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95843B1 -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 Google Patents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843B1
KR101095843B1 KR1020110097208A KR20110097208A KR101095843B1 KR 101095843 B1 KR101095843 B1 KR 101095843B1 KR 1020110097208 A KR1020110097208 A KR 1020110097208A KR 20110097208 A KR20110097208 A KR 20110097208A KR 101095843 B1 KR101095843 B1 KR 101095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ile
underground frame
weight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기
김창원
조덕화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5065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9584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2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in mo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적검문소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된 고정식 축중기에 차량이 좌우측으로 편중하여 진입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중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축중기 구조물을 개선한 고정식 축중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도 상에 길게 매설되는 지중 프레임과, 상기 지중 프레임의 좌우 측에 길게 설치되고 내부에 측정부가 마련되어 차량의 통과시에 차량의 윤중을 검출하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사이의 지중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설치면을 갖도록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가 각각 형성된 중앙더미 및 상기 지중 프레임의 양측 가장자리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양 끝단 측에는 상기 각 측정패드와 이웃하는 상면 일부가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설치면을 갖도록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좌측 보조더미와 우측 보조더미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FIXING TYPE AXLE WEIGHTING APPARATUS FOR MEASURING WEIGHT ACCURATELY OF WRONG ENTRANCE OF OVERLOAD VEHICLE}
본 발명은 과적 화물 차량의 중량을 검출하기 위한 고정식 축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적검문소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된 고정식 축중기에 차량이 좌우 측으로 편중하여 진입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중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축중기 구조물을 개선한 고정식 축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중기는 도로나 교량을 보호하기 위하여 과적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즉 차량이 진행 상태에서 각 차량의 축중량을 검측, 합산하여 차량의 총중량을 검측하여 차량의 과적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축중기는 도로에 매설되어 상시로 측정하는 고정식 축중기와, 이동이 가능하도록 무게를 경량화하여 이곳저곳에서 옮겨가며 측정이 가능토록 한 이동식 축중기가 있다.
여기서, 고정식 축중기란 과적검문소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된 형태로 물동량이 많은 곳에 설치되며 동적(다이나믹) 계량이 가능한 장치이다. 동적계량이란 차량이 10km 이하 저속으로 축중판을 통과하면서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고정식 축중기는 차량의 중량을 검측하기 위해 크게 차로 설비와 사무실 설비로 나뉘어진다. 차로 설비는 과적검문소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차량이 통과하는 차도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검측부에 차량 바퀴의 중량이 인가되면서 내부의 힘을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로드 셀의 변형으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설비이고, 사무실 설비는 차도 상에 설치된 검측부에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중량으로 환산하여 처리하고, 임계값 이상의 자료를 데이터베이스(DB)화 구축 후 주변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운전자 또는 근무자에게 통보하는 제어부 등이 마련된다.
한편, 이러한 고정식 축중기 구조물은 운행 중인 차량의 속도에 따른 오차 및 축 조작 방지 등 오차율을 줄이기 위해 그 구조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식 축중기 구조를 개선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축중기 구조물은 차량 운전자가 축중기 구조물 통과 시에 차량을 축중기 구조물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하여 차량 후륜 바퀴의 일부를 검측부로터 벗어나게 해서 차량의 실제 중량보다 중량 검측값이 낮게 검출되도록 부정 진입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고정식 축중기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 상에 좌우 측으로 길게 매설되는 지중 프레임(11)과, 지중 프레임(11) 상부 좌우 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좌우 바퀴가 통과되면서 차륜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 내부에 로드셀이 구비된 좌우 측정패드(12)(13)와, 좌우 측정패드(12)913) 사이의 지중 프레임(11)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더미(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중앙더미(14)는 차륜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 아니라 지중 프레임에서 한 쌍의 좌우 측정패드(12)(13) 사이의 공간을 메우기 위한 보조적인 구성으로 그 상면은 평편한 형상으로 측정패드(12)(13)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
그런데, 차량 운전자는 도로 상에 설치된 축중기로 차량 진입 시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좌우 측 후륜 바퀴 모두가 측정패드(12)(13)를 통과하도록 운전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종래의 고정식 축중기의 구조를 악용하여 의도적으로 차량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되게 진입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 후륜 바퀴에서 안쪽 바퀴(A1)가 중앙더미(14)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진입함으로써 차량의 후륜으로 가해지는 중량이 중앙더미(14)를 통해 일부가 검출되지 않게 분산되어 차량 실제 중량보다 낮게 검출되도록 편중 진입을 하고 있다.
이는 사람의 체중 측정 시에 한쪽 발은 지면에 놓고 나머지 한쪽 발만 체중 측정기에 올려놓고 체중을 측정하는 경우에 체중 측정기에 올려진 체중이 지면에 놓인 한쪽 발에 분산되어 실제 체중보다 적게 측정되는 것과 동일한 원리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축중기 구조물은 차량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차량을 축중기 구조물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함으로써 각 차륜에 걸리는 축하중(윤중)을 줄이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측정패드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차량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차량을 축중기 구조물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을 하더라도 측정패드의 길이를 증가시킴 없이 각 차륜에 걸리는 축하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실제의 축하중이 검출될 수 있도록 한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차도 상에 길게 매설되는 지중 프레임과, 상기 지중 프레임의 좌우 측에 길게 설치되고 내부에 측정부가 마련되어 차량의 통과시에 차량의 윤중을 검출하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사이의 지중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설치면을 갖도록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가 각각 형성된 중앙더미 및 상기 지중 프레임의 양측 가장자리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양 끝단 측에는 상기 각 측정패드와 이웃하는 상면 일부가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설치면을 갖도록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좌측 보조더미와 우측 보조더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더미 및 각 보조더미는 상기 지중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를 따라 지중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를 통해 상기 지중프레임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중앙더미 및 각 보조더미와 상기 측정패드의 사이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더미가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는 종래의 측정패드의 길이를 증가함이 없이 차량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차량을 축중기 구조물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을 하여 각 차륜에 걸리는 축하중이 줄어드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결국 고정식 축중기의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고정식 축중기 구조에서 차량이 좌측으로 편중 진입한 상태에서 축중기에 차량 후륜 바퀴가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기 구조의 전체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기 구조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고정식 축중기에 설치되는 중앙더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고정식 축중기에 설치되는 좌측 또는 우측 보조더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기 구조에서 차량이 좌측으로 편중 진입한 상태에서 축중기에 후륜 바퀴가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도 6에서 차량의 우측 후륜 바퀴가 중앙더미 및 우측 측정패드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축중'이란 차량의 바퀴 좌우 측을 동시에 계측한 무게값을 의미하며, '윤중'이란 바퀴 한쪽만 계측한 무게값을 의미하며, '윤거리'는 좌측 및 우측 바퀴의 중심과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기는 4.5톤 이상의 화물 차량의 축중을 검출하는 축중기에 관한 것으로, 보통 4.5톤(5톤) 화물 차량의 차량 윤거리는 1.60 m 이다.
한편, 차량 윤거리 1.60m 이상의 화물 차량은 대부분 차량 후륜의 좌우 측 바퀴가 각각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텐덤형으로 이루어지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텐덤형으로 이루어진 화물 차량의 윤중 및 축중을 측정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의 전체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100)는 크게 지중 프레임(10)과,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와,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더미(50)와,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보조더미(50)(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중 프레임(10)은 과적검문소나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차량이 통과하는 차도 상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으며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상하 공간이 비어 있는 프레임 형태를 갖는 철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중 프레임(10)은 길이 방향 상부 및 하부를 이루는 가장자리 철 구조물에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 중앙더미(50),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 및 다수의 완충더미(80)가 볼트 체결로 조립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체결 구멍(10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중 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를 이루는 가장자리 철 구조물 사이의 터진 공간에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 중앙더미(50), 좌측 및 우측 보조 더미(60)(70) 및 다수의 완충더미(80)의 하면을 받칠 수 있는 받침대(11)가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다수 개 설치된다.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는 지중 프레임(10)의 길이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길게 설치되어 차량의 좌우 바퀴가 통과되면서 각 바퀴의 윤중을 검출한다.
이를 위해,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는 차륜의 중량을 실질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측정 프레임(10)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에 다수 개 설치되는 로드셀(미도시)과, 다수 설치된 로드셀의 전체를 덮어주면서 차량의 바퀴와 직접 접촉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 두께를 갖는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는 축중을 실시하기 위한 차량이 가로질러 진입하여 차량의 좌우 측 차륜이 동시에 올라설 수 있을 정도의 폭을 지닌다.
여기서,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지중 프레임(10)의 체결구멍(10a)에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구멍(20a)(30a)이 마련되어 있으며, 지중 프레임(10)의 체결 시에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연결철판(40)을 매개로 하여 지중 프레임(10)에 볼트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지중 프레임에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않고, 즉 종래의 지중 프레임에 설치된 길이와 동일한 측정패드를 사용하더라도 축중기 구조물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차량이 의도적으로 편중 진입하는 경우에 각 차륜에 걸리는 축하중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실제의 축하중이 검출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더미(50)의 길이를 종래보다 줄이는 대신에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양쪽에는 종래에 설치되지 않은 보조더미(60)(70)를 추가로 설치한 것이다.
특히, 차륜의 바퀴 측을 향하는 방향의 중앙더미(50)의 상면 형상을 종래 평편한 형상 대신에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52)와 돌출부(51)의 형상을 갖도록 하였으며, 보조더미(60)(70)의 상면부 형상 역시 함몰부(62)(72)와 돌출부(61)(71)의 형상을 갖도록 개선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고정식 축중기에 설치되는 중앙더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고정식 축중기에 설치되는 좌측 또는 우측 보조더미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더미(50)는 측정 프레임(10) 상에 설치된 좌측 및 우측패드(20)(30) 사이의 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철판으로 제작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중앙더미(50)의 전체 길이는 종래의 동일 사양의 축중기에 설치된 중앙더미의 전체 길이보다 작게 제작된다.
이러한 중앙더미(50)는 상면 중앙과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 돌출된 돌출부(51)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51)를 기준으로 양측으로는 돌출부(51)에 비해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52)를 갖는 형상이다.
즉, 중앙더미(5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상면에는 전체적으로 'Ⅰ' 형상의 돌출된 돌출부(51)가 마련되며, 나머지 공간에는 돌출부(51)에 비해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52)가 중앙 돌출부(51)를 기준으로 좌우 측에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중앙더미(50)를 지중 프레임(10)에 설치 시에 돌출부(51)는 각 측정패드(20)(30)의 설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함몰부(52)는 각 측정패드(20)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이룬다.
이때, 중앙더미(50)의 상부 및 하측 돌출부(51)에는 지중 프레임(10)의 체결 구멍(10a)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구멍(50a)(60a)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이러한 함몰부(52)에 의해 축중기로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차량 좌우 후륜 바퀴에서 안쪽 바퀴가 중앙더미(52)의 상부를 통과시에 안쪽 바퀴가 함몰부(52) 내에 위치하여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되어 중앙더미(52)에 윤중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의 측정 프레임(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차량의 바퀴와 접촉되는 상면으로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와 접하는 단부측에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62)(72)가 형성되며, 나머지 측면 단부와 상부 및 하부에는 함몰부(62)(72)에 비해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61)(71)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를 지중 프레임(10)에 설치 시에 돌출부(61)(71)는 각 측정패드(20)(30)의 설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고, 함몰부(62)(72)는 각 측정패드(20)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이룬다.
이때, 돌출부(61)(71)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에는 지중 프레임(10)의 체결구멍(10a)에 볼트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구멍(60a)(70a)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의 함몰부(62)(72)에 의해 축중기로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차량 좌우 후륜 바퀴에서 바깥쪽 바퀴가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의 상부를 통과시에 바깥쪽 바퀴가 함몰부(62)(72) 내에 위치하여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에 윤중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중기 구조물은 차량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축중을 줄이기 위해 차량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 진입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차량 좌우 후륜 바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바퀴를 측정패드가 아닌 중앙더미 또는 보조 더미에 위치하더라도 측정패드에 놓이지 않은 바퀴가 공중에 떠있는 상태가 되어 각 바퀴의 윤중이 분산되어 전체 축중이 줄어들지 않게 된다.
한편, 중앙더미(50)와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는 지중 프레임(10)을 향하는 저면의 상부 및 하부 측에 지중 프레임(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상부 및 하부 연결프레임(90)에 의해 각각 지지 되면서 지중 프레임(10)에 볼트 체결된다.(도 3 참조)
그리고,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를 기준으로 각각의 측정패드(20)(30)의 좌우 측에 각각 설치되는 중앙더미(30) 및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60)(70)와 각각의 측정패드(20)(30) 사이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고무 재질의 완충더미(80)가 다수 개 설치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이러한 다수의 완충더미(80)는 서로 다른 재질의 부재로 이루어진 각 측정패드(20)(30)와 중앙더미(50) 및 각 보조더미(60)(70) 사이의 공간을 틈새 없이 기밀하게 메우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완충더미(8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각 측정패드(20)(30)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중앙더미(50) 및 각 보조더미(60)(70)가 열 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변형이 생기는 경우에도 각 부재 사이에 틈새 없이 완전하게 밀착되게 연결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로폭 3.2m에서 차량의 윤거리 1.8 m의 축중을 측정하기 위한 고정식 축중기의 사양(제원)은 지중 프레임의 전체 길이가 3.30m 이고, 좌측 및 우측패드의 전체 길이가 각각 1.25m 이고, 중앙더미의 길이가 0.40m 이고, 좌측 및 우측 보조더미의 길이가 0.15m이며, 완충더미의 길이는 0.25m이다.
참고로, 종래 도로폭 3.2m에서 차량의 윤거리 1.8 m의 축중을 측정하기 위한 고정식 축중기의 사양(제원)은 지중 프레임의 전체 길이가 3.24m 이고, 좌측 및 우측패드의 전체 길이가 각각 1.25m 이고, 중앙더미의 길이가 0.60m 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고정식 축중기에서 차량이 좌측으로 편법 진입하는 경우에 차량의 운중 및 축중을 검출하기 위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축중기 구조에서 차량이 좌측으로 편중 진입한 상태에서 축중기에 후륜 바퀴가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차량의 우측 후륜 바퀴가 중앙더미 및 우측 측정패드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중기 구조물에 차량의 진입 시에 차량 운전자가 차량의 운중을 분산시킬 의도로 차량의 우측 후륜 바퀴에서 안쪽 바퀴(A1)를 중앙더미(50) 측에 놓이도록 우측으로 편중되게 진입하는 경우에, 우측 후륜 바퀴에서 바깥쪽 바퀴(A2)는 우측 측정패드(30)와 접촉하고 안쪽 바퀴(A1)는 중앙더미(50)의 우측 함몰부(52)의 상부에 위치하고, 좌측 후륜 바퀴에서 바깥쪽 바퀴(A1)는 좌측 보조더미(60)의 함몰부(62)의 상부에 위치하고 안쪽 바퀴(A2)는 좌측 측정패드(20)와 접촉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이, 차량의 편중 진입에 의해 차량의 좌우 한 쌍의 후륜 바퀴에서 어느 하나의 바퀴가 중앙더미(50) 및 보조더미(60)(70)에 위치하게 되더라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패드(30)에 접촉하지 않는 나머지 바퀴(A1)는 중앙더미(50) 또는 보조더미(60)(70)의 각 함몰부(52)((62)(72)에 의해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편중 진입시에 측정패드(30)에 한쪽 바퀴만 접촉한 상태에서 나머지 바퀴는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측정패드(30)에 접한 한쪽 바퀴에 각 운중이 집중되어 실제 차량의 전체 중량대로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사람의 체중 측정 시에 두 발을 모두 체중 측정기에 올려놓고 체중을 측정하는 경우와 한쪽 발은 공중에 놓은 상태에서 나머지 한쪽 발만 체중 측정기에 올려놓고 체중을 측정하는 경우에 양자 모두 동일하게 실제 체중이 측정되는 것과 동일한 원리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 지중 프레임 11 : 받침대
20 : 좌측 측정패드 30 : 우측 측정패드
40 : 연결철판 50 : 중앙더미
51 : 중앙더미 돌출부 52 : 중앙더미 함몰부
60 : 좌측 보조더미 70 : 우측 보조더미
80 : 완충패드 90 : 연결 프레임

Claims (3)

  1. 차도 상에 길게 매설되는 지중 프레임(10);
    상기 지중 프레임(10)의 좌우 측에 길게 설치되고 내부에 측정부가 마련되어 차량의 통과시에 차량의 윤중을 검출하는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사이의 지중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상면에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설치면을 갖도록 일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52)가 각각 형성된 중앙더미(50); 및
    상기 지중 프레임(10)의 양측 가장자리로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양 끝단 측에는 상기 각 측정패드(20)(30)와 이웃하는 상면 일부가 상기 좌측 및 우측 측정패드(20)(30)의 설치 높이보다 낮은 설치면을 갖도록 함몰된 함몰부(62)(72)가 형성된 좌측 보조더미(60)와 우측 보조더미(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더미(50) 및 각 보조더미(60)(70)는 상기 지중 프레임(10)의 상부 및 하부를 따라 지중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90)를 통해 상기 지중 프레임(10)에 볼트 체결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더미(50) 및 각 보조더미(60)(70)와 상기 각 측정패드(20)(30)의 사이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더미(80)가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KR1020110097208A 2011-09-26 2011-09-26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KR101095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208A KR101095843B1 (ko) 2011-09-26 2011-09-26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208A KR101095843B1 (ko) 2011-09-26 2011-09-26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843B1 true KR101095843B1 (ko) 2011-12-21

Family

ID=4550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208A KR101095843B1 (ko) 2011-09-26 2011-09-26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7007A (zh) * 2013-03-05 2013-07-17 广西南宁市共展科控称重设备有限公司 智能电子汽车衡及其称量车辆重量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03B1 (ko) 2007-03-13 2008-03-19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차량 계중기 및 그 설치 방법
KR100985734B1 (ko) 2009-06-24 2010-10-06 (주)뉴컨스텍 주행 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03B1 (ko) 2007-03-13 2008-03-19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차량 계중기 및 그 설치 방법
KR100985734B1 (ko) 2009-06-24 2010-10-06 (주)뉴컨스텍 주행 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7007A (zh) * 2013-03-05 2013-07-17 广西南宁市共展科控称重设备有限公司 智能电子汽车衡及其称量车辆重量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2681A (en) Arrangement for measuring the tire pressure of moving vehicles from the tire contact surface
US3746111A (en) Short scale for weighing railway vehicles
CN109855711B (zh) 一种车辆超载超限动态称重系统
KR100985734B1 (ko) 주행 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KR100942601B1 (ko) 고속, 저속 과적단속 트럭스케일
CN104303027A (zh) Wim系统的传感器模块和测量方法
US20170030764A1 (en) Slow speed weigh-in-motion system with flexure
CN112050920B (zh) 一种多点组合动态称重检测设备
KR101366103B1 (ko) 지점부의 반력응답을 이용한 bwim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095843B1 (ko) 부정 진입 차량의 정확한 중량 검측 가능한 고정식 축중기
US6112600A (en) Measuring platform for weight and brake system monitoring
CN214224320U (zh) 一种动态车辆超限判定系统
CN112697248B (zh) 一种动态车辆超限判定方法及判定系统
JP2003270029A (ja) 車両重量測定方法、車両軸重計測システム、及び過積載車両警告システム
CN100592058C (zh) 行驶轮胎的撞击力测定装置
KR101860325B1 (ko) 축중기와 계중기를 이용한 차량중량 측정장치
CN110268237A (zh) 用于检测移动到秤上的负载的重量的方法和设备
CN114067568B (zh) 车辆超重综合治理系统及方法
KR100992936B1 (ko) 과적 및 과속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과적 및 과속단속시스템
KR101950343B1 (ko)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KR20170052973A (ko) 화물차 축 간격 측정용 다기능 패드 센서 및 이를 이용한 과적단속 장치
CN112816044A (zh) 一种动态车辆超限判定系统及判定方法
KR101562182B1 (ko) 화물차의 적재중량 검출장치
CN218994503U (zh) 一种动态车辆超限判定系统
JP5939870B2 (ja) 車両計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