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91394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394B1
KR101091394B1 KR1020100005145A KR20100005145A KR101091394B1 KR 101091394 B1 KR101091394 B1 KR 101091394B1 KR 1020100005145 A KR1020100005145 A KR 1020100005145A KR 20100005145 A KR20100005145 A KR 20100005145A KR 101091394 B1 KR101091394 B1 KR 101091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heat dissipation
lighting device
emitting module
dissipatio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119A (ko
Inventor
최태영
홍성호
김동수
강석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941,493 priority Critical patent/US8829771B2/en
Priority to JP2010251024A priority patent/JP5649916B2/ja
Priority to TW099138563A priority patent/TWI519736B/zh
Priority to EP10190506.5A priority patent/EP2320133B1/en
Priority to CN201010621767.8A priority patent/CN102095101B/zh
Priority to EP15158936.3A priority patent/EP2902703A1/en
Publication of KR2011005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394B1/ko
Priority to US14/317,210 priority patent/US9562680B2/en
Priority to JP2014229599A priority patent/JP5869088B2/ja
Priority to JP2016001101A priority patent/JP6140849B2/ja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being distinct from the light source 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부에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하부에 삽입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제1 수납부를 포함하는 방열몸체; 상기 방열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모듈부; 상기 방열몸체 하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모듈부를 상기 방열몸체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방열몸체의 외측에 외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실시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램프,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내전압이 향상된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방수 특성이 양호한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취급이 용이한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방열 특성이 양호한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부에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하부에 삽입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제1 수납부를 포함하는 방열몸체; 상기 방열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모듈부; 상기 방열몸체 하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모듈부를 상기 방열몸체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방열몸체의 외측에 외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내전압이 향상된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방수 특성이 양호한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취급이 용이한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방열 특성이 양호한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아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를 윗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방열몸체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조명 장치의 발광모듈부 및 제1 보호링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가이드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가이드부재의 평면도
도 11은 도 1의 조명 장치의 하부 영역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하면도
도 13은 도 1의 조명 장치의 상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가이드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내부 케이스의 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연결 단자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의 조명 장치의 외부 케이스의 사시도
도 21 및 도 22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외부 케이스의 다수의 홀 및 마킹홈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탑재된 상기 발광 소자의 측 단면도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를 아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조명 장치(1)를 윗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조명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조명 장치(1)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 장치(1)는 상부에 연결 단자(175)를 포함하고, 하부에 삽입부(174)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170)와,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삽입부(174)가 삽입되는 제1 수납부(151)를 포함하는 방열몸체(150)와, 상기 방열몸체(150)의 하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를 포함하여 빛을 생성하는 발광모듈부(130)와, 상기 방열몸체(150) 하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모듈부(130)를 상기 방열몸체(150)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가이드부재(100)와, 상기 방열몸체(150)의 외측에 외부 케이스(180)를 포함한다.
상기 방열몸체(150)는 양면에 수납부(151,152)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모듈부(130) 및 상기 전원제어부(160)를 수용하며, 상기 발광모듈부(130) 및 상기 전원제어부(160)에서 생성된 열을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방열몸체(150)의 상면에는 상기 전원제어부(160)가 배치되는 상기 제1 수납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몸체(150)의 하면에는 상기 발광모듈부(130)가 배치되는 제2 수납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몸체(150)의 외측면은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요철 구조에 의해 상기 방열몸체(150)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방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몸체(150)는 열 방출 효율이 뛰어난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몸체(150)의 재질은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g), 주석(Sn), 마그네슘(M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130)는 상기 방열몸체(15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제2 수납부(15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130)는 기판(132)과, 상기 기판(132)에 탑재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유색 빛을 각각 발광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이거나, 자외선(UV, UltraViolet)을 발광하는 UV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그 종류나 수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모듈부(130)는 상기 방열몸체(15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53)을 통해 상기 전원제어부(160)와 배선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받음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153)에는 제2 보호링(155)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모듈부(130) 및 상기 방열몸체(150) 사이로 수분 및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배선이 상기 방열몸체(150)과 접촉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 쇼트, 내전압, EMI, EMS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하면에는 방열판(140)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방열판(140)은 상기 제2 수납부(152)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광모듈부(130)와 상기 방열판(14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열판(140)에 의해 상기 발광모듈부(130)에서 생성된 열이 상기 방열몸체(150)로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130)는 상기 가이드부재(100)에 의해 상기 제2 수납부(152)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00)는 상기 발광모듈부(130)에 탑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들이 노출되도록 개구부(101)를 가지며,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둘레면을 상기 방열몸체(150)의 제2 수납부(152)에 압착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00)에는 상기 방열몸체(150) 및 상기 외부 케이스(180) 사이로 공기가 흐르도록 할 수 있는 공기 유입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조명 장치(1)의 방열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구조는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방열홀(102)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요철 구조 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00)와 상기 발광모듈부(130) 사이에는 렌즈(110) 및 제1 보호링(120)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렌즈(110)는 오목 렌즈, 볼록 렌즈, 파라볼라 형태의 렌즈, 프레넬 렌즈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선택되어 상기 발광모듈부(130)에서 방출되는 빛의 배광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110)는 형광체를 포함하여 상기 빛의 파장을 변화시키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보호링(120)은 상기 가이드부재(100)와 상기 발광모듈부(130) 사이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외측면 및 상기 방열몸체(150)의 내측면 사이를 이격시켜 상기 발광모듈부(130)가 상기 방열몸체(15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1)의 내전압, EMI, EMS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1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영역에 상기 방열몸체(150)의 상기 제1 수납부(151)에 삽입되는 삽입부(174)와, 상부 영역에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1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74)의 측벽은 상기 전원제어부(160)와 상기 방열몸체(150) 사이에 배치되어, 둘 사이의 전기적 쇼트 등을 방지함으로써 내전압, EMI, EMS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175)는 소켓(socket) 형태를 갖는 외부 전원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1)에 전원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 단자(175)의 형태는 상기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방열몸체(150)의 제1 수납부(151)에는 상기 전원제어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16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변환장치,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칩, 상기 발광모듈부(130)을 보호하기 위한 ESD(ElectroStatic Discharge) 보호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외부 케이스(180)는 상기 내부 케이스(170)와 결합되어 상기 방열몸체(150), 발광모듈부(130), 전원제어부(160) 등을 수납하고, 상기 조명 장치(1)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80)를 위에서 바라본 형상은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각형,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외부 케이스(180)에 의해 상기 방열몸체(150)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화상 사고 및 감전 사고를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 장치(1)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180)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에 대해 각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방열몸체(150)>
도 5는 상기 방열몸체(15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몸체(150)의 제1면에는 상기 전원제어부(160)가 배치되는 제1 수납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에는 상기 발광모듈부(130)가 배치되는 제2 수납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2 수납부(151,152)의 너비 및 깊이는 상기 전원제어부(160) 및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너비 및 두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수납부(152)는 상기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방열몸체(150)는 열 방출 효율이 뛰어난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몸체(150)의 재질은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g),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몸체(150)의 외측면은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요철 구조에 의해 상기 방열몸체(150)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방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요철(凹凸)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으로 봤을 때 일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 형상의 철(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상기 철(凸) 구조들은 방사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철(凸) 구조는 외측으로 갈수록 더욱 휘어진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요철(凹凸) 구조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방열몸체(150)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통홀(1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153)을 통해 상기 발광모듈부(130) 및 상기 전원제어부(160)가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153)에는 상기 제2 보호링(155)이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153)을 통해 수분 및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배선이 상기 방열몸체(150)과 접촉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 쇼트(short)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링(155)은 고무 재질, 실리콘 재질 또는 기타 전기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몸체(150)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00)를 견고히 결합하기 위해 제1 체결부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재(154)에는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는 상기 가이드부재(100)를 상기 방열몸체(150)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00)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100)가 결합되는 상기 방열몸체(150)의 하부 영역의 제1폭(P1)은 상기 방열몸체(150)의 다른 영역의 제2폭(P2)에 비해 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가이드부재(100)가 결합되는 상기 방열몸체(150)의 하부 영역의 요철 구조는 철(凸) 구조의 길이가 다른 영역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발광모듈부(130) 및 제1 보호링(120)>
도 7은 상기 발광모듈부(130) 및 상기 제1 보호링(120)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모듈부(130)는 상기 방열몸체(150)의 상기 제2 수납부(152)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둘레 영역에는 상기 제1 보호링(12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130)는 기판(132)과, 상기 기판(132)에 탑재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32)은 절연체에 회로 패턴이 인쇄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32)은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표면이 빛이 효율적으로 반사되는 컬러, 예를 들어 백색, 은색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32) 상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가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유색 빛을 각각 발광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 및 자외선(UV, UltraViolet)을 발광하는 UV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는 원하는 색감 및 휘도를 얻기 위해 다양한 조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 연색성(CRI)을 확보하기 위해 백색 발광 다이오드, 적색 발광 다이오드 및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조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들은 상기 전원제어부(160)에 의해 제어 및 구동될 수 있으며, 원하는 색감 및 휘도를 얻기 위해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모듈부(130) 아래로 배선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영역 중 상기 배선이 형성된 영역에는 배선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발광 소자가 탑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이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중간 영역에 형성된 경우, 상기 중간 영역에는 발광 소자가 탑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32) 상에는 센서(135)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135)는 상기 조명 장치(1) 주변의 외광을 감지하고, 이들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원제어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센서(135)는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일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160)는 상기 센서(135)로부터 제공된 상기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들에 제공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1)의 휘도 및 색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135)는 상기 조명 장치(1) 주변 환경의 외광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1)의 휘도 및 색감을 자가 보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135)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광학 센서 뿐 아니라, 온도 감지 센서, 압력 센서, 카메라 등 각종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은 상기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32) 상에는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 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너 다이오드(미도시)는 평소에는 전류가 흐리지 않다가, 상기 조명 장치(1)에 급격한 과전압 또는 역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통전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32) 상에는 써미스터(thermistor, 미도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들에 직렬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써미스터(미도시)는 주변의 온도에 따라 저항이 가변하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상기 조명 장치(1) 주변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저항값이 커져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1)가 과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130) 하면에는 상기 방열판(14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140)은 열 전도율이 뛰어난 열전도 실리콘 패드 또는 열전도 테이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모듈부(130)에서 생성된 열을 상기 방열몸체(150)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링(120)은 고무 재질, 실리콘 재질 또는 기타 전기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둘레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호링(120)은 내측 하단에 단차(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차(121)에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측면 영역 및 상면의 둘레 영역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발광모듈부(130)가 상기 제1 보호링(120)과 견고히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호링(120)의 내측 상단은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배광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사(12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보호링(120)은 상기 가이드부재(100)와 상기 발광모듈부(130) 사이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측면 영역이 상기 방열몸체(15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1)의 내전압, EMI, EMS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호링(120)은 상기 발광모듈부(130)를 견고히 고정하고, 외부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보호링(120) 상에 상기 렌즈(110)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보호링(120)에 의해 상기 렌즈(110)가 상기 발광모듈부(130) 상에 제1 거리(h)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1)의 배광 조절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가이드부재(100)>
도 9는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평면도이다.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재(100)는 상기 발광모듈부(130)가 노출되는 개구부(101), 내측과 외측 사이에 다수의 제1 방열홀(102) 및 상기 방열몸체(150)와 결합되는 체결홈(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00)는 원형의 링(ring)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다각형, 타원형의 링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들이 노출되게 된다. 다만, 상기 가이드부재(100)는 상기 발광모듈부(130)를 상기 제2 수납부(152)에 압착하는 작용을 하므로, 상기 개구부(101)의 폭은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폭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부재(100)를 상기 방열몸체(150)에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100)는 상기 렌즈(110), 제1 보호링(120) 및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둘레 영역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렌즈(110), 제1 보호링(120) 및 상기 발광모듈부(130)를 상기 방열몸체(150)의 제2 수납부(152)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조명 장치(1)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103)은 상기 가이드부재(100)를 상기 방열몸체(1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방열몸체(150)의 제1 체결부재(154)의 홀과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상기 체결홈(103)을 대향시킨 후, 상기 제1 체결부재(154)의 홀 및 상기 체결홈(103)에 나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100) 및 상기 방열몸체(150)를 결합시킬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조명 장치(1)의 전원제어부(160), 발광모듈부(130) 등의 내부 부품의 교체가 필요하거나, 상기 렌즈(11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100)는 상기 나사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방열몸체(15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등이 용이하게 상기 조명 장치(1)의 유지 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방열홀(102)은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제1 방열홀(102)은 상기 조명 장치(1) 내부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방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방열홀(102)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부채꼴의 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상기 다수의 제1 방열홀(102)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의 하부 영역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조명 장치(1)의 하면도이고, 도 13은 상기 조명 장치(1)의 상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제1 방열홀(102)을 통해 상기 조명 장치(1) 내부로 유입된 공기(AIR)는 상기 방열몸체(150) 측면의 요 구조(b) 및 철 구조(a)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공기 대류 원리에 의해, 상기 방열몸체(150)의 요철 구조 사이를 통과하여 데워진 공기(AIR)는 상기 내부 케이스(170)와 상기 외부 케이스(180)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통풍홀(182)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수의 통풍홀(18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다수의 제1 방열홀(102)을 통해 빠져나갈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다수의 제1 방열홀(102) 및 상기 다수의 통풍홀(182)에 의해 공기 대류 원리를 이용한 방열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조명 장치(1)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제1 방열홀(102) 및 상기 다수의 통풍홀(182)에 의한 방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제1 방열홀(102) 및 상기 다수의 통풍홀(182)은 서로 대응하고, 상기 방열몸체(150) 측면의 요철 구조와도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공기 유입 구조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100A)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100A)는 내측면이 요철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요 구조(102A)를 통해 공기(AIR)가 유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00A)의 철 구조는 상기 발광모듈부(130), 렌즈(110) 및 제1 보호링(120)을 압착할 수 있다.
상기 요 구조(102A)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대류 효과에 의해 상기 조명 장치(1)에서 방출된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렌즈(110)>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렌즈(110)는 상기 발광모듈부(130) 아래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모듈부(130)에서 방출되는 빛의 배광을 조절한다.
상기 렌즈(1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렌즈(110)는 파라볼라 형태의 렌즈, 프레넬 렌즈,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110)는 상기 발광모듈부(130) 아래에 제1 거리(h)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거리(h)는 상기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0mm 내지 50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거리(h)는 상기 발광모듈부(130)와 상기 렌즈(11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보호링(12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방열몸체(150)의 제2 수납부(152)에 상기 렌즈(110)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광모듈부(130)와 상기 렌즈(110) 사이에 상기 제1 거리(h)가 유지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렌즈(110)는 상기 가이드부재(1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내측면은 상기 렌즈(110)와 접촉하며,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렌즈(110) 및 상기 발광모듈부(130)는 상기 방열몸체(150)의 제2 수납부(152)에 압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렌즈(110)는 유리, PMMA(Polymethylmethacrylate), PC(Polycarbornat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상기 렌즈(110)는 형광체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렌즈(110)의 입사면 또는 출사면에 형광체를 포함하는 광여기 필름(PLF:Photo Luminescent Film)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형광체에 의해 상기 발광모듈부(130)에서 방출되는 광은 파장이 변화되어 출사되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렌즈(100)의 입사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로부터 입사되는 빛들이 효과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내부 케이스(170)>
도 15는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 케이스(170)는 상기 방열몸체(150)의 상기 제1 수납부(151)에 삽입되는 삽입부(174),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175) 및 상기 외부 케이스(180)와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170)는 절연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74)는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74)의 측벽은 상기 제1 수납부(15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부(174)의 측벽은 상기 방열몸체(150)의 제1 수납부(151)와 상기 전원제어부(160) 사이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174)는 상기 전원제어부(160)와 상기 방열몸체(150) 사이의 전기적 쇼트 등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조명 장치(1)의 내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장치(1)의 신뢰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삽입부(174)의 외측벽이 상기 방열몸체(150)의 제1 수납부(151)의 내측벽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174)는 구조적으로 상기 방열몸체(150)와 상기 내부 케이스(170)가 견고히 결합시키므로, 상기 조명 장치(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175)는 예를 들어, 소켓(socket) 방식으로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단자(175)는 정점에 제1 전극(177), 측면부에 제2 전극(178) 및 상기 제1 전극(177) 및 제2 전극(178) 사이로 절연부재(179)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 전극(177,178)은 외부 전원에 의해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 단자(175)의 형태는 상기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6 및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의 연결 단자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 단자(175a)는 상기 전원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배선(16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선(164)이 솔더링(soldering) 등에 의해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발광모듈부(13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단자(175a)는 별도의 구조를 가지지 않고, 상기 제1 배선(164)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 단자(175)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 핀(pin)(177b,178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연결 핀(177b,178b)이 삽입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 구멍(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연결 핀(177b,178b)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연결 구멍(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모듈부(130)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이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체결부재(172)는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측면에 형성되어 다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홀에 나사 등이 삽입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170)와 상기 외부 케이스(18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상부 영역에는 다수의 제2 방열홀(176)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170) 내부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제어부(160)로부터 발생한 열은 상기 다수의 제2 방열홀(176)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전원제어부(160) 및 내부 케이스(170)의 내부 구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제어부(160)는 상기 방열몸체(150)의 제1 수납부(15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160)는 지지기판(161)과, 상기 지지기판(161) 상에 탑재되는 다수의 부품(16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다수의 부품(162)은 예를 들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변환장치, 상기 발광모듈부(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칩, 상기 발광모듈부(130)을 보호하기 위한 ESD(ElectroStatic discharge) 보호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기판(161)은 상기 내부 케이스(170) 내의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기판(161)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내부 케이스(170)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대류 현상에 의한 공기 흐름이 발생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상기 다수의 제2 방열홀(176)을 통해 열이 방출되어 상기 조명 장치(1)의 방열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기판(161)은 상기 내부 케이스(170) 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기울어져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전원제어부(160)는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연결 단자(175) 및 상기 발광모듈부(130)와 각각 제1 배선(164) 및 제2 배선(16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배선(164)은 상기 연결단자(175)의 제1 전극(177) 및 제2 전극(182)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선(165)은 상기 방열몸체(150)의 관통홀(153)을 통과하여 상기 전원제어부(160) 및 상기 발광모듈부(13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지지기판(161)이 상기 내부 케이스(170) 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므로, 상기 조명 장치(1)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배선(165)이 상기 지지기판(161)에 눌려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방열몸체(150)의 바닥면에 상기 관통홀(153)의 주위로 돌출부(159)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기판(161)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배선(165)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59)의 돌출 두께는 적어도 상기 제2 배선(165)의 단면의 직경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방열몸체(15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고, 대신에 상기 발광모듈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커넥터(158)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제어부(160)에는 상기 제1 커넥터(158)와 결합되는 제2 커넥터(15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커넥터(158)는 소켓 방식에 의해 돌려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일방이 타방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전원제어부(160)와 상기 발광모듈부(130)를 이처럼 상기 제1,2 커넥터(158)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전원제어부(160)를 견고히 고정 및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선에 의한 연결보다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외부 케이스(180)>
상기 외부 케이스(180)는 상기 내부 케이스(170)와 결합되어 상기 방열몸체(150), 발광모듈부(130), 전원제어부(160) 등을 수납하고, 상기 조명 장치(1)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80)에 의해 상기 방열몸체(150)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화상 사고 및 감전 사고를 방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조명 장치(1)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외부 케이스(18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상기 외부 케이스(180)의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 케이스(180)는 상기 내부 케이스(170) 등이 삽입되는 개구부(181)와,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제2 체결부재(172)와 결합되는 결합홈(183)과, 상기 조명 장치 내에 공기를 유입 또는 방출하는 상기 다수의 통풍홀(1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80)는 절연성 및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180)의 상기 개구부(181)로 상기 내부 케이스(170)가 삽입되고, 상기 결합홈(183) 및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제2 체결부재(172)를 나사 등에 의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외부 케이스(180) 및 상기 내부 케이스(17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케이스(180)의 내측은 상기 방열몸체(150)의 요철 구조와 선 접촉 또는 면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케이스(180)의 조립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통풍홀(182)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다수의 제1 방열홀(102)과 함께 상기 조명 장치(1) 내의 원활한 공기 흐름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조명 장치(1)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다수의 통풍홀(182)은 상기 외부 케이스(180)의 상면의 둘레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부채꼴의 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결합홈(183)은 상기 다수의 통풍홀(182)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0에서는 상기 다수의 통풍홀(182)의 내측과 외측이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다수의 통풍홀(182)의 내측이 외측에 비해 위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상기 외부 케이스(180)의 측면에는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184) 및 상기 조명 장치(1)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마킹홈(185)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홀(184)은 상기 외부 케이스(18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홀(184)을 통해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킹홈(185)은 상기 외부 케이스(180)를 관통하거나 관통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조명 장치(1)를 돌려서 외부 전원에 끼워넣는 경우, 사용자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상기 다수의 홀(184) 및 상기 마킹홈(185)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홀(184)은 상기 외부 케이스(180)의 측면의 일정 영역에 행과 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마킹홈(185)은 회사의 로고(logo)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다수의 홀(184) 및 상기 마킹홈(185)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발광 소자(131)>
상기 발광모듈부(130)에 탑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의 광원으로 작용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유색 빛을 각각 발광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이거나, 자외선(UV, UltraViolet)을 발광하는 UV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그 종류나 수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3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에 탑재된 상기 발광 소자(131)의 측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소자(131)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에 설치된 제1 전극층(31) 및 제2 전극층(32)과, 상기 몸체(20), 상기 제1 전극층(31) 및 상기 제2 전극층(32) 중 어느 하나 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전극층(31) 및 제2 전극층(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칩(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0)는 폴리프탈아미드(PPA:Polyphthalamide)와 같은 수지 재질, 실리콘(Si), 금속 재질, PSG(photo sensitive glass), 사파이어(Al2O3), 인쇄회로기판(PCB)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20)의 상면의 형상은 상기 발광 소자(131)의 용도 및 설계에 따라 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20)에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캐비티(cavity)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는 컵 형상, 오목한 용기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티의 내측면은 바닥에 대해 수직한 측면이거나 경사진 측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를 위에서 바라본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31) 및 제2 전극층(32)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이격되어 상기 몸체(20)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전극층(31) 및 상기 제2 전극층(32)은 상기 발광칩(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칩(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2 전극층(31,32)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티타늄(Ti),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전극층(31,32)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전극층(31) 및 제2 전극층(32)의 일단은 상기 몸체(20)의 캐비티 내에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몸체(2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2 전극층(31,32)의 형상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칩(10)은 상기 몸체(20), 상기 제1 전극층(31) 및 상기 제2 전극층(32) 중 어느 하나 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전극층(3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칩(10)에서 생성되는 열은 상기 제1,2 전극층(31,32)으로 전달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발광칩(10)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의 빛을 방출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Ultra Violet)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칩(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방식에 의해 상기 제1,2 전극층(3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플립 칩(flip chip), 다이 본딩(die bonding) 방식 등으로 상기 제1,2 전극층(3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20)의 캐비티 내에는 상기 발광칩(10)을 밀봉하여 보호하도록 봉지재(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봉지재(40)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재(40)는 실리콘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지재(40)는 상기 캐비티 내에 상기 실리콘 또는 수지 재질을 충진한 후, 이를 경화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형광체는 상기 봉지재(40) 내에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칩(10)에서 방출되는 제1빛에 의해 여기되어 제2빛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칩(10)이 청색 발광 다이오드이고 상기 형광체가 황색 형광체인 경우, 상기 황색 형광체는 청색 빛에 의해 여기되어 황색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상기 청색 빛 및 황색 빛이 혼색됨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131)는 백색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가이드부재 110 : 렌즈
120 : 제1 보호링 130 : 발광모듈부
140 : 방열판 150 : 방열몸체
155 : 제2 보호링 160 : 전원제어부
170 : 내부 케이스 174 : 삽입부
175 : 연결 단자 180 : 외부 케이스

Claims (30)

  1. 일측에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타측에 삽입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
    외측면에 요철 구조를 가지며, 일측에 상기 내부 케이스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제1 수납부 및 타측에 제2 수납부를 포함하는 방열몸체;
    상기 방열몸체의 상기 제2 수납부에 배치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모듈부;
    상기 방열몸체의 상기 제2 수납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모듈부를 상기 방열몸체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방열몸체의 외측에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납부 외측면의 요철 구조는 상기 제1 수납부의 요철 구조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조명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는 일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을 갖는 철 구조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철 구조들은 방사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조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의 재질은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g), 주석(Sn) 또는 마그네슘(M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는 하부 측면에 홀이 형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의 홀과 상기 체결홈에 나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방열몸체 및 상기 가이드부재가 결합되는 조명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부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방출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인 조명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부는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부는 제너 다이오드 및 써미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는 정점에 제1 전극과, 측면에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는 적어도 두 개의 핀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에 배치된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부는 배선에 의해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명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는 바닥면에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배선에 의해 상기 전원제어부와 상기 발광모듈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명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통홀 주위로 돌출부가 형성된 조명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는 보호링이 결합되는 조명 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에는 상기 발광모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제어부에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커넥터가 형성된 조명 장치.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삽입부에 배치된 조명 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측면에는 다수의 홀 또는 홈이 형성된 조명 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로 상기 내부 케이스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내부 케이스가 결합되는 조명 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삽입부의 외측벽이 상기 방열몸체의 제1 수납부의 내측벽과 접촉하는 조명 장치.
  24. 일측에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타측에 삽입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
    외측면에 요철 구조를 가지며, 일측에 상기 내부 케이스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제1 수납부 및 타측에 제2 수납부를 포함하는 방열체;
    상기 방열체의 상기 제2 수납부에 배치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모듈부; 및
    상기 방열체의 상기 제2 수납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모듈부를 상기 방열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방열체와 외부 케이스 사이로 공기가 대류하도록 공기가 유입되는 홀을 갖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납부 외측면의 요철 구조는 상기 제1 수납부의 요철 구조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조명 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부는 센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에 배치된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는 바닥면에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배선에 의해 상기 전원제어부와 상기 발광모듈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명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통홀 주위로 돌출부가 형성된 조명 장치.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삽입부에 배치된 조명 장치.
KR1020100005145A 2009-11-09 2010-01-20 조명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91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41,493 US8829771B2 (en) 2009-11-09 2010-11-08 Lighting device
TW099138563A TWI519736B (zh) 2009-11-09 2010-11-09 照明裝置(一)
EP10190506.5A EP2320133B1 (en) 2009-11-09 2010-11-09 Lighting device
CN201010621767.8A CN102095101B (zh) 2009-11-09 2010-11-09 照明装置
JP2010251024A JP5649916B2 (ja) 2009-11-09 2010-11-09 照明装置
EP15158936.3A EP2902703A1 (en) 2009-11-09 2010-11-09 Lighting device
US14/317,210 US9562680B2 (en) 2009-11-09 2014-06-27 Lighting device
JP2014229599A JP5869088B2 (ja) 2009-11-09 2014-11-12 照明装置
JP2016001101A JP6140849B2 (ja) 2009-11-09 2016-01-06 照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497 2009-11-09
KR20090107497 2009-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119A KR20110051119A (ko) 2011-05-17
KR101091394B1 true KR101091394B1 (ko) 2011-12-07

Family

ID=4436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1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1394B1 (ko) 2009-11-09 2010-01-20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03B1 (ko) * 2011-12-23 2013-10-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3998A1 (en) * 2006-10-24 2008-04-24 Led To Lite, Llc Led and ceramic lamp
JP2009004130A (ja) * 2007-06-19 2009-01-08 Sharp Corp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3998A1 (en) * 2006-10-24 2008-04-24 Led To Lite, Llc Led and ceramic lamp
JP2009004130A (ja) * 2007-06-19 2009-01-08 Sharp Corp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119A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3273B2 (ja) 照明装置
JP5869088B2 (ja) 照明装置
KR101007134B1 (ko) 조명 장치
EP2320134B1 (en) Lighting device
US7923831B2 (en) LED-based light source having improved thermal dissipation
JP2014082481A (ja) 発光装置
KR101081312B1 (ko) 조명 장치
CN102082223B (zh) 发光器件封装
KR101091394B1 (ko) 조명 장치
JP6140849B2 (ja) 照明装置
KR101072060B1 (ko) 조명 장치
KR101072168B1 (ko) 조명 장치
KR101896669B1 (ko) 조명 장치
WO2014045522A1 (ja) 照明用光源及び照明装置
KR101103518B1 (ko) 조명 장치
KR102031737B1 (ko) 조명 장치
KR101304874B1 (ko) 조명 장치
CN203948999U (zh) 发光体以及照明装置
KR101879215B1 (ko) 광원 분리형 조명 장치
KR101080697B1 (ko) 조명 장치
KR101976469B1 (ko) 조명 장치
KR101113610B1 (ko) 조명 장치
KR20120096718A (ko) 조명 장치
JP2006107851A (ja) スタンド型照明装置
KR20130094973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