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68155B1 - 조작기를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조작기를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155B1
KR101068155B1 KR1020100026989A KR20100026989A KR101068155B1 KR 101068155 B1 KR101068155 B1 KR 101068155B1 KR 1020100026989 A KR1020100026989 A KR 1020100026989A KR 20100026989 A KR20100026989 A KR 20100026989A KR 101068155 B1 KR101068155 B1 KR 101068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open
coil
contactor
inpu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엄연식
성기영
Original Assignee
(주)에마텍
성기영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마텍, 성기영, 한광전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에마텍
Priority to KR1020100026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7/0403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thyrist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기를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게이트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통해 전자 접촉기의 투입 상태 및 개방 상태의 변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투입측 코일과 개방측 코일을 구비하여,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하는 조작기를 구비하며, 상기 투입측 코일과 상기 개방측 코일에 각각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외부 전력이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인가된 전류를 정류하는 브릿지 정류부; 상기 브릿지 정류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가 상기 투입측 코일 또는 상기 개방측 코일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부; 상기 게이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투입측 SCR과 개방측 SCR; 및 상기 투입측 SCR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상기 투입측 SCR이 턴-온 되면, 전하를 축적하고, 상기 개방측 SCR이 턴-온 되면, 상기 개방측 SCR로 전류를 인가하는 축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작기를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MAGNETIC CONTACTOR WITH A DRIVING DEVICE FOR CONTROLLING AN ACTUATOR}
본 발명은 조작기를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게이트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통해 전자 접촉기의 투입 상태 및 개방 상태의 변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구동 장치는 기계나 계측기와 같은 동력 기구를 움직이는 장치이다. 이러한 구동 장치로서 흔히 전력 계통에 이용되는 예로서는, 전자 접촉기, 전자 개폐기, 차단기 등을 들 수 있다.
전자 접촉기(電磁接觸器)(MC; Magnetic Contactor 또는 electroMagnetic Contactor)는 모터 등의 구동회로에서 전력 회로를 개폐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는 과부하계전기(過負荷繼電器, Thermal Overload Relay)와 함께 전자개폐기(電磁開閉器)(MS; Magnetic Switch 또는 electroMagnetic Switch)를 구성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는, 큰 접점 용량과 내압을 가진 전자 계전기의 일종으로 전자력을 이용하여 접점을 열고 닫음으로써 대전류의 개폐나 전동기의 시동, 정지 등의 제어에 사용되며 주로 250V/10A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부하에 적용된다.
차단기(遮斷器)(CB; Circuit Breaker)는 송전선로의 송전단이나 수전단에 설치되어 전력계통에 인가되는 고장전류를 차단하여 부하(전기 기계 또는 전기 설비)를 보호하게 된다. 차단기는, 누전용 차단기와 배선용 차단기로 구분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누전 차단기는 누전과 과전류를 모두 차단하고, 배선용 차단기는 누전은 보호되지 않고 과전류만 차단한다. 누전 차단기의 예로서는, ELB(Electric Leakage Breaker), ELCB(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등이 있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의 예로서는,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NFB(No Fuse Breaker) 등을 포함하여 모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MMS; Manual Motor Starter)가 있다.
조작기는 상기와 같은 전자 접촉기, 전자 개폐기, 차단기와 같은 전기 기기류, 또는 일정 거리를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왕복하는 운동 기구가 필요한 기계 장치에서, 왕복 구간의 어느 한쪽 위치(제1위치)와 그로부터 반대쪽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제2위치)까지 직선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구동력 생성 기구)로서 활용된다.
예를 들어, 전자 접촉기, 전자 개폐기 또는 차단기와 같은 구동 장치에 사용되는 조작기에 있어서, 그의 가동자가 제1위치로 이동한 때에는 구동 장치의 회로 접점이 투입(접점 ON 또는 CLOSE 상태)되고, 제1위치의 반대 방향인 제2위치로 이동한 때에는 구동 장치의 회로 접점이 개방(접점 OFF 또는 OPEN 상태)된다.
상기 조작기는 대개 고정 철심에 영구자석을 대향 시키고, 영구자석의 자계 내에 코일을 권회한 가동자 코일을 배치하여, 가동자 코일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면 영구자석에 의한 자계와 코일의 전류밀도에 의한 전자 반발력에 의해 가동자 코일이 상방(제1위치) 또는 하방(제2위치)으로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조작기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따르는 전, 자기 반발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영구자석과 코일의 반발력을 이용하므로 이동길이의 제약이 적고 큰 힘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큰 힘을 필요로 하는 구동 장치(예; 고압 차단기)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을 갖는 조작기는 코일 자체가 가동자가 되어 움직이므로, 움직이는 가동자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가 어렵고, 가동자 코일의 전기적 절연 설계와 기계적 내충격성을 위한 구조 설계가 까다로워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 등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0-0001306호 및 제2010-0014209호에는 이른바 '영구자석을 이용한 조작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구동장치'로서 전자 접촉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2010-0001306호 및 제2010-0014209호에 개시된 내용은 참조로써, 본 발명에 병합된다.
상기 전자 접촉기는 투입측 코일과 개방측 코일을 분리하여 고정시키고, 각각의 코일에 전류의 인가시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동자를 이동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투입측 코일과 개방측 코일에 전력이 인가되는 순간과 시간 간격을 제어하여, 전자 접촉기의 동작을 자동화하면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통해, 투입(ON) 시에는 축전부의 충전 용량에 따라 조작기의 동작 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개방(OFF) 시에는 축전부에 충전되어 있던 전력만으로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으로 게이트 제어부를 제어하여, 전자 접촉기를 투입 상태 및 개방 상태로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동작 시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투입측 코일과 개방측 코일을 구비하여,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하는 조작기를 구비하며, 상기 투입측 코일과 상기 개방측 코일에 각각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외부 전력이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인가된 전류를 정류하는 브릿지 정류부; 상기 브릿지 정류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가 상기 투입측 코일 또는 상기 개방측 코일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부; 상기 게이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투입측 SCR과 개방측 SCR; 및 상기 투입측 SCR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상기 투입측 SCR이 턴-온 되면, 전하를 축적하고, 상기 개방측 SCR이 턴-온 되면, 상기 개방측 SCR로 전류를 인가하는 축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릿지 정류부는, 순방향의 전류만 통과시키는 한 쌍의 순방향 다이오드와 역방향의 전류만 통과시키는 한 쌍의 역방향 다이오드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전부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외부 전력이 차단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한 전류 인가가 차단되면, 동시에 개방측 SCR을 턴-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접촉기는, 상기 게이트 제어부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접촉기는, 상기 통신 모듈과 상호 교신하여, 전력선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접촉기는, 상기 전자 접촉기가 투입(ON) 상태에 있는지 또는 개방(OFF)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LED 점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투입측 코일과 개방측 코일을 구비하여,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하는 조작기를 구비하며, 상기 투입측 코일과 상기 개방측 코일에 각각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외부 전력이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인가된 전류를 정류하는 브릿지 정류부; 상기 브릿지 정류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가 상기 투입측 코일 또는 상기 개방측 코일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부; 상기 게이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투입측 트랜지스터와 개방측 트랜지스터; 및 상기 브릿지 정류부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상기 개방측 트랜지스터가 턴-온 되면, 상기 개방측 트랜지스터로 전류를 인가하는 축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릿지 정류부는, 순방향의 전류만 통과시키는 한 쌍의 순방향 다이오드와 역방향의 전류만 통과시키는 한 쌍의 역방향 다이오드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전부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외부 전력이 차단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한 전류 인가가 차단되면, 동시에 개방측 트랜지스터를 턴-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상기 개방측 트랜지스터를 턴-온 상태에서 턴-오프 상태로 변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접촉기는, 상기 게이트 제어부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접촉기는, 상기 통신 모듈과 상호 교신하여, 전력선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접촉기는, 상기 전자 접촉기가 투입(ON) 상태에 있는지 또는 개방(OFF)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LED 점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고정자 코일을 구비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 인가에 따라 구동하는 조작기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자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외부 전력이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인가된 전류를 정류하는 브릿지 정류부; 상기 브릿지 정류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가 상기 고정자 코일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부; 상기 게이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한쌍의 투입측 트랜지스터와 한쌍의 개방측 트랜지스터; 및 상기 브릿지 정류부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상기 개방측 트랜지스터가 턴-온 되면, 상기 한쌍의 개방측 트랜지스터로 전류를 인가하는 축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외부 전력이 차단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한 전류 인가가 차단되면, 동시에 상기 한쌍의 개방측 트랜지스터를 턴-온 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접촉기는, 상기 전자 접촉기가 투입(ON) 상태에 있는지 또는 개방(OFF)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LED 점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는 게이트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통해, 투입(ON) 시에는 축전부의 충전 용량에 따라 조작기의 동작 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개방(OFF) 시에는 축전부에 충전되어 있던 전력만으로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는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으로 게이트 제어부를 제어하여, 전자 접촉기를 투입 상태 및 개방 상태로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동작 시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동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전자 접촉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브릿지 정류부를 통해 출력된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브릿지 정류부를 통해 출력된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동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동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조작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동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작기를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동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전자 접촉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해를 위해, 우선 본 발명의 구동 디바이스가 제외된 상태에서 전자 접촉기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며, 이후, 구동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 디바이스의 제어에 따라 전자 접촉기의 구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접촉기(100)는 하부 케이스(111)와 상부 케이스(112)가 결합되어 외관을 이룬다. 상부 케이스(112)의 전, 후 방향에는 복수(교류 3상인 경우는 3개)의 전원측 단자(171)와 부하측 단자(172)가 일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부 케이스(112)의 상면에는 가동 접점 조립체(150)의 홀더(151)가 노출되어 있다.
케이스(111)(1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작기(1000a)의 상부에는 가동 접점 조립체(150)가 결합된다.
가동자 요소(1200)는 그의 연결수단(1260)인 연장축(1262)과 결합축(1264)을 통해 가동 접점 조립체(150)의 홀더(151)에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가동 접점 조립체(150)는 가동자 요소(1200)와 함께 상하로 직선 운동한다.
가동 접점 조립체(150)는, 홀더(151), 가동 접촉자(160) 및 스프링(163)을 포함한다. 가동 접촉자(160)는 스프링(163)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탄성 가압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가동 접촉자(160)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가동 접점(161)(16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동 접점(161)(162)에 대응하여, 상부 케이스(112)의 양쪽에는 전원측 단자(171)와 부하측 단자(172)가 설치된다. 각각의 단자(171)(172)에는 고정 접점(181)(18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11)(112)의 일측에는 보조 단자(190)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 단자(190)에는, 투입측 코일(1140)과 개방측 코일(1150)에 전류를 인입하기 위한 외부 급전선이 접속된다.
조작기(1000a)의 고정자 요소(1100)는 하부 케이스(111)의 바닥에 설치된다.
조작기(1000a)의 가동자 요소(1200)가 상측의 제2위치로 동작하면, 전자 접촉기(100)의 가동 접점 조립체(150)가 상향 이동되어 전자 접촉기(100)는 개방 상태(OFF 상태)가 되며, 이때 가동 접촉자(160)의 접점(161)(162)은 단자(171)(172)의 접점(181)(182)으로부터 떨어지므로 부하측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다.
한편, 조작기(1000a)의 개방측 코일(1150)에 전류가 인가되면, 가동자 요소(1200)는 고정자 요소(1100)와의 반발력과 개방 스프링(20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다. 가동자 요소(1200)가 상방으로 끝까지 이동한 위치(제2위치: 개방위치)에서, 개방측 코일(1150)에 인가하던 전류를 차단하면, 가동자 요소(1200)는 개방 스프링(2000)의 탄성력만으로 개방위치(제2위치)에서 지탱되어 홀딩 된다.
이와 같이 가동자 요소(1200)가 상향 이동하여 개방 완료 위치에서 홀딩 되면, 그에 일체로 결합된 홀더(151)도 함께 상향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가동 접촉자(160)의 접점(161)(162)은 단자(171)(172)의 접점(181)(182)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회로는 개방(OFF)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조작기(1000a)의 가동자 요소(1200)가 하측의 제1위치로 동작하면, 전자 접촉기(100)의 가동 접점 조립체(150)는 하향 이동되어 전자 접촉기(100)는 투입 상태(ON 상태)가 되며, 이때 가동 접촉자(160)의 접점(161)(162)은 단자(171)(172)의 접점(181)(182)에 붙게 되어 부하측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즉, 조작기(1000a)의 투입측 코일(1140)에 전류가 인가되면, 가동자 요소(1200)는 고정자 요소(1100)를 향해 하방으로 끌어 당겨진다. 가동자 요소(1200)가 하방으로 끝까지 이동한 위치(제1위치: 투입위치)에서, 투입측 코일(1120)에 인가하던 전류를 차단하면, 고정자 요소(1100)에 의한 자기장은 사라지고, 가동자 요소(1200)는 영구자석(1220)과 고정 철심 코어(1120) 사이의 인력에 의해 투입위치에서 홀딩 된다.
이와 같이 가동자 요소(1200)가 하향 이동하여 투입 완료 위치에서 홀딩 되면, 그에 일체로 결합된 홀더(151)도 함께 하향 이동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면 가동 접촉자(160)의 접점(161)(162)은 단자(171)(172)의 접점(181)(182)에 붙게 되어 회로는 투입(ON)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자 접촉기(100)의 소정 위치에 LED 점멸부(미도시)가 부가되어, 전자 접촉기(100)가 투입(ON) 상태에 있는지 또는 개방(OFF)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방법은, 예를 들어, 전자 접촉기(100)가 투입 상태에 있으면, LED 점멸부를 발광시키고, 전자 접촉기(100)가 개방 상태에 있으면, LED 점멸부를 소등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혹은 그 반대의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투입측 코일(1140)과 개방측 코일(115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조작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동 디바이스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브릿지 정류부를 통해 출력된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동 디바이스(300)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접촉기(100)의 조작기(1000a)의 구동을 제어하며, 예를 들어, 하나의 회로 기판에 구현하여, 전자 접촉기(100) 케이스(111, 112)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보조 단자(190)와 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동 디바이스(300)는 전원 공급부(310), 브릿지 정류부(320), 게이트 제어부(330), 투입측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340), 축전부(350) 및 개방측 SCR(360)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 정류부(320)의 출력측 라인과 투입측 SCR(340)의 입력측 라인은 투입측 코일(1140)과 연결되며, 투입측 SCR(340)의 출력측 라인과 개방측 SCR(360)의 입력측 라인은 개방측 코일(1150)에 연결된다. 여기서, 투입측 코일(1140)과 개방측 코일(1150)은 이해를 위해 간단한 기호로 도시하였으며, 그 기능 및 역할은 도 1에 도시된 투입측 코일(1140) 및 개방측 코일(1150)과 동일하다.
전원 공급부(310)를 통해 외부 전력이 인가되면, 브릿지 정류부(320)에서 전류를 정류한다. 브릿지 정류부(320)는, 예를 들어, 제한됨이 없이, 순방향의 전류만 통과시키는 한 쌍의 순방향 다이오드(322, 326)와 역방향의 전류만 통과시키는 한 쌍의 역방향 다이오드(324, 328)를 교대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외부 전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게이트 제어부(330)는 투입측 SCR(340)을 턴-온(TURN-ON)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개방측 SCR(360)을 턴-오프(TURN-OFF)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투입측 SCR(340)이 턴-온되면, 투입측 코일(1140)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가동자 요소(120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가동 접점(161, 162)이 고정 접점(181, 182)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투입측 SCR(340)이 턴-온 되면, 전류가 투입측 SCR(340)에 흐르게 되고, 투입측 SCR(340)의 출력측에 배치된 축전부(350)에 전류가 유입되면서, 전하가 축적된다. 축전부(350)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축전부(350)를 커패시터로 구성하는 경우, 커패시터의 충전 시간은 커패시터의 용량에 따라 결정된다.
축전부(350)의 충전이 완료되면, 외부 전력이 인가되고 있다 하더라도 전류의 흐름이 정지되고, 전자 접촉기(100)의 가동 접점(161, 162)과 고정 접점(181, 182)은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즉, 투입측 코일(1120)에 인가되던 전류 흐름이 정지되면, 고정자 요소(1100)에 의한 자기장은 사라지고, 가동자 요소(1200)는 영구자석(1220)과 고정 철심 코어(1120) 사이의 인력에 의해 투입위치에서 홀딩 된다.
계속하여, 외부 전력이 차단되어 전원 공급부(310)를 통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게이트 제어부(330)는 투입측 SCR(340)을 턴-오프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개방측 SCR(360)을 턴-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부(330)는 제어 신호를 전력 공급의 차단과 동시에 생성하거나 또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제어부(3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 정류부(320)를 통해 출력된 전압의 전위가 0이 되는 시점에서 투입측 SCR(340)을 턴-오프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개방측 SCR(360)이 턴-온 되면, 축전부(350)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개방측 SCR(360) 방향으로 방전되면서, 개방측 코일(115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개방측 코일(115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자 요소(1200)는 고정자 요소(1100)와의 반발력과 개방 스프링(20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다. 가동자 요소(1200)가 상향 이동하여 개방 완료 위치에서 홀딩 되면, 그에 일체로 결합된 홀더(151)도 함께 상향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가동 접촉자(160)의 가동 접점(161)(162)은 단자(171)(172)의 고정 접점(181)(182)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회로는 개방(OFF)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축전부(350)에 저장되어 있던 전하가 모두 방전되어, 개방측 코일(1150)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면, 가동자 요소(1200)는 개방 스프링(2000)의 탄성력만으로 개방위치(제2위치)에서 지탱되어 홀딩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동 디바이스(300)는 게이트 제어부(330)의 제어 신호를 통해, 투입(ON) 시에는 축전부(350)의 충전 용량에 따라 조작기(1000a)의 동작 시간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개방(OFF) 시에는 축전부(350)에 충전되어 있던 전력만으로 개방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브릿지 정류부를 통해 출력된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410)와 브릿지 정류부(42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전원 공급부(310)와 브릿지 정류부(32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구동 디바이스(400)는 도 2에 도시된 구동 디바이스(300)와 비교하여, 축전부(440)의 위치가 상이하며, 투입측 SCR(340)과 개방측 SCR(360) 대신 투입측 트랜지스터(450)와 개방측 트랜지스터(460)를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중앙연산장치(480)는 통신 모듈(470)과 게이트 제어부(430)로 구성되어, 통신 모듈(470)은 게이트 제어부(43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중앙연산장치(480)는 외부 전력의 인가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 전력이 인가되면, 통신 모듈(470)을 통해 게이트 제어부(430)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게이트 제어부(430)는 투입측 트랜지스터(450)를 턴-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개방측 트랜지스터(460)를 턴-오프 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투입측 트랜지스터(450)가 턴-온 되면, 투입측 코일(1140)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가동자 요소(120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가동 접점(161, 162)이 고정 접점(181, 182)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투입측 트랜지스터(450)가 턴-온 되면, 전류가 투입측 트랜지스터(450)에 흐르게 되고, 브릿지 정류부(420)의 출력측에 연결된 축전부(440)로 일부 전류가 흘러서, 축전부(440)는 충전된다. 외부 전력이 계속 인가되는 상태에 있을 때, 도 2의 투입측 코일(1140)과 달리 도 3의 투입측 코일(1140)에는 축전부(440)가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계속 전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투입측 코일(1140)에 충분한 전류가 흘러서 도 1에 도시한 전자 접촉기(100)의 투입 상태가 완료되면, 투입측 코일(1140)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투입측 트랜지스터(450)를 턴-오프 시킬 필요가 있다. 중앙연산장치(480)는 상기 투입측 트랜지스터(450)의 턴-온에서 턴-오프까지 걸리는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470)을 통해 게이트 제어부(430)를 원격에서 조종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브릿지 정류부(420)를 통해 출력된 전압 파형은 축전부(440)의 존재로 인해 약간의 리플(ripple)이 섞인 DC 전압이다. 이 경우, 투입측 트랜지스터(450)의 게이트를 제어해야 턴-온과 턴-오프를 실행할 수 있다. 투입측 트랜지스터(450)는 게이트에 신호를 전달하는 동안에만 드레인-소스 간에 턴-온 상태를 유지하므로, 투입측 트랜지스터(450)를 턴-오프 시키기 위해 게이트 제어부(430)는 투입측 트랜지스터(450)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신호를 차단시켜서, 투입측 트랜지스터(450)의 드레인-소스 간의 전류도 턴-오프시킨다.
게이트 제어부(4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투입측 트랜지스터(450)가 턴-온 상태에서 턴-오프 상태로 변환되어, 투입측 코일(1120)에 인가되던 전류 흐름이 정지되면, 고정자 요소(1100)에 의한 자기장은 사라지고, 가동자 요소(1200)는 영구자석(1220)과 고정 철심 코어(1120) 사이의 인력에 의해 투입위치에서 홀딩 된다.
계속하여, 외부 전력이 차단되어 전원 공급부(410)를 통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게이트 제어부(430)는 개방측 트랜지스터(460)를 턴-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부(430)는 제어 신호를 전력 공급의 차단과 동시에 생성하거나 또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생성할 수 있다.
개방측 트랜지스터(460)가 턴-온 되면, 축전부(440)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개방측 트랜지스터(460) 방향으로 방전되면서, 개방측 코일(1150)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개방측 코일(115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자 요소(1200)는 고정자 요소(1100)와의 반발력과 개방 스프링(20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다. 가동자 요소(1200)가 상향 이동하여 개방 완료 위치에서 홀딩 되면, 그에 일체로 결합된 홀더(151)도 함께 상향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가동 접촉자(160)의 가동 접점(161)(162)은 단자(171)(172)의 고정 접점(181)(182)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회로는 개방(OFF)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축전부(440)에 저장되어 있던 전하가 모두 방전되어, 개방측 코일(1150)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면, 가동자 요소(1200)는 개방 스프링(2000)의 탄성력만으로 개방위치(제2위치)에서 지탱되어 홀딩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동 디바이스(400)는 통신 모듈(470)을 통해 원격으로 게이트 제어부(430)를 제어하여, 전자 접촉기(100)를 투입 상태 및 개방 상태로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동작 시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동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구동 디바이스(500)의 구성은 도 4의 구동 디바이스(400)에 비해 전력선 통신 변환 모듈(590)이 더 부가된 것으로, 그 외의 구성 및 기능은 도 4의 구동 디바이스(400)와 동일하다.
전력선 변환 모듈(590)은 통신 모듈(570)과 상호 교신하여, 전력선을 통한 통신을 수행한다. 전력선 변환 모듈(590)과 통신 모듈(570) 사이에 통신으로 주고 받는 정보는 전력의 차단/연결을 기본으로 한 것이며, 또한 전력의 차단/연결을 할 때에 정보로 주고 받는 내용이 실제로 그렇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정보도 포함된다. 즉, 전력선 통신으로 인해 전자 접촉기(100)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 접촉기(100)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전자 접촉기(100)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위 제어 컴퓨터를 통해 일반 사무실에서 전력감시를 최하 말단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동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조작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작기(1000b)는 도 1에 도시한 조작기(1000a)에 비해 코일의 형태만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도 1에 도시한 조작기(1000a)에서는 투입측 코일(1140)과 개방측 코일(1150)이 상하방향으로 2개로 나뉘어 배치된 형태이나,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기(1000b)에서는, 하나의 고정자 코일(1250)만을 구비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고정자 코일(1250)은 중앙에 관통로(1252)를 형성하는 형태로 권회되고, 가동자 코어(1300)는 상기 관통로(1252)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배치된다. 가동자 코어(1300)를 피동요소에 용이하게 연결하는 한편, 개방 스프링(15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동자 코어(1300)의 상단부에는 연결부재(1310)가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310)는, 체결구(1312)에 의해 가동자 코어(1300)에 결합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하나의 고정자 코일(1250)을 구비하고, 하나의 고정자 코일(1250)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를 인가하여 자속의 흐름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가동자 코어(1300)를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고정자 코일(1250)은 보빈(1254)에 감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에 관통로(1252)는 보빈(1254)의 내경 부분이 된다. 이와는 달리, 보빈(1254)을 사용하지 않고 코일 자체만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지의 셀프 본딩 타입으로 폐곡선 모양으로 권회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 관통로(1252)는 고정자 코일(1250)의 내경 부분이 된다.
고정자 코일(1250)에 정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고정자 코일(1250)의 내측에는 자기장이 형성되고 가동자 코어(1300)는 자화된다. 따라서 가동자 코어(1300)는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을 따르는 전자석의 원리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진다.
가동자 코어(1300)가 하방으로 끝까지 이동한 위치(제1위치)에서, 고정자 코일(1250)에 인가하던 전류를 차단하면, 고정자 코일(1250)에 의한 자기장은 사라지고, 가동자 코어(1300)는 영구자석(1400)의 자력에 의해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 그대로 홀딩 된다. 즉, 가동자 코어(1300)가 제1위치까지 이동한 다음에는 고정자 코일(1250)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가동자 코어(1300)는 영구자석(1400)의 자력에 의해 제1위치에 구속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가동자 코어(1300)가 제1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자 코일(1250)에 역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면, 가동자 코어(1300)는 상방 즉, 제2위치로 당겨진다.
가동자 코어(1300)가 상방으로 끝까지 이동한 위치(제2위치)에서, 고정자 코일(1250)에 인가하던 전류를 차단하면, 고정자 코일(1250)에 의한 자기장은 사라지고, 가동자 코어(1300)는 개방 스프링(150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 그대로 지탱된다. 즉, 가동자 코어(1300)가 제2위치까지 이동한 다음에는 고정자 코일(1250)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가동자 코어(1300)는 개방 스프링(150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위치에 지탱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작기(1000b)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동 접점 조립체(150)가 결합하여, 전자 접촉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하나의 고정자 코일(1250)에 대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 디바이스의 구성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동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610)와 브릿지 정류부(620)의 구성은 도 2, 4 및 6에 도시한 전원 공급부와 브릿지 정류부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구동 디바이스(600)는 도 6에 도시된 구동 디바이스(500)와 비교하여, 코일을 하나만 사용하는 대신 트랜지스터는 2쌍을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중앙연산장치(700)는 통신 모듈(690)과 게이트 제어부(630)로 구성되어, 통신 모듈(690)은 게이트 제어부(63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중앙연산장치(700)는 외부 전력의 인가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 전력이 인가되면, 통신 모듈(690)을 통해 게이트 제어부(630)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게이트 제어부(630)는 제1 투입측 트랜지스터(650)와 제2 투입측 트랜지스터(660)를 턴-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제1 개방측 트랜지스터(670)와 제2 개방측 트랜지스터(680)를 턴-오프 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1 및 제2 투입측 트랜지스터(650, 660)가 턴-온 되면, 고정자 코일(1250)에 정방향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가동자 요소(130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투입측 트랜지스터(650, 660)가 턴-온 되면, 브릿지 정류부(620)의 출력측에 연결된 축전부(640)로 일부 전류가 흘러서, 축전부(640)는 충전된다. 외부 전력이 계속 인가되는 상태에 있을 때, 고정자 코일(1250)에도 계속 전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고정자 코일(1250)에 충분한 전류가 흘러서 가동자 코어(1300)가 하방으로 충분히 이동한 상태가 완료되면, 고정자 코일(1250)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제1 및 제2 투입측 트랜지스터(650, 660)를 턴-오프 시킬 필요가 있다. 중앙연산장치(700)는 상기 제1 및 제2 투입측 트랜지스터(650, 660)의 턴-온에서 턴-오프까지 걸리는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690)을 통해 게이트 제어부(630)를 원격에서 조종할 수 있다.
게이트 제어부(6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투입측 트랜지스터(650, 660)가 턴-온 상태에서 턴-오프 상태로 변환되어, 고정자 코일(1250)에 인가되던 전류 흐름이 정지되면, 가동자 코어(1300)는 영구자석(1400)에 의한 인력에 의해 제1위치에서 홀딩 된다.
계속하여, 외부 전력이 차단되어 전원 공급부(610)를 통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게이트 제어부(630)는 제1 및 제2 개방측 트랜지스터(670, 680)를 턴-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제어부(630)는 제어 신호를 전력 공급의 차단과 동시에 생성하거나 또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생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개방측 트랜지스터(670, 680)가 턴-온 되면, 축전부(640)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제1 및 제2 개방측 트랜지스터(670, 680) 방향으로 방전되면서, 고정자 코일(1250)에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고정자 코일(1250)에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가동자 코어(1300)는 고정자 요소(1100)와의 반발력과 개방 스프링(15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다.
축전부(640)에 저장되어 있던 전하가 모두 방전되어, 고정자 코일(1250)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면, 가동자 코어(1300)는 개방 스프링(1500)의 탄성력만으로 제2위치에서 지탱되어 홀딩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전자 접촉기
111: 하부 케이스
112: 상부 케이스
151: 홀더
160: 가동 접촉자
161, 162: 가동 접점
171: 전원측 단자
172: 부하측 단자
181, 182: 고정 접점
190: 보조 단자
300, 400, 500: 구동 디바이스
310, 410, 510: 전원 공급부
320, 420, 520: 브릿지 정류부
330, 430, 530: 게이트 제어부
340: 투입측 SCR
350, 440, 540: 축전부
360: 개방측 SCR
450, 550: 투입측 트랜지스터
460, 560: 개방측 트랜지스터
470, 570: 통신 모듈
480, 580: 중앙연산장치
590: 전력선 통신 변환 모듈
1000a: 조작기
1100: 고정자 요소
1120: 고정 철심 코어
1140: 투입측 코일
1150: 개방측 코일
1200: 가동자 요소
2000: 개방 스프링

Claims (18)

  1. 투입측 코일과 개방측 코일을 구비하여,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하는 조작기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로서,
    상기 투입측 코일과 상기 개방측 코일에 각각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외부 전력이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인가된 전류를 정류하는 브릿지 정류부;
    상기 브릿지 정류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가 상기 투입측 코일 또는 상기 개방측 코일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부;
    상기 게이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투입측 SCR과 개방측 SCR; 및
    상기 투입측 SCR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상기 투입측 SCR이 턴-온 되면, 전하를 축적하고, 상기 개방측 SCR이 턴-온 되면, 상기 개방측 SCR로 전류를 인가하는 축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정류부는, 순방향의 전류만 통과시키는 한 쌍의 순방향 다이오드와 역방향의 전류만 통과시키는 한 쌍의 역방향 다이오드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부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외부 전력이 차단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한 전류 인가가 차단되면, 동시에 개방측 SCR을 턴-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제어부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과 상호 교신하여, 전력선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접촉기가 투입(ON) 상태에 있는지 또는 개방(OFF)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LED 점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8. 투입측 코일과 개방측 코일을 구비하여, 전류의 인가에 따라 구동하는 조작기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로서,
    상기 투입측 코일과 상기 개방측 코일에 각각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외부 전력이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인가된 전류를 정류하는 브릿지 정류부;
    상기 브릿지 정류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가 상기 투입측 코일 또는 상기 개방측 코일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부;
    상기 게이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투입측 트랜지스터와 개방측 트랜지스터; 및
    상기 브릿지 정류부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상기 개방측 트랜지스터가 턴-온 되면, 상기 개방측 트랜지스터로 전류를 인가하는 축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정류부는, 순방향의 전류만 통과시키는 한 쌍의 순방향 다이오드와 역방향의 전류만 통과시키는 한 쌍의 역방향 다이오드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부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외부 전력이 차단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한 전류 인가가 차단되면, 동시에 개방측 트랜지스터를 턴-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상기 개방측 트랜지스터를 턴-온 상태에서 턴-오프 상태로 변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제어부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과 상호 교신하여, 전력선을 통한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접촉기가 투입(ON) 상태에 있는지 또는 개방(OFF)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LED 점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16. 고정자 코일을 구비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 인가에 따라 구동하는 조작기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로서,
    상기 고정자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외부 전력이 인가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인가된 전류를 정류하는 브릿지 정류부;
    상기 브릿지 정류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가 상기 고정자 코일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게이트 제어부;
    상기 게이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되는 한쌍의 투입측 트랜지스터와 한쌍의 개방측 트랜지스터; 및
    상기 브릿지 정류부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상기 개방측 트랜지스터가 턴-온 되면, 상기 한쌍의 개방측 트랜지스터로 전류를 인가하는 축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제어부는, 외부 전력이 차단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한 전류 인가가 차단되면, 동시에 상기 한쌍의 개방측 트랜지스터를 턴-온 시키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접촉기가 투입(ON) 상태에 있는지 또는 개방(OFF)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LED 점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KR1020100026989A 2010-03-25 2010-03-25 조작기를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KR101068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989A KR101068155B1 (ko) 2010-03-25 2010-03-25 조작기를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989A KR101068155B1 (ko) 2010-03-25 2010-03-25 조작기를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155B1 true KR101068155B1 (ko) 2011-09-28

Family

ID=4495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989A KR101068155B1 (ko) 2010-03-25 2010-03-25 조작기를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15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634B1 (ko) 2012-08-07 2014-02-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KR101472555B1 (ko) 2014-07-30 2014-12-16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순간정전 방지 및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를 구비한 분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KR20160012037A (ko) 2014-07-23 2016-02-02 주식회사 파세텍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20160012489A (ko) * 2014-07-24 2016-02-03 주식회사 파세텍 순간정전 방지 및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101607071B1 (ko) * 2014-07-23 2016-03-29 주식회사 파세텍 순간 정전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102040187B1 (ko) 2019-07-24 2019-11-04 주식회사 대홍전기 영구자석을 이용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절전형 전자 접촉기가 구비된 전동기 제어반
KR20210012167A (ko) 2019-07-24 2021-02-03 주식회사 파세텍 영구자석을 이용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절전형 전자 접촉기
JP2021504883A (ja) * 2018-06-01 2021-02-1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リアルタイム状態制御が可能なラッチリレー、ラッチリレーの状態制御方法、およびリアルタイム状態制御が可能なラッチリレーを備えるバッテリーパック
KR20210040763A (ko) 2019-10-04 2021-04-14 탑인더스트리(주) 고온동작 정지 기능을 갖는 분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284A (ko) * 1997-10-17 1999-05-1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코일구동장치
KR20010081702A (ko) * 2000-02-18 2001-08-29 이종수 하이브리드 개폐기
KR20030081745A (ko) * 2002-04-12 2003-10-22 엘지산전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직류 전자 접촉기
KR100899432B1 (ko) 2008-09-02 2009-05-27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절전형 전자 접촉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284A (ko) * 1997-10-17 1999-05-1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코일구동장치
KR20010081702A (ko) * 2000-02-18 2001-08-29 이종수 하이브리드 개폐기
KR20030081745A (ko) * 2002-04-12 2003-10-22 엘지산전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직류 전자 접촉기
KR100899432B1 (ko) 2008-09-02 2009-05-27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절전형 전자 접촉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634B1 (ko) 2012-08-07 2014-02-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KR20160012037A (ko) 2014-07-23 2016-02-02 주식회사 파세텍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101607071B1 (ko) * 2014-07-23 2016-03-29 주식회사 파세텍 순간 정전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20160012489A (ko) * 2014-07-24 2016-02-03 주식회사 파세텍 순간정전 방지 및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101640145B1 (ko) 2014-07-24 2016-07-15 주식회사 파세텍 순간정전 방지 및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101472555B1 (ko) 2014-07-30 2014-12-16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순간정전 방지 및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를 구비한 분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JP2021504883A (ja) * 2018-06-01 2021-02-1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リアルタイム状態制御が可能なラッチリレー、ラッチリレーの状態制御方法、およびリアルタイム状態制御が可能なラッチリレーを備えるバッテリーパック
KR102040187B1 (ko) 2019-07-24 2019-11-04 주식회사 대홍전기 영구자석을 이용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절전형 전자 접촉기가 구비된 전동기 제어반
KR20210012167A (ko) 2019-07-24 2021-02-03 주식회사 파세텍 영구자석을 이용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절전형 전자 접촉기
KR20210040763A (ko) 2019-10-04 2021-04-14 탑인더스트리(주) 고온동작 정지 기능을 갖는 분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155B1 (ko) 조작기를 제어하는 구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접촉기
KR100968462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조작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구동 장치
KR101103381B1 (ko) 영구자석과 스프링을 이용한 조작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구동 장치
KR100899432B1 (ko) 절전형 전자 접촉기
CN102405507A (zh) 电磁继电器装置
CN102388427A (zh) 电磁继电器装置
RU2012119507A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привод с двумя устойчивыми состояниями для средневольт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CN108573828B (zh) 用于中压配电装置的开关设备
CN115172115A (zh) 一种非机械分合触头式断路器
KR20110012272A (ko) 영구자석을 사용한 전자석 조작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구동 장치
KR101472555B1 (ko) 순간정전 방지 및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를 구비한 분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CN108550503A (zh) 一种直流接触器
CN102013355B (zh) 一种提高永磁操动真空断路器寿命的控制方法
US7283027B2 (en) Electric switching device, relay, socket and electric apparatuses comprising such a device
KR20210040763A (ko) 고온동작 정지 기능을 갖는 분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KR102252217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절전형 전자 접촉기
CN103180928A (zh) 用于电磁开关设备的电路
CN101908435B (zh) 一种永磁操动的真空断路器
KR101640144B1 (ko)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KR101607071B1 (ko) 순간 정전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CN102754176B (zh) 用于电磁开关设备的装置
KR102040187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오작동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절전형 전자 접촉기가 구비된 전동기 제어반
CN201638743U (zh) 一种永磁真空断路器
KR100925805B1 (ko) 래치식 개폐기
KR101640145B1 (ko) 순간정전 방지 및 저전압 방지 기능이 내장된 전자 접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9