(5)로의 검출속도를 V1, 제2 속도검출기(18)로의 검출속도를 V2, 일정 거리만큼 주행한 시간을 Δt로 하면, 미끄러짐 거리 δX는,
δX = ∫|V1 - V2|dt, 또는, δX = ∫|V1 - V2|Δt
로 구해진다.
또, 미끄러짐 거리연산부(23)는 엘리베이터칸(8)의 기동마다 미끄러짐 거리(δX)를 초기값으로 되돌린다. 여기서는, 미끄러짐 거리연산부(23)는, 통상 정지상태로부터 엘리베이터칸(8)이 주행을 개시하기 직전에 출력되는 미끄러짐 거리(δX)의 리셋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오차누적에 수반하는 오작동이 방지된다.
미끄러짐 판정부(21)는 미끄러짐 거리연산부(23)에서 구해진 미끄러짐 거리를 제1 및 제2 거리문턱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와 엘리베이터 가동상황에 따라 각종 안전장치 작동부(22)에 대해서 지령을 출력한다.
여기서,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미끄러짐 거리연산부(23) 및 미끄러짐 판정부(21)의 기능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미끄러짐 거리연산부(23) 및 미끄러짐 판정부(21)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도 5는 도 4의 미끄러짐 판정부(2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미끄러짐 판정부(21)는 우선 비상정지신호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21). 비상정지신호가 발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끄러짐 거리가 제1 거리문턱값(Xa)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2). 미끄러짐 거리가 제1 거리문턱값(Xa) 이하이면, 통상 운전을 계속한다.
미끄러짐 거리가 제1 거리문턱값(Xa)을 넘고 있는 경우, 제1 거리문턱값(Xa)을 넘은 누적회수(C2)에 +1을 카운트하고(스텝 S23), 지정층 정지지령을 발생한다(스텝 S24). 지정층 정지지령이 발생되면, 엘리베이터칸(8)이 소정의 층으로 이동되어 정지된다. 엘리베이터칸(8)을 정지시키는 층은, 예를 들면, 현관층 등의 미리 설정된 층 또는 가장 가까운 층이다.
지정층 정지지령을 출력한 후, 미끄러짐 판정부(21)는 미끄러짐 거리가 제2 거리문턱값(Xb)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5). 미끄러짐 거리가 제2 거리문턱값(Xb)을 넘고 있는 경우, 현가체(7)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권상기 비상정지지령과 비상멈춤 작동지령(작동신호)을 발생한다(스텝 S26). 권상기 비상정지지령이 발생되면, 전동기(2)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권상기 브레이크(4)에 의해 구동쉬브(3)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비상멈춤 작동지령이 발생되면, 비상멈춤 구동부(11a)에 의해 비상멈춤장치(11)가 제동동작된다.
한편, 미끄러짐 거리가 제2 거리문턱값(Xb)을 넘지 않은 경우, 누적회수(C2)가 미리 설정된 규정값(β)을 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7). C2가 β이하인 경우, 엘리베이터칸(8)의 운전은 엘리베이터칸(8)이 지정층에 정지된 후에 통상 운전으로 복귀된다. 또, C2가 β를 넘은 경우, 현가체(7)의 손상이 축적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지정층에 정지된 후에 비상멈춤 작동지령을 발생하여(스텝 S28), 보수원에 의한 보수점검대기가 된다.
이상은 비상정지신호가 발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동작이지만, 비상정지신호가 발생되어 있는 경우도, 우선은 미끄러짐 거리가 제1 거리문턱값(Xa)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9). 미끄러짐 거리가 제1 거리문턱값(Xa) 이하이면, 미끄러짐 거리가 제2 거리문턱값(Xb)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1).
또, 미끄러짐 거리가 제1 거리문턱값(Xa)을 넘고 있는 경우, 누적회수(C2)에 +1을 카운트하고 나서(스텝 S30), 미끄러짐 거리가 제2 거리문턱값(Xb)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1).
미끄러짐 거리가 제2 거리문턱값(Xb)을 넘고 있는 경우, 현가체(7)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비상멈춤 작동지령을 발생한다(스텝 S32). 미끄러짐 거리가 제2 거리문턱값(Xb)을 넘지 않은 경우, 누적회수(C2)가 미리 설정된 규정값(β)을 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3). C2가 β이하인 경우, 비상멈춤장치(11)는 미작동인 채, 비상정지신호에 의한 비상정지상태의 복구대기가 된다. 또, C2가 β를 넘은 경우, 현가체(7)의 손상이 축적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권상기(1)에 의한 비상정지 후, 비상멈춤 작동지령을 발생하여(스텝 S34), 보수원에 의한 보수점검대기가 된다.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상기와 같은 판정동작을 소정의 주기로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속도검출기(5, 18)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쉬브(3)에 대한 현가체(7)의 미끄러짐 거리를 연산하고, 미끄러짐 거리가 제1 거리문턱값(Xa)을 넘으면 권상기(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을 지정층에 정지시키며, 미끄러짐 거리가 제2 거리문턱값(Xb)을 넘으면 비상멈춤 구동부(11a)에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비상멈춤장치(11)를 작동시키므로, 구동쉬브(3)에 대한 현가체(7)의 과대한 미끄러짐에 의한 현가체(7)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가체(7)의 미소한 미끄러짐에 의한 현가체(7)의 누적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권상기 브레이크(4)의 비상제동동작 중에 미끄러짐 거리가 제1 거리문턱값(Xa)을 넘은 경우, 지정층 정지동작보다 권상기 브레이크(4)에 의한 비상제동동작을 우선시키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끄러짐 거리가 제1 거리문턱값(Xa)을 넘은 회수(C1)가 미리 설정된 규정값(β)을 넘으면, 엘리베이터칸(8)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킨 후, 비상멈춤장치(11)를 작동시키므로, 미소한 미끄러짐에 기인하는 현가체(7)의 누적손상을 조기에 검지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서비스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러짐 거리가 제1 거리문턱값(Xa)을 넘은 회수(C1)는 누적적인 미끄러짐 양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예를 들면 미끄러짐 거리(δX)의 누적값이라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1 거리문턱값(Xa)을 넘은 미끄러짐 거리(δX)의 누적값이 미리 설정된 규정값을 넘으면, 엘리베이터칸(8)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킨 후, 비상멈춤장치(11)를 작동시킨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형태 3에서는,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미끄러짐 정도값으로서 구동쉬브(3)에 대한 현가체(7)의 미끄러짐 거리 및 미끄러짐 속도를 연산한다. 또,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현가체(7)의 미끄러짐 거리가 거리문턱값(제1 문턱값)을 넘으면, 권상기(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킨다. 또한,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현가체(7)의 미끄러짐 속도가 속도문턱값(제2 문턱값)을 넘으면, 비상멈춤 구동부(11a)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속도문턱값은 거리문턱값보다도 큰 미끄러짐 정도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속도문턱값은 거리문턱값을 단위시간(규정시간)에 제산(除算)한 값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미끄러짐 속도연산부(20), 미끄러짐 거리연산부(23) 및 미끄러짐 판정부(21)를 가지고 있다. 미끄러짐 속도연산부(20)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가체(7)의 미끄러짐 속도를 연산한다. 미끄러짐 거리연산부(23)는,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현가체(7)의 미끄러짐 거리를 연산한다.
미끄러짐 판정부(21)는 미끄러짐 거리연산부(23)에서 구해진 미끄러짐 거리를 거리문턱값과 비교함과 동시에, 미끄러짐 속도연산부(20)에서 구해진 미끄러짐 속도를 속도문턱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와 엘리베이터 가동상황에 따라 각종 안전장치 작동부(22)에 대해서 지령을 출력한다.
여기서,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미끄러짐 속도연산부(20), 미끄러짐 거리연산부(23) 및 미끄러짐 판정부(21)의 기능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또, 마이크로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미끄러짐 속도연산부(20), 미끄러짐 거리연산부(23) 및 미끄러짐 판정부(21)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도 7은 도 6의 미끄러짐 판정부(2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미끄러짐 판정부(21)는, 우선 비상정지신호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41). 비상정지신호가 발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미끄러짐 거리가 거리문턱값(Xc)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2). 미끄러짐 거리가 거리문턱값(Xc) 이하이면, 통상 운전을 계속한다.
미끄러짐 거리가 거리문턱값(Xc)을 넘고 있는 경우, 거리문턱값(Xc)을 넘은 누적회수(C3)에 +1을 카운트하여(스텝 S43), 지정층 정지지령을 발생한다(스텝 S44). 지정층 정지지령이 발생되면, 엘리베이터칸(8)이 소정의 층으로 이동되어 정지된다. 엘리베이터칸(8)을 정지시키는 층은, 예를 들면, 현관층 등의 미리 설정된 층 또는 가장 가까운 층이다.
지정층 정지지령을 출력한 후, 미끄러짐 판정부(21)는 미끄러짐 속도가 속도문턱값(Vc)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5). 미끄러짐 속도가 속도문턱값(Vc)을 넘고 있는 경우, 현가체(7)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권상기 비상정지지령과 비상멈춤 작동지령(작동신호)을 발생한다(스텝 S46). 권상기 비상정지지령이 발생되면, 전동기(2)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권상기 브레이크(4)에 의해 구동쉬브(3)의 회전이 제동된다. 또, 비상멈춤 작동지령이 발생되면, 비상멈춤 구동부(11a)에 의해 비상멈춤장치(11)가 제동동작된다.
한편, 미끄러짐 속도가 속도문턱값(Vc)을 넘지 않은 경우, 누적회수(C3)가 미리 설정된 규정값(γ)을 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7). C3가 γ이하인 경우, 엘리베이터칸(8)의 운전은 엘리베이터칸(8)이 지정층에 정지된 후에 통상 운전으로 복귀된다. 또, C3가 γ를 넘은 경우, 현가체(7)의 손상이 축적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엘리베이터칸(8)이 지정층에 정지된 후에 비상멈춤 작동지령을 발생하여(스텝 S48), 보수원에 의한 보수점검대기가 된다.
이상은 비상정지신호가 발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동작이지만, 비상정지신호가 발생되어 있는 경우도, 우선은 미끄러짐 거리가 거리문턱값(Xc)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9). 미끄러짐 거리가 거리문턱값(Xc) 이하이면, 미끄러짐 속도가 속도문턱값(Vc)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1).
또, 미끄러짐 거리가 거리문턱값(Xc)을 넘고 있는 경우, 누적회수(C3)에 +1을 카운트하고 나서(스텝 S50), 미끄러짐 속도가 속도문턱값(Vc)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1).
미끄러짐 속도가 속도문턱값(Vc)을 넘고 있는 경우, 현가체(7)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비상멈춤 작동지령을 발생한다(스텝 S52). 미끄러짐 속도가 속도문턱값(Vc)을 넘지 않은 경우, 누적회수(C3)가 미리 설정된 규정값(γ)을 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3). C3가 γ이하인 경우, 비상멈춤장치(11)는 미작동인 채, 비상정지신호에 의한 비상정지상태의 복구대기가 된다. 또, C3가 γ를 넘은 경우, 현가체(7)의 손상이 축적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권상기(1)에 의한 비상정지 후, 비상멈춤 작동지령을 발생하여(스텝 S54), 보수원에 의한 보수점검대기가 된다.
비상멈춤작동 지령장치(19)는 상기와 같은 판정동작을 소정의 주기로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속도검출기(5, 18)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쉬브(3)에 대한 현가체(7)의 미끄러짐 거리 및 미끄러짐 속도를 연산하고, 미끄러짐 거리가 거리문턱값(Xc)을 넘으면 권상기(1)에 의해 엘리베이터칸(8)을 지정층에 정지시키며, 미끄러짐 속도가 속도문턱값(Vc)을 넘으면 비상멈춤 구동부(11a)에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비상멈춤장치(11)를 작동시키므로, 구동쉬브(3)에 대한 현가체(7)의 과대한 미끄러짐에 의한 현가체(7)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가체(7)의 미소한 미끄러짐에 의한 현가체(7)의 누적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권상기 브레이크(4)의 비상제동동작 중에 미끄러짐 거리가 거리문턱값(Xc)을 넘은 경우, 지정층 정지동작보다 권상기 브레이크(4)에 의한 비상제동동작을 우선시키므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끄러짐 거리가 거리문턱값(Xc)을 넘은 회수(C3)가 미리 설정된 규정값(γ)을 넘으면, 엘리베이터칸(8)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킨 후, 비상멈춤장치(11)를 작동시키므로, 미소한 미끄러짐에 기인하는 현가체(7)의 누적손상을 조기에 검지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서비스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1:1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지만, 다른 로핑방식이라도 된다.
또, 작동신호는 전기신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광신호 등이라도 된다.
또한, 제2 속도검출기는 조속기 엔코더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속도를 직접 검출하는 센서 또는 현가체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Claims (5)

  1. 구동쉬브를 가지는 권상기,
    상기 구동쉬브에 감겨져 있는 현가체,
    현가체에 의해 매달려 상기 권상기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칸,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탑재되어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비상정지시키는 비상멈춤장치,
    상기 권상기의 회전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속도검출기,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주행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속도검출기, 및
    상기 제1 및 제2 속도검출기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쉬브에 대한 상기 현가체의 미끄러짐의 정도에 관한 값인 미끄러짐 정도값을 연산하고, 상기 미끄러짐 정도값이 제1 문턱값을 넘으면 상기 권상기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키며, 상기 미끄러짐 정도값이 상기 제1 문턱값보다도 큰 미끄러짐 정도에 대응하는 제2 문턱값을 넘으면 상기 작동신호에 의해 상기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키는 미끄러짐 감시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미끄러짐 감시장치는 상기 미끄러짐 정도값으로서, 상기 구동쉬브에 대한 상기 현가체의 미끄러짐 속도 및 미끄러짐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미끄러짐 거리를 상기 제1 문턱값인 거리문턱값과 비교하며, 상기 미끄러짐 속도를 상기 제2 문턱값인 속도문턱값과 비교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러짐 감시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기동(起動)마다 상기 미끄러짐 거리를 초기값으로 되돌리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에는 상기 구동쉬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의 비상제동동작 중에 상기 미끄러짐 정도값이 상기 제1 문턱값을 넘은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키는 동작보다도 상기 권상기 브레이크에 의한 비상제동동작을 우선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러짐 감시장치는 상기 미끄러짐 정도값이 상기 제1 문턱값을 넘은 회수가 미리 설정된 규정값을 넘으면,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킨 후, 상기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러짐 감시장치는 상기 제1 문턱값을 넘은 상기 미끄러짐 정도값의 누적값이 미리 설정된 규정값을 넘으면,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소정의 층에 정지시킨 후, 상기 비상멈춤장치를 작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07006434A 2007-12-19 2007-12-19 엘리베이터 장치 KR101114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74410 WO2009078100A1 (ja) 2007-12-19 2007-12-19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696A KR20100061696A (ko) 2010-06-08
KR101114062B1 true KR101114062B1 (ko) 2012-02-22

Family

ID=4079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434A KR101114062B1 (ko) 2007-12-19 2007-12-19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86768B1 (ko)
JP (1) JP5164995B2 (ko)
KR (1) KR101114062B1 (ko)
CN (1) CN101827771B (ko)
WO (1) WO2009078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048A1 (ja) * 2008-09-01 2010-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1979299A (zh) * 2010-10-29 2011-02-23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限速器
JP5616286B2 (ja) * 2011-05-11 2014-10-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EP2774886B1 (en) * 2013-03-04 2015-11-18 Kone Corporation Traction sheave elevator
CN103278325A (zh) * 2013-06-13 2013-09-04 金石机器人常州有限公司 垂直运动部件坠落监测系统及其方法
EP2865629B1 (en) * 2013-10-24 2016-11-30 Kone Corporation Stall condition detection
JP6058160B2 (ja) * 2013-12-05 2017-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55060B1 (ko) 2014-05-07 2014-10-28 (주)성풍건설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및 이의 추락방지 방법
WO2015173913A1 (ja) * 2014-05-14 2015-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6132484A1 (ja) * 2015-02-18 2016-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診断装置
CN109195897B (zh) * 2016-07-22 2021-04-06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
JP7147861B2 (ja) * 2018-10-19 2022-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劣化予測システム
CN109399414B (zh) * 2018-10-23 2021-05-11 永大电梯设备(中国)有限公司 一种轿厢位置矫正的方法
CN110422720A (zh) * 2019-08-20 2019-11-08 武汉市云竹机电新技术开发有限公司 垂直提升全程超速保护系统
CN112441493B (zh) * 2020-11-20 2022-05-13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用安全性能高的无机房电梯及使用方法
CN113979260B (zh) * 2021-10-27 2023-06-02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电梯超速保护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170873A1 (ja) * 2022-03-10 2023-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15028039A (zh) * 2022-06-15 2022-09-09 永大电梯设备(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曳引装置的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3052A (en) * 1976-04-06 1977-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Safety device for elevator
JPH06144721A (ja) * 1992-10-30 1994-05-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940333A (ja) * 1995-08-02 1997-02-10 Meidensha Corp 垂直搬送装置のすべり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7285A (ja) * 1983-03-25 1984-10-06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保護装置
JPS59186877A (ja) * 1983-04-05 1984-10-23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保護装置
JPS59230981A (ja) * 1983-06-14 1984-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保護装置
JPH0733222B2 (ja) * 1987-12-25 1995-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38681A (ja) * 1989-06-02 1991-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主索滑り検出装置
JPH0346984A (ja) * 1989-07-12 1991-02-2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シーブ空転防止装置
JPH04125273A (ja) * 1990-09-14 1992-04-2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JPH09194158A (ja) * 1996-01-18 1997-07-2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綱車の空転防止装置
JP2000118903A (ja) * 1998-10-12 2000-04-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
JP4249364B2 (ja) * 2000-02-28 2009-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267335B2 (ja) * 2003-01-30 2009-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動制御装置
WO2005115902A1 (ja) * 2004-05-28 2005-12-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WO2006027841A1 (ja) * 2004-09-09 2006-03-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JP4705407B2 (ja) * 2005-05-13 2011-06-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050362B2 (ja) * 2006-02-08 2012-10-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JP5079351B2 (ja) * 2007-02-20 2012-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08155853A1 (ja) * 2007-06-21 2008-12-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及びロープスリップ検出方法
JP2009023768A (ja) * 2007-07-18 2009-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スリップ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3052A (en) * 1976-04-06 1977-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Safety device for elevator
JPH06144721A (ja) * 1992-10-30 1994-05-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940333A (ja) * 1995-08-02 1997-02-10 Meidensha Corp 垂直搬送装置のすべり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78100A1 (ja) 2011-04-28
EP2186768A1 (en) 2010-05-19
CN101827771A (zh) 2010-09-08
EP2186768A4 (en) 2014-01-01
EP2186768B1 (en) 2016-04-20
KR20100061696A (ko) 2010-06-08
JP5164995B2 (ja) 2013-03-21
CN101827771B (zh) 2013-04-17
WO2009078100A1 (ja)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06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2737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67589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37139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38627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9981825B2 (en) Monitoring elevator traction rope
JP5120811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90930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4097373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15551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06103768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2079222A (zh) 电梯
CN107207198B (zh) 电梯的诊断装置
JP2009286525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動機能検査方法
JP49170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2127560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2912328B (zh) 电梯的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