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06642B1 -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642B1
KR101106642B1 KR1020050089555A KR20050089555A KR101106642B1 KR 101106642 B1 KR101106642 B1 KR 101106642B1 KR 1020050089555 A KR1020050089555 A KR 1020050089555A KR 20050089555 A KR20050089555 A KR 20050089555A KR 101106642 B1 KR101106642 B1 KR 101106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isc
locking
connector
guide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4902A (ko
Inventor
이환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642B1/ko
Priority to US11/488,729 priority patent/US7975274B2/en
Publication of KR20070034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6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15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딩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상호 작용하며 복합적인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이고 또 로딩/언로딩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는 디스크를 로딩 완료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레버, 가이드레버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로킹/로킹해제 하는 로킹레버, 로딩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 회전 운동과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위의 가이드레버, 슬라이더 및 로킹레버와 상호 연계하여 운동하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커넥터는 가이드레버의 운동을 슬라이더에 전달하고, 또 슬라이더의 운동을 가이드레버의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커넥터는 이러한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크기의 디스크가 로딩될 때 공통적으로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의 로딩 장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부품의 수가 대폭 줄어들게 된다. 한편 로킹레버도 회전 운동과 함께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그러면 로킹레버가 가이드레버에서 분리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OPTICAL DISC LOADING APPARATUS FOR OPTICAL DISC PLAYER}
도 1은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서 80mm 디스크, 즉 제1디스크를 로딩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서 120mm 디스크, 즉 제2디스크를 로딩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제1디스크 2 : 제2디스크
10 : 메인프레임 11 : 로딩모터
20 : 베이스플레이트 30 : 로킹레버
40 : 슬라이더 50 : 커넥터
100 : 가이드레버 101 : 가이드돌기
110 : 제1가이드레버 120 : 제2가이드레버
본 발명은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의 로딩을 위한 트레이 없이 직접 디스크를 삽입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 플레이어는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나 BD(Blue-ray Disc) 등과 같은 디스크에 광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위치로 디스크를 로딩시키는 로딩 장치를 구비한다. 특히 차량장착용 또는 모바일용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디스크의 로딩을 위한 트레이 없이 직접 디스크를 삽입하여 로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의 디스크, 예를 들면, 80mm와 120mm 디스크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구별하여 로딩시키기 위한 로딩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크 로딩 장치의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33415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디스크 로딩 장치는 로딩모터의 동력을 디스크의 이송을 위한 이송롤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과 동력전달유닛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왕복 구동되는 슬라이더;와 제1회동판, 제2회동판, 제1푸싱레버를 구비하여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제1디스크를 로딩 완료 위치로 가이드하고, 또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동력전달유닛에 연결시키는 제1연동메카니즘;과 제2푸싱레버를 구비하여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2디스크가 로딩될 때 슬라이더를 동력전달유닛에 연결시키는 제2연동메카니 즘;과 로딩 완료 위치에 있는 제1디스크 또는 제2디스크로부터 제1연동메커니즘을 이격시키기 위한 서브샤시;와 제1연동메카니즘의 움직임을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시키는 로킹레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디스크 로딩 장치는 각 부품의 기능이 단순하여 부품의 수가 많아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로딩 메카니즘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1푸싱레버와 제2푸싱레버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크기가 서로 다른 디스크에 각각 적용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되어 있고, 또 제1푸싱레버와 제2푸싱레버는 로딩 시에 제2회동판의 운동을 슬라이더에 전달할 수만 있고, 슬라이더의 운동을 제2회동판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슬라이더의 운동을 전달받아 로딩 완료 위치에 있는 디스크로부터 제1연동메카니즘을 이격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 즉 서브샤시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딩 메카니즘을 이루는 부품이 많아지면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기도 하지만, 더욱 심각한 문제는 디스크 로딩/언로딩 동작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데 있다. 즉 좁은 공간에 많은 부품이 설치되면 각 부품들이 간섭되어 오동작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개시된 종래기술에서도 로딩 시와 언로딩 시에 있어 제2푸싱레버의 동작 경로가 서로 달라, 디스크의 언로딩 과정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슬라이더와 간섭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개시된 종래 디스크 로딩 장치에서는 로킹레버가 회전 운동만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서브샤시에 의해 로킹레버가 회전하면서 제2회동판에 대한 로킹을 해제할 때 로킹레버의 돌기가 제2회동판의 홈에서 원활하게 빠지지 않 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딩 메커니즘을 이루는 부품들이 복합적인 기능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화된 부품으로도 신뢰성 있는 로딩/언로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는 로딩모터가 설치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며, 제1디스크와 이보다 크기가 큰 제2디스크를 척킹 위치로 로딩시키기 위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크의 진입 시에 디스크를 척킹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레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딩되는 디스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시키는 로킹레버;와 디스크의 로딩/언로딩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로딩모터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운동하는 슬라이더;와 회전 운동과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버, 슬라이더 및 로킹레버의 운동과 연계하여 운동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버는 상기 로킹레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로킹되거나 로킹 해제되는 제1가이드레버와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가이드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제2가이드레버는 진입하는 디스크를 정확한 척킹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1가이드레버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을 유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1가이드레버의 회전 운동을 유도하여 상기 가이드돌기가 척킹 위치에 있는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는 그 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가 회전 운동과 함께 디스크의 로딩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병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장공을 구비한다.
또 상기 커넥터는 그 일단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버 쪽으로 돌출된 캠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가이드레버는 상기 캠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가이드레버가 서로 연계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캠슬릿을 더 구비한다.
상기 캠슬릿은 상기 제1디스크의 로딩 시에 상기 캠돌기와 상호 작용하는 제1슬릿과, 상기 제2디스크의 로딩 시에 상기 캠돌기와 상호 작용하는 제2슬릿과, 상기 제2디스크의 로딩 시에 상기 캠돌기가 상기 제1슬릿에서 상기 제2슬릿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슬릿과 제2슬릿 사이에 형성되는 제3슬릿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의 타단이 삽입되는 슬라이더홈을 구비하고, 상 기 커넥터의 타단은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상기 커넥터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홈의 일측부를 밀어 상기 슬라이더가 로딩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홈의 타측부에 밀려 상기 커넥터와 제1가이드레버를 회동시킨다.
한편 상기 로킹레버는 회전 운동과 함께 상기 슬라이더의 운동 방향으로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로킹레버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쪽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2장공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가이드레버의 회전 운동을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로킹레버의 병진 운동을 유도하여 상기 로킹레버가 상기 제1가이드레버의 로킹을 원활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로킹레버 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레버는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간섭되는 제1간섭핀을 구비한다.
또 상기 로킹레버는 상기 제1가이드레버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로킹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가이드레버는 상기 로킹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디스크의 척킹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그 테두리부에 마련된 제1로킹홈과, 상기 로킹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2디스크의 척킹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로킹홈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된 제2로킹홈을 더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제1로킹홈과 상기 로킹돌기는 상기 제1로킹홈에 상기 로킹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버가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킹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제2디스크의 진입 시에 상기 제2디스크와 간섭하여 상기 로킹레버가 상기 제1가이드레버의 로킹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제2간섭핀이 구비된다.
제2간섭핀이 제2디스크와 간섭하여 로킹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로킹레버의 타단은 상기 커넥터를 밀어 상기 캠돌기가 상기 제1슬릿에서 제3슬릿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가이드레버가 회동 가능한 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커넥터의 회전축은 상기 로킹레버의 타단과 간섭되도록 상기 로킹레버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는 로딩모터가 설치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며, 제1디스크와 이보다 크기가 큰 제2디스크를 척킹 위치로 로딩시키기 위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크의 진입 시에 디스크를 로딩 완료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레버;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직선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디스크가 로딩 완료 위치에 이르렀을 때 상기 가이드레버의 운동을 전달받음과 동시에 상기 로딩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 운동하기 시작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 운동과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로딩되는 디스크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하는 로킹레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 운 동과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버, 슬라이더 및 로킹레버의 운동과 연계하여 운동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크가 로딩/언로딩 하는 방향을 X 방향, X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Y 방향, 시계 방향을 C 방향, 반시계 방향을 D 방향이라 한다. 또 X 방향은 로딩 시 디스크가 진입하는 방향을 X1 방향, X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X2 방향이라 구분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는 서로 다른 디스크, 즉 제1디스크(1)와 제2디스크(2)의 로딩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로딩모터(11)가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고 디스크의 로딩을 위한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버(100)와, 로딩되는 디스크의 위치에 따라 가이드레버(100)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하는 로킹레버(30)와, 그 위치에 따라 로딩모터(11)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X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40)와, 회전 운동과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가이드레버(100), 슬라이더(40) 및 로킹레버(30)의 운동과 연계하여 운동하는 커넥터(50)를 구비한다.
메인프레임(10)에는 디스크 플레이어로 삽입되는 디스크를 메인프레임(10)의 내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롤러(12)와, 로딩모터(11)의 동력을 이송롤러(12)와 슬라이더(40)로 전달하기 위한 일련의 연결기어군(13)이 장착된다. 연결기어군(13)은 슬라이더(40)에 형성된 랙기어(41)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위치된 슬라이더 구동기어(13a)를 포함하여 슬라이더(40)가 그 위치에 따라 로딩모터(11)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메인프레임(10)에는 디스크의 기록/재생을 위한 광픽업(미도시)과 척킹 위치로 이송된 디스크를 턴테이블 상에 척킹시키기 위한 척킹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가이드레버(100)는 메인프레임(10) 내부로 진입하는 디스크를 척킹 위치로 안내하고, 또 디스크가 척킹 위치에 이르렀을 때 커넥터(50)를 통해 슬라이더(40)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켜 슬라이더(40)가 로딩모터(11)의 동력을 전달받아 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척킹 위치라 함은 디스크의 로딩이 완료되는 위치를 말한다. 한편 로딩모터(11)에 의해 운동하는 슬라이더(40)는 커넥터(50)를 통해 가이드돌기(101)가 척킹 위치에 있는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돌기(101)가 척킹 위치에 있는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은 로딩된 디스크가 턴테이블(미도시)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레버(100)는 진입하는 디스크에 밀려 회전하는 제1가이드레버(110)와 이 제1가이드레버(11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가이드레버(120)로 구성된다. 제1가이드레버(110)와 제2가이드레버(120)에는 진입하는 디스크와 간섭하여 디스크를 정확한 척킹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01)가 각각 마련된다.
제1가이드레버(110)와 제2가이드레버(120)는 서로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1가이드레버(110)와 제2가이드레버(120)에서 서로 대향하는 단부는 톱니(102)를 통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또 두 개의 가이드레버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레버에는 제1가이드레버(110)와 제2가이드레버(120)를 진입하는 디스크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103)이 연결된다. 도 1에서는 제2가이드레버(120)에 스프링(103)이 연결된 경우를 나타내었다.
커넥터(50)는 제1가이드레버(110)와 슬라이더(40) 사이에 배치되어 시소 운동을 하면서 슬라이더(40)가 제1가이드레버(110)의 운동과 연동하여 직선 운동하도록 하고, 또 제1가이드레버(110)가 슬라이더(40)의 운동과 연동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커넥터(50)는 크기가 다른 제1디스크(1)와 제2디스크(2)에 대해 위와 같은 동작을 공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0)에 설치된다.
커넥터(50)는 그 중앙부근에서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20)에서 Y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장공(21)에 삽입되는 회전축(51)과, 그 일단(52)에서 제1가이드레버(110) 쪽으로 돌출되어 제1가이드레버(110)에 형성된 캠슬릿(111)에 삽입되는 캠돌기(53)를 구비한다. 캠돌기(53)가 삽입되는 제1가이드레버(110)의 캠슬릿(111)은 서로 연결된 제1슬릿(111a), 제2슬릿(111b) 및 제3슬릿(111c)으로 구성된다.
제1슬릿(111a)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1디스크(1)가 로딩될 때 캠돌기 (53)와 상호작용하고, 제2슬릿(111b)은 제1디스크(1)보다 크기가 큰 제2디스크(2)가 로딩될 때 캠돌기(53)와 상호 작용하며, 제3슬릿(111c)은 제2디스크(2)의 로딩 시에 캠돌기(53)가 제1슬릿(111a)에서 제2슬릿(111b)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캠돌기(53)가 제1슬릿(111a)과 상호 작용한다는 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캠돌기(53)가 제1슬릿(111a)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디스크(1)가 진입하여 제1가이드레버(110)가 C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제1슬릿(111a)에 의해 캠돌기(53)가 X1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넥터(50)를 D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5 참조). 또 커넥터(50)가 슬라이더(40)의 의해 D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캠돌기(53)가 X1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슬릿(111a)을 통해 제1가이드레버(110)를 C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6 참조). 이러한 동작은 캠돌기(53)와 제2슬릿(111b)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커넥터의 타단(54)은 슬라이더(40)에 마련된 슬라이더홈(42)에 삽입되어 슬라이더(40)와 상호 작용한다. 즉 커넥터의 타단(54)은 디스크가 진입하여 제1가이드레버(110)와 커넥터(50)를 회전시키는 경우 슬라이더홈(42)의 일측부(42a)를 밀어 슬라이더(40)를 X2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더(40)의 랙기어(41)가 슬라이더 구동기어(13a)에 맞물리도록 한다. 또 커넥터의 타단(54)은 슬라이더(40)가 로딩모터(11)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홈(42)의 타측부(42b)에 밀려 커넥터(50)를 D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커넥터 일단(52)의 캠돌기(53)에 의해 제1가이드레버(110)가 C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에 따라 가이드레버의 가이드돌기(101)가 디스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된다.
한편 커넥터(50)에는 커넥터(50)를 C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55)이 연결된다.
로킹레버(30)는 회전 운동과 X 방향의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데, 특히 로킹레버(30)가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은 디스크의 로딩이 완료되었을 때 로킹레버(30)가 제1가이드레버(110)의 로킹을 해제하는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병진 운동을 위하여 로킹레버(30)는 베이스플레이트(20) 쪽으로 돌출되어 베이스플레이트(20)에 형성된 제2장공(22)에 삽입되는 회전축(31)을 구비한다.
로킹레버(30)의 병진 운동은 슬라이더(40)에 의해 유도되는데 이를 위해 슬라이더(40)는 로킹레버(30) 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3)를 구비하고, 로킹레버(30)는 이 돌출부(43)와 간섭되는 제1간섭핀(32)을 가진다. 따라서 슬라이더(40)가 X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부(43)가 제1간섭핀(32)을 X2 방향으로 밀어 로킹레버(30)를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제1가이드레버(110)가 C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가이드돌기(101)가 척킹 위치에 있는 디스크로부터 이격된다.
또 로킹레버(30)는 제1가이드레버(11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로킹돌기(33)를 구비한다. 한편 제1가이드레버(110)는 로킹돌기(33)가 삽입되어 제1디스크(1)의 척킹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그 테두리부에 형성된 제1로킹홈(112)과 제1가이드레버(110)가 C 방향으로 더 회전한 상태에서 로킹돌기(33)가 삽입되어 제2디스크(2)의 척킹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로킹홈(113)을 가진다. 디스크가 삽입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로킹돌기(33)는 제1로킹홈(112)에 결합되어 제1가 이드레버(11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이 때 제1로킹홈(112)은 로킹돌기(33)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가이드레버(110)가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제1디스크(1)가 진입함에 따라 제1가이드레버(110)가 소정 각도 회전하며 커넥터(50)를 통해 슬라이더(40)가 로딩모터(11)에 연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크기가 큰 제2디스크(2)를 로딩될 때에는 크기가 작은 제1디스크(1)가 로딩될 때보다 가이드레버(100)가 크게 회전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2디스크(2)가 진입하며 가이드레버(100)의 가이드돌기(101)에 닿기 전에 제1가이드레버(110)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있는 로킹레버(30)를 제1가이드레버(110)에서 분리하여야 하고, 또 제1슬릿(111a)에 삽입되어 있는 캠돌기(53)를 제3슬릿(111c) 쪽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로킹레버(30)의 일단(34)에는 진입하는 제2디스크(2)와 간섭할 수 있도록 제2간섭핀(35)이 돌출 형성된다. 제2간섭핀(35)이 진입하는 제2디스크(2)에 간섭되면 로킹레버(30)는 C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킹레버의 로킹돌기(33)가 제1로킹홈(112)으로부터 이탈된다. 또 로킹레버(30)가 C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로킹레버(30)의 타단(36)이 커넥터(50)와 간섭될 수 있도록 로킹레버(30)의 타단(36)은 커넥터(50) 쪽으로 연장 형성되고, 커넥터(50)의 회전축(51)은 로킹레버(30) 쪽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로킹레버(30)에는 로킹레버(30)가 가이드레버(100)를 로킹하는 방향으로 로킹레버(30)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37)이 연결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서 80mm 디스크를 로딩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120mm 디스크를 로딩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80mm 디스크, 즉 제1디스크(1)를 로딩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제1디스크(1)를 로딩방향, 즉 X1 방향으로 메인프레임(10) 내부로 진입시키면 도시되지 않은 디스크 감지 센서에 의해 제1디스크(1)의 진입이 감지되어 로딩모터(11)가 구동된다. 그러면 이송롤러(12)가 회전하면서 제1디스크(1)는 척킹 위치를 향해 계속하여 진입한다.
진입하는 제1디스크(1)는 도 4와 같이 제1가이드레버(110)와 제2가이드레버(120)의 가이드돌기(101)와 닿아 올바른 척킹 위치로 안내되면서 도 5와 같이 가이드돌기(101)를 밀어 제1가이드레버(110)를 C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1가이드레버(110)는 로킹레버(30)의 로킹돌기(33)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데, 이 때의 위치가 제1디스크(1)의 척킹 위치가 된다. 한편 제1가이드레버(110)가 소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제1가이드레버(110)의 제1슬릿(111a)에 삽입되어 있던 캠돌기(53)가 X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커넥터(50)가 D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타단(54)이 슬라이더홈(42)의 일측부(42a)를 밀어 내면서 슬라이더(40)를 X2 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더의 랙기어(41)가 공회전하던 구동기어(13a)와 맞물러 슬라이더(40)가 로딩모터(11)의 동력을 전달받아 X2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도 2참조).
도 6과 같이 제1디스크(1)가 척킹 위치에 이르면 제1디스크의 기록/재생 시에 제1디스크(1)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버의 가이드돌기(101)가 제 1디스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동작은 슬라이더(40)의 X2 방향 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슬라이더(40)가 X2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하면, 슬라이더(40)의 돌출부(43)가 로킹레버(30)의 제1간섭핀(32)과 닿아 로킹레버(30)를 X2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시킨다. 그러면 로킹레버(30)의 로킹돌기(33)가 제1로킹홈(112)에서 이탈된다. 또 이와 동시에 슬라이더(40)가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홈(42)의 타측부(42b)가 커넥터(50)의 타단(54)과 간섭하여 커넥터(50)를 D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와 같이 회전하는 커넥터(50)에 의해 제1가이드레버(110)가 C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가이드레버(110)와 제2가이드레버(120)의 가이드돌기(101)가 척킹 위치에 있는 제1디스크(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다.
이렇게 되면 제1디스크(1)의 로딩 동작이 완료되어 제1디스크(1)가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하면서 기록/재생된다. 한편 제1디스크(1)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언로딩 동작은 위의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다음 120mm 디스크, 즉 제2디스크(2)를 로딩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도 1과 같이 제2디스크(2)가 메인프레임(10) 내부로 진입하면 이송롤러(12)에 의해 제2디스크(2)는 척킹 위치를 향해 계속하여 진입한다.
도 7과 같이, 진입하는 제2디스크(2)는 로킹레버(30)의 제2간섭핀(35)을 밀어 로킹레버(30)를 C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로킹돌기(33)가 제1가이드레버(110)의 제1로킹홈(112)에서 빠져 나와 가이드레버(100)의 로킹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로킹레버(30)의 타단(36)이 커넥터(50)의 회전축(51)을 Y방향으로 밀어 커넥터(50)의 캠돌기(53)가 제1가이드레버(110)의 제1슬릿(111a)에서 제3슬릿(111c) 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레버(1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런 상태에서 제2디스크(2)가 더 진입하면 제2디스크(2)는 가이드레버(100)의 가이드돌기(101)와 닿아 올바른 척킹 위치로 안내되면서 도 8과 같이 제1가이드레버(110)를 C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도 8은 제2디스크(2)가 척킹 위치에 이르기 바로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때 커넥터(50)의 캠돌기(53)는 제3슬릿(111c)을 따라 이동하여 제2슬릿(111b)에 이르게 되고, 로킹레버(30)의 로킹돌기(33)는 제1가이드레버(110)의 제2로킹홈(113)근처에 이르게 되며, 로킹레버(30)는 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도 9와 같이, 제2디스크(2)가 더 진입하여 척킹 위치에 이르게 되면 로킹돌기(33)가 제2로킹홈(113)에 삽입되면서 가이드레버(10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또 이와 동시에 캠돌기(53)가 제3슬릿(111c)에 의해 밀려 커넥터(50)가 D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의 타단(54)이 슬라이더홈(42)의 일측부(42a)를 밀어 내면서 슬라이더(40)를 X2 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더의 랙기어(41)가 공회전하던 구동기어(13a)와 맞물러 슬라이더(40)가 로딩모터(11)의 동력을 전달받아 X2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후의 동작은 제1디스크(1)의 로딩 동작과 동일하다. 즉 도 10과 같이 슬라이더(40)가 이동함에 따라 로킹레버(30)가 X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레버(100)의 로킹을 해제하고, 커넥터(50)는 D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가이드레버(110)를 C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이드레버의 가이드돌기(101)가 척킹 위치에 있는 제2디스크(2)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2디스크(2)의 로딩 동작 이 완료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는 복합적인 기능을 가지는 부품들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로딩시키는 로딩 메커니즘을 구현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이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로딩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인 로딩/언로딩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게 된다.

Claims (21)

  1. 로딩모터가 설치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며, 제1디스크와 이보다 크기가 큰 제2디스크를 척킹 위치로 로딩시키기 위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크의 진입 시에 디스크를 척킹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레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딩되는 디스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시키는 로킹레버;와 디스크의 로딩/언로딩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로딩모터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운동하는 슬라이더;와 회전 운동과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버, 슬라이더 및 로킹레버의 운동과 연계하여 운동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제1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제1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커넥터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제1회전축이 상기 제1장공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병진운동할 때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1장공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버는 상기 로킹레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로킹되거나 로킹 해제되는 제1가이드레버와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가이드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제2가이드레버는 진입하는 디스크를 정확한 척킹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의 디스크 로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버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1가이드레버의 회전 운동을 유도하여 상기 가이드돌기가 척킹 위치에 있는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그 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제1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제1회전축이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가 회전 운동과 함께 디스크의 로딩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병진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제1장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그 일단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버 쪽으로 돌출된 캠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가이드레버는 상기 캠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 가이드레버가 서로 연계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캠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슬릿은 상기 제1디스크의 로딩 시에 상기 캠돌기와 상호 작용하는 제1슬릿과, 상기 제2디스크의 로딩 시에 상기 캠돌기와 상호 작용하는 제2슬릿과, 상기 제2디스크의 로딩 시에 상기 캠돌기가 상기 제1슬릿에서 상기 제2슬릿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슬릿과 제2슬릿 사이에 형성되는 제3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커넥터의 타단이 삽입되는 슬라이더홈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의 타단은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상기 커넥터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홈의 일측부를 밀어 상기 슬라이더가 로딩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홈의 타측부에 밀려 상기 커넥터와 제1가이드레버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레버는 회전 운동과 함께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레버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쪽으로 돌출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1가이드레버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로킹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제2회전축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장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제1가이드레버의 회전 운동을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로킹레버의 병진 운동을 유도하여 상기 제1가이드레버에서 상기 로킹돌기가 원활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로킹레버 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레버는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간섭되는 제1간섭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레버는 상기 제1가이드레버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로킹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가이드레버는 상기 로킹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디스크의 척킹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그 테두리부에 마련된 제1로킹홈과, 상기 로킹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2디스크의 척킹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로킹홈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련된 제2로킹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킹홈과 상기 로킹돌기는 상기 제1로킹홈에 상기 로킹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버가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제2디스크의 진입 시에 상기 제2디스크와 간섭하여 상기 로킹레버가 상기 제1가이드레버의 로킹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제2간섭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레버의 타단은 상기 커넥터 쪽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로킹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로킹레버의 타단은 상기 커넥터와 간섭하여 상기 캠돌기가 상기 제1슬릿에서 제3슬릿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가이드레버가 회동 가 능한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회전축은 상기 로킹레버의 타단과 간섭되도록 상기 로킹레버 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제2가이드레버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레버에는 상기 제1가이드레버와 제2가이드레버를 진입하는 디스크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커넥터를 시계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레버에는 상기 로킹레버가 상기 가이드레버를 로킹하는 방향으로 상기 로킹레버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 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21. 로딩모터가 설치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며, 제1디스크와 이보다 크기가 큰 제2디스크를 척킹 위치로 로딩시키기 위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크의 진입 시에 디스크를 로딩 완료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레버;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직선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디스크가 로딩 완료 위치에 이르렀을 때 상기 가이드레버의 운동을 전달받음과 동시에 상기 로딩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 운동하기 시작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 운동과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로딩되는 디스크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버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하는 로킹레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 운동과 병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버, 슬라이더 및 로킹레버의 운동과 연계하여 운동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제1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제1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커넥터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제1회전축이 상기 제1장공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병진운동할 때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1장공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KR1020050089555A 2005-09-26 2005-09-26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Active KR101106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555A KR101106642B1 (ko) 2005-09-26 2005-09-26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US11/488,729 US7975274B2 (en) 2005-09-26 2006-07-19 Optical disc loading apparatus of optical disc player capable of loading discs of different siz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555A KR101106642B1 (ko) 2005-09-26 2005-09-26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902A KR20070034902A (ko) 2007-03-29
KR101106642B1 true KR101106642B1 (ko) 2012-01-18

Family

ID=3828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555A Active KR101106642B1 (ko) 2005-09-26 2005-09-26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75274B2 (ko)
KR (1) KR101106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8520B2 (en) * 2006-08-18 2011-06-07 Sony Corporation Disk drive device
JP4388570B2 (ja) * 2007-09-06 2009-12-2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ディスク搬送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JP2009277297A (ja) * 2008-05-15 2009-11-26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CN102122516A (zh) * 2010-01-12 2011-07-13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吸入式光驱的进退片装置
JP2012027967A (ja) * 2010-07-21 2012-02-09 Jvc Kenwood Corp ディスク搬送機構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KR101744099B1 (ko) * 2011-01-04 201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로딩장치
CN110880335B (zh) * 2018-09-05 2021-06-15 苏州互盟信息存储技术有限公司 一种摆渡机构
CN110739008B (zh) * 2019-10-25 2021-05-04 北京万盘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取放光盘装置及其进行自动光盘取放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837A (ko) * 2002-06-25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7532B2 (ja) * 1989-03-03 1994-11-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CN100397518C (zh) * 2001-04-27 2008-06-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盘装置
KR100433415B1 (ko) 2002-06-10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JP4096817B2 (ja) * 2003-06-06 2008-06-0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837A (ko) * 2002-06-25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902A (ko) 2007-03-29
US20070174857A1 (en) 2007-07-26
US7975274B2 (en) 201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415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EP0305035B1 (en) Vibration-resistant multiple-disc player
US7975274B2 (en) Optical disc loading apparatus of optical disc player capable of loading discs of different sizes
JPH07210972A (ja)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
GB2229851A (en) Centering mechanism for automotive disk player
KR10043711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US7992157B2 (en) Disk transportation mechanism and a disk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7340753B2 (en) Disk drive
US6657928B1 (en) Disc player with floating lock mechanism and select mechanism
US5852597A (en)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recording media and having a reduced height
JP2002175658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100584983B1 (ko) 슬롯인 타입의 광디스크 플레이어
JP3726800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9212973A (ja) ディスク装置
US7487518B2 (en) Disk loa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598117B1 (ko) 디스크 이격장치 및 디스크 이격방법
KR20060014612A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KR100461297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US7428739B2 (en) Disc release apparatus for disc player
JP3610658B2 (ja) ディスク装置
KR101513436B1 (ko) 디스크 로딩장치
KR20060014610A (ko) 디스크 이격장치 및 이를 포함한 디스크 플레이어
JP3227370B2 (ja) カートリッジ誤挿入防止装置
KR20060011144A (ko) 디스크 로딩어셈블리
JPH034690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9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