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152B1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ner fin of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ner fin of heat exchan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7152B1 KR101087152B1 KR1020050004205A KR20050004205A KR101087152B1 KR 101087152 B1 KR101087152 B1 KR 101087152B1 KR 1020050004205 A KR1020050004205 A KR 1020050004205A KR 20050004205 A KR20050004205 A KR 20050004205A KR 101087152 B1 KR101087152 B1 KR 1010871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pin
- forming means
- pin
- outer circumferential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22—Making the fins
- B21D53/025—Louvered 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2—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pres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28F1/128—Fins with openings, e.g. louvered f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28F3/027—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with openings, e.g. louvered corrugated fins; Assemblies of corrugated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너핀을 개량하여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튜브내에 이너핀의 조립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적층형 열교환기와 이의 이너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minated heat exchanger and an inner fi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improving the inner fin to promote turbulence to maximize heat transfer and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inner fin in the tub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유체통로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구획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비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부 또는 하부에 열교환매체의 유출입되는 탱크부를 구비한 동일 형상의 플레이트 한쌍을 일치되게 접합하여서 된 튜브와; 상기 다수개의 유체통로내에 각각 수납되며, 지그재그로 절곡됨과 아울러 그 측벽에 난류 발생부를 갖는 다수개의 핀부재와, 상기 구획비드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핀부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너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partition beads for dividing and partitioning a fluid flow path into at least two or more, and also having a tank part which flows in and out of a heat exchange medium at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thereof. A tube formed by jointly joining a pair of plates of the same shape; Inner pins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fluid passages, bent in a zigzag, and have a plurality of pin members having turbulence generating portions on the sidewalls, and a connect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partition beads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in member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너핀 제조장치는, 일정한 피치를 갖는 제1 나사부와 제1 평탄부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와, 상기 제1 나사부와 치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와 면접되는 제2 나사부와 제2 평탄부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롤러로 이루어져 이너핀 소재가 통과하면서 상기 제1, 제2 나사부 사이에서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는 핀부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와 제2 평탄부 사이에서는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과; 상기 이너핀 소재가 상기 제1, 제2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난류 발생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제2 나사부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상에 형성되는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ner pin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screw portion and the first flat portion having a constant pitch alternate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first installed rotatably via a rotating shaft The second roller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screw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flat portion, and alternate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A pair of inner pin forming means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lat portion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while the pin member is bent in a zigzag shape while the inner pin material passes, and a connection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lat portion and the second flat portion. and; And a turbulence generating portion forming means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between the peaks and valleys of the first and second threaded portions so that the inner pin material pass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to form a turbulent flow generating portion. .
튜브, 이너핀, 제조Tube, inner pin, manufacturing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적층형 열교환기의 외관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laminated heat exchanger.
도 2는 종래 이너핀이 내장된 적층형 열교환기의 구성인 튜브의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b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eat exchanger built-in inner fin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형 열교환기의 구성중 본 발명의 이너핀이 내장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튜브의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ub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f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out of the laminated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이너핀이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튜브의 단면도.Figure 4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b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지시선 "A"부의 확대도로서, 난류 발생부의 형상을 나타낸 일부 확대도.6 and 7 are enlarged views of the leader line “A” portion shown in FIG. 3, and partially enlarged views showing the shape of the turbulence generating por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너핀의 제작장치의 외관 사시도.8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pin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FIG. 8.
도 10은 도 8의 측면도.10 is a side view of FIG. 8;
도 11은 본 발명의 난류 발생부를 형성하기 위한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urbulence generating portion forming means for forming a turbulence gener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for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00 : 튜브100: tube
110,120 : 플레이트 110,120: Plate
111,121 : 유체통로111,121: Fluid passage
113,123 : 구획비드113,123: Compartment Bead
112,122 : 탱크부112,122: tank section
200 : 이너핀200: inner pin
210 : 핀부재210: pin member
211 : 측벽211: sidewall
220 : 연결부재220: connecting member
213,215 : 루버213,215: Louver
400 :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 a set of inner pin forming means
410 : 제1 롤러410: first roller
411 : 제1 나사부411: first screw portion
412 : 제1 평탄부412: first flat part
420 : 제2 롤러420: second roller
421 : 제2 나사부421: second screw portion
422 : 제2 평탄부422: second flat portion
600 :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 turbulence generating unit forming means
500 :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 another set of inner pin forming means
510 : 제3 롤러510: third roller
520 : 제4 롤러520 fourth roller
본 발명은 적층형 열교환기와 이의 이너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너핀을 개량하여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튜브내에 이너핀의 조립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적층형 열교환기와 이의 이너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d heat exchanger and an inner fin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inner fin to promote turbulence to maximize heat transfer and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inner fins in a tube. It relates to a laminated heat exchanger and an inner fin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열교환기는 냉난방시스템의 유로상에 설치되어 이 유로내를 흐르는 작업유체를 외부공기와 열교환시켜 소정의 공간을 냉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heat exchanger is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the cooling and heating system so as to heat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flow path with the external air to cool down a predetermined space.
이러한 열교환기(40)의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플레이트(41)(42)가 상호 브레이징 접합되어 이 플레이트(41)(42)의 내면 사이의 간극으로 유체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플레이트(41)(42)의 상부 또는 하부에 열교환매체의 공급측 탱크부(43)와 배출측 탱크부(44)를 구비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튜브(45)들과, 이 튜브(45)들 사이에 설치되어 방열 면적을 증대시키는 방열핀(50)과, 상기 공급측 탱크부(43)와 배출측 탱크부(44)에 각각 구비되는 열교환 매체를 공급 및 배출시키는 공급/배출 매니폴드(46)(47)로 이루어진다.As an example of such a
한편, 상기 튜브(4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유체가 흐르는 유체통로(42a)(42b)를 두 개로 분할 구획하기 위한 구획 비드(41a)를 갖는 동일 형상의 상기 플레이트(41)(42) 한쌍이 일치되게 접합되어 구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그리고, 상기 튜브(45)의 각 유체통로(42a)(42b)내에는 작업유체가 튜브(45)내를 통과할 때 난류 형태로 유동되도록 하는 이너핀(49)이 각각 내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열교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heat exchang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튜브(45)를 구성하는 플레이트(41)(42)의 중앙에 구획 비드(41a)가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유체통로(42a)(42b)에 대응하여 이너핀(49) 역시 두 개가 내장되는데, 내장 설치 완료후 유체통로(42a)(42b)내에서 이너핀(49) 자체가 유동되어 작업 유체의 흐름에 방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the
둘째, 두 개의 이너핀(49)이 유체통로(42a)(42b)내에 개별적으로 내장되기 때문에 이너핀이 유체통로내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Second, since the two
셋째, 종래 기술의 이너핀(49)은 루버가 없이 단순히 파형으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난류화를 촉진시키지 못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Third,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이너핀을 개량하여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튜브내에 이너핀의 조립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적층형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laminated heat exchange to improve the inner pin to promote turbulence to maximize heat transfer and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inner pin in the tub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group.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튜브내에 조립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제작한 적층형 열교환기의 이너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facilitate the turbulence to maximize heat transfer and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inner heat exchanger of the laminated heat exchanger produced to facilitate the assembly in the tube It aim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유체통로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구획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비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부 또는 하부에 열교환매체의 유출입되는 탱크부를 구비한 동일 형상의 플레이트 한쌍을 일치되게 접합하여서 된 튜브와;상기 다수개의 유체통로내에 각각 수납되며, 지그재그로 절곡됨과 아울러 그 측벽에 난류 발생부를 갖는 다수개의 핀부재와, 상기 구획비드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핀부재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너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partition beads for dividing and partitioning a fluid flow path into at least two or more, and also having a tank part which flows in and out of a heat exchange medium at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thereof. A tube formed by jointly joining a pair of identically shaped plates; a plurality of fin members each housed in the plurality of fluid passages, bent in a zigzag and having turbulence generating portions on the sidewalls, and located between the partition beads. And an inner pin as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in membe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너핀 제조장치는, 일정한 피치를 갖는 제1 나사부와 제1 평탄부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와, 상기 제1 나사부와 치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와 면접되는 제2 나사부와 제2 평탄부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롤러로 이루어져 이너핀 소재가 통과하면서 상기 제1, 제2 나사부 사이에서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는 핀부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와 제2 평탄부 사이에서는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과; 상기 이너핀 소재가 상기 제1, 제2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난류 발생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제2 나사부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상에 형성되는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ner pin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screw portion and the first flat portion having a constant pitch alternate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first installed rotatably via a rotating shaft The second roller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screw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flat portion, and alternate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A pair of inner pin forming means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lat portion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while the pin member is bent in a zigzag shape while the inner pin material passes, and a connection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lat portion and the second flat portion. and; And a turbulence generating portion forming means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between the peaks and valleys of the first and second threaded portions so that the inner pin material pass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to form a turbulent flow generating portion.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형 열교환기의 구성중 본 발명의 이너핀이 내장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튜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이너핀이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튜브의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지시선 "A"부의 확대도로서, 난류 발생부의 형상을 나타낸 일부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너핀의 제작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난류 발생부를 형성하기 위한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ub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f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laminated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of the tub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f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6 and 7 are enlarged views of the leader line “A” portion shown in FIG. 3, which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turbulence generating portion, and FIG. 8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inner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FIG. 8, FIG. 10 is a side view of FIG. 8, and FIG.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urbulence generating unit forming means for forming the turbulence gen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적층형 열교환기와 동일하나, 그 차이점은 이너핀을 포함한 튜브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laminated heat exchanger described in the prior art, but the difference is a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tube including the inner fin.
좀더 상세하게는 유체가 흐르는 유체통로(111)(121)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구획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비드(113)(123)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부 또는 하부에 열교환매체의 유출입되는 탱크부(112)(122)를 구비한 동일 형상의 플레이트(110)(120) 한쌍을 일치되게 접합하여서 된 튜브(100)를 다수개 적층하여서 이루어진 적층형 열교환기에 적용된다.More specifically, at least two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유체통로(111)(121)내에 각각 수납되며 지그재그로 절곡됨과 아울러 그 일/양측벽(211)(211a)에 난류 발생부를 갖는 다수개의 핀부재(210)와, 상기 구획비드(113)(123)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핀부재(21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20)로 이너핀(200)을 구비한 것이다.3, 4, and 5, each of the plurality of
여기서, 상기 난류 발생부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의 마찰 저항을 높여 난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루버(213)(215)로 이루어진다.Here, the turbulence generating unit, as shown in Figure 6 and 7, consists of a plurality of louvers (213, 215) formed to change the turbulent flow by increas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fluid.
상기 루버(213)(21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11)(211a)중 적어도 어느 한 측벽에 형성된다.The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루버(213)는 상기 측벽(211)(211a)에 상기 유체가 유입/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212)가 천공되도록 절개됨과 아울러 상기 측벽(211)(211a)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6참조)In more detail, the
한편, 상기 루버(2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가 유입/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214)가 형성되도록 천공됨과 아울러 상기 측벽(211)(211a)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옵셋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너핀(200)은 연결부재(220)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튜브내에 조립할 때, 상기 연결부재(220)를 플레이트(110)(120)의 구획비드(113)(123)에 안착시키게 되면, 나머지 핀부재(210)들은 자연적으로 플레이트(110)(120)의 유체통로(111)(121)에 안착되므로 조립을 아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Since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너핀(200)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너핀 제조장치는 크게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과,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8 to 11, the inner pin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inner pin forming means 400 and turbulence generating unit forming means 600 largely.
상기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은 일정한 피치를 갖는 제1 나사부(411)와 제1 평탄부(412)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41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롤러(410)와, 상기 제1 나사부(411)와 치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412)와 면접되는 제2 나사부(421)와 제2 평탄부(422)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42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롤러(420)로 이루어진다.The pair of inner pin forming means 40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그리고, 이너핀 소재(200)가 상기 제1, 제2 롤러(410)(4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 제2 나사부(411)(421) 사이에서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되는 핀부재(21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평탄부(412)와 제2 평탄부(413) 사이에서는 연결부재(220)가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n
한편,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은 상기 이너핀 소재(200)가 상기 제1, 제2 롤러(410)(420) 사이를 통과하면서 난류 발생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제2 나사부(411)(421)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411a)(421a)상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turbulence generating portion forming means 600 is the first and
상기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나사부(411)(421)중 어느 하나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411a)상에 소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음각부(411b)와, 상기 음각부(411b)가 형성된 경사면(411a)이 접촉되는 상기 제1, 제2 나사부(411)(421)중 나머지 하나의 산과 골 사이의 경사면(421a)에 상기 음각부(411b)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양각부(421b)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1, the turbulence generating
여기서, 상기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은 난류 발생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함을 밝혀둔다.Here, it is noted that the turbulence generating
한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이 더 구비된다.Meanwhile, another set of inner pin forming means 500 is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t of inner
상기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600)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외주면에 일정한 피치를 갖는 제3 나사부(511)와 제3 평탄부(512)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51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3 롤러(510)와, 상기 제3 나사부(511)와 치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3 평탄부(512)와 면접되는 제4 나사부(521)와 제4 평탄부(522)가 교대로 축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회전축(52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4 롤러(520)로 이루어진다.The other pair of inner pin forming means 500, as shown in Figure 9, the
상기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은 상기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을 통과하여 1차 가공된 이너핀 소재(200)를 재가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pair of inner pin forming means 500 passes through the set of inner pin forming means 400 and serves to reprocess the
상기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의 제3 및 제4 나사부(511)(521)들의 피치는 상기 제1,제2 나사부(411)(421)의 피치보다 소정치 작게 형성되는데, 이너핀(200)의 핀피치를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에서 1차 가공된 상태보다 더 적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itch of the third and fourth threaded
즉, 핀밀도를 보다 조밀하게 하기 위함이다.That is, to make the pin density more dens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이너핀 소재(200)를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을 구성하는 제1 롤러(410)와 제2 롤러(420)사이에 인입시키면, 서로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 제2 롤러(410)(420)를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 형상으로 절첩된 1차 가공 상태의 이너핀이 제작된다.
First, when the
이때, 상기 난류 발생부 형성수단에 의해 이너핀(200)에는 난류 발생부를 구성하는 루버가 형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1차 가공된 이너핀은 제품 적용 대상에 따라 가공 작업을 중도에서 그만둘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pins which are primarily processed may be stopped midwa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product.
그러나, 보다 조밀한 핀 밀도를 갖는 인너핀의 생산을 원하고자 할경우에는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을 통과한 이너핀 소재(200)를 다시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을 통과시키면 된다.However, in order to produce inner pins having a more dense pin density, the
여기서, 이너핀의 난류 발생부를 구성하는 루버는 상기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400)을 통과할때만 가공되는 것이다.Here, the louver constituting the turbulence generating portion of the inner pin is processed only when passing through the set of inner
따라서, 다른 한조의 이너핀 형성수단(500)을 구성하는 제3, 제4 롤러를 통과할때에는 난류 발생부를 구성하는 루버의 재가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passing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rollers constituting the other pair of inner pin forming means 500, the rework of the louvers constituting the turbulence generating portion is not mad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너핀을 개량하여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튜브내에 이너핀의 조립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난류화를 촉진하여 열전달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튜브내에 조립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inner pin to promote turbulence to maximize heat transfer, and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inner pin in the tube, to promote heat transfer by promoting turbulenc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maximize the assembly can be conveniently carried out in the tube.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4205A KR101087152B1 (en) | 2005-01-17 | 2005-01-17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ner fin of heat exchan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4205A KR101087152B1 (en) | 2005-01-17 | 2005-01-17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ner fin of heat exchang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3487A KR20060083487A (en) | 2006-07-21 |
KR101087152B1 true KR101087152B1 (en) | 2011-11-29 |
Family
ID=3717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4205A KR101087152B1 (en) | 2005-01-17 | 2005-01-17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ner fin of heat exchan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715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8490B1 (en) * | 2011-11-16 | 2013-07-26 | 디에스티 주식회사 | apparatus of molding slate fin |
JP6330646B2 (en) * | 2014-12-16 | 2018-05-30 | 株式会社デンソー | Heat exchanger |
CN109564068B (en) | 2016-09-09 | 2021-08-06 | 庆东纳碧安株式会社 | Pipe assembly for tube type heat exchanger and tube type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
KR102322880B1 (en) * | 2020-03-05 | 2021-11-05 |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 Heat dissipation device using turbulent flow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3421A (en) * | 1998-02-10 | 1999-08-17 | Denso Corp | Refrigerant evaporator |
JP2000320994A (en) * | 1999-05-12 | 2000-11-24 | Showa Alum Corp | Laminate type heat exchanger |
JP2004025257A (en) * | 2002-06-26 | 2004-01-29 | Toyo Radiator Co Ltd | Apparatus for producing corrugated fin for heat exchanger |
-
2005
- 2005-01-17 KR KR1020050004205A patent/KR10108715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23421A (en) * | 1998-02-10 | 1999-08-17 | Denso Corp | Refrigerant evaporator |
JP2000320994A (en) * | 1999-05-12 | 2000-11-24 | Showa Alum Corp | Laminate type heat exchanger |
JP2004025257A (en) * | 2002-06-26 | 2004-01-29 | Toyo Radiator Co Ltd | Apparatus for producing corrugated fin for heat exchang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3487A (en) | 2006-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15854B1 (en) | Plate-type heat exchanger and heat-pump-type heating and hot-water supply system equipped with same | |
US5692559A (en) | Plate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undulating passageway | |
US6938685B2 (en) | Heat exchanger | |
US20060237166A1 (en) | High Efficiency Fluid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e | |
US20010004012A1 (en) | Fin and tube type heat-exchanger | |
US11118848B2 (en) | Heat-exchanging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using same | |
CN107462093B (en) | Plate heat exchanger | |
JP2005083677A (en) | Evaporator | |
EP1702193B1 (en) | A plate heat exchanger | |
US20070137843A1 (en) | Heat exchanger core and heat exchanger equipped therewith | |
JP2003302176A (en) | Boiling cooler | |
KR101087152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ner fin of heat exchanger | |
CN112414185B (en) | Plate heat exchanger | |
JP3044436B2 (en) | Stacked heat exchanger | |
US7121331B2 (en) | Heat exchanger | |
JP2006183969A (en) | Heat-exchange core of stacked oil cooler | |
TW202024554A (en) | Heat transfer plate | |
JP2001041678A (en) | Heat exchanger | |
JP2000337784A (en) | Plate type heat exchanger for three liquids | |
JP4714375B2 (en) | Laminate heat exchanger | |
JPH10170184A (en) | Heat exchanger | |
JP2001255093A (en) | Evaporator | |
JP4547205B2 (en) | Evaporator | |
JPH11101588A (en) | Plate-type heat exchanger | |
US7028766B2 (en) | Heat exchanger tubing with connecting member and fins and methods of heat excha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