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83293B1 - 나사 선별 장비 - Google Patents

나사 선별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293B1
KR101083293B1 KR1020100133667A KR20100133667A KR101083293B1 KR 101083293 B1 KR101083293 B1 KR 101083293B1 KR 1020100133667 A KR1020100133667 A KR 1020100133667A KR 20100133667 A KR20100133667 A KR 20100133667A KR 101083293 B1 KR101083293 B1 KR 101083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crews
track
feeder
bottom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승우
유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금속
Priority to KR102010013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293B1/ko
Priority to PCT/KR2011/005612 priority patent/WO2012070743A1/ko
Priority to CN201180066046.8A priority patent/CN10332895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29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09Sorting of fasteners, e.g. screws, nuts,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선별 장비는, 호퍼, 보울 피더, 리니어 피더를 거치면서 나사가 보다 완벽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나사 선별기에 끊어짐 없이 연속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나사 선별기에서 나사의 품질 상태를 정확히 검사하여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나사 정렬 공급 및 양품 불량품 선별의 신뢰성을 높여 제품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나사 선별 장비{Screw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나사를 일렬로 정렬하여 공급한 다음 나사를 품질에 따라 선별하는 나사 선별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사 선별 장비는 나사 제조 장치에서 제조된 나사들을 검사하여 양품과 불량품 등으로 선별하는 장치이다.
나사 선별 장비는 호퍼 등에 투입된 나사들을 보울 피더(bowl feeder)에 공급하고, 보울 피더에서 나사들을 일렬로 정렬한 다음, 보울 피더에 연결된 리니어 피더(linear feeder)에서 선별 검사기에 제공하여 나사들을 하나씩 검사하여 양품, 불량품 등으로 선별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나사 선별 장비는, 나사를 원하는 상태로 바르게 정렬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나사를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리하여 선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항인바, 나사를 보다 확실하게 정렬하여 끊어짐 없이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개선된 장치가 요구되고 있고, 또한 나사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고, 양품과 불량품을 보다 정확하게 선별하여 분류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배경기술의 내용은 이 건 출원의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나사 정렬 공급 및 양품 불량품 선별의 신뢰성을 높여 제품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나사 선별 장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선별 장비는, 바디부에 지지되어 나사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이 투입부에서 떨어진 나사를 보울 피더에 공급하는 나사 공급부와, 나사 공급부에 진동을 제공하여 나사들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한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나사 공급부에서 공급된 나사들이 수용되고 나사 이송을 위해 진동이 제공되는 보울 바디와, 이 보울 바디의 바닥면으로부터 나선형 구조로 점차 높아지도록 배치되어 보울 바디 내에 투입된 나사들이 상측으로 이송되는 제1트랙부와, 상기 보울 바디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1트랙부를 통해 공급된 나사들 중 일부는 제거하고 나머지는 정렬하여 공급하는 제2트랙부를 포함하는 보울 피더와; 상기 보울 피더의 제2트랙부에 연결되어 보울 피더에서 정렬된 나사를 일렬로 이송하면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리니어 피더와; 회전형 디스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리니어 피더로부터 나사를 수취하여 배출 위치로 이송하는 나사 이송 장치와, 이 나사 이송 장치에 의하여 배출 위치 측으로 이송되는 나사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와, 이 촬영 장치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촬영된 나사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 장치와, 상기 배출 위치 측에서 이 영상 분석 장치의 판단에 따라 나사를 양품과 불량품으로 나누어 회수하는 나사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나사 선별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는, 상기 투입부와 나사 공급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상기 바디부에 방진용 인슐레이터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나사 공급부에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울 피더의 제2트랙부는, 나사의 이동 경로를 따라, 나사가 이동되는 트랙의 바닥판의 폭을 조절하여 이동 나사 중 일부를 1차 탈락시키는 제1탈락부와, 제1탈락부의 후방 경로 상에 구비되어 트랙의 측판의 높이를 일정 구간 삭제함과 아울러 바닥판의 폭을 바로 전방의 바닥판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이동 나사 중 일부를 2차 탈락시키는 제2탈락부와, 제2탈락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바닥판의 폭을 바로 전방의 바닥판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이동 나사 중 일부를 3차 탈락시키는 제3탈락부와, 제3탈락부가 구성되는 트랙의 바닥판과 측판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으로 나사들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될 있도록 이루어진 슬릿 경로와, 슬릿 경로의 중간에 구비되어 트랙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부분을 끝냄으로써 상기 슬릿에 삽입되지 않은 나사를 탈락시키는 제4탈락부와, 제4탈락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슬릿 경로 상에 공기를 분사하여 슬릿에 불안정하게 삽입된 나사를 탈락시키는 제5탈락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탈락부와 제2탈락부 사이에는 트랙의 바닥판과 측판 사이에 홀을 형성하여 정렬할 나사 외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 선별기의 나사 이송 장치는,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에 상기 리니어 피더로부터 나사를 매달린 상태로 수취하는 수취부가 마련된 이송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부는, 나사의 나사부가 삽입되며 상기 이송 디스크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홈부와, 이 홈부에 삽입된 나사의 머리부가 얹히는 받침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 선별기의 나사 회수 장치는, 양품 회수 유닛과 불량품 회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불량품 회수 유닛은 상기 양품 회수 유닛에 의하여 양품을 회수한 후 남은 나사에 대하여 불량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선별 장비는, 호퍼, 보울 피더, 리니어 피더를 거치면서 나사가 보다 완벽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나사 선별기에 끊어짐 없이 연속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나사 선별기에서 나사의 품질 상태를 정확히 검사하여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나사 정렬 공급 및 양품 불량품 선별의 신뢰성을 높여 제품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선별 장비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선별 장비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선별 장비의 나사 선별 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울 피더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울 피더에서 제1탈락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보울 피더에서 이물질 배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보울 피더에서 제2탈락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보울 피더에서 제3탈락부, 슬릿 경로의 시작 부분, 제4탈락부를 보여주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보울 피더에서 제4탈락부 이후의 슬릿 경로 및 제5탈락부를 보여주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선별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13, 도 14는 도 12의 A 부분을 B 방향에서 본 상태가 도시된 구성도로, 도 13은 역광 조명의 오프(off)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는 역광 조명의 온(on)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검사 선별기에서 도 12에 나타낸 나사 이송 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검사 선별기에서 도 15의 C 부분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검사 선별기에서 도 15의 C 부분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검사 선별기에서 도 12에 나타낸 나사 회수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선별 장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선별 장비의 평면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선별 장비는, 크게 나사들이 투입되어 공급되는 호퍼(10), 이 호퍼(10)에서 공급된 나사를 정렬하여 공급하는 보울 피더(100) 및 리니어 피더(150), 이 리니어 피더(150)에서 공급된 나사를 검사 선별기(200)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서 도면 부호 5는 호퍼(10), 보울 피더(100), 리니어 피더(150) 등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나사 선별 장비를 이용하여 나사를 선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호퍼(10)에 투입된 나사는 보울 피더(100)에 공급되고, 보울 피더(100)에서 나사들이 나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례로 정렬되어, 리니어 피더(150)에 공급된다. 이후, 리니어 피더(150)에서 검사 선별기(200)에 공급된 나사는 검사 선별기(200)의 원판 디스크형 이송장치에 의해 공급 위치에서 배출 위치로 이송되고, 이때 카메라를 이용하여 나사를 검사하여, 양품과 불량품 등으로 선별하여 회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 선별 장비의 주요 구성 부분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퍼(10)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호퍼(10)는 나사가 투입되는 투입부(11)와, 이 투입부(11)에서 떨어진 나사를 보울 피더(100)에 공급하는 나사 공급부(13)로 구성된다. 또한, 나사 공급부(13)에 진동을 제공하여 투입부에서 떨어진 나사들을 보울 피더(1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바이브레이터(15)가 구비된다.
이때, 바이브레이터(15)는 투입부(11) 및 이를 지지하는 바디부(17)에는 진동을 제공하지 않고, 나사 공급부(13)에만 진동을 제공하여 투입부(11)에서 떨어진 나사를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바이브레이터(15)는 바디부(17)에 방진용 인슐레이터 등을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나사 공급부(13)에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투입부(11)와 나사 공급부(13)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투입부(11)는 나사 공급부(13)와는 이격된 상태에서 바디부(17)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바이브레이터(15)는 방진용 인슐레이터 등을 통해 바디부(17)에 지지됨으로써 바디부(17)에는 진동을 제공하지 않으면서 바디부(17)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바디부(17)에 지지된 바이브레이터(15)가 나사 공급부(13)와 연결(도 4에서 나사 공급부와 바이브레이터 사이의 은선 표시 부분)되어 나사 공급부(13)에만 진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호퍼(10)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공지의 나사 선별 장비에 구성되는 호퍼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보울 피더(100)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보울 피더 및 리니어 피더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11은 보울 피더의 주요 구성 부분을 보여주는 상세도들이다.
도 1, 도 2, 도 5 등을 참조하면, 보울 피더(100)는 상기 호퍼(10)에서 공급된 나사들을 나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일렬로 정렬하여 상기 리니어 피더(15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울 피더(100)는 용기형 구조를 갖는 보울 바디(110)에 진동을 제공하여 호퍼(10)에서 공급된 나사들을 보울 바디(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나선형 구조의 트랙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정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 도면 부호 123은 보울 바디(110)에 진동을 제공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울 피더(100)는 용기형 구조를 갖는 보울 바디(110)와, 이 보울 바디(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나선형 구조로 점차 높아지도록 배치되어 보울 바디(110) 내에 투입된 나사들이 상측으로 이송되는 제1트랙부(125)와, 보울 바디(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1트랙부(125)를 통해 공급된 나사들을 정렬하여 리니어 피더(150)로 공급하는 제2트랙부(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울 바디(110)는 상기 호퍼(10)에서 공급된 나사들을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제1트랙부(125)와 제2트랙부(127)를 따라 이동하는 나사들 중 떨어지는 나사를 다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울 바디(110)는 나선형 트랙 구조에 맞게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조건에 맞게 전체 형상과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음, 제1트랙부(125)는 보울 바디(110)의 바닥면에 위치된 나사들을 진동에 의해 나선을 따라 점차 상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보울 바디(110)의 바닥면(121a)으로부터 나선 형상으로 점차 높아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트랙부(125)는 바닥판(125a)과 측판(125b)이 조합되어 횡단면이 'L'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바닥판(125a)은 측판(125b)과 만나는 부분으로 나사들이 모이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에 대하여 일정 정도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트랙부(125)의 전체 길이는 실시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2단(층) 이상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2트랙부(127)는 상기 제1트랙부(125)를 통해 이송된 나사를 중 일부는 보울 바디(110) 내로 탈락시키고, 나머지 나사들은 일렬로 정렬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크게 제1트랙부(125)와 이어지는 엘형 경로(127L)와, 이 엘형 경로(127L)와 일정 구간 겹치면서 리니어 피더(150)까지 연결되는 슬릿 경로(127S)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엘형 경로(127L)는 제1트랙부(125)와 유사하게 바닥판(128)과 측판(129)으로 결합되어 횡단면이 'L'자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나사 이동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탈락부(131~135)들을 경유하면서 바닥판(128)의 폭이 단계적으로 축소되게 구성되고, 또한 수평 방향에 대한 바닥판(128)의 경사도도 점차 높아짐과 아울러, 측판(129)은 보울 바디의 바깥쪽 방향으로 더 기울어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릿 경로(127S)는 나사가 삽입되어 일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틈새(이하 '슬릿'이라 함)를 갖는 가이드 구조로 구성되어, 리니어 피더(150)까지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나사에서 나사가 형성된 부분(이하 '나사부'라 함)이 슬릿(S)에 삽입되고, 나사부의 상측에 형성된 머리부가 슬릿(S) 밖에 걸린 상태로 슬릿 경로(127S)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트랙부(127)는 제1트랙부(125)가 나선 구조로 점차 높아지도록 구성된 반면, 제2트랙부(127)는 나사들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탈락 및 정렬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1트랙부(125)와 이어지는 부분부터 리니어 피더(150) 끝까지 점차 낮아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제2트랙부(127)부터 점차 낮아지는 구성이 아닌 제1트랙부(125)가 끝나는 일정 구간부터 점차 낮아져 제2트랙부(127)로 이어지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엘형 경로(127L)와 슬릿 경로(127S)로 이루어진 제2트랙부(127)의 나사 이동 경로 상에 구성되는 주요 구성 부분을 설명한다.
제2트랙부(127)에는 나사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송 나사 중 일부 나사를 탈락시키는 제1탈락부(131), 이물질 배출부(130), 제2탈락부(132), 제3탈락부(133), 제4탈락부(134), 제5탈락부(135)가 순서대로 구비된다. 이때, 제1탈락부(131), 이물질 배출부(130), 제2탈락부(132), 제3탈락부(133), 제4탈락부(134)는 엘형 경로(27L) 상에 구성되고, 제5탈락부(135)는 슬릿 경로(127S) 상에 구성된다.
그리고 제3탈락부(133) 쪽에는 상기 슬릿 경로(127S)가 시작되어 엘형 경로(127L)와 겹치도록 구성되고, 제4탈락부(134)에는 엘형 경로(127L)가 끝나고 슬릿 경로(127S)만 이어지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2트랙부(127)에 구성되는 각 탈락부(131~135) 및 이물질 배출부(130)를 중심으로 제2트랙부(127)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탈락부(131)는 나사들이 이송되는 트랙의 바닥판(128)의 폭을 조절하여 이송 나사 중 일부를 1차 탈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1탈락부(131)는 제2트랙부(127)가 시작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구성 부분으로 제2트랙부(127)로 이송되는 나사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탈락부(131)는 엘형 경로(127L)를 형성하는 바닥판(128)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제1트랙부(125)와 제2트랙부(127)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이 이격된 부분에 폭 조절장치(131a)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폭 조절장치(131a)는 엘형 경로(127L)의 측판(129) 쪽에 지지되는 L자형 구조의 지지판(131b)과, 이 지지판(131b)에 지지된 상태에서 양쪽 트랙부의 바닥판(128) 사이로 돌출되어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폭 조절판(131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폭 조절판(131c)은 폭 조절방향으로 길게 슬롯(131d)이 형성되고, 이 슬롯(131d)에는 지지판(131b)에 폭 조절판(131c)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31e) 및 너트 등이 체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탈락부(131)는 제1트랙부(125)와 제2트랙부(127) 사이에서 폭 조절판을 이용하여 트랙의 바닥판(128)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트랙부(125)에서 제2트랙부(127)로 이동되는 나사들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물질 배출부(130)는 트랙의 바닥판(128)과 측판(129) 사이에 홀(130a)을 형성하여 나사 외의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이물질 배출부(130)는 바닥판(128)과 연결되는 측판(129)의 하부 쪽에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길게 형성된 홀(130a)을 형성하여, 나사들과 함께 이동되는 이물질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이물질이 배출되는 홀(130a)은 나사가 빠져나갈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물질 배출부(130)는 나사의 규격에 따라 홀(130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측판(129)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지지판(130c)과, 이 지지판(130c)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홀의 크기를 조절하는 홀 조절판(130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130c)은 바닥판(128)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진 상태에서 측판(129)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으로 슬롯(130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홀 조절판(130e)은 지지판(130c)의 앞쪽(뒤쪽도 가능)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130c)의 슬롯(130d)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조절 볼트(130f)를 통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물질 배출부(130)를 통해 이물질을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바닥판(128)의 경사도가 홀 쪽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제1탈락부(131) 이전의 바닥판(128) 경사도보다 제1탈락부(131)로부터 이물질 배출부(130)까지의 바닥판(128) 경사도를 더 크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이물질 배출부(130)의 후방 쪽을 보여주는 상세도로서, 도면 부호 130g는 이물질을 상기한 보울 바디(110) 바깥쪽으로 배출하는 배출 가이드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탈락부(132)는 트랙의 측판(129)을 일정 구간 동안 삭제하고, 바닥판(128a)이 보울 바디(110)의 바깥쪽 방향으로 더 기울어지게 배치하여 이송 나사 중 일부를 2차 탈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트랙의 바닥판(128a)의 폭은 그 전의 트랙 구간의 바닥판(128)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삭제된 측판 쪽 바닥판(128)에는 나사가 트랙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정도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원형상인 그루브(128b)가 트랙을 따라 계속하여 형성된다.
이와 함께 제1에어 분사기(141)가 구비되어 제2탈락부(132)에 진입하는 나사를 그루브(128b) 안쪽으로 밀어주는 동시에 세워진 상태로 이동하는 나사 등 일부 나사는 그루브 바깥쪽으로 탈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2탈락부(132)는 제1탈락부(131)를 거쳐 이동된 나사들을 제1에어 분사기(141)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그루브(128b) 안쪽으로 쓰러뜨려 일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나머지 일부 나사들은 측판이 삭제된 바깥쪽으로 떨어뜨려 탈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일부 나사들은 그루브(128b) 안쪽에 일렬로 안착되지 않은 상태, 즉, 세워진 상태 또는 그루브(128b) 밖으로 돌출된 상태 등으로 바닥판(128b)을 따라 계속 이동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3탈락부(133)는 트랙의 바닥판(128c)의 폭을 그 앞쪽 트랙 구간의 바닥판(128a)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이송 나사 중 일부를 3차 탈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3탈락부(133)는 제2탈락부(132)부터 시작되는 그루브(128b) 내에 안착되지 않은 나사들 중 일부 나사들이 떨어질 수 있도록 바닥판(128c)의 폭이 좁게 형성되고, 측판(129) 쪽에는 슬릿(S)이 형성되어 상기한 슬릿 경로(127S)가 시작된다.
여기서 슬릿 경로(127S)는 제3탈락부(133)가 구성되는 트랙의 측판(129) 쪽에 나사들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송될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니어 피더(150)와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슬릿 경로(127S)에 삽입된 나사는 머리부(h)가 슬릿(S)에 걸리고 나사부(n)는 슬릿(S)의 안쪽으로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릿(S)으로 나사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바닥판(128c)과 슬릿(S)이 형성된 측판(129) 부분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대략 'V'자형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릿(S)은 바닥판(128)과 측판(129) 사이의 틈새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릿 경로(127S)의 바로 앞쪽에는 그루브(128b)를 따라 이송되는 나사들이 슬릿(S)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제2에어 분사기(14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탈락부(133)와 슬릿 경로(127S)의 시작부분에서는 제2탈락부(132)를 경유하여 그루브(128b)를 따라 이동하는 나사들 중에서 대부분의 나사는 슬릿 경로(127S)를 구성하는 슬릿(S)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나사들은 상대적으로 바닥판(128c)의 폭이 좁아지는 제3탈락부(133)를 통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나사들 중 일부는 슬릿(S)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슬릿 경로(127S)와 함께 이어지는 상대적으로 협소한 바닥판(128c)을 따라 이동하는 나사가 존재한다.
상기 제4탈락부(134)는 슬릿 경로(127S)의 중간 경로 상에 구비되어 트랙의 바닥판(128c)을 구성하는 부분을 끝냄(128d)으로써 슬릿(S)에 삽입되지 않은 나사를 전부 탈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슬릿 경로(127S)는 계속해서 리니어 피더(150)까지 이어진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4탈락부(134) 이후의 슬릿 경로(127S)는 나사의 나사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긴 판재(137)가 일정 틈새인 슬릿(S)을 갖도록 평행하게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5탈락부(135)는 제4탈락부(134)의 후방 위치의 슬릿 경로(127S) 상에 공기를 분사하여 슬릿(S)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지 않고 슬릿 경로(127S)를 따라 이동하는 나사를 탈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5탈락부(135)는 슬릿(S)에 불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슬릿 경로(127S)를 따라 이동하는 나사들을 제3에어 분사기(143)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탈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3에어 분사기(143)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복수의 방향에서 슬릿 경로(127S)의 상측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탈락부(135) 이후의 슬릿 경로(127S)는 리니어 피더(150)로 이어지며, 제5탈락부(135)의 다음 위치에서부터 또는 리니어 피더 구간에서는 슬릿 경로(127S)를 구성하는 한 쌍의 긴 판재(137)의 상측 위치에, 이동하는 나사가 이탈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가이드 부재(138)(15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38)의 초기 안내 부분(138a)은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휘어진 구조로 형성되어 나사가 보다 안정적으로 슬릿(S) 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슬릿 경로(127S)와 리니어 피더(150)의 나사 이동 경로 상에는 나사 이동을 촉진할 수 있도록 에어 분사기(145)가 수 개소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음, 리니어 피더(150)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니어 피더(150)는 보울 피더(100)에서 정렬된 나사들을 검사 선별기(200)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보울 피더(100)에서 정렬된 나사를 일렬로 이송하면서 순차적으로 검사 선별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도 5에서 도면 부호 151은 정렬된 나사가 일렬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리니어 가이드를 나타내고, 153은 나사가 이탈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다.
이러한 리니어 피더(150)는 공지의 나사 선별 장비에 구성되는 리니어 피더(150)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 나사 선별기(200)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선별기(200)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평면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선별기(200)는 리니어 피더(150)에서 공급 위치(P1)에 공급되는 나사를 배출 위치(P2)로 이송하는 나사 이송 장치(205), 이 나사 이송 장치(205)의 이송작용에 의하여 공급 위치(P1)에서 배출 위치(P2) 측으로 이송되는 나사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300A,300B), 이 촬영 장치(300A,300B)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촬영된 나사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 장치(도시되지 않음), 배출 위치(P2) 측에서 촬영 장치(300A,300B)와 영상 분석 장치에 의하여 검사된 나사를 회수하는 나사 회수 장치(400)를 포함하고, 이 밖으로는 나사 이송 장치(205)에 의한 나사 이송 공간 및 촬영 장치(30)에 의한 나사 촬영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하우징(201; 도 1참조)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201)은 캐비닛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촬영 장치(30)에 의한 촬영 시 외부로부터의 빛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A 부분을 B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5는 나사 이송 장치(205)의 주요 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나사 이송 장치(205)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리니어 피더(150)로부터의 나사를 수취하며 수취한 나사를 배출 위치(P2)로 이송하기 위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이송 디스크(D1)를 포함한다. 이송 디스크(D1)는 회전축(X1)에 중심부가 장착되어 회전축(X1)과 함께 회전한다. 회전축(X1)은 하우징(201)에 마련된 마운팅 프레임(도시되지 않음) 상에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편, 모터를 포함하는 축 구동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이송 디스크(D1)는 그 외주에 리니어 피더(150)로부터의 나사를 수취하는 수취부가 마련되는데, 이 수취부는, 도 15를 참조하면, 리니어 피더(150)로부터의 나사가 한 개씩 삽입되는 다수 개의 수취홈부(H-1)로 구성된다. 다수의 수취홈부(H-1)는 이송 디스크(D1)의 외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 수취홈부(H-1)는 이송 디스크(D1)의 상, 하측을 향하는 두 부분이 터져서 입구 및 상하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이 수취홈부(H-1)의 입구라 함은 이송 디스크(D1)의 외주방향을 향하는 개구를 말한다.
리니어 피더(150)는, 도 12 및 도 15를 참고하면, 이송 디스크(D1)의 외주 측에 말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이 리니어 피더(150)의 말단 측은 공급 위치(P1)가 된다. 그리고, 다수의 수취홈부(H-1) 중 이송 디스크(D1)의 회전운동에 따라 공급 위치(P1) 측에 위치하는 수취홈부(H-1)에는 리니어 피더(150)로부터 공급되는 나사가 수취홈부(H-1)의 입구를 통하여 삽입된다.
리니어 피더(150)로부터의 나사는 그 머리부가 이송 디스크(D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취홈부(H-1)에 그 나사부가 삽입되고, 수취부는 수취홈부(H-1)에 이 같이 삽입된 나사의 머리부를 받치는 받침부(H-2)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나사는 수취부에 매달려 있도록 수취되는바, 머리부의 상부가 평평한 나사(예들 들어, 접시머리 나사)든 평평하지 않은 나사(예를 들어, 둥근머리 나사)든 관계없이 나사 이송 장치(205)에 의하여 배출 위치(P2)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즉, 기존 공급 및 이송 방식인 나사 이송 장치에 나사를 거꾸로 세워서(즉, 머리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서) 공급하고, 이 같이 거꾸로 세워진 상태로 공급되는 나사를 이 상태 그대로 이송 디스크에 세워 놓고 이송하는 방식에서는 머리부의 상부가 평평하지 않은 나사를 적용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6은 도 15의 C 부분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C 부분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송 디스크(D1)는 디스크 본체(210)를 포함한다. 이 디스크 본체(210)는 회전축(X1)에 중심이 장착된다. 디스크 본체(210)는 또, 외주에 수취홈부(H-1)의 하부를 형성하는 홈 형상의 오목부(212) 다수 개가 외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바람하게는,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이 다수 개의 오목부(212) 사이에는 각각 볼록부(214)가 마련된다. 이 오목부(212)와 볼록부(214)에 의하면, 디스크 본체(210)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톱니바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송 디스크(D1)는 디스크 본체(210)의 볼록부(214)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각각 장착되고 서로 간의 사이에 마련되는 여유 공간에 의하여 수취홈부(H-1)의 상부를 형성하는 인덱스 블록(220), 이 인덱스 블록(22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양쪽이 수취홈부(H-1) 측으로 각각 일정한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이 돌출부(232)의 상부를 받침부(H-2)로 하며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투광판(230)을 포함한다. 투광판(230)의 경우에는 아크릴이나 유리와 같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덱스 블록(220)은 그 좌우 양측이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디스크 본체(21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므로, 수취홈부(H-1)는 디스크 본체(210)의 외주 측에서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수취홈부(H-1)의 폭이 축소됨에 따라, 나사는 수취홈부(H-1)에 일정한 깊이 이상 삽입되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취홈부(H-1)에 나사를 삽입이 더 이상 불가할 때까지 삽입하는 식으로 나사의 위치를 일정하게 정렬할 수 있다.
인덱스 블록(220)은 디스크 본체(210)의 외주방향 측을 향하는 부분에 리니어 피더(150)로부터의 나사가 수취홈부(H-1)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수취용 안내부(222)가 마련된다. 수취용 안내부(222)는 디스크 본체(210)의 회전방향 측으로 일정한 각도 상향 경사지도록 각각 마련된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인덱스 블록(220)의 상측에는 투광판 수용홈(224)이 좌우방향(이웃한 인덱스 블록(220)을 향하는 양쪽)으로 마련되어, 투광판(230)은 이 투광판 수용홈(224) 내에 꼭 맞게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덱스 블록(220)은 이와 같이 투광판 수용홈(224)에 수용된 평판형의 투광판(230) 상부와 동일평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투광판(230)은 그 상부 중 적어도 받침부(H-2)가 인덱스 블록(220)과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 동일평면 구조에 의하면, 수취홈부(H-1)에 나사를 삽입하거나 이탈시키는 과정 중, 나사의 머리부가 인덱스 블록(220)과 투광판(230)의 경계부에서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 인덱스 블록(220)과 투광판(230)의 경계부에 단차가 지도록 턱이 있을 시, 이 턱에 나사의 머리부가 걸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투광판 수용홈(224) 내에 투광판(230)이 수용됨에 따라, 각각의 인덱스 블록(220)은 디스크 본체(210)의 외주방향을 향하는 부분인 외측이, 수취홈부(H-1)에 삽입되는 나사와 투광판(230) 간의 충돌을 사전에 예방하는 투광판 보호부(226)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수취홈부(H-1)에 삽입되는 나사가 투광판(230)에 충돌함에 따른 투광판(2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각 인덱스 블록(220)은 그 외측과 상부가 만나는 부분이 라운드 또는 사면으로 모따기가 되어 면취부(228)가 마련된다. 이 같은 면취부(228)에 의하면, 수취홈부(H-1)에 나사를 삽입할 때 보호부(226)의 상단부에 나사의 머리부가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수취홈부(H-1)에 삽입되는 나사의 머리부가 받침부(H-2)에 얹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인덱스 블록(220)은 볼록부(214) 상에 장착된 하부 블록(고정 블록), 이 하부 블록의 상부에 디스크 본체(210)의 방사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투광판(230)이 장착된 상부 블록(가동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와 하부 블록 간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하여,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 중 하나에는 서로 마주 보는 부분에 가이드 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이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또, 상부 블록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로크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로크 수단은 상부 블록에 나사 결합된 스톱 볼트를 포함하고 스톱 볼트를 죄면 이 스톱 볼트의 압박에 의하여 가이드 홈과 돌기가 밀착되어 상부 블록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300A,300B)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의 머리부에 대한 평면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1 촬영 장치(300A) 및 나사의 나사부와 머리부에 대한 측면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2 촬영 장치(300B)를 포함한다.
제1 촬영 장치(300A)는 이송 디스크(D1)의 상측(배출 위치(P2) 측으로 이송되는 나사의 직상)에서 수취홈부(H-1)에 삽입된 나사의 머리부를 촬영하는 상측 카메라(310A), 이 상측 카메라(310A)에 의한 나사 촬영 시 순광을 제공하는 순광 조명(320A), 상측 카메라(310A)에 의한 나사 촬영 시 역광을 제공하는 역광 조명(330A)을 포함한다. 순광 조명(320A)은 돔 구조의 반사갓을 포함하고, 순광 조명(320A)의 광원은 이 돔 구조의 반사갓의 내주 측에 배치된다. 돔 구조의 반사갓은 상측 카메라(310A)의 촬영을 방해함이 없도록 배치되거나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갓에 관통로를 마련, 이 관통로를 통하여 촬영할 수 있게 하였다.
역광 조명(330A)은 이송 디스크(D1)를 사이에 두고 상측 카메라(310A)와 대향하도록 이송 디스크(D1)의 하측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역광 조명(330A)을 비롯하여 상측 카메라(310A) 및 순광 조명(320A)은 마운팅 브래킷 등에 의하여 하우징(201; 도 1 참조)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제2 촬영 장치(300B)는, 도 12를 참조하면, 이송 디스크(D1)의 외주 측에서 수취홈부(H-1)에 삽입된 나사의 나사부와 머리부 측면을 촬영하는 측면 카메라(310B) 및 이 측면 카메라(310B)에 의한 나사 촬영 시 역광을 제공하는 역광 조명(330B)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제2 촬영 장치(300B)는 측면 카메라(310B)에 의한 나사 촬영 시 순광을 제공하는 순광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촬영 장치(300B)의 측면 카메라(310B)와 역광 조명(330B)은 이송 디스크(D1)에 의하여 이송되는 나사(즉, 이송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제2 촬영 장치(300B)의 측면 카메라(310B)와 역광 조명(330B) 또한 마운팅 브래킷 등에 의하여 하우징(201)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도면에는 나사에 대한 촬영이 제1 촬영 장치(300A)에 의하여 먼저 진행된 후, 제2 촬영 장치(300B)에 의하여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촬영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또, 촬영은 배출 위치(P2) 측으로 이송되는 나사가 제1 및 제2 촬영 장치(300A,300B)에 의한 촬영 범위에 각각 위치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이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및 제2 촬영 장치(300A,300B)가 각각 촬영하도록 제1 및 제2 촬영 장치(300A,300B)를 컨트롤하는 제어부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나사 이송 장치(205) 및 촬영 장치(300A,300B)에 의한 작동을 설명한다.
리니어 피더(150)로부터 연속 공급되는 나사는 공급 위치(P1)에 위치하는 수취홈부(H-1)에 수취용 안내부(222)의 안내작용에 따라 하나씩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받침부(H-2)의 지지를 받아 매달린 상태로 배출 위치(P2) 측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나사 이송 과정 중, 상측 카메라(310A)는 나사의 머리부를 촬영하여 머리부에 대한 평면영상을 획득하고, 돔 구조의 반사갓을 가지는 제1 촬영 장치(300A)의 순광 조명(320A)은 순광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1 촬영 장치(300A)의 역광 조명(330A)은 역광을 제공하여, 상측 카메라(310A)에 의하여 촬영된 나사의 평면영상에는 나사의 머리부에 대한 윤곽이 나타난다.
특히, 도 14와 같이, 제1 촬영 장치(300A)의 역광 조명(330A)으로부터 제공되는 역광이 받침부(H-2)를 구성하는 투광판(230)을 투과하여 상측 카메라(310A) 측을 향하므로 나사의 머리부 전체 윤곽을 해당 영상에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역광이 받침부(H-2)를 투과할 수 없거나 기타 원인(예를 들어, 간섭 등)에 의하여 일부만을 투과하는 경우에는 머리부에 대한 윤곽이 부정확한 영상이 획득되므로, 머리부에 대한 윤곽이 부정확한 영상에 해당하는 나사는 모두 어떤 문제도 없는 양품임에도 불량품으로 판단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영상 분석 장치는 제1 및 제2 촬영 장치(300A,300B)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미리 저장하여 둔 것과 비교하거나 규칙성을 파악하는 식으로 분석, 해당 나사가 양품인지 불량품인지를 판단하는바, 두 영상 신호 중 하나라도 부적합할 시에는 불량품으로서 판단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각각의 나사 상태를 판단한 후에, 나사 회수 장치(400)를 통해 나사를 분류하여 회수하게 된다.
상기 나사 회수 장치(400)는, 도 12 및 도 18을 참조하면, 양품 회수 유닛(410), 불량품 회수 유닛(420) 및 미분류품 회수 유닛(430)을 포함하는데, 이 양품, 불량품 및 미분류품 회수 유닛(410,420,430)은 모두 회수 트레이(412,422,432)와 분사 기구(414,424,434)를 포함한다. 나사 회수 장치(400)는 배출 위치(P2) 측에 나사 이송 방향인 이송 디스크(2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양품 회수 유닛(410), 불량품 회수 유닛(420) 및 미분류품 회수 유닛(43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각 회수 유닛(410,420,430)의 회수 트레이(412,422,432)와 분사 기구(414,424,434)는 이송 디스크(210)에 의하여 이송되는 나사(즉, 이송 경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나사 회수 장치(4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영상 분석 장치에 의하여 양품으로 판단된 나사가 양품 회수 유닛(410)의 회수 트레이(412)와 분사 기구(414) 사이를 지나면, 양품 회수 유닛(410)의 분사 기구(414)는 에어를 분사하여 해당 나사를 양품 회수 유닛(410)의 회수 트레이(412)로 보낸다.(도 18의 (A) 참조)
불량품이거나 정확한 판단이 곤란하여 판단을 보류한 미분류품의 경우에는 양품 회수 유닛(410)의 회수 트레이(412)와 분사 기구(414) 사이를 지나더라도 양품 회수 유닛(410)의 분사 기구(414)가 작동하지 않는다.
정상적으로 작동 시, 양품 회수 유닛(410)의 회수 트레이(412)와 분사 기구(414) 사이를 지나친 나사는 불량품이거나 미분류품이고, 이들 중 불량품은 불량품 회수 유닛(420)에 의하여 회수되고,(도 18의 (B) 참조) 미분류품은 미분류품 회수 유닛(430)에 의하여 회수된다.(도 18의 (C) 참조)
한편, 상기에서는 나사 이송 장치(205)가 리니어 피더(150)로부터의 나사를 매달린 상태로 수취하고 이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나사 공급 장치와 나사 이송 장치(205)는 앞서 설명한, 머리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거꾸로 세워서 공급하고, 이 같이 거꾸로 세워진 상태로 공급되는 나사를 이 상태 그대로 이송 디스크 상에 세워 놓고 이송하는 타입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바디부에 지지되어 나사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이 투입부에서 떨어진 나사를 보울 피더에 공급하는 나사 공급부와, 나사 공급부에 진동을 제공하여 나사들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한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나사 공급부에서 공급된 나사들이 수용되고 나사 이송을 위해 진동이 제공되는 보울 바디와, 이 보울 바디의 바닥면으로부터 나선형 구조로 점차 높아지도록 배치되어 보울 바디 내에 투입된 나사들이 상측으로 이송되는 제1트랙부와, 상기 보울 바디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1트랙부를 통해 공급된 나사들 중 일부는 제거하고 나머지는 정렬하여 공급하는 제2트랙부를 포함하는 보울 피더와; 상기 보울 피더의 제2트랙부에 연결되어 보울 피더에서 정렬된 나사를 일렬로 이송하면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리니어 피더와; 회전형 디스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리니어 피더로부터 나사를 수취하여 배출 위치로 이송하는 나사 이송 장치와, 이 나사 이송 장치에 의하여 배출 위치 측으로 이송되는 나사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와, 이 촬영 장치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촬영된 나사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 장치와, 상기 배출 위치 측에서 이 영상 분석 장치의 판단에 따라 나사를 양품과 불량품으로 나누어 회수하는 나사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나사 선별기로 구성되고,
    상기 보울 피더의 제2트랙부는, 나사의 이동 경로를 따라, 나사가 이동되는 트랙의 바닥판의 폭을 조절하여 이동 나사 중 일부를 1차 탈락시키는 제1탈락부와, 제1탈락부의 후방 경로 상에 구비되어 트랙의 측판의 높이를 일정 구간 삭제함과 아울러 바닥판의 폭을 바로 전방의 바닥판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이동 나사 중 일부를 2차 탈락시키는 제2탈락부와, 제2탈락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바닥판의 폭을 바로 전방의 바닥판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이동 나사 중 일부를 3차 탈락시키는 제3탈락부와, 제3탈락부가 구성되는 트랙의 바닥판과 측판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으로 나사들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될 있도록 이루어진 슬릿 경로와, 슬릿 경로의 중간에 구비되어 트랙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부분을 끝냄으로써 상기 슬릿에 삽입되지 않은 나사를 탈락시키는 제4탈락부와, 제4탈락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슬릿 경로 상에 공기를 분사하여 슬릿에 불안정하게 삽입된 나사를 탈락시키는 제5탈락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선별 장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탈락부와 제2탈락부 사이에는 트랙의 바닥판과 측판 사이에 홀을 형성하여 정렬할 나사 외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선별 장비.
  5. 청구항1 또는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나사 선별기의 나사 이송 장치는, 상하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외주에 상기 리니어 피더로부터 나사를 매달린 상태로 수취하는 수취부가 마련된 이송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수취부는, 나사의 나사부가 삽입되며 상기 이송 디스크의 외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홈부와, 이 홈부에 삽입된 나사의 머리부가 얹히는 받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선별 장비.
  6. 청구항1 또는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나사 선별기의 나사 회수 장치는, 양품 회수 유닛과 불량품 회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불량품 회수 유닛은 상기 양품 회수 유닛에 의하여 양품을 회수한 후 남은 나사에 대하여 불량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선별 장비.
KR1020100133667A 2010-11-25 2010-12-23 나사 선별 장비 Expired - Fee Related KR101083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67A KR101083293B1 (ko) 2010-12-23 2010-12-23 나사 선별 장비
PCT/KR2011/005612 WO2012070743A1 (ko) 2010-11-25 2011-07-29 부품 공급장치 및 부품 검사장비
CN201180066046.8A CN103328958B (zh) 2010-11-25 2011-07-29 零件供应装置和零件检查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67A KR101083293B1 (ko) 2010-12-23 2010-12-23 나사 선별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293B1 true KR101083293B1 (ko) 2011-11-15

Family

ID=4539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6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3293B1 (ko) 2010-11-25 2010-12-23 나사 선별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293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141B1 (ko) * 2013-01-04 2013-03-27 김병석 휴대폰 부품 검사장치
KR101300609B1 (ko) * 2012-07-19 2013-08-27 (주)스피덴트 근관 치료재 자동정렬 공급장치 및 그를 포함한 근관 치료재 포장 시스템
KR101301068B1 (ko) * 2011-11-25 2013-08-28 나사록코팅 주식회사 부품 선별 시스템
KR101341947B1 (ko) 2012-12-11 2013-12-16 (주)진합 볼트 양품 선별 장치
CN103831255A (zh) * 2012-11-23 2014-06-04 洛阳量云精密仪器有限公司 楔块自动测量分选机
CN105081736A (zh) * 2014-05-12 2015-11-25 昆山迎翔光电科技有限公司 自动压尾柄机
CN106000905A (zh) * 2016-06-01 2016-10-12 淮南市鸿裕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自动锁螺丝机送料筛选装置
CN106767282A (zh) * 2016-12-29 2017-05-31 天津华旭东升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单弧片铆接件的自动检测设备
CN106767283A (zh) * 2016-12-29 2017-05-31 天津华旭东升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紧固件自动检验设备
KR101767964B1 (ko) * 2016-01-29 2017-08-14 신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볼트 측면 비전 검사 수단을 포함하는 회전 낙하식 볼트 선별장치
KR101771708B1 (ko) 2015-03-17 2017-08-25 (주)대흥엔지니어링 베어링 단조 검사장치
CN108339759A (zh) * 2017-01-22 2018-07-31 深圳市深科动力电子有限公司 一种螺丝筛选组件和螺丝筛选机
CN110422595A (zh) * 2019-06-24 2019-11-08 北京祐林永磁材料有限公司 一种自动分选机供料系统
CN110711706A (zh) * 2019-10-11 2020-01-21 安徽工业大学 一种细长零件的连续式表面缺陷检测装置
CN111266306A (zh) * 2020-01-21 2020-06-12 上海永太汽车零部件有限公司 焊接螺母批量筛选装箱系统
CN112705477A (zh) * 2020-12-29 2021-04-27 佳兴紧固件工业(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螺丝尺寸自动筛选机构
KR102394453B1 (ko) * 2021-10-28 2022-05-03 이명숙 비젼 자동 검사기
KR20220056094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중원산업 위치 정렬이 가능한 파이프 볼트의 검사장치
KR20220086052A (ko) * 2020-12-16 2022-06-23 전지훈 접점 검사기용 접점 공급장치
KR20230045235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화신 부품 선별장치
KR20230001406U (ko) 2022-11-15 2023-07-07 최주오 자동차 타이어의 더스트캡 검사용 트레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717U (ja) * 1984-01-24 1985-08-19 村田精工株式会社 ボルト状部品の選別機
KR200277956Y1 (ko) * 1999-06-02 2002-06-15 비요른 시도프 볼트 선별장치
JP2005214751A (ja) * 2004-01-28 2005-08-11 Tsunehiro Yoshida ネジの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717U (ja) * 1984-01-24 1985-08-19 村田精工株式会社 ボルト状部品の選別機
KR200277956Y1 (ko) * 1999-06-02 2002-06-15 비요른 시도프 볼트 선별장치
JP2005214751A (ja) * 2004-01-28 2005-08-11 Tsunehiro Yoshida ネジの検査装置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68B1 (ko) * 2011-11-25 2013-08-28 나사록코팅 주식회사 부품 선별 시스템
KR101300609B1 (ko) * 2012-07-19 2013-08-27 (주)스피덴트 근관 치료재 자동정렬 공급장치 및 그를 포함한 근관 치료재 포장 시스템
WO2014014188A1 (ko) * 2012-07-19 2014-01-23 (주)스피덴트 근관 치료재 자동정렬 공급장치 및 그를 포함한 근관 치료재 포장 시스템
CN104093377A (zh) * 2012-07-19 2014-10-08 株式会社思必登 根管治疗器件自动排列供应装置及包含该装置的根管治疗器件包装系统
CN103831255A (zh) * 2012-11-23 2014-06-04 洛阳量云精密仪器有限公司 楔块自动测量分选机
KR101341947B1 (ko) 2012-12-11 2013-12-16 (주)진합 볼트 양품 선별 장치
KR101248141B1 (ko) * 2013-01-04 2013-03-27 김병석 휴대폰 부품 검사장치
CN105081736A (zh) * 2014-05-12 2015-11-25 昆山迎翔光电科技有限公司 自动压尾柄机
KR101771708B1 (ko) 2015-03-17 2017-08-25 (주)대흥엔지니어링 베어링 단조 검사장치
KR101767964B1 (ko) * 2016-01-29 2017-08-14 신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볼트 측면 비전 검사 수단을 포함하는 회전 낙하식 볼트 선별장치
CN106000905A (zh) * 2016-06-01 2016-10-12 淮南市鸿裕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自动锁螺丝机送料筛选装置
CN106767283A (zh) * 2016-12-29 2017-05-31 天津华旭东升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紧固件自动检验设备
CN106767282A (zh) * 2016-12-29 2017-05-31 天津华旭东升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单弧片铆接件的自动检测设备
CN108339759A (zh) * 2017-01-22 2018-07-31 深圳市深科动力电子有限公司 一种螺丝筛选组件和螺丝筛选机
CN110422595A (zh) * 2019-06-24 2019-11-08 北京祐林永磁材料有限公司 一种自动分选机供料系统
CN110711706A (zh) * 2019-10-11 2020-01-21 安徽工业大学 一种细长零件的连续式表面缺陷检测装置
CN111266306A (zh) * 2020-01-21 2020-06-12 上海永太汽车零部件有限公司 焊接螺母批量筛选装箱系统
KR20220056094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중원산업 위치 정렬이 가능한 파이프 볼트의 검사장치
KR102573374B1 (ko) * 2020-10-27 2023-09-01 주식회사 중원산업 위치 정렬이 가능한 파이프 볼트의 검사장치
KR102517135B1 (ko) * 2020-12-16 2023-03-31 전지훈 접점 검사기용 접점 공급장치
KR20220086052A (ko) * 2020-12-16 2022-06-23 전지훈 접점 검사기용 접점 공급장치
CN112705477A (zh) * 2020-12-29 2021-04-27 佳兴紧固件工业(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螺丝尺寸自动筛选机构
KR20230045235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화신 부품 선별장치
KR102590296B1 (ko) * 2021-09-28 2023-10-17 (주)화신 부품 선별장치
KR102394453B1 (ko) * 2021-10-28 2022-05-03 이명숙 비젼 자동 검사기
KR20230001406U (ko) 2022-11-15 2023-07-07 최주오 자동차 타이어의 더스트캡 검사용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293B1 (ko) 나사 선별 장비
US8123024B2 (en) Vibrating feeder, carrying device and inspection device
US8228493B2 (en) Carrying device and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for test objects
US5558231A (en) Automatic sorting machine for sorting and classifying small products of the pharmaceutical and confectionery industries according to form and color
US8225939B2 (en)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US7364043B2 (en) Fastener inspection system
WO2012070743A1 (ko) 부품 공급장치 및 부품 검사장비
KR101067641B1 (ko) 부품 선별 시스템
CN103917305B (zh) 利用交替侧向照明的检查仪
AU2016242468A1 (en) A novel color based optical grading system with multi reflectance and multi-angle views
KR20100099470A (ko) 정밀나사용 헤드 측면부의 크랙검사장치
EP4132763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parisons
KR101038739B1 (ko) 나사 검사 장비
US20170236270A1 (en) Video Parts Inspection System
KR100504334B1 (ko)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부품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830891B1 (ko) 색채 선별장치
JPH06167323A (ja) 部品検査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検査方法
KR19990011659U (ko) 화상을 이용한 자동감귤등급선별장치
KR101039099B1 (ko) 나사 이송 장치
KR101841139B1 (ko) 원료 멀티 색채 선별장치
KR20190138939A (ko) 일련의 비전 검사 수단을 이용하는 인서트 너트 선별 장치
JPH0811223B2 (ja) 色彩選別機の光電検出装置
KR102063972B1 (ko) 선별 정확도가 향상된 색채선별기
JPH0252551B2 (ko)
KR101346336B1 (ko) 대상물 비전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