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95024B1 -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024B1
KR101095024B1 KR1020100038894A KR20100038894A KR101095024B1 KR 101095024 B1 KR101095024 B1 KR 101095024B1 KR 1020100038894 A KR1020100038894 A KR 1020100038894A KR 20100038894 A KR20100038894 A KR 20100038894A KR 101095024 B1 KR101095024 B1 KR 101095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dielectric layer
polymer composite
elastic dielectric
carbon nano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278A (ko
Inventor
구종민
홍순만
황승상
백경열
곽순종
김명희
김보리
곽희라
민경호
박윤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3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024B1/ko
Priority to US13/643,774 priority patent/US20130049530A1/en
Priority to PCT/KR2010/005636 priority patent/WO2011136440A1/en
Publication of KR2011011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9Form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 H10N30/098Forming 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6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only longitudinal or thickness displacement, e.g. d33 or d31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7Macromolecular compos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변환소자의 하나인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효과적인 분산성을 가지는 필러를 포함한 고분자복합체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탄성 유전체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빠른 응답성과 큰 변위를 갖는 것이 장점이 있는 반면에 구동전압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체에 카본 블랙, 단일벽 탄소나노 튜브(SWCNT),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CNT), 다중벽 탄소나노 튜브(MWCNT), 그라펜(Graphene)과 같은 카본 베이스된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체 제조시 파이렌(pyrene)유도체 또는 아민말단작용기를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 등의 분산 보조제를 첨가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전기역학변환 특성을 보이는 고분자복합체 액츄에이터를 제조한다.

Description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Actuator using elastomer composit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적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고분자복합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효과적인 분산성을 가지는 필러를 포함시킴으로써 고분자복합체의 전기역학 변환능력을 향상시킨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로보틱스, 펌프, 스피커, 디스크 드라이브 및 카메라 렌즈 등에 사용 가능한 종래의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전기역학소자)는 압전세라믹 재료가 주로 사용하였으나 기계적 변위가 매우 작고 취성이 크며 제조단가가 비싼 단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고자 위 재료를 고분자로 대체하는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에 아크릴고무, 실리콘고무, NBR(acrylonitrilbutadiene rubber), SEBS(styrene-b-ethylbutylene-b-styrene)와 같은 유전특성을 갖는 탄성체를 이용한 액츄에이터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위와 같은 탄성 유전체층을 사용한 액츄에이터는 전기적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며 큰 변위 값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구동전압이 매우 높은 단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탄성 유전체를 사용하는 액츄에이터의 구동은 막스웰 응력(Maxwell stress) σ(여기서, σ=ε0εE2, ε0, ε, E는 각각 진공상태의 유전율(permitivity), 유전상수, 전기장의 세기를 나타냄)에 의하여 구동된다. 막스웰 응력은 유전상수에 비례하고 전기장에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8-239929호 및 일본특허공개 2005-177003호에서는 탄성 유전체에 리튬을 포함한 세라믹 필러를 첨가하여 저가의 비용으로 유전상수를 증가시켜 전기역학 변환 효율을 향상시켰다. 국제특허공개공보 WO98/040435에서는 탄성체에 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금속입자와 같은 전도성 필러를 첨가한 복합체를 사용한 액츄에이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에서는 필러의 분산상이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분산상 크기로 형성되며 필러들의 응집체의 형성에 따른 필러들에 의한 전도 패스가 형성되어 유전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전기역학 변환 효율의 향상에도 한계가 있게 된다. 이러한 한계에 따라 필러가 첨가됨에 따라 유전손실(dielectric loss)이 증가하고 누설전류(leakage current)가 증가하며 절연파괴(breakdown strength) 특성이 악화되는 단점이 있었다(미국특허공보 US6909220호, 국제특허공개공보 WO98/040435 등 참조).
본 발명자들은 탄성 유전체층 중에 필러들을 분자수준으로 분산시키고 필러 표면을 패시베이션(passivation)시키는 경우 우수한 전기역학 구동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23992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177003호 국제특허공개공보 WO98/040435호 미국특허공보 US6909220호
본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체에 전도성 필러를 분산성 높게 첨가하여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우수한 전기역학특성을 가지는 고분자복합체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말레산 무수물계(maleic anhydride), 아크릴계, 우레탄계, 카르복실기 및 아민기 중 1종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 구조의 열가소성 탄성체, 하나 이상의 전도성 필러 및 임의로 분산보조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체로 이루어진 탄성 유전체층,
상기 탄성 유전체층의 한쪽 표면에 부착된 상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과 반대쪽인 탄성 유전체층의 표면에 부착된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서 상기 전도성 필러는 카본 블랙,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CNT),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및 그라펜(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이는 고분자 복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이 경우, 열가소성 탄성체는 고분자 복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80 내지 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9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9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고분자 복합체는 분산 보조제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보조제는 파이렌(pyrene)유도체, 특히 4 내지 20의 탄소수의 지방족 쇄를 갖거나 분자량이 5000이하의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또는 폴리스티렌계 올리고머을 포함하는 파이렌 유도체 또는 아민 말단 관능기를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분산 보조제의 함량은 고분자 복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은 또한 낮은 전압에서 향상된 변위 값을 보이는 고분자 복합체를 이용한 액츄에이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제조방법은,
말레산 무수물계(maleic anhydride), 아크릴계, 우레탄계, 카르복실기 및 아민기 중 1종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 구조의 열가소성 탄성체, 하나 이상의 전도성 필러 및 임의로 분산보조제를 혼합하는 단계,
얻어진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법, 볼 밀링법, 및 믹서를 사용한 혼합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단계,
얻어진 혼합물을 성형하여 탄성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탄성 유전체 층의 양면에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술한다.
도 1과 같이 절연체인 엘라스토머인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탄성 유전체층과 상부/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는 상부 및 하부 전극에 전압을 가하게 되면 두께방향으로 압축되고 면방향으로 팽창하는 액츄에이션 거동을 보인다. 빠른 응답성과 큰 변위값을 가지는 장점이 있지만 구동전압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최대한 낮은 전압에서 향상된 변위 값을 보이기 위해 고분자복합체를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탄성체 매트릭스 내에 카본 블랙, 탄소나노튜브, 그라펜과 같은 탄소계 필러를 첨가하여 매트릭스 계면에서 필러들이 침투 한계치(percolation threshold)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기역학 반응 특성을 향상시켜 큰 변위 값을 얻도록 하는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를 개발하였다.
종래 기술에서는 탄성체 매트릭스로서 아크릴고무, 실리콘고무, NBR(nitrobutadiene rubber), SEBS(styrene-b-ethylbutylene-b-styrene) 등의 열경화성 탄성체를 이용하였다. 특히 미국특허공보 US6909220호에서는 SEBS는 고장력 강도, 신장하에서 높은 변위를 가져서 인공근육에 응용가능하다고 보고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보다 높은 변위를 얻고자 말레산 무수물계를 그라프팅(grafting)한 SEBS-g-MA(styrene-b-ethylbutylene-b-styrene grafted maleic anhydride) 또는 아크릴기, 아민기, 카르복실기를 포함한 블록공중합체 구조의 열가소성 탄성체를 사용하여 극성기로 인한 분극화(polarization)의 기여도 증가로 인해 큰 변위 값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극성기를 포함한 열가소성 탄성체 매트릭스에 카본 블랙, 탄소나노튜브, 그라펜과 같은 카본이 기재인 필러를 효율적으로 분산시켜서 적은 함량에도 큰 변위를 얻는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효율적으로 필러들을 분자 단위로 분산을 시키기 위해서는 분산을 돕는 보조제를 사용한다. 파이렌(pyrene)유도체 또는 아민 말단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분산보조제로 첨가하여 필러 표면을 패시베이션(passivation)시키는 작용을 하여 필러의 분산특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필러간의 응집현상을 방지하였다. 또한 매트릭스와 필러의 혼합단계에서 초음파처리(울트라 소니케이션)과 볼-밀링 그리고 믹서를 사용하여 필러가 매트릭스에 분산성을 증가시켜 필러의 최소함량에서 절연파괴를 감소시키지 않고 안정성을 가지는 동시에 큰 변위를 가지는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를 제조하였다.
전도성 필러를 첨가한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에서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필러의 입자들의 분산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민 말단기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파이렌 유도체를 가지는 화합물을 분산보조제로 사용하여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의 전기역학 특성을 개선시킨다. 특히 필러의 분산특성 향상을 위해 고분자 매트릭스로서 말레산 무수물계(maleic anhydride), 아크릴계, 우레탄계, 카르복실기 및 아민기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 구조의 열가소성 탄성체를 사용하여 필러들의 분산특성을 향상시켰으며 이로부터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의 전기역학 특성이 매우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의 거동 원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의 제조 과정 중 탄성 유전체층을 구성하는 혼합물과 볼-밀링에 의한 분산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제조 과정 중에 상부/하부 전극에 카본 전극을 도포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의 전기적 에너지 및 기계적 에너지 변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2,3와 비교예 1,2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전기역학적 변위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
탄성 유전체 층(3a)으로는 크레이톤(Kraton)사로부터 제공받은 극성기를 포함하는 스타이렌-에틸부틸렌-스타이렌-g-말레산무수물(SEBS-g-MA) 공중합체(품명: FG1901X, 분자량: 110,000)를 사용하였으며 가소화를 부여하기 위해 미창(Michang)사에서 구입한 파라핀계 오일인 T-150을 첨가하였다. 공중합체와 오일의 함량은 20 중량%: 80중량%의 비율로 배합한다. 필러는 한화 나노텍에서 제공받은 단일벽 탄소나노 튜브(SWCNT, AST-100F)를 매트릭스 함량 대비 0.05 중량%를 톨루엔을 첨가하여 충분한 소니케이션(2a)을 한 뒤, 슬러리 상태에서 지르코늄 볼을 이용한 볼-밀링(2b)을 400rpm에서 3시간동안 실시하였다. 도 3a과 같은 샘플을 제작하기 위해 컴프레션 몰딩으로 100℃에서 7 ton의 힘을 가하여 60ㅧ60ㅧ0.5 mm3의 크기의 탄성 유전체층을 만들었다. 상부 전극면(3b)과 하부 전극면(3b')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본 페이스트를 벤질알코올에 용해시킨 용액을 떨어뜨려 균일한 두께를 갖는 스핀코팅방법을 사용하였다. 카본 페이스트는 아사히(Asahi)사 공급받은 FTU-60N4-20제품으로부터 5 g 대비 벤질알코올 3 ml의 비율로 혼합하여 적당한 농도의 용액을 사용하여 도 3과 같이 상부 전극면(3b)과 하부 전극면(3b')을 카본전극으로 도포하였다.
[실시예 2]
절연성 탄성 엘라스토머 매트릭스는 실시예 2과 같이 말레산 무수물계를 포함한 스타이렌-에틸렌부틸렌-스타이렌(SEBS-g-MA)과 오일의 중량비는 20 중량%: 80 중량%의 비율로 고정시킨다. 도 2a와 같이 필러는 한화나노텍에서 구입한 단일벽 탄소나노 튜브(SWCNT, AST-100F)를 매트릭스 함량 대비 0.05 중량%를 첨가하고 분산을 돕는 보조제인 파이렌 유도체인 N-헥사데실파이렌-1-술폰아미드(N-hexadecylpyrene-1-sulfonamide, 알드리치사 제조)을 0.1 중량% 그리고 톨루엔을 혼합하여 충분한 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도 2b와 같이 바울(Bowl)안에 파라핀계 오일에 팽윤되어있는 SEBS-g-MA의 공중합체와 충분히 소니케이션하여 N-헥사데실파이렌-1-술폰아미드를 포함한 필러를 넣고 슬러리 상태에서 지르코늄 볼을 이용한 볼-밀링을 3시간동안 실시하였다.
탄성 유전체층(3a)과 상부/하부 전극(3b)을 형성하는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절연성 탄성 엘라스토머 매트릭스(도 3a)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필러는 동 프탈로시아닌(copper phthalocyanine, CuPc)를 30 중량% 첨가하여 유전 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필러의 분산을 용이하기 위해 분산보조제인 아민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스타이렌 0.1 중량%를 첨가하여 초음파처리를 하여 분산성을 증가하였고 바울(bowl)안에 SEBS-g-MA와 파라핀계 오일 그리고 아민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스타이렌을 포함한 CuPc를 첨가하고, 용매로는 톨루엔을 사용하였다. 지르코늄 볼을 넣어 400 rpm 속도를 유지하며 3시간동안 볼-밀링을 하였다. 볼-밀링을 끝낸 다음 탄성 유전체층(3a)과 상부/하부 전극(3b)을 형성하는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탄성 유전체 층(3a)으로는 크레이톤(Kraton)사에서 구입한 스타이렌-에틸부틸렌-스타이렌(SEBS) 공중합체(품명: G1650M, 분자량: 110,000)를 사용하였으며 가소화를 부여하기 위해 미창(Michang)사에서 구입한 파라핀계 오일인 T-150을 첨가하여 공중합체를 팽윤되도록 하였다. 공중합체와 오일의 함량은 실시예와 동일함량인 20 중량%: 80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필러는 실시예와 동일재료인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0.05 중량%를 첨가하여 초음파처리(2a) 하였고 슬러리 상태에서 3mm, 5mm 지르코늄 볼을 넣어 400rpm에서 3시간동안 볼-밀링(2b)을 하였다. 그 이후 탄성 유전체층과 상부/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 3a와 같은 샘플을 제작하기 위해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컴프레션 몰딩으로 100℃에서 7 ton의 힘을 가하여 60ㅧ60ㅧ0.5 mm3 의 크기의 탄성 유전체 층을 만들었다. 또한 상부 전극면(3b)과 하부 전극면(3b')을 입히기 위해 아사히(Asahi)사 공급받은 카본 페이스트 FTU-60N4-20제품으로부터 5 g 대비 벤질알코올 3 ml의 비율로 혼합하여 적당한 농도의 용액을 스핀코팅법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탄성 유전체층(3a)를 구성하는 재료는 SEBS와 필러로는 동 프탈로시아닌(copper phthalocyanine, CuPc)을 사용하였다. 파라핀계 오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함량비율로 첨가하여 팽윤된 SEBS와 CuPc 30중량%를 첨가하여 초음파 처리(2a)를 하였고 슬러리상태에서 3mm, 5mm 지르코늄 볼을 넣어 400rpm에서 3시간동안 볼-밀링(2b)을 하였다. 그 이후 탄성 유전체층과 상부/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유전 탄성 고분자 복합체 전기역학 반응 동작 실험)
전기적 에너지 및 기계적 에너지 변환 능력을 알아보는 요인으로 전압 인가 시에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는 변위 값(thickness strain, Sz)을 구하기 위해 다음 도 4와 같은 방식으로 두 개의 레이저 센싱을 통해 인가전압에 의해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의 전기역학적 반응에 의한 변위 값을 알아보았다. 변위 값은 Sz(%)=t/to*100(여기서 t, to는 전압인가 전후의 샘플의 두께)에 의해 구해진다.
(실시예 1,2,3 과 비교예 1,2의 변위값 결과)
도 5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탄성 유전체층이 전압을 인가했을 때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두께방향으로 압축되는 액츄에이션 거동 능력을 판단하는 척도로서 두께방향으로 압축되는 변위 값(thickness strain, Sz)을 나타내었다.
실시예1과 비교예 1에 있어서, 동일한 필러를 동일함량을 첨가하였을 때 탄성 유전체 층(3a)이 전기역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은 비교예1의 매트릭스인 SEBS의 말레산 무수물계 극성기를 그라프팅한 SEBS-g-MA이며 인가전압시 극성기에 의한 기여도가 증가하여 도 5에서 향상된 변위값을 보인다. 실시예 2와 실시예 1의 비교에서, 분산 보조제가 향상된 전기역학특성에 큰 역할을 한다. 실시예 2에서 파이렌 유도체인 N-헥사데실파이렌-1-술폰아미드를 최소 0.1 중량%를 첨가하여 3배이상의 향상된 변위 값을 가진다. 즉, 분산제로서 파이렌 유도체를 첨가하게 되면 필러 함량을 적게 넣어도 분산성의 효과로 인해 변위값을 얻을 수 있는 고분자 복합체의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3과 비교예 2의 비교에서 아민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을 분산 보조제로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분산의 증가로 인해 큰 변위값을 가질 수 있다. 아민말단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에 의해서 필러의 표면을 패시베이션시켜서 필러간의 응집없이 효과적으로 필러를 최대한 분산시켜 유전상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극성기를 가지는 매트릭스에 전도성 필러가 분산 보조제와 함께 분산된 고분자 복합체는 개선된 전기역학 변환 능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분산성의 효율성을 증가시킨 다양한 필러를 첨가한 전기활성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여 이를 이용한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에 이용되는 분야에 효율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스피커 패널, 음향 작동기, 로봇 손에 응용 가능성이 우수하고 필러를 첨가하여 향상된 전기역학 특성이 부여되어 낮은 전압에서 큰 변위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8)

  1. 말레산 무수물계(maleic anhydride), 아크릴계, 우레탄계, 카르복실기 및 아민기 중 1종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 구조의 열가소성 탄성체 및 하나 이상의 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고분자 복합체로 이루어진 탄성 유전체층,
    상기 탄성 유전체층의 한쪽 표면에 부착된 상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이 부착된 표면과 반대쪽인 탄성 유전체층의 표면에 부착된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필러로서 카본 블랙,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CNT),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및 그라펜(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고분자 복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20중량% 함유하는 액츄에이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복합체가 분산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분산보조제가 파이렌(pyrene)유도체 또는 아민 말단 관능기를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인 액츄에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렌 유도체는 4 내지 20의 탄소수의 지방족 쇄를 갖거나 분자량 5000이하의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또는 폴리스티렌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것인 액츄에이터.
  8. 말레산 무수물계(maleic anhydride), 아크릴계, 우레탄계, 카르복실기 및 아민기 중 1종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 구조의 열가소성 탄성체, 하나 이상의 전도성 필러 및 임의로 분산보조제를 혼합하는 단계,
    얻어진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법, 볼 밀링법, 및 믹서를 사용한 혼합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단계,
    얻어진 혼합물을 성형하여 탄성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탄성 유전체 층의 양면에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의 제조방법.
KR1020100038894A 2010-04-27 2010-04-27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 KR101095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894A KR101095024B1 (ko) 2010-04-27 2010-04-27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
US13/643,774 US20130049530A1 (en) 2010-04-27 2010-08-24 Dielectric elastomer composites and actuators using the same
PCT/KR2010/005636 WO2011136440A1 (en) 2010-04-27 2010-08-24 Dielectric elastomer composites and actuator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894A KR101095024B1 (ko) 2010-04-27 2010-04-27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278A KR20110119278A (ko) 2011-11-02
KR101095024B1 true KR101095024B1 (ko) 2011-12-20

Family

ID=4486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894A KR101095024B1 (ko) 2010-04-27 2010-04-27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049530A1 (ko)
KR (1) KR101095024B1 (ko)
WO (1) WO20111364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285A (ko) 2018-09-04 2020-03-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복합체 액추에이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09817A1 (de) * 2008-02-19 2009-08-27 Epcos Ag Verbundwerkstoff zur Temperaturmessung, Temperatursensor aufweisend den Verbundwerkstoff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Verbundwerkstoffs und des Temperatursensors
US8929054B2 (en) * 2010-07-21 2015-01-06 Cleanvolt Energy, Inc. Use of organic and organometallic high dielectric constant material for improved energy storage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WO2012039425A1 (ja) * 2010-09-24 2012-03-29 株式会社クラレ ペースト及びその塗膜を電解質膜や電極膜とする高分子トランスデューサ
EP2810059A4 (en) * 2012-01-30 2015-09-23 Univ King Abdullah Sci & Tech GAS SENSOR
DE102013205485A1 (de) 2012-04-27 2013-10-31 Magna Powertrain Ag & Co. Kg Antrieb mit eletroaktiven Polymeren
KR101413237B1 (ko) * 2012-05-21 2014-06-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유전 탄성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US20150108871A1 (en) * 2012-06-01 2015-04-23 Syddansk University Ultrasonic transducer with dielectric elastomer as active layer
WO2014049102A1 (en) * 2012-09-28 2014-04-03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Mechanically invisible polymer coatings
KR20140050393A (ko) * 2012-10-19 201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물 기반의 신축성있는 에너지 제너레이터
KR101982280B1 (ko) * 2012-10-30 2019-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
KR101407489B1 (ko) * 2012-11-29 2014-06-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CN105283926B (zh) 2013-03-15 2019-05-10 克林伏特能源有限公司 利用有机和有机金属高介电常数材料改进能量存储设备中的电极和电流及其改进方法
KR101527170B1 (ko) * 2013-09-17 2015-06-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 기반의 자가발전형 유연 투명 구동기
KR102287736B1 (ko) * 2014-12-12 2021-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95670B1 (ko) * 2015-12-31 2023-10-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응 소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77484B1 (ko) * 2015-12-31 2022-1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응 소자 및 접촉 감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73594B1 (ko) 2016-07-01 2017-08-31 한국화학연구원 에너지 하베스팅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80019072A1 (en) * 2016-07-15 2018-01-18 Nanotek Instuments, Inc. Electrochemical Method of Producing Graphene-Based Supercapacitor Electrode from Coke or Coal
US10830722B2 (en) 2017-01-09 2020-11-10 King Abdullah Unvi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as sensors and methods of detecting gas
KR101964513B1 (ko) 2017-02-16 2019-04-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셀룰로오스 기반 투명한 전기 활성 폴리우레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208446A1 (en) * 2017-05-12 2018-11-15 Dow Silicones Corporation Polymer composites of high dielectric constant and low dielectric dissipation
CN111200376B (zh) * 2018-11-19 2023-05-30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一种摩擦纳米发电机
KR102188942B1 (ko) * 2019-05-07 2020-12-09 한국화학연구원 페이스트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압전형 압력센서와 이의 제조방법
CN110611068B (zh) * 2019-09-12 2022-03-25 肇庆市华师大光电产业研究院 一种新型锂硫电池隔膜材料的制备方法
CN110615963A (zh) * 2019-09-24 2019-12-27 北京化工大学 一种以钛酸钡为填料的高介电弹性体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621236B (zh) * 2021-05-21 2023-03-21 北京化工大学 一种高性能复合介电弹性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587318B (zh) * 2023-04-27 2024-05-14 东华大学 一种金属有机框架增强的微纳纤维膜基致动器及其制备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3527A (ja) * 2006-08-25 2008-03-06 Nsk Ltd 誘電性ゴ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8136B2 (ja) * 1997-03-11 2008-06-2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導電性エラストマー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導電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EP1212800B1 (en) * 1999-07-20 2007-12-12 Sri International Electroactive polymer generators
JP2005001885A (ja) * 2004-03-26 2005-01-06 Kenji Sato 物体移動装置
KR100713222B1 (ko) * 2005-08-05 2007-05-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파이렌 유도체를 이용하여 개질된 탄소나노튜브와 이를이용한 고유전성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들의제조방법
US7956520B2 (en) * 2006-11-24 2011-06-07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Electroactive nanostructured polymers as tunable organic actuators
JP2009232678A (ja) * 2008-02-27 2009-10-08 Nsk Ltd 有機発電エラストマー積層体または有機発電エラストマー部材および誘電性エラストマーの伸張によって電力が発生する携帯情報端末
US8357858B2 (en) * 2008-11-12 2013-01-22 Simon Fraser University Electrically conductive, thermosetting elastomeric material and uses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3527A (ja) * 2006-08-25 2008-03-06 Nsk Ltd 誘電性ゴ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285A (ko) 2018-09-04 2020-03-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복합체 액추에이터 장치
US10720856B2 (en) 2018-09-04 2020-07-2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e actuator device driven by an electrostatic attractive force when a voltage is appli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49530A1 (en) 2013-02-28
WO2011136440A1 (en) 2011-11-03
KR20110119278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024B1 (ko) 고분자 복합체 액츄에이터
US9142331B2 (en) Elastomer composite with improved dielectric propertie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Tian et al. High performance dielectric composites by latex compounding of graphene oxide-encapsulated carbon nanosphere hybrids with XNBR
Nayak et al. Development of flexible piezoelectric poly (dimethylsiloxane)–BaTiO3 nanocomposites for electrical energy harvesting
Cai et al. Piezoresistive behavior of graphene nanoplatelets/carbon black/silicone rubber nanocomposite
CN103183847B (zh) 一种高介电常数低介电损耗的石墨烯弹性体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Yang et al. A high-performance dielectric elastomer consisting of bio-based polyester elastomer and titanium dioxide powder
Chen et al. Dielectric, mechanical and electro-stimulus response properties studies of polyurethane dielectric elastomer modified by carbon nanotube-graphene nanosheet hybrid fillers
Kumar et al. Enhancement of electromechanical properties of natural rubber by adding barium titanate filler: An electro‐mechanical study
KR101405513B1 (ko) 고분자 블렌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액츄에이터
Cai et al. Enhanced Electromechanical Properties of Three‐Phased Polydimethylsiloxane Nanocomposites via Surface Encapsulation of Barium Titanate and Multiwalled Carbon Nanotube with Polydopamine
Tu et al. Enhanced electromechanical performance of P (VDF-TrFE-CTFE) thin films hybridized with highly dispersed carbon blacks
Qian et al. Improving dielectric properties and thermostability of CaCu3Ti4O12/polyimide composites by employing surface hydroxylated CaCu3Ti4O12 particles
Ning et al. Simultaneously improved actuated performance and mechanical strength of silicone elastomer by reduced graphene oxide encapsulated silicon dioxide
Yang et al. High performance silicate/silicone elastomer dielectric composites
Kong et al. Enhanced actuation strains of rubber composites by combined covalent and noncovalent modification of TiO2 nanoparticles
Zhen et al. Unusual dielectric loss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polyvinylidene fluoride composites in low frequency region (100 Hz< f< 1 MHz)
Thummarungsan et al. Electrically responsive materials based on dibutyl phathalate plasticized poly (lactic acid) and spherical fullerene
CN105331110A (zh) 液体硅橡胶基电导非线性绝缘材料
Chen et al. Interfacial engineering of polydimethylsiloxane based dielectric elastomers with excellent electromechanical properties via incorporating polyphenol encapsulat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
Shakun et al. Improved electromechanical response in acrylic rubber by different carbon‐based fillers
Yu et al. Enhanced electromechanical performance of natural rubber dielectric elastomers achieved by in situ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on TiO2 nanoparticles
Zeng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NTs/CaCu3Ti4O12/silicone rubber composites with improved dielectric and mechanical properties
Kim et al. Electric actuation properties of SEBS/CB and SEBS/SWCNT nanocomposite films with different conductive fillers
CN108891108B (zh) 一种高驱动应变的电致驱动弹性体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