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582B1 - Lane Regulator - Google Patents
Lane Regul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2582B1 KR101102582B1 KR1020090019350A KR20090019350A KR101102582B1 KR 101102582 B1 KR101102582 B1 KR 101102582B1 KR 1020090019350 A KR1020090019350 A KR 1020090019350A KR 20090019350 A KR20090019350 A KR 20090019350A KR 101102582 B1 KR101102582 B1 KR 1011025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rod
- circumference
- lane
- b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순간에 표지봉이 받침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격을 완충시켜 표지봉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노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부볼을 포함하는 볼축부가 구비되고 철판으로 구성된 받침판과, 상기 상부볼을 이탈되지 않게 감싸는 연결수단을 통해 유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받침판의 상면에 자력을 통해 부착되는 하부 고정체와, 하부 고정체의 상부에 돌출 구비되는 표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regulating rod which can prevent damage to the cover rod by cushioning the shock while preventing the cover ro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at the moment of collision of the vehicle. A lower plate which is provided with a shaft and is formed of a steel plate, and which is movable through a connecting means surrounding the upper ball so as not to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y magnetic force, and provided with a protrus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rod.
차선, 규제봉, 연결수단, 볼축부, 상부볼 Lanes, Regulators, Connections, Ball Shafts, Upper Balls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 순간에 표지봉이 받침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격을 완충하여 표지봉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regulating r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e regulating rod capable of buffering an impact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cover rod by preventing the cover rod from escaping from the support plate at the moment of collision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선 규제봉이라 함은, 차도를 구획하거나 차도와 인도를 구획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탄력봉이나 합성수지관으로 구성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In general, a lane control rod is widely used to partition a roadway or a roadway and a sidewalk, and it is widely known that an elastic rod or a synthetic resin pipe is formed.
이에 종래의 차선 규제봉의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19084호의 "차선 규제봉"(이하, "종래의 차선 규제봉"이라 한다)이 알려져 있다.Accordingly, as an example of the conventional lane regulating rod, the "lane regulating r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ditional lane regulating rod")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19084 is known.
도 7은 종래의 차선 규제봉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종래의 차선 규제봉은, 받침판(100)의 상부 중앙에 일정길이의 표지봉(200)이 수직방향으로 마련되고, 표지봉(200)의 둘레에 다수의 표지링(201)이 상하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표지봉(200)의 내부 하단부에 영구자석(300)을 설치하고, 받침판(100)의 상부 중앙에 마련되는 표지봉 수납홈(101)의 외측 둘레 영구자석(300)과 대응되는 금속링(102)을 설치하며, 표지봉(200)의 하단부와 받침판(100)의 사이에 연결끈(40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ne regulating rod, a conventional lane regulating rod, a
따라서, 상기와 같은 차선 규제봉은, 차량의 충돌시 표지봉(200)이 충돌 충격에 의해 멀리 날아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표지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Therefore, the lane control rod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cover rod by preventing the
그러나, 종래의 차선 규체봉을 시공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when the conventional lane boring rod is used for construction.
먼저 표지봉에 충격이 가해지는 순간에 충격을 완충할 수 없음에 따라서, 표지봉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First, as the shock cannot be buffered at the moment when the shock is applied to the cover rod, the cover rod is easily damaged.
또 받침판의 내부인 수납홈의 둘레에 별도의 금속링을 고정해야 함으로써, 제작상에 많은 공정이 필요함에 따라 제작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a separate metal ring should be fixed around the accommodating groove, which is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thus ha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s many processes are required for manufacturing.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표지봉이 차량과 충돌되는 순간에 표지봉과 하부 고정체를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e control rod that can buffer the cover rod and the lower fixture at the moment when the cover rod collides with the vehicle.
또한 받침판을 자석에 붙는 철판으로 구성하여 제작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There is also another purpose to simplify the fabrication of the supporting plate by the iron plate attached to the magn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부볼을 포함하는 볼축부가 구비되고 철판으로 구성된 받침판과; 상기 상부볼을 이탈되지 않게 감싸는 연결수단을 통해 유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받침판의 상면에 자력을 통해 부착되도록 상기 연결수단이 중앙에 구비된 수평판과, 수평판의 하부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에 부착되는 자석부와, 상기 수평판의 둘레를 감싸며 구비되어 표지봉의 하부 둘레가 삽입 고정되는 둘레 고정부를 포함하는 하부 고정체와; 하부 고정체의 상부에 돌출 구비되는 표지봉;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수단은, 수평판의 중앙에 하부 개방부를 가지며 상부로 함몰 구비되어 상기 상부볼이 유동공간을 가지며 삽입되는 삽입홈과, 볼에 관통되어 볼축부에 장착되어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하부 개방부를 막는 탄성 고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ixed to the road surface and the center is provided with a ball shaft portion including an upper ball and a support plate consisting of an iron plate; A horizontal plate provided in the center so as to allow flow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surrounding the upper ball so as not to be separated and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by a magnetic force, and a lower circumference of the horizontal plate provided on the supporting plate. A lower fixture including a magnet portion to be attached and a circumferential fixing portion provided to surround a circumference of the horizontal plate and into which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cover rod is inserted and fixed; And a cover rod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ixing body,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upper ball has a flow space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having a lower opening in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rubber plate penetrated in the ball shaft to block the lower opening through the fixing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표지봉이 차량과 충돌되는 순간에 표지봉과 하부 고정체를 완충시켜 표지봉과 하부 고정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규제봉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o provide a lane control rod to buffer the cover rod and the lower fixture at the moment when the cover rod collides with the vehicle to prevent damage to the cover rod and the lower fixture.
또한 받침판을 자석에 붙는 철판으로 구성하여 제작을 간단히 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저가의 차선 규제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w-cost lane control rod having a price competitiveness by simplifying the production by forming a support plate made of an iron plate attached to a magne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ne regula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ne regula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이에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은, 노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부볼(21)을 포함하는 볼축부(2)가 구비되고 철판으로 구성된 받침판(1)과, 상기 받침판(1)에 연결수단(33)을 통해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표지봉부(3)로 구성된다. Accordingly, the lane regula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road surface and provided with a
즉 상기 표지봉부(3)는, 상기 상부볼(21)을 이탈되지 않게 감싸는 연결수단(33)을 통해 유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받침판(1)의 상면에 자력을 통해 부착되는 하부 고정체(31)와, 하부 고정체(31)의 상부에 돌출 구비되는 표지봉(36)으로 구성된다. That is, the
상기 받침판(1)은 둘레에 형성된 조립홀(11)에 관통되어 노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앵커볼트부(14)에 의해 노면에 고정되는 것이다.The
상기 볼축부(2)는, 받침판(1)에 관통되어 나선축(221)이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중앙 수직볼트(22)와, 상기 나선축(221)에 체결 고정되는 상부볼(21)을 포함하는 것이다. The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체(31)는, 상기 연결수단(33)이 중앙에 구비된 수평판(32)과, 수평판(32)의 하부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1)에 부착되는 자석부(34)와, 상기 수평판(32)의 둘레를 감싸며 구비되어 표지봉(36)의 하부 둘레가 삽입 고정되는 둘레 고정부(35)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특히, 상기 연결수단(33)은, 수평판(32)의 중앙에 하부 개방부(334)를 가지며 상부로 함몰 구비되어 상기 상부볼(21)이 유동공간을 가지며 삽입되는 삽입홈(331)과, 볼(21)에 관통된 후 볼축부(2)에 장착되어 고정수단(336)을 통해 상기 하부 개방부(334)를 막는 탄성 고무판(335)으로 구성된다. In particular, the connecting means 33 has a
상기 탄성 고무판(335)의 중앙홀(337)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338)가 더 구비됨으로써, 탄성 고무판(335)의 중앙홀(337)에 볼축부(2)를 구성하는 상부볼(21)이 관통될 수 있는 것이다. One or
상기 삽입홈(331)은, 하부 개방부(334)를 포함하는 원통형홈(332)과 원통형홈(332)의 상부에 형성되는 반구홈(3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The
상기 반구홈(333)의 구내경과 원통형홈(332)의 내경은, 유격공간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볼(2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로서, 상기 자석부(34)는, 수평판(32)의 하부 둘레에 내,외측판에 의해 구비되는 자석 고정홈(342)과, 상기 자석 고정홈(342)에 삽입 고정되는 링형 자석(341)으로 구성된다.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wherein the
그리고 상기 둘레 고정부(35)는, 상기 수평판(32)의 둘레에 돌출 구비되어 표지봉(36)의 하부 둘레를 감싸는 둘레 수직판(351)과, 상기 둘레 수직판(351)의 상부 둘레에서 하부 둘레로 확장되게 구비된 둘레 경사판(35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상기 둘레 경사판(352)의 하단 둘레는 상기 받침판(1)의 상부 둘레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이다.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상기 둘레 고정부(35)의 상부 둘레와 표지봉(36)의 하부 둘레 사이에는 접착부(4)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An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에 차량이 충돌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의 시공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collides with a lane regula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5, first, a construc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을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받침판(1)의 중앙에 형성된 상부 돌출부(12)에 형성된 관통홀(13)에 수직볼트(22)를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시킨 후, 수직볼트(22)의 나선축(221)에 볼(21)을 체결하는 과정을 통해 볼축부(2)를 조립한다. I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lane regula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 받침판(1)의 둘레에 형성된 조립홀(11)에 앵커볼트부(14)를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받침판(1)을 노면에 고정한다. Next, the
그런 다음, 하부 고정체(31)의 연결수단(33)을 상기 볼축부(2)에 삽입하면서 하부 고정체(31)의 자석부(34)를 받침판(1)의 상부에 부착한다. Then, the
그리고 최종적으로, 표지봉(36)을 하부 고정체(31)의 상부에 삽입 고정하는 일련에 과정을 통해 차선 규제봉을 시공하는 것이다. And finally, it is to construct a lane regulating rod through a process of inserting and fixing the
이하, 상기와 같이 시공된 차선 규제봉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시공된 상태에서 차량이 표지봉에 충돌되게 되면 표지봉부(3)가 전체적으로 경 사지게 된다. Hereinafter, the state of use of the lane control rod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f the vehicle hits the cover rod in the construction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즉 충돌 순간에는 표지봉(36)과 하부 고정체(31)로 일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는데, 이때 표지봉(36)과 하부 고정체(31)가 동시에 경사지면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됨으로써, 표지봉(36)과 하부 고정체(31)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That is, at the moment of impact, one-way impact is applied to the
다시말해 상기와 같이 차량이 충돌되는 순간에는, 볼축부(2)의 상부볼(21)과 삽입홈(331)의 사이가 이격되어 있어 하부 고정체(31)가 경사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부 고정체(31)가 경사지는 순간에는 볼축부(2)의 중간에 구비된 탄성 고무판(335)이 불축부(2)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하부 고정체(31)가 받침판(1)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경사지게 됨으로써 충격이 완충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at the moment when the vehicle collides 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부 고정체(31)가 경사지는 순간에는 상부볼(21)이 탄성 고무판(335)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탄성 고무판(335)의 중앙홀(337)의 직경이 상부볼(21)의 직경보다 작음에 따라서, 하부 고정체(31)가 경사지는 순간에 상부볼(21)이 탄성 고무판(335)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하부 고정체(31)가 경사지게 되는 순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고무판(335)이 유동됨에 따라 상부볼(2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볼축부(2)를 중심으로 하부 고정체(31)가 경사짐이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표지봉(36)에 차량이 강하게 충돌 되더라도 받침판(1)에서 표지봉부(3)가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표지봉(36)이 차량과 충돌되는 순간에 표지봉(36)과 하부 고정체(31)가 탄성 고무판(335)에 의해 완충됨으로써, 표지봉(36)과 하부 고정체(31)의 손상을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또 받침판을 자석에 붙는 철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차선 규제봉의 제작을 간단히 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In addition, by constructing the base plate of the iron plate attached to the magnet, it ha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production of the lane regulation rod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선 규제봉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차선 규제봉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6 is a view showing another lane regulat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mbodiment lane regulat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umed to include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차선 규제봉은, 상기 수평판(32)의 상부 둘레에는 자석부(34)와 상응되는 위치에 자석부(34)의 자력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보조 자석부(5)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In the lane regulating rod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기 보조 자석부(5)는 상부 수평판(51)과 상부 수평판(51)의 하부 둘레에 구비되는 보조 링형자석(5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And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평판(32)에 구비된 자석부(34)의 자력을 증가시키는 보조 자석부(5)를 더 구비함으로써, 표지봉(36)에 차량이 충돌되는 과정에서 표지봉(36)이 심하게 경사지게 되더라도, 자석부(34)의 충분한 자력으로 인하여 표지봉(36)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Therefore, by further comprising an
도 1은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ne control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ne control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에 차량이 충돌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collides with a lane regulat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차선 규제봉을 나타낸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lane control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종래의 차선 규제봉을 나타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ne regulating ro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받침판1: support plate
11 : 조립홀 11: assembly hole
12 : 상부 돌출부 12: upper protrusion
13 : 관통홀 13: through hole
14 : 앵커볼트부 14: anchor bolt part
2 : 볼축부2: ball shaft part
21 : 상부볼 21: upper ball
22 : 수직볼트 22: Vertical bolt
221 : 나선축 221: spiral axis
3 : 표지봉부3: cover cover
31 : 하부 고정체 31: lower fixture
32 : 수평판 32: horizontal plate
33 : 연결수단 33: connection means
331 : 삽입홈, 332 : 원통형홈, 333 : 반구홈, 331: insertion groove, 332: cylindrical groove, 333: hemisphere groove,
334 : 하부 개방부, 335 : 탄성 고무판, 334: lower opening, 335: elastic rubber sheet,
336 : 고정수단, 337 : 중앙홀, 338 : 절개부 336: fixing means, 337: central hole, 338: incision
34 : 자석부 34: magnet
341 : 링형 자석, 342 : 자석 고정홈 341: ring magnet, 342: magnet fixing groove
35 : 둘레 고정부 35: circumference fixing part
351 : 둘레 수직판, 352 : 둘레 경사판 351: perimeter vertical plate, 352: perimeter inclination plate
26 : 표지봉 26: cover rod
4 : 접착부4: adhesive
5 : 보조 자석부5: auxiliary magnet
51 : 상부 수평판 51: upper horizontal plate
52 : 보조 링형자석 52: auxiliary ring magnet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9350A KR101102582B1 (en) | 2009-03-06 | 2009-03-06 | Lane Regul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9350A KR101102582B1 (en) | 2009-03-06 | 2009-03-06 | Lane Regul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0452A KR20100100452A (en) | 2010-09-15 |
KR101102582B1 true KR101102582B1 (en) | 2012-01-04 |
Family
ID=4300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93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2582B1 (en) | 2009-03-06 | 2009-03-06 | Lane Regul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258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5296B1 (en) * | 2023-03-21 | 2023-10-26 | 장정은 | Bollard for floor install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59428A (en) * | 2017-05-05 | 2018-08-08 | Tensator Group Ltd | A barrier support for a queue management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9084Y1 (en) | 2000-10-19 | 2001-04-02 | 주식회사거승 | a traffic lane divisional strip |
KR20020019084A (en) * | 1999-06-15 | 2002-03-09 | 사토 켄이치로 | Thermal print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WO2004033803A1 (en) * | 2002-10-11 | 2004-04-22 | Pacific Cascade Parking Equipment Corporation | Separable magnetic attachment assembly |
JP2006118159A (en) * | 2004-10-20 | 2006-05-11 | Sagami Chemical Metal Co Ltd | Pole device |
-
2009
- 2009-03-06 KR KR1020090019350A patent/KR1011025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9084A (en) * | 1999-06-15 | 2002-03-09 | 사토 켄이치로 | Thermal print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219084Y1 (en) | 2000-10-19 | 2001-04-02 | 주식회사거승 | a traffic lane divisional strip |
WO2004033803A1 (en) * | 2002-10-11 | 2004-04-22 | Pacific Cascade Parking Equipment Corporation | Separable magnetic attachment assembly |
JP2006118159A (en) * | 2004-10-20 | 2006-05-11 | Sagami Chemical Metal Co Ltd | Pole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5296B1 (en) * | 2023-03-21 | 2023-10-26 | 장정은 | Bollard for floor install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0452A (en) | 2010-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Z566105A (en) | Road traffic-control signboard assembly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 |
KR101102582B1 (en) | Lane Regulator | |
KR200457800Y1 (en) | Lane Regulator | |
KR101081793B1 (en) | Lane-regulated rods with damage prevention and quick resilience | |
KR200437211Y1 (en) | Shock Absorbing Bollard | |
KR200460100Y1 (en) | bendable ballard | |
JPH11140832A (en) | Road-sign pole | |
JP4099479B2 (en) | Pole support column and road sign | |
JP2001220923A (en) | Seismic control support structure for ground-based installation | |
JP6893793B2 (en) | Display device | |
KR101145429B1 (en) | Anchor bolt | |
KR102285053B1 (en) | Traffic lane restriction pole using spring | |
KR20070064413A (en) | Lane Regulator | |
KR200390592Y1 (en) | A Lane Control Stick for Road | |
KR101898690B1 (en) | Elastic bollard attachable to easy maintain | |
KR20080109303A (en) | Resilient rod for vehicle regulation | |
KR200488567Y1 (en) | Tubular Markers | |
KR101937636B1 (en) | Pillar decreased vibration | |
KR102456665B1 (en) | Multi-functional sight guide device | |
JP2011074668A (en) | Tiltable car stop | |
KR100809657B1 (en) | Lane regulation rod | |
KR101162229B1 (en) | A post support for road-guide plate | |
KR20100081550A (en) | Indication lamp on street | |
KR20190049064A (en) | A Separation Prevention Type Elastic Bollard | |
CN113005887B (en) | Plug-in type sways p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